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382A - 시트프레임 - Google Patents

시트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382A
KR20230082382A KR1020210170261A KR20210170261A KR20230082382A KR 20230082382 A KR20230082382 A KR 20230082382A KR 1020210170261 A KR1020210170261 A KR 1020210170261A KR 20210170261 A KR20210170261 A KR 20210170261A KR 20230082382 A KR20230082382 A KR 20230082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late
seat frame
uni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17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382A/ko
Priority to PCT/KR2022/019149 priority patent/WO2023101382A1/ko
Publication of KR20230082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을 지지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회동링크를 매개로 상기 쿠션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 및 상기 쿠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를 보강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이격하여 배치되는 레일부의 한 쌍의 레일에 걸쳐서 설치되는 보강브라켓부;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트프레임{SEAT FRAME}
본 발명은 시트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시트는 탑승자의 엉덩이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과, 탑승자의 등을 뒤에서 지지하는 시트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시트의 시트프레임은 레일부 상에서 전후진 또는 승강되고, 시트백은 눕히거나 세우기 위해 시트프레임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시트프레임의 높낮이 조절 및 회전이 동시에 가능할 필요가 있다. 다만, 현재까지는 시트프레임의 높낮이 조절 및 회전이 가능하면서 충돌 등의 하중조건을 안정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시트프레임이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998-0008730 A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회전 및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면서 충돌 등의 하중조건을 안정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시트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쿠션을 지지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회동링크를 매개로 상기 쿠션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 및 상기 쿠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를 보강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이격하여 배치되는 레일부의 한 쌍의 레일에 걸쳐서 설치되는 보강브라켓부;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을 제공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쿠션부를 전방에서 연결하는 제1 링크;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쿠션부를 후방에서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하측에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접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일측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와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연결브라켓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라켓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제1 연결보강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연결브라켓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라켓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제2 연결보강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의 후방 상측에는 시트벨트가 고정되고, 상기 제2 연결보강구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후방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측에 고정되는 모터플레이트: 및 상기 모터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된 빅기어에 치합되는 드라이브기어가 설치된 모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브라켓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되는 브라켓판;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판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판을 보강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되는 브라켓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판의 상측에는 상기 브라켓보강재가 겹쳐지면서 보강되고, 상기 브라켓보강재의 상측에 상기 회전부의 고정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판, 상기 브라켓보강재 및 상기 회전부의 고정플레이트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면서 고정되는 길이방향 겹침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보강재는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보강재의 전방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비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비드는 평면상에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 및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면서 충돌 등의 하중조건을 안정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과 시트백이 결합된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의 높이조절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의 쿠션부, 높이조절부의 분해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의 회전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의 회전부, 보강브라켓부의 분해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부, 레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의 '1'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의 '2'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의 '3'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의 '4'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의 '5'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에서 보강비드가 형성된 부분의 사시도 및 '6'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에서 보강비드가 형성된 부분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트프레임의 변형 해석 결과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비교예의 시트프레임의 변형 해석 결과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의 '7'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은 좌우방향, 상하방향, 전후방향으로 도시하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도 좌우방향, 상하방향, 전후방향의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의 기술적 특징이 이러한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X축은 시트프레임의 전후방향이고, Y축은 시트프레임의 좌우방향이고, Z축은 시트프레임의 상하방향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프레임(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프레임(10)은 쿠션부(100), 높이조절부(200), 회전부(300) 및 보강브라켓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과 시트백(20)이 결합된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의 높이조절부(200)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의 쿠션부(100), 높이조절부(200)의 분해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의 회전부(300)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의 회전부(300), 보강브라켓부(400)의 분해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의 보강브라켓부(400), 레일부(500)의 사시도이다.
쿠션부(100)는 쿠션을 지지할 수 있다. 쿠션부(100)는 운전자가 착좌하는 쿠션이 설치될 수 있고, 쿠션부(100)는 시트의 시트백(2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시트백(2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쿠션부(100)는 쿠션패널(110), 쿠션사이드 프레임(120), 쿠션사이드패치(130), 전방파이프(140), 후방파이프(150)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100)의 전방파이프(140)는 쿠션부(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쿠션부(100)를 보강할 수 있고, 전방파이프(14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100)의 후방파이프(150)는 쿠션부(1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쿠션부(100)를 보강할 수 있고, 후방파이프(15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높이조절부(200)의 제2 링크부재(221)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200)는 쿠션부(100)의 하측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링크를 매개로 쿠션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링크는 제1 링크(210)와 제2 링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300)는 높이조절부(200)의 하측에 설치되고, 높이조절부(200) 및 쿠션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보강브라켓부(400)는 회전부(300)의 하측에 결합되어 회전부(300)를 보강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이격하여 배치되는 레일부(500)의 한 쌍의 레일(510)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보강브라켓부(400)는 좌우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한 쌍의 레일(510)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보강브라켓부(400)는 레일부(500)의 슬라이드브라켓(520)에 고정되고, 슬라이드브라켓(520)은 레일(510)의 상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500)는 시트프레임(1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레일부(500)에는 회전부(30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500)는 하부가 차량 내부의 바닥에 고정되고, 상측에 회전부(300)가 고정될 수 있다. 레일부(500)는 한 쌍의 레일(510)이 설치되고, 한 쌍의 레일(510)의 상측에 슬라이드브라켓(520)이 설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200)는 제1 링크(210) 및 제2 링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210)는 회전부(300)와 쿠션부(100)를 전방에서 연결할 수 있다. 제1 링크(210)는 하부가 회전부(300)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부가 쿠션부(100)의 전방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링크(210)는 좌우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링크(210)는 상측은 쿠션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은 회전부(3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210)의 하측은 회전부(300)의 연결브라켓(3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링크(220)는 회전부(300)와 쿠션부(100)를 후방에서 연결할 수 있다. 제2 링크(220)는 하부가 회전부(300)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부가 쿠션부(100)의 후방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크(220)는 좌우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링크(220)는 제2 링크부재(221) 및 제2 링크브라켓(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221)는 상측은 쿠션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은 회전부(3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링크브라켓(222)은 회전부(300)의 상측에 고정되고, 제2 링크부재(22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좌측에 배치된 제2 링크부재(221), 제2 링크브라켓(222)과, 우측에 배치된 제2 링크부재(221), 제2 링크브라켓(222)은 형상이 다소 상이할 수 있다.
회전부(300)는 고정플레이트(310), 베이스플레이트(330) 및 회전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310)는 회전부(3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310)의 하측에는 고정보강구(311)가 부착되어 폐단면을 형성하여 고정플레이트(3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330)는 고정플레이트(310)의 상측에 접합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20)는 회전부(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20)는 고정플레이트(310)의 상측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20)는 고정플레이트(310)와 베이스플레이트(330)의 사이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20)는 하측의 고정플레이트(310)와 상측의 베이스플레이트(33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고, 상하방향 회전축을 기준으로 둘레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20)와 하측의 고정플레이트(310)의 사이에는 볼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하측에서부터 고정플레이트(310), 볼베어링, 회전플레이트(32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20)와 상측의 베이스플레이트(330)의 사이에는 볼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하측에서부터 회전플레이트(320), 볼베어링, 베이스플레이트(33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310)와 회전플레이트(320)의 사이에는 볼베어링을 구비하여 회전저항이 최소화된 상태로 회전플레이트(320)가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330)와 회전플레이트(320)의 사이에는 볼베어링을 구비하여 회전저항이 최소화된 상태로 회전플레이트(320)가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300)는 연결브라켓(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340)은 일측은 회전플레이트(320)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1 링크(210) 및 제2 링크(220)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340)은 좌우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340)은 연결바닥판(341) 및 연결측면판(34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닥판(341)은 회전플레이트(320)의 상측에 결합되고,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측면판(342)은 연결바닥판(341)의 일측에서 교차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링크(210) 및 제2 링크(220)가 결합될 수 있다.
연결측면판(342)의 전방에는 제1 링크(21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연결측면판(342)의 후방에는 제2 링크(22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측면판(342)의 상하방향 상부영역에 제1 링크(210) 및 제2 링크(220)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20)의 상측에 한 쌍의 연결브라켓(340)이 좌우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연결측면판(342)이 연결바닥판(341)에서 상측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의 '1' 방향의 단면도이다.
연결브라켓(340)은 연결브라켓(340)의 전방에 설치되고, 연결브라켓(340)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제1 연결보강구(343)를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보강구(343)는 연결브라켓(340)의 전방에 설치되고, 연결브라켓(340)의 좌우방향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연결보강구(343)는 연결브라켓(340)의 연결바닥판(341) 및 연결측면판(342)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340)의 연결바닥판(341) 및 연결측면판(342)은 함께 'ㄴ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제1 연결보강구(343)는 모서리부분에 경사구간이 형성된 'ㄴ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보강구(343)의 경사구간과 연결브라켓(340)의 사이에 직각삼각형 형상의 폐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보강구(343)는 제1 링크(210)의 주변에 설치되어, 제1 링크(210)가 결합되는 주변부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340)의 전방에는 제1 링크(2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보강구(343)가 연결브라켓(340)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여 제1 링크(210)가 결합되는 주변부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1 링크(210)는 높이방향으로 연결브라켓(340)의 상측에 결합되고, 제1 연결보강구(343)는 제1 링크(210)가 결합되는 부분의 하측에 결합되어 제1 링크(21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의 '2'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의 '3' 방향의 단면도이다.
연결브라켓(340)은, 연결브라켓(340)의 후방에 설치되고, 연결브라켓(340)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제2 연결보강구(344)를 가질 수 있다.
제2 연결보강구(344)는 연결브라켓(340)의 후방에 설치되고, 연결브라켓(340)의 좌우방향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연결보강구(344)는 연결브라켓(340)의 연결측면판(342)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340)과 제2 연결보강구(344)가 함께 폐단면을 형성시, 폐단면 부분에서 연결브라켓(340)은 '계단형'의 단면을 가지고 제2 연결보강구(344)는 'ㄴ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결보강구(344)는 제2 링크(220)의 주변에 설치되어, 제2 링크(220)가 결합되는 주변부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회전플레이트(320), 연결브라켓(340), 제2 링크(22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보강구(344)는 연결브라켓(340)의 후방의 하측에 결합되면서, 연결브라켓(340) 상측에 연결되는 제2 링크(22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제2 연결보강구(344)는 연결브라켓(340)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여 제2 링크(220)가 결합되는 주변부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340)의 후방 상측에는 벨트고정구(T)가 고정되고, 제2 연결보강구(344)는 연결브라켓(340)의 후방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340)은 좌우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이 설치될 수 있고, 양측의 연결브라켓(340)의 후방 상측에 각각 시트벨트(V)가 고정되는 벨트고정구(T)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에 배치된 벨트고정구(T)와, 우측에 배치된 벨트고정구(T)는 형상이 다소 상이할 수 있다. 우측에 배치된 벨트고정구(T)는 시트벨트버클(T1, 도 8 참조)이고, 좌측에 배치된 벨트고정구(T)는 시트벨트앵커(T2, 도 9 참조)로 양자는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쿠션사이드 프레임(120)에 쿠션사이드패치(130)가 결합되어 폐단면을 형성하여 강성이 보강될 수 있고, 제2 링크브라켓(222)에는 시트벨트버클(T1)이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링크브라켓(222)은 연결브라켓(340)의 연결측면판(342)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연결보강구(344)가 벨트고정구(T)의 주변에서 설치되고, 연결브라켓(340)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여 시트벨트(V)가 고정되는 벨트고정구(T) 주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벨트고정구(T)는 연결브라켓(340)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고, 제2 연결보강구(344)는 연결브라켓(3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2 연결보강구(344)가 벨트고정구(T)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의 '4' 방향의 단면도이다.
베이스플레이트(330)는 일측이 고정플레이트(310)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고정플레이트(310)의 상측에 배치된 회전플레이트(32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회전플레이트(3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부(300)는 모터플레이트(380) 및 모터부재(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플레이트(380)는 회전플레이트(320)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모터부재(390)는 모터플레이트(380)에 설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330)에 고정된 빅기어(331)에 치합되는 드라이브기어(391)가 설치될 수 있다. 빅기어(331)는 내주면에 기어면이 형성되고, 드라이브기어(391)는 빅기어(3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치합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20)는 고정플레이트(310)와 베이스플레이트(33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부재(390)가 설치된 모터플레이트(380)는 회전플레이트(320)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모터부재(390)의 드라이브기어(391)가 베이스플레이트(330)에 결합된 빅기어(331)에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모터가 설치된 모터플레이트(380) 및 모터플레이트(380)에 결합된 회전플레이트(320)가 회전될 수 있다.
드라이브기어(391)는 모터부재(390)의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기어(393)와 치합되어 모터부재(39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드라이브기어(391)가 빅기어(331)와 치합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20)의 상측에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340)과 모터플레이트(38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20)의 상측에 한 쌍의 연결브라켓(340)이 좌우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한 쌍의 연결브라켓(340)의 사이인 좌우방향 중앙부분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플레이트(380)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340)의 연결측면판(342)이 연결바닥판(341)에서 상측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모터플레이트(380)의 상측에 모터부재(39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의 '4'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의 '5' 방향의 단면도이다.
보강브라켓부(400)는 브라켓판(410) 및 브라켓보강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판(410)은 한 쌍의 레일(510)에 걸쳐서 설치되고, 고정플레이트(310)와 결합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판(410)은 좌우방향 단부가 양측의 레일(51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판(410)의 하측에는 모터브라켓(530), 슬라이드브라켓(520), 레일(510)이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브라켓(520)은 레일(5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슬라이드브라켓(520)은 레일(510)과 걸림구조를 형성하여 슬라이드브라켓(520)은 레일(510) 상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브라켓보강재(450)는 고정플레이트(310)와 브라켓판(410)의 사이에 결합되고, 브라켓판(410)을 보강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보강재(450)는 고정플레이트(310)와 브라켓판(410)의 사이에 결합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판(410)에는 한 쌍의 브라켓보강재(450)가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보강재(450)는 브라켓판(4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판(410)의 상측에는 브라켓보강재(450)가 겹쳐지면서 보강되고, 브라켓보강재(450)의 상측에 회전부(300)의 고정플레이트(310)가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판(410)의 상측에는 브라켓보강재(450)가 결합되어 보강되고, 브라켓보강재(450)에 의해 보강된 브라켓판(410)의 하측에 모터브라켓(530), 슬라이드브라켓(520)이 결합될 수 있다.
하측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드브라켓(520), 모터브라켓(530), 브라켓판(410), 브라켓보강재(450)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브라켓보강재(450)의 상측에 고정플레이트(310)가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판(410), 브라켓보강재(450) 및 회전부(300)의 고정플레이트(310)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면서 고정되는 길이방향 겹침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판(410), 브라켓보강재(450) 및 회전부(300)의 고정플레이트(310)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310)는 브라켓보강재(450)에 의해 보강된 브라켓판(4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에서 보강비드(451)가 형성된 부분의 사시도 및 '6' 방향의 단면도이다.
브라켓보강재(450)는 레일(51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브라켓보강재(450)의 전방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비드(451)를 가질 수 있다. 브라켓보강재(450)는 레일(510)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비드(451)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면과 돌출면의 전후방향 양측에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보강재(450)의 전방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비드(451)가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드브라켓(520)은 레일(5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슬라이드브라켓(520)은 레일(510)과 걸림구조를 형성하여 슬라이드브라켓(520)은 레일(510) 상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에서 보강비드(451)가 형성된 부분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보강비드(451)는 평면상에서 회전플레이트(3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회전플레이트(320)의 전방영역의 좌우방향 길이가 후방영역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회전플레이트(320)는 전방영역에서, 좌우방향 단부가 보강비드(45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회전플레이트(320)가 보강비드(451)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회전플레이트(320)가 변형될 때 회전플레이트(320)가 보강비드(451)에 걸리면서 회전플레이트(320)의 하부가 지지될 수 있어 회전플레이트(320)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회전플레이트(320)의 후방영역의 좌우방향 길이가 짧게 구성됨으로써, 회전플레이트(320)의 크기를 줄여 부품이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a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브라켓보강재(450) 및 브라켓보강재(450)의 보강비드(451)의 설치효과를 비교예와 비교해 보기로 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트프레임(10)의 변형 해석 결과이다. 도 14a는 실시예의 초기의 변형 해석 결과이고, 도 14b는 실시예의 후기의 변형해석 결과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비교예의 시트프레임(10)의 변형 해석 결과이다. 도 15a는 비교예의 초기의 변형 해석 결과이고, 도 15b는 비교예의 후기의 변형해석 결과이다.
비교예는 실시예와는 달리, 브라켓보강재(450)의 보강비드(451) 등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고, 브라켓판(410)의 형상에서도 일부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는, 브라켓보강재(450)는 레일(51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브라켓보강재(450)의 전방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비드(451)를 가지고, 보강비드(451)는 평면상에서 회전플레이트(320)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변형 후기에도 회전부(300)의 회전플레이트(320)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달리, 실시예와는 달리 브라켓보강재(450)의 보강비드(451) 등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변형 후기에 회전부(300)의 회전플레이트(320)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의 '7' 방향의 단면도이다.
브라켓판(410)의 상측에는 브라켓보강재(450)가 겹쳐지면서 보강되고, 브라켓판(410)의 하측에 슬라이드브라켓(520)이 결합될 수 있다.
하측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드브라켓(520), 브라켓판(410), 브라켓보강재(450)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볼트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판(410)의 길이방향 전방 하단에는 브라켓판패치(460)가 결합되어 브라켓판(410)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시트프레임 20: 시트백
100: 쿠션부 110: 쿠션패널
120: 쿠션사이드 프레임 130: 쿠션사이드패치
140: 전방파이프 150: 후방파이프
200: 높이조절부 210: 제1 링크
220: 제2 링크 221: 제2 링크부재
222: 제2 링크브라켓 300: 회전부
310: 고정플레이트
320: 회전플레이트 330: 베이스플레이트
331: 빅기어 340: 연결브라켓
341: 연결바닥판 342: 연결측면판
343: 제1 연결보강구 344: 제2 연결보강구
380: 모터플레이트
390: 모터부재 391: 드라이브기어
393: 회전기어 400: 보강브라켓부
410: 브라켓판 450: 브라켓보강재
451: 보강비드 460: 브라켓판패치
500: 레일부 510: 레일
520: 슬라이드브라켓 530: 모터브라켓
T: 벨트고정구 T1: 시트벨트버클
T2: 시트벨트앵커 V: 시트벨트

Claims (13)

  1. 쿠션을 지지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회동링크를 매개로 상기 쿠션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부 및 상기 쿠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를 보강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이격하여 배치되는 레일부의 한 쌍의 레일에 걸쳐서 설치되는 보강브라켓부;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쿠션부를 전방에서 연결하는 제1 링크;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쿠션부를 후방에서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하측에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접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일측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와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연결브라켓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라켓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제1 연결보강구를 가지는 시트프레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연결브라켓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라켓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제2 연결보강구를 가지는 시트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의 후방 상측에는 시트벨트가 고정되고, 상기 제2 연결보강구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후방 하측에 결합되는 시트프레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측에 고정되는 모터플레이트: 및
    상기 모터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된 빅기어에 치합되는 드라이브기어가 설치된 모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라켓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되는 브라켓판;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판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판을 보강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되는 브라켓보강재;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판의 상측에는 상기 브라켓보강재가 겹쳐지면서 보강되고, 상기 브라켓보강재의 상측에 상기 회전부의 고정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시트프레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판, 상기 브라켓보강재 및 상기 회전부의 고정플레이트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면서 고정되는 길이방향 겹침구간이 형성되는 시트프레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보강재는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보강재의 전방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비드를 가지는 시트프레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드는 평면상에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시트프레임.
KR1020210170261A 2021-12-01 2021-12-01 시트프레임 KR20230082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261A KR20230082382A (ko) 2021-12-01 2021-12-01 시트프레임
PCT/KR2022/019149 WO2023101382A1 (ko) 2021-12-01 2022-11-30 시트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261A KR20230082382A (ko) 2021-12-01 2021-12-01 시트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382A true KR20230082382A (ko) 2023-06-08

Family

ID=8661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261A KR20230082382A (ko) 2021-12-01 2021-12-01 시트프레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2382A (ko)
WO (1) WO202310138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730A (ko) 1998-02-11 1998-04-30 이보영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5558B2 (ja) * 1998-01-13 2001-12-0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回転装置
KR101819453B1 (ko) * 2016-07-29 2018-01-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KR102484935B1 (ko) * 2018-08-21 2023-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 및 스위블 장치
KR102148820B1 (ko) * 2018-08-30 2020-08-28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 스위블 장치
KR102602914B1 (ko) * 2018-11-26 2023-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 장치
KR20210126849A (ko) * 2020-04-13 2021-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다방향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730A (ko) 1998-02-11 1998-04-30 이보영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382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5251B1 (en) Vehicle seat
JP5599625B2 (ja) 車両用シート
JP5788393B2 (ja) ワンピース座席底部シャーシ
US6000757A (en) Vehicle seat adjuster
US20150091338A1 (en) Conveyance seat
JP5717390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2076544A (ja) 車両用シート
JP5930304B2 (ja) 車両用シート
US20170246966A1 (en) Vehicle seat
US11312272B2 (en) Conveyance seat
US20050046220A1 (en) Cantilever supported vehicle seat and system
JP6822317B2 (ja) 乗物用シート
KR20230082382A (ko) 시트프레임
JP6005195B2 (ja) 車両用シート
KR20230080835A (ko) 시트프레임
JP5387977B2 (ja) 車両用シートのバックル取付け構造
JP5733936B2 (ja) 車両用シート
JP5710199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3312340A (ja) 自動車用シート
JP6370641B2 (ja) 乗物用シート
JP6271910B2 (ja) シート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JP7239802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構造
JP4570914B2 (ja) 車体構造
JP5715367B2 (ja) 車両用シート
JP6634120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の補強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