KR20230085306A -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 Google Patents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306A
KR20230085306A KR1020210173350A KR20210173350A KR20230085306A KR 20230085306 A KR20230085306 A KR 20230085306A KR 1020210173350 A KR1020210173350 A KR 1020210173350A KR 20210173350 A KR20210173350 A KR 20210173350A KR 20230085306 A KR20230085306 A KR 20230085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supply pipe
dripper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중근
남현식
최승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306A/ko
Priority to PCT/KR2021/018667 priority patent/WO2023106460A1/ko
Publication of KR2023008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는: 개구된 상측을 통하여 분쇄된 커피와 물을 공급받으며 분쇄된 커피에서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여 하측으로 배출시키는 드리퍼 및 드리퍼의 상측에 위치하며 드리퍼의 내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출수모듈을 포함하며, 출수모듈은, 드리퍼의 입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관로지지부와, 관로지지부에서 연장되는 연결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출수모듈의 이동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지지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WATER SUPPLY TUBE VARIABLE SUPPORT TYPE COFFE MAKER}
본 발명은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하는 급수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커피 메이커는 커피를 내리는 장치이며, 커피와 물을 공급하면 자동으로 원두커피가 내려지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메이커는, 분쇄된 커피를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Dispenser)를 포함한다. 종래의 디스펜서는 컨테이너의 내측에 수용된 커피의 일 부분에만 물을 공급하므로, 분쇄된 커피와 물이 접촉되는 면적이 적어서 높은 품질의 커피를 만들어 낼 수 없다.
커피 메이커는 물을 저장하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는 보일러모듈과, 보일러모듈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아 토출하는 노즐과, 노즐을 회전시켜 드립패턴을 구현하는 전동장치와, 필터 위에 분쇄커피를 채운 뒤 온수를 부어 추출하는 드리퍼와 드리퍼에서 여과된 커피를 받는 서버를 포함한다.
커피 메이커의 노즐은 드리퍼의 상측에 위치한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며, 메인프레임은 제2모터의 동작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노즐은 온수공급튜브에 결합된다.
온수공급튜브는 연질의 튜브이며, 노즐과 연결된 메인프레임이 물을 공급하는 관로의 기능을 하나, 단일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노즐의 이동이 직선 방향으로만 이루어진다.
또한 노즐이 온수공급튜브에만 연결된 상태에서 노즐과 함께 온수공급튜브가 이동될 경우, 온수공급튜브의 하중이 노즐로 전달되어 노즐의 피로하중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3340호(2018.10.24 등록, 발명의 명칭: 드립커피 제조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하는 연질의 급수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관과 연결된 부위로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는, 이동하우징부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지지부가 연질의 급수관을 지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관로지지부와 연결프레임과 회전지지축을 포함하는 가변지지부가 이동하우징부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로지지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급수관이 설치되므로, 급수관의 이동에 따라 관로지지부가 이동되며 급수관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는, 연질의 급수관이 관로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급수관과 연결된 부위로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이 완화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질의 급수관이 이동할 때 급수관을 지지하는 관로지지부가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급수관을 지지하므로 급수관의 하중이 급수관과 연결된 부품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는 개구된 상측을 통하여 분쇄된 커피와 물을 공급받으며 분쇄된 커피에서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여 하측으로 배출시키는 드리퍼 및 드리퍼의 상측에 위치하며 드리퍼의 내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출수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출수모듈은, 드리퍼의 입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관로지지부와, 관로지지부에서 연장되는 연결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을 출수모듈의 이동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지지축을 포함한다.
또한 급수관은 연질의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관로지지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급수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은 관로지지부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연결프레임의 상측은 관로지지부에 연결되고 하측은 회전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출수암은 급수관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암은 장착몸체와 제1암과 제2암을 포함한다.
장착몸체는 제1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암은 장착몸체에서 연장되며, 급수관과 연결된다. 제2암은 장착몸체에서 연장되며, 제2이동부에 구비된 기어에 걸린다.
또한 제1이동부는 출수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출수암을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2이동부는, 제1이동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출수암에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하고, 제1이동부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이동부와 속도 차이에 의해 출수암을 회전시킨다.
또한 제1이동부는, 링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제1외접기어가 구비되는 제1링기어와, 제1링기어에서 돌출되어 출수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돌기와, 제1링기어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제1구동모터 및 제1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링기어로 전달하는 제1연결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제2이동부는, 제1링기어의 상측에 링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제2외접기어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출수암에 맞물리는 내측기어가 구비되는 제2링기어와, 제2링기어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의 동력을 제2링기어로 전달하는 제2연결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하우징부는,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를 지지하며 케이스부에 고정된다. 이동하우징부의 측면에 연결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급수관은 출수암과 함께 이동되며, 급수관의 이동에 의해 관로지지부와 연결프레임은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
또한 연결프레임은, 관로지지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메인프레임 및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며 회전지지축과 연결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프레임에 연결되며 급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구비하는 관로장착부를 더 포함한다.
관로장착부는, 급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장착블럭 및 장착블럭과 서브프레임을 연결하는 장착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및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원두를 분쇄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드리퍼로 배출시키는 그라인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리퍼의 하측에 위치하며, 드리퍼에서 추출된 커피를 담는 서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는, 출수암을 따라 이동하는 연질의 급수관이 가변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급수관의 손상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질의 급수관이 가변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급수관과 연결된 출수암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출수암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출수암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가 급수관을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이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모듈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가 급수관을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가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1)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발명에서 원두(whole bean)라 함은 커피나무에서 수확한 그대로의 생두(coffee bean)가 아니라, 로스팅된 커피원두를 말한다. 로스팅된 커피원두는 로스팅이 이루어진 정도에 따라 분류된다. 예를 들어, 오래 로스팅 된 다크 로스팅 커피는 라이트 로스팅 커피보다 커피 성분이 물에 쉽게 용해된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분쇄된 커피인 커피가루의 크기는 기호 및 원두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크기의 커피가루는 특정 크기를 갖는 커피가루가 아니라, 기호 및 원두 종류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원발명의 커피 메이커는, 분쇄된 커피인 커피가루를 물과 혼합한 후 커피성분을 물에 녹여 액상 커피 또는 커피액(coffee liquid)을 추출하는 장치이다. 커피액은 커피가루에서 추출하여 커피성분이 포함된 물을 뜻한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커피액을 추출한다는 것은 물을 커피 가루와 접촉시켜서 커피가루에서 추출한 커피성분을 포함하는 물을 만든다는 의미를 뜻한다. 본원발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커피는 일반적으로 커피액을 의미한다. 그리고 커피의 원두 및 커피가루는 고체 형태의 커피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1)는, 드리퍼(10)와 출수모듈(100)과 케이스부(400)와 그라인더(500)와 서버(600)와 급수탱크(700)와 가열부(800)와 제어부(900)와 송풍팬(10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드리퍼(10)에 물을 공급하는 출수모듈(100)은 급수관(110)과 가변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출수모듈(100)은 출수암(180)과 제1이동부(190)와 제2이동부(240)와 이동하우징부(280)와 위치측정부(2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케이스부(4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커피 메이커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400)의 전방(도 3기준 좌측)에는 그라인더(500)와 출수모듈(100)과 드리퍼(10)와 서버(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케이스부(400)의 후방(도 3기준 우측)에는 급수탱크(700)와 가열부(800)와 제어부(900)가 설치된다.
급수탱크(700)는 케이스부(4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급수탱크(700)의 물 공급 및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탱크(700)의 하측에는 가열부(800)가 설치되며, 가열부(800)의 동작에 의해 급수탱크(700)에 저장된 물이 가열된다.
가열부(800)의 하측에는 제어부(900)가 설치되며, 제어부(9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커피 메이커가 동작된다.
급수탱크(700)와 가열부(800)와 제어부(900)는 케이스부(4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케이스부(400)의 전방과 후방은 지지격벽(410)에 의해 구획된다. 지지격벽(4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다.
케이스부(400)의 전방에 위치하는 그라인더(500)는 커피의 원두를 공급받기 위해 상측이 개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500)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호퍼(550)와, 호퍼(550)의 상측을 개폐하는 상측커버(560)를 구비한다. 호퍼(550)의 개구된 상측은 상측커버(560)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그라인더(500)는, 케이스부(400)에 고정되는 지지하우징(570)을 포함한다. 지지하우징(570)의 상측에 호퍼(550)가 설치되며, 호퍼(550)의 하측에는 분쇄기어(540)가 구비된다. 그라인더(500)의 동력원이 되는 분쇄모터(510)는 케이스부(400)에 고정되며, 분쇄모터(51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동력은 분쇄기어(540)를 회전시키며 호퍼(550)의 하측으로 배출된 커피 원두를 분쇄시킨다.
그라인더(500)에서 분쇄된 커피의 원두는 가루가 되어 그라인더(500)의 하측으로 낙하된다. 그라인더(500)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커피 가루는 출수모듈(100)의 내측을 통해 드리퍼(10)로 낙하된다.
그라인더(500)와 드리퍼(10)의 사이에는 드리퍼(10)의 상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출수모듈(100)이 설치된다. 출수모듈(100)은 급수탱크(700)를 통해 공급된 물을 드리퍼(10)의 내측으로 공급한다. 출수모듈(100)에 구비된 2개의 모터의 동작에 의해 출수암(180)과 급수관(110)이 이동하며, 드러퍼의 내측으로 물을 공급한다.
드리퍼(10)는 상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그라인더(500)에서 분쇄된 커피 원두를 내측에 저장한다. 또한 출수모듈(100)에 구비된 급수관(110)을 통해 가열된 상태의 물을 공급받으며, 액상의 커피를 하측으로 추출한다.
서버(600)는 액상의 커피를 담는 용기이며, 드리퍼(10)의 하측에 위치한다. 케이스부(400)의 내측에 설치된 지지격벽(410)을 중심으로, 케이스부(400)의 전방(도 3기준 좌측)과 후방(도 3기준 우측)이 구획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1)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1)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1)는 그라인더(500)의 하측에 출수모듈(100)이 위치하며, 출수모듈(100)의 하측에 드리퍼(10)가 위치하며, 드리퍼(10)의 하측에 서버(600)가 위치한다. 케이스부(400)에 급수탱크(700)와 가열부(800)가 설치되며, 급수탱크(700)의 물은 워터펌프(300)를 통해 출수모듈(100)의 급수관(110)으로 공급된다.
케이스부(400)는 커피 메이커 제품의 외형을 형성한다. 케이스부(400)에 그라인더(500)와 출수모듈(100)과 드리퍼(10)와 서버(600)와 급수탱크(700)와 가열부(800)와 제어부(900) 등이 설치된다. 케이스부(400)의 내측에는 판넬 형상의 지지격벽(410)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커피 메이커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부(400)의 전방에는 그라인더(500)와 출수모듈(100)과 드리퍼(10)와 서버(600)가 설치되며, 케이스부(400)의 후방에는 급수탱크(700)와 가열부(800)와 제어부(900)가 설치된다.
지지격벽(410)은 케이스부(400)의 전방에 있는 공간과 후방에 있는 공간을 구획한다. 지지격벽(410)이 설치되므로, 케이스부(400)의 후방에 설치된 제어부(900)와 가열부(800) 등의 방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케이스부(400)의 후방에는 방열을 위한 송풍팬(1000)이 설치되며, 케이스부(400)에는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입구홀(420)과 배출홀(430)이 구비된다. 따라서 입구홀(420)을 통해 케이스부(400)의 내측으로 이동된 공기는 송풍팬(1000)을 통과한 후 제어부(900)와 가열부(800)를 차례로 냉각시킨 후 배출홀(430)을 통해 케이스부(400)의 외측으로 배기된다.
케이스부(400)의 내측에 지지격벽(410)이 설치되므로, 방열을 위한 공간이 축소되어 제어부(900)와 가열부(800)의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출수모듈(100)에서 나오는 물의 일부가 제어부(900)로 튀는 경우에도 지지격벽(410)에 의해 제어부(900)를 향한 물의 이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출수모듈(100)의 물이 제어부(900)와 가열부(800)로 이동할 경우, 지지격벽(410)에 의해 물의 이동이 차단되어 제어부(900)와 가열부(80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그라인더(500)는 케이스부(400)에 설치되며, 원두를 분쇄하여 하측으로 배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그라인더(500)는 분쇄모터(5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커피의 원두를 분쇄한다.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 모듈인 그라이더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설정된 크기 이하로 커피가루를 만든다. 커피의 종류에 따라 분쇄도(grinding degree)가 다르고, 추출되는 정도도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 혹은 커피의 종류에 따라 분쇄도가 변경될 수 있다.
그라인더(500)에서 배출되는 커피가루가 드리퍼(10)의 내측에 낙하될 수 있도록 그라인더(500)는 드리퍼(1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드리퍼(10)의 내측에 물을 공급하는 출수모듈(100)도 드리퍼(1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라인더(500)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므로, 출수모듈(100)이 그라인더(500)의 위쪽에 배치되면, 출수모듈(100)에서 드리퍼(10)를 향하여 하측으로 물이 낙하될 때 그라인더(500)에 의해 물의 공급이 방해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출수모듈(100)이 그라인더(500)와 드리퍼(10)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500)는, 분쇄모터(510)와 전달기어(520)와 로테이터(530)(Rotator)와 분쇄기어(540)와 호퍼(550)(Hopper)와 상측커버(560)와 지지하우징(570)을 포함한다.
분쇄모터(510)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분쇄모터(510)는 케이스부(400)에 고정되며, 분쇄모터(510)의 동력은 전달기어(520)를 통해 로테이터(530)로 전달된다.
전달기어(520)는 분쇄모터(510)의 출력축과 연결된 기어를 포함하여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며, 각 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며 분쇄모터(510)의 동력을 전달한다.
지지하우징(570)은 케이스부(400)에 고정된다. 지지하우징(570)의 내측에 로테이터(53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로테이터(530)의 외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며, 전달기어(520)가 로테이터(530)의 외주면에 맞물려서 회전을 한다.
로테이터(530)의 내측에는 커피의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어(540)가 설치된다. 로테이터(530)가 회전하면서 분쇄기어(540)도 함께 회전하면, 호퍼(550)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커피의 원두가 분쇄된다.
호퍼(550)는 깔때기 형상이며,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단면적이 좁아진다. 호퍼(550)의 상측과 하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지지하우징(570) 또는 케이스부(400) 등에 호퍼(550)가 고정된다.
호퍼(550)의 개구된 입구는 상측커버(560)가 설치된다. 상측커버(560)는 호퍼(550)의 상측 입구를 개폐하므로, 호퍼(550)의 내측에 있는 커피의 원두가 호퍼(550)의 외측으로 이동됨을 차단한다.
드리퍼(10)는 개구된 상측을 통하여 분쇄된 커피와 물을 공급받으며, 분쇄된 커피에서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여 하측으로 배출시킨다. 드리퍼(10)는 출수모듈(100)과 서버(600)의 사이에 설치된다.
드리퍼(10)의 내측에는 필터와 커피가루가 담겨지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 드리퍼(10)는 출수모듈(100)을 통해 공급된 고온의 물과, 그라인더(500)를 통해 공급되는 커피가루를 담는 공간이 구비된다. 드리퍼(10)에 담겨진 커피가루는 물과 접촉되어 액상 커피인 커피를 추출한다.
드리퍼(10)는 상측이 개구된 컨테이너(12)와, 컨테이너(12) 내에 수용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컨테이너(12)와 필터는 상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필터의 내측에 커피가루와 물이 수용된다. 커피가루와 물이 만나 생성된 액상 커피만 필터의 하측으로 흘러 내리며, 커피가루는 필터에 걸려서 필터의 내측에 위치한다.
컨테이너(12)는 필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컨테이너(12)는 커피액을 하측으로 안내하기 용이하도록 깔때기(funnel)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리퍼(10)는, 받침하우징(11)과 컨테이너(12)와 개폐모터(13)와 드리퍼밸브(14)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12)의 하측으로 커피액을 배출할 때, 사용자가 직접 컨테이너(12)의 하측을 개폐할 수 있으며,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컨테이너(12)의 하측을 개폐할 수 있다.
받침하우징(11)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케이스부(400)에 고정된다. 받침하우징(11)의 상측에는 컨테이너(12)가 위치한다. 컨테이너(12)는 받침하우징(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컨테이너(12)의 내측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개폐모터(13)는 케이스부(400)에 고정되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개폐모터(13)의 회전동력은 복수의 기어를 통해 컨테이너(12)의 하측에 설치된 드리퍼밸브(14)로 전달된다.
드리퍼밸브(14)의 회전에 의해 컨테이너(12) 하측에 구비된 출구가 개폐되므로, 컨테이너(12)의 출구를 통한 커피액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리퍼밸브(14)는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컨테이너(12)의 하측에 구비된 출구를 개폐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개폐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서버(600)(server)는 드리퍼(10)의 하측에 위치하며, 드리퍼(10)에서 추출된 커피를 담는 용기이다. 서버(600)는 드리퍼(10)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액을 받아서 저장한다. 또한, 서버(600)에 저장된 커피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서버(600)는 커피 메이커에 탈착 가능하세 설치된다.
급수탱크(700)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케이스부(4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급수탱크(700)에 담긴 물은 급수탱크(700)의 내측에 구비된 열판(710)의 가열로 인해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다.
급수탱크(700)는 케이스부(4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급수탱크(700)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와, 급수탱크(70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800)는 급수탱크(7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전자유도가열 방식에 의해 급수탱크(700)에 구비된 열판(710)을 가열시킨다. 가열부(800)는 인덕션 히팅(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열판(710)을 가열한다. 가열부(800)는 유도 가열 원리를 이용하여 열판(710)을 가열하므로, 열판(710)의 가열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가열부(80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어부(900)는 케이스부(400)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어부(900)는 커피 메이커에 포함된 부품을 제어하는 장치로, PCB 등 전장부품으로 구성된다.
제어부(900)는 일 예로서 기판과, 기판 상에 장착된 프로세서 및 전자부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0)는 출수모듈(100)의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출수모듈(100)에 구비된 전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0)는 본원발명에서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120)가 급수관(110)을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140)이 회전지지축(15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모듈(100)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모듈(100)은 드리퍼(10)의 상측에 위치하며, 드리퍼(10)의 내측으로 물을 공급한다. 출수모듈(100)은 급수탱크(700)를 통해 공급받은 물을 커피가루가 담겨 있는 드리퍼(10)의 내측으로 공급한다.
출수모듈(100)에서 배출된 물이 중력에 의해 드리퍼(10)의 내측으로 낙하되기 위해, 드리퍼(10)의 입구(19)와 마주하는 상측에 출수모듈(100)의 급수관(110)이 위치한다.
출수모듈(100)은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수모듈(100)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가열된 뜨거운 물을 공급받거나, 급수탱크(700)를 통해 가열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출수모듈(100)은 가열된 물을 배출시켜 드리퍼(10) 내의 커피가루에 가열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출수모듈(100)은 가열되지 않은 상온의 물을 전달받으며, 드리퍼(10) 내의 커피가루에 상온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출수모듈(100)에 구비된 출수암(180)에 연질의 급수관(110)이 연결되며, 출수암(180)의 이동에 따라 급수관(110)이 같이 이동한다. 출수모듈(100)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이 구비되며, 출수모듈(100)에 구비된 중공을 통해 커피가루가 낙하된다.
출수모듈(100)의 상측에 설치된 그라인더(500)에서 낙하된 커피가루는 출수모듈(100)에 구비된 중공을 통해 드리퍼(10)로 낙하된다. 드리퍼(10)로 낙하되는 커피가루가 출수암(180)이나 급수관(110)에 부딪히는 현상을 최소로 하기 위해, 출수암(180)과 급수관(110)은 커피가루의 낙하경로에서 떨어진 위치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모듈(100)은, 드리퍼(10)의 입구(19)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10)과, 급수관(11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관로지지부(130)와, 관로지지부(130)에서 연장되는 연결프레임(140)과, 연결프레임(140)을 출수모듈(100)의 이동하우징부(28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지지축(150)을 포함한다.
급수관(110)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관(110)은 연질의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휘어지는 성질을 구비하므로 출수암(18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급수관(110)은 가변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므로, 급수관(110)이 출수암(180)과 함께 이동할 때 가변지지부(120)가 급수관(110)을 지지하는 동작에 의해 급수관(110)의 처짐이나 하중 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급수관(110)의 일측은 워터펌프(300)에 연결되며, 급수관(110)의 타측은 출수암(180)에 연결된다. 급수관(110)은 원형의 튜브이며, 실리콘이나 고무 등을 재질로 사용할 수도 있다.
급수관(110)의 이동에 의해 관로지지부(130)와 연결프레임(140)은 회전지지축(150)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며, 급수관(11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급수관(110)은 이동하우징부(280)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이동하우징부(280)의 내측을 향하여 굽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급수관(110)의 타단은 출수암(180)에 연결되며, 급수관(110)의 일단은 워터펌프(300)에 연결되거나 별도의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가변지지부(120)는 이동이 이루어지는 급수관(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120)는, 관로지지부(130)와 연결프레임(140)과 회전지지축(150)과 관로장착부(160)를 포함한다.
관로지지부(13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급수관(1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관로지지부(130)는 원형 파이프 형상이며, 급수관(110)은 관로지지부(130)의 내측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연결프레임(140)은 관로지지부(13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연결프레임(140)의 상측은 관로지지부(130)에 연결되고 하측은 회전지지축(1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140)은, 관로지지부(13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메인프레임(141) 및 메인프레임(141)의 하부에 연결되며 회전지지축(150)과 연결되는 서브프레임(142)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41)은 막대 형상이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서브프레임(142)은 메임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며, 회전지지축(150)이 관통되기 위한 구멍이 내측에 구비된다.
회전지지축(150)은 연결프레임(140)을 관통하며 이동하우징부(280)의 측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프레임(140)과 관로지지부(130)는 회전지지축(150)을 중심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 회전지지축(150)은 이동하우징부(28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동하우징부(280)가 아닌 다른 고정된 부품에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관로장착부(160)는 서브프레임(142)에 연결되며, 급수관(110)이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장착부(160)는, 급수관(110)이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장착블럭(161) 및 장착블럭(161)과 서브프레임(142)을 연결하는 장착프레임(165)을 포함한다.
장착블럭(161)에 구비된 홈부에 급수관(11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급수관(110)은 관로지지부(1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장착블럭(161)에 구비된 홈부에 삽입되므로, 이동하는 급수관(110)의 다른 부품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장착블럭(161)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구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프레임(165)은 장착블럭(161)고 서브프레임(142)을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프레임(165)은 막대 형상이며, 서브프레임(142)에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변지지부(120)는 급수관(110)의 이동에 따라 회전지지축(15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출수암(180)을 따라 이동하는 연질의 급수관(110)이 가변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므로 급수관(110)의 손상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장착몸체(181)는 제1이동부(19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암(182)은 장착몸체(181)에서 연장되며, 급수관(110)과 연결된다. 제2암(183)은 장착몸체(181)에서 연장되며, 제2이동부(240)에 구비된 기어에 걸린다.
출수암(180)은 제1링기어(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출수암(180)의 일측(도 8기준 우측)에 급수관(11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수암(180)의 이동에 따라 급수관(110)도 출수암(180)을 따라 이동되므로 물의 출수가 설정된 면적에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암(180)은, 장착몸체(181)와 제1암(182)과 제2암(183)을 포함한다.
장착몸체(181)는 제1이동부(190)에 구비된 제1링기어(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링기어(200)는 상측으로 돌출된 회전지지돌기(210)를 포함하며, 장착몸체(181)가 회전지지돌기(210)의 상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1암(182)은 장착몸체(181)에서 연장되며 급수관(110)과 연결된다. 제1암(182)은 장착몸체(181)로 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급수관(110)의 하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해 링 형상의 고리가 단부에 구비된다.
제2암(183)은 장착몸체(181)에서 연장되며, 제2이동부(240)에 구비된 기어에 걸리는 돌출기어(184)를 구비한다. 제2암(183)은 장착몸체(181)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제2암(183)의 외주면에는 제2이동부(240)의 내측기어(254)에 맞물리기 위한 돌출기어(184)가 형성된다.
출수암(180)은 드리퍼(10)의 입구(19)와 마주하며 드리퍼(10)의 상측에 위치하며, 회전지지돌기(210)를 중심으로 자전(rotate)이 가능하게 된다. 제1암(182)은 드리퍼(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암(182)에 결합되는 급수관(110)의 출구도 드리퍼(10)의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출수암(180)은 회전지지돌기(210)가 제1링기어(200)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회전을 하므로, 출수암(180)도 회전지지돌기(210)와 함께 공전을 할 수 있다.
제2암(183)은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암(183)의 외주면에는 원호 형상으로 기어가 형성된다. 제2암(183)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기어(184)는 제2링기어(250)에 구비된 내측기어(254)에 맞물리며, 제1링기어(200)와 제2링기어(250)의 상대 위치에 따라 회전을 한다.
제1출수노즐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암(182)의 단부에 구비된 고리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출수노즐은 제1암(182)과 함께 자전(rotation) 및 공전(revolution)과 같은 다양한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연질의 급수관(110)이 가변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므로, 급수관(110)과 연결된 출수암(180)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출수암(180)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출수암(180)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이동부(190)는 출수암(18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출수암(180)을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부(190)는, 제1링기어(200)와 회전지지돌기(210)와 제2구동모터(260)와 제1연결기어(230)를 포함한다.
제1링기어(200)는 링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제1외접기어(202)가 구비된다. 회전지지돌기(210)는 제1링기어(200)의 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이며, 출수암(18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외접기어(202)는 제1링기어(200)의 외주부를 따라 배열되는 티스(teeth)로 이루어지며, 제1링기어(200)의 외주부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회전지지돌기(210)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출수암(180)의 장착몸체(181)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암(180)은 회전지지돌기(210)와 연결된 출수몸체를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자전을 할 수 있다.
제1구동모터(220)는 제1링기어(2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모터(220)는 전기모터를 사용하며, 서보모터와 엔코더가 구비된 모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연결기어(230)는 제1구동모터(220)의 동력을 제1링기어(200)로 전달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기어가 맞물려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이동부(240)는 출수암(180)과 기어 연결되며, 출수암(180)을 제1출수노즐과 함께 회전지지돌기(210)를 중심으로 자전(rotate)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이동부(240)는 출수암(180)이 제1링기어(200)와 함께 공전하는 동안, 출수암(180)이 회전지지돌기(210)를 중심으로 자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링기어(200)와 제2링기어(250)는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출수암(180)을 회전지지돌기(210)를 중심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이동부(240)는 제1이동부(190)에 연이어 설치되며, 출수암(180)에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한다. 또한 제2이동부(240)는 제1이동부(19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이동부(190)와 속도 차이에 의해 출수암(180)을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이동부(240)는, 제2링기어(250)와 제2구동모터(260)와 제2연결기어(270)를 포함한다.
제2링기어(250)는 제1링기어(200)의 상측에 링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제2외접기어(2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링기어(250)의 내측에는 출수암(180)에 맞물리는 내측기어(254)가 구비된다.
내측기어(254)는 제2링기어(250)의 내주부를 따라 배열되는 티스(teeth)로 이루어지며, 제2링기어(250)의 내주부 일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출수암(180)에 구비된 돌출기어(184)는 내측기어(254)에 맞물린다.
제2외접기어(252)는 제2링기어(250)의 외주부를 따라 배열되는 티스(teeth)로 이루어지며, 제2링기어(250)의 외주부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모터(260)는 제2링기어(25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2연결기어(270)는 제2구동모터(260)의 동력을 제2링기어(250)로 전달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기어가 맞물려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동하우징부(280)는 제1이동부(190)와 제2이동부(240)를 지지하며 케이스부(400)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하우징부(280)는, 하부하우징(282)과 상부하우징(284)을 포함한다.
하부하우징(282)은 제2이동부(240)의 하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케이스부(400)에 고정된다. 하부하우징(282)의 상측에 제1링기어(200)와 제2링기어(2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하우징(284)은 하부하우징(282)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이동부(190)의 상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부하우징(284)은 하부하우징(282)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부하우징(284)과 하부하우징(282)의 사이에서 제1링기어(200)와 제2링기어(2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하우징부(280)의 측면에는 가변지지부(120)의 연결프레임(1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위치측정부(290)는 제1링기어(200)의 위치와 제2링기어(250)의 위치를 측정하여 제어부(900)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측정부(290)는 제1측정부(291)와 제2측정부(295)를 포함한다.
제1측정부(291)는 제1링기어(200)의 위치를 측정하여 제어부(90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측정부(291)는, 이동하우징부(280)에 장착되는 제1측정센서(292)와, 제1링기어(200)에 장착되는 제1자석(293)을 포함한다.
제1자석(293)은 제1링기어(200)의 외측에 장착되며, 제1측정센서(292)는 이동하우징부(280)의 외측에 고정된다. 제1측정부(291)는 홀센서이며, 제1링기어(200)와 함께 회전하는 제1자석(293)의 위치를 검출한다.
제2측정부(295)는 제2링기어(250)의 위치를 측정하여 제어부(90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측정부(295)는, 이동하우징부(280)에 장착되는 제2측정센서(296)와, 제2링기어(250)에 장착되는 제2자석(297)을 포함한다.
제2자석(297)은 제2링기어(250)의 외측에 장착되며, 제2측정센서(296)는 이동하우징부(280)의 외측에 고정된다. 제2측정부(295)는 홀센서이며, 제2링기어(250)와 함께 회전하는 제2자석(297)의 위치를 검출한다.
워터펌프(300)는 전기의 공급으로 동작되며, 급수탱크(700)를 통해 전달된 물을 급수관(110)으로 공급한다. 급수관(110)이 워터펌프(3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급수관(110)과 워터펌프(300) 사이에 연결소켓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커피 메이커의 전반적은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라인더(500)의 호퍼(550)에 원두를 투입한 후 분쇄모터(510)가 동작되면, 분쇄모터(510)의 동력이 전달기어(520)를 통해 로테이터(530)로 전달되어 로테이터(530)를 회전시킨다.
로테이터(530)의 회전에 의해 분쇄기어(540)가 회전하면서 원두를 커피가루로 만든다. 그라인더(500)에서 낙하된 커피가루는 출수모듈(100)의 내측을 통과해 드리퍼(10)의 컨테이너(12)의 내측에 쌓인다.
그리고 급수탱크(700)의 내측에 저장된 물은 가열부(800)에 의해 가열되며, 가열된 물은 워터펌프(300)를 통해 급수관(110)으로 이동한다. 급수관(110)으로 이동된 물은 출수암(180)의 하측으로 낙하되어 드리퍼(10)로 공급된다.
출수암(180)과 급수관(110)이 나선형 형상을 따라 이동하며 물이 낙하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출수암(180)의 제1암(182)에 제2공급파이프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출수암(180)에 구비된 제2암(183)은 제2링기어(250)에 구비된 내측기어(254)에 맞물린다.
제1링기어(200)와 제2링기어(2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측에 있는 제2링기어(250)가 제1링기어(200) 보다 설정된 각도 만큼 더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예를 들어 제1링기어(200)가 45°회전을 하면 제2링기어(250)는 46°회전을 한다. 제1링기어(200)와 제2링기어(250) 사이에는 1°의 위상차가 발생하므로, 출수암(180)은 시계방향으로 공전을 하면서 자전도 하게 된다.
제1링기어(200)와 제2링기어(250)가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을 하면서, 출수암(180)의 자전 및 공전도 계속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링기어(200)가 90°회전을 하면 제2링기어(250)는 92°회전을 한다. 제1링기어(200)와 제2링기어(250) 사이에는 2°의 위상차가 발생하므로, 출수암(180)은 시계방향으로 공전을 하면서 자전을 하게 된다. 제1암(182)은 제2링기어(250)의 중심에서 나선형을 그리며 제2링기어(250)의 내측으로 이동을 한다.
제1링기어(200)와 제2링기어(250)가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을 하면서, 출수암(180)의 자전 및 공전도 계속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링기어(200)가 135°회전을 하면 제2링기어(250)는 138°회전을 한다. 제1링기어(200)와 제2링기어(250) 사이에는 3°의 위상차가 발생하므로, 출수암(180)은 시계방향으로 공전을 하면서 자전을 하게 된다. 제1암(182)은 제2링기어(250)의 중심에서 나선형을 그리며 제2링기어(250)의 내측으로 이동을 계속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1링기어(200)와 제2링기어(250)가 계속 회전을 하면, 제1링기어(200)가 초기 위치에서 495°회전을 하면 제2링기어(250)는 초기 위치에서 506°회전을 한다. 제1링기어(200)와 제2링기어(250) 사이에는 11°의 위상차가 발생하므로, 출수암(180)은 시계방향으로 공전을 하면서 자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 방식에 의해 출수암(180)의 제1암(182)의 단부는 제2링기어(250)의 중심부에서 나선형으로 원을 그리며 점차로 제2링기어(250)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을 한다. 따라서 제1암(182)에 연결된 급수관(110)에서 낙하되는 물이 드리퍼(10)에 담겨진 커피가루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120)가 급수관(110)을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120)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부(120)가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10)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는 연결프레임(140)은 수직선과 평행을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관로지지부(130)는 급수관(110)을 지지하므로 급수관(110)의 처짐을 방지하므로 급수관(110)이 다른 부품과 접촉됨을 방지할 수 있다.
급수관(110)이 다른 부품과 접하며 손상될 경우, 급수관(110)에서 누수된 물에 의해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1)의 부품이 손상되거나 누전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10)이 전방(도 10기준 좌측)으로 이동될 경우, 급수관(110)을 지지하는 관로지지부(130)도 급수관(11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관로지지부(130)와 연결된 연결프레임(140)이 회전지지축(15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된 제1각도
Figure pat00001
만큼 회전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10)이 후방(도 10기준 우측)으로 이동될 경우, 급수관(110)을 지지하는 관로지지부(130)도 급수관(11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관로지지부(130)와 연결된 연결프레임(140)이 회전지지축(15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설정된 제2각도
Figure pat00002
만큼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관로지지부(130)와 연결프레임(140)과 회전지지축(150)을 포함하는 가변지지부(120)가 이동하우징부(28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로지지부(13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급수관(110)이 설치되므로, 급수관(110)의 이동에 따라 관로지지부(130)가 이동되며 급수관(110)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질의 급수관(110)이 이동할 때 급수관(110)을 지지하는 관로지지부(130)가 회전지지축(15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급수관(110)을 지지하므로 급수관(110)의 하중이 급수관(110)과 연결된 부품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10: 드리퍼
11: 받침하우징 12: 컨테이너 13: 개폐모터 14: 드리퍼밸브 19: 드리퍼의 입구
100: 출수모듈
110: 급수관
120: 가변지지부 130: 관로지지부 140: 연결프레임 141: 메인프레임 142: 서브프레임 150: 회전지지축 160: 관로장착부 161: 장착블럭 165: 장착프레임
180: 출수암 181: 장착몸체 182: 제1암 183: 제2암 184: 돌출기어
190: 제1이동부 200: 제1링기어 202: 제1외접기어 210: 회전지지돌기 220: 제1구동모터 230: 제1연결기어
240: 제2이동부 250: 제2링기어 252: 제2외접기어 254: 내측기어 260: 제2구동모터 270: 제2연결기어
280: 이동하우징부 282: 하부하우징 284: 상부하우징
290: 위치측정부 291: 제1측정부 292: 제1측정센서 293: 제1자석 295: 제2측정부 296: 제2측정센서 297: 제2자석
300: 워터펌프
400: 케이스부 410: 지지격벽 420: 입구홀 430: 배출홀
500: 그라인더 510: 분쇄모터 520: 전달기어 530: 로테이터 540: 분쇄기어 550: 호퍼 560: 상측커버 570: 지지하우징
600: 서버
700: 급수탱크 710: 열판
800: 가열부
900: 제어부
1000: 송풍팬

Claims (15)

  1. 개구된 상측을 통하여 분쇄된 커피와 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분쇄된 커피에서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여 하측으로 배출시키는 드리퍼; 및
    상기 드리퍼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드리퍼의 내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출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드리퍼의 입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관로지지부;
    상기 관로지지부에서 연장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을 상기 출수모듈의 이동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지지축;을 포함하는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연질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지지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수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관로지지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은 상기 관로지지부에 연결되고 하측은 상기 회전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출수암;
    상기 출수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출수암을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제1이동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출수암에 맞물리는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이동부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이동부와 속도 차이에 의해 상기 출수암을 회전시키는 제2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암은, 상기 제1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몸체;
    상기 장착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제1암; 및
    상기 장착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2이동부에 구비된 기어에 걸리는 제2암;을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는, 링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제1외접기어가 구비되는 제1링기어;
    상기 제1링기어에서 돌출되어 상기 출수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돌기;
    상기 제1링기어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1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링기어로 전달하는 제1연결기어;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제1링기어의 상측에 링 형상으로 연장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제2외접기어가 구비되고, 내측에는 상기 출수암에 맞물리는 내측기어가 구비되는 제2링기어;
    상기 제2링기어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2링기어로 전달하는 제2연결기어;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하우징부는,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2이동부를 지지하며 케이스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하우징부의 측면에 상기 연결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피 메이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상기 출수암과 함께 이동되며, 상기 급수관의 이동에 의해 상기 관로지지부와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 커피 메이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관로지지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지지축과 연결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구비하는 관로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장착부는, 상기 급수관이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장착블럭; 및
    상기 장착블럭과 상기 서브프레임을 연결하는 장착프레임;을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14.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원두를 분쇄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드리퍼로 배출시키는 그라인더;를 더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드리퍼에서 추출된 커피를 담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KR1020210173350A 2021-12-07 2021-12-07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KR20230085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350A KR20230085306A (ko) 2021-12-07 2021-12-07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PCT/KR2021/018667 WO2023106460A1 (ko) 2021-12-07 2021-12-09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350A KR20230085306A (ko) 2021-12-07 2021-12-07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306A true KR20230085306A (ko) 2023-06-14

Family

ID=8673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350A KR20230085306A (ko) 2021-12-07 2021-12-07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5306A (ko)
WO (1) WO20231064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5526B2 (ja) * 2008-01-15 2013-01-23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コーヒーメーカ
KR101589268B1 (ko) * 2014-12-19 2016-01-28 강오현 커피 드리퍼용 가변형 노즐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커피머신
KR101652754B1 (ko) * 2015-04-30 2016-08-31 이기택 커피 드립 머신
CN210871084U (zh) * 2019-09-18 2020-06-30 唐山美方家具有限公司 一种具有固定功能的饮水机柜
KR20210137749A (ko) * 2020-05-11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460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167B1 (ko) 전자동 밥솥
AU2011322727B2 (en) Beverage machine for different spatial environments
TWI543738B (zh) 用於控制調製飲料的製備之方法及設備
CN103442581B (zh) 饮品烹制装置及方法
US9396605B2 (en) Beverage vending machines
CN103402408B (zh) 饮品烹制装置及方法
EP3166456B1 (en) Accessory for supplying automatically a beverage machine with liquid from a distribution network
KR20160128205A (ko)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JP2013519487A5 (ko)
KR101775685B1 (ko) 물 및 원두 자동공급장치
JP2011526532A (ja) 囲われた異なる空間を分離しかつ食品をドージ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該装置を取り入れた機械
CN105764390A (zh) 热饮料制造机
US8327755B1 (en) Beverage brewer with power driven tubular hot water dispense valve and method
ITBS20110151A1 (it) Macchina per la produzione e l'erogazione di una bevanda
KR101517221B1 (ko) 곡물 볶음장치
KR20230085306A (ko)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JP7358832B2 (ja) 飲料供給装置
KR20230085304A (ko) 커피 메이커
CN211155227U (zh) 一种智能自动出杯的咖啡机
JP7143177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JP2011167397A (ja) 飲料製造装置
KR20230083501A (ko) 커피 메이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083505A (ko) 드립 커피 머신
KR102007932B1 (ko)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KR20240026041A (ko) 커피원두 분쇄 및 커피제조공정이 가능한 커피메이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