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934B1 -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934B1
KR101094934B1 KR1020100103656A KR20100103656A KR101094934B1 KR 101094934 B1 KR101094934 B1 KR 101094934B1 KR 1020100103656 A KR1020100103656 A KR 1020100103656A KR 20100103656 A KR20100103656 A KR 20100103656A KR 101094934 B1 KR101094934 B1 KR 10109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ilostazol
pharmaceutical composition
treating
pharmacolog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연
은종렬
이윤주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0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934B1/ko
Priority to PCT/KR2011/007441 priority patent/WO2012053758A2/ko
Priority to US13/880,792 priority patent/US2013026755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실로스타졸은 TNF-α 및 지방산 합성 효소인 FAS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할 뿐 아니라, 카스파제-3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종래 알코올성 간염 치료제로 사용되어 오던 펜톡시필린보다 탁월한 알코올성 간질환, 특히 알코올성 간염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나타내므로, 알코올성 간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alcoholic liver diseases comprising cilostazol}
본 발명은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특히, 알코올성 간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전세계적으로 매우 흔한 질환으로서, 우리나라도 알코올의 과다섭취가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알코올성 간질환으로는,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그리고 알코올성 간경변의 3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알코올 섭취시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와 아세테이트를 기질로 중성지방의 합성이 증가하여 지방증이 생긴다. 이때 완전히 금주하면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음주를 지속하면 기존의 지방증에 염증이 동반하여 지방간염으로 진행하고 점차 섬유화가 진행된다. 간 손상의 기전으로는 산화스트레스, 면역반응 및 LPS에 의한 각종 사이토카인 분비의 증가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성 간염은 알코올성 지방간 발생과정과 차이가 있다. 알코올성 간염은 폭음 예를들어, 평상시 주량을 월등히 초과하는 양의 단시간 음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간염의 한 형태로서, 폭음시 장내 점막의 투과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때 장내 세균이 장을 투과하여 문맥혈류로 유입된다. 장내 세균이 분비하는 내독소(endotoxin = lipopolysaccharide, LPS)는 간으로 들어가서 쿠퍼세포(Kupffer cell)의 표면에 위치한 특이수용체(Toll-like receptor 4)에 결합한다. 이후 세포내의 신호전달 경로에 의해 TNF-a 등의 사이토카인이 분비되어 간세포의 사멸(apoptosis), 괴사(necrosis),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즉, 알코올성 지방간은 산화스트레스 등을 주요 기전으로 간세포 손상을 일으키는데, 치료는 금주만으로 완전히 회복될 수 있고 항산화제 등이 보조적인 치료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알코올성 간염은 면역반응을 주 기전으로 하는데, 경한 경우에는 금주만으로 회복될 수 있으나 중증 알코올성 간염의 경우에는 치료적 개입이 없으면 약 40-50%에서 사망하는 치명적 질환이다. 이러한 중증 알코올성 간염은 면역반응을 차단하는 치료적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며, 현재 인정되는 치료는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스테로이드 제제와 TNF-α 차단제인 펜톡시필린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코올성 간염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제제는 부작용과 금기사항이 많아 현재 펜톡시필린이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펜톡시필린의 치료 효과가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한편, 실로스타졸은 3ㅄ-5ㅄ-사이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AMP)의 세포 내 수준을 포스포디에스터라제-3(PDE-3)에 의한 가수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증가시키는데 도입되기 시작한 약물로서, 1999년도에 미국에서 승인되어 동맥경화증을 포함한 혈관병증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전한 약물이지만, 아직까지 알코올성 간질환, 특히 알코올성 간염에 미치는 실로스타졸의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실로스타졸의 알코올성 간질환, 특히 알코올성 간염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검토하던 중 실로스타졸이 종래 알코올성 간염에 사용되어 오던 펜톡시필린보다 탁월한 TNF-α 억제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in vivo에서 급성 알코올 섭취에 의한 간 손상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실로스타졸 또는 이의 약리학적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로스타졸 또는 이의 약리학적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68541504-pat00001
상기 실로스타졸 또는 이의 약리학적 허용가능한 염은 TNF-α 억제제로서, LPS에 의해 유도된 TNF-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지방산 합성 효소인 FAS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in vitroin vivo에서 카스파제-3 활성화에 대한 억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성 간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로스타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산부가염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로스타졸을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과 반응시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으로는, 예를 들어, 옥살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과 같은 유기산, 및 염산, 황산, 인산, 브롬화수소산과 같은 무기산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로스타졸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산제, 정제, 캡슐제, 주사제, 에어로졸 등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로스타졸 또는 이의 약리학적 허용가능한 염이 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실로스타졸 또는 이의 약리학적 허용가능한 염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이의 약리학적 효과가 미비할 수 있는 반면,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용량 대비 약리학적 효과가 포화되어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부작용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로스타졸은 현재 혈소판 응고 억제제, 혈관 확장제, 말초 혈관 질환의 허혈성 질환 치료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안전성이 확보된 약제이다. 상기 실로스타졸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지만, 통상 1.0㎎/㎏ ~ 5.0㎎/㎏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비강,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로스타졸은 TNF-α 및 지방산 합성 효소인 FAS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할 뿐 아니라, 카스파제-3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종래 알코올성 간염 치료제로 사용되어 오던 펜톡시필린보다 탁월한 알코올성 간질환, 특히 알코올성 간염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나타내므로, 알코올성 간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에탄올에 의한 간세포 생존율 감소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를 MTS 분석을 통해 검토한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에탄올에 의한 카스파제-3 활성화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억제효과를 각각 웨스턴 블롯 및 활성 분석 키트를 이용하여 검토한 것이고,
도 4는 에탄올에 의한 간세포 아팝토시스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억제효과를 Hoechst 염색 분석을 통해 검토한 것이고,
도 5는 RAW264.7 대식세포에서 LPS에 의한 TNF-α 증가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RAW264.7 대식세포에서 LPS에 의한 ROS 증가를 시간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RAW264.7 대식세포에서 LPS에 의한 ROS 증가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in vivo에서 에탄올 처리에 따른 카스파제-3 활성을 시간별로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in vivo에서 에탄올 처리에 따른 카스파제-3 활성 증가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in vivo에서 에탄올 처리에 따른 FAS 유전자 발현을 시간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in vivo에서 에탄올 처리에 따른 FAS 유전자 발현 증가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초대 배양 간세포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
1. 초대 배양 간세포 준비
스프라그-돌리 랫트(8~10 주령) 또는 C57BL/6(8~10 주령) 마우스로부터 콜라게나제 관류를 통해 간세포를 분리하여, 10 % FBS, 100 U/ml 페니실린, 100㎍/ml 스트렙토마이신, 4 mM L-글루타민, 100 nM 덱사메타손을 포함한 DMEM에서 배양하였다. 3시간 후, 배양액을 0.1% FBS 와 10 nM 덱사메타손을 포함한 DMEM으로 갈아준 뒤, 16 시간 동안(overnight)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여러 농도의 에탄올(0, 100, 200 mM)을 단독 또는 실로스타졸(Otsuka)이나 기존 알코올성 간염 치료제로 사용되는 펜톡시필린과 함께 처리하여 다음과 같이 세포 반응을 비교하였다. 에탄올을 처리한 후에는 에탄올의 휘발을 막기 위해 배양접시를 파라필름으로 밀봉하였다.
2. 에탄올에 의한 간세포 생존율 감소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
에탄올에 의한 간세포 생존율 감소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MTS 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간세포 생존율은 MTS assay kit (Promega, Madison, WI,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간세포를 콜라겐이 코팅된 96 well plate에 분주 (5×10-4 cell/well)한 후, 실로스타졸 또는 펜톡시필린을 전처리하고 에탄올을 21 시간 동안 처치하였다. MTS 용액을 각 well에 첨가하여 37℃에서 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과 같이, DMSO 처리 대조군에서 에탄올(100, 200 mM)을 24시간 처리했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간세포의 생존율을 감소시켰으며, 이때 실로스타졸(100μM) 전처리는 에탄올에 의한 간세포 손상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반면, 펜톡시필린(100μM) 전처리는 DMSO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에탄올에 의한 카스파제-3 활성화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
카스파제-3의 활성화를 개열된 카스파제-3 항체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으로 측정하였다.
즉, 간세포에 에탄올을 일정시간 처치한 후 라이시스 완충액 (10 mM HEPES, pH 7.4, 10 mM b-글리세로포스페이트, 1 mM EDTA, 1 mM EGTA, 1 mM Na3VO4, 2 mM MgCl2, 1 mM DTT, 1 mM PMSF, 1 mM 벤즈아미딘, 10 μg/ml 아프로티닌,10 μg/ml 루펩틴, 10 μg/ml 펩스타틴 A, 1 % NP-40)로 용해시킨 후, 15 % SDS-PAGE 겔에서 단백질을 전기영동하고 나이트로셀룰로오즈 멤브레인 (NC)으로 전이하였다. NC를 개열 카스파제-3 항체 (cell signaling, Beverly, MA)로 4℃에서 16 시간, 그리고 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d rabbit IgG 항체로 상온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Chemiluminescence detection system으로 현상시킨 후, 단백질 밴드를 LAS-3000 (FUJI FILM)으로 검출하였다(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508 (2005) 31-45).
도 2와 같이, DMSO 처리 대조군에서 에탄올은 농도의존적으로 카스파제-3를 활성화시켰으며, 이는 실로스타졸(100μM)과 펜톡시필린(100μM) 전처리에 의해서 감소되었고, 실로스타졸이 펜톡시필린보다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카스파제-3의 활성화를 활성 분석 키트(R&D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카스파제-3 활성은 카스파제-3 비색 분석 키트 (R&D system, Minneapolis, M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간세포를 라이시스 완충액으로 용해시킨 후, 단백질 (150 μg)을 카스파제-3 특이적 기질인 DEVD-pNA와 37℃에서 2 시간 배양한 후, 그 흡광도를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재조합된 카스파제-3 (recombinant human caspase-3) 단백질로 표준 곡선을 작성하여 카스파제-3 활성을 ng/mg protein으로 계산한 후, 결과를 활성의 배수 증가로 나타내었다(Cancer letters 270 (2008) 40-55).
도 3과 같이, DMSO 처리 대조군에서 에탄올은 농도의존적으로 간세포에서의 카스파제-3 활성을 증가시켰고, 이는 실로스타졸의 전처리에 의해서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펜톡시필린도 에탄올에 의한 카스파제-3 활성화를 억제하였으나, 그 억제정도가 실로스타졸에 비해 작았고, 이는 웨스턴 블롯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에탄올에 의한 간세포 아팝토시스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
간세포의 핵을 Hoechst 염색하여 세포 아팝토시스를 측정하였다. 즉, 콜라겐이 코팅된 글래스 커버슬립에서 배양한 간세포를 아이스콜드 메탄올/아세트산 (3:1)으로 고정한 후 Hoechst 33342 (5 ㎍/ml)로 염색하였다. 증류수로 세척후 커버슬립을 20 mM 구연산과 50 mM Na2HPO4를 포함한 50% 글리세롤에 올려놓고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508 (2005) 31-45).
도 4와 같이, 에탄올에 의한 핵 분절화(nuclear fragmentation)는 실로스타졸 전처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실시예 2> RAW264.7 대식세포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
1. RAW264.7 대식세포 준비
RAW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구입하여 10 % FBS, 100 U/ml 페니실린, 100 ㎍/ml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한 DMEM 용액에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에탄올 직접 또는 엔도톡신에 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서 LPS에 의한 영향과 비교하였다.
2. LPS에 의한 TNF-α 증가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
앞서 준비된 RAW264.7 대식세포에 LPS(50 ng/ml)를 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 배양액 중의 TNF-α 수준을 ELISA kit(R&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5와 같이, DMSO 처리 대조군에서 배양액 중의 TNF-α 수준이 LSP에 의해서 약 700배 증가하였고, 이는 실로스타졸 전처리에 의해서 ~50% 억제되었다(p=0.016). 반면, 펜톡시필린은 유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실로스타졸이 알코올성 간염 치료제로 알려진 펜톡시필린보다 TNF-α 유리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3. LPS에 의한 ROS 증가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
앞서 준비된 RAW264.7 대식세포에 LPS(50 ng/ml)를 0 ~ 18 시간 처리하거나,혹은 실로스타졸(100μM) 또는 펜톡시필린(100μM)을 1시간 전처리 후, LPS(50 ng/ml)를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H2DCFDA(50μM)을 40분 동안 처리한 후 FACS로 ROS 생성을 측정하였다.
도 6과 같이, LPS(50 ng/ml)의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 내 ROS 생성이 증가하였고, 4시간에 최고 증가(약 2배) 하였다. 하지만, 도 7과 같이 실로스타졸이나 펜톡시필린 전처리는 LPS에 의해 유도된 ROS 생성에 유의한 억제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실로스타졸의 TNF-α 억제효과는 ROS 비의존적인 기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3> 알콜성 간손상 동물모델에서의 실로스타졸의 효과
1. 알콜성 급성 간손상 동물모델 제작
8 주령의 C57BL/6 마우스에게 에탄올 6 g/kg을 경구로 1회 투여하는 폭음 알코올 섭취방식으로 간을 손상시킨 후, 동물을 희생하여 간 손상 정도를 관찰하였다. 실로스타졸은 50 mg/kg/day 및 100 mg/kg/day의 용량으로 에탄올 투여전 4 일 동안 경구하고, 마지막 실로스타졸 투여 1 시간 후에 에탄올을 경구투여하고 서로 다른 시간 후에 동물을 희생하였다.
2. 카스파제-3 활성화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
앞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카스파제-3 활성 분석 키트(R&D)를 사용하여 카스파제-3 활성화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도 8과 같이 에탄올(6 g/kg) 투여 6시간 후에 카스파제-3 활성이 최대(~ 20 배)로 증가하였고, 도 9와 같이 실로스타졸(100 mg/kg)의 경구투여에 의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FAS 유전자 발현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
FAS 유전자 발현에 대한 실로스타졸의 효과를 실시간 PCR 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즉, 간조직으로부터 총 RNA를 트리졸 시약을 사용하여 분리한 후, 1 ㎍ 총 RNA를 고성능 cDNA 역전사 키트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를 이용하여 cDNA로 역전사하였다. PCR 반응은 실시간 PCR 7500 소프트웨어 시스템 (Applied Biosystem)을 이용하여 cDNA, 각각의 프라이머를 power SYBR Green PCR master mix(Applied Biosystems)로 반응시켜 수행하였다. 이때, PCR 조건은 먼저 95℃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95℃에서 15초, 55℃에서 20초 그리고 72℃에서 35초 동안 반응을 45 주기를 반복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NCBI 뉴클레오타이드 DB에 근거하여 Primer Express program (Applied Biosystems)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β-actin [서열번호 1(98 bp : forward, 5'-TAC TGC CCT GGC TCC TAG CA-3') ; 서열번호 2(reverse, 5'-TGG ACA GTG AGG CCA GGA TAG-3')], FAS [서열번호 3(76 bp : forward, 5'-CTG CGG AAA CTT CAG GAA AT-3') ; 서열번호 4(reverse, 5'-TGT CAC TCC TGG ACT TGG G-3')]. FAS mRNA 수준은 β-actin mRNA 수준으로 노말라이즈한 후, 배수 증가로 나타내었다.
도 10과 같이 에탄올 투여 3 시간 후에 FAS 유전자 발현이 최대(~ 3.5 배)로 증가하였고, 도 11과 같이 실로스타졸(100 mg/kg)의 경구투여에 의해서 FAS 유전자 발현이 약 30 % 정도 감소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실로스타졸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로스타졸 20 mg, 유당 100 mg 및 탈크 10 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로스타졸 2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로스타졸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로스타졸 1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및 pH 조절제 적량을 혼합한 후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5> 분무제의 제조
실로스타졸 0.08 중량% 및 올레산 0.005 중량%에 총 100 중량%가 되도록 HFA-227을 첨가하여 에어로졸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로스타졸 또는 이의 약리학적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61565841-pat00002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로스타졸 또는 이의 약리학적 허용가능한 염은 TNF-α 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리학적 허용가능한 염은 옥살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및 벤조산 중에서 선택된 유기산이거나, 또는 염산, 황산, 인산 및 브롬화수소산 중에서 선택된 무기산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로스타졸 또는 이의 약리학적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20100103656A 2010-10-22 2010-10-22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09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656A KR101094934B1 (ko) 2010-10-22 2010-10-22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PCT/KR2011/007441 WO2012053758A2 (ko) 2010-10-22 2011-10-07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US13/880,792 US20130267558A1 (en) 2010-10-22 2011-10-07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alcoholic liver diseases, containing cilostazol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656A KR101094934B1 (ko) 2010-10-22 2010-10-22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934B1 true KR101094934B1 (ko) 2011-12-15

Family

ID=4550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656A KR101094934B1 (ko) 2010-10-22 2010-10-22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267558A1 (ko)
KR (1) KR101094934B1 (ko)
WO (1) WO20120537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9317A1 (en) 2014-11-20 2016-05-26 Vib Vzw Mea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early-onset parkinson's disease
US10588906B2 (en) * 2017-08-08 2020-03-17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ethod of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by using phosphodiesterase 3 inhibi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5609A1 (en) * 2002-01-25 2003-12-25 Lautt Wilfred Wayne Use of cholinesterase antagonists to treat insulin resistance
AR067446A1 (es) * 2007-07-11 2009-10-14 Otsuka Pharma Co Ltd Un medicamento para tratar higado graso que comprende cilostaz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67558A1 (en) 2013-10-10
WO2012053758A3 (ko) 2012-06-14
WO2012053758A2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8475B2 (en) Agonists of the apelin receptor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636395B1 (ko) 허혈 및 허혈 재관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1939401B1 (ko) 단핵식세포계 세포의 age-알부민 합성 또는 분비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심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899750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of small molecule modulators of hepatocyte growth factor (scatter factor) activity
EP2137175B1 (en) Novel phenanthrenequinone-based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ease involving metabolic syndrome
WO2013044511A1 (zh) 含有瑞利格内酯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US20120238533A1 (en) (Heteroarylmethyl) Thiohydantoins as anticancer drugs
KR101094934B1 (ko) 실로스타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JP2005526768A (ja) 炎症関連遺伝子を調節するデキサナビノール及びデキサナビノール類似体
US20220401423A1 (en)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9012637B2 (en) Substituted pyrazinyl acrylic acid compounds for the inhibition of pask
KR20150041223A (ko) 피마살탄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A2813719A1 (en) Methods of use of small molecule modulators of hepatocyte growth factor (scatter factor) activity
Bernardelli et al. To market, to market-2001
Li et al. Akt1 gene deletion and stroke
US2023013679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ge-related diseases and premature aging disorders
US20230295173A1 (en) Imidazopiperazine inhibitors of transcription activating proteins
WO2020032452A1 (ko) 금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조성물
US2019000886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gpr119 ligand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KR101388776B1 (ko) 2,3―비스[(2―하이드록시에틸)티오]―1,4―나프토퀴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Zahayko et al. Prospects for the JNK Kinase Inhibitors Use in the Treatment of Dyslipidemic Conditions
Hongbao et al. Streptozotocin, Atorvastatin, Renal,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WO2015147204A1 (ja) 血管新生増殖因子を阻害する医薬組成物
KR20130121076A (ko) Hcv 감염증 치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