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749A - 커피 메이커 - Google Patents

커피 메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749A
KR20210137749A KR1020200055991A KR20200055991A KR20210137749A KR 20210137749 A KR20210137749 A KR 20210137749A KR 1020200055991 A KR1020200055991 A KR 1020200055991A KR 20200055991 A KR20200055991 A KR 20200055991A KR 20210137749 A KR20210137749 A KR 20210137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ear
arm
actuator
coffee
ex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성
우세영
유임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7749A/ko
Priority to EP21159566.5A priority patent/EP3909478B1/en
Priority to US17/223,711 priority patent/US20210345814A1/en
Publication of KR20210137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75Hot water outlets for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5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heat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분쇄된 커피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된 커피 메이커를 개시한다. 본 출원은 분쇄된 커피 및 물을 수용하며 상기 분쇄된 커피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기; 및 상기 추출기내의 상기 분쇄된 커피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dispenser)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추출기의 입구 위쪽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물을 공급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암(arm); 상기 암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암을 상기 노즐과 함께 상기 입구의 중심 주위로(around) 공전(revolve)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암과 연결되며, 상기 암을 상기 노즐과 함께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상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자전(rotate)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2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피 메이커{COFFEE MAKER}
본 출원은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메이커내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많은 소비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가정에서 직접 커피를 제조해서 마시고 있다. 커피 메이커는 다양한 제조방식중 드립 또는 푸어오버 방식(drip or pour-over method)에 따라 분쇄된 커피에 물을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커피 메이커는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 및 편리한 작동방법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커피 메이커는 분쇄된 커피를 수용하는 컨테이너 및 수용된 분쇄된 커피에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펜서는 일반적으로 분쇄된 커피의 특정부위에만 집중적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분쇄된 커피와 뜨거운 물이 균일하게 접촉하여 높은 품질의 커피를 만들어 낼 수 없다. 또한, 커피 메이커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컨테이너에 공급하는 분쇄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급되는 분쇄 커피가 디스펜서, 특히 이의 노즐을 막을 수 있으며, 원활한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미국공개공보 US2017/0188748A1도 디스펜서의 물 공급의 경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커피 메이커를 개시한다. 그러나, 미국공개공보 US2017/0188748A1의 디스펜서는 제한된 궤적을 따라 이동하며 이러한 궤적은 변경될 수 없다. 또한, 디스센서가 공급되는 커피가루를 회피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출원의 목적은 분쇄된 커피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되는 분쇄된 커피에 막히지 않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펜서, 정확하게는 실제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의 노즐을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높은 자유도를 갖는 이동을 위해, 다양한 기구학적 메커니즘이 본 출원에 의해 디스펜서에 적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구학적 메커니즘은 추출기의 입구상에서의 노즐의 자전 및 공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디스센서의 기구학적 메커니즘은 이러한 노즐의 가전 및 공전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디스펜서는 커피가루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하여 커피추출에 최적화된 노즐의 모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디스펜서는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필요한 경우 노즐의 모션 및 궤적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커피 추출의 레시피가 구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출원의 디스펜서는 기구학적 메커니즘에 의해 제공되는 높은 자유도에 기초하여 공급되는 커피가루를 회피하는 노즐의 모션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은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된 커피 및 물을 수용하며 상기 분쇄된 커피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기; 및 상기 추출기내의 상기 분쇄된 커피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dispenser)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추출기의 입구 위쪽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물을 공급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암(arm); 상기 암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암을 상기 노즐과 함께 상기 입구의 중심 주위로(around) 공전(revolve)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암과 연결되며, 상기 암을 상기 노즐과 함께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상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자전(rotate)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2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암이 공전하는 동안 상기 암을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상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공전하면서 상기 암을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상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암을 자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상대적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암은: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상기 힌지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노즐과 결합되는 제 1 암; 및 상기 힌지로부터 상기 제 1 암에 대향되게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pivot)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는 상기 추출기의 입구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입구의 중심 주위로 공전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링기어(ring gear)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링기어는: 이의 내주부에 제공되며, 상기 암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및 이의 외주부에 제공되며, 소정의 동력원과 결합되는 제 1 외접기어(external gea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링기어상에 배치되며, 상기 입구 중심주위로 공전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링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링기어는: 이의 내주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암을 회동키시도록 상기 제 2 암과 맞물리는(engage) 내접기어(internal gear); 및 이의 외주부에 제공되며, 소정의 동력원과 결합되는 제 2 외접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링기어는 상기 제 1 링기어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링기어는 상기 제 1 링기어와 다른 공전속도에 의해 상기 제 1 링기어에 상대적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링기어들사이에 발생되는 상대적인 공전량만큼 상기 제 2 링기어에 맞물린 상기 암을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링기어가 상기 제 1 링기어의 제 1 속도보다 더 큰 제 2 속도로 상기 제 1 링기어의 공전방향인 제 1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전할 때, 상기 제 2 링기어는 상기 암을 이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 2 링기어가 상기 제 1 링기어의 제 1 속도보다 작은 제 3 속도로 상기 제 1 링기어의 회전방향으로 같은 제 1 방향으로 공전할 때, 상기 제 2 링기어는 상기 암을 이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방향에 대향되는 제 2 방향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제 2 링기어가 상기 제 1 링기어의 제 1 속도와 같은 제 4 속도로 상기 제 1 링기어의 공전방향이 제 1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전할 때, 상기 제 2 링기어는 상기 암을 자전시키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커피메이커의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를 상기 추출기의 입구상에서 공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 1 링기어에 대한 상기 제 2 링기어의 공전량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제 2 링기어에 배치되며,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 스토퍼(stopper);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스토퍼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링기어에 제공되는 제 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2 링기어의 공전이 제한될 때, 상기 제 2 링기어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 2 링기어와 맞물리며, 이의 내주면내에 다수개의 리세스들을 포함하는 슬리브(sleeve); 및 동력원과 연결되어 상기 슬리브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리세스들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리브(rib)들을 포함하는 로터(roto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추출기에 상기 분쇄된 커피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추출기의 입구의 엣지에 배치되게 상기 암 및 상기 노즐을 자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커피 메이커에서, 디스펜서는 노즐의 자전 및 공전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는 이들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을 이용하여, 높은 자유도를 갖는 다양한 노즐의 모션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은 커피 메이커내의 커피가루 전체를 균일하게 지나가는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은 커피가루와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품질의 커피가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노즐은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다양한 궤적들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추출 레시피들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커피 메이커는 향상된 커피추출능력 및 확장된 기능성(functionality)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노즐은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에 의해 공급되는 커피가루를 회피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이 커피가루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피메이커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커피 메이커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펜서의 조립된 암, 제 1 액츄에이터, 제 2 액츄에이터, 및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디스펜선의 조립된 암과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의 상대운동에 따른 암의 모션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공급되는 분쇄 커피를 회피하는 암과 노즐의 모션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사이의 상대적 공전을 제한하는 제한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제 1 액츄에이터의 제한 메커니즘 및 제 2 액츄에이터의 제한 메커니즘의 구조들을 각각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2 액츄에이터의 클러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디스펜서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예들이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출원은 개시된 발명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원두(whole bean)라 함은 커피나무에서 수확한 그대로의 생두(coffee bean)가 아니라, 로스팅된 커피원두를 말하는 것이다. 로스팅된 커피원두는 로스팅 정도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래 로스팅된 다크 로스팅 커피는 라이트 로스팅 커피보다 더 물에 쉽게 커피 성분이 용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에서는 원두는 로스팅 정도에 무관하게 커피 추출을 위해 이용할 로스팅된 커피원두를 뜻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본 출원에서, 분쇄된 커피, 즉 커피가루의 크기는 기호 및 원두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크기의 커피가루는 특정 크기를 갖는 커피가루가 아니라, 기호 및 원두 종류에 따라 변화되는 크기를 갖는 커피 가루를 의미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커피 메이커는 분쇄된 커피 즉, 커피가루를 물과 혼합한 후 커피성분을 물에 녹여 액상 커피 또는 커피 액(coffee liquid)을 추출하는 장치를 뜻한다. 커피액은 커피가루에서 추출한 커피성분이 포함된 물을 뜻한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커피액을 추출한다는 것은 물을 커피 가루와 접촉시켜서 상기 커피가루에서 추출한 커피성분을 포함하는 물을 만든다는 의미를 뜻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커피는 일반적으로 커피액을 의미한다. 그러나, 커피 원두 및 커피가루(분쇄된 커피)는 고체형태의 커피를 의미한다.
끝으로,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예들은 분쇄된 커피를 수용하는 용기, 즉 추출기의 위쪽에 배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를 갖는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설명된 예들의원리(principle) 및 구성(configuration)은 분쇄된 커피에 물을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어떠한 형태의 커피 메이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본 출원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일 예의 전체적인 구성이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커피 메이커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피 메이커(1)는 공급된 뜨거운 물과 분쇄된 커피를 수용하며, 상기 분쇄된 커피를 물과 접촉시켜 커피, 즉 액상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기(extracter)(6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추출기(600)는 컨테이너(container)(610)와 상기 컨테이너(610)내에 수용되는 필터(filter)(6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필터(620)가 공급된 분쇄된 커피, 즉 커피 가루 및 물을 일차적으로 수용하며, 추출된 액상 커피만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된다. 컨테이너(610)는 이와 같은 필터(6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추출기(600)는 원활하게 커피 가루 및 물을 공급받도록 상대적으로 큰 입구(600a)와 추출된 커피액을 유도하기에 유리한 상대적으로 작은 출구(60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추출기(600)는 전체적으로 깔때기(funne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추출기(600)는 추출시 사용되는 물의 온도를 기준으로, 콜드브루(cold brew)방식과 핫브루(hot brew)방식 둘 다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상온이하의 온도인 제1온도의 물을 이용하면 콜드브루방식이고,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를 이용하면 핫브루방식으로 볼 수 있다. 추출부(600)는 제1온도의 물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추출부 또는 제2온도의 물, 즉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제2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추출부는 커피 메이커(1)에 함께 설치되거나 원하는 추출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추출부를 커피 메이커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커피 메이커(1)는 추출기(60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급수기, 즉 디스펜서(dispenser)(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400)는 중력에 의해 물을 자연스럽게 추출기(600)에 공급하기 위해 추출기(600), 정확하게 이의 입구(600a) 위쪽(above)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400)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거나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뜨거운 물, 즉 제 2 온도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뜨거운 물을 노즐을 이용하여 추출기(600)내의 커피가루에 공급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디스펜서(400)는 어떠한 가열없이 상온의 물, 즉 제 1 온도의 물을 직접적으로 추출기(600)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커피 메이커(1)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분쇄된 커피, 즉 커피가루를 만드는 분쇄기(grinder)(2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피종류에 따라 분쇄도 (grinding degree)가 다르고, 추출되는 정도도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 혹은 커피종류에 따라 달리 분쇄도가 분쇄기(200)에서 설정할 수 있다. 분쇄기(200)도 중력에 의해 분쇄된 커피를 자연스럽게 추출기(600)에 공급하도록 추출기(600)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분쇄기(200)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므로, 디스펜서(400)가 분쇄기(200) 위쪽에 배치되면, 물의 공급이 분쇄기(200)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다. 따라서, 분쇄기(200)가 디스펜서(400)의 위쪽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디스펜서(400)는 분쇄기(200)와 추출기(60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분쇄기(200)가 먼저 분쇄된 커피 또는 커피가루를 상기 분쇄기(200)쪽으로 개방된 추출기 입구(600a)를 통해 추출기(600)에 공급하며, 이후 디스펜서(400)가 커피 추출을 위해 물을 기공급된 추출기(600)내의 커피가루에 공급할 수 있다.
커피 메이커(1)는 또한 선택적으로 분쇄기(200)에 커피 원두를 공급하는 원두공급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두공급기(100)는 충분한 량의 원두를 저장하고 필요시마다 분쇄기(200)에 기 설정된 량의 원두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원두는 1회 음용할 만큼만 저장하는 1회용 원두저장캡슐(미도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원두저장캡슐이 원두공급부(100)에 배치되면, 상기 원두저장캡슐을 자동적으로 개봉시켜 그 내부의 원두가 분쇄기(20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원두저장캡슐에는 원두의 종류 등이 담긴 식별장치(미도시)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식별장치는 원두의 종류, 로스팅 된 정도, 및 로스팅된 날짜 등을 담고 있어, 이를 인식한 후, 분쇄기(200)는 분쇄정도를 조절하고 추출기(600)는 추출시간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커피 메이커(1)는 추출기(600) 아래쪽(below)에 배치되는 서버(server)(8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800)는 추출기(600) 정확하게는 이의 출구(600b)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액을 받아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저장된 커피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서버(800)는 커피 메이커(1)에 탈착 가능하세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커피 메이커(1)는 앞서 설명된 내부 장치들(100,200,400,600,800)을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몸체(900)를 가질 수 있다. 몸체(9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높여지는 베이스(910) 및 상기 베이스(910)로부터 상측으로(upward) 연장되는 서포터(supporter)(9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기(100), 분쇄기(200), 디스펜서(400) 및 추출기(600)는 서포터(920)에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액서서리를 이용이여 장착되며, 상기 서포터(9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서버(800)는 베이스(910)상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저정된 커피를 다른 용기로 옮기기 위해 서버(800)가 커피 메이커(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커피 메이커(1)는 제어장치(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어장치(10)는 베이스(910)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장치(10)는 커피 메이커(1) 및 이의 장치들(100,200,400,600,800)의 모든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장치(10)는 일 예로서 기판 및 상기 기판상에 장착된 프로세서 및 관련 전자부품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피 메이커(1)의 장치들(100,200,400,600,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10)는 의도된 작동을 위해 이들 구성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10), 즉 프로세서는 제어기(controller) 및 제어부(controlling unit)와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특히 후술되는 디스펜서(400)의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4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180)가 실질적으로 본 출원에서 다음에 설명되는 모든 작동 및 이에 의해 수행되는 모션들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며, 이에 따라 설명되는 모든 제어와 관련된 특징은 모두 제어장치(10)의 특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비록 제어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설명되는 모든 작동 및 모션의 세부적인 특징들은 모두 제어장치(80)의 특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어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개개의 구성요소들의 작동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고유한 특징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피 메이커(1)에서, 디스펜서(400), 정확하게는 실제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이의 노즐은 일반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며, 추출기(600)내의 커피가루의 특정지점에만 집중적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디스펜서(400)의 노즐이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된다 하더라도 이의 이동은 대부분의 경우 제한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추출기(600)내의 커피가루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하기 위해, 본 출원의 커피 메이커(1)는 노즐을 원하는 지점들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펜서(400)가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펜서의 조립된 암, 제 1 액츄에이터, 제 2 액츄에이터, 및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디스펜선의 조립된 암과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이도이며, 도 5는 도 3의 I-I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의 상대운동에 따른 암의 모션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공급되는 분쇄 커피를 회피하는 암과 노즐의 모션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2-도 5를 참조하면, 디스펜서(400)는 추출기(600)의 입구(600a) 위쪽(above)에 이동가능하게, 정확하게는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암(arm)(410)을 포함할 수 있다. 암(410)은 또한 물을 공급하는 노즐(401)을 포함하며, 노즐(401)에는 급수원과 연결되는 튜브(402)가 연결된다. 노즐(40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downward)으로 배향(orient)되며, 이에 따라 튜브(402)를 통해 공급된 물은 중력에 의해 노즐(401)로부터 아래쪽의 추출기(600)내의 분쇄된 커피, 즉 커피가루에 분사될 수 있다.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암(410)은 노즐(401)을 이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붙잡으며, 또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암(410)은 이의 회전중심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힌지(411)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411)는 대체적으로 수직하게 배향되며, 암(410)의 몸체의 끝단들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암(410)은 추출기(600)의 입구(600a) 위쪽에서 상기 입구(600a)에 평행한 평면내에서 힌지(411)를 중심으로 자전(rotate)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힌지(411)는 인접하는 디스펜서(400)의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제 1 액츄에이터(4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힌지(411)를 중심으로 한 암(410)의 자전(rotation)이 가능하게 된다.
암(410)은 또한 힌지(411)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1 암(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암(412)은 대체적으로 추출기(600)의 입구(600a) 위쪽에 배치되며, 이에 결합된 노즐(401)도 상기 추출기(600)내의 커피가루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입구(600a)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암(412)은 이의 힌지(411)와 연결된 끝단과 대향되는 다른 끝단에 제공되는 슬리브(414)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4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향되면서 슬리브(414)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노즐(401)은 암(401)과 함께 예를 들어 자전(rotation) 및 공전(revolution)과 같은 다양한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노즐(401)은 슬리브(4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튜브(402)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 그와 같은 다양한 모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노즐(401)은 이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돌기(projection)(40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403)는 슬리브(414)의 끝단에 걸리며(latch) 노즐(401)이 슬리브(414)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동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암(410)은 또한, 힌지(411)로부터 제 1 암(412)에 대향되게 연장되는 제 2 암(4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암(413)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 2 액츄에이터(430)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 2 액츄에이터(430)에 이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제 2 암(413)은 제 2 액츄에이터(430)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액츄에이터(430)에 의해 힌지(411)를 중심으로 회동(pivot)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암(413)은 이의 힌지(411)와 연결되는 끝단에 대향되는 다른 끝단에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피니언(413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암(413)은 피니언(413a)과 힌지(411)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리브 또는 스포크(spoke)(41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브들(413b)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opening)(413c)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되는 커피 가루는 암(410), 정확하게는 제 2 암(413)에 쌓이지 않고, 이러한 개구부(413c)를 통해 추출기(600)내로 낙하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도 5에도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암(412)은 얇은 두께 및 경사진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급되는 커피가루는 제 1 암(412)에 쌓이지 않고 추출기(600)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다양한 메커니즘에 의해 쌓여진 커피가루에 의해 암(410)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암(410)에 추가적으로, 디스펜서(400)는 추출기(600)의 입구(600a) 위쪽에 배치되며 상기 암(4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액츄에이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액츄에이터(420)는 암(410)을 이에 결합된 노즐(401)과 함께 상기 입구(600a)의 중심(C) 주위로(around) 공전(revolve)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전을 위해, 제 1 액츄에이터(420)는 입구(600a)위쪽에, 정확하게는, 상기 입구(600a)의 엣지(edge)에 배치되는 제 1 링기어(ring gear)(4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링기어(421)는 입구(600a)의 엣지 전체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몸체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입구(600a)를 감쌀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링기어(421)는 이의 내주부에 제공되며, 암(4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422)를 포함할 수 있다. 축(4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향되며, 암(410)의 힌지(411)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암(410)은 축(422) 및 힌지(411)를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자전할 수 있다. 또한, 제 1 링기어(421)는 이의 외주부에 제공되는 제 1 외접기어(external gear)(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외접기어(423)는 실제적으로 제 1 링기어(421)의 외주부를 따라 배열되는 티스(teeth)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주부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링기어(421)는 제 1 외접기어(423)과 맞물리는 제 1 구동기어(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동기어(424)는 소정의 동력원, 예를 들어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원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링기어(421), 즉 제 1 액츄에이터(420)는 입구(600a)의 중심(C) 주위(around)에 상기 입구(600a)의 엣지를 따라 형성된 소정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며, 이에 결합된 암(410) 및 노즐(401)도 상기 궤적을 따라 마찬가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 1 링기어(421) 및 이를 포함하는 제 1 액츄에이터(420)는 중심(C)의 주위로 공전하면서 이에 결합된 암(410)과 노즐(401)도 공전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암(410)이 이의 일 지점(즉, 축(422)을 중심으로 자전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펜서(400)는 제 1 액츄에이터(420)과 마찬가지로, 추출기(600)의 입구(600a) 위쪽에 배치되는 제 2 액츄에이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액츄에이터(430)는 제 1 액츄에이터(4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암(410)을 노즐(410)과 함께 그와 같은 지지점(즉, 상기 제 1 액츄에이터(420)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전을 위해 요구되는 동력을 전달가능하도록 상기 암(410)과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암(410)이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액츄에이터(420)와 결합되며 동시에 자전을 위해 제 2 액츄에이터(430)에 결합되므로, 상기 암(410)의 원활한 조작을 위해 상기 제 2 액츄에이터(430)도 상기 제 1 액츄에이터(430)와 동일한 운동, 즉 공전을 수행하도록 기본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액츄에이터(430)는 제 1 링기어(421)상에 배치되는, 즉 상기 제 1 링기어(421)상에 쌓여진(stack) 제 2 링기어(4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제 2 링기어(431)는 제 1 링기어(421)와 마찬가지로, 입구(600a)위쪽에, 정확하게는, 상기 입구(600a)의 엣지(edge)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링기어(431)도 제 1 링기어(421)과 마찬가지로 입구(600a)의 엣지 전체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몸체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입구(600a)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제 2 링기어(431)는 이의 외주부에 제공되는 제 2 외접기어(external gear)(4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외접기어(433)는 실제적으로 제 1 링기어(421)의 외주부를 따라 배열되는 티스(teeth)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주부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링기어(431)는 제 2 외접기어(433)과 맞물리는 제 2 구동기어(4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구동기어(435)는 소정의 동력원, 예를 들어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원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외접기어(433)과 맞물리면서 제 2 링기어(4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2 링기어(431)는 제 1 링기어(421)상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 2 링기(431)의 바닥부(bottom)은 상기 제 1 링기어(421)의 상부(top)와 접촉하면서 상기 상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제 1 링기어(421)의 상부는 제 2 링기어(431)에 대해 베어링으로 기능하게 된다. 보다 원활한 이동을 위해,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링기어(421)은 이의 상부로부터 제 2 링기어(431)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42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링기어(431)은 이의 바닥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421a)를 수용하는 리세스(recess)(431a)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421a) 및 리세스(431a)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 1 및 제 2 링기어들(421,431)의 상부 및 바닥부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421a) 및 리세스(431a)에 의해 제 2 링기어(431)은 제 1 링기어(42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링기어(431), 즉 제 2 액츄에이터(430)는 입구(600a)의 중심(C) 주위(around)로 공전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420,430) 둘 다와 결합된 암(410)의 원활한 조작을 보장하도록 제 1 액츄에이터(420)의 운동과 조화(hamonize)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 2 링기어(431)는 이의 내주부에 제공되는 내접기어(external gear)(4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접기어(434)는 제 2 링기어(431)의 내주부를 따라 배열되는 티스(teeth)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주부 일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암(410), 정확하게는 이의 제 2 암(413)은 이의 끝단에 배치된 피니언(413a)을 이용하여 내접기어(434)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제 2 링기어(431)가 이동, 즉 공전하면 내접기어(434)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맞물린 제 2 암(413)(즉, 피니언(413a))을 힌지(411)를 중심으로 회동(pivot)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411)에 제 1 암(412) 및 노즐(401)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제 2 암(413)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1 암(412) 및 노즐(401)도 힌지(411)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제 2 액츄에이터(430)는 제 2 링기어(431) 및 내접기어(434)의 공전에 의해 암(410) 및 노즐(401)을 힌지(411)을 중심으로 자전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접기어는 맞물린 피니언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제 1 및 제 2 암(412,413), 즉 암(410)과 노즐(401)도 제 2 링기어(431)의 공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자전할 수 있다. 또한, 암(410)이 제 1 액츄에이터(410)의 축(422)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축(422)도 입구(600a)의 엣지를 따라 공전하므로, 상기 암(410)은 상기 제 1 액츄에이터(420), 즉 제 1 링기어(421)상의 한 지점 뿐만 아니라 입구(600a)의 엣지 또는 공전궤적상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자전할 수 있다. 제 2 암(413)은 내접기어(434)의 길이만큼 회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암(413)의 회동에 따른 암(410)의 자전범위 또는 각도는 상기 제 2 암(413)과 맞물리는 내접기어(434)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접기어(434)의 길이는 암(410)이 주변의 부품들, 예를 들어 제 2 링기어(431)과 간섭하지 않는 자전각도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링기어(431)는 이의 몸체의 내주부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서포터(432)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432)는 대체적으로 판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2 링기어(431)의 내주부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포터(432)는 내접기어(434)에 의해 회동하는 제 2 암(413)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암(410)이 자전하여 입구(600a)의 엣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암(410) 전체를 균일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암(410)이 제 1 및 제 2 링기어(421,431) 둘 다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암(410)에 자전을 위한 운동을 가하기 위해서는, 제 2 링기어(431), 즉 제 2 액츄에이터(430)는 제 1 링기어(421), 즉, 제 1 액츄에이터(420)에 상대적으로 이동, 즉 공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상대적인 공전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제 1 링기어(421)에 대해 제 2 링기어(421)의 모션 특성, 즉 공전속도, 공전량 및/또는 공전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링기어(421)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제 2 링기어(421)의 모션(motion) 또는 작동은 제 1 링기어(421)의 공전 및 정지에 따라 서로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암(410) 자전을 위한 제 2 링기어(431), 즉 제 2 액츄에이터(430)의 모션이 도 6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6에서, 제 1 및 제 2 링기어(421,431)의 공전속도 및 방향들은 화살표로 표시되며, 이들 화살표들은 보다 나은 이해를 돕기위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표시되었으므로 실체 속도 및 방향과 일치되지 않는다.
먼저, 제 1 링기어(421)가 소정의 속도 및 방향으로 공전하는 경우, 상대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 2 링기어(431)는 제 1 링기어(421)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더 빠르게 또는 더 많이 공전하거나, 다른 한편(alternatively) 단순하게 제 1 링기어(421)과 반대방향으로 공전할 수 있다. 그러나, 공전하는 제 1 링기어(421)와 반대방향으로 제 2 링기어(431)가 공전하는 경우, 큰 상대운동이 급격하게 발생되어 상대운동에 의한 암(410)의 자전을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 1 링기어(421)의 공전시, 제 2 링기어(431)는 상기 제 1 링기어(421)와 함께, 즉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링기어(421,431)는 서로 다른 공전속도로 공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다른 공전량이 제 1 및 제 2 링기어(421,431)에 발생되며, 이에 따라, 제 2 링기어(431)는 제 1 링기어(421)과 함께 공전하는 도중에 제 1 링기어(421)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 1 링기어(421)과 같은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공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전량의 차이, 즉 상대적인 공전량만큼, 제 2 기어(431)는 이에 맞물린 암(410)을 힌지(411)를 중심으로 제 1 링기어(421)과 같은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자전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 1 링기어(421)가 제 1 속도(V1)로 제 1 방향(R1)(즉,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한다고 가정될 수 있다. 또한, 암(410)은 대체적으로 제 1 및 제 2 링기어(421.431)의 반경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피니언(413a)의 중앙부(A1)가 내접기어(434)의 소정 지점(P1)과 접촉되며, 노즐(401)은 반경방향내의 소정지점(B1)에 배치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링기어(431)가 제 1 링기어(421)의 제 1 속도(V1)보다 더 큰 제 2 속도(V2)로 상기 제 1 링기어(421)의 공전방향인 제 1 방향(R1)과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면, 제 1 및 제 2 속도(V1,V2)의 속도차이로 인해, 제 1 방향(R1)으로 상대적인 속도(V21)이 발생되며, 상대적인 속도(V21)에 의해 제 1 방향(R1)으로 공전량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제 2 링기어(431)는 제 1 방향(R1)으로 제 1 링기어(431)에 상대적인 공전량만큼 더 공전할 수 있다. 내접기어(431)도 제 1 방향(R1)으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공전하면서 제 1 링기어(421)에 상대적으로 변위된(shift) 영역(S1)내에 배치되며, 이러한 공전중에 내접기어(431)는 피니언(413a)와 맞물리면서 제 2 암(413)을 힌지(411)를 중심으로 제 1 방향(R1)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니언(413a)의 한 끝단부(A2)가 변위된 내접기어(434,S1)의 소정지점(P2)에 배치되면서, 암(410)은 제 1 링기어(421)과 같은 방향(R1)으로 소정각도로 자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전의 결과로 암(410)의 노즐(401)은 입구(600a)의 지점(B2)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링기어(431)가 제 1 링기어(421)의 제 1 속도(V1)보다 작은 제 3 속도(V3)로 상기 제 1 링기어(421)의 공전방향인 제 1 방향(R1)과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면, 제 1 및 제 3 속도(V1,V3)의 속도차이로 인해, 제 1 방향(R1)에 반대방향인 제 2 방향(R2)(즉, 시계방향)으로 상대적인 속도(V31) 및 이에 따른 공전량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제 1 링기어(421)가 제 1 방향(R1)으로 상대적 공전량만큼 제 2 링기어(431)보다 더 공전하므로, 이러한 공전은 이러한 제 2 링기어(431)가 대향되는 제 2 방향(R2)으로 상대적 공전량만큼 공전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링기어(431)의 상대적 공전에 의해, 내접기어(434)도 제 2 방향(R2)으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공전하면서 제 1 링기어(421)에 상대적으로 변위된 영역(S2)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공전중에 내접기어(434)는 피니언(413a)와 맞물리면서 제 2 암(413)을 힌지(411)를 중심으로 제 2 방향(R2)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니언(413a)의 끝단부(A3)가 전위된 내접기어(434,S2)의 소정지점(P3)에 배치되면서, 암(410)은 제 1 링기어(421)와 대향되는 방향(R2)으로 소정각도로 자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전의 결과로 암(410)의 노즐(401)은 입구(600a)의 지점(B3)에 위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2 링기어(431)가 제 1 링기어(421)의 제 1 속도(V1)와 같은 제 4 속도(V4)로 제 1 링기어(421)의 공전방향인 제 1 방향(R1)과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면, 어떠한 속도 및 공전량의 차이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인 공전도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암(410)은 자전되지 않으며, 현재의 배향(orientation)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410)은 지점(A1,B2)에 그대로 배치될 수 있다. 대신에, 암(410)은 자전없이 제 1 링기어(421), 즉 제 1 액츄에이터(410)에 의해 입구(600a)의 중심(C)주위로 공전만을 수행하게 된다.
앞서 설명된 제 1 및 제 2 링기어(421,431)의 작동에 의해, 제 2 액츄에이터(430)는 제 1 액츄에이터(4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공전하면서, 서로 다른 공전속도 및 공전량에 의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420)에 대해 상대적으로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운동(즉, 공전)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 운동 및 공전에 의해 제 2 액츄에이터(430)는 제 1 액츄에이터(420)와 동시에 공전하면서 암(410) 및 노즐(401)을 제 1 액츄에이터상(420)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제 1 액츄에이터(420)의 공전방향과 같은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자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420,430)는 암(410)을 공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암(410)을 상기 제 1 액츄에이터(420)상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시적인 암(410)의 공전 및 자전에 의해 노즐(401)은 입구(600a)의 전체 영역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출기(600)내의 커피가루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암(410)의 공전 및 자전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노즐(401)은 다양한 궤적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커피 추출의 레시피(recipe)가 구현될 수 있다.
다른 한편(alternatively), 제 1 링기어(421)가 정지되는 경우, 단순하게 제 2 링기어(431)의 공전만으로도 제 1 링기어(421)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링기어(421)가 정지되는 동안, 제 2 링기어(431)는 제 1 방향(R1) 또는 제 2 방향(R2)로 공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전에 의해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암(410)은 제 1 또는 제 2 방향(R1,R2)로 자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링기어(421,431)의 작동에 의해, 제 2 액츄에이터(430)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420)에 상대적으로 서로 다른 방향들(R1,R2)로 공전하면서 암(410) 및 노즐(401)을 제 1 액츄에이터상(420)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들(R1,R2)로 자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액츄에이터(420), 즉 제 1 링기어(421)에 의한 소정각도 공전 및 정지후에, 제 2 액츄에이터(430), 즉 제 2 링기어(431)는 암(410)과 노즐(401)을 서로 다른 방향들로 자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을 입구(600a) 전체에 걸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401)은 입구(600a)의 전체 영역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출기(600)내의 커피가루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노즐(401)은 입구(600a)의 전체 영역에 다양한 궤적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커피 추출의 레시피(recipe)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분쇄기(200)에 의해 자동으로 커피가루가 추출기(600)에 공급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추출기(600)의 입구(600a)에 배치되는 소정 크기의 중앙영역(G)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만일 노즐(401)이 중앙영역(G)내에 배치되면 커피가루가 노즐(401)에 쌓이고 상기 노즐(401)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추출기(600)에 커피가루가 공급되는 동안 디스펜서(400), 즉 이의 제 2 액츄에이터(430)는 노즐(401)을 상기 영역(G)를 벗어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액츄에이터(430)는 영역(G)를 벗어나게 암(410) 및 노즐(401)을 입구(600a)의 엣지를 향해 제 2 방향(R2)으로 자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액츄에이터(430)는 공급되는 커피가루를 보다 확실하게 회피하도록 암(410) 및 노즐(401)을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600a)의 엣지위쪽에 이를 따라 배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암(410)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곡진(curved) 암(410)은 입구(600a)의 엣지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커피가루를 보다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특히, 암(410)이 입구(600a)의 엣지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커피가루를 완전하게 피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암(410)의 자전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방향인 제 1 방향(R1)으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암(410)의 자전은 커피가루의 회피를 위해 제 1 액츄에이터(420), 즉 제 1 링기어(421)의 자전중에 또는 이의 정지중에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회피운동에 의해 노즐(401) 및 암(410)에 커피가루가 쌓이는 것이 방지되며, 디스펜서(400)의 원활한 작동이 보장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5를 참조하면, 힌지(411)는 이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공(41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축(422)은 상기 관통공(411a)과 연통하며 이의 몸체를 관통하는 통로(422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암(410)으로 낙하한 커피가루는 관통공(411a) 및 통로(422a)를 통해 암(410)을 통과하여 추출기(600)로 바로 낙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피구조는 앞서 설명된 회피운동과 함께 노즐(401) 및 암(410)상의 커피가루의 적층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암(410)과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420,430)의 원활한 작동 및 보호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400)는 상기 장치들(410-4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housing)(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디스펜서(400)를 지지하기 위해 커피 메이커(1)의 몸체, 예를 들어 서포터(920)(도 1 참조)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 추출기(600)의 상부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하우징(400)은 먼저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420,430)의 어셈블리를 공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트레이(tray)(441)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420,430)가 입구(600a) 위쪽에서 공전하므로, 트레이(441)도 입구(600a)의 위쪽에 배치되어 그와 같은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420,430), 상게하게는, 제 1 및 제 2 링들(421,431)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링들(421,431)들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트레이(441)의 몸체도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441)는 몸체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서포터 또는 플랜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442)는 트레이(441)의 바닥부에 배치되며, 트레이(441)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포터(442)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링기어(421)의 바닥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441)는 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스텝(44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링기어(421)는 상기 제 1 스텝(442a)를 수용하는 리세스(42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441)는 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스텝(44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링기어(431)는 상기 제 2 스텝(442b)를 수용하는 리세스(4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텝 및 리세스들(442a,442b,421b,431b)에 의해 트레이(441)는 제 1 및 제 2 링기어(421,4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원활하게 공전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트레이(441)는 이의 외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선반(shelf)(443)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443)은 리브(443a)에 의해 트레이(441)의 몸체와 연결될 수 있다. 선반(443)은 제 1 및 제 2 구동기어(424,43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이들 기어들(424,435)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441)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슬롯(441a)를 통해 제 1 및 제 2 링기어들(421,431)과 각각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기어(424,435)와 연결되는 모터들도 선반(443)에 장착될 수 있으며, 다른 액세서리들도 선반(443)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400)은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441)의 상부에 결합되는 파티션(partition)(444)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444)은 트레이(441)의 엣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장되며, 외부물질로부터 암(410)과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420,430)을 보호할 수 있다. 파티션(444)은 또한 몸체에 형성되는 윈도우(444a)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444a)를 통해 튜브(402)가 노즐(40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암(410)과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들(420,430)도 교환 및 수리될 수 있다.
한편, 만일 제 2 링기어(431)가 제 1 링기어(421)에 상대적으로 과도하게 공전하면, 암(410)의 피니언(413a)은 내접기어(434)로부터 이탈(disengage)될 수 있다. 또한, 일단 이탈되면 피니언(413a)이 내접기어(434)과 다시 맞물리게 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피니언(413a)의 이탈이 발생되면, 암(410)은 제 2 링기어(431)에 의해 원활하게 자전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디스펜서(400)는 제 1 링기어(421)에 대한 제 2 링기어(431)의 공전량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8은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사이의 상대적 공전을 제한하는 제한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제 1 액츄에이터의 제한 메커니즘 및 제 2 액츄에이터의 제한 메커니즘의 구조들을 각각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제한 메커니즘은 제 2 링기어(431)에 배치되며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 스토퍼(stopper)(436:436a,436b) 및 한 쌍의 제 1 스토퍼들(436)사이에 배치되도록 제 1 링기어(421)에 제공되는 제 2 스토퍼(4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436)는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링기어(421)와 맞물리는 제 2 링기어(431)의 바닥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링기어(421)의 돌기(421a)를 수용하는 리세스(431a)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스토퍼(425)는 도 10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링기어(431)와 맞물리는 제 1 링기어(42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링기어(431)의 리세스(431a)내에 삽입되는 돌기(421a)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스토퍼들(436)사이의 원주거리는 내접기어(434)의 길이에 상당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링기어(421,431)의 상대적인 회전도중, 제 2 스토퍼(425)는 제 1 스토퍼(436)에 걸리며 이에 따라 제 1 스토퍼들(436)사이에서만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 1 및 제 2 스토퍼(425,436)은 제 2 링기어(431)의 상대적인 공전량을 내접기어(434)의 길이로 제한할 수 있으며, 암(410)의 피니언(413a)이 내접기어(43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400)의 작동중에 다양한 이유들로 제 2 링기어(431)의 공전이 제한되거나 방해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링기어(431)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면, 제 2 링기어(431)의 공전이 방해받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스토퍼(425,436)에 의해 제 2 링기어(431)의 공전이 제한될 수도 있다. 만일 제 2 링기어(431)의 공전이 제한될 때, 제 2 구동기어(435) 및 동력원에 의해 상기 제 2 링기어(431)에 동력이 공급되면, 상기 제 2 링기어(431), 구동기어(435) 뿐만 아니라 다른 관련 부품들이 파손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 2 액츄에이터(430)는 제 2 링기어(431)의 공전이 제한될 때, 상기 제 2 링기어(431)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clutch)를 더 포함할수 있으며, 도 11은 이와 같은 제 2 액츄에이터의 클러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면, 클러치는 효과적인 동력 차단을 위해, 제 2 액츄에이터(430)의 제 2 구동기어(435)에 제공될 수 있다. 클러치는 제 2 링기어(431)과 맞물리는 슬리브(sleeve)(435a)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435a)는 중공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리브(435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몸체에 직접 형성되는 제 2 구동기어(435)를 통해 제 2 링기어(431), 정확하게는 제 2 외접기어(433)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슬리브(435a)는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내주면상에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다수개의 리세스들(435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리세스들(435b)는 대체적으로 제 2 구동기어(435)의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향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는 동력원, 예를 들어 모터와 연결되며, 슬리브(435a)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435c)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435c)는 이의 허브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리브(rib)(435d)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들(435d)은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탄성적으로 용이하게 변형되며 마찬가지로 탄성적으로 리세스(435b)내에 삽입될 수 있다. 만일 제 2 링기어(431)의 공전이 제한되면, 상기 제 2 링기어(431)에 맞물린 슬리브(435a)에 공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대적인 토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토크에 의해 리브(435d)는 변형되면서 리세스(435b)로부터 이탈(disengage)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탈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인 토크가 발생되는 동안, 즉 제 2 링기어(431)의 공전이 제한되는 동안, 리브(435d)의 이탈에 의해 로터(435c)는 슬리브(435a)내에서 공회전(idle)하며, 슬리브(435a) 및 이에 맞물린 제 2 링기어(431)에 동력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는 제 2 링기어(431)의 공전이 제한되면, 상기 제 2 링기어(431)로부터 동력원을 실질적으로 분리시키며, 이에 따라 제 2 링기어(4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400)는 보다 형상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디스펜서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그와 같은 변형예가 도 12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암(450)은 회전중심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힌지(451)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451)은 앞서 설명된 암(410)의 힌지(411)와 다르게 제 1 링기어(421)의 내주부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힌지(451)를 지지하기 위해 제 1 링기어(421)의 축(422)도 내주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된 힌지(451)에 의해 상기 힌지(451)과 제 2 링기어(431)사이의 제 2 암(453)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니언(453a)도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상당하게 내접기어(434)도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긴 피니언(453a) 및 내접기어(434)에 의해 제 2 액츄에이터(430)는 암(450)의 자전을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 2 암(453)은 리브(453b) 및 개구부(453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앞서 설명된 리브(413b) 및 개구부(413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생략된다. 한편, 힌지(451)가 제 1 링기어(421)의 내주부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 1 암(452)은 제 2 암(453)에 대향되게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 2 암(453)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암(452)의 끝단에는 슬리브(454)가 형성되며, 노즐(401)이 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암(452)이 제 2 암(453)에 배치되므로 돌출된 힌지(451)에도 불구하고 제 1 암(451) 및 노즐(401)은 운동도중에 주변의 부품들과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출원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커피메이커 200: 분쇄기
400: 디스펜서 600: 추출기
401: 노즐 403: 홀더
410: 암 420: 제 1 액츄에이터
430: 제 2 액츄에이터

Claims (18)

  1. 분쇄된 커피 및 물을 수용하며 상기 분쇄된 커피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기; 및
    상기 추출기내의 상기 분쇄된 커피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dispenser)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추출기의 입구 위쪽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물을 공급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암(arm);
    상기 암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암을 상기 노즐과 함께 상기 입구의 중심 주위로(around) 공전(revolve)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암과 연결되며, 상기 암을 상기 노즐과 함께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상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자전(rotate)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2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암이 공전하는 동안 상기 암을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상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커피 메이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공전하면서 상기 암을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상의 한 지점을 중심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커피 메이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암을 자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상대적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되는 커피 메이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상기 힌지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노즐과 결합되는 제 1 암; 및
    상기 힌지로부터 상기 제 1 암에 대향되게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pivot)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암을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는 상기 추출기의 입구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상기 입구의 중심 주위로 공전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링기어(ring gear)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링기어는:
    이의 내주부에 제공되며, 상기 암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및
    이의 외주부에 제공되며, 소정의 동력원과 결합되는 제 1 외접기어(external gear)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링기어상에 배치되며, 상기 입구 중심주위로 공전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링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링기어는:
    이의 내주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암을 회동키시도록 상기 제 2 암과 맞물리는(engage) 내접기어(internal gear); 및
    이의 외주부에 제공되며, 소정의 동력원과 결합되는 제 2 외접기어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기어는 상기 제 1 링기어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되는 커피 메이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기어는 상기 제 1 링기어와 다른 공전속도에 의해 상기 제 1 링기어에 상대적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링기어들사이에 발생되는 상대적인 공전량만큼 상기 제 2 링기어에 맞물린 상기 암을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커피 메이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기어가 상기 제 1 링기어의 제 1 속도보다 더 큰 제 2 속도로 상기 제 1 링기어의 공전방향인 제 1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전할 때, 상기 제 2 링기어는 상기 암을 이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커피 메이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기어가 상기 제 1 링기어의 제 1 속도보다 작은 제 3 속도로 상기 제 1 링기어의 회전방향으로 같은 제 1 방향으로 공전할 때, 상기 제 2 링기어는 상기 암을 이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방향에 대향되는 제 2 방향으로 자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커피 메이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기어가 상기 제 1 링기어의 제 1 속도와 같은 제 4 속도로 상기 제 1 링기어의 공전방향이 제 1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전할 때, 상기 제 2 링기어는 상기 암을 자전시키지 않도록 구성되는 커피 메이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커피메이커의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를 상기 추출기의 입구상에서 공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 1 링기어에 대한 상기 제 2 링기어의 공전량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메커니즘은:
    상기 제 2 링기어에 배치되며,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 스토퍼(stopper);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스토퍼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링기어에 제공되는 제 2 스토퍼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2 링기어의 공전이 제한될 때, 상기 제 2 링기어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 2 링기어와 맞물리며, 이의 내주면내에 다수개의 리세스들을 포함하는 슬리브(sleeve); 및
    동력원과 연결되어 상기 슬리브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리세스들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리브(rib)들을 포함하는 로터(rotoe)를 포함하는 커피 메이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추출기에 상기 분쇄된 커피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추출기의 입구의 엣지에 배치되게 상기 암 및 상기 노즐을 자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커피 메이커.
KR1020200055991A 2020-05-11 2020-05-11 커피 메이커 KR20210137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91A KR20210137749A (ko) 2020-05-11 2020-05-11 커피 메이커
EP21159566.5A EP3909478B1 (en) 2020-05-11 2021-02-26 Coffee maker
US17/223,711 US20210345814A1 (en) 2020-05-11 2021-04-06 Coffe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91A KR20210137749A (ko) 2020-05-11 2020-05-11 커피 메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49A true KR20210137749A (ko) 2021-11-18

Family

ID=7479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991A KR20210137749A (ko) 2020-05-11 2020-05-11 커피 메이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45814A1 (ko)
EP (1) EP3909478B1 (ko)
KR (1) KR2021013774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75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머신
WO2023101178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립 커피 머신
WO2023101081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101177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립 커피 머신
WO2023106461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WO2023106460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648B1 (ko) * 2011-08-17 2013-07-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핸드 드립 커피머신
KR101145137B1 (ko) * 2011-09-14 2012-05-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머신
US8752476B2 (en) * 2011-11-17 2014-06-17 Dong Sheng International Technology Company Limited Coffee maker enabling automated drip brewing
TWI536943B (zh) * 2012-11-27 2016-06-11 Yun Cheng Huang Sprinkler water drip filter coffee machine
US9596956B2 (en) * 2013-12-18 2017-03-21 Invergo, Inc.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king coffee
CN106175440A (zh) * 2015-05-04 2016-12-07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咖啡冲泡机
KR101896838B1 (ko) * 2017-05-10 2018-09-07 이동혁 자동 드립 커피 머신
JP7143177B2 (ja) * 2018-10-05 2022-09-28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コーヒーメーカー
US11598398B2 (en) * 2019-07-31 2023-03-07 Lev Kaufman Mechanical converter for converting rotary motion to reciprocating mo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75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머신
WO2023101178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립 커피 머신
WO2023101081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101177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립 커피 머신
WO2023106461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WO2023106460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9478B1 (en) 2024-01-17
US20210345814A1 (en) 2021-11-11
EP3909478A1 (en)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7749A (ko) 커피 메이커
US5791526A (en) Automatic ground matter dispenser
CN111615351B (zh) 具有咖啡豆容器、定量配给装置和研磨器的咖啡设备的单元
CN102970906B (zh) 咖啡豆封装盒和包括它的咖啡饮料系统
US9265377B2 (en) Coffee beverage system,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aid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method for brewing coffee,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s, cartridge for coffee bean material,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 material
JP2011526532A (ja) 囲われた異なる空間を分離しかつ食品をドージ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該装置を取り入れた機械
JP2013519489A5 (ko)
US20210307558A1 (en) Coffee extraction apparatus
RU2726173C1 (ru) Аппарат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капсул, содержащих продукт, подлежащий смешиванию с жидкостью, в частности посредством перколятора
CN110510265B (zh) 落料机构、储料装置及自助售卖机
US6378724B1 (en) Machine and method for vending products one at a time from lower ends of circular row of columns
US20210307557A1 (en) Coffee extraction apparatus
US20210307556A1 (en)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90380527A1 (en)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preparing filtered coffee
EP3906820A1 (en) Coffee maker
CN105433804A (zh) 咖啡机下豆组件及咖啡机
CN112312805B (zh) 一种定向或不定向散装胶囊分配装置
CN210783973U (zh) 折叠式胶囊咖啡机
CN114786550A (zh) 配备有用于保存咖啡豆的下封闭装置的用于咖啡研磨机的料斗和配备有该料斗的咖啡研磨机
KR20210033458A (ko) 올인원 드리퍼 보틀
EP3934493B1 (en) A coffee grinding device and a coffee machine having said device
KR20200061009A (ko) 올인원 드리퍼 보틀
KR20220014091A (ko) 커피추출장치
US202000852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ffee And Other Beverages With Freshly Ground Ingredients
KR20230083506A (ko) 드립 커피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