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298A -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 Google Patents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298A
KR20230082298A KR1020210170093A KR20210170093A KR20230082298A KR 20230082298 A KR20230082298 A KR 20230082298A KR 1020210170093 A KR1020210170093 A KR 1020210170093A KR 20210170093 A KR20210170093 A KR 20210170093A KR 20230082298 A KR20230082298 A KR 20230082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elastic block
expansion
curved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443B1 (ko
Inventor
정영화
최성완
Original Assignee
(주)디아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아이비 filed Critical (주)디아이비
Priority to KR1020210170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4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32B37/00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to avoid air incl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25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 B32B17/10834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using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소재가 제대로 부착되지 못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팽창막을 부분적으로 팽창시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곡면형 글래스에 부착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유체를 모두 외부로 배출시켜 팽창막을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을 상부로 이동시켜 플렉서블 소재와 곡면형 글래스를 강한 힘으로 가압하여,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의 형태가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플렉서블 소재를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가압하여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전체적으로 부착하는 탄성블록을 이용한 합착단계와;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을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강하게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유체이송장치를 통해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가운데로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탄성블록과 팽창막의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됨과 아울러 간극을 통해 유체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플렉서블 소재와 곡면형 글래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임의의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팽창막을 부분적으로 팽창시켜서 팽창막의 팽창된 부분이 플렉서블 소재를 가압하여 임의의 부분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부분적으로 부착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합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곡면형 미소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A APPARATUS AND METHOD FOE ATTACHING FLEXIBLE SHEET TO CURVED GLASS USING A EXPANSION PAD}
본 발명은, 곡면형 글래스에 플렉서블 소재를 부착하는 곡면형 합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소재가 잘 부착되지 못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의 팽창막을 부분적으로 팽창시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곡면형 글래스에 부착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커버 글래스나 윈도우 글래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커버 글래스나 윈도우 글래스의 표면에는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소재가 부착된다.
최근에는 일정한 곡률의 곡면이 형성된 곡면형 글래스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곡면형 글래스에 플렉서블 소재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플렉서블 소재가 잘 부착되지 않아서 기포가 발생하거나 접착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곡면형 글래스에 플렉서블 소재를 부착하기 위한 다양한 합착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등록 제10-1788198호(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은 상하로 이동하는 지그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합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즉,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커버 글래스(10)의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지그(32)(탄성블록)가 플렉서블 소재(11)와 커버 글래스(10)를 압착할 때,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2지그(32)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플렉서블 소재(11)에 가해지는 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커버 글래스(10)의 곡면 부분에 플렉서블 소재(11)를 부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탄성블록의 형태를 충분히 변형시켜야 하므로 큰 힘으로 탄성블록을 가압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장치의 규모가 커지는 단점이 있고, 강한 힘으로 가압하더라도 탄성블록의 변형에 한계가 있으므로 곡면형 글래스의 곡면 부분에 플렉서블 소재가 잘 부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변형 가능한 팽창막을 사용하는 합착장치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9783호에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곡면 변형막의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곡면 변형막이 팽창되게 하여 플렉서블 소재를 곡면형 글래스에 밀착시켜 부착하는 '플렉시블 소재 곡면 합착장치'가 개시되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8442호에는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어프램 블록의 외주연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밀폐되는 벨로우즈 타입의 다이어프램 사이로 유체를 주입하여 다이어프램을 팽창시킴으로써, 플렉서블 소재를 곡면형 글래스에 밀착시켜 부착하는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엣지 윈도우 타입 패널의 합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유체의 압력만으로 팽창막이나 다이어프램을 팽창시켜 플렉서블 소재를 전체적으로 가압하는 방식이므로 플렉서블 소재와 곡면형 글라스 간의 접합력이 떨어지고 팽창막이나 다이어프램이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팽창되므로 부분적으로 플렉서블 소재가 잘 부착되지 않아 기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더욱 적은 힘을 사용하면서도 곡면형 글래스의 곡면 부분까지 플렉서블 소재를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곡면형 글래스의 곡면 부분을 부분적으로 가압하는 합착장치가 개시되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828833호(미소 곡면형 합착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블록의 가장자리 부분에 다수 개의 패드변형홈(135)을 형성하고, 다수의 유체 통과공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블록의 가장자리 부분을 부분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곡면형 글래스의 곡면 부분에 플렉서블 소재가 확실히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100)는, 플렉서블 가압패드(130)에 다수의 패드 변형홈(150)과 유체 통과공(160)을 형성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플렉서블 가압패드(130)가 기계적인 힘으로 플렉서블 소재를 가압함과 아울러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야 하기 때문에 패드 변형홈(150)이 충분하게 팽창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가압패드(130)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패드 변형홈(150)이 형성되므로 다른 부분은 유체에 의해 팽창시킬 수 없으므로 유체에 의해 팽창되는 위치나 그 형태가 미리 결정되기 때문에 플렉서블 소재를 곡면형 글래스의 모든 부분에 확실하게 부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적은 힘을 사용하면서도 곡면형 글래스의 모든 부분에 플렉서블 소재를 기포나 주름 없이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는 새로운 합착장치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8819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1978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7844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9993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28833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유체에 의해 팽창되는 팽창막을 사용하되, 플렉서블 소재가 잘 부착되지 못한 부분에 대응하는 팽창막을 부분적으로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곡면형 글래스의 모든 부분에 빠짐없이 플렉서블 소재를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팽창막을 이용하되, 상기 팽창막이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팽착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소재를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전체적으로 부착한 후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가 곡면형 글래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팽창막을 부분적으로 팽창시켜서 곡면형 글래스의 모든 부분에 플렉서블 소재를 기포나 주름의 없이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는,
곡면형 글래스를 고정하는 글래스 장착지그와,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부착되는 플렉서블 소재의 양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소재 안내지그와,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부착하는 소재 합착지그를 포함하는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재 합착지그는, 상단부가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면형 글래스를 강한 힘으로 가압할 때 그 형태가 변형되는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블록과;
상기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탄성블록과 함께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며 유체의 압력에 의해 그 형태가 쉽게 변형되는 소재로 이루어진 팽창막과;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의 하단부 및 측면부를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고정블록과;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이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부착하는 구동부와;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이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탄성블록에 의해 충분히 가압되지 못해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와 곡면형 글래스에 틈이 생긴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팽창막을 부분적으로 팽창시키는 유체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송장치는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유체를 모두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팽창막을 상기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유체이송장치는 상기 탄성블록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유체이송홀과 상기 탄성블록의 상면 가운데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이송홀의 상단과 연결되는 유체확산홈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확산홈은 상단이 개방된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이송홀보다 큰 지름을 갖는다.
상기 탄성블록은 사각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는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면형 글래스를 강한 힘으로 가압할 때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팽창막은 상기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형태가 쉽게 변형되는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블록의 상면에 상기 탄성블록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블록과, 상기 제1 고정블록의 상면에 상기 팽창막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블록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선단에 상하로 돌출된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팽창막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선단에 상하로 돌출된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2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블록은 상기 탄성블록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가운데에는 상기 탄성블록이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탄성블록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와 돌기부의 상측돌기가 삽입되는 하부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블록은 상기 팽창막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가운데에는 상기 팽창막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의 외주연에는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관통부를 관통한 상기 팽창막의 외측면을 밀착되게 감싸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팽창막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와 돌기부의 상측돌기가 삽입되는 하부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팽창막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2 플랜지의 돌기부의 하측돌기가 삽입되는 상부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블록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부의 하측돌기가 삽입되는 상부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유체이송장치는 상기 탄성블록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체이송로와, 상기 유체이송로를 통해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팽창막을 팽창시키거나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유체를 모두 외부로 회수하여 상기 팽창막을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유체주입및회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주입및회수장치는, 일정량의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탱크와, 상기 유체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유체를 강제로 압송하는 유체공급펌프와, 상기 유체공급펌프에 의해서 공급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의 사이로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유체를 모두 회수하는 실린더장치와, 상기 유체공급펌프와 실린더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공급펌프에서 압송되는 유체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실린더장치로 공급하는 2웨이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장치는, 실린더본체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실린더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의 일면에 설치된 로드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실린더는, 실린더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유체가 채워지는 제1 유체실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유체가 채워지는 제2 유체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유체실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제1 유체이송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실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제2 유체이송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실린더는, 실린더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실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유체가 채워지는 제3 유체실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실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이송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유체실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제3 유체이송구가 형성된다.
상기 2웨이밸브의 일측 출구와 상기 제1 실린더의 제1 유체실의 유체이송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유체이송라인과; 상기 유체이송로의 하단과 상기 제1 실린더의 제2 유체실의 유체이송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유체이송라인과; 상기 2웨이밸브의 타측 출구와 상기 제2 실린더의 제3 유체실의 유체이송구를 연결하는 제3 유체이송라인과; 상기 2웨이밸브의 입구와, 상기 유체공급펌프 및 상기 유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메인공급라인과; 상기 제1 유체이송라인과 상기 유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1 유체회수라인과; 상기 제3 유체이송라인과 상기 유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3 유체회수라인과; 상기 제2 유체이송라인과 상기 유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유체보충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유체이송라인에는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전동밸브와; 상기 유체공급펌프, 상기 2웨이밸브, 상기 히터, 상기 전동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장치로 공급되는 유체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상기 유체이송로로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를 이용한 합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장착지그의 장착면에 상기 곡면형 글래스를 장착하여 고정하는 곡면형 글래스 장착단계; 상기 플렉서블 소재의 양단을 제1 고정지그와 제2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고정된 상태로 장착하는 플렉서블 소재 장착단계; 상기 유체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유체를 모두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팽창막을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작용에 따라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플렉서블 소재와 상기 곡면형 글래스를 강한 힘으로 가압하여,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의 형태가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가압하여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전체적으로 부착하는 탄성블록을 이용한 합착단계;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을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강하게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유체이송장치를 통해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가운데로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의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간극을 통해 공급된 유체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와 곡면형 글래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임의의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팽창막을 부분적으로 팽창시켜서 팽창된 팽창막의 부분이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가압하여 임의의 부분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부분적으로 부착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합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막을 이용한 합착단계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가운데에 형성된 유체이송홀과 상기 탄성블록의 상면 가운데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이송홀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단이 개방되고 상기 유체이송홀보다 큰 지름을 갖는 유체확산홈을 통해서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가운데로 주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블록은 하측으로 압축되고 상기 팽창막은 상측으로 압축되어서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의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 소재가 잘 부착되지 못한 부분에 대응하는 팽창막을 부분적으로 팽창시켜서 곡면형 글래스의 모든 부분에 빠짐없이 플렉서블 소재를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팽창막이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하고, 팽착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소재를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전체적으로 부착한 후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가 곡면형 글래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팽창막을 부분적으로 팽창시켜 플렉서블 소재를 곡면형 글래스의 모든 부분에 기포나 주름의 없이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팽창막을 전체적으로 팽창시키지 않고 플렉서블 소재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는 임의의 부위에 위치하는 팽창막만을 부분적으로 팽창시킬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팽창막을 팽창시킬 수 있어 장치의 규모를 줄일 수 있고 하나의 팽창막을 사용하여 플렉서블 소재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은 모든 임의의 부위에서 플렉서블 소재를 빠짐없이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단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블록과 팽창막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플레서블 소재를 완전히 밀착시켜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탈포공정과 같은 후처리공정을 생략하여 제품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불량을 줄여셔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재 합착지그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에 적용된 유체이송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체이송장치에 적용된 실린더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장치의 작용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의 작용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를 이용한 합착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1은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곡면형 글래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 합착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재 합착지그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10)는, 탄성블록(71)과 상기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된 팽창막(73)을 이용하여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플렉서블 소재(2)를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곡면형 글래스(1)'는 직사각형 형상의 윈도우 글래스의 가장자리 4면 중 적어도 일면이 곡면 형태로 휘어진 형상을 갖는 윈도우 글래스를 말하는 것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이 모두 곡면 형태로 휘어진 형상을 갖는 사면 곡면형 글랠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플렉서블 소재(2)'는 곡면형 글래스(1)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신축성이 풍부한 필름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10)(이하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라 한다)는, 크게 곡면형 글래스(1)를 고정하는 글래스 장착지그(30), 상기 글래스 장착지그(3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부착되는 플렉서블 소재(2)의 양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재 안내지그(50:50a,50b), 상기 소재 안내지그(5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소재(2)를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부착하는 소재 합착지그(70)를 포함한다.
상기 글래스 장착지그(30)와 소재 안내지그(50)는 당해 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글래스 장착지그(30)와 소재 안내지그(50)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소재 합착지그(70)는, 플렉서블 소재(2)를 상부로 가압하여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으로 구성된 가압지그(74)와, 상기 탄성블록(71)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블록(75)과, 상기 베이스블록(75)과 가압지그(74)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블록(75)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도 당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것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블록(71)은 사각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는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블록(71)은 상기 곡면형 글래스(1)를 강한 힘으로 가압할 때, 그 형태가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대응하도록 변형되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팽창막(73)은 상기 탄성블록(71)의 상면 및 측면의 일부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팽창막(73)은 유체에 의해 그 형태가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팽창막(73)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실리콘 막을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소재 합착지그(70)는 고정블록(8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록(80)은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의 하단부와 측면의 하단부를 밀폐하여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크게 상기 베이스블록(75)의 상면에 탄성블록(71)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블록(81)과, 상기 제1 고정블록(81)의 상면에 팽창막(73)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블록(83)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 합착지그(7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로 유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유체이송장치(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체이송장치(90)는 크게 소재 합착지그(70)의 내부에 설치된 유체이송로(91)와 상기 소재 합착지그(70)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이송로(91)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주입및회수장치(92)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유체이송로(91)는 탄성블록(71)과 베이스블록(75)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형성된 유체이송홀(91a)과 상기 탄성블록(71)의 상면에 가운데에 형성되고 유체이송홀(91a)의 상단과 연결되는 유체확산홈(91b)을 포함한다.
이어, 상기 유체주입및회수장치(92)는 유체이송로(91)를 통해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로 일정량의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막(73)을 팽창시키거나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의 유체를 모두 외부로 회수하여 상기 팽창막(73)을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10)는, 팽착막(73)이 밀착된 탄성블록(71)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소재(2)를 곡면형 글래스(1)에 합착하되, 상기 탄성블록(71)는 강한 힘으로 플렉서블 소재(2)를 가압하여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플렉서블 소재(2)를 전체적으로 부착하고, 상기 팽창막(73)은 유체이송로(91)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탄성블록(71)이 충분히 가압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팽창막(73)만을 부분적으로 팽창시켜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2)를 곡면형 글래스(11)의 임의의 부분에 기포나 주름의 발생없이 부착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10)는, 종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팽창하기 때문에 장치의 규모를 줄일 수 있고 하나의 팽창막을 이용하여 복수의 임의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팽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래스 장착지그(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이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하는 구성요소로서, 지그본체(31)의 하면에 곡면형 글래스(1)의 외관에 대응하는 장착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홈(32)에는 곡면형 글래스(1)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진공 흡착부(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 안내지그(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 장착지그(30)의 하부에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2)의 양단을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플렉서블 소재(2)의 양단을 고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지그(50a)(5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지그(50a)(50b)는 다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도면에 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재 안내지그(50)는 플렉서블 소재(2)의 양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합착이 완료될 때까지 플렉서블 소재(2)에 가해지는 장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플렉서블 소재(2)의 양단이 가운데보다 먼저 곡면형 글래스(1)에 접촉되지 않도록 다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소재 합착지그(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안내지그(50)의 하부에 설치되어 플렉서블 소재(2)를 가압하는 구성요소로서, 크게 가압지그(74)와, 상기 가압지그(7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부를 이용하여 가압지그(74)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가압지그(74)의 상단부가 플렉서블 소재(2)를 가압하여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부착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압지그(7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탄성블록(71)과 상기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팽창막(73)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블록(7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과 강한 힘으로 접촉될 때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블록본체(711)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본체(711)는 사각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부는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록본체(711)의 상면은 곡면형 글래스(1)의 평면 부분(11a)과 대응하는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곡면 부분(11b)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곡면부가 형성된다.
상기 팽창막(7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신축성이 있고 균일하게 팽창 가능하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막본체(731)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막(73)의 내부에는 탄성블록(71)이 하방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732)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소재 합착지그(70)는 상기 탄성블록(71)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블록(75)과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를 밀폐하는 고정블록(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블록(7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블록(71)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이나 플라스틱 소재의 사각 블록으로 이루어진 블록본체(751)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본체(751)은 상기 탄성블록(71)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80)은 탄성블록(71)의 하단부를 베이스블록(75)의 상면에 고정하는 제1 고정블록(81)과, 팽창막(73)의 하단부를 제2 고정블록(81)의 상면에 고정하는 제2 고정블록(8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블록(71)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선단에 상하로 돌출된 돌기부(714)가 일체로 형성된 제1 플랜지(713)가 형성되고, 상기 팽창막(73)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선단에 상하로 돌출된 돌기부(833)가 일체로 형성된 제2 플렌지(733)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블록(81)은 상기 탄성블록(71)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사각 블록(811)으로 이루어지고, 사각 블록(811)의 가운데에 탄성블록(71)이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812)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탄성블록(71)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713)와 돌기부(714)의 상측돌기가 삽입되는 하부결합홈(8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블록(75)의 상면에는 탄성블록(71)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부(714)의 하측돌기가 삽입되는 상부결합홈(75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블록(75)의 상면 가운데에 탄성블록(71)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블록을 상부로부터 제1 고정블록(81)의 관통부(812)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1 고정블록(81)에 결합하면, 제1 고정블록(81)은 탄성블록(71)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713)를 가압함과 아울러 제1 플랜지(713)의 돌기부(714)의 하측돌기가 상기 베이스블록(75)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결합홈(754)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부(714)의 상측돌기는 제1 고정블록(81)의 하면에 형성된 하부결합홈(814)에 삽입됨으로써 제1 고정블록(81)이 탄성블록(71)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체결볼트를 통해 제1 고정블록(81)을 베이스블록(75)에 체결하면 서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2 고정블록(83)은 팽창막(73)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블록본체(831)로 이루어지고, 블록본체(831)의 가운데에는 팽창막(73)이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832)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832)의 외주연에는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관통부(832)를 관통한 팽창막(73)의 외측면을 감싸는 돌출부(833)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고정블록(83)의 하면에는 팽창막(73)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733)와 돌기부(833)의 상측돌기가 삽입되는 하부결합홈(8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고정블록(81)의 상면에는 제2 플랜지(733)의 돌기부(833)의 하측돌기가 삽입되는 상부결합홈(8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팽창막(73)을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결합한 상태에서, 팽창막(73)이 상기 제2 고정블록(83)의 관통부(832)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2 고정블록(83)의 상부로부터 결합하면, 제2 고정블록(83)은 팽창막(73)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733)를 가압함과 아울러 제2 플랜지(733)의 돌기부(833)의 상측돌기는 제2 고정블록(83)의 하면에 형성된 하부결합홈(834)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부(833)의 하측돌기는 제1 고정블록(81)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결합홈(813)에 삽입되어 제2 고정블록(83)이 상기 팽창막(73)의 하단부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체결볼트를 통해 제2 고정블록(83)을 제1 고정블록(81)의 상면에 체결하면 서로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블록(80)을 이용하여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의 하단부를 일체로 고정하면,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상기 팽창막(73)이 팽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고정블록(83)에 형성된 돌기부(833)는 팽창막(73)의 측면을 탄성블록(71)에 밀착시켜서 유체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833)의 상단에는 하향하는 경사면(833a)이 형성되어 합착과정에서 플렉서블 소재(2)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10)는, 소재 합착지그(70)의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이송장치(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체이송장치(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합착지그(70)의 내부에 형성된 유체이송로(91)와, 상기 유체이송로(91)를 통해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주입및회수장치(92)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유체이송로(91)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블록(71)과 베이스블록(75)의 가운데에 수직으로 형성된 유체이송홀(91a)과, 상기 탄성블록(71)의 상면 가운데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이송홀(91a)과 연결되는 유체확산홈(91b)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확산홈(91b)은 상기 유체이송홀(91a)을 통해 주입되는 유체가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S)을 통해서 외측으로 균등하게 확산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그 지름은 상기 유체공급홀(81a)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다. 따라서 유체공급홀(81a)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는 상기 유체확산홈(91b)에 일시적으로 체류하면서 사방으로 균등하게 확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주입및회수장치(92)는, 유체이송로(91)를 통해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로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팽창막(73)을 팽창시키거나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의 유체를 모두 외부로 배출시켜서 상기 팽창막(73)을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유체저장탱크(93), 유체공급펌프(94), 2방향밸브(95), 실린더장치(96) 및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저장탱크(93)는 일정량의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로, 상기 실린더장치(96)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실린더장치(96)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한다. 상기 유체공급펌프(94)는 유체저장탱크(93)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장치(86)로 유체를 압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2웨이밸브(95)는 유체공급펌프(94)와 실린더장치(86)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공급펌프(94)에서 압송되는 유체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상기 2웨이밸브(95)는 하나의 입구와 2개의 출구로 구성되고 일측 출구가 개방되면 타측 출구는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2웨이밸브(95)와 유체공급펌프(94)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공급펌프(94), 2웨이밸브(95), 히터(111), 전동밸브(112)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는 유체공급펌프(84), 2웨이밸브(95) 및 전동밸브(122)를 제어하여 상기 실린더장치(96)로 공급되는 유체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상기 유체이송로(91)로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111)를 제어하여 상기 유체이송로(91)로 주입되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의 온도는 팽창막(73)이 원활하게 팽창되는 최적의 조건으로 맞춰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이송로(91)로 주입되는 유체는 60℃를 유지하도록 가열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실린더장치(96)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로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의 유체를 배출시켜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서로 연동하는 제1 실린더(97) 및 제2 실린더(9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실린더(97)와 제2 실린더(98) 각각은, 일정 크기의 실린더본체와 그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실린더(97)와 제2 실린더(98)를 서로 연결하는 로드를 포함한다. 즉, 제1 및 제2 실린더(97)(98)는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의 실린더본체를 배치하고, 제1 및 제2 실린더(97)(98)의 로드를 커플러를 통해 일직선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쪽 실린더의 피스톤이 이동하면, 다른 쪽 실린더의 피스톤도 동일 방향으로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실린더(97)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에 배치된 것으로, 실린더본체(971)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972)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유체가 채워지는 제1 유체실(973)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유체가 채워지는 제2 유체실(9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유체실(973)에는 유체가 출입하는 제1 유체이송구(973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실(974)에는 유체가 출입하는 제2 유체이송구(974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실린더(9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된 것으로, 실린더본체(981)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982)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실(983)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유체가 채워지는 제3 유체실(984)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실(983)에는 공기가 출입하는 공기이송구(983a)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유체실(984)에는 유체가 출입하는 제3 유체이송구(984a)가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유체주입및회수장치(9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체이송라인(991), 제2 유체이송라인(992), 제3 유체이송라인(993), 제1 유체회수라인(994), 제3 유체회수라인(995) 및 유체보충라인(996) 등과 같은 파이프 라인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유체이송라인(991)은 상기 2웨이밸브(95)와 제1 실린더(97)의 제1 유체실(972)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2웨이밸브(95)의 일측 출구와 제1 유체실(972)의 유체이송구(973a)를 연결한다. 상기 제2 유체이송라인(992)은 상기 유체이송로(91)와 제1 실린더(97)의 제2 유체실(974)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유체이송홀(91a)의 하단과 제2 유체실(974)의 유체이송구(974a)를 연결한다. 상기 제3 유체이송라인(993)은 2웨이밸브(95)와 제2 실린더(98)의 제3 유체실(984)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2웨이밸브(95)의 타측 출구와 제3 유체실(984)의 유체이송구(984a)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2웨이밸브(95), 유체공급펌프(94) 및 유체저장탱크(93)는 메인공급라인(997)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체회수라인(994)은 상기 제1 유체이송라인(991)의 중간과 유체저장탱크(93)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유체회수라인(995)은 상기 제3 유체이송라인(993)의 중간과 유체저장탱크(93)를 연결하며, 상기 유체보충라인(996)은 제2 유체이송라인(992)의 중간과 유체저장탱크(93)를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유체회수라인(994)(995)에는 실린더장치(96) 방향으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유체보충라인(996)에는 유체저장탱크(93) 방향으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체이송라인(992)에는 히터(111), 전동밸브(112) 및 유량계(또는 유압계)(113)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111)는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를 가열하여 온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전동밸브(112)는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의 유량이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유량계(또는 유압계)(113)는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의 압력이나 유량을 측정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동밸브(112) 및 유량계(113)는 상기 제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체주입및회수장치(92)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팽창막(73)이 팽창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팽창막(73)이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0)의 명령에 따라서 상기 2방향밸브(95)의 일측 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유체공급펌프(94)가 작동되면, 상기 유체저장탱크(93) 내의 유체가 제1 유체이송라인(991)을 통해 제1 실린더(97)의 제1 유체실(973)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실린더(97)의 피스톤(972)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유체실(974)이 압축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실린더(97)의 피스톤(972)과 연동하는 상기 제2 실린더(98)의 실린더(982)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실린더(98)의 제3 유체실(984)이 압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실린더(97)의 제2 유체실(974)이 압축되면, 제2 유체실(974) 내의 유체는 제2 유체이송라인(992)과 유체이송로(91)를 통해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로 공급되어 상기 팽창막(73)을 팽창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실린더(98)의 제3 유체실(974)이 압축되면, 상기 제3 유체실(984) 내의 유체는 제3 유체이송라인(993)과 제3 유체회수라인(995)을 통해 상기 유체저장탱크(93)로 회수된다.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0)의 명령에 따라 상기 2방향밸브(95)의 타측 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유체공급펌프(94)가 작동되면, 상기 유체저장탱크(93) 내의 유체가 제3 유체이송라인(993)을 통해 제2 실린더(98)의 제3 유체실(984)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제2 실린더(98)의 피스톤(982)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공기실(983)이 압축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실린더(98)의 피스톤(982)과 연동하는 제1 실린더(97)의 실린더(972)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실린더(97)의 제1 유체실(973)이 압축되고, 상기 제1 실린더(97)의 제2 유체실(974)이 팽창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실(983)이 압축되면 공기실(83) 내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1 실린더(97)의 제1 유체실(973)이 압축되면 제1 유체실(973) 내의 유체는 제1 유체이송라인(991)과 제1 유체회수라인(994)을 통해 유체저장탱크(93)로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체실(974)이 팽창되면 제2 유체실(974)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고 이 진공압에 의해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의 유체가 상기 유체이송로(91)와 제2 유체이송라인(992)을 통해 상기 제2 유체실(974)로 배출되어 상기 팽창막(73)이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10)는,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팽창막(73)이 밀착되게 설치된 가압지그(74)를 이용해서 플렉서블 소재(2)를 합착하되, 상기 팽창막(73)을 전체적으로 팽창시키지 않고 상기 플렉서블 소재(2)가 잘 부착되지 않는 임의의 부위에 위치하는 팽창막(73)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팽창시켜 플렉서블 소재(2)를 임의의 부분에 합착함으로써, 유체의 사용량을 줄여서 규모를 축소함과 아울러 곡면 부분(11b)과 같은 미리 설정된 부분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소재(2)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는 임의의 부위도 빠짐없이 모두 가압할 수 있게 하면서도 하나의 팽착막을 사용하여 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10)는, 첫째,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팽창막(73)을 설치하되, 유체주입및회수장치(92)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의 유체를 전부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팽창막(73)이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한다. 따라서 팽창막(73)이 설치된 탄성블록(71)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2)와 곡면형 글래스(1)를 강한 힘으로 가압할 때, 상기 탄성블록(71)의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2)를 전체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상기 탄성블록(71)의 가운데에 하나의 유체이송로(91)를 형성하되, 상기 유체이송로(91)의 상단에 유체확산홈(91b)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블록(71)이 강한 힘으로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주입및회수장치(92)와 유체이송로(91)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상기 유체확산홈(91b)에서 사방으로 확산하면서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간극(S)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간극(S)을 통해 외측으로 확산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플렉서블 소재(2)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는 부분 즉, 상기 탄성블록(71)이 제대로 가압하지 못해서 플렉서블 소재(2)와 곡면형 글래스(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팽창막(73)이 부분적으로 팽창되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곡면형 글래스(1)에 밀착되어서 팽창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1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체주입및회수장치(92)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면,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어 상기 팽창막(73)이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가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71)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팽창막(73)이 밀착된 탄성블록(71)이 플렉서블 소재(2)를 가압하면서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곡면형 글래스(1)와 강한 힘으로 밀착된다. 그러면 상기 팽창막(73)이 밀착된 탄성블록(71)의 형태가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되면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2)를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전체적으로 부착한다.
그러나 상기 탄성블록(71)의 특성이나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탄성블록의 변형에 한계가 있으므로 곡면 부분(11b) 등과 같은 임의의 부분에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2)를 충분히 가압하지 못해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2)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은 부분(B)이 발생할 수 있다.
이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10)은 상기 팽창막(73)이 밀착된 탄성블록(71)이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강한 힘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체주입및회수장치(92)와 유체이송로(91)를 통해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의 가운데로 유체를 주입하면, 주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의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간극(S)이 형성된다. 즉,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탄성블록(71)의 하측으로 압축되고 팽창막(73)은 상측으로 압축되어서 그 사이에 간극(S)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유체확산홈(91b)을 통해 주입되는 유체가 간극(S)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플렉서블 소재(2)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은 부분(B)에 대응하는 팽창막(73)을 부분적으로 팽창시킨다. 즉, 플렉서블 소재(2)가 제대로 부착된 부분(예, 평면 부분(11b))은 탄성블록(71)에 의해서 플렉서블 소재(2)가 곡면형 글래스(1)에 강하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으로는 유체가 공급되어도 팽창막(73)이 팽창되지 않지만 상기 플렉서블 소재(2)가 제대로 부착된 부분(예, 곡면 부분(11b))은 탄성블록(71)이 플렉서블 소재(2)를 곡면형 글래스(1)의 하면에 강하게 밀착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 부분으로 유체가 이동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해 그 부분의 팽창막(73)이 플렉서블 소재(2)와 곡면형 글래스(1) 사이에 형성된 공간(B)에 대응하도록 팽창되고 상기 플렉서블 소재(2)를 가압하여 곡면형 글래스(1)의 임의의 부분에 밀착시키게 된다. 도면에서는 플렉서블 소재(2)와 곡면형 글래스(1) 사이에 비교적 큰 규모의 공간(B)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미세한 크기의 공간이거나 충분하게 접착되지 않은 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를 이용한 합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미소 곡면형 합착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1은 곡면형 글래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소 곡면형 합착방법은, 크게 곡면형 글래스 장착단계(S100), 플렉서블 소재 장착단계(S200), 탄성블록을 이용한 합착단계(S300), 팽창막을 이용한 합착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곡면형 글래스 장착단계(S100)는 글래스 장착지그(30)의 장착면(32)에 곡면형 글래스(1)를 장착하여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플렉서블 소재 장착단계(S200)는 플렉서블 소재(2)의 양단을 제1 고정지그(50a)와 제2 고정지그(50b)를 이용하여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고정된 상태로 장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탄성블록을 이용한 합착단계(S300)는, 유체이송장치(90)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의 유체를 모두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팽창막(73)을 탄성블록(71)의 외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작용에 따라 상기 팽창막(73)이 밀착된 탄성블록(71)을 상부로 이동시켜 플렉서블 소재(2)와 곡면형 글래스(1)를 강한 힘으로 가압하여 상기 팽창막(73)이 밀착된 탄성블록(71)의 형태가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과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2)를 균등하게 가압하여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전체적으로 플렉서블 소재(2)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즉, 이 단계는 상기 구동부의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는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탄성블록(71)이 충분히 변형되지 못하거나 적정한 힘으로 가압하지 못하면 임의의 부분(B)(예, 곡면 부분(11b)에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2)가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에 제대로 부착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임의의 부분에 플렉서블 소재(2)를 부착시키기 위해서, 상기 팽창막을 이용한 합착단계((S400)는, 상기 팽창막(73)이 밀착된 탄성블록(71)이 상기 곡면형 글래스(1)를 강하게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유체이송장치(90)를 통해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 사이의 가운데로 유체를 주입하면, 주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블록(71)과 팽창막(73)의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간극(S)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유체확산홈(91b)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간극(S)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2)가 제대로 부착되지 않은 임의의 부분(B)에서 팽창막(73)이 부분적으로 팽창된다. 그러면 상기 팽창막(73)의 팽창된 부분이 상기 플렉서블 소재(2)를 부분적으로 가압하여 임의의 부분(B)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2)를 부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플렉서블 소재(2)가 제대로 부착되지 못한 상기 곡면형 글래스(1)의 부착면(11)의 모든 면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2)를 기포나 주름없이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 곡면형 글래스 2: 플렉서블 소재
10: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30: 글래스 장착지그
50: 소재 안내지그 70: 소재 합착지그
71: 탄성블록 73: 팽창막
74: 가압지그 75: 베이스블록
80: 고정블록 81: 제1 고정블록
83: 제2 고정블록 90: 유체이송장치
91: 유체이송로 91a: 유체이송홀
91b: 유체확산홈 92: 유체주입및회수장치
93: 유체저장탱크 94: 유체공급펌프
95: 2방향밸브 96: 실린더장치
100: 제어부 111: 히터
112: 전동밸브

Claims (16)

  1. 곡면형 글래스를 고정하는 글래스 장착지그와,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부착되는 플렉서블 소재의 양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소재 안내지그와,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부착하는 소재 합착지그를 포함하는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재 합착지그는,
    상단부가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면형 글래스를 강한 힘으로 가압할 때 그 형태가 변형되는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블록과;
    상기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탄성블록과 함께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며 유체의 압력에 의해 그 형태가 쉽게 변형되는 소재로 이루어진 팽창막과;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의 하단부 및 측면부를 일체로 고정하여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고정블록과;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이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가압하여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부착하는 구동부와;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이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탄성블록에 의해 충분히 가압되지 못해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와 곡면형 글래스에 공간이 생긴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팽창막을 부분적으로 팽창시키는 유체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송장치는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유체를 모두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팽창막을 상기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송장치는 상기 탄성블록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유체이송홀과 상기 탄성블록의 상면 가운데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이송홀의 상단과 연결되는 유체확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확산홈은 상단이 개방된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이송홀보다 큰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은 사각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는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면형 글래스를 강한 힘으로 가압할 때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팽창막은 상기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형태가 쉽게 변형되는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탄성블록의 하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블록의 상면에 상기 탄성블록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블록과, 상기 제1 고정블록의 상면에 상기 팽창막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선단에 상하로 돌출된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팽창막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선단에 상하로 돌출된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2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블록은 상기 탄성블록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가운데에는 상기 탄성블록이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탄성블록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플랜지와 돌기부의 상측돌기가 삽입되는 하부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블록은 상기 팽창막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가운데에는 상기 팽창막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의 외주연에는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관통부를 관통한 상기 팽창막의 외측면을 밀착되게 감싸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팽창막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플랜지와 돌기부의 상측돌기가 삽입되는 하부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팽창막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2 플랜지의 돌기부의 하측돌기가 삽입되는 상부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블록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부의 하측돌기가 삽입되는 상부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9.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송장치는 상기 탄성블록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체이송로와, 상기 유체이송로를 통해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팽창막을 팽창시키거나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유체를 모두 외부로 회수하여 상기 팽창막을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유체주입및회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주입및회수장치는, 일정량의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탱크와, 상기 유체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유체를 강제로 압송하는 유체공급펌프와, 상기 유체공급펌프에 의해서 공급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의 사이로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유체를 모두 회수하는 실린더장치와, 상기 유체공급펌프와 실린더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공급펌프에서 압송되는 유체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실린더장치로 공급하는 2웨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장치는, 실린더본체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실린더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의 일면에 설치된 로드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1 실린더 및 제2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실린더는, 실린더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유체가 채워지는 제1 유체실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유체가 채워지는 제2 유체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유체실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제1 유체이송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체실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제2 유체이송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실린더는, 실린더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실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유체가 채워지는 제3 유체실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실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이송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유체실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제3 유체이송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2웨이밸브의 일측 출구와 상기 제1 실린더의 제1 유체실의 유체이송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유체이송라인과; 상기 유체이송로의 하단과 상기 제1 실린더의 제2 유체실의 유체이송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유체이송라인과; 상기 2웨이밸브의 타측 출구와 상기 제2 실린더의 제3 유체실의 유체이송구를 연결하는 제3 유체이송라인과; 상기 2웨이밸브의 입구와, 상기 유체공급펌프 및 상기 유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메인공급라인과; 상기 제1 유체이송라인과 상기 유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1 유체회수라인과; 상기 제3 유체이송라인과 상기 유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3 유체회수라인과; 상기 제2 유체이송라인과 상기 유체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유체보충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이송라인에는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전동밸브와; 상기 유체공급펌프, 상기 2웨이밸브, 상기 히터, 상기 전동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장치로 공급되는 유체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상기 유체이송로로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14.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를 이용한 합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장착지그의 장착면에 상기 곡면형 글래스를 장착하여 고정하는 곡면형 글래스 장착단계;
    상기 플렉서블 소재의 양단을 제1 고정지그와 제2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고정된 상태로 장착하는 플렉서블 소재 장착단계;
    상기 유체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유체를 모두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팽창막을 탄성블록의 외주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의 작용에 따라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플렉서블 소재와 상기 곡면형 글래스를 강한 힘으로 가압하여,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의 형태가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가압하여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전체적으로 부착하는 탄성블록을 이용한 합착단계;
    상기 팽창막이 밀착된 탄성블록을 상기 곡면형 글래스의 부착면에 강하게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유체이송장치를 통해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가운데로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의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간극을 통해 유체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와 곡면형 글래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임의의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팽창막을 부분적으로 팽창시켜서 팽창막의 팽창된 부분이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가압하여 임의의 부분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부분적으로 부착하는 팽창막을 이용한 합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미소 합착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막을 이용한 합착단계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의 가운데에 형성된 유체이송홀과 상기 탄성블록의 상면 가운데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이송홀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단이 개방되고 상기 유체이송홀보다 큰 지름을 갖는 유체확산홈을 통해서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의 가운데로 주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블록은 하측으로 압축되고 상기 팽창막은 상측으로 압축되어서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의 사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미소 합착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과 팽창막 사이로 주입되는 유체의 온도는 60℃를 유지하도록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미소 합착방법.
KR1020210170093A 2021-12-01 2021-12-01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KR102608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93A KR102608443B1 (ko) 2021-12-01 2021-12-01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93A KR102608443B1 (ko) 2021-12-01 2021-12-01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298A true KR20230082298A (ko) 2023-06-08
KR102608443B1 KR102608443B1 (ko) 2023-11-30

Family

ID=8676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093A KR102608443B1 (ko) 2021-12-01 2021-12-01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44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442B1 (ko) 2015-04-22 2015-12-21 (주)제이스텍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엣지 윈도우 타입 패널의 합착장치
KR20160020701A (ko) * 2014-08-14 2016-02-24 안성룡 곡면형 윈도우 글래스에 플렉시블 소재 합착장치
KR101619783B1 (ko) 2014-02-26 2016-05-23 안성룡 플렉시블 소재 곡면 합착장치
KR101788198B1 (ko) 2015-04-28 2017-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KR101828833B1 (ko) 2016-08-24 2018-03-29 안성룡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KR101899936B1 (ko) 2017-01-18 2018-11-08 안성룡 곡면형 합착장치
KR20190011397A (ko) * 2017-07-25 2019-02-07 (주) 나인테크 곡면 합착 장치
KR102284173B1 (ko) * 2020-07-16 2021-07-30 (주) 아이엠텍 다이아프램 라미네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783B1 (ko) 2014-02-26 2016-05-23 안성룡 플렉시블 소재 곡면 합착장치
KR20160020701A (ko) * 2014-08-14 2016-02-24 안성룡 곡면형 윈도우 글래스에 플렉시블 소재 합착장치
KR101578442B1 (ko) 2015-04-22 2015-12-21 (주)제이스텍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엣지 윈도우 타입 패널의 합착장치
KR101788198B1 (ko) 2015-04-28 2017-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KR101828833B1 (ko) 2016-08-24 2018-03-29 안성룡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KR101899936B1 (ko) 2017-01-18 2018-11-08 안성룡 곡면형 합착장치
KR20190011397A (ko) * 2017-07-25 2019-02-07 (주) 나인테크 곡면 합착 장치
KR102284173B1 (ko) * 2020-07-16 2021-07-30 (주) 아이엠텍 다이아프램 라미네이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443B1 (ko)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442B1 (ko)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엣지 윈도우 타입 패널의 합착장치
KR101825513B1 (ko) 곡면형 기판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JP4921194B2 (ja) 表皮材の接着装置、及び、表皮材の接着方法
KR101706617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 합착기
US9522520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microfluidic apparatus and related laminating devices
US10486375B2 (en)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apparatus for fiber-reinforced plastic
EP3437862B1 (en) Controlling application of forces to different portions of object surface using bladder
JPH07195391A (ja) ホットプレス
US6210623B1 (en) Method for blow down hydroforming sheet material
US9889813B2 (en) Apparatus for pressure bonding of a covering on an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 and a method for pressure bonding thereof
CN110667096A (zh) 一种贴合装置及贴合方法
CN209971534U (zh) 一种显示屏贴合装置
EP3437863B1 (en) Controlling application of forces to different portions of object surface using flexible wall
WO20030782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fluid
KR20230082298A (ko) 팽창막을 이용한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방법
US20120043704A1 (en) Bulk resin infusion
JP2016020077A (ja) 燃料タンクの製造方法及び燃料タンク
KR101062067B1 (ko) 프레스 장치 및 방법
CN110271176A (zh) 覆膜曲面玻璃的贴合方法、壳体和电子设备
JPH08192300A (ja) ホツトプレス
US20140138881A1 (en) Gas assisted imprint system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US20230311440A1 (en) Seal member forming system and method
JP3053275B2 (ja) 樹脂注入成形法
CN110667121A (zh) 一种气囊模具及气囊的制作方法
US2005008682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panel and gap adjusting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