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001A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간 섬유화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간 섬유화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001A
KR20230079001A KR1020237005249A KR20237005249A KR20230079001A KR 20230079001 A KR20230079001 A KR 20230079001A KR 1020237005249 A KR1020237005249 A KR 1020237005249A KR 20237005249 A KR20237005249 A KR 20237005249A KR 20230079001 A KR20230079001 A KR 20230079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osition
fibrosis
disease
n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승용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샤페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샤페론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7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Na-TDC),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통한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보다 상세하게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또는 간 섬유화(Liver Fibrosis)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간 섬유화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및 간 섬유화(Liver Fibrosis)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Na-TDC),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만성 간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비만, 당뇨병,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질환에 해당한다. 이는 간 내에서 중성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단순 지방증(simple steatosis)에서 질환의 심화된 간경변증(Cirrhosis)까지를 아우르는 광의의 간질환을 의미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o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일종으로, 팽창성 변성, 세포사멸, 염증성 침윤 등의 병리학적 현상을 나타내며, 더 나아가 섬유화 현상까지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한다. 모든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고,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으로 진행되는데 약 7년 정도가 걸리며,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의 경우에도 50% 이상은 무증상으로 나타나 진단이 쉽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ALT, AST와 같은 간손상지표, 영상장비 등의 측정의 경우에도 정확성이 높지 않아 합병증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의 10~29%가 10년 이내 간경변으로 심화되고, 그 중 4~27%는 더 나아가 간암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원인이 직접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으나, 산화스트레스, 지방과산화, 싸이토카인의 손상, 지질대사이상, 인슐린저항성 등의 대사불균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한 노력이 국내외에서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최근 FDA에서 NASH 신약개발 촉진 지침을 내놓았고, 다국적 제약사인 인터셉트파마슈티컬즈, 길리어드, 엘러간, NGM 바이오파마슈티컬즈 등이 임상시험을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치료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하는 약제로서, PPARα를 활성화하는 피브레이트류, PPARγ 글리타존류가 알려진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124123호에서는 오베티콜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NASH 치료제를 개시하고 있으며, 미국등록특허 제10457703호에서는 담즙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을 통해 통하여 FXR 또는 TGR5-매개 질환의 치료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다양한 물질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치료용도가 알려져 있더라도, 현재까지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는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치료제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또한,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를 이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치료용도도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를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및 간 섬유화의 치료 용도를 밝히기 위해 노력한 결과,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치료 용도를 밝혀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보다 상세하게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및 간 섬유화(Liver Fibrosis)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Na-TDC),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섬유화(Liver Fibrosis), 비만, 당뇨병 및 고지혈증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간 섬유화(Liver Fibrosis)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증(steatosis), 염증(inflammation) 또는 벌룬 현상(ballooning)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섬유화(fibrosis) 또는 경화(cirrhosis)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제제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경구용 제제는 정제, 과립제, 환제, 산제, 캅셀제 및 액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사용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치료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치료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치료제는 OCA (Obeticholic acid),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s), 비타민 E, 메트포르민, 스타틴, 우르소디옥시콜산(Ursodeoxycholic acid), 불포화 지방산,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펜톡시필린(Pentoxifylline), GLP-1 수용체 아고니스트(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s), DPP-4 억제제(Dipeptidyl peptidase 4 inhibitors), SGLT2 억제제(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s), 엘라피브라노(Elafibranor) 및 텔미사르탄(Telmisarta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Na-TDC),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간 섬유화를 치료할 수 있고,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의약품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 STAM 모델에서 TDCA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간의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TDCA의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TDCA의 섬유증 치료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TDCA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는 하기 화학 구조를 가진 화합물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또한,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는 2-([3α,12α-Dihydroxy-24-oxo-5β-cholan-24-yl]amino)ethanesulfonic acid, Taurodeoxycholic acid sodium salt hydrate, CAS 넘버 207737-97-1와 동일하게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는 모든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결정형, 비결정형, 용매화물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매화물”이란 화합물에 용매를 부가하여 형성되는 형태로서, 일수화물, 이수화물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포함된 성분이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바람직한 생물활성을 보유한 염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무기산염(염산, 황산, 인산, 질산), 유기산염(아세트산, 옥살산, 말레산, 푸마르산, 숙신산, 벤조산, 아스코르브산, 타닌산, 파모산, 알긴산, 트리에틸아민, 사이클로헥실아민, 피리딘), 알칼리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알칼리토금속염(칼슘염), 암모늄염 또는 이들의 부가 염 형태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체내 투입으로 특정 질환(예를 들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증상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체내 투입으로 특정 질환(예를 들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증상을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화합물은 특별히 정의를 하지 않는 한, 통상적으로 인식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대사성 질환은 체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의 경로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의미하며, 대사성 질환의 비제한적인 예시에 하기의 질환들을 포함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대사성 질환은 예를 들면,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인슐린 저항성, 비만, 당대사 이상,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장염, 당뇨병성 신경증, 체질량증가, 고콜레스테롤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섬유화(Liver Fibrosis),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간 경변증, C형 간염, 알코올성 간 질환,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 약학적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섬유화(Liver Fibrosis), 비만, 당뇨병 및 고지혈증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 약학적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본 발명 약학적 조성물은 간 섬유화(Liver Fibrosis)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증(steatosis), 염증(inflammation) 또는 벌룬 현상(ballooning)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섬유화(fibrosis) 또는 경화(cirrhosis)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질환종류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를 달리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경우 일일 투여량은 약 0.01 내지 1000 ㎎/㎏ 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100 ㎎/㎏ 이며, 일일 일 회 내지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제제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경구용 제제는 정제, 과립제, 환제, 산제, 캅셀제 및 액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사용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경구 투여를 위한 약학적 제제는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환제, 산제, 캅셀제 또는 액제와 같은 투여량 단위 형태 및 앰플로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통상적인 혼합, 입상화, 당제 조제, 용해 또는 동결건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다른 경구 투여 가능한 약학적 제제로는 캅셀제가 있으며, 젤라틴으로 만들어진 건식-충진 캅셀, 및 젤라틴 및 가소제, 예컨대 글리세롤 또는 소르비톨로 만들어진 연질의 밀봉된 캅셀제이다. 건식-충진 캅셀은 입자의 형태, 예를 들어 충진제, 예컨대 락토스, 결합제, 예컨대 전분, 및/또는 활택제, 예컨대 탈크 또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적절하다면 안정화제와의 혼합물의 형태로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연질 캅셀에서, 활성 성분을 적절한 액체, 예컨대 지방 오일, 파라핀 오일 또는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용해 또는 현탁시키고, 여기에 안정화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액제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비경구 투여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피내, 복강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약학적 제제는 살균될 수 있고/있거나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및/또는 유화제, 용해제, 삼투압을 조절하기 위한 염 및/또는 완충액과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약학적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약학적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치료제는 OCA (Obeticholic acid),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s), 비타민 E, 메트포르민, 스타틴, 우르소디옥시콜산(Ursodeoxycholic acid), 불포화 지방산,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펜톡시필린(Pentoxifylline), GLP-1 수용체 아고니스트(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s), DPP-4 억제제(Dipeptidyl peptidase 4 inhibitors), SGLT2 억제제(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s), 엘라피브라노(Elafibranor) 및 텔미사르탄(Telmisarta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의 제조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는 New Zealand Parmaceuticals Ltd. (Palmerston North, 뉴질랜드)로부터 구매하였다. Telmisartan(Micardis®)은 Boehringer Ingelheim GmbH(독일)로부터 구매하여, 정제수에 용해시켰다. DPBS(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s)는 WelGene Inc., (LB001-02, 대한민국)으로부터 구매하여, 비히클 화합물(vehicle compound)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동물모델 및 시험 디자인
<1-1>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동물모델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에 대한 치료효과 확인을 위해 마우스 STAM 모델을 준비하였다.
STAM 모델은 C57BL/6 마우스에 고지방식을 통한 식이요법과 화학물질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의 조합을 통해 유발되었다. C57BL/6 마우스(14일 임신 암컷)는 Japan SLC, Inc.(일본)으로부터 입수하였고, STAM 모델은 136 C57BL/6 수컷 마우스로 SMC Laboratories, Inc.(도쿄, 일본)에서 수행되었다.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동물은 일본 약리학회동물 동물 사용 지침서에 따라 수용 및 관리되었다. 구체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은 생후 2일 후 200 μg 스트렙토조토신(STZ, Sigma-Aldrich, 미국) 용액을 단일 피하 주사하고, 4주령 후 고지방식(HFD, 57 kcal%fat, CLEA Japan, Cat# HFD32, 일본)을 자유롭게 제공하여 유발하였다. 마우스는 무작위로 할당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설계는 도 1a에 나타내었다.
6주령에, 비히클 화합물인 DPBS, TDCA(Taurodeoxycholic acid) 및 텔미사르탄(Telmisartan) 각각을 매일 경구 투여하여, 9주령까지 치료하였다. 또한, 각각의 치료전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후, 이소플루란(isoflurane)(Pfizer Inc., 미국) 마취 하에 직접 심장천자(direct cardiac puncture)를 통해 9주령 마우스를 방혈시켜 안락사시켰다.
<1-2> 조직학적 분석
1-2-1. H&E 염색(staining)을 위해, 부인용액(Bouin’s solution)으로 고정된 간 조직의 파라핀 블록으로부터 절편을 절단하고, Lillie-Mayer’s Hematoxylin(Muto Pure Chemicals Co. Ltd., 일본) 및 에오신 용액(FUJIFILM Wako Pure Chemical Corporation, 일본)으로 염색하였다.
1-2-2. NAFLD 활동 점수(NAFLD Activity score, NAS)는 Kleiner 기준에 따라 계산되었다.
1-2-3. 콜라겐 침착의 시각화를 위해, 부인 고정된 간 절편을 피크로-시리우스 레드 용액(picro-Sirius red solution)(Waldeck, 독일)을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1-2-4. 섬유증(fibrosis) 영역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시리우스 레드로 염색된 절편을 200배 배율 디지털카메라(DFC295; Leica, 독일)를 사용하여 중심정맥 주위에서 포착하였다. 또한, 5개 필드/섹션에서 양성 영역은 Image J 소프트웨어(National Institue of Health, 미국)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1-2-5. 면역 조직 화학을 위해, Tissue-Tek O.C.T 화합물에 고정된 냉동 간 조직으로부터 절편을 절단하고, 아세톤에 고정시켰다. 내인성 퍼옥시다아제(Endogenous peroxidase) 활성을 0.03% H2O2를 10분 동안 사용하여 차단하고, 그 후 Block Ace(DS pharma Biomedical Co. Ltd., 일본)과 함께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절편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망상 섬유 아세포 항체(reticular fibroblast antibodis)(BMA Biomedicals Inc., Cat#: T-2109, Clone: ER-TR7, 스위스)와 함께 배양하였다. 이어서, 절편을 비오틴 접합된 이차 항체(biotin-conjugated secondary antibody)(VECTASTAIN Elite ABC kit, Vector Laboratories, Cat#: PK-4004, 미국)과 함께 배양하고, 그 후 실온에서 ABC reagent와 함께 30분동안 배양하였다.
효소 기질 반응은 3,3′-디아미노벤지딘/H2O2 용액(3,3’-diaminobenzidine/H2O2 solution)(Nichirei Bioscience inc., 일본)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1-2-6. ER-TR7 양성 영역의 정량 분석을 위해, 200배 배율 디지털카메라(DFC295; Leica)를 사용하여 중심정맥 주위에서 ER-TR7 면역 염색 섹션의 브라이트 필드 이미지를 캡쳐하였다. 또한, 5개 필스/섹션에서 양성 영역은 Image J 소프트웨어(National Institue of Health, 미국)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1-3> 정량적 RT-PCR(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총 RNA는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RNAiso(Takara Bio, 일본)을 사용하여 간 샘플로부터 추출되었다. 구체적으로, 1 μg의 RNA를 반응 혼합물 20 μL를 포함시켜 사용하여 역전사하였으며, 반응 혼합물은 4.4 mM MgCl2(F. Hoffmann-La Roche, 스위스), 40 U RNase 억제제(Toyobo, 일본), 0.5 mM dNTP(Proemga, 미국), 6.28 μM 랜덤 헥사머(Promega, 미국), 5x first strand buffer(Promega, 미국), 10 mM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Invitrogen, 미국), 200 U MMLV-RT(Invitrogen, 미국)를 포함한다. 반응은 37 ℃에서 1시간 진행시키고, 그 후 99 ℃에서 5분간 진행시켰다.
특정 유전자 발현은 PowerUp SYBR Green Master Mix (Applied Biosystems Inc., 미국, Cat # A25779)을 사용하여 real-time PCR을 통해 정량화되었으며, Quantstudio6 Flex System Instrument (Applied Biosystems Inc., 미국)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60S 산성 리보솜 단백질 P0(RPLP0)RNA 발현은 내부 대조군으로 측정하였다.
표적 유전자의 상대 발현 수준을 RPLP0에 대해 정규화한 후 비교하였다. 상대 정량은 △Ct method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과 같다: CCL2(MCP1) (Forward: 5’- AAACTGCATCTGCCCTAAGG-3’ / Reverse: 5’-AGAAGTGCTTGAGGTGGTTG-3’).
<1-4> ELISA
상기 마우스 혈장에서 TNF-α은 마우스 TNF-α 비코팅 ELISA Kit(Invitrogen, Cat# 88-7324, 미국), TIMP1은 마우스 TIMP1 ELSIA Kit(abcam, Cat# ab196265, Cambridge, 영국)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키트는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사용하였다.
<1-5> 데이터 및 통계분석
데이터는 평균 ±SD로 표시되며, 두 개 이상의 그룹이 포함된 모든 데이터는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에 의해 분석되었고, 그 후 Dunnett 또는 Tukey 다중 비교 테스트, 또는 Kruskal Wallis 테스트에 의해 분석되며, 그 후 Dunn 다중 비교 테스트에 의해 분석되었다. 도면에서 별표는 *p<0.05, **p<0.01, ***p<0.001 및 ****p<0.0001을 의미한다. 분석은 GraphPad Prism 8.3.1 (San Diego, CA, 미국)을 통해 수행되었다.
<실험예 2>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효과 확인
<2-1> 몸 및 간 무게 변화 확인
상기 <실험예 1>에 따른 실험방법에 의한 비알코올성 지방 간염의 STAM 모델에서 TDCA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 및 페록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γ 작용제(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agonist)인 텔미사르탄(Telmisartan)은 섬유증(fibrosis) 및 염증(inflammation)을 감소시켜 NASH를 개선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험에서 텔미사르탄은 기준 약물로 사용하였다.
STAM 모델에서 TDCA와 텔미사르탄은 치료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A).
처리군(TDCA)과 비히클 군(DPBS) 사이에 체중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아 일반적 약물 독성에 의한 체중감소는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만, 텔미사르탄 군이 비히클 군과 비교하여 현저한 감소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B).
처리군(TDCA)과 비히클 군(DPBS) 사이에 간 대 체중 비율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텔미사르탄 군이 비히클 군과 비교하여 현저한 감소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C). 텔미사르탄 군은 종래 보고와 같이 동물군에서 간 대 체중 비율을 감소시켰다.
<2-2> 간의 조직학적 분석
STAM 모델 그룹은 정상 그룹과 비교하여 간세포 지방증(hepatocyte steatosis), 벌루닝(ballooning) 및 염증 세포 침윤(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이 발생하였다(도 2A).
비히클 군(DPBS)과 비교하여 TDCA 1.25 mg/kg 처리군 및 텔미사르탄 군은 총 NAS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여 NASH의 중요한 임상 증상 척도 NAS 병변지수의 개선을 확인하였다(도 2B).
<실험예 3> 섬유증(Fibrosis) 치료효과 확인
STAM 마우스에서 시리우스 레드로 염색된 간 절편, 및 항 섬유 아세포 항체 ER-TR7 염색된 간 절편은 정상 생쥐와 비교하여 간엽 소엽 영역(hepatic lobule region)에서 콜라겐 침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A).
비히클 군(DPBS)과 비교하여, TDCA 2.5 mg/kg 처리군 및 텔미사르탄 군에서 혈청 양성 영역에서 섬유증 면적의 유의미한 감소가 있어 NASH 치료약물의 중요한 임상 치료 척도인 섬유증에 대해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3B).
또한, 비히클 군(DPBS)과 비교하여, TDCA 10 mpk 군에서 ER-TR7 양성 면적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여 섬유증의 개선이 간조직내 섬유아세포를 억제하는 효과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3B).
<실험예 4> 염증성, 콜라겐/섬유증 마커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NASH에서 염증(inflammation) 및 섬유증(fibrosis)과 관련된 마우스 간 조직 유전자의 mRNA 발현 수준을 상기 실험예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된 염증 마커는 MCP-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이다. 분석결과, MCP-1에서 TDCA 2.5 mg/kg 처리군이 비히클 군(DPBS)과 비교하여 현저한 감소가 관찰되어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4A).
또한, ELISA에 의해 마우스 혈장에서 염증성 사이토 카인 TNF-α 및 섬유증 마커 TIMP1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TDCA 2.5 mg/kg 처리군이 비히클 군(DPBS)과 비교하여 TNF-α의 현저한 감소가 관찰되어 중요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4B).
본 발명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섬유화(Liver Fibrosis), 비만, 당뇨병 및 고지혈증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간 섬유화(Liver Fibrosis)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증(steatosis), 염증(inflammation) 또는 벌룬 현상(ballooning)을 감소시키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섬유화(fibrosis) 또는 경화(cirrhosis)를 감소시키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제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용 제제는 정제, 과립제, 환제, 산제, 캅셀제 및 액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경구용 제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사용 제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치료제와 병용 투여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치료제와 병용 투여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치료제는 OCA (Obeticholic acid),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s), 비타민 E, 메트포르민, 스타틴, 우르소디옥시콜산(Ursodeoxycholic acid), 불포화 지방산,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펜톡시필린(Pentoxifylline), GLP-1 수용체 아고니스트(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s), DPP-4 억제제(Dipeptidyl peptidase 4 inhibitors), SGLT2 억제제(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s), 엘라피브라노(Elafibranor) 및 텔미사르탄(Telmisarta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13.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4. 소듐 타우로디옥시콜레이트(sodium taurodeoxycholat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치료 방법.
KR1020237005249A 2020-09-18 2021-08-23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간 섬유화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KR20230079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80112P 2020-09-18 2020-09-18
US63/080,112 2020-09-18
PCT/KR2021/011231 WO2022059946A1 (ko) 2020-09-18 2021-08-23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간 섬유화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001A true KR20230079001A (ko) 2023-06-05

Family

ID=8077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5249A KR20230079001A (ko) 2020-09-18 2021-08-23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간 섬유화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79001A (ko)
CA (1) CA3192690A1 (ko)
WO (1) WO20220599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656B1 (ko) * 2007-05-14 2007-12-1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소염제로 사용되는 소디움글리코콜레이트 또는 그 유도체
US10398717B2 (en) * 2008-03-04 2019-09-03 Alexander Vladimirovich Dikovskiy Pharmaceutical composition based on a hepatoprotector and prebiotic, and method for administrating
EA202091464A1 (ru) * 2018-02-14 2020-12-07 Люмос Фарма, Инк.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ечения неалкогольной жировой болезни печени и неалкогольного стеатогепатита
KR102204406B1 (ko) * 2019-01-23 2021-01-18 (주)샤페론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92690A1 (en) 2022-03-24
WO2022059946A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yani et al. Empagliflozin protects heart from inflammation and energy depletion via AMPK activation
US11103484B2 (en) Methods of treatment for cholestatic and fibrotic diseases
AU201823397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combination therapy
JP6553067B2 (ja) 糖尿病および肝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KR20170049605A (ko) 간 질환의 치료 방법
WO2017170434A1 (ja) Fxrアゴニストとarbの組み合わせ医薬
KR20190108141A (ko) 조합 치료요법용 약학 조성물
Saber et al. Celastrol augments sensitivity of NLRP3 to CP-456773 by modulating HSP-90 and inducing autophagy in dextran sodium sulphate-induced colitis in rats
US10806735B2 (en) Use of neutrophil elastase inhibitors in liver disease
KR102352729B1 (ko) 간 질환의 치료 방법
Zhou et al. Phillygenin ameliorate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via TFEB-mediated lysosome biogenesis and lipophagy
TWI631943B (zh) 治療脂肪肝疾病之方法
KR20230079001A (ko)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간 섬유화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US11400078B2 (en) Methods of treatment for cholestatic and fibrotic diseases
CN109288827B (zh) 神经酰胺酶抑制剂D-e-MAPP在制备改善急性胰腺炎的药物中的应用
EP396730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s
JP2020510651A (ja) 併用療法のための医薬組成物
KR102386018B1 (ko) 진행된 비알코올성 지방 간염의 치료 방법
Schwendt et al. Acute exposure to phthalates during recovery from a myocardial infarction induces greater inflammasome activation in male C57bl/6N mice
KR101094934B1 (ko)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TWI827310B (zh) 異硫氰酸酯結構修飾化合物於預防或治療肝臟疾病之用途
EP3019178B1 (en) Inhibitors of adamts4 or adamts5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cardiac remodeling and chronic heart failure
Cao et al. Anemoside B4 attenuates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by upregulating Nrf2 and dampens ovariectomy-induced bone loss
EP3858357A1 (en) Use of azole compounds to stimulate the immune system and as inhibitors for s-pla2gib
CN117120093A (zh) 一种用于预防和治疗血脂异常症或心血管疾病的组合药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