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492A - 피부 및/또는 점막의 편안함 개선 및/또는 비듬의 출현 개선을 위한 펩타이드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피부 및/또는 점막의 편안함 개선 및/또는 비듬의 출현 개선을 위한 펩타이드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492A
KR20230074492A KR1020237010990A KR20237010990A KR20230074492A KR 20230074492 A KR20230074492 A KR 20230074492A KR 1020237010990 A KR1020237010990 A KR 1020237010990A KR 20237010990 A KR20237010990 A KR 20237010990A KR 20230074492 A KR20230074492 A KR 20230074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y
skin
peptide
seq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까뜨린 봉노-로자예
루이 다누
다비 에롤
필리쁘 무수
Original Assignee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3007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특히 두피 및/또는 점막의 편안함 개선 및/또는 특히 케라틴 섬유에서의, 외피의 출현의 개선을 위해, 적용 가능한 경우 펩타이드 SEQ ID No. 2의 형태로 또는 이와 조합된, 특히 이러한 펩타이드(들)가 부화된 쌀 가수분해물의 형태로, 및 선택적으로 펩타이드 SEQ ID No. 3 및/또는 SEQ ID No. 4와 조합된 SEQ ID No. 1의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및/또는 이의 균등물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미용 및/또는 피부과 조성물에서의 이 펩타이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및/또는 점막의 편안함 개선 및/또는 비듬의 출현 개선을 위한 펩타이드의 신규 용도
본 발명은 피부, 특히 두피 및/또는 점막의 편안함 및/또는 외피의 외형, 특히 케라틴(keratin) 섬유의 개선을 위해, 선택적으로 펩타이드 SEQ ID No. 2의 형태로 또는 이와 조합된, 특히 이러한/이들 펩타이드(들)가 부화된 쌀 가수분해물의 형태로, 및 선택적으로 펩타이드 SEQ ID No. 3 및/또는 SEQ ID No. 4와 조합된 SEQ ID No. 1의 서열의 펩타이드 및/또는 이의 동족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미용 및/또는 피부과 조성물에서의 이 펩타이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가장 구체적으로, 두피의 피부 민감성은 너무 자주 방치되는 병태이다. 그러나 피부 민감성은 얼굴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1/3 내지 1/2의 인구의 두피가 "민감성"이라는 것으로 추정된다. 민감한 피부와 특히 민감한 두피의 징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유발 요인은 온도 변화, 특히 열과 냉기, 습도, 건조한 공기, 일광, 오염 및 공격적 및/또는 반복적인 샴푸 사용 및 공격적인 헤어 트리트먼트(염색, 완화 등)이다.
각질층(stratum corneum; SC)으로도 알려진 각질층(horny layer)은 일반적으로 4 내지 6 범위의 pH이다. "산성 보호막"으로 언급되는 이 산성 특성은 건강한 피부를 위한 필수 조건으로 인정된다. 이는 SC와 기저층, 즉 상피 세포를 포함하는 외피와 사실상 중성 pH를 갖는 진피 사이에 2 내지 3 단위의 pH 구배를 생성한다.
피부 내의 이러한 pH 구배는 여러 pH 의존성 효소의 관여를 통해 외피 분화 및 각질세포 박리를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각질층 장벽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세라마이드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 α-글루코크레브로시다제(α-glucocrebrosidase) 및 스핑고미엘리나제(sphingomyelinase)는 최적의 산성 pH를 갖는다.
따라서, 정상 피부의 pH 증가는 세린 프로테아제 및 칼리크레인 5 및 7의 증가된 활성 및 세라마이드 합성 효소의 감소된 활성으로 인해 각질층의 완전성, 응집 및 표피탈락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산성 피부 pH를 유지하거나 복원하는 것은 건강한 피부를 보존하고/하거나 복원하고 가려움증, 당김 및 민감성과 같은 그로 인해 종종 발생하는 불편함의 징후를 방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민감성 두피는 비민감성 두피에 비해 더 pH가 높고, 자극을 받는 경향이 크다. 이 상승된 pH는 부분적으로 말라세지아(Malassezia) 대사산물에 대한 민감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불편하고/하거나 불쾌한 두피 징후, 특히 가려움증에 더 빨리 관여할 수 있고 비듬 발생에 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 미용 및 피부과 성분의 대안으로 피부, 특히 두피, 및 또한 점막의 편안함을 개선하고/하거나 외피, 특히 케라틴 섬유의 외형을 개선하기 위한 신규한 미용 및/또는 피부과 활성제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민감한 두피의 특정 관리 및/또는 치료 요구를 위한 신규한 미용 및/또는 피부과 활성제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놀랍게도 그리고 예기치 않게, 본 발명자들은 SEQ ID No. 1의 펩타이드가 두피 및/또는 점막을 포함하는 피부의 편안함을 개선하고/하거나 외피, 특히 케라틴 섬유, 우선적으로는 모발의 외형을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SEQ ID No. 1의 펩타이드는 이미 특허출원 WO 2017/009484 A1(SEQ ID No. 423)에서 지질다당류 존재 하에 대식세포에 의한 TNF-α 분비를 억제할 수 있는 항염증제로서, 또한 특허 출원 WO 2017/009490 A1(SEQ ID No. 248)에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노화의 가시적 징후를 치료할 수 있는 제제로서 쌀 및 완두콩 유래 펩타이드 중 미용 분야에 항염증제로 기재되어 있다.
이 펩타이드는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쌀 곡물 단백질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며, 이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검출되고 본 발명의 대상인 특성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는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되었다.
미용 시장에는 많은 수의 쌀 펩타이드 가수분해물이 있지만, 특성 및 조성, 특히 생물학적 특성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 단편이 포함하는 단백질 단편에 따라 크게 다르다. 단백질 가수분해와 관련하여, 다양한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을 연결하는 가교는 산, 염기 또는 촉매 작용과 같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인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절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기술은 유리 아미노산의 생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다양한 조성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생성으로 이어진다. 이것이 비특이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산 또는 염기의 사용을 통한 화학적 가수분해는 특히 색상, 냄새 및/또는 안정성 측면에서 "저특질" 산물의 생성으로 이어진다. 그 특이성으로 인해, 효소 가수분해는 특히 pH, 온도 및 압력과 같은 제어된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시 한 번, 효소는 해당 펩타이드를 수득하고 특정 가수분해물의 생성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선택되며, 이는 단편의 성질, 분자량 또는 분포와 상관없이 이들이 포함하는 펩타이드 단편과 관련하여 매우 상이하다.
이들 모든 종류의 쌀 가수분해물은 피부 관리 및/또는 모발 관리 용도를 위한 미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특허 출원 WO 03/039496 A1는 자가 보존제 및 보습제로서, 또한 피지 조절제, 항비듬제 및 항취제로서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카프릴로일-글루타메이트 염 및/또는 카프릴로일 염을 기재하고 있다. 특허 KR20040108226B는 흑미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파파인으로 가수분해하여 보습, 콜라겐 합성 증가 및 멜라닌 생성 억제를 위한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의 비특이적 생성 과정 또는 다른 펩타이드를 생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인해, 이들 모든 가수분해물은 조성 및 특성이 크게 다르며, 이들 중 어느 것도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를 기재하거나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대상은, 이에 따라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이의 동족체의 용도로서,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편안함을 개선하고/하거나 건강한 외피, 우선적으로는 모발의 외형의 개선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용적 특성을 위한 용도이다. 이 펩타이드는 피부, 특히 두피에 존재하는 피지를 파괴하거나 제거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수많은 추가 이점을 가지며, 이는 특히 순한 샴푸 형태의 민감한 피부, 특히 민감한 두피를 관리하고/하거나 치료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대식세포에 의한 TNF-α의 방출을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 이는 또한 실시예 10.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엘라스타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이의 보완적인 특성으로 인해 민감한 모발 및 민감한 두피의 특정 요구에 완벽하게 적응되고 완전한 해법을 제공한다.
이들 모든 보완적인 특성에 의해 이는 또한 민감한 피부, 특히 민감한 두피를 위한 탁월한 진정제 및/또는 관리제가 된다.
더욱이, 실시예 1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견고성에 대한 보완적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신체의 미용 관리 및/또는 치료를 위한 완전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유리하게는, SEQ ID No. 1의 펩타이드는 SEQ ID No. 2의 펩타이드 및/또는 이의 동족체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유리하게는 가수분해물의 총 중량에 대해 적어도 0.00001 중량% 이상의 건조물, 우선적으로는 0.0001 중량% 내지 0.03 중량%, 더욱 우선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0.01 중량%의 함량의 오리자 사티바 쌀 단백질의 가수분해물 형태이다.
더욱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SEQ ID No. 2 및/또는 SEQ ID No. 3 및/또는 SEQ ID No. 4의 펩타이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펩타이드, 유리하게는 SEQ ID No. 2, SEQ ID No. 3 및 SEQ ID No. 4의 펩타이드와 조합하여,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부화된 가수분해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우선적인 방식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SEQ ID No. 1의 펩타이드이다:
SEQ ID No. 1: GYYGEQQQQPGMTR
이 펩타이드는 14개의 아미노산: Gly-Tyr-Tyr-Gly-Glu-Gln-Gln-Gln-Gln-Pro-Gly-Met-Thr-Arg을 포함하고, 1642.72 달톤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이는 쌀(오리자 사티바) 곡물 단백질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며 특허 출원 WO 2017/009484 A1 및 WO 2017/009490 A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쌀 곡물의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해 또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 화학적 합성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하거나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변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3개의 추가 아미노산 Ser-Glu-Glu가 선행하는 펩타이드 SEQ ID No. 1을 포함하는 SEQ ID No. 2의 펩타이드이다.
SEQ ID No. 2: SEEGYYGEQQQQPGMTR
따라서, 펩타이드 SEQ ID No. 2는 17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1988.01 달톤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이는 또한 쌀(오리자 사티바) 곡물 단백질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며 특허 출원 WO 2017/009484 A1 및 WO 2017/009490 A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당업계의 통상의 방법에 따른 쌀 곡물의 효소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하거나 수득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SEQ ID No. 1 및/또는 SEQ ID No. 2의 형태, 우선적으로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부화된 가수분해물에 포함된 펩타이드 SEQ ID No. 1 및 SEQ ID No. 2의 혼합물의 형태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SEQ ID No. 1 및/또는 SEQ ID No. 2의 펩타이드는 선택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가수분해물의 형태로 SEQ ID No. 3 및/또는 SEQ ID No. 4의 펩타이드와 조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SEQ ID No. 1의 펩타이드는 SEQ ID No. 2의 펩타이드와 조합 및/또는 SEQ ID No. 3의 펩타이드와 조합 및/또는 SEQ ID No. 4의 펩타이드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펩타이드 SEQ ID No. 3: IYGPDTGVDYKDNQMR
이 펩타이드 SEQ ID No. 3은 16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1971.97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다. 이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쌀(오리자 사티바)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거나, 특허 출원 WO 2017/00948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득하여 SEQ ID No. 218을 생성하거나 화학적 합성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하거나 수득될 수 있다.
펩타이드 SEQ ID No. 4: FYNEGDAPVVAL
이 12-아미노산 펩타이드는 1294.37 달톤의 분자량을 가지며; 이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쌀(오리자 사티바)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부터 단리될 수 있거나, 특허 출원 WO 2017/00948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득되어 SEQ ID No. 194를 생성하거나 화학적 합성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하거나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펩타이드"는 적절한 경우 화학적 또는 생명공학적 합성에 의해 또는 아미노산 서열을 자연적으로 또는 형질도입 후, 선택적으로 이의 번역 후 변형 후에 발현하는 생물학적 조직, 예를 들어 식물, 동물 또는 미생물, 특히 효모로부터의 추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임의의 단리된 천연 또는 합성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 펩타이드는, 특히 말단 -NH2 기의 아실화 또는 말단 -COOH 기의 아미드화 또는 알킬화에 의해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친수성 또는 소수성 침투제, 안정화제 또는 보호기와 연결된 작용기를 추가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펩타이드의 화학적 합성을 위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언급될 수 있는 예는 참조문헌[J.M. Stewart and J.D. Young,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2nd editions, Pierce Chemical Company, Rockford, Illinois (1984), and also M. Bodanzsky and A. Bodanzsky, The Practice of Peptide Synthesis, Springer Verlag. New York (1984)]에 기재된 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미노산 서열의 "동족체"라는 용어는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 더욱 우선적으로는 90%, 특히 적어도 95%, 및 더욱 특히 적어도 98%, 더욱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 서열 상동성은, 예를 들어 기본 매개변수로 구성된 NCBI 웹사이트(http://blast.ncbi.nlm.nih.gov)에서 사용할 수 있는 BLAST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당업계의 임의의 통상적 기술로 확인할 수 있다.
아미노산 서열의 동족체는 예를 들어 아미노산의 하나 이상의 결실(들) 및/또는 삽입(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치환(들)에 의해 이 서열과 상이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변형에 따르면, 아미노산 서열의 동족체는 하나 이상의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존적 치환은 한 아미노산의 서열을 실질적으로 유사한 물리화학적 특성 또는 원래 아미노산의 특성과 기능에 충분히 근접하여 펩타이드의 특성 및 기능이 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을 갖는 다른 아미노산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상기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돌연변이"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의 동족체는 또한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아미노산 서열의 돌연변이체 및 변이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미노산 서열의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이라는 용어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을 나타내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피부 및/또는 점막의 편안함 개선"은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 특히 피부(cutaneous) 및/또는 점막 항상성의 감소 및/또는 각질층의 변형, 특히 인볼루크린(involucrin) 함량 및/또는 필라그린(filaggrin) 함량의 감소 및/또는 특히 두피에서 피부 및/또는 점막 건조증증, 가려움증, 홍조, 피부 당김, 스케일링, 특히 두피 박편, 비듬, 갈라짐 및 또한 특히 두피의 피부 민감성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pH의 증가로 인한 것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피부 및/또는 점막의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고/하거나 피부 및/또는 점막을 더 부드럽게 만들고/만들거나 이의 거친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편안함의 개선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언급할 수 있는 예에는 다음 기술이 포함된다:
- 실시예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피 케라틴세포(keratinocyte)에 의한 인볼루크린 합성 증가 측정,
- 실시예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건된 외피에서 필라그린 합성의 증가의 측정,
- 실시예 7에 나타낸 방법에 따른, 특히 두피의 홍조 측정,
- 실시예 7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특히 두피의 박편의 양 측정,
- 특히 실시예 8에 기재된 것과 같은 각질계를 사용한 피부 수분 측정,
- 특히 pH 측정기를 사용한 피부 pH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실시예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을 중단한 후에도 수분에 대한 계속적이고 지속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유사하게, 두피 편안함의 개선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측정될 수 있다:
- 실시예 7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특히 두피의 홍조 측정,
- 실시예 7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특히 두피의 박편의 양 측정.
"피부 및/또는 점막 항상성"라는 용어는 수분 항상성의 감소 및/또는 pH의 변화, 특히 pH의 증가로 인한 피부 및/또는 점막 장벽의 불균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피부 항상성의 손실은, 예를 들어 피부과의 문제인 손상의 경우와 같이 상피 세포의 손상으로 인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건조한 점막, 건조한 피부, 특히 건조한 두피, 민감한 피부, 자극받은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피부 및/또는 점막 항상성의 감소, 특히 수소화 및/또는 상승된 pH를 나타내는 피부 및/또는 점막의 관리 및/또는 치료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건조하고/하거나 민감한 피부, 및/또는 건조하고/하거나 민감한 두피의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우선적으로는,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불쾌하고 불편한 징후는 연령 또는 상피 세포의 손상과 관련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두피의 편안함 개선"은 건강한 두피의 불쾌하고 불편한 징후, 특히 피부 항상성의 감소 및/또는 각질층의 변형, 특히 인볼루크린 함량의 감소 및/또는 필라그린 함량의 감소의 결과 및/또는 특히 두피 건조, 두피의 가려움증, 두피의 홍조, 두피의 당김, 두피의 스케일링, 특히 두피의 비듬, 갈라짐 및 민감성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pH의 증가로 인한 것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피부의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고/하거나 두피를 더 부드럽게 만들고/만들거나 이의 거친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두피의 편안함의 개선은 특히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실시예 7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두피 홍조 측정 및/또는 두피 pH 측정 및/또는 두피 박편 평가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피의 외형 개선"이라는 용어는 강도 및/또는 저항성 증가, 및/또는 미용적 산화 처리 및/또는 공격적 제제에 의한 손상으로부터의 보호, 손상률 감소, 손상된 외피의 복원, 형태 및/또는 부피의 개선, 케라틴(keratin) 섬유의 성장 및/또는 광택 증가, 및/또는 손실 감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특히 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물은 두피에 존재하는 피지의 양을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외피, 특히 모발의 외형 개선은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12.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케라틴 섬유의 구조 개선을 측정함으로써 외피의 강도 및 저항 개선의 측정을 언급할 수 있다. 케라틴 섬유 성장은 실시예 12.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미용"은 피부과 의사와 같은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병리적으로 정량화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외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비의약적, 비치료적 용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는 건강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외피에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용어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 및/또는 건강한 외피"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도포되고 피부과 전문의가 "비-병리적"이라고 언급하며, 즉 칸디다증, 농가진, 건선, 습진, 여드름, 어린선(ichthyosis), 치은염 또는 피부염 또는 상처 또는 부상 또는 소궤양 또는 궤양 또는 화상 및/또는 기타 피부병, 또는 아프타증 또는 염증 또는 자극, 또는 두드러기 또는 접촉 알레르기와 같은 알레르기와 같은 임의의 감염, 흉터, 질병 또는 피부 병태가 없는 특히 인간의 건강한 피부, 특히 두피 및/또는 점막 및/또는 외피의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피부"는 특히 두피로부터 선택되는 두피, 얼굴, 손, 팔, 목선, 다리, 목, 등, 어깨, 복부, 손목, 팔뚝, 발목, 허벅지, 목덜미, 관절 주름 및 겨드랑이를 포함하는 신체, 특히 인체의 전체 또는 일부의 피부를 의미한다. 특히, 피부는 특히 노출, 문지름 및/또는 침지 영역에서 불편하고/하거나 불쾌한 징후를 나타낼 수 있는 피부이다. 따라서, 특히 얼굴, 두피, 손, 목, 목선, 두피, 관절 주름 및 겨드랑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점막(들)"은 안구, 비강, 질, 항문 및/또는 구강 점막, 특히 음순 구강 점막, 우선적으로는 음순, 안구 및/또는 비강 점막을 의미한다.
용어 "외피"는 손톱 및 "케라틴 섬유"를 의미한다.
용어 "케라틴 섬유"는 모발 섬유(머리카락), 속눈썹, 눈썹, 체모, 특히 코 점막, 귀, 수염 및/또는 콧수염, 특히 모발 섬유(머리카락)를 의미한다.
우선적으로는, 특히 유리하게는 두피, 얼굴, 손, 팔, 목선, 다리, 목, 등, 어깨, 복부, 손목, 팔뚝, 발목, 허벅지, 목덜미, 관절 주름 및 겨드랑이, 입술 점막, 체모, 속눈썹, 눈썹 및/또는 머리카락, 우선적으로는 두피 및/또는 머리카락으로부터 선택되는 불편한 신체의 특정 부분 및/또는 영역에 국소 도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국소적으로 도포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국소적으로 도포 가능한"은 임의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지 않고,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지 않은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외피에 무독성, 무자극성으로 국소 도포에 적합한 성분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우선적 방식에 따르면, 펩타이드 단독 또는 조합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부화된 쌀(오리자 사티바)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부화 가수분해물"은 본 발명에 따른 SEQ ID No. 1 및/또는 SEQ ID No. 2의 펩타이드가 당업계의 민감한 기술, 예를 들어 LC-MS/MS로 검출 한계 임계값을 초과하는 함량, 즉 일반적으로 가수분해물의 총 건조물 중량에 대해 적어도 0.00001 중량% 이상의 함량으로 검출된 가수분해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SEQ ID No. 1의 펩타이드는 선택적으로 SEQ ID No. 2의 형태이거나 SEQ ID No. 2의 펩타이드와 조합되어 우선적으로는 가수분해물의 총 중량에 대해 적어도 0.00001 중량% 이상의 건조물, 우선적으로는 0.0001 중량% 내지 0.03 중량%, 더욱 우선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0.01 중량%의 양으로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쌀 펩타이드 가수분해물(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단일 단계에서 효소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된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가수분해물은 동일한 효소 또는 효소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효소적 가수분해는 식물 유래의 프로테아제이거나 미생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분해 효소로 수행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효소적 가수분해는 완료될 때까지 이루어지며, 이는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일정한 pH를 결정하거나 유리 NH2기의 검출에 의한 광도계에 의해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 분광법에 의해 SEQ ID No. 1 및 SEQ ID No. 2의 펩타이드의 일정한 양을 결정함으로써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된 효소(들)의 양은 그 자체로 중요하지 않지만,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출발 물질의 중량에 대해 0.05 중량% 내지 5 중량%, 우선적으로는 0.1 중량% 내지 2 중량% 범위여야 한다.
수득된 가수분해물은 최종적으로, 예를 들어 용해되지 않은 분획의 여과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더 우수한 안정화를 위해, pH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의 값으로 설정된다.
일 구현예에서, 수득된 가수분해물은 액체 형태, 특히 수용액이고 직접 또는 부화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의 건조물 함량을 갖는다. 폴리올, 글리콜, 산(시트르산, 소르브산, 황산, 벤조산 또는 이의 염 등)과 같은 애주번트가 첨가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수득된 가수분해물은 추가로 부화하고/하거나 정제하여 표적 분자량 분획을 선택하거나, 가변 다공성의 필터를 통한 연속적인 한외여과 또는 나노여과 단계에 의해,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이 펩타이드를 가수분해물에 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화된 가수분해물은 실시예 2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가수분해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제형 기술에 따라 만니톨, 말토덱스트린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지지체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건조(분무기, 동결 건조 등)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가수분해물은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SEQ ID No. 2의 펩타이드, 우선적으로는 두 펩타이드 모두를 가수분해물의 총 건조물 중량에 대해, 적어도 0.00001 중량%, 우선적으로는 0.0001 중량% 내지 0.03 중량%, 더욱 우선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0.01 중량%의 총 함량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 가수분해물은 또한 다음 특성 중 적어도 한 가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가지 및 더욱 우선적으로는 모두를 나타낸다:
- 액체 형태이고;
- 15 중량% 내지 25 중량%의 건조물 함량을 갖는 것;
- 1.5 중량% 내지 3 중량%, 우선적으로는 1.9 중량% 내지 2.8 중량%의 질소 함량을 갖는 것;
- 1000 내지 2500 달톤, 우선적으로는 1250 내지 2000 달톤, 더욱 우선적으로는 1500 달톤 범위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
- 1000 달톤 초과의 분자량을 갖는 펩타이드를 적어도 50%, 더욱 우선적으로는 60% 함유하는 것;
- 2500 달톤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펩타이드를 적어도 70%, 더욱 우선적으로는 80% 함유한는 것.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발마직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이러한 모든 특성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달톤(또는 g/mol)으로 표시되는 평균 분자량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된다.
분자량 분포는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쌀 펩타이드 가수분해물은 다음 단계를 수행하여 얻을 수 있다:
- 저온살균을 위해 70℃ 초과의 온도에서 물에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쌀 단백질 또는 쌀 단백질 단리물의 용해;
- 단백질의 가수분해(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는 효소를 선택하고 적절한 가수분해도 및 분자량 특성을 얻기 위해 온도 및 pH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식물 유래 또는 미생물 유래의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효소적으로 수행됨);
- 우선적으로는 열처리에 의한 효소(들)의 불활성화(이 불활성화는 효소(들)의 공급자(들)의 기술 권장 사항에 따라 수행됨).
- 원심분리 및/또는 여과에 의한 가용성 및 불용성 상의 분리, 및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가용성 상의 회수;
- 선택적으로 건조물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부화 단계, 이어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가용성 상을 회수하기 위한 여과 단계;
- 액체 형태이고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를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부화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여과액의 생성.
개별적으로 취해진, 상기 기재된 방법의 단계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당업자는 이의 일반 지식에 기반하여 반응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수득될 수 있다.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이미 미용 시장에 존재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를 함유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특성이 부재한다. 따라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산물을 실시예 4에 기재하고 실시예 5, 6, 10 및 12.2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와 비교하여 그 특성을 시험하였다.
특히 흥미롭게도, 가수분해물은 또한 펩타이드 SEQ ID No. 1, SEQ ID No. 2, SEQ ID No. 3 및 SEQ ID No. 4를 포함하며, 각각의 개별 함량은 가수분해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 적어도 0.00001 중량% 이상이고, 이러한 4개의 펩타이드의 총 합은 가수분해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 적어도 0.00004 중량%, 우선적으로는 0.0001 중량% 이상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부화 가수분해물의 예는 실시예 2a), 2b) 및 2c)에 나타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우선적인 방식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우선적으로는 펩타이드가 부화된 가수분해물의 형태로 국소적으로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이 사용될 수 있다:
- 미용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혼입되도록 의도되고 적합한 미용 또는 약제학적 비히클을 또한 포함하는 미용 또는 약제학적 성분의 형태, 또는
- 이를 포함하고, 유리하게는 또한 적합한 미용 또는 약제학적 비히클을 포함하는 미용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국소 경로"는 우선적으로는 펩타이드가 부화된 가수분해물의 형태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또는 성분의 형태로 특히 직접 도포 또는 분무에 의해 피부, 특히 두피 및/또는 점막 및/또는 외피, 우선적으로는 모발의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의 용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미용 및/또는 약제학적 성분(들)"은 미용 및/또는 약제학적 도포를 목적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천연 또는 합성 분자 및/또는 이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미용 성분은 특히 국제 미용 성분 명명법(INCI)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적합한 미용 또는 약제학적 비히클"는 조성물 또는 이의 성분이 임의의 과도한 독성, 부적합성, 불안정성, 알레르기 반응 등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인간 피부 및/또는 점막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실시예 9에 따른 펩타이드-부화 가수분해물의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액체 형태의 미용 또는 약제학적 성분, 특히 피부과 성분은 미용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특히 피부과용 조성물에 우선적으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10 중량%, 유리하게는 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2 중량% 내지 3 중량%의 건조물의 중량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우선적으로는 펩타이드-부화 가수분해물의 형태인 펩타이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x10-5 중량% 내지 20 중량%, 우선적으로는 1x10-4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1x10-3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우선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건조물 함량으로 미용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용매 및/또는 임의의 적합한 비히클 및/또는 임의의 적합한 부형제를 선택적으로 다른 해당 화합물과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계면활성제, 보존제, 완충제, 팽윤제, 킬레이트제, 살생물제, 변성제, 불투명화제, pH 조절제, 환원제, 안정화제, 유화제, 증점제, 겔화제, 필름 형성 중합체, 용제, 충전제, 살균제, 냄새 흡수제, 매트화제, 컨디셔닝제, 질감제, 광택제, 안료, 착색제, 향료, 화학 또는 미네랄 자외선 차단제, 미량 원소, 에센셜 오일, 감미료 및 향미 조절제로부터 선택되는 미용 또는 피부과 적용 가능한 부형제 및/또는 적합한 미용 또는 약제학적 비히클을 포함한다. 이들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The CTFA Cosmetic Ingredient Handbook, Second Edition (1992)은 특히 경구 투여 및/또는 국소용에 적합한 미용 및 약제학적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미용 및 약제학적 성분을 기재한다.
유리하게는, 부형제(들) 및/또는 비히클은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셀룰로스 중합체 및 유도체, 라놀린 유도체, 인지질, 락토페린, 락토페록시다제, 수크로스 기반 안정화제, 비타민 E 및 이의 유도체, 잔탄검, 천연 및 합성 왁스, 식물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불검화물, 피토스테롤, 실리콘, 단백질 가수분해물, 베타인, 아민 옥사이드, 식물 추출물, 수크로스 에스테르, 이산화티타늄, 글리신 및 파라벤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레스-2, 스테아레스-21, 글리콜-15 스테아릴에테르, 세테아릴알코올,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천연토코페롤, 글리세롤, 디하이드록시세틸인산나트륨, 이소프로필 하이드록시소세틸 에테르,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트리이소노난오인, 옥틸코코에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이소파라핀, 라우레스-7, 카보머,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글리세롤, 비사보롤, 디메티콘, 수산화나트륨,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디부틸 아디페이트, 포도씨 오일, 호호바 오일, 황산마그네슘, EDTA, 시클로메티콘, 잔탄검, 시트르산,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미네랄 왁스 및 오일,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펠라르고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PEG 8, 밀랍, 경화 팜핵유로부터 추출한 글리세리드, 라놀린 오일, 참깨유, 세틸 락테이트, 라놀린 알코올, 피마자유, 이산화티타늄, 락토스, 수크로스,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장성 식염수,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선택적으로 미용 또는 약제학적 성분의 형태의 미용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펩타이드,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부화 가수분해물은 국소 도포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제시 형태, 예컨대 액체 또는 고체 형태 또는 가압 액체 형태일 수도 있다. 이들은 특히 수성 또는 유성 용액, 크림 또는 특히 포트 또는 튜브 중 수성 겔 또는 유성 겔, 특히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 병 또는 계량 병 또는 에어로졸 병, 바이알 중 특히 샤워 겔, 샴푸, 우유, 에멀션, 하이드로겔, 마이크로에멀션 또는 나노에멀션, 특히 수중유 또는 유중수 또는 다중 또는 실리콘계 에멀션, 혈청, 로션, 액체 비누, 페이스트, 피부과용 바, 연고, 폼, 에어로졸, 마스크, 패치, 무수 산물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막대 형태 특히 스틱 또는 분말 형태, 특히 페이스 분말 중의 액체, 페이스트 또는 고체이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세럼, 로션, 크림, 우유, 연고, 페이스트, 폼, 에멀션, 하이드로겔, 샤워젤, 마스크, 스틱, 패치, 또는 메이크업 파우더, 유리하게는 크림 또는 로션의 형태이다. 우선적으로는, 조성물은 세척 가능한지(리브온 유형(leave-on type)에 상관없이, 크림, 피부 및/또는 모발용 로션 또는 샴푸, 또는 모발 컨디셔너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부화 가수분해물은 두피를 파괴시키고/시키거나 박리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어 피지 수준이 유지될 수 있으며, 가장 특히 민감한 두피 및/또는 자극을 받는 경향이 있는 두피의 관리 및/또는 치료에 적합하다.
점막 경로에 의한 투여의 경우, 선택적으로 미용 또는 약제학적적 성분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미용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펩타이드는 점안제, 로션, 에어로졸, 겔, 또는 점막접착제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미용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외피의 치료에 활성인 다른 미용 또는 약제학적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민감한 피부 및/또는 민감한 점막용 활성 성분, 두피용 활성 성분, 비듬 방지제 및/또는 탈모 방지 활성 성분 중에서 선택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와의 보완적 또는 상승적 효과를 유도한다.
민감성 피부를 위한 활성 성분 중에서, 상품명 Purisoft®로 시판되는 탈유된 비발아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 종자의 단백질 추출물, 상품명 Symbiocell™로 시판되는 케스트룸 라티폴리움(Cestrum latifolium)의 식물 추출물, 상품명 Irwinol™로 시판되는 이르비지아 가보넨시스(Irvingia gabonensis) 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버터, 상품명 Eperuline™으로 시판되는 에페루아 팔카타(Eperua falcata) 뿌리 추출물, 상품명 Skinasensyl™로 시판되는 펩타이드 N-아세틸-L-티로실-L-프롤릴-L-페닐알라닐-L-페닐알라닌아미드(INCI: 아세틸 테트라펩타이드 15) 및 출원인에 의해 상품명 Inolixir™로 시판되는 이노노투스 오블리쿠우스(Inonotus obliquus)의 추출물로 제조될 것임을 언급한다.
탈모 예방을 위한 성분 중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상품명 Trichogen™ LS 8960으로 시판되는 술포펩타이드, 아미노산, 아미노당류, B군 비타민, 아연 및/또는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 및 아르티움 마주스(Artium majus)의 추출물의 조합 및/또는 모발 보호제,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 상품명 Litchiderm™으로 시판하는 리취 키넨시스(Litchi chinensis) 과피의 추출물, 및/또는 진정제 및 가려움 방지 활성제,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 상품명 Phytosoothe™ LS9766으로 시판되는 유채 식물스테롤 및/또는 모낭을 강화하기 위한 활성제, 예를 들어 네펠리움 라파세움(Nephelium lappaceum) 및/또는 미녹시딜(minoxidil)의 추출물, 아모레퍼시픽에서 시판하는 발프로산 및/또는 Silab 및/또는 Rednensyl에서 시판하는 스템옥시딘 및/또는 아미녹실 및/또는 헤어게닐(Givaudan-Induchem에서 시판함) 및/또는 Mibelle에서 시판되는 Anagain 및/또는 Provital에서 시판되는 Baiecapil, 항비듬 활성제, 예컨대 상품명 BioToLife로 BASF에 의해 시판되는 효모로부터 추출된 아연 피리티온 및/또는 옥토피록스 및/또는 케토코나졸 당지질 및/또는 상품명 Elestab™ HP 100으로 시판되는 헥사미딘 디이세티오네이트 및/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상품명 Sanicapyl로 시판되는 파이퍼 니그룸(Piper nigrum) 베리의 추출물, 잉가 알바(Inga alba) 나무껍질 추출물 및 소듐 라우로일 락틸레이트를 포함하는 복합체, 잉가 알바 껍질의 추출물, 파이퍼 니그룸 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체 및/또는 특히 살리실산과 조합된 피록톤 올라민과 같은 항비듬 활성제로 제조된다고 언급될 것이다.
두피에 활성인 성분 중에서, 특히 모발 관리를 위한 항산화 활성제로서 상품명 DN-Age™로 시판되는 카시아 알라타(Cassia alata) 잎의 추출물, 당화제로서 상품명 CollRepair™로 시판되는 샐비어 밀티오리자(Salvia miltiorhizza) 추출물 및 나이아신아미드의 조합, 상품명 MAT-XS™ Bright로 시판되는 오르토시폰 스타미네우스(Orthosiphon stamineus)의 추출물, 및 본 출원인에 의해 상품명 Scalposine™으로 시판되는 사르코신으로 제조된다고 언급될 수 있다. 활성제의 이들 조합은 모낭을 강화할 수 있고, 따라서 케라틴 섬유, 우선적으로는 모발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한다.
바디케어 조성물의 맥락에서, 피부 탄력을 촉진하기 위한 미용 활성 성분, 예를 들어, 상품명 Dermican™으로 시판되는 합성 테트라펩타이드, 상품명 Linefactor™로 시판되는 히비스커스 아벨모스쿠스(Hibiscus abelmoschus)의 추출물, 상품명 Proteasyl™로 시판되는 정제된 완두콩 추출물, 상품명 Elestan™으로 시판되는 마닐카라 물티네르비스(Manilkara multinervis) 추출물, 상품명 Collalift™18로 시판되는 카야 세네갈렌시스(Khaya senegalensis) 추출물, 상품명 Argassential™로 시판되는 아르간 펄프 추출물 및 본 출원인에 의해 상품명 Sqisandryl™로 시판되는 쉬잔드라 키넨시스(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과의 조합이 또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Solabia 사에서 상품명 BioEcolia™로 시판되는 효소 합성에 의해 얻은 올리고당 또는 동일한 회사에서 상품명 Ecoskin™으로 시판하는 알파-글루코올리고당의 복합체, 알리스마 플란타고-아쿠아티카(Alisma plantago-aquatica)의 추출물, 아르가니아 스피노사(Argania spinosa)의 추출물(Lipofructyl™ Argan), 세라마이드의 혼합물(Sphingoceryl™ VEG), 볼도의 정제 추출물(Betapur™), 이눌린 또는 프락토올리고당 기반 산물, 지성 피부 관리용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추출물 또는 오르토시폰 스타미네우스(Orthosiphon stamineus) 추출물(MAT-XS™ Bright), 보습 특성용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상품명 Melhydran™으로 시판되는 천연 꿀 추출물, 본 출원인에 의해 상품명 Oligolin™으로 시판하는 아마 추출물, 본 출원인에 의해 상품명 Relipidium™으로 시판되는 생명공학적으로 변형된 효모 추출물, 본 출원인에 의해 상품명 Inhipase™로 시판되는 푸에라리아 로바타(Pueraria lobata) 뿌리 추출물, Mibelle에 의해 상품명 CM-Glucan Forte™으로 시판되는 제빵 효모의 베타-글루칸 유도체 및/또는 Sederma에 의해 상품명 Pacifeel™으로 시판되는 미라빌리스 할라파(Mirabilis jalapa)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또는 점막 미생물군에 대해 활성이고/이거나, 피부 장벽 기능에 대해 활성인 성분, 특히 보습 및/또는 진정 활성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편안함을 개선하고/하거나 건강한 외피, 특히 케라틴 섬유의 외형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부화 가수분해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의 형태인 건강한 피부, 유리하게는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 및/또는 건강한 외피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를 특히 매일 국소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용 관리 및/또는 치료 방법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다음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를 필요/희망하는 개체의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편안함을 개선하고/하거나 건강한 외피, 특히 건강한 케라틴 섬유의 외형을 개선하기 위한 미용 처리 방법이다:
- 개체에서 편안함의 개선을 희망하는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 및/또는 외형의 개선을 희망하는 건강한 외피의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특히 1x10-5 중량% 내지 20 중량%, 우선적으로는 1x10-4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1x10-3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우선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펩타이드 함량으로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편안함을 개선하고/하거나 건강한 외피, 특히 건강한 케라틴 섬유의 외형을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인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을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 및/또는 건강한 외피, 특히 건강한 케라틴 섬유의 영역에 국소 도포하는 단계.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우선적으로는 피부 항상성의 감소 및/또는 인볼루크린 함량 및/또는 필라그린 함량의 감소 및/또는 피부 pH의 증가 및/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병리, 특히 어린선 및 탈모증, 및 또한 급성 조사, 일광 화상 및 화상과 같은 특정 병리와 관련된 표피탈락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중, 특히 피부과 조성물 중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부화된 가수분해물의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이의 동족체이다. 약제학적 조성물, 특히 피부과 조성물은 우선적으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x10-5 중량% 내지 20 중량%, 우선적으로는 1x10-4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1x10-3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우선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펩타이드 함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로서 순수하게 제공되고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는 설명적 설명을 읽을 때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하고, 실시예를 포함하여 본 전문을 종합한 설명으로부터 임의의 선행 기술과 관련하여 신규한 것으로 보이는 임의의 특성은 기능 및 이의 일반적 성질 면에서 본 발명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각 실시예는 일반적인 범위를 갖는다.
더욱이, 실시예에서 그리고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온도는 섭씨도로 표시되고 압력은 대기압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 전 두피 표면 사진이고, 도 1b는 실시예 1의 조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도포 1주 후의 인간 두피 표면의 사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 전 두피 표면 사진이고, 도 2b는 실시예 1의 조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도포 3주 후의 인간 두피 표면의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 전 두피 표면 사진이고, 도 3b는 실시예 1의 조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도포 3주 후 및 도포 중단 1주 후 인간 두피 표면의 사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필라그린(녹색)의 면역염색 후 재작제된 외피의 조직학적 절편의 공초점 현미경 사진이다: 도 4a - 비처리 대조군; 도 4b -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없는 실시예 4의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 0.01%(w/v) 처리 후; 도 4c - 실시예 6의 조건 하에 실시예 2b에 따른 가수분해물의 형태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0.01%(w/v) 처리 후.
실시예
실시예 1: SEQ ID No. 1, SEQ ID No. 2, SEQ ID No. 3 또는 SEQ ID No. 4의 펩타이드의 생성
펩타이드 SEQ ID No. 1: GYYGEQQQQPGMTR
이 14-아미노산 펩타이드는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또는 특허 출원 WO 2017/009484 A1에 기재된 바와 같이 SEQ ID No. 423을 생성하거나 화학적 합성에 의해 쌀(오리자 사티바)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이의 분자량은 1642.72 달톤이다.
펩타이드 SEQ ID No. 2: SEEGYYGEQQQQPGMTR
이 17-아미노산 펩타이드는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쌀(오리자 사티바)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거나 특허 출원 WO 2017/009484에 기재된 바와 같이 SEQ ID No. 424를 생성하거나 화학적 합성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이의 분자량은 1988.01 달톤이다.
SEQ ID No. 1 및/또는 SEQ ID No. 2의 펩타이드는 선택적으로 실시예 2에 따른 가수분해물의 형태로 SEQ ID No. 3 및/또는 SEQ ID No. 4의 펩타이드와 조합될 수 있다.
펩타이드 SEQ ID No. 3: IYGPDTGVDYKDNQMR
이 16-아미노산 펩타이드는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쌀(오리자 사티바)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거나, 특허 출원 WO 2017/009484에 기재된 바와 같이 SEQ ID No. 218을 생성하거나 화학 합성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이의 분자량은 1971.97 달톤이다.
펩타이드 SEQ ID No. 4: FYNEGDAPVVAL
이 12-아미노산 펩타이드는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쌀(오리자 사티바)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거나, 특허 출원 WO 2017/009484에 기재된 바와 같이 SEQ ID No. 194를 생성하거나 화학 합성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이의 분자량은 1294.37 달톤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SEQ ID No. 1 및/또는 SEQ ID No. 2가 부화된 가수분해물의 생성
2a) 펩타이드 SEQ ID No. 1 및 SEQ ID No. 2가 부화된 쌀 가수분해물
이 쌀 가수분해물은 단일 프로테이나제에 의한 효소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지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가수분해물의 총 중량에 대해 20.4 중량%의 건조물 함량을 갖는 액체 가수분해물;
- 가수분해물의 총 중량에 대해 2.5 중량%의 질소 함량;
- 평균 분자량: 1540 g/mol;
- 분포: 펩타이드의 64.2%는 1000 달톤 초과의 분자량을 가지며 펩타이드의 84.5%는 2.5 kDa 미만의 분자량을 가지며;
- 이 가수분해물의 pH는 4.2이고;
- 이 가수분해물은 가수분해물의 건조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0.0031% 함량의 펩타이드 SEQ ID No. 1
및 0.0028%의 함량의 SEQ ID No. 2의 펩타이드
를 포함한다.
2b) 펩타이드 SEQ ID No. 1 및 SEQ ID No. 2가 부화된 쌀 가수분해물
이 쌀 가수분해물은 단일 프로테이나제에 의한 효소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지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가수분해물의 총 중량에 대해 20.0 중량%의 건조물 함량을 갖는 액체 가수분해물;
- 가수분해물의 총 중량에 대해 2.6 중량%의 질소 함량;
- 평균 분자량: 1500 g/mol;
- 분포: 펩타이드의 62.4%는 1000 달톤 초과의 분자량을 가지며 펩타이드의 85.5%는 2.5 kDa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 이 가수분해물의 pH는 4.1이고;
- 이 가수분해물은 가수분해물의 건조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0.0033% 함량의 펩타이드 SEQ ID No. 1
및 0.0111%의 함량으로 SEQ ID No. 2의 펩타이드
를 포함한다.
2c) 펩타이드 SEQ ID No. 1 및 SEQ ID No. 2가 부화된 쌀 가수분해물
이 쌀 가수분해물은 단일 프로테나아제로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지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가수분해물의 총 중량에 대해 15.5 중량%의 건조물 함량을 갖는 액체 가수분해물;
- 가수분해물의 총 중량에 대해 2.0 중량%의 질소 함량;
- 평균 분자량: 1440 g/mol;
- 분포: 펩타이드의 61.5%는 1000 달톤 초과의 분자량을 가지며 펩타이드의 87.1%는 2.5 kDa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 이 가수분해물의 pH는 4.2이고;
- 이 가수분해물은 가수분해물의 건조 중량에 대해 중량 기준으로:
0.0016% 함량의 펩타이드 SEQ ID No. 1
및 0.0012%의 함량의 SEQ ID No. 2의 펩타이드
를 포함한다.
실시예 3: 펩타이드의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 측정
달톤(Da)으로 정의된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한다.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결정하기 위해, 바이너리 펌프 및 탈기 장치가 있는 Agilent 1260 친화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PSS WinGPC UniChrom과 함께 사용했다. P55 WinGPC UniChrom은 포괄적인 거대분자 분석을 위한 제조자 독립적인 실시간 데이터 수집 기능을 갖춘 거대분자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 시스템이며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분석에 적합하다.
사용된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은 단백질 및 펩타이드의 고분해능 분리를 위한 특이적 크로마토그래피 컬럼(GE Healthcare Life Science의 Superdex Peptide 10/300 GL, 기공 폭 100 A, 입자 크기 5 tm)이다. 분자량이 100 내지 7000 달톤인 생체 분자 측정에 특히 적합하기 때문에 이 컬럼을 선택하였다. 0.5 ml/min의 유속의 묽은 염산(0.05 M)을 용출액으로 사용하였다. 굴절률 검출기(RID)를 사용하여 검출을 수행하였다.
주입 전에 0.2μm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 내 펩타이드 SEQ ID No. 1 및 SEQ ID No. 2의 분석
5 내지 15mg의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먼저 아세토니트릴/물(1/1, v/v)에 현탁시킨 다음 2 mg.mL-1의 쌀 단백질의 최종 농도로 수성 0.1% 포름산 및 5% 아세토니트릴로 희석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청액 100 μL를 동량의 내부표준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 20μl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탠덤 질량 분석법(LC-MS/MS)으로 분석했으며, 검출 한계는 0.00001 중량%의 건조물이었다.
QTRAP 5500 질량 분석기(AB Sciex)에 연결된 Aeris 1.7 μm Peptide XB-C18 150 x 2.1 mm 역상 컬럼(Phenomenex)에서 0 내지 95% 아세토니트릴의 13분 구배를 사용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했다. 예측된 펩타이드에 해당하는 크로마토그래피 피크를 Skyline 버전 3.5(University of Washington)를 사용하여 혼입하였다. 13C-, 15N-표지된 C-말단 아르기닌 잔기가 있는 동위원소 표지된 펩타이드를 합성하고 내부 및 보정 표준으로 사용했다. 신호 대 잡음 접근법을 사용하여 각 펩타이드에 대한 검출 한계(LOD)를 추정했다.
실시예 4 - 선행 기술 가수분해물
BASF가 상품명 Gluadin R Benz로 시판하는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다음 실시예에서 그 조성 및 피부 및 모발에 대한 효과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 선행 기술의 가수분해물 산물은 하기 분자량 특성을 갖는다:
- 1430 g/mol의 평균 분자량
- 분포: 펩타이드의 59.6%는 1000 달톤 초과의 분자량을 가지며 펩타이드의 79.6%는 2.5 kDa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 SEQ ID No. 1 및 SEQ ID No. 2의 펩타이드는 가수분해물에 존재하지 않고(0.00001% 검출 임계값에서 검출되지 않음)
- pH는 4.3이다.
펩타이드 분포 양태에서 유사한 특성으로 인해 이 비교를 선택하였다.
실시예 5: 인볼루크린 합성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산물의 효과
인볼루크린은 인간 외피의 제1 가시층에서 과립층까지 케라틴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단백질이다. 케라틴세포가 각질세포로 분화하는 동안 인볼루크린은 다른 단백질과 중합되어 세포막의 내면에 침착된 각질화된 외피를 형성한다. 인볼루크린 발현은 여러 전염증성 피부 병태에서 파괴되고; SDS(소듐 도데실 술페이트) 및 DNCB(디니트로클로로벤젠)와 같은 여러 화학적 자극제는 TNF-α의 유도를 통해 인볼루크린의 발현을 변형시킨다.
세포 배양 및 처리:
26세 및 30세 여성의 복부 생검에서 얻은 정상 인간 외피 케라틴세포를 콜라겐 코팅된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송아지 태아 혈청(Dutscher, France)을 포함하는 DMEM 성장 배지(Invitrogen, France)에 시딩하고, 그런 다음 37℃ 및 5% CO2에서 3일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이어서, 세포를 실시예 4의 가수분해물과 비교하여, 또는 임의의 산물의 부재 하에(비처리 대조군을 Ctrl로 지칭함) 1 mM 칼슘, 10 ng/mL TNF-α(Gibco Invitrogen, France) 및 실시예 2b의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표준 배지에서 3일 동안 다시 인큐베이션하였다. 시험된 함량은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배지의 총 부피에 대한 가수분해물의 건조물 중량으로 표시된다.
인볼루크린의 정량화
세포 층을 식염수 용액(HBSS - 행크 균형 염 용액으로 공지됨)으로 세정하고, 인볼루크린 수준을 제조자의 절차에 따라 ELISA(ELISA 인간 인볼루크린 BT601 키트, Clinisciences France)에 의해 세포 균질액에서 측정하였다. 세포 MTT 분석을 시험된 투여량(75% 초과 MTT 함량 대 대조군)에서 산물의 세포독성 부재를 검증하기 위해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통계적 시험:
결과는 비처리 대조군 Ctrl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된다.
결과: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부화 가수분해물은 케라티노사이트에 의한 인볼루크린 합성을 자극하였다. 균등 투여량에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물은 실시예 4의 비교 가수분해물보다 1.3배 더 효과적이었다. 펩타이드 SEQ ID No. 1 및 SEQ ID No. 2의 존재가 이러한 차이를 설명한다.
실시예 6 필라그린 합성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산물의 효과
후기 분화 마커인 필라그린 합성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산물의 효과를 1차 인간 케라틴세포로부터 재작제된 외피에서 평가하였다. 케라티노사이트의 증식 및 분화 7일 후, 재작제된 외피를 특히 실시예 2b에 따른 가수분해물의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부재하는 실시예 4의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았고(비처리 대조군), 그 후, 2일의 인큐베이션 후에 10 ng/ml의 TNF-α를 첨가하고 인큐베이션을 2일 동안 계속하였다. 그런 다음 재작제된 외피를 파라핀에 포매하고 필라그린 면역염색 및 공초점 현미경에 의한 이미지 분석을 위해 절단했다.
결과는 도 4에 제시되어 있다.
특히 실시예 2b에 따른 가수분해물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비처리 대조군에 비해, 및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부재하는 실시예 4의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비해 필라그린 합성을 자극하였다.
실시예 7: 모발 및 두피에 대한 임상시험
인간 지원자에 대한 임상 시험의 맥락에서 하기 샴푸 조성물에서 본 발명에 따른 2%(w/w) 부화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처리의 효과를 평가하고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물을 포함하지 않는 샴푸(위약으로 지칭됨)로 처리한 효과와 비교하였다.
이 임상 연구에서 시험된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백분율은 중량 기준으로 표시됨)
Figure pct00002
본 연구는 민감한 두피와 산재되어 있고 확산된 건조 박편을 나타내는 18세 내지 55세의 44명의 여성 및 남성 지원자에 대해 수행되었다. 지원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한 그룹은 2%(w/w) 쌀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샴푸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시험하고, 두 번째 그룹은 위약으로 언급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물을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을 시험했다. 21일 동안 주 3회 이 샴푸를 사용하였다.
두피 홍조(DermoGenius Ultra), 두피 pH(pH 측정기), 두피 피지(피지 측정기)를 측정하고 두피 박편(전문가 점수에 의함)을 평가함으로써 두피의 편안함을 개선하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모든 측정 및 임상 점수를 또한 최초 도포 직후, 산물 사용 1주 및 3주 후, 및 치료 중단 1주 후(치료 후 기간)에 수행하였다.
시간의 함수로서 도구 매개변수의 진화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Shapiro-Wilk 테스트; 대 2원 스튜던트 t-시험 또는 Wilcoxon 테스트에 의한 초기 값, 및 1원 스튜던트 t-시험 또는 Mann-Whitney 시험에 의한 산물 간의 비교에 의한 분포의 정규성을 검증한 후 수행하였다. 점수 망의 경우, 시간의 함수로서 매개변수의 진화를 비모수 Wilcoxon 또는 Mann-Whitney 시험으로 결정하였다. 유의 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p < 0.05).
결과는 도 1 내지 도 3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샴푸의 첫 번째 사용은 두피 홍조, 두피 pH 및 박편 점수에서 즉각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가져왔다. 본 발명에 따른 2% 쌀 펩타이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샴푸는 또한 위약 샴푸보다 두피 피지 수준의 유의하게 더 낮은 감소와 함께 두피에 더 순한 세정 효과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2% 쌀 펩타이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샴푸는 1주 및 3주 사용 후 두피 홍조를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두피 pH를 감소시켰으며, 박편 점수 감소를 감소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2%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샴푸 역시 1주 및 3주 사용 후 정상적인 두피 피지량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두피에 순한 세정 효과를 제공하고, 위약 샴푸는 동시에 두피 피지 수준을 감소시켰다.
주목할 만한 것은, 시험 샴푸의 사용을 중단한 지 1주 후에도 본 발명에 따른 2%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샴푸를 사용한 지원자 그룹의 두피 홍조가 위약 그룹보다 여전히 유의하게 더 높았고, 두피의 pH는 위약 샴푸를 사용한 지원자 그룹보다 유의하게 더 낮았다.
실시예 8. 피부 보습에 대한 임상 연구
바디 로션에서 본 발명에 따른 2%(w/w)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로 처리한 피부 보습 효과를 인간 지원자에 대한 임상 연구에서 위약 처리에 대해 시험하였다. 사용한 바디 로션의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중량%).
Figure pct00003
본 연구는 다리에 건조한 피부를 가진 40세 내지 65세의 여성 지원자 24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지원자는 다리당 하나의 바디 로션 조성물을 도포했다. 바디 로션을 28일 동안 하루에 2회 사용하였다.
보습 효능을 코네오미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초기값에 해당하는 시간에 측정하였으며, 투여 7일, 14일, 28일차 및 산물 사용을 중단한 후 7일(초기값 35일 후)차에 측정하였다. 지원자는 소비자 자기 인식 설문 조사를 또한 28일차에 완료하였다.
2원 스튜던트 t 시험 또는 Wilcoxon 부호 순위 시험에 의한 Shapiro-Wilk 시험에 의해 분포의 정규성을 검증한 후 시간의 함수로서 도구 매개변수의 진화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의 수준을 5%로 설정하였다(p < 0.05). 소비자 자기인식 설문지에서 5%에서 양측이항분석(two-tailed binomial test)을 통해 긍정(동의) 의견과 부정(비동의) 의견의 통계적 차이(%) 차이를 평가하였다.
1, 2 및 4주 사용 후, 본 발명에 따른 2%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디 로션은 2 및 4주 사용 후 위약 바디 로션에 비해 피부 보습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주목할 만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2%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디 로션으로 처리된 다리의 피부 보습도는 조성물 사용을 중단한 지 1주 후에도 초기 값 및 위약에 비해 피부 보습이 여전히 유의하게 더 높았다.
본 발명에 따른 2%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디 로션을 4주 동안 사용한 후, 지원자의 대다수가 피부가 깊숙이 보습되고, 피부가 고영양 상태로 보이고 느껴지고, 다리의 피부 장벽이 강해지고, 피부가 눈에 띄게 더 연하고 더 부드럽고 더 거칠지 않고 진정되고 편안하게 느껴졌다는 것에 동의하였다.
실시예 9: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성분의 제형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성분은 다음을 포함한다(중량 백분율(w/w)):
- 보존제로서의 벤조산 0.4%
- 실시예 2에 따른 쌀 가수분해물 20%
- 물 qs 100%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성분은 액체이고 미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실시예 10: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의 다른 장점/특성
10.1 항-엘라스타제 활성: HLE(인간 백혈구 엘라스타제) 억제 시험
모낭 줄기 세포(HFSC)의 노화는 모낭의 노화 및 점진적인 소형화로 이어진다. 모낭의 이러한 노화를 반교소체 단백질 COL17A1(콜라겐 BP180/유형 XVII)의 단백질 분해에 의한 줄기세포의 경피 제거에 의해 유도한다. 모낭 줄기세포를 기저막에 고정시키는 반교소체의 이러한 단백질 분해는 노화형 비대칭 세포분열과 모낭의 노화를 유도한다. 이 단백질 분해는 노화된 HFSC에서 유도되지만 어린 HFSC에서는 검출할 수 없는 호중구 엘라스타제에 의해 유발되어 COL17A1 고갈, 모낭의 소형화 또는 손실 및 노화 관련 탈모를 초래한다.
특히 실시예 2b에 따른 가수분해물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0.1%(w/w)의 투여량에서 비처리 대조군에 비해 엘라스타제 활성의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고, 즉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부재하는 실시예 4의 기준 가수분해물보다 2.2배 더 효과적이었다.
10.2 콜라겐 합성에 대한 활성
특허출원 WO 2012/175454 A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침착된 콜라겐 I의 합성을 평가하였다.
특히 실시예 2b에 따른 가수분해물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0.05%(w/w)의 투여량에서 비처리 대조군에 비해 콜라겐 I 합성을 유의하게 자극하였고, 즉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부재하는 실시예 4의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보다 2.4배 더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11: 피부 탄력 및 탄력에 대한 임상 연구
본 연구는 40세 내지 65세의 34명의 여성 지원자에 대해 수행되었다. 지원자는 실시예 7과 유사한 바디 로션 조성물을 복부 측면에 도포하였다. 바디 로션을 28일 동안 하루에 2회 사용하였다.
탄력에 대한 효과를 큐토미터(cutometer) 및 스킨파이브로미터(SkinFibrometer)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사용 2주 및 4주 후, 본 발명에 따른 2%(w/w)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디 로션은 위약 바디 로션에 비해 피부 탄력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산물 사용 28일 후 피부 신축성도 위약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로션 사용을 중단한 지 1주 후에도 본 발명에 따른 2%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디 로션으로 처리된 복부 측면의 피부 탄력이 개시 및 위약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본 발명에 따른 2%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디 로션을 4주 동안 사용한 후, 지원자의 대다수가 복부 피부가 더 젊어 보이고 더 편안하다는 데 동의하였다.
실시예 12: 모발 외형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의 효과
12.1) 케라틴 섬유의 구조: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물을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DSC(시차 주사 열량계) 방법을 통해 모발 복원 특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DSC 과정은 가열 동안 샘플에 의해 흡수/방출되는 열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열 분석 과정이다. 온도 변화 프로그램(가열 속도) 동안 샘플과 기준 사이의 열유속이 다르기 때문에 비처리 모발(기준)에 비해 처리된 모발(샘플)의 변성 온도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자동 샘플러가 있는 TA Instruments Q 100 DSC 기계를 사용했다. 문헌[F.J. Wortmann et al., J. Cosmet. Sci., 2002, 53, 219-228]의 방법에 따라 2℃/min 의 가열 속도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샘플로 백인 모발을 초표백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 1%(건조물, w/v로 표시)를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3회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물 단독 처리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2에 따라 본 발명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처리한 손상된 모발은 분해 온도가 더 높았고, 즉 모발의 변성 온도가 개선되었으며, 이는 모발 구조의 개선에 기인한다.
Figure pct00004
12.2) 진피 유두 섬유아세포의 증식
사용된 방법은 모낭에 대한 활성화 효과 및 모발 성장 증가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응집체로 배양된 진피 유두 섬유아세포로부터의 모낭 가유두의 3D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세포 배양 및 처리:
이 과정은 인간 모발 유두 섬유아세포 현탁액의 부드러운 원심분리에 의한 인간 모발로부터 유두 섬유아세포의 응집을 기반으로 한다. 실시예 4의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임의의 산물 부재(비처리 대조군)와 비교시 실시예 2c의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물의 형태로 쌀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기반 배지에서 현탁액 형태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제조하고,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옮겼다. 세포 현탁액을 200x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형성된 응집체를 37℃ 5% CO2 및 95% 초과의 상대 습도에서 5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DNA 정량화
응집체를 평형 식염수 용액(PBS)으로 세정한 다음, 프로테아제(콜라게나제 A, 트립신)와 EDTA의 혼합물과 함께 약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파괴하였다. 그 다음, 세포 현탁액의 일부를 원심분리하고 펠릿을 회수하여 DNA(데옥시리보핵산) 수준을 측정하였다. DNA를 키트 제조업체(CyQUANT NF 세포 증식 분석 키트, Invitrogen, France)의 권장 사항에 따라 특정 완충액에 용해된 세포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는 비처리 대조군에 대비한 백분율로 표시되고 평균으로 표시된다.
결과:
Figure pct00005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물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비처리 대조군 및 기준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실시예 4)에 비해 위유두 섬유아세포에서 총 DNA 함량을 자극하였다. 0.01%(건조 중량)의 동일한 투여량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물의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실시예 4의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보다 5배 더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13: 제형 실시예
O/W 중합체 겔
Figure pct00006
적합한 제형은 또한 실시예 2의 펩타이드를 실시예 2a)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물로 대체하는 BASF 특허 출원 US 2019/0216709 실시예 B3 내지 B9에 기재된 것들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된 펩타이드는 하기 표 7에 정리되어 있다:
Figure pct00007
<110>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120> NOVEL USE OF A PEPTIDE TO IMPROVE THE COMFORT OF SKIN AND/OR MUCOUS MEMBRANES AND/OR THE APPEARANCE OF DANDER <130> 1H197810 0141 PCT <150> FR2010090 <151> 2020-10-02 <160> 4 <170> BiSSAP 1.3.6 <210> 1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W 1642.72 <400> 1 Gly Tyr Tyr Gly Glu Gln Gln Gln Gln Pro Gly Met Thr Arg 1 5 10 <210> 2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W 1988.01 <400> 2 Ser Glu Glu Gly Tyr Tyr Gly Glu Gln Gln Gln Gln Pro Gly Met Thr 1 5 10 15 Arg <210> 3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W 1971.97 <400> 3 Ile Tyr Gly Pro Asp Thr Gly Val Asp Tyr Lys Asp Asn Gln Met Arg 1 5 10 15 <210> 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W 1294.37 <400> 4 Phe Tyr Asn Glu Gly Asp Ala Pro Val Val Ala Leu 1 5 10

Claims (23)

  1. 건강한 피부(skin),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편안함을 개선하고/하거나 건강한 외피의 외형을 개선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용적 특성을 위한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이의 동족체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피부(cutaneous) 및/또는 점막 항상성의 감소 및/또는 인볼루크린(involucrin) 함량 및/또는 필라그린(filaggrin) 함량의 감소 및/또는 피부 pH의 증가로 인한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한, 용도.
  3. 제2항에 있어서,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는 연령 또는 상피 세포의 손상과 관련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 피부 및/또는 점막 항상성의 감소 및/또는 인볼루크린 함량 및/또는 필라그린 함량의 감소 및/또는 피부 pH의 증가로 인한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해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편안함을 개선하는 것; 및/또는
    - 건강한 외피의 외형을 개선하는 것
    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용적 특성을 위한,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의 용도로서,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불쾌하고 불편한 징후는 연령 또는 상피 세포의 손상과 관련이 없는,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두피의 피부 및/또는 점막 건조증, 가려움증, 홍조, 피부 당김, 스케일링, 특히 두피 박편, 비듬, 갈라짐 및 특히 두피의 피부 민감성의 감소 및/또는 예방 및/또는, 피부 및/또는 점막의 편안함의 제공 및/또는 더 부드러운 피부 및/또는 점막의 조성 및/또는 거친 정도의 감소를 위한,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피, 우선적으로는 모발의 외형의 개선은 강도 및/또는 저항성 증가, 및/또는 미용적 산화 처리 및/또는 공격적 제제에 의한 손상으로부터의 보호, 손상률 감소, 손상된 외피의 복원, 형태 및/또는 부피의 개선, 케라틴(keratin) 섬유의 성장 및/또는 광택 증가, 및/또는 손실 감소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피는 모발인, 용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는 SEQ ID No. 2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의 형태로 존재하는, 용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는 특히 SEQ ID No. 1의 펩타이드가 부화된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의 펩타이드 가수분해물의 형태, 우선적으로는 액체 형태로 존재하는, 용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수분해물은
    - 15 중량% 내지 25 중량%의 건조물 함량을 갖는 것;
    - 1.5 중량% 내지 3 중량%의 질소 함량을 갖는 것;
    - 1000 내지 2500 달톤, 우선적으로는 1250 내지 2000 달톤, 더욱 우선적으로는 1500 달톤 범위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
    - 1000 달톤 초과의 분자량을 갖는 펩타이드를 적어도 50%, 더욱 우선적으로는 60% 함유하는 것;
    - 2500 달톤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펩타이드를 적어도 70%, 더욱 우선적으로는 80% 함유하는 것
    으로부터 선택되는 특징 중 적어도 2 가지를 갖는, 용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는
    - SEQ ID No. 2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와의 조합, 및/또는
    - SEQ ID No. 3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와의 조합, 및/또는
    - SEQ ID No. 4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와의 조합
    으로 사용되는, 용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는, 이를 포함하고 유리하게는 또한 적합한 미용 비히클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3. 제12항에 있어서,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x10-5 중량% 내지 20 중량%, 우선적으로는 1x10-4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1x10-3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우선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건조물의 양으로 미용 조성물에 존재하는, 용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국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및/또는 민감한 피부, 및/또는 건조 및/또는 민감한 두피의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펩타이드의 동족체는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7.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편안함을 개선하고/하거나 건강한 외피, 특히 케라틴 섬유의 외형을 개선하기 위해,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를 건강한 피부, 유리하게는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 및/또는 건강한 외피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국소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관리 및/또는 처리 방법.
  18. - 피부 및/또는 점막 항상성의 감소 및/또는 인볼루크린 함량 및/또는 필라그린 함량의 감소 및/또는 피부 pH의 증가로 인한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불쾌하고/하거나 불편한 징후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해 건강한 피부, 특히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편안함을 개선하고/하거나,
    - 건강한 외피, 특히 케라틴 섬유의 외형을 개선하기 위해,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를 건강한 피부, 유리하게는 건강한 두피 및/또는 건강한 점막 및/또는 건강한 외피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국소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관리 및/또는 처리 방법으로서, 건강한 피부 및/또는 건강한 점막의 불쾌하고 불편한 징후는 연령 또는 상피 세포의 손상과 관련이 없는, 미용 관리 및 처리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는 제8항 내지 제13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은, 미용 관리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외피의 영역은 두피, 얼굴, 손, 팔, 목선, 다리, 목, 등, 어깨, 복부, 손목, 팔뚝, 발목, 허벅지, 목덜미, 관절 주름 및 겨드랑이, 입술 점막, 체모, 속눈썹, 눈썹 및/또는 머리카락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1. 피부 항상성의 감소 및/또는 인볼루크린 함량 및/또는 필라그린 함량의 감소 및/또는 피부 pH의 증가 및/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과 관련된 병리, 특히 어린선(ichthyosis) 및 탈모증, 및 또한 급성 조사, 일광 화상 및 화상과 같은 특정 병리와 관련된 표피탈락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
  22. 제21항에 있어서,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이의 동족체가 제8항 내지 제11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x10-5 중량% 내지 20 중량%, 우선적으로는 1x10-4 중량% 내지 10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1x10-3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우선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건조물의 함량으로 약제학적 조성물 중에 존재하고, 상기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또한 적합한 약제학적 비히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EQ ID No. 1의 펩타이드 및/또는 특히 상기 서열과 적어도 85%의 서열 동일성을 가지며 동일한 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이의 동족체.
KR1020237010990A 2020-10-02 2021-10-01 피부 및/또는 점막의 편안함 개선 및/또는 비듬의 출현 개선을 위한 펩타이드의 신규 용도 KR202300744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010090 2020-10-02
FR2010090A FR3114744B1 (fr) 2020-10-02 2020-10-02 Nouvelle utilisation d’un peptide pour améliorer le confort de la peau et/ou des muqueuses et/ou l’apparence des phanères
PCT/FR2021/051703 WO2022069844A1 (fr) 2020-10-02 2021-10-01 Nouvelle utilisation d'un peptide pour améliorer le confort de la peau et/ou des muqueuses et/ou l'apparence des phanè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492A true KR20230074492A (ko) 2023-05-30

Family

ID=7404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990A KR20230074492A (ko) 2020-10-02 2021-10-01 피부 및/또는 점막의 편안함 개선 및/또는 비듬의 출현 개선을 위한 펩타이드의 신규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221678A1 (ko)
KR (1) KR20230074492A (ko)
CN (1) CN116322637A (ko)
BR (1) BR112023006002A2 (ko)
FR (1) FR3114744B1 (ko)
WO (1) WO2022069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41066A1 (fr) * 2022-10-24 2024-04-26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Nouvelle utilisation d’un peptide pour améliorer la matrice extracellulaire du derme de la peau et/ou des muqueuses
CN116712526A (zh) * 2023-07-04 2023-09-08 云曼(深圳)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防脱生发精华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11053A1 (it) 2001-11-07 2003-05-07 Zschimmer E Schwarz Italiana S Uso di sali di capriloil glutammato e-o capriloil idrolizzato di proteine di grano e-o riso nella formulazione di composizioni detergenti o
KR100544831B1 (ko) 2003-06-17 2006-01-24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발아된 검은콩 및 검은쌀 단백질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펩타이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R2877568B1 (fr) * 2004-11-10 2008-03-2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hydrolysat de proteines de riz et un agent augmentant la synthese des glycosaminoglycannes
FR2894142B1 (fr) * 2005-12-05 2009-06-12 Oreal Utilisation de l'association du dipeptide tyrosine-arginine et de la niacimanide en tant qu'antagoniste de substance p
FR2915383B1 (fr) * 2007-04-27 2010-01-15 Vincience Utilisation d'un principe actif issu du riz (oryza sativa l.) pour preparer une composition destinee a activer l'energie cellulaire et a proteger la peau des dommages oxydatifs.
FR2956818B1 (fr) * 2010-02-26 2012-07-20 Isp Investments Inc Utilisation d'un hydrolysat peptidique de lin dans une composition pour apaiser la peau
FR2976587B1 (fr) 2011-06-20 2015-04-03 Basf Beauty Care Solutions F Methode de dosage in vitro par technique immunologique
CN114835784A (zh) 2015-07-16 2022-08-02 努里塔斯有限公司 抗炎肽及其用途
EP3118216A1 (en) 2015-07-16 2017-01-18 Nuritas Limited Cellular growth and proliferation promoting peptides, and uses thereof
JP7005601B2 (ja) 2016-09-13 2022-01-21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タンパク質加水分解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14744B1 (fr) 2024-01-05
BR112023006002A2 (pt) 2023-05-02
FR3114744A1 (fr) 2022-04-08
WO2022069844A1 (fr) 2022-04-07
EP4221678A1 (fr) 2023-08-09
CN116322637A (zh)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7448B2 (ja) 美容用又は治療用組成物中の天然有効成分の使用
KR20070003907A (ko) 혈청 노화 인자 격리 제제 및 이를 위한 용도
JP2024045614A (ja) モリンガ・オレイフェラ種子のタンパク質抽出物の美容的使用
CN110691630A (zh) 红毛丹果皮提取物在皮肤和/或粘膜保湿中的用途
KR20230074492A (ko) 피부 및/또는 점막의 편안함 개선 및/또는 비듬의 출현 개선을 위한 펩타이드의 신규 용도
EP2907498A1 (en) Exfoliating cellulose beads and cosmetic uses thereof
JP2023052050A (ja) 皮膚及び/又は粘膜の硬さを増大させるためのネフェリウム・ラッ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抽出物の使用
WO2018174286A1 (ja) 角層機能改善剤
US20190125657A1 (en) Cosmetic use of khaya senegalensis extract
JP3908126B2 (ja) 表皮角化正常化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N112236201B (zh) 红木(bixa orellana)提取物的用途
JP3172753B2 (ja) 生体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TW202118508A (zh) 具有抗老化功效之多肽及其用途
CN108653084B (zh) 一种含生长因子的男士用护肤组合物及其应用
JPH11158054A (ja) 皮膚外用剤
KR20230115996A (ko) 히포파에 람노이데스 케이크 가수분해물의 미용 용도
US10406086B2 (en) Moisturizer and cosmetic including the same
KR20130116641A (ko)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20898B1 (ko) 지실 추출물 및 hpc를 함유한 모공 수렴 화장료 조성물
JP2022543141A (ja) ヤナギラン(Epilobium angustifolium)抽出物の新規な化粧用使用
CN117482133A (zh) 粗茎秦艽提取物的新化妆品或皮肤病学用途
CN114423411A (zh) 榄仁提取物的化妆品或保健品用途
JP2963136B2 (ja) 化粧料
CN111202687A (zh) 用于回复皮肤屏障功能或预防皮肤炎症的组合物及其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