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154B1 -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움직임 추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움직임 추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154B1
KR101248154B1 KR1020120015061A KR20120015061A KR101248154B1 KR 101248154 B1 KR101248154 B1 KR 101248154B1 KR 1020120015061 A KR1020120015061 A KR 1020120015061A KR 20120015061 A KR20120015061 A KR 20120015061A KR 101248154 B1 KR101248154 B1 KR 101248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region
image
distance
in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득
이성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to KR1020120015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06T7/248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는 입력 영상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객체 영역으로 설정하는 객체영역 설정부(101); 입력 영상을 촬영한 영상촬영 기기로부터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102); 그 산출한 이격 거리에 따라 객체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크기조절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기술에 따르면 영상촬영 기기와 객체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비교 대상 영역의 크기를 변경한 후 이를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불필요한 원거리의 변화를 움직임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근거리에 발생하는 미세한 변화, 예컨대 화소 노이즈, 불량에 의한 판단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움직임 추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MOVING OBJECT USING VARIABLE AREA SIZ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WITH MOVING ESTIMATING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촬영 기기와 객체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비교 대상 영역의 크기를 변경한 후 이를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범죄 및 사고 발생의 증가에 따라 공공시설, 기업 및 가정 등에서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보안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며, 현재 대부분의 보안 업체는 인체 감지 센서(PIR)나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하여 침입을 탐지하고, 데이터를 PSTN(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망을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부주의나 센서의 오동작에 취약할 뿐 아니라 침입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보안 시스템으로서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재 무인경비 시스템이나 CCTV(폐쇄회로 텔레비전) 감시 시스템은 사람의 집중력과 판단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 소홀로 인한 침입탐지 실패와 같은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CCTV 감시 시스템은 최근 범죄수사 분야나 보안 분야, 교통사고 처리 분야 등에서 영상정보를 통해 감시구역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영상정보기술의 하나로써, 초기에는 공공장소나 위험장소에 설치되어 범죄를 예방하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보안관리가 필요한 회사나 도로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CCTV 감시 시스템은 대부분 감시자의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감시 소홀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고, 감시할 CCTV 화면 수의 증가로 인한 실시간 대처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CCTV 감시 시스템은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에 알맞은 동작이 수행되도록 응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CCTV 감시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동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해야 한다.
종래의 동영상내 객체 검출/추적 방식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2차원 동영상으로부터 차영상, 모델, 특징점 등을 구하고 이들 화소의 움직임을 구함으로써 객체의 움직임을 추출하는 방식이었다. 즉, 객체가 없을 때의 배경만 존재할 경우의 영상과 객체가 출현했을 때의 영상과의 색차이를 이용하거나 단순히 영상간의 차이를 구하여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였다.
예를 들면, 각 프레임마다 이전 영상 프레임과 현재 영상 프레임의 차이를 구하는 차영상 비교에 의한 배경과 객체 분리 방법, 사전에 정의된 모델의 특징을 이용한 모델 기반(model-based) 방법, 프레임간 각 화소의 밝기 변화를 구하는 광류(optical flow) 방법, 입력 영상을 여러 개의 블록으로 나누고 그 연속하는 두 프레임 사이에서 가장 유사한 블록을 찾아내는 블록 정합(block matching)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동영상내 객체 검출 방법은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 상관없이 동일한 크기의 영역 기반 감지 시스템에 기초하여 동영상 내의 객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하지만,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일정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변화 차를 판단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의 불필요한 변화를 움직임으로 판단하는 오류가 발생하며 근거리의 미세한 변화, 예컨대 화소 노이즈, 불량에 의한 판단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움직임 추정에 있어서 영상촬영 기기와 개별 객체 간의 이격 거리를 반영하여 비교 대상 영역의 크기를 변경한 후 이를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100)는, 입력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영역을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영역으로 설정하는 객체영역 설정부(101); 입력 영상을 촬영한 영상촬영 기기로부터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102); 그 산출한 이격 거리에 따라 객체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크기조절부(103); 위의 크기조절부(103)에 의해 당해 크기가 변경된 객체 영역을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크기조절부(103)는 그 산출한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객체 영역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크기조절부(103)는 산출한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그거리에 상응하여 객체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임 추정장치(100)는 입력 영상을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상분할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일부 영역을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입력 영상을 촬영한 영상촬영 기기로부터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는 제 2 단계; 위 산출한 이격 거리에 대응하여 입력 영상에서 객체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 3 단계; 크기가 변경된 객체 영역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3 단계는 위 산출한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객체 영역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단계는 위 산출한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객체 영역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기술에 따르면 영상촬영 기기와 객체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비교 대상 영역의 크기를 변경한 후 이를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원거리의 불필요한 변화를 움직임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근거리에 발생하는 미세한 변화, 예컨대 화소 노이즈, 불량에 의한 판단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입력 영상에서 객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에서 입력 영상의 한 픽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입력 영상에서 영상촬영기기로부터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에 따른 한 픽셀의 실제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추정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추정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추정장치에서 크기조절부가 객체 영역을 조절한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입력 영상에서 객체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력 영상에서 객체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영역 기반 감지 시스템이 사용된다. 하지만, 영역 기반 감지 시스템은 동영상의 이전 영상 프레임(110)과 현재 영상 프레임(120)을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분할 영역 중에서 소정 영역(110의 110a 및 120의 120a)의 변화 차를 통해서 움직임 감지를 수행한다.
하지만, 영역 기반 감지 시스템은 이격거리에 상관없이 일정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변화 차를 판단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원거리의 변화를 움직임으로 판단할 수 있는 오류가 발생하고, 근거리에서도 미세한 변화, 예컨대 화소 노이즈, 불량에 대한 판단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입력 영상의 한 픽셀의실시예 및 입력 영상에서 영상촬영기기로부터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에 따른 한 픽셀의 실제영역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한 픽셀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에서 영상촬영기기로부터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에 따른 한 픽셀의 실제영역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영상촬영 기기(도 3, 10)에 의해 촬영된 입력 영상은 복수의 픽셀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입력 영상에 포함된 객체, 예를 들어 사람, 나무는 복수의 픽셀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영상촬영 기기(도 3, 10)에 의해 촬영된 입력 영상은 [도 2a]와 같이 사각형 모양의 평면이기 때문에, 영상촬영 기기(도 3, 10)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존재하는 객체의 픽셀(210a)과 영상촬영 기기(도 3, 10)로부터 먼 거리에 존재하는 객체의 픽셀(210b)과 동일하다. 즉, 영상촬영 기기(도 3, 10)와 객체 사이의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객체의 픽셀의 크기가 동일하다.
하지만, 영상촬영 기기(도 3, 10)의 화각 때문에 영상촬영 기기(도 3, 10)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존재하는 객체의 픽셀(220a)은 영상촬영 기기(도 3, 10)로부터 먼 거리에 존재하는 객체의 픽셀(220b)보다 작다.
따라서, 객체의 실제 이격 거리를 연산하기 위해서는 근거리 영상에서는 더 많은 화소가 필요 하며, 이에 따라서 영상의 처리해야 할 영역이 근거리가 원거리 보다 커야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의 내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움직임 추정장치(100)는 객체영역 설정부(101), 거리산출부(102), 크기조절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객체영역 설정부(101)는 입력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객체 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한 객체 영역을 거리산출부(102)로 제공할 수 있다.
거리산출부(102)는 객체영역 설정부(101)로부터 객체 영역으로 제공받고, 영상촬영 기기(10)로부터 상기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이격 거리를 크기조절부(103)로 제공할 수 있다. 크기조절부(103)는 거리산출부(102)로부터 영상촬영기기(10)와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를 제공받고, 그 이격 거리에 따라 객체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촬영 기기(10)와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가 임계값이 이상인 경우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객체 영역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영상촬영 기기(10)와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가 임계값이 이하인 경우 그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객체 영역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영상촬영 기기(10)는 객체를 촬영하는 모든 영상촬영 기기로써 카메라, CCTV, 블랙박스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영상촬영 기기(10)는 감시영역 내의 고정된 영역을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감지 영역 내 영역을 이동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영상촬영 기기(10)는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추정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전송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100)는 [도 3]의 객체영역 설정부(101), 거리산출부(102), 크기조절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영상수신부(104), 영상분할부(105), 움직임 추정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영상수신부(104)는 예컨대 외부의 영상촬영기기(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영상을 제공받고, 그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영상을 영상분할부(105)로 제공할 수 있다.
영상분할부(105)는 영상수신부(104)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영상을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입력 영상을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분할부(105)는 입력 영상으로 이전 영상 프레임과 현재 영상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이전 영상 프레임과 현재 영상 프레임을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분할부(105)는 입력 영상의 크기가 16 X 16인 경우에 이들 블록은 4 X 4 크기의 단위 블록들로 분할되어 각각의 단위 블록이 연산 단위가 될 수 있다.
단위 블록의 크기가 작아지면 객체 영역 설정의 의미가 없어지게 되며, 단위 블록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면 계산량이 많아져 블록을 분할하는 의미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영상분할부(105)는 입력 영상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단위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객체영역 설정부(101)는 분할된 분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객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중에서 이전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화소와의 화소값의 차와 현재 배경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화소와의 화소값의 차가 모두 기준 차분값보다 큰 화소로 이루어진 영역을 객체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거리산출부(102)는 입력 영상을 촬영한 영상촬영 기기(10)로부터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크기조절부(103)는 거리산출부(102)로부터 위 산출된 영상촬영 기기(10)로부터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를 제공받고, 그 제공받은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객체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촬영 기기(10)와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그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객체 영역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영상촬영 기기(10)와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객체 영역의 축소시킬 수 있다.
움직임 추정부(106)는 객체영역 설정부(101)에서 설정된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의 객체 영역과 다음 영상프레임의 객체 영역을 비교하여, 객체 움직임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객체의 움직임 추정 과정은 움직임 추정 분야에서 사용가능한 모든 기술이 적용되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100)에서 크기조절부(103)가 객체 영역을 조절한 경우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에서 크기조절부가 객체 영역을 조절한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크기조절부(도2, 103 또는 도3, 103)는 영상촬영 기기(10)와 객체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객체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같은 크기의 실제 영상을 연산하기 위해서는 원거리에 위치한 객체보다 근거리에 위치한 객체에 더 많은 화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크기조절부(도2, 103 또는 도3, 103)는 영상촬영 기기(도 3, 10)와 객체 간의 이격 거리가 가까운 경우, 예를 들어 근거리인 경우 객체 영역의 크기를 [도 5]와 같이 이격 거리에 따라 확대(510)하고, 영상촬영 기기(도 3, 10)와 객체의 이격 거리가 먼 경우, 예를 들어 원거리인 경우 객체 영역의 크기를 [도 5]와 같이 이격 거리에 따라 축소(520)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100)는 입력 영상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객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S601).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100)는 입력 영상을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 이들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소정 영역을 객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100)는 입력 영상을 촬영한 영상촬영 기기로부터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고(S602), 그 산출한 이격 거리에 따라 객체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S603).
예를 들어,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100)는 영상촬영 기기와 객체 간의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그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객체 영역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그 산출한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객체 영역의 크기를 확대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영상촬영 기기
100: 움직임 추정장치
101: 객체영역 설정부
102: 거리산출부
103: 크기조절부
104: 영상수신부
105: 영상분할부
106: 움직임 추정부

Claims (8)

  1. 입력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영역을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영역으로 설정하는 객체영역 설정부(101);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한 영상촬영 기기로부터 상기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102);
    상기 산출한 이격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객체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되 상기 산출한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상기 객체 영역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크기조절부(103);
    상기 크기가 변경된 객체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부(10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기조절부(103)는 상기 산출한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상기 객체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크기조절부(103)에 의해 크기가 변경된 객체 영역을 반영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상분할부(10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움직임 추정장치.
  5.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으로서,
    입력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영역을 특정 객체에 대한 객체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한 영상촬영 기기로부터 상기 객체까지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산출한 이격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객체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되 상기 산출한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상기 객체 영역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크기가 변경된 객체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산출한 이격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이격 거리에 상응하여 상기 객체 영역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8.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에 따른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움직임 추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15061A 2012-02-14 2012-02-14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움직임 추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248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061A KR101248154B1 (ko) 2012-02-14 2012-02-14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움직임 추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061A KR101248154B1 (ko) 2012-02-14 2012-02-14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움직임 추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154B1 true KR101248154B1 (ko) 2013-03-27

Family

ID=4818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061A KR101248154B1 (ko) 2012-02-14 2012-02-14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움직임 추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1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480A (ko) * 2014-09-29 2016-04-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지능형 영상 분석을 위한 관심 영역 설정 방법 및 이에 따른 영상 분석 장치
KR20210083990A (ko) * 2019-12-27 2021-07-07 그린캣소프트(주) 매대의 좌표를 이용한 매대의 수평 보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266B1 (ko) * 2008-04-25 2009-01-16 이상석 유형별 인식에 의한 사물 추적 및 침입감지 시스템
KR20110064544A (ko) * 2009-12-08 2011-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카메라 영상 기반의 객체 거리 및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266B1 (ko) * 2008-04-25 2009-01-16 이상석 유형별 인식에 의한 사물 추적 및 침입감지 시스템
KR20110064544A (ko) * 2009-12-08 2011-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카메라 영상 기반의 객체 거리 및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480A (ko) * 2014-09-29 2016-04-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지능형 영상 분석을 위한 관심 영역 설정 방법 및 이에 따른 영상 분석 장치
KR102159954B1 (ko) * 2014-09-29 2020-09-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지능형 영상 분석을 위한 관심 영역 설정 방법 및 이에 따른 영상 분석 장치
KR20210083990A (ko) * 2019-12-27 2021-07-07 그린캣소프트(주) 매대의 좌표를 이용한 매대의 수평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2322902B1 (ko) * 2019-12-27 2021-11-05 그린캣소프트(주) 매대의 좌표를 이용한 매대의 수평 보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210B1 (ko) 초해상도 영상 복원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JP564409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961953B2 (en) Image monitoring system
US8891826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713798B2 (en) Low-complexity motion detection based on image edges
US9928707B2 (en) Surveillance system
KR101464344B1 (ko) 감시 영상의 정상 상태 학습을 통한 이상 상태 감지 방법과 이를 적용한 감시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시스템
JP4670943B2 (ja) 監視装置、及び妨害検知方法
KR101910542B1 (ko) 객체 검출을 위한 영상분석 서버장치 및 방법
JP4803376B2 (ja) カメラ妨害検知方式
US9098748B2 (en) Object detection apparatus, object detection method, monitoring camera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120274776A1 (en) Fault tolerant background modelling
KR102002812B1 (ko) 객체 검출을 위한 영상분석 서버장치 및 방법
CN108376246A (zh) 一种多人脸识别及跟踪系统及方法
KR20190038137A (ko) 채널별 객체 검출 최적화를 위한 영상분석 방법 및 서버장치
KR101290782B1 (ko) 지능적 다중 객체 추적 알고리즘 기반의 다중 ptz 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5693147B2 (ja) 撮影妨害検知方法、妨害検知装置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EP3432575A1 (en) Method for performing multi-camera automatic patrol control with aid of statistics data in a surveillance system, and associated apparatus
KR20190047748A (ko) 영상의 객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248154B1 (ko) 가변크기 영역 기반의 객체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움직임 추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1091601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CN109815861B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用户行为信息统计方法
KR101848367B1 (ko) 모션벡터와 dct 계수를 이용한 메타데이터 기반 의심영상 구분식별 방식의 영상 관제 방법
US9064176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traffic using image analysis and method thereof
KR102421043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