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134A -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134A
KR20230076134A KR1020237012674A KR20237012674A KR20230076134A KR 20230076134 A KR20230076134 A KR 20230076134A KR 1020237012674 A KR1020237012674 A KR 1020237012674A KR 20237012674 A KR20237012674 A KR 20237012674A KR 20230076134 A KR20230076134 A KR 20230076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temperature
operating temperature
temperature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오 왕
Original Assignee
창춘 제티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춘 제티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창춘 제티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76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2Cooling of charg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6Temperature of vehicle components or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기차량의 충전 분야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중 방법은, 제1충전전력으로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과정중, 전원 커넥터 내부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절차;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에 의해 획득된 전원커넥터 내부의 작동온도에 근거하여 전기차량으로 출력하는 충전전력을 제어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차량의 충전 안전을 보장하는 전제하에서 충전 효율성을 높이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수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 및 방법
본 출원은 2020년11월6일자로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011233775.5이고, 발명의 명칭이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해당 출원의 전부 내용을 인용하기로 한다.
본 출원은 전기차량의 충전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신속한 발전과 더불어, 전기자동차와 충전소의 수량이 지속적으로 상승되고 있다. 유저에게 있어서 차량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시간이 짧을수록 바람직하고, 종래기술에 따르면 대전류 및 고전압 등 하이 전력방식에 의해 차량 배터리에 대한 유저의 충전수요를 만족시키고 있는데, 충전이 수행됨에 따라 차량 배터리의 온도가 점차 올라가고, 지속적으로 하이 전력으로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여러가지 충전 안전 사고를 초래할 수 있으며, 충전 안전성과 확실성은 매우 중요하고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대부분의 충전소는 작동 온도가 상승되면 충전전력을 하강시키는 방식으로 계속하여 차량의 배터리에 대하여 충전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단지 출력하는 충전전력을 단순히 낮추는 것으로서, 이는 충전소의 실제 출력 전력과 차량이 수요하는 전력간에 큰 차이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차량 배터리 충전 시간을 연장하게 되고, 차량 배터리 충전과정중의 제어 불가능성과 충전 위험성을 증가하게 된다.
차량 배터리 충전 과정중 온도가 상승함에 따른 충전 시간 연장 및 안전문제는 종래기술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는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전기차량 충전시 온도 변화로 인해 충전 속도가 느리고, 충전 효율성이 낮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은, 제1충전전력으로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과정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 내부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절차;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온도임계치미만이며,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5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출력하는 제1충전전력을 제2충전전력으로 하강시키는 절차;
상기 제1작동온도가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의 충전전력으로 상기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는, 전원 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충전전력으로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과정중, 전원 커넥터 내부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온도임계치미만이며,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5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출력하는 제1충전전력을 제2충전전력으로 하강시키는 충전제어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작동온도가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의 충전전력으로 상기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한다.
본 출원에 따른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운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시 상기 방법을 수행한다.
본 출원에 따른 컴퓨터명령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가독저장매체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해당 컴퓨터명령을 수행시 상기 방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량의 충전 안전을 보장하는 전제하에서, 충전 효율성을 높이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며, 전원 커넥터에 전원 커넥터 온도검출수단을 설치하여 온도검출의 반응속도를 높이고, 전선의 원가를 낮추며,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인쇄기판의 작동온도 및 전원커넥터의 작동온도를 결합하여 충전전력을 조절함으로써, 전기차량의 충전 안전성을 더 높일 수가 있다. 물론, 본 실시형태의 임의의 제품 및/혹은 방법은 상기 우점들을 모두 동시에 달성해야 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출원의 실시예 혹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술안을 보다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 혹은 종래기술에 필요한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로서, 당업자에게 있어서 진보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이러한 도면에 기초하여 기타 도면을 얻어내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1a-도1c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조개략도이다.
도2는 본 실시예의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를 보여주는 구조개략도이다.
도3은 본 실시예의 전기 차량의 충전제어장치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구조개략도이다.
도4는 본 실시예의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5는 본 실시예의 충전제어장치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회로 개략도이다.
도6a는 본 실시예의 충전제어장치와 전기차량의 충전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6b는 본 실시예의 충전제어장치와 전기차량의 충전 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한 개략도이다.
도7a은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수단이 전원 커넥터 내부에 설치된 구조개략도이다.
도7b은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수단을 보여주는 회로 개략도이다.
도7c은 본 실시예의 전력조절수단을 보여주는 구조개략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안에 대하여 명료하고 완정하게 설명하는데,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진보적인 노동없이 얻어낸 기타 실시예는 모두 해당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a-도1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조개략도로서, 전기차량(100)은 차량 커넥터(101), 충전제어캐비닛(102), 충전제어수단(103),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104) 및 전원 커넥터(105)를 통하여 충전 전원(106)에 연결된다. 충전 전원(106)은 전원 커넥터(105)를 통하여 전기차량(100)의 충전에 필요한 충전 전류를 상기 전기차량(100)에 출력하고, 그중 충전 전류는 전원 커넥터(105), 충전제어캐비닛(102), 차량 커넥터(101)를 거쳐 상기 전기차량(100)에 전송되며,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104)은 상기 전원 커넥터(105)에 위치한다. 충전제어수단(103)은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104)에 의해 수집된 작동온도에 근거하여 충전 전류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여, 전기차량(100)이 작동온도가 상승되는 상황에서 고속적인 충전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고, 충전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104)은 전원 커넥터(105)에 집적될 수가 있고, 전기차량의 충전 과정중의 작동온도의 변화를 보다 쾌속적으로 획득할 수가 있으며, 그중 상기 작동온도란, 전기차량중 배터리이외의 충전 소자의 온도 예하면 전원 커넥터(105) 단의 온도, 케이블상의 온도, 충전제어캐비닛(102)중 소자의 온도 등을 가리키고,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104)은 전원 커넥터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검출된 작동온도는 전원 커넥터(105) 내부의 온도이다.
그중,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제어수단(103)은 충전제어캐비닛(102)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중 차량 커넥터(101)와 전원 커넥터(105)사이의 충전제어캐비닛(102)내에 예하면 변압기, 충전 보호유닛 등 소자가 포함되고,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소 혹은 휴대용 케이블 충전 컨트롤러일 수 있다. 혹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제어수단(103)은 전원 커넥터(105)에 위치하거나 혹은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제어수단(103)은 차량 커넥터(101)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104)은 전원 커넥터(105)의 내부에 내장되고, 해당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104)은 서미스터 등일 수 있으며, 전원 커넥터(105)중의 전극의 온도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어수단(103)은 상기 전기차량(100)으로 출력하는 충전 전류의 전력을 제어함으로써(충전 전류 혹은 전압 조절), 출력하는 충전전력을 하강시켜 전원 커넥터(105)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킨다.
도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를 보여주는 구조개략도로서,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기차량의 충전 과정중, 보다 쾌속적으로 충전에 의한 온도변화를 통해 충전전력의 장치구조를 변경할 수 있고, 해당 장치에 의해 하이 전력으로 전기차량에 대해 충전하는 경우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줄일 수가 있으며, 해당 장치는 전용 칩 혹은 통용 칩에 의해 구현되거나 혹은 마이크로컨트롤러 혹은 산업용컴퓨터에 의해 운행될 수 있으며, 그중의 기능모듈은 소프트웨어 혹은 논리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전원 커넥터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충전전력으로 전기차량에 대해 충전하는 과정에서, 전원 커넥터 내부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내부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 및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에 연결되는 충전제어수단(20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온도임계치미만이며,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5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출력하는 제1충전전력을 제2충전전력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제1작동온도가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인 충전전력으로 상기 전기차량에 대해 충전한다.
상기 제1작동온도가 소정된 시간구간내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상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다.
그중, 상기 제1작동온도가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의 충전전력으로 상기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고,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의 충전전력은 제2충전전력이거나 혹은 제1충전전력보다 낮은 전력일 수 있으며, 예하면 제2충전전력보다 낮을 수 있고, 제1충전전력과 제2충전전력사이의 전력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차량의 충전제어장치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구조개략도로서, 해당 도면에서 각 기능유닛의 내부논리구조가 세부화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제어장치는,
유저에 의해 지정된 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203)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은 상기 지정된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 커넥터 내부의 작동온도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203)는 비휘발성메모리일 수 있고, 예하면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일 수 있으며, 그 내부에 행렬식의 용사가 존재하고, 유저(메이커)의 수요에 따라 전류를 이용하여 단선시키고,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기입할 수 가 있고, 용사가 단선되면 회복이 불가능하고, 데이터를 더이상 변환시킬수가 없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의 작동원리는 EPROM에 유사하지만, 지우는 방식은 하이 필드에 의해 완성되므로, 투명창을 수요하지 않는다.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는 전자식 이레이저블 프로그램화 롬의 형식으로서, 조작중 여러번 지우거나 혹은 쓰는 것이 허락된 메모리이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주로 일반적인 데이터 저장 및 컴퓨터와 기타 디지털 제품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데, 예하면 메모리 카드와 USB 디스크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소리, 빛의 방식으로 유저에게 현재 작동온도상태를 제시하는 제시수단(204)을 더 포함한다.
본 절차에 있어서, 상기 소리, 빛의 방식으로 유저에게 제시하는 것은, 버저, 스피커 등 설비에 의해 실현되는 소리 혹은 음성의 제시, 다색상의 LED램프, 혹은 다수의 단색상의 LED램프 등 방식에 의해 현재 작동온도의 상태를 표시 및 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진동 혹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유저에게 제시하거나, 혹은 APP(앱)의 방식으로 제시정보를 유저의 스마트 단말(예하면 휴대폰 등 스마트 장치)에 발송하여,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 소자가 열원 부근에 존재하는지를 유의하도록 유저에게 제시하거나 혹은 유저가 수동으로 열원을 제거하는 상황을 제시할 수 있다. 그중, 상기 작동온도의 상태란, 현재의 작동온도가 처한 온도구간, 예하면 현재의 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와 제2온도임계치사이에 존재하면 정상적인 충전 상태이고, 현재의 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 및 제2온도임계치이상이면 온도가 비교적 높은 위험한 충전 상태이고, 현재의 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면 정상적인 충전 상태이고, 현재의 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에 달하면, 온도가 안전온도이상인 충전 상태인 것을 말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저에게 제시하기 위한 현재 작동온도상태를 유저의 스마트 단말로 발송하는 통신수단(205)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205)은 상기 충전제어수단(202)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제어수단(202)은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에 의해 획득된 전원 커넥터 내부의 작동온도를 디지털데이터로 전환시킨 후, 작동온도에 근거하여 현재 작동온도상태를 확정하고, 현재 작동온도상태를 상기 통신수단(205)에 발송하며, 통신수단(205)에 의해 현재 작동온도상태를 무선방식으로 유저의 스마트 단말에 발송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은 전원 커넥터 내부의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에 위치하고, 절연 열전달 실리카겔에 의해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과 상기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을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중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혹은 중립와이어 터미널의 온도는 쾌속적으로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에 전송되고,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으로서 서미스터를 사용함에 따라 고압 충전 전류에 의해 충전제어수단을 소각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넥터 내부의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에 다수의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을 설치하고,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이 직렬연결 혹은 병렬연결의 방식으로 상기 전원 커넥터 내부의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의 작동온도를 수집하고, 신호전송라인 및 접지선에 의해 상기 작동온도를 상기 충전제어수단(202)으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제어수단(202)이 전원 커넥터측 혹은 충전 전류를 전송하는 케이블상의 충전제어캐비닛에 위치하거나 혹은 차량 커넥터측에 위치하여,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과 일정한 거리를 가지며, 다수의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에 의해 수집된 작동온도는 약한 전압신호(예하면 0.3V-5V사이)형식으로 충전제어수단(202)에 전송되고, 전체 제품을 일체화하기 위하여, 작동온도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전송라인 및 접지선을 전원 커넥터 내지 차량 커넥터사이의 충전 케이블내에 내장하고, 충전 케이블은 전기차량의 충전에 사용되는 강전전류(예하면 220V-380V)를 전송하고, 그 충전 케이블의 직경 및 중량은 충분히 크므로, 작동온도를 전송하는 노선의 원가를 절약하고 충전 케이블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다수의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에 의해 전원 커넥터 내부의 온도를 검출시,전부의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을 직렬연결 혹은 병렬연결시키고, 임의의 한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에 의해 고온신호가 검출되면, 검출된 최고작동온도를 출력하고, 한갈래의 신호전송라인 및 한갈래의 접지선에 의해 전원 커넥터 내부의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의 작동온도를 전송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에 연결되어,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에 의해 수집된 작동온도중의 간섭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206)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으로서 서미스터 등 소자를 사용하여 전원 커넥터 내부의 온도를 수집시, 작동온도를 의미하는 약한 전자파신호를 출력하면 전원 커넥터의 충전 전류의 상용 주파수의 간섭을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은 상기 작동온도신호전송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작동온도를 충전제어수단(202)으로 전송하기 전에, 본 실시예중의 필터(206)에 의해 상용 주파수 간섭신호를 제거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과 충전제어수단(202)사이를 연결하는 작동온도신호전송라인 및 접지선으로서 차폐 케이블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폐 케이블에 의해 상기 작동온도신호전송라인 및 상응한 접지선을 구현시, 충전 전류에 의한 작동온도에 대한 약한 전자파신호의 간섭을 하강시켜, 보다 정확한 작동온도를 검출하고, 충전전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작동온도를 검출하는PCB온도검출수단(20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충전제어수단(202)은 상기 PCB온도검출수단 및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PCB온도검출수단(207)에 의해 획득된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작동온도 및 상기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에 의해 획득된 전원 커넥터의 작동온도에 근거하여 전기차량으로 출력하는 충전전력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CB온도검출수단(207)의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201)과 구조가 동일하되, 단지 해당 PCB온도검출수단(207)은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PCB보드(인쇄기판)에 위치하고, 해당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PCB보드의 소자온도를 수집하여 작동온도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 열전달 실리카 겔에 의해 상기 PCB온도검출수단(207)을 충전제어캐비닛내의 인쇄기판상에 고정시키고, 다른 한갈래의 작동온도신호전송라인 및 상응한 접지선에 의해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작동온도를 충전제어수단(202)에 전송하고, 그중 상기 작동온도신호전송라인 및 상응한 접지선은 차폐 케이블에 의해 구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CB온도검출수단은 상기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릴레이 및/또는 커넥터의 연결단자에 장착될 수 있다. 그중, 릴레이는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스위치이고, 상기 커넥터란, 케이블 혹은 전선과 PCB보드의 연결부위의 플러그 인 유니트를 말하고, 연결단자란, 커넥터상 케이블 혹은 전선과 연결되는 단자를 말한다.
상기 본 실시예의 장치에 따르면, 전기차량의 충전 안전을 보장하는 전제하에서, 충전 효율성을 높이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며, 전원 커넥터에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온도검출의 반응속도를 높이고 전선원가를 낮추며, 충전제어캐비닛내의 인쇄기판의 작동온도 및 전원 커넥터의 작동온도를 결합하여 충전전력을 조절하고, 전기차량의 충전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원 커넥터의 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의 작동온도의 요소를 결합하여, 전기차량의 충전전력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도시되어 있고,단일 요소에 따라 전기차량의 충전전력을 제어하는 불정확성을 방지하고, 전기차량 충전의 안전성을 높일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절차401, 제1충전전력에 의해 전기차량에 대해 충전하는 과정중, 전원 커넥터내부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절차;
절차402,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온도임계치미만이고,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5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출력하는 제1충전전력을 제2충전전력으로 하강시키는 절차;
절차403, 상기 제1작동온도가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의 충전전력으로 상기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의 충전전력은 0보다 큰 임의의 전력값일 수 있고, 예하면 계속하여 상기 제2충전전력으로 상기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온도가 소정된 시간구간내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상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거나; 혹은 ,
상기 제2작동온도가 상기 제5온도임계치이상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다.
본 절차에 있어서, 제1온도임계치는 예하면 75섭씨도, 제2온도임계치는 78섭씨도, 제4온도임계치는 110섭씨도, 제5온도임계치는 113섭씨도일 수 있고, 상기 전부의 온도임계치는 모두 실제 사용중 얻어낸 경험적인 데이터로서, 기타 구체적인 수치일 수도 있다. 전원 커넥터 내부의 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인 78섭씨도이상이거나 혹은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작동온도가 113섭씨도이상이면, 모두 충전 안전 보호 메커니즘을 트리거링하고,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함으로써, 충전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초래할 수 있는 화재 혹은 충전 장치 내부의 전기소자의 손상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이고, 상기 제2작동온도가 상기 제5온도임계치이상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다.
본 절차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 내부의 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인 78섭씨도이상이고,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작동온도가 113섭씨도이상이면, 충전 안전 보호 메커니즘을 트리거링하여,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고, 충전 온도 상승에 따른 화재 혹은 충전 설비 내부의 전기소자의 손상를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온도가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하이면,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의 충전전력으로 상기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것은,
상기 제2작동온도가 다른 한 소정된 시간구간내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제4온도임계치이상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절차에 있어서, 제2작동온도가 지속적으로 제4온도임계치이상이면, 제1작동온도의 상황을 불구하고, 즉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미만여부를 불구하고,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함으로써, 충전제어캐비닛내의 전기소자를 보호할 수가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후,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을 기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절차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1작동온도가 소정된 시간구간내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상이어서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면,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 정지 원인을 제1작동온도가 지속적으로 제1온도임계치이상인것으로 기록한다.
만일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시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면,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 정지 원인을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인것으로 기록한다.
만일 제2작동온도가 상기 제5온도임계치이상시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면,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 정지 원인을 제2작동온도가 제5온도임계치이상인것으로 기록한다.
만일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이고, 상기 제2작동온도가 상기 제5온도임계치이상시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면,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 정지 원인을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작동온도가 제5온도임계치이상인것으로 기록한다.
만일 제2작동온도가 다른 한 소정된 시간구간내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제4온도임계치이상이어서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시키면,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의 원인을 제2작동온도가 지속적으로 제4온도임계치이상인것으로 기록한다.
충전제어수단에 의해 조회하기 쉽도록, 본 실시예에서 기록된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 정지 원인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후에,
상기 제1작동온도가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하고,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하면,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는 원인을 판단하고,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는 원인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절차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 내부의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미만이고, 충전제어캐비닛내의 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미만이면, 전기차량을 충전하는 과정중 전기소자의 온도가 안전임계치이상인 상황이 이미 충전정지에 의해 제어된것을 의미하고, 충전 설비중 전기소자의 온도가 이미 안전온도구간으로 하강하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회복할 수가 있는데, 상이한 충전 설비의 작동온도가 상이한 의미를 표시할 수 있고, 충전 설비의 손상, 고장 혹은 이상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본 차례 충전정지의 원인에 근거하여 충전회복여부를 분석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는 원인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이 제2작동온도가 제5온도임계치이상인 것이거나,
혹은,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이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인 것이거나,
혹은,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이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작동온도가 제5온도임계치이상인 것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회복시키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이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인 것이거나,
혹은,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이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인 것이거나,
혹은,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이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인 것이면,
상기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회복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절차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 내부의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미만이고,충전제어캐비닛내의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미만이면, 충전 설비의 전기소자의 온도가 이미 안충전 구간으로 하강한것을 설명하고,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이유도 임시로 나타난 온도상승에 의한 충전정지이고, 전기소자의 손상 혹은 제 어실패 등 원인에 인한 충전 안전성 문제를 배제할 수 있는 경우,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회복시킬수가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 내부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온도검출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전원 커넥터 내부의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상의 제1작동온도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온도검출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인쇄기판 및/또는 인쇄기판상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절차에 있어서, 다수의 온도검출수단을 전원 커넥터 내부의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에 설치하여, 보다 직접적이고 쾌속적으로 충전 설비중의 전기소자의 작동온도를 획득함으로써, 쾌속적으로 상응한 충전 조치에 대응하기 쉽고, 충전제어캐비닛내의 인쇄기판상 충전제어캐비닛내의 전기소자의 작동온도를 획득하고, 직접적이고 보다 쾌속적으로 충전 설비의 작동온도를 획득함으로써, 쾌속적으로 상응한 충전 조치에 대응하기 쉽게 된다.
온도검출수단을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에 장착하거나, 혹은 온도검출수단을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인쇄기판의 릴레이 혹은 커넥터의 연결단자에 설치하여, 온도검출수단의 샘플링 정밀도를 종래기술의 1℃로부터 본 출원의 0.5℃로 높일 수가 있고, 실제 온도 값의 편차를 종래기술에 따른 ±3℃로부터 본 출원의 ±0.5℃로 하강시키며, 온도샘플링 시간을 종래기술에 따른 10밀리 초(ms)로부터 본 출원의 1ms로 하강시키고, 온도 검출의 확실성에 관하여, 종래기술의 원 웨이제어(콤퍼레이터 혹은 제어수단에 의해 단독으로 제어)를 본 출원의 더블 웨이제어(콤퍼레이터와 제어유닛에 의해 공동으로 판단하여 제어)로 변경하고, 한편 본 출원은 보상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즉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콤퍼레이터의 기준전압을 조절하고, 종래기술에 따른 기준전압의 드리프트를 보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전원 커넥터내부의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상의 제1작동온도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다수의 온도검출수단은 직렬연결 혹은 병렬연결의 방식으로 상기 전원 커넥터 내부의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상의 제1작동온도를 수집하고, 한갈래의 신호전송라인 및 한갈래의 접지선에 의해 상기 제1작동온도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다수의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인쇄기판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다수의 온도검출수단은 직렬연결 혹은 병렬연결의 방식으로 상기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인쇄기판의 제2작동온도를 수집하고, 다른 한갈래의 신호전송라인 및 한갈래의 접지선을 통해 상기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절차에 있어서, 충전 케이블을 따라 상기 제1작동온도 및 제2작동온도를전달하는 전선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온도검출수단의 출력을 병합하고, 한갈래의 신호전송라인과 상응한 접지선을 통해 제1작동온도를 출력하고, 다른 한갈래의 신호전송라인과 상응한 접지선을 통해 제2작동온도를 전송하며, 제1작동온도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라인 및 제2작동온도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라인은 단지 다수의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획득된 최고 작동온도를 전송함으로써, 충전 케이블의 중량을 감소하고, 충전 설비의 전체적인 확실성을 높일 수가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 내부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것은,
획득된 상기 제1작동온도와 제2작동온도를 차폐하여 보호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절차에 있어서, 차폐 케이블에 의해 상기 제1작동온도신호의 전송라인 및 상응한 접지선 및 제2작동온도신호의 전송라인 및 상응한 접지선을 구현하여, 충전 전류에 의한 작동온도의 약한 전자파신호에 대한 간섭을 감소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작동온도를 검출하고, 충전전력을 제어시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온도임계치미만이며,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제2충전전력보다 높은 충전전력을 출력하고, 예하면 제1충전전력과 제2충전전력사이의 전력일 수도 있고, 제1충전전력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하이고,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5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제2충전전력보다 높은 충전전력을 출력하고, 제2충전전력이거나 혹은 제1충전전력이하의 충전전력을 출력하여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할 수가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미만이고,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제2충전전력보다 높은 충전전력을 출력할 수가 있고, 그중 충전전력은 제1충전전력과 제2충전전력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고, 예하면 제1충전전력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온도가 상기 제4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이고 0보다 큰 충전전력에 의해 상기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할 수 있다. 그중, 충전전력은 제1충전전력과 제2충전전력사이의 전력 혹은 제2충전전력미만의 전력 혹은 제2충전전력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임계치는 제4온도임계치와 상이하다. 그중, 상기 제4온도임계치는 상기 제1온도임계치보다 높다.
상기 제2온도임계치는 제5온도임계치와 상이하다. 그중, 상기 제5온도임계치는 상기 제2온도임계치보다 클 수 있다.
그중, 전원 커넥터와 충전제어캐비닛의 방열구조가 상이하고, 방열계수도 상이하므로, 상이한 설비의 특점에 근거하여 각 설비의 상하 임계치를 설치하여, 보다 정확하게 충전 발열의 원인을 판단할 수가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전기차량의 충전 안전을 보장하는 전제하에서, 충전 효율성을 높이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수가 있으며, 전원 커넥터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내의 제2작동온도를 결합하여 충전전력을 조절하여, 전기차량의 충전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도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제어장치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회로 개략도로서,본 도면은 충전제어장치의 회로 구조를 도시하고, 상기 온도검출수단(501)은 서미스터, 열전대, 저항온도검출기, 디지털 센서 등일 수 있고, 그중 서미스터로서 정온도 계수의 서미스터(PTC) 혹은 부온도 계수의 서미스터(NTC)를 선택할 수가 있으며, 예하면 도5의 NTC형 서미스터RT1, 각종 상이한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구현된 작동온도(예하면 전기소자의 온도)정보는 상이한 온도전압을 표현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검출수단(501)은 또한 분압저항R3이 연결되고, 해당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출력된 온도전압이 후단 비교수단(502)에 부합되는 요구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명료화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도면은 단지 하나의 온도검출수단(501)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다 싶이, 해당 온도검출수단(501)은 다수개로 형성되어, 각각 전원 커넥터의 내부 및 충전제어캐비닛의 인쇄기판상에 배치될 수 있고, 도7a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검출수단이 전원 커넥터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개략도로서, 도면에 전원 커넥터 내부의 라이브와이어 터미널(701), 상기 라이브와이어 터미널상에 장착되는 온도검출수단(702), 온도검출수단(702)에 의해 획득된 작동온도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라인(703) 및 상응한 접지선(704), 충전 케이블(705)이 포함되고, 상기 온도검출수단(702)은 절연열전달실리카겔에 의해 전원 커넥터라이브와이어 터미널에 고정되며, 상기 온도검출수단(702)의 신호전송라인(703)과 상응한 접지선(704)은 충전 케이블(705)을 따라 설치되고, 충전 케이블(705)의 절연외층내에 둘러싸이며, 상기 신호전송라인(703)과 상응한 접지선(704)은 작동온도의 온도전압신호를 충전제어수단에 전송하여 충전 조치에 대하여 제어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해 알수 있다 싶이, 다수의 온도검출수단(501)을 전원 커넥터 내부의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상에 배치할 수가 있고, 절연열전달하는 실리카겔에 의해 온도검출수단(501)과 전원 커넥터 내부의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을 고정시킬수가 있으며, 다수의 온도검출수단(501)을 충전 케이블중의 충전제어캐비닛내의 인쇄기판상에 배치할 수가 있으며, 절연열전달의 실리카겔에 의해 온도검출수단(501)과 충전제어캐비닛내의 인쇄기판을 고정시킬수가 있다. 그중, 온도검출수단(501)에 의해 획득된 작동온도를 의미하는 온도전압Vi=[RT1/(R3+RT1)]*VCC이고, 그중 RT1(NTC를 예를 들면)값은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감소되고, 온도상승시 RT1값이 감소되고, Vi값이 감소된다.
또한, 도7b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검출수단을 보여주는 회로 개략도로서, 해당 도면을 참조하면, 온도검출수단에 대하여 필터링 처리를 진행하는 것으로서, 온도검출수단이 신호전송라인을 통하여 충전 케이블에 따라 작동온도의 온도전압을 충전제어수단에 전송시, 고압 충전 케이블내의 전기 신호가 약한 전자파신호의 온도전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미스터RT1가 상용 주파수신호의 간섭을 받고, 커페시터C1, 저항FB1, 커페시터C2에 의해 π형 필터를 구성하여, 상용 주파수 신호의 간섭을 감쇠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교수단(502)은 상기 온도검출수단(501)의 수량에 대응되게 다수개로 형성되고, 즉 각 온도검출수단(501)은 하나의 비교수단(502)에 대응되고, 마찬가지로 설명의 명료화를 위하여, 본 출원의 도5의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비교수단(502)을 예시하고 있으며, 기타 실시예에서 다수의 비교수단을 포함하여, 제1작동온도와 대응하는 온도임계치, 제2작동온도와 대응하는 온도임계치의 비교관계를 판단할 수가 있다. 해당 비교수단(502)은 히스테리시스형 콤퍼레이터일 수 있고, 해당 히스테리시스콤퍼레이터 제1입력단은 상기 온도검출수단(501)에 의해 출력되는 온도전압에 연결되고, 제2입력단은 기준전압에 연결되기 전에 저항R7에 연결되며, 출력단은 구동수단(504)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비교결과전압을 상기 구동수단(504)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단은 저항R6에 직렬연결된 후, 상기 제2입력단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히스테리시스형의 콤퍼레이터란, 상기 비교수단은 단지 하나의 기준전압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제1입력단에 의해 입력되는 온도전압의 폭이 기준전압에 접근시, 만일 제1입력단의 소음 간섭이 크고, 응답속도가 충분이 크면, 출력전압의 점프오프를 초래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비교수단의 간섭 차단능력을 증가하기 위하여, 기준전압을 두개로 변경할 수 있다. 입력된 작동온도를 의미하는 온도전압이 로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변시, 온도전압이 제1기준전압에 달하여야만, 비교수단(502)의 출력이 변화를 발생하게 되고, 입력된 온도전압이 하이 레벨로부터 로 레벨로 변환되어, 입력된 온도전압이 제2기준전압으로 하강되어야만, 비교수단의 출력이 변화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중 비교수단의 구조는 히스테리시스성, 즉 관성을 가지므로, 입력온도전압의 미소한 변화는 비교수단의 출력전압의 점프를 일으킬수 없으므로, 이때 비교수단은 간섭 차단능력을 가지게 된다.
그중, 비교수단(502)에 의해 출력된 제1비교결과전압은 하이 레벨 혹은 로 레벨일 수 있고, 상기 구동수단(504)의 구조에 따라 결정되며, 후술되는 충전제어수단(503)이 온도전압에 근거하여 소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출력되는 제2비교결과전압과 하이 및 로 레벨의 의미가 동일하고, 즉 예하면, 비교수단(502)에 의해 출력된 제1비교결과전압이 작동온도(온도전압)가 소정된 온도(기준전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내면, 하이 레벨의 제1비교결과전압을 출력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도면은 단지 하나의 비교수단(502)을 도시하고 있으며, 해당 비교수단(502)은 제1작동온도와 제2온도임계치를 비교할 수가 있고, 기타 비교수단을 구비하여 제2작동온도와 제5온도임계치를 비교할 수도 있다. 이때, 충전제어수단(503)에 의해 작동온도(온도전압)가 소정된 온도(예하면 제2온도임계치 혹은 제5온도임계치)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하이 레벨의 제2비교결과전압을 출력하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출력되는 비교결과전압의 하이, 로 레벨의 함의가 동일하게 되고, 이로써 다중 온도 제어 보호를 실현할 수가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수단(503)은 상기 온도검출수단(501)에 연결되어, 상기 제1작동온도의 온도전압 및 제2작동온도의 온도전압을 획득하고, 상기 충전제어수단(503)은 상기 구동수단(504)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비교결과전압을 상기 구동수단(504)에 출력할 수가 있다.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충전제어수단(503)은 다수의 온도검출수단(50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충전 조치에 근거하여 충전전력을 조절하거나 혹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제어수단(503)은 마이크로 프로세서(MCU)일 수 있고, IN베이스 핀(IN1-IN3)에 의해 신호를 수신하며, OUT베이스 핀(OUT1-OUT3)을 통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온도전압을 디지털형식으로 전환한 후, 소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예하면 상기 제1작동온도의 온도전압이 의미하는 수치가 상기 제2온도임계치이상이면, 스위치유닛(505)을 턴 오프하는 것을 의미하는 제2비교결과전압을 출력하거나 혹은 상기 제2작동온도의 온도전압이 의미하는 수치가 상기 제5온도임계치이상이면, 스위치유닛(505)을 턴 오프하는 것을 의미하는 제2비교결과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1작동온도의 온도전압이 의미하는 수치가 상기 제2온도임계치미만이면, 스위치유닛(505)을 컷인하는 것을 의미하는 제2비교결과전압(혹은 상기 충전 조치에 근거하여 제어)을 출력하고, 상기 제2비교결과전압은 하이 레벨 혹은 로 레벨일 수 있고, 구동수단(504)의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5에 비하여 제2트랜지스터Q2를 생략할 수가 있고, 상기 구동수단(504)은 제1트랜지스터Q1를 포함할 수가 있으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는 전원VCC과 연결되고, 베이스는 상기 비교수단(502) 및 충전제어수단(503)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비교수단(502)에 의해 출력되는 제1비교결과전압 및 충전제어수단(503)에 의해 출력되는 제2비교결과전압을 접수하고,이미터는 접지되며, 그중 상기 컬렉터는 상기 스위치유닛(505)에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가 컷인되면, 상기 스위치유닛(505)이 턴 오프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가 컷 오프되면, 상기 스위치유닛(505)은 컷인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비교수단(502) 및 충전제어수단(103)에연결되고, 상기 비교수단(502)에 의해 출력되는 제1비교결과전압 및 충전제어수단(503)에 의해 출력되는 제2비교결과전압을 접수시, 상기 제1비교결과전압과 제2비교결과전압중의 임의의 하나가 하이 레벨이면,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컷인되고, 다시말하면 비교수단(502)에 의해 현재의 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를 초과하여 하이 레벨의 제1비교결과전압을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혹은 충전제어수단(503)에 의해 현재의 작동온도가 상기 제2온도임계치를 초과하여 하이 레벨의 제2비교결과전압을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가 하이 레벨을 접수하도록 함으로써, 제1트랜지스터Q1가 컷인되고, 스위치유닛(505)이 턴 오프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4)은 제1트랜지스터Q1 및 제2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는 전원VCC에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상기 비교수단(502) 및 충전제어수단(503)에 연결되며, 상기 비교수단(502)에 의해 출력되는 제1비교결과전압 및 충전제어수단(503)에 의해 출력되는 제2비교결과전압을 접수하며, 제1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가 접지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는 상기 스위치유닛(505)에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에 연결되며,제2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는 접지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Q1가 컷인되면, 상기 제2트랜지스터Q2가 컷 오프되고, 상기 스위치유닛(505)가 턴 오프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Q1가 컷 오프되면,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는 컷인되고, 상기 스위치유닛(505)은 컷인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기타 형태에 의해 구동수단(504)의 기능을 실현할 수가 있고, PNP형 트랜지스터 혹은 mos튜브 등에 의해 상기 스위치유닛(505)을 구동시킬수가 있으며, 그중 상기 스위치유닛은 예하면 릴레이일 수 있고, 예하면 비교수단(502)에 의해 출력되는 제1비교결과전압을 디지털 형식으로 전환시키고, 상기 충전제어수단(503)에 의해 출력된 디지털 형식의 제2비교결과전압과 “OR”동작을 진행하고, 양자중의 하나가 하이 레벨이면, 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의미하고, 스위치유닛(505)을 턴 오프하며, 디지털 회로중의 게이트 회로에 의해 상기 판단과 조작을 진행하고, 기타 형태의 판단과 작동회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장치는 상기 비교수단(502)과 충전제어수단(503)사이에 연결되는 보상수단(50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제어수단(503)에 의해 상기 기준전압에 편차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해내면, 상기 보상수단(506)에 조절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기준전압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502)에 기준전압을 출력하는 전기소자가 노화되거나 혹은 작동온도에 변화가 발생되어 이부분의 전기소자에 변화가 발생됨으로써, 기준전압에 드리프트가 발생되면, 충전제어수단(503)에 의해 기준전압을 조절하여, 기준전압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함으로써, 비교수단(502)의 온도판단의 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다. 충전제어수단(503)은 상기 기준전압을 획득하여, 상기 온도전압에 의해 상기 소정된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기준전압에 대한 조절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기준전압에 인가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수단(506)은 제3트랜지스터Q3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는 전원VCC 및 상기 비교수단(502)의 기준전압에 연결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상기 충전제어수단(503)에 연결되며,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이미터는 접지되고, 상기 충전제어수단(503)은 상기 접수된 기준전압과 소정된 임계값이 상이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조절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상의 기준전압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제어수단(503)의 입력 베이스 핀은 비교수단(502)의 제2입력단의 기준전압에 연결되고, 비교수단(502)의 제2입력단의 기준전압을 획득하고, 기준전압이 전기소자의 변화로 드리프트가 발생시, 충전제어수단(503)에 의해 획득된 기준전압은 소정된 임계값과 상이하고, 예하면 설치된 기준전압이 0.5V이고, 설치된 소정된 임계값이 마찬가지로 0.5V이지만, 드리프트후의 기준전압이 0.48V이면, 충전제어수단(503)은 수집된 기준전압과 소정된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 상이하면, 출력 베이스 핀에 의해 조절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3트랜지스터Q3를 컷인함으로써 비교수단(502)의 제2입력단에 입력되는 기준전압을 조절하되, 0.48V로부터 설정된 0.5V로 조절한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수단(503)은 제1출력 베이스 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온도전압에 근거하여 펄스변조신호(PWM)을 출력함으로써 충전 전류의 전력을 조절 및 출력하고, 전기차량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펄스변조신호를 상기 전기차량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제어장치의 소자의 온도가 상승 혹은 하강됨에 따라,충전제어수단(503)은 온도가 상승 혹은 하강하는 정도(온도상승시 소정된 임계값에 달하지 않고, 즉 온도가 안전 충전 온도를 초과하지 않음)에 따라, 출력하는 충전 전류의 전력을 하강 혹은 상승시키고, 예하면 교류 충전에 관하여, 온도상승은 충전 전류를 8A로부터 6A로 조절하는 PWM신호를 통하여 실현되는 바, 해당 충전전력을 조절출력하는 PWM신호를 전기차량의 배터리관리시스템(BMS)으로 송신하고, BMS시스템은 전기차량의 전력조절수단을 통하여 상응한 충전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에 대하여 충전한다. 따라서, 충전 전류의 세기를 하강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가 있고, 충전제어장치의 소자의 온도가 상승된 후 여전히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유지할 수 있고, 종래기술과 같이 직접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지 않음으로써,충전 효율성을 높이고, 전기차량 충전에 대한 유저의 사용 체험감을 높일 수가 있다.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수단(503)은 제2출력 베이스 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온도전압에 근거하여 충전전력조절신호(CAN/Ethernet)을 출력하고, 전기차량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충전전력조절신호를 상기 전기차량에 출력한다.
상기 충전제어장치는, 충전제어수단(503)과 스위치유닛(505)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전력조절신호에 근거하여 충전 전류의 전력을 조절출력하는 전력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제어장치소자 예하면 전원 커넥터의 온도가 상승 혹은 하강되므로, 충전제어수단(503)은 온도가 상승 혹은 하강하는 정도(온도상승시 소정된 임계값에 달하지 못함, 즉 온도가 안전 충전 온도를 초과하지 않음)에 따라, 출력하는 충전 전류의 전력을 하강 혹은 상승시키고, 예하면 직류 충전에 관하여, 충전제어수단(503)은 전력조절수단에 충전전력조절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전력조절수단에 출력하는 충전 전류의 전력을 하강 혹은 상승시키며, 전원 커넥터내의 작동온도가 온도임계치를 초과하면(예하면,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이거나 혹은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인쇄기판의 제2작동온도가 제5온도임계치이상 등 상황), 즉 안전 충전 온도를 초과하면, 충전제어수단(503) 혹은 비교수단(502)은 스위치유닛(505)을 턴 오프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유닛(505)이 턴 오프된 후, 상기 전력조절수단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 전류의 출력을 정지함으로써, 충전제어장치 내부 및 전기차량의 배터리의 온도를 하강시켜, 충전 과정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그중, 상기 충전제어수단(503)에 의해 출력되는 충전전력조절신호는 충전제어장치상의 충전 건의 CAN버스 혹은 이더넷 버스를 통해 전기차량의 BMS시스템으로 송신되고, BMS시스템에 의해 충전전력조절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제어장치스위치유닛(505)으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에 대하여 상응한 전력으로 충전한다. 이로써, 충전 전류의 세기를 하강시키도록 제어하고, 충전제어장치소자의 온도가 상승된 후 여전히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유지하고, 종래기술과 같이 직접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지 않음으로써, 충전 효율성을 높이고, 전기차량 충전에 대한 유저의 사용체험감을 높일 수가 있다.
계속하여 도5를 참조하면, 도면중 VCC는 전기 공급 전압원의 양극 단자(이하, 전원이라 약칭함)이고, GND은 전기 공급 전압원의 음극 단자이며, VREF은 기준전압 즉 설정된 온도임계치로서, 저항R7과 연결되고, 저항R7의 타단은 연산 증폭기의 정방향 입력리드(제2입력단)와 연결되며, 기준전압VREF은 고정값일 수 있고, 충전제어수단(503) 내부의 소정된 임계값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충전제어장치에 의해 온도임계치를 자동조절할 수가 있다. 서미스터RT1는 감열소자이고, 서미스터RT1은 일단이 접지되고, 타단이 저항R3과 연결되어 온도검출수단(501)을 구성하고, 온도검출수단(501)은 비교수단(502)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즉 저항R3은 서미스터RT1의 접속점과 연산 증폭기U1의 역방향입력단리드(제1입력단)에 연결되며, 서미스터RT1는 저항R3과 분압회로를 구성하고, 서미스터RT1는 NTC형 서미스터일 수 있으며, 전원 커넥터내의 작동온도가 상승시, 서미스터RT1의 저항값이 감소되고, 그 분압값의 온도전압Vi의 전압값이 감소되며, 반대로 온도가 하강되면, Vi값이 상승한다. 저항R6은 연산 증폭기U1의 출력리드(출력단)과 정방향리드(제2입력단)가 연결된 피드백저항이다.
Vi<VREF시, 그중 Vout은 연산 증폭기U1의 출력단이고, 연산 증폭기U1은 하이 레벨을 출력하며, Vi>VREF , U1은 로 레벨을 출력하고, Vout는 다이오드D1의 일단에 연결되고, D1의 타단은 저항R4에 연결되며, 저항R4의 타단은 구동수단(504)의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저항R5의 일단은 전원VCC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1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에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제1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저항R5의 접속점에 연결되며, 제2트랜지스터Q2의 이미터는 GND에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는 스위치유닛(505)의 제어단에 연결된다. Vout가 하이 레벨인 경우, 제1트랜지스터Q1가 컷인되고, 제2트랜지스터Q2가 컷 오프되며, 전력공급망의 스위치K1(스위치K1는 전기차량으로 진입되는 충전 전류의 통로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위치K1가 턴 오프되면, 직접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 전류를 턴 오프하고, 충전 과정을 정지한다)가 턴 오프되고, 전기차량으로 출력하는 충전 전류가 턴 오프된다. Vout에 의해 로 레벨을 출력하면, 제1트랜지스터Q1가 컷 오프되고, 제2트랜지스터Q2가 컷인되며, 상기 전력공급망스위치K1가 폐쇄되고,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 전류의 출력을 유지하며, L_IN, K1와 L_OUT는 메인 전력공급망중의 하나의 통로이고, 작동온도가 온도임계치를 초과하면, Vout은 하이 레벨을 출력하고, 전력공급망을 턴 오프하며, L_OUT이 출력하는 충전 전류는 0이다.
그중, 서미스터RT1는 연산 증폭기U1 등 기타 전기소자와 집적될 수도 있고,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서미스터RT1의 수량은 하나일 수도 있고, 다수개 일 수도 있으며, 충전제어장치의 상이한 부위에 위치하여, 충전제어장치중의 상이한 부위의 작동온도 혹은 전기소자의 온도를 수집할 수 있고, 예하면 서미스터RT1를 전원 커넥터에 장착하고, 충전제어캐비닛의 인쇄기판 등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연산 증폭기U1는 히스테리시스콤퍼레이터일 수 있고, 스위치K1는 작동온도가 온도임계치부근에 도달시 스위치유닛(505)이 폐쇄 및 턴 오프의 두 상태를 빈번히 전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원 커넥터의 제1작동온도≥T2(제2온도임계치)시, 스위치유닛(505)은 턴 오프되고, 제1작동온도≤T1(제1온도임계치)시, 스위치유닛(505)이 폐쇄되면(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제어캐비닛의 제2작동온도≥T5(제5온도임계치)시, 스위치유닛(505)가 턴 오프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참조), 그중T2>T1, 저항R6과 저항R7의 전기 저항값을 조절하여 T2-T3의 차이값을 변경할 수가 있다. 히스테리시스전압의 폭은 △V=(R7/R6)×(VH-VL)이고, 그중 VH는VCC이고, VL는 0V이며, 히스테리시스콤퍼레이터의 두개의 임계치전압은 u+=(VH- VREF)×R7/(R7+R6), u-=(VL- VREF)×R7/(R7+R6)이다. 히스테리시스콤퍼레이터의 출력전압이 Vout=VH이면, VREF =u+이고, 온도전압Vi이 VREF이상이면, 히스테리시스콤퍼레이터의 출력전압Vout은 VL으로 변경되며, VREF포인트 전압도 u-로 변경되고, 이러한 조건하에서 Vi의 전압이 VREF미만이면, 출력전압Vout은 VH로 변경된다. 왜냐하면 u+-u-=△V이므로, 일반적인 콤퍼레이터와 비교하여 히스테리시스콤퍼레이터의 감도가 낮으나, 간섭 차단능력은 크게 제고된다.
전기차량의 충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충전제어수단(503)은 온도전압Vi과 기준전압VREF을 수집하고, 기준전압VREF과 소정된 임계값사이에 편차가 검출되면,즉, 기준전압VREF에 변화가 발생하면, 보상수단(506)을 통하여 기준전압VREF의 값을 조절하고, 기준전압VREF의 값을 보정하여, 온도판단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중 충전제어수단(503)의 일 출력단은 저항R1에 연결되고, 저항R1의 타단은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제3트랜지스터Q3의 이미터는 GND에 연결되고, 제3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는 저항R2의 일단에 연결되며, 또한 기준전압VREF에 연결될 수 있고, 저항R2의 타단은 전원VCC에 연결되며, 충전제어수단(503)은 조절전압을 출력하여 제3트랜지스터Q3이 컷인되는 듀티비를 제어하여 기준전압VREF을 조절한다.
충전제어수단(503)은 이와 연결된 저항R8의 피드백에 의해 스위치K1상태를 검출하고, 작동온도가 온도임계치를 초과시(예하면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작동온도가 제5온도임계치이상), 스위치K1가 여전히 컷인상태를 유지하면, 비교수단(502)에 따른 스위치K1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한 것을 설명하고, 충전제어수단(503)은 Vi를 통하여 소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소정된 임계값에 달하거나 혹은 초과시, 하이 레벨을 출력하고,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제1트랜지스터Q1을 컷인시키고, 제2트랜지스터Q2를 컷 오프시킴으로써, 전력공급망을 턴 오프한다. 비교수단(502)과 충전제어수단(503)에 의해 온도검출수단(501)에 대한 이중 검출을 수행하고, 구동수단(504)에 대하여 이중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 안전성을 높인다.
도6a은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제어장치와 전기차량의 충전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본 실시예는 교류 충전 시스템이고, 작동온도가 상승하나 설정된 온도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예하면, 제1작동온도가 상승하나 설정된 제2온도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제2작동온도가 상승하나 설정된 제5온도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음), 충전제어장치(600)의 충전제어수단(603)은 조절후의 PWM신호를 출력하고,예하면 충전 전류가 8A시 대응하는 듀티비 값(PWM신호)은 13.3%, 충전 전류가 6A시 대응하는 듀티비 값(PWM신호)가 10%로 충전 전류의 전력을 조절하고,충전제어수단(603)은 보정후의 충전전력조절듀티비신호를 전기차량의 전력조절수단(607)에 출력하고, 전력조절수단(607)은 전기차량의 BMS시스템의 제어하에 충전 전류의 세기를 하강시키고, 온도검출수단(601)에 의해 전원 커넥터내의 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검출시, 상기 스위치유닛(605)가 턴 오프되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다.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제어수단(603)은 충전 전류의 전압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가 있다.
도6a에 있어서 구동수단(604)의 구동신호를 획득하여 제어수단(603)을 충전함으로써 구동수단(604)이 스위치유닛(605)을 정확하게 구동하는지를 판단하는 피드백수단608을 더 포함한다.
그중, 도7c은 본 실시예의 전력조절수단(607)을 보여주는 구조개략도로서, 푸시 풀 회로로 구성되고, 충전제어수단(603)은 보정후의 PWM신호를 출력하고, CP단은 VCC를 하이 레벨로하고, VEE을 로 레벨로 하는 PWM신호를 출력하고, 듀티비는 최대로 허용가능한 충전 전류를 표시하며, 듀티비를 하강시켜 충전전력을 하강시킨다. 본 실시예의 회로에 있어서, 트랜지스터Y1는 정 반주에서 컷인되고, 트랜지스터Y2는 부 반주에서 컷인된다.
도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제어장치와 전기차량의 충전 구조의 다른 한 개략도로서, 본 실시예는 직류 충전 시스템을 도시하고, 작동온도가 상승하나 설정된 온도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예하면, 제1작동온도가 상승하나 설정된 제2온도임계치를 초과하지 않고, 제2작동온도가 상승하나 설정된 제5온도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음), 충전제어장치(600)의 충전제어수단(603)은 충전전력을 조절하고, 충전전력조절신호를 생성하며, 전기차량과 연결된 충전 건중의 CAN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해당 충전전력조절신호를 CAN메세지의 방식으로 전기차량에 송신함으로써, 충전 전류의 전력을 하강시킨다. 또한, 해당 충전전력조절신호를 충전제어장치중의 전력조절수단(607)에 출력하고, 해당 전력조절수단(607)은 충전전력조절신호에 근거하여 출력하는 충전 전류의 전력을 조절하여(전류 혹은 전압을 조절하거나 혹은 전류와 전압을 동시에 조절)전기차량의 배터리에 대하여 충전한다.
그중, 전력조절수단(607)은 충전 전류를 접수하고, 해당 충전 전류의 전력을 조절한 후에 스위치유닛(605)을 통하여 전기차량에 출력한다. 해당 전력조절수단(607)의 구조는 도7c에 도시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전류의 전력을 하강시켜 전기차량의 배터리에 대하여 충전하고, 충전 설비의 전기소자의 온도를 하강시킬수가 있고, 충전제어장치에 의해 검출된 작동온도가 온도임계치미만이면(예하면 제1온도임계치), 충전제어수단(603)은 작동온도에 근거하여 전력조절수단(607)에 제어명령를 출력하여 충전 전류의 전력을 회복시키고, 충전 속도를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전기차량의 충전 안전을 보장하는 전제하에서, 충전 효율성을 높이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수가 있으며, 전원 커넥터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내의 제2작동온도를 결합하여 충전전력을 조절함으로써, 전기차량 의 충전 안전성을 더 높일 수가 있다.
본 실시예는 또한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상에서 운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시 하기 절차를 수행한다.
제1충전전력에 의해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과정중, 전원 커넥터 내부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절차;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온도임계치미만이며,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5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출력하는 제1충전전력을 제2충전전력으로 하강시키는 절차;및
상기 제1작동온도가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의 충전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절차.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는 도4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할 수가 있다.
도4의 방법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는 또한 비휘발성 컴퓨터가독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해당 비휘발성 컴퓨터가독저장매체상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운행시 상기 방법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가독명령을 제공하는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명령을 수행시, 그중의 프로그램은 프로세서가 도4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각종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숫자는 수행순서의 선후관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바, 각 과정의 수행순서는 그 기능 및 내재적인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실시예의 실시과정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할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대상의 연관관계를 서술하는 것으로서, 세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예하면, A 및/또는 B는 A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며, B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이러한 세가지 상황을 말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부호“/”는 일반적으로 선후 관련대상은 “혹은”의 관계인것을 표시한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기재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산출절차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소프트웨어 혹은 양자의 결합으로 실현될 수가 있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명세서에 있어서 이미 기능에 따라 각 예시의 일반적인 구성 및 절차를 서술하였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안의 특정된 응용과 디자인의 약속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러한 수행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월한다고 이해되어서는 않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 및 수단의 구체적인 작동과정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방법 실시예에 따른 대응 과정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출원에 제공되는 실시예들에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에 의해 실현할 수가 있다. 예하면, 이상 기재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서, 예하면 상기 유닛의 획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성 획분으로서, 실제 실현시 기타 다른 획분 방식이 있을수 있고, 예하면 다수의 유닛 혹은 부재를 서로 결합하거나 혹은 다른 한 시스템에 집적시키거나 혹은 일부 특징들을 생략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표시 혹은 검토되는 서로간의 결합 혹은 직접적인 결합 혹은 통신연결은 일련의 인터페이스, 장치 혹은 유닛의 간접적인 결합 혹은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기적인 혹은 기계적인 혹은 기타 형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부재로서 설명되는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부재일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으며,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인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으며, 어느 한 부위에 위치되거나 혹은 다수의 인터넷 유닛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혹은 전부의 유닛에 의해 본 실시예의 기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한편, 본 출원의 각 실시예중의 각 기능유닛은 어느 한 처리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 유닛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혹은 그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기능유닛의 형식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이 소프트웨어기능유닛의 형식으로 실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혹은 사용될 시 컴퓨터가독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의하면, 본 출원의 기술안은 본질상 혹은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혹은 해당 기술안의 전부 혹은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다수의 명령을 포함하여 컴퓨터 장치(PC, 서버 혹은 인터넷 설비 등)에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절차를 수행시킬수가 있다. 상기된 저장매체는 USB 디스크, 외장하드,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Random Access Memory), 디스크 혹은 광디스크 등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매체일 수 있다.
본 출원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출원의 원리 및 실시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상의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방법 및 그 핵심적인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사상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적용범위에 대하여 변경할 수가 있으므로, 본 출원은 본 설명서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전기차량 ;
101 차량 커넥터;
102 충전제어캐비닛;
103 충전제어수단;
104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
105 전원 커넥터;
106 충전 전원;
201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
202 충전제어수단;
203 메모리;
204 제시수단;
205 통신수단;
206 필터;
207 PCB온도검출수단;
501 온도검출수단;
502 비교수단;
503 충전제어수단;
504 구동수단;
505 스위치유닛;
506 보상수단;
600 충전제어장치;
601 온도검출수단;
602 비교수단;
603 충전제어수단;
604 구동수단;
605 스위치유닛;
606 보상수단;
607 전력조절수단;
608 피드백수단;
701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702 온도검출수단;
703 신호전송라인;
704 접지선;
705 충전 케이블;
R1,R2,R3,R4,R5,R6,R7,R8 저항;
RT1, 서미스터;
U1 연산 증폭기;
D1,D2 다이오드;
Q1,Q2,Q3 트랜지스터;
K1 스위치;
VCC 전원;
VREF 기준전압;
Vi 온도전압;
Vout 출력단;
Y1,Y2 트랜지스터;
C1,C2 커페시터;
FB1 저항.

Claims (21)

  1.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충전전력으로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과정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 내부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절차;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온도임계치미만이며,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5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출력하는 제1충전전력을 제2충전전력으로 하강시키는 절차; 및
    상기 제1작동온도가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의 충전전력으로 상기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온도가 소정된 시간구간내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상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거나; 혹은,
    상기 제2작동온도가 상기 제5온도임계치이상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이고, 상기 제2작동온도가 상기 제5온도임계치이상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온도가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하이면,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인 충전전력으로 상기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것은,
    상기 제2작동온도가 다른 소정된 시간구간내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제4온도임계치이상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후에,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을 기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후에,
    상기 제1작동온도가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되고,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되면,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을 판단하고,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이 제2작동온도가 제5온도임계치이상인 것이거나,
    혹은,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이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인 것이거나,
    혹은,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이 제1작동온도가 제2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작동온도가 제5온도임계치이상인 것이면,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회복시키지 않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에 근거하여 상기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이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인 것이거나,
    혹은,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이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인 것이거나,
    혹은, 상기 본 차례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정지한 원인이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인 것이면,
    상기 전기차량에 대한 충전을 회복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 내부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온도검출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전원 커넥터 내부의 라이브와이어 터미널 및/또는 중립와이어 터미널상의 제1작동온도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온도검출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인쇄기판 및/또는 인쇄기판상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온도임계치미만이며,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제2충전전력보다 높은 충전전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하이고,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5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제2충전전력보다 높은 충전전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미만이고,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제2충전전력보다 높은 충전전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온도가 상기 제4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하면,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이고 0보다 큰 충전전력으로 상기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임계치는 제4온도임계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온도임계치는 상기 제1온도임계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임계치는 제5온도임계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5온도임계치는 상기 제2온도임계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19.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에 있어서,
    전원 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충전전력으로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과정중, 전원 커넥터 내부의 제1작동온도 및 충전제어캐비닛 내부의 제2작동온도를 획득하는 전원커넥터온도검출수단;
    상기 제1작동온도가 제1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2온도임계치미만이며, 상기 제2작동온도가 제4온도임계치이상이고 제5온도임계치미만이면, 상기 전기차량으로 출력하는 제1충전전력을 제2충전전력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제1작동온도가 상기 제1온도임계치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1충전전력이하의 충전전력으로 상기 전기차량에 대하여 충전하는 충전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
  20.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운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시 상기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21. 비휘발성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시 상기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명령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
KR1020237012674A 2020-11-06 2021-06-25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 및 방법 KR202300761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233775.5 2020-11-06
CN202011233775.5A CN112248866B (zh) 2020-11-06 2020-11-06 一种电动车辆充电控制装置及方法
PCT/CN2021/102340 WO2022095472A1 (zh) 2020-11-06 2021-06-25 一种电动车辆充电控制装置及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134A true KR20230076134A (ko) 2023-05-31

Family

ID=7426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674A KR20230076134A (ko) 2020-11-06 2021-06-25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4242051A4 (ko)
JP (1) JP2023548701A (ko)
KR (1) KR20230076134A (ko)
CN (1) CN112248866B (ko)
CA (1) CA3196680A1 (ko)
MX (1) MX2023005158A (ko)
WO (1) WO2022095472A1 (ko)
ZA (1) ZA2023048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3705226U (zh) * 2020-11-06 2021-07-16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电动车辆充电控制装置
CN112248866B (zh) * 2020-11-06 2022-04-29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电动车辆充电控制装置及方法
CN113750402A (zh) * 2021-08-17 2021-12-07 广州玖晔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充电站的消防方法及装置
CN115206741B (zh) * 2022-08-26 2024-03-26 天津加美特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集群式电动汽车充电装置控制箱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9856B2 (en) * 2011-02-23 2014-05-20 Lear Corporation Thermal wall plug sensing and control
DE102011006146A1 (de) * 2011-03-25 2012-09-27 Heinrich Kopp Gmbh Kommunikationsmodul für Ladegeräte von Elektrofahrzeugen
CN104205554B (zh) * 2012-03-08 2017-09-0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充电线缆
CN105471034A (zh) * 2015-12-23 2016-04-06 无锡蕴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充电器的环境自适应控制方法
CN107015049B (zh) * 2017-05-03 2018-07-27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智能型高可靠性电动汽车缆上控制与保护装置
CN110673667B (zh) * 2018-07-03 2021-12-21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充电连接装置的智能温控方法及装置
US20200282851A1 (en) * 2019-03-06 2020-09-10 Tesla, Inc. Liquid cooled charging cable and connector
CN210191184U (zh) * 2019-04-26 2020-03-27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传导充电系统
CN209880993U (zh) * 2019-05-17 2019-12-31 汉宇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装置
CN110481358B (zh) * 2019-09-16 2024-06-04 浙江致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枪总成及充电方法
CN211000963U (zh) * 2019-10-17 2020-07-14 安波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故障检测作用的多功能充电控制盒
CN110949156A (zh) * 2019-12-31 2020-04-03 深圳市高斯宝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小功率直流充电器
CN112248866B (zh) * 2020-11-06 2022-04-29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电动车辆充电控制装置及方法
CN213705226U (zh) * 2020-11-06 2021-07-16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电动车辆充电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5472A1 (zh) 2022-05-12
CN112248866B (zh) 2022-04-29
CN112248866A (zh) 2021-01-22
EP4242051A4 (en) 2024-05-01
EP4242051A1 (en) 2023-09-13
ZA202304809B (en) 2024-01-31
MX2023005158A (es) 2023-07-14
CA3196680A1 (en) 2022-05-12
JP2023548701A (ja) 202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76134A (ko)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 및 방법
KR20230001139U (ko) 전기차량의 충전제어장치
KR102173777B1 (ko) 마스터 배터리 관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US105415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ack
KR20230076133A (ko) 전기차량의 충전 제어방법 및 장치
ES2715395T3 (es) Aparato y método de carga de baterías
KR101445785B1 (ko) 전자 변환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전자 변환기, 조명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물건
US8880916B2 (en)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attery management systems
US20150326008A1 (en) Fault protection circuit
US20100091524A1 (en) Electronic Power Protection Circuit And Applications Thereof
JPWO2013035183A1 (ja) 電池システム監視装置
KR101416816B1 (ko)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JP3244024U (ja) 温度制御保護装置及び対応する充電装置
US9071079B2 (en) Power supply system with multiple power sources in parallel
KR101701425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보조 전지 제어 장치
KR20190117906A (ko) 차량용 제어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112189A (ja) 電気機器
CN111641741B (zh) 充电设备
JP3435862B2 (ja) 充電装置
JP3435861B2 (ja) 充電装置
WO2021102901A1 (zh) 电池检测电路、方法及电池、电子设备、存储介质
CN112769112A (zh) 路灯装置及其突波保护装置
JPH08167431A (ja) 充電装置
JPH08191544A (ja) 充電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