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954A -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954A
KR20230074954A KR1020210161073A KR20210161073A KR20230074954A KR 20230074954 A KR20230074954 A KR 20230074954A KR 1020210161073 A KR1020210161073 A KR 1020210161073A KR 20210161073 A KR20210161073 A KR 20210161073A KR 20230074954 A KR20230074954 A KR 2023007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exhibition
exhibit
failure
susp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환
Original Assignee
(주)샘터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샘터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샘터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1016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4954A/ko
Publication of KR2023007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은, 제1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하여 복수의 전시물이 전시되어 있는 전시장을 모니터링하여 장애 발생이 의심되는 장애 의심 전시물을 식별하는 전체 모니터링부;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상세 모니터링부; 및 상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전시물을 통보하는 장애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체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식별하고, 상기 상세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ABILITY OF EXHIBITS BASED ON AI IMAGE RECOGNITION}
본 발명은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I 영상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전시물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해당 전시물의 장애를 보고할 수 있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시장에는 다양한 전시물들이 설치되고 있으며, 특히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형태의 전시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시물들은 동작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동작 오류 또는 장애는 전시물의 관람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시물의 장애는 최대한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시물의 동작 오류 또는 장애를 파악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시물 또는 장비에 설치된 센서나 로그 정보 등에 기초하여 동작 오류 또는 장애를 파악하고 관리 시스템에서 감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전시물(110)에는 센서부(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센서부(112)는 전시물의 특정 동작을 센싱한다. 센서부(112)를 통해 센싱된 값을 점검 매뉴얼과 대조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전시물의 동작이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판별되면 이는 관리 시스템(120)의 감지부(122)에 통지되어 전시물의 장애를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방식에서는 전시물 또는 장비에 센서나 정보 시스템 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설치 없이 전시물이 이미 구축되어서 수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장애를 인식하고 알림을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54795호, "전시물 관리 시스템" 등록특허공보 제10-2053620호, "전시장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전시물에 별도의 장비를 설치할 필요 없이 전시물의 동작 오류 또는 장애를 검출할 수 있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영상인식에 기초하여 전시물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해당 전시물의 동작 오류 또는 장애를 검출할 수 있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영상인식에 기초하여 전시장의 다수의 전시물의 동작 상황을 1차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동작 오류 또는 장애가 의심되는 전시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2차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해당 전시물의 동작 오류 또는 장애를 검출할 수 있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은, 제1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하여 복수의 전시물이 전시되어 있는 전시장을 모니터링하여 장애 발생이 의심되는 장애 의심 전시물을 식별하는 전체 모니터링부;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상세 모니터링부; 및 상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전시물을 통보하는 장애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체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식별하고, 상기 상세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체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 특정 전시물의 전시 공간에 일정 시간 이상 관람객이 없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특정 전시물을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세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의 화면이 일정 시간 이상 변화가 없거나 정상 동작 화면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애 관리부는 상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전시물이 운영 대상 전시물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통보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는 멀티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카메라는 전시장 전체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위치, 방향,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방법은, 제1 카메라를 통하여 복수의 전시물이 전시되어 있는 전시장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장애 의심 전시물을 식별하는 단계; 제2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전시물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 특정 전시물의 전시 공간에 일정 시간 이상 관람객이 없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특정 전시물을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의 화면이 일정 시간 이상 변화가 없거나 정상 동작 화면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전시물이 운영 대상 전시물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는 멀티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카메라는 전시장 전체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위치, 방향,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시물에 별도의 장비를 설치할 필요 없이 전시물의 동작 오류 또는 장애를 검출할 수 있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반 영상인식에 기초하여 전시물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해당 전시물의 동작 오류 또는 장애를 검출할 수 있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반 영상인식에 기초하여 전시장의 다수의 전시물의 동작 상황을 1차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동작 오류 또는 장애가 의심되는 전시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2차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해당 전시물의 동작 오류 또는 장애를 검출할 수 있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 또는 복수형으로 표현된 부분은 필수불가결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수형 및 복수형인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서만 사용되고,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직접 연결된 경우와 함께,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된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직접 연결" 또는 "바로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한 경우에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없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도 동일한 취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200)은 전체 모니터링부(210), 상세 모니터링부(220) 및 장애 관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 모니터링부(210)는 카메라 A(212)를 포함하며, 복수의 전시물이 전시되어 있는 전시장을 전체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A(212)는 전시장 내 복수의 전시물과 관람객들의 체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A(212)는 하나의 카메라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카메라가 연동되는 멀티카메라일 수도 있다. 전체 모니터링부(210)는 카메라 A(21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초하여 분석할 수 있다. AI 영상인식은 통상의 기계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AI 영상인식의 특정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전체 모니터링부(210)는 카메라 A(21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특정 전시물의 전시 공간에 일정 시간 이상 관람객이 없는 것으로 판별되면, 해당 전시물을 장애 의심 대상으로 분류하여, 상세 모니터링부(220)에서 보다 상세한 모니터링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AI 영상인식에 기초한 분석한 결과, 전시물 #1의 전시 공간에는 관람객이 다수 존재하는 반면, 전시물 #2의 전시 공간에는 일정 시간 이상 관람객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전시물 #2에 동작 오류 또는 장애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전시물 #2에 대한 상세 모니터링을 상세 모니터링부(220)에서 진행할 수 있다.
상세 모니터링부(220)는 카메라 B(222)를 포함하며, 동작 오류 또는 장애가 의심되는 전시물에 대하여 상세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B(222)는 동작 오류 또는 장애가 의심되는 전시물의 화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B(222)는 관람객이 없는 것으로 식별된 전시공간의 전시물을 대상으로 하여 해당 전시물의 화면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상세 모니터링부(220)는 카메라 B(2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초하여 분석할 수 있다. 상세 모니터링을 위한 AI 영상인식 또한 통상의 기계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AI 영상인식의 특정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세 모니터링부(220)는 카메라 B(2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해당 전시물의 화면이 일정 시간 이상 변화가 없거나 정상 동작 화면이 아닌 상태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별되면, 해당 전시물의 동작 오류 또는 장애 상태를 장애 관리부(230)에 통지할 수 있다.
장애 관리부(230)는 동작 오류 또는 장애 상태의 전시물이 운영 대상 전시물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동작 오류 또는 장애 상황을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 관리부(230)는 해당 전시물이 작업 일정이나 공사 등으로 인해 운영을 잠시 중단한 전시물인지, 아니면 정상 운영을 해야 하는 운영 대상 전시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전시물이 정상 운영을 해야 하는 운영 대상 전시물에 해당하는 경우, 장애 관리부(230)는 해당 전시물의 동작 오류 또는 장애 상황을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관리자 통보는 관리자 모니터 및/또는 단말기 등 전자 기기를 통하여 이뤄질 수 있으며, 전자 기기의 종류나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A(212)와 카메라 B(222)는 멀티카메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 A(212)와 카메라 B(222)는 하나의 동일한 카메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의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카메라의 위치, 방향, 각도 등이 전체 모니터링 진행시와 상세 모니터링 진행시 각각에 있어서 모니터링 대상을 적절히 촬영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으면, 카메라의 형태와 구성은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전체 모니터링부(210), 상세 모니터링부(220) 및 장애 관리부(230)는 하나의 서버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서버에 나눠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방법은 카메라 A(212)를 통해 전체 전시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단계 302). 카메라 A(212)는 하나의 카메라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카메라가 연동되는 멀티카메라일 수도 있다.
카메라 A(212)의 촬영 영상은 AI 영상인식에 기초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전체 전시공간 중 관람객이 없는 전시공간을 식별할 수 있다(단계 304). AI 영상인식은 통상의 기계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AI 영상인식의 특정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일정 시간 동안 관람객이 없는 전시공간을 식별하기 위하여(단계 306), 카메라 A(212)에 의한 전시공간 촬영(단계 302)과 AI 영상인식에 기초한 촬영 영상 분석(단계 304)을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소정의 전시공간에 관람객이 없는 것으로 판별되면(단계 306), 카메라 B(222)를 통해 장애가 의심되는 전시물을 촬영할 수 있다(단계 308).
장애가 의심되는 전시물을 촬영하기 위하여, 카메라 B(222)는 관람객이 없는 것으로 식별된 전시공간의 전시물을 대상으로 하여 자동으로 위치 및 각도 등이 조정되어 해당 전시물의 화면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단계 308). 카메라 B(222)는 카메라 A(212)와 동일한 하나의 카메라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카메라가 연동되는 멀티카메라일 수도 있다.
카메라 B(222)의 촬영 영상은 AI 영상인식에 기초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전시물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전시물의 화면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단계 310). AI 영상인식은 통상의 기계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AI 영상인식의 특정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일정 시간 동안 전시물의 화면이 비정상인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단계 312), 카메라 B(222)에 의한 장애 의심 전시물 촬영(단계 308)과 AI 영상인식에 기초한 촬영 영상 분석(단계 310)을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전시물의 화면이 변화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화면인 것으로 판별되면(단계 312), 해당 전시물이 운영 대상 전시물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314).
해당 전시물이 작업 일정이나 공사 등으로 인하여 전시를 중단하고 있는 전시물이 아니라, 운영 대상 전시물에 해당하는 경우에는(단계 314), 전시물의 장애 상황을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단계 316).
일 실시예에서, 전시물은 특정 화면의 영상이 변화하는 형태가 아니라 전시물 자체의 형태가 변화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세 모니터링은 전시물의 화면이 아니라 전시물 자체의 형태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람객은 전시물을 보는 것뿐만이 아니라 전시물의 구동을 직접 체험하는 체험객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첨부 도면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원의 도면 및 상기 설명된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과 효과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200: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210: 전체 모니터링부
212: 카메라 A
220: 상세 모니터링부
222: 카메라 B
230: 장애 관리부

Claims (12)

  1.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으로서,
    제1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하여 복수의 전시물이 전시되어 있는 전시장을 모니터링하여 장애 발생이 의심되는 장애 의심 전시물을 식별하는 전체 모니터링부;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상세 모니터링부; 및
    상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전시물을 통보하는 장애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체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식별하고,
    상기 상세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 특정 전시물의 전시 공간에 일정 시간 이상 관람객이 없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특정 전시물을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의 화면이 일정 시간 이상 변화가 없거나 정상 동작 화면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관리부는 상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전시물이 운영 대상 전시물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통보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는 멀티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전시장 전체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위치, 방향,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7.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방법으로서,
    제1 카메라를 통하여 복수의 전시물이 전시되어 있는 전시장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장애 의심 전시물을 식별하는 단계;
    제2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전시물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장애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 특정 전시물의 전시 공간에 일정 시간 이상 관람객이 없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특정 전시물을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장애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AI 영상인식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의 화면이 일정 시간 이상 변화가 없거나 정상 동작 화면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장애 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전시물이 운영 대상 전시물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장애 관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는 멀티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장애 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전시장 전체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장애 의심 전시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위치, 방향,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장애 관리 방법.
KR1020210161073A 2021-11-22 2021-11-22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74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073A KR20230074954A (ko) 2021-11-22 2021-11-22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073A KR20230074954A (ko) 2021-11-22 2021-11-22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954A true KR20230074954A (ko) 2023-05-31

Family

ID=8654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073A KR20230074954A (ko) 2021-11-22 2021-11-22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495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95B1 (ko) 2016-11-18 2019-03-06 국립부산과학관 전시물 관리 시스템
KR102053620B1 (ko) 2018-02-19 2019-12-09 국립부산과학관 전시장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95B1 (ko) 2016-11-18 2019-03-06 국립부산과학관 전시물 관리 시스템
KR102053620B1 (ko) 2018-02-19 2019-12-09 국립부산과학관 전시장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8253B2 (ja) 監視カメラの画像異常検出装置
JP4803376B2 (ja) カメラ妨害検知方式
KR101187908B1 (ko) 복수의 이벤트 영상을 표시하는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복수의 이벤트 영상 표시 방법
EP2058777A1 (en) Suspicious behavior detection system and method
EP2009604A1 (en) A security device and system
US200902129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Invalid Camera in Video Surveillance
WO2005109186A2 (en) Camera tamper detection
KR101685950B1 (ko)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이 구비된 올인원 녹화 장치
KR101205265B1 (ko) 오류 자가진단 능력을 구비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KR101014842B1 (ko) Rfid 리더를 사용하는 보안용 영상 감시 시스템 및방법
CN109151463B (zh) 一种视频质量诊断系统及视频质量分析方法
KR101695127B1 (ko) 영상을 이용한 집단 행동 분석 방법
JP2012099940A (ja) 撮影妨害検知方法、妨害検知装置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2008181293A (ja) オペレータ監視制御システム
KR20230074954A (ko) Ai 영상인식 기반 전시물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032072B2 (ja) 監視装置
KR20160020748A (ko) Cctv 관리 시스템
KR20180040310A (ko) 이동경로 추출이 가능한 지능형 영상 감시시스템
KR101616973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건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KR101248154B1 (ko)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움직임 추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06332733A (ja) カメラ画像を利用した監視サービスサポートシステム
JPH0460880A (ja) 動体識別解析管理システム
JP4980687B2 (ja) 監視システム
JP2009157446A (ja) 監視システム
KR20110110495A (ko) 복수의 촬영수단간 협업을 이용한 영상추적 시스템 및 영상추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