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760A -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 제조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 제조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760A
KR20230071760A KR1020220153509A KR20220153509A KR20230071760A KR 20230071760 A KR20230071760 A KR 20230071760A KR 1020220153509 A KR1020220153509 A KR 1020220153509A KR 20220153509 A KR20220153509 A KR 20220153509A KR 20230071760 A KR20230071760 A KR 20230071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der
beads
screw extruder
discharg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첸지창
지아티안
창준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유즈온 (난징) 엑스트루전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유즈온 (난징) 엑스트루전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케미컬
Publication of KR20230071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29B9/065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under-water, e.g. underwater pelletiz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18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impregnating polymer particles with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6CO2, N2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8Supercritical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기 및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를 공개하고; 이는 적어도 하나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원료에 대해 예혼합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 후 압출 작업을 수행하며; 및 압출물을 펠레타이징 시스템에 주입하고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공정용수의 압력 및 압출물의 발포제의 포화 증기압을 제어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얻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적절한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를 선택하고, 고분자 시스템의 결정 성능과 발포 성능을 조절하며, 적절한 수중 펠레타이징 공정 조건을 선택하여, 분해성 고분자 비드의 공기량 및 발포율 등을 조절하고, 생분해성 고분자의 발포 비드를 연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생산한다.

Description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 제조 방법 및 기기{BIODEGRADABLE POLYMER BEADS, PREPARATION METHOD AND EQUIPMENT}
본 발명은 고분자 재료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 제조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용화된 고분자 경량화 기술에서, 비드 발포 기술은 고배율 및 복합한 형상의 고분자 발포 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발포 비드 성형 과정에서, 상호 결합을 통해 불규칙한 기하학적 형상과 우수한 치수 정확도를 갖는 발포 제품을 형성한다. 동시에, 발포 비드 제품은 또한 에너지 흡수성, 단열성, 차음성과 같은 압출 발포 제품과 동일한 밀도 및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비드 발포 제품은 보온, 포장, 가구, 장난감 및 자동차 부품 등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PLA의 제조 원료는 옥수수대, 사탕무와 같은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우수한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으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PLA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강하며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주로 식품 포장, 농업용 필름, 의료 및 직물, 3D 프린트 등 분야에 사용되고, 변성 PLA는 전자, 자동차 부품 등 분야에서 내구재로 사용될 수 있다. PLA는 석유 기반 고분자 재료의 가장 중요한 대체물이 되었다. PBAT는 널리 사용되고 생분해성이 우수한 다른 고분자 재료로, 우수한 연성과 내충격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발명 US 8283389 및 WO 2014/15801은 모두 회분식 오토클레이브 방법을 사용하여 생분해성 고분자의 발포 비드를 제조한다. 여기서, 발명 US 8283389는 PLA 비드를 액체 CO2에 정치하여 CO2 포화 PLA 비드를 얻는다. 포화된 PLA 비드를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유지하여 비드의 발포를 방지하는 동시에 함침된 CO2 농도가 포화 후 PLA 전체 질량의 5~18 wt%에 도달하도록 한다. 그 다음 포화된PLA 비드를 사전 발포 온도에서 사전 발포한다. 사전 발포된 비드는 즉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저장 후 금형에 넣어 추가로 발포 및 소결한다. 금형의 온도는 사전 발포온도보다 높다. 발명 WO 2014/15801은 발포 과정에서 이중 용융 피크를 제조하여 원하는 3차원 구조의 EPLA 비드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 소개된 EPLA 발포 비드의 제조 방법은 1. 미발포 PLA 입자를 얻는 단계, 2. 미발포 PLA 입자를 어닐링 온도로 가열하고 발포제로 포화하는 단계, 3. 어닐링 온도로 일정한 시간 동안 유지하여, PLA 입자가 발포제에 의해 포화되도록 하는 단계, 4. 압력을 해제하고, 단계 3에서 얻은 발포제에 의해 포화된 PLA 입자를 실온으로 냉각하여, EPLA 발포 비드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명 US 2017/0100861은 공랭식 펠레타이징 방법을 사용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발포 비드를 연속 제조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발포 과정은 1축 및 2축 압출 공정과 같은 전통적인 용융 발포 공정을 사용할 수 있고, 압출기 다이 헤드에서 압출물을 절단한 다음 냉각한다. 압출물은 머신 헤드의 다이 면에서 절단된 후 계속 발포되어, 폐쇄 셀 구조 및 연속 스킨 구조, 즉 발포 비드의 스킨에 개방 셀이 없는 구조를 형성한다. 제조된 분해성 또는 바이오 기반 발포 비드의 밀도는 0.15 g/cm3, 바람직하게는 0.075 g/cm3,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g/cm3보다 작다.
기존의 생분해성 고분자의 비드 발포 기술은 발포된 비드의 제조에만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 제조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압출기 및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에 관한 것이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원료에 대해 예혼합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 후 압출 작업을 수행하며; 및
압출물을 펠레타이징 시스템에 주입하고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공정용수의 압력 및 압출물의 발포제의 포화 증기압을 제어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얻는 데 사용된다.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압출기 및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기에서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 고분자,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 핵제 마스터배치를 혼합 반응시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발포제와 상기 제1 혼합물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압출하고 수중에서 펠레타이징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의 제조 기기에 관한 것이며, 이는 물질 통과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 원료 창고, 제습 및 건조 시스템, 공급 시스템, 감량식 공급 시스템, 탠덤 압출기 시스템, 발포제 주입 시스템 및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탠덤 압출기는 상단 2축 압출기 및 하단 1축 압출기를 포함하며;
공급 시스템이 각 성분의 원료를 원료 창고에서 대응되는 제습 및 건조 시스템으로 이송한 후, 고온 및 저노점의 공기에 의해 제습 및 건조 시스템에서 각 성분의 원료를 건조시키고;
감량식 공급 시스템은 건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및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와 핵제 마스터배치를 일정한 질량 유량으로 탠덤 압출기 시스템의 상단 2축 압출기에 공급한 다음, 발포제 주입 시스템을 통해 발포제를 배럴에 주입하여 고분자 시스템과의 혼합 및 확산을 완료하며;
상기 1축 압출기의 토출단과 다이 헤드 사이에는 삼방 벨브, 및 삼방 밸브 내에 설치된 중간 유로, 토출 유로 및 배출 유로가 구비되어 있고;
수중 펠레타이저의 회전 절단 헤드에 의해 수중 챔버에서 다이 헤드에 의해 압출된 스트립 형태의 고분자를 펠릿 형태로 절단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적절한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를 선택하고, 고분자 시스템의 결정성과 발포성을 조절하며, 적절한 수중 펠레타이징 공정 조건을 선택하여,분해성 고분자 비드의 공기량과 발포율 등을 조절하고; 동시에 배출 시스템의 설정 및 삼방 밸브의 조절을 통해 발포 시스템의 배출 상태와 정상 생산 상태의 전환을 구현하여, 다이 헤드 상에 수중 펠레타이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생분해성 고분자의 발포 비드를 연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산업화 생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의 제조 기기의 구조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시스템에서 배출을 위한 기기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세부사항
하기 설명에서 공개된 각 실시형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일부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포함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이러한 하나 이상의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방법, 부재, 재료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실시형태를 구현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전체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단어 "포괄", "포함", "함유", "구비"는 개방적이고 포괄적인 의미, 즉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체 명세서에서 언급된 "일 실시형태", "실시형태", "다른 실시형태에서" 또는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구체적인 참조 요인, 구조 및 특징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체 명세서에서 상이한 위치에 나타난 문구 "일 실시형태에서" 또는 "실시형태에서" 또는 "다른 실시형태에서" 또는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형태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구체적인 요인, 구조 또는 특징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결합될 수 있다.
정의
본 발명에서, 용어 "PLA"는 폴리젖산을 의미하며, 단일 젖산 분자에 하나의 히드록실 및 하나의 카르복실이 있고, 다수의 젖산 분자가 함께 있으며, -OH와 다른 분자의 -COOH가 탈수축합되고, -COOH와 다른 분자의 -OH가 탈수축합되며, 이와 같이 손에 손잡아 형성된 고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PBAT"는 부틸렌 아디페이트와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를 의미하고, 열가소성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속하며, PBAT는 지방족과 방향족의 공중합체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우수한 분해성과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종합하고, 내열성과 내충격성도 우수하며,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에서 매우 활발하고 시장에서 가장 잘 사용되는 분해성 재료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PBS"는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를 의미하고, 열가소성 수지에 속하며, 우수한 생분해성을 갖는 고분자이고, 폴리젖산,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비해 PBS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열변형 온도가 100℃에 가까우며, 국내외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 및 개발의 초점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PCL"은 폴리카프로락톤을 의미하고, 우수한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및 무독성을 가지므로, 가소제, 분해성 플라스틱, 나노섬유 방적, 가소성 재료의 생산과 가공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PCL과 PLA를 혼합하고 변성한 후,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생분해율을 조절할 수 있는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PHA"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의미하고, 우수한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및 플라스틱의 열가공 성능을 갖는 동시에, 생물의학 재료 및 생분해성 포장 재료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최근 몇 년 동안 생물 재료 분야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 이슈가 되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발포제"는 대상 물질의 기공을 형성하는 물질을 의미하고, 화학적 발포제와 물리적 발포제로 나뉠 수 있다. 화학적 발포제는 가열 및 분해 후 이산화탄소 및 질소와 같은 가스를 방출하고 고분자 조성에서 미세 기공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이며; 물리적 발포제는 특정 물질의 물리적 형태의 변화, 즉 압축 가스의 팽창, 액체의 휘발 또는 고체의 용해를 통해 형성된 거품 미세 기공이다. 본 발명 중의 "발포제"는 펜탄 및 CO2로부터 선택되고, 물리적 발포제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는 분자량을 증가하고 분자량 분포를 넓히며 장쇄 분지를 도입하여, PLA/PBAT의 용융 강도 및 용융 발포성을 향상시키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유변학적 특성을 조정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핵제 마스터배치"는 무기 충진제 입자와 고분자 용융물 사이의 상 계면을 도입하고, 셀 불균일 핵생성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셀 핵생성 포인트의 수를 증가하고 셀 핵생성 에너지 장벽을 감소함으로써, 셀 밀도를 향상시키고 셀 크기를 감소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2축 압출기"는 서로 맞물리는 2개의 나사로 구성되고, 고분자의 가공에 적합하고 생산율이 높으며 적용 범위가 특히 넓고 변화 능력이 강한 성형 가공 기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1축 압출기"는 물질과 배럴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존하여 압출 성형하는 것을 의미하고, 플라스틱 가공 산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압출 기기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수중 펠레타이저(시스템)"는 수중 펠레타이저의 회전 절단 헤트에 의해 수중 챔버에서 다이 헤드에 의해 압출된 스트립 형태의 고분자를 펠릿 형태로 절단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압출기 및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에 관한 것이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원료에 대해 예혼합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 후 압출 작업을 수행하며; 및
압출물을 펠레타이징 시스템에 주입하고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공정용수의 압력 및 압출물의 발포제의 포화 증기압을 제어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얻는 데 사용된다.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압출기 및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기에서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 고분자,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 핵제 마스터배치를 혼합 반응시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발포제와 상기 제1 혼합물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압출하고 수중에서 펠레타이징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탠덤 압출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원료에 대해 예혼합 반응을 수행하고, 상기 탠덤 압출기 시스템은 상단 2축 압출기 및 하단 1축 압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1축 압출기는 2축 압출기의 토출단에 수직 또는 평행 연결되고; 반응 후 압출 작업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 및 핵제 마스터배치를 탠덤 압출기 시스템의 상단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축 압출기에서 가소화, 혼합, 사슬 연장 반응을 완료하여,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하며; 발포제를 첨가하고, 상기 제1 혼합물과 혼합 및 확산하여, 상기 제2 혼합물을 얻으며;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1축 압출기에서 균질화 및 냉각한다.
상기 설계를 통해 시스템의 용융 강도 및 발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1축 압출기의 토출단과 다이 헤드 사이에는 삼방 밸브, 및 삼방 밸브 내에 설치된 중간 유로, 토출 유로 및 배출 유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간 유로는 1축 압출기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 유로는 중간 유로와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다이 헤드와 유통되며; 및 배출 유로는 중간 유로와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부와 연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압 구동 시스템을 제어하여, 삼방 밸브의 중간 유로를 자유롭게 전환하여 토출 유로와 연통함으로써, 발포 시스템의 생산 상태의 설정을 구현할 수 있거나; 삼방 밸브를 전환하여 배출 유로와 연통함으로써, 발포 시스템의 배출 상태의 설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압출기가 멈추지 않도록 보장하는 경우, 발포 시스템의 배출 상태와 정상 생산 상태의 전환을 구현하여, 다이 헤드 상에 수중 펠레타이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삼방 밸브의 설계를 통해 발포 시스템의 배출 상태와 정상 생산 상태의 전환을 구현하여, 다이 헤스 상에 수중 펠레타이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생분해성 고분자의 발포 비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삼방 밸브를 배출 상태로 전환하고, 생분해성 고분자,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 및 핵제를 안정적인 사슬 연장 반응 상태로 구축하여,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발포제를 첨가하여 상기 제2 혼합물을 제조하며; 배출 상태에서 안정적인 제2 혼합물을 얻은 후, 삼방 밸브를 생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혼합물을 다이 헤드에서 압출하며;
수중 펠레타이저의 회전 절단 헤드에 의해 수중 챔버에서 다이 헤드에 의해 압출된 스트립 형태의 고분자를 펠릿 형태로 절단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제조한다.
여기서, 공정용수는 수중 챔버로부터 통과하고 고분자 비드와 함께 상응한 수로 파이프라인을 통과하여, 비드가 건조 기기로 지속적으로 이송되도록 확보한다. 공정용수의 압력은 최대 1.51 MPa에 달할 수 있고, 수압은 워터 펌프의 작동 주파수를 제어하여 조정될 수 있다. 공정용수의 온도는 전기 가열 및 냉각 기계에 의해 양방향으로 조절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삼방 밸브는 배출 상태에서 생산 상태로 전환된 후, 머신 헤드의 압력 변화 ΔP가 3 ~ 5 Mpa 미만이도록 제어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머신 헤드의 압력 변화 ΔP가 1 ~ 3 Mpa 미만이도록 제어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머신 헤드의 압력 변화 ΔP가 1 Mpa 미만이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압출기 출구 측의 압력은 압출기 배럴에서 고분자/발포제 시스템의 온도 분포 및 체류 시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사슬 연장 반응의 상태 및 시스템의 발포성에 영향을 미친다. 머신 헤드의 압력 변화 ΔP를 제어하여, 발포 비드의 발포율이 균일하도록 하고, 비드의 제품 불합격율을 감소하며, 각 배치의 생산량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중 펠레타이징 방법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공정용수 압력이 발포제의 포화 증기압보다 높은 경우, 압출물이 다이 헤드를 떠나 수중 챔버에 들어간 후, 발포제가 고분자 경화 과정에서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여전히 남아, 발포 가능한 비드를 얻고;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공정용수 압력이 낮거나 정상 압력인 경우, 압출물이 다이 헤드를 떠나 수중 챔버로 들어간 후, 고분자 매트릭스에 용해된 발포제가 핵 생성 및 발포를 시작하여, 발포된 비드를 얻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압출기의 출구 압력을 10 ~ 20 MPa로 조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압출기의 출구 압력을 12 ~ 18 MPa로 조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압출기의 출구 압력을 15 ~ 18 MPa로 조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수압을 0.2 ~ 1.0 MPa로 조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수압을 0.2 ~ 0.6 MPa로 조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수압을 0.2 ~ 0.4 MPa로 조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공정용수의 온도를 10 ~ 90℃로 조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공정용수의 온도를 30 ~ 80℃로 조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공정용수의 온도를 30 ~ 50℃로 조정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배출 유로의 외측에 설치되며, 배출관에서 삼방 밸브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밸브 바디 밖으로 연장되고; 및 밸브 바디 밖으로 연장된 배출관의 외부 표면에는 가열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설치를 통해 전체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 발포 시스템이 종료되고 다시 시작된 후, 배출관 외부의 가열 장치는 배출 유로에 응고된 물질을 재용융하여 막힘을 방지하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 장치의 외부 표면에 단열 장치가 설치되어, 작업자의 오조작에 의한 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 바디의 외부 배출 유로의 직경 D는 0.5 ~ 5 mm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 바디의 외부 배출 유로의 직경 D는 1 ~ 3 mm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 바디의 외부 배출 유로의 직경 D는 2 ~ 3 mm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출 유로의 종횡비 L/D는 5 ~ 50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출 유로의 종횡비 L/D는 10 ~ 35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출 유로의 종횡비 L/D는 20 ~ 30이다.
여기서, 적절한 밸브 바디 외부 배출 유로의 사이즈를 선택함으로써, 삼방 밸브가 배출 위치에서 생산 위치로 전환된 후, 머신 헤드의 압력 변화는 특정 범위 내에서 유지하여, 발포 비드의 생산 효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 성분을 혼합하기 전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하고, 공급 시스템이 각 성분의 원료를 원료 창고에서 대응되는 제습 및 건조 시스템으로 이송한 후, 고온 및 저노점의 공기에 의해 제습 및 건조 시스템에서 각 성분의 원료를 건조시키고, 건조된 각 성분의 수분 함량은 50 ~ 200 ppm으로 감소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 성분을 혼합하기 전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하고, 공급 시스템이 각 성분의 원료를 원료 창고에서 대응되는 제습 및 건조 시스템으로 이송한 후, 고온 및 저노점의 공기에 의해 제습 및 건조 시스템에서 각 성분의 원료를 건조시키고, 건조된 각 성분의 수분 함량은 50 ~ 100 ppm으로 감소된다.
여기서, 제습 및 건조 시스템은 생분해성 고분자,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 및 핵제 마스터배치의 제습 및 건조에 사용된다. 제습 및 건조 시스템에는 제습기, 건조 팬, 건조 호퍼가 포함되고, 제습기는 분자체 또는 벌집형 회전식 제습원을 통해 제습 시스템 내의 공기를 노점이 -45℃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 후, 건조 팬을 통해 각 성분의 건조 호퍼로 이송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노점 공기는 건조 호퍼에 들어가기 전에 가열기로 가열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노점 공기는 가열기에 의해 50 ~ 120℃로 가열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노점 공기는 가열기에 의해 50 ~ 100℃로 가열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노점 공기는 가열기에 의해 50 ~ 80℃로 가열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PLA, PBAT, PBS, PCL, PHA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는 고분자 캐리어 및 사슬연장제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에서 PLA의 농도는 70 wt%이고; 사슬연장제는 에폭시 사슬연장제로부터 선택되며, 에폭시 사슬연장제는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계 에폭시 사슬연장제로부터 선택되고,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에서 상기 사슬연장제의 농도는 30 wt%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에서 PLA의 농도는 90 wt%이고; 상기 사슬연장제는 에폭시 사슬연장제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에폭시 사슬연장제는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계 에폭시 사슬연장제로부터 선택되고,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에서 상기 사슬연장제의 농도는 10 wt%이다. 상기 사슬연장제의 평균 관능가는 4보다 크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의 농도는 0.5 ~ 5 wt%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의 농도는 0.8 ~ 2.5 wt%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의 농도는 1 ~ 2 wt%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핵제 마스터배치는 2축 압출기를 통해 고분자 캐리어와 핵제를 용융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고분자 캐리어는 PLA이며, 상기 핵제는 활석 파우더,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나노클레이와 같은 무기 첨가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서, 캐리어 고분자의 농도는 필요에 따라 상이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핵제 마스터배치의 농도는 1 ~ 4 wt%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핵제 마스터배치의 농도는 1.5 ~ 2.5 wt%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발포제는 펜탄 또는 CO2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발포제의 주입량은 2 ~ 15 wt%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발포제의 주입량은 5 ~ 10 wt%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발포제의 주입량은 5 ~ 8 wt%이다.
여기서, 발포제의 주입량은 발포 가능한 비드 내부의 공기량과 발포된 비드의 최종 발포율을 결정한다.
결정성 고분자에서, 결정 영역의 존재는 고체의 경우 발포제를 저장할 수 없으므로, 발포된 비드로만 제조할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의 발포 가능한 비드를 제조하는 경우, 무정형 PLA를 원료로 선택해야 한다. PLA에는 두가지 상이한 광학이성질체 단량체, 즉 L 단량체와 D단량체가 있다. D단량체의 함량이 7%보다 작을 때, 분자 사슬이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이는 결정형 PLA이다. D 단량체의 함량이 높은 경우, PLA는 완전 무정형 고분자로, 예를 들어 Nature Works사의 4060D 등급 PLA, D 단량체 함량 12%, 및 8302D 등급 PLA, D 단량체 함량 10%이다.
보다 추가적으로, 발포제의 주입량 및 공정용수의 압력을 제어하여, 상이한 밀도 및 상이한 발포율의 PLA/PBAT 발포된 비드를 제조할 수 있다. 발포된 비드를 제조하는 PLA 및 PBAT의 결정성에 대한 특별한 요구 사항은 없다. PLA와 PBAT를 용융 혼합하여 PLA/PBAT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고, 복합체 내 PBAT의 질량 분율은 25 ~ 75 wt%, 바람직하게는 25 ~ 50 wt%이며, 생분해성 고분자 발포된 비드의 제조를 위한 원료로 사용된다. PLA와 PBAT는 또한 발포 비드 제조 과정에서 압출기에 각각 공급되고, 압출 및 발포 동시에 양자의 배합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계 에폭시 사슬연장제는 PLA/PBAT 상용화제의 작용을 할 수 있고, 상용화제를 추가로 첨가할 필요가 없다.
발포 가능한 비드의 제조 과정의 공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무정형 PLA를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펜탄을 물리적 발포제로 사용하고, 펜탄의 주입량은 고분자 공급량의 2 ~ 15 wt%, 바람직하게는 5 ~ 1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8 wt%이다.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의 농도, 및 메인 엔진의 회전 속도와 같은 공정 조건을 조절하여, 압출기의 출구 압력을 10 ~ 20 MPa, 바람직하게는 10 ~ 15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15 Mpa로 조정한다.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수압을 0.5 ~ 1.5 MPa, 바람직하게는 0.6 ~ 1.3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1.2 MPa로 조절한다. 공정용수의 온도를 10 ~ 75℃, 바람직하게는, 20 ~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35℃로 조절한다.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의 제조 기기에 관한 것이며, 이는 물질 통과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 원료 창고, 제습 및 건조 시스템, 공급 시스템, 감량식 공급 시스템, 탠덤 압출기 시스템, 발포제 주입 시스템 및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탠덤 압출기는 상단 2축 압출기 및 하단 1축 압출기를 포함하며;
공급 시스템이 각 성분의 원료를 원료 창고에서 대응되는 제습 및 건조 시스템으로 이송한 후, 고온 및 저노점의 공기에 의해 제습 및 건조 시스템에서 각 성분의 원료를 건조시키고;
감량식 공급 시스템은 건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및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와 핵제 마스터배치를 일정한 질량 유량으로 탠덤 압출기 시스템의 상단 2축 압출기에 공급한 다음, 발포제 주입 시스템을 통해 발포제를 배럴에 주입하여 고분자 시스템과의 혼합 및 확산을 완료하며;
상기 1축 압출기의 토출단과 다이 헤드 사이에는 삼방 벨브, 및 삼방 밸브 내에 설치된 중간 유로, 토출 유로 및 배출 유로가 구비되어 있고;
수중 펠레타이저의 회전 절단 헤드에 의해 수중 챔버에서 다이 헤드에 의해 압출된 스트립 형태의 고분자를 펠릿 형태로 절단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제조한다.
여기서, 전통적인 오토클레이브 방법에 의한 비드의 제조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탠덤 압출기 시스템 및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은 오토클레이브 방법에 의한 비드의 간헐적 제조의 단점을 극복하고, 본 발명은 제품의 연속 제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중 펠레타이징 방법은 압출기에서 완료되고, 구체적으로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공정용수의 압력 및 발포제의 포화 증기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제조한다.
유익한 효과: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의 제조 기기에 적합한 삼방 밸브 바디 외부 배출 유로의 사이즈를 선택함으로써, 삼방 밸브가 배출 상태에서 생산 상태로 전환된 후, 머신 헤드의 압력 변화는 작아, PLA/PBAT 발포 비드의 생산 효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포된 비드에 비해, 발포 가능한 비드의 운송 과정 및 밀도 제어 과정이 더 유리하고, 기존의 생분해성 고분자의 비드 발포 기술은 발포된 비드의 제조에만 관한 것이며; 공랭식 펠레타이징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수중 펠레타이징 발포 비드 제조 기술에 의해 제조된 발포 비드의 수율이 더 높고; 본 발명은 적절한 첨가제를 선택하여 최종 제품의 생분해성을 유지한다.
이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무정형 PLA를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로 선택하고, Clariant CESA OMAN698493을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로 사용하며, 첨가량은 2 wt%이다. 핵제 마스터배치는 PLA를 캐리어 고분자로 선택하고, 1200메쉬의 활석 파우더를 핵제로 사용하며, 핵제 마스터배치의 활석 파우더의 농도는 25 wt%이고, 양자는 2축 압출기를 통해 용융 혼합한다. 발포 시스템에서, 핵제 마스터배치의 첨가량은 2.5 wt%이다. 펜탄을 발포제로 사용하고, 펜탄의 주입량은 고분자의 6 wt%이다.
탠덤 압출기를 사용하여 PET 압출 및 발포를 수행하고, 상단 2축 압출기의 직경은 D=40 mm이며, 종횡비는 L/D=40이고, 하단 1축 압출기의 직경은 D=65 mm이며, 종횡비는 L/D=24이다. 압출기의 수율은 60 kg/hr이고, 압출기의 출구 압력은 12 MPa이며, 공정용수의 압력은 1.0 MPa이고, 온도는 30℃이다. 제조된 발포 가능한 PLA 비드의 공기량은 6 wt%이다.
압출기의 온도 설정은 하기 표 1과 같다.
압출 섹션 온도(℃)
상단/2축 압출기 공급 섹션 60
용융 섹션 165 ~ 180
혼합 섹션 185 ~ 200
계량 섹션 160 ~ 180
하단/1축 압출기 135 ~ 160
다이 헤드 250 ~ 260
삼방 밸브 180
배출관 18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의 제조 기기는 물질 통과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 원료 창고(1), 제습 및 건조 시스템(7), 공급 시스템, 감량식 공급 시스템(2), 2축 압출기(4), 1축 압출기(5), 발포제 주입 시스템(3) 및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6)을 포함하고;
상기 탠덤 압출기는 상단 2축 압출기(4) 및 하단 1축 압출기(5)를 포함하며;
공급 시스템이 각 성분의 원료를 원료 창고(1)에서 대응되는 제습 및 건조 시스템(7)으로 이송한 후, 고온 및 저노점의 공기에 의해 제습 및 건조 시스템(7)에서 각 성분의 원료를 건조시키고;
감량식 공급 시스템(2)은 건조된 PLA, 및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와 핵제 마스터배치를 일정한 질량 유량으로 탠덤 압출기 시스템의 상단 2축 압출기(4)에 공급한 다음, 발포제 주입 시스템(3)을 통해 발포제를 배럴에 주입하여 고분자 시스템과의 혼합 및 확산을 완료하며;
1축 압출기(5)의 토출단과 다이 헤드 사이에는 삼방 벨브(51), 및 삼방 밸브(51) 내에 설치된 중간 유로(52), 토출 유로(53) 및 배출 유로(54)가 구비되어 있고;
수중 펠레타이저의 회전 절단 헤드에 의해 수중 챔버에서 다이 헤드에 의해 압출된 스트립 형태의 고분자를 펠릿 형태로 절단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제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 시스템에서 배출을 위한 기기의 모식도이고, 1축 압출기(5), 삼방 밸브(51), 삼방 밸브(52), 토출 유로(53), 배출 유로(54), 배출관(55) 및 가열 장치(56)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1축 압출기(5)의 토출단과 다이 헤드 사이에는 삼방 밸브(51), 및 삼방 밸브(51) 내에 설치된 중간 유로(52), 토출 유로(53) 및 배출 유로(54)가 구비되어 있고;
삼방 밸브(52)는 1축 압출기와 연통될 수 있으며, 토출 유로(53)는 삼방 밸브(52)와 동축으로 설치되고 다이 헤드와 유통되며; 배출 유로(54)는 삼방 밸브(52)와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부와 연통된다.
배출관(55)은 배출 유로(54)의 외측에 설치되고, 배출관(55)에서 삼방 밸브(51)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밸브 바디 밖으로 연장되며; 및 밸브 바디 밖으로 연장된 배출관(55)의 외부 표면에는 가열 장치(56)가 설치되고, 가열 장치(56)의 외부 표면에는 단열 장치가 설치된다.
구체적인 제조 단계는 하기와 같다.
제습 및 건조 시스템(7)을 사용하여 PLA, PBAT 및 양자의 복합체, 및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와 핵제 마스터배치를 제습 및 건조시킨다. 제습기는 분자체 또는 벌집형 회전식 제습원을 통해 제습 시스템 내의 공기를 노점이 -45℃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 후, 건조 팬을 통해 각 성분의 건조 호퍼로 이송한다. 저노점 공기는 건조 호퍼에 들어가기 전에 가열기에 의해 50 ~ 120℃, 바람직하게는 50 ~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80℃로 가열된다. 공급 시스템이 각 성분의 원료를 원료 창고(1)에서 대응되는 건조 호퍼로 이송한 후, 고온 및 저노점의 공기에 의해 건조 호퍼에서 각 성분의 원료를 건조시키고, 각 성분의 수분 함량은 50 ~ 100 ppm, 바람직하게는 50 ~ 100 ppm으로 감소된다.
삼방 밸브(51)를 배출 상태로 전환하고, 감량식 공급 시스템(2)을 사용하여 건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 및 핵제 마스터배치를 일정한 질량 유량으로 탠덤 압출기 시스템의 상단 2축 압출기(4)에 공급하며, 2축 압출기(4)에서 가소화, 혼합, 사슬 연장 반응을 완료하여,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하고; 동시에, 발포제를 부스터 펌프를 통해 가압 및 이송하며, 압출기 상의 배럴에 정량적으로 주입하고, 제1 혼합물과 혼합 및 확산하여, 제2 혼합물을 얻으며; 배출 상태에서 안정적인 제2 혼합물을 얻은 후, 삼방 밸브(51)를 생산 상태로 전환하고; 제2 혼합물을 1축 압출기(5)에서 균질화 및 냉각하며, 다이 헤드에서 압출하고;
수중 펠레타이저(6)의 회전 절단 헤드에 의해 수중 챔버에서 다이 헤드에 의해 압출된 스트립 형태의 고분자를 펠릿 형태로 절단한다. 상기 과정에서, 펠레타이징 시스템(6)의 공정용수의 압력이 발포제의 포화 증기압보다 높은 경우, 압출물이 다이 헤드를 떠나 수중 챔버에 들어간 후, 발포제가 고분자 경화 과정에서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여전히 남아, 발포 가능한 비드를 얻는다.
여기서, 삼방 밸브는 배출 상태에서 생산 상태로 전환된 후, 머신 헤드의 압력 변화 ΔP가 3 ~ 5 Mpa 미만, 바람직하게는 1 ~ 3 Mpa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pa 미만이도록 제어한다.
실시예 2
PBAT를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로 선택하고, Clariant CESA extend 10069N을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로 사용하며, 첨가량은 2.5 wt%이다. 핵제 마스터배치는 PLA를 캐리어 고분자로 선택하고, Southern Clay사의 Cloisite 30B 나노클레이를 핵제로 사용하며, 핵제 마스터배치의 나노클레이의 농도는 10 wt%이고, 양자는 2축 압출기를 통해 용융 혼합한다. 발포 시스템에서, 핵제 마스터배치의 첨가량은 1.0 wt%이다. 초임계 CO2를 발포제로 사용하고, CO2의 주입량은 고분자의 10 wt%이다.
실시예 1의 압출기를 사용하고, 동일한 온도 설정을 사용한다. 압출기의 수율은 65 kg/hr이고, 압출기의 출구 압력은 15 MPa이며, 공정용수의 압력은 0.2 MPa이고, 온도는 35℃이다. 제조된 발포 가능한 PBAT 비드의 발포율은 35배이다.
실시예 3
PLA 및 PBAT를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로 선택하고, 양자는 감량식으로 2축 압출기에 각각 공급하며, 양자의 비율은 75/25(w/w)이다. Clariant CESA OMAN698493을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로 사용하고, 첨가량은 1.5 wt%이다. 핵제 마스터배치는 실시예1과 동일하고, 첨가량은 2.0 wt%이다. 초임계 CO2를 발포제로 사용하고, CO2의 주입량은 고분자의 12 wt%이다.
실시예 1의 압출기를 사용하고, 동일한 온도 설정을 사용한다. 압출기의 수율은 60 kg/hr이고, 압출기의 출구 압력은 12 MPa이며, 공정용수의 압력은 0.2 MPa이고, 온도는 30℃이다. 제조된 발포 가능한 비드의 발포율은 38배이다.
실시예 4
PLA 및 PBS를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로 선택하고, 양자는 감량식으로 2축 압출기에 각각 공급하며, 양자의 비율은 75/25(w/w)이다.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하고, 첨가량은 0.8 wt%이며, 핵제 마스터배치는 실시예1과 동일하고, 첨가량은 1.5 wt%이며, 탄산칼슘을 핵제로 사용하고, 핵제 마스터배치의 탄산칼슘의 농도는 8 wt%이며, 양자는 2축 압출기를 통해 용융 혼합한다. 펜탄을 발포제로 사용하고, 펜탄의 주입량은 고분자의 2 wt%이다.
실시예 1의 압출기를 사용하고, 동일한 온도 설정을 사용한다. 압출기의 수율은 60 kg/hr이고, 압출기의 출구 압력은 10 MPa이며, 공정용수의 압력은 0.2 MPa이고, 온도는 20℃이다. 제조된 발포 가능한 비드의 발포율은 35배이다.
실시예 5
PLA 및 PHA를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로 선택하고, 양자는 감량식으로 2축 압출기에 각각 공급하며, 양자의 비율은 75/25(w/w)이다.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하고, 첨가량은 3 wt%이다. 핵제 마스터배치는 실시예1과 동일하고, 이산화규소를 핵제로 사용하며, 핵제 마스터배치의 이산화규소의 농도는 30 wt%이고, 양자는 2축 압출기를 통해 용융 혼합한다. 발포 시스템에서, 핵제 마스터배치의 첨가량은 3 wt%이다. 초임계 CO2를 발포제로 사용하고, 초임계 CO2의 주입량은 고분자의 12 wt%이다.
실시예 1의 압출기를 사용하고, 동일한 온도 설정을 사용한다. 압출기의 수율은 65 kg/hr이고, 압출기의 출구 압력은 20 MPa이며, 공정용수의 압력은 1.0 MPa이고, 온도는 50℃이다. 제조된 발포 가능한 비드의 발포율은 40배이다.
실시예 6
PLA 및 PBS를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로 선택하고, 양자는 감량식으로 2축 압출기에 각각 공급하며, 양자의 비율은 75/25(w/w)이다.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하고, 첨가량은 5 wt%이다. 핵제 마스터배치 및 핵제는 실시예1과 동일하고, 핵제 마스터배치의 활석 파우더의 농도는 40 wt%이며, 양자는 2축 압출기를 통해 용융 혼합한다. 발포 시스템에서, 핵제 마스터배치의 첨가량은 4 wt%이다. 펜탄을 발포제로 사용하고, 펜탄의 주입량은 고분자의 15 wt%이다.
실시예 1의 압출기를 사용하고, 동일한 온도 설정을 사용한다. 압출기의 수율은 65 kg/hr이고, 압출기의 출구 압력은 18 MPa이며, 공정용수의 압력은 0.6 MPa이고, 온도는 80℃이다. 제조된 발포 가능한 비드의 발포율은 38배이다.
실시예 7
PLA 및 PCL을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로 선택하고, 양자는 감량식으로 2축 압출기에 각각 공급하며, 양자의 비율은 75/25(w/w)이다. Clariant CESA OMAN698493을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로 사용하고, 첨가량은 1.5 wt%이다. 핵제 마스터배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하고, 첨가량은 2.0 wt%이다. 초임계 CO2를 발포제로 사용하고, CO2의 주입량은 고분자의 12 wt%이다.
실시예 1의 압출기를 사용하고, 동일한 온도 설정을 사용한다. 압출기의 수율은 60 kg/hr이고, 압출기의 출구 압력은 12 MPa이며, 공정용수의 압력은 0.2 MPa이고, 온도는 30℃이다. 제조된 발포 가능한 비드의 발포율은 36배이다.
상술한 바를 종합해보면, 본 발명은 적절한 생분해성 고분자 원료를 선택하고, 고분자 시스템의 결정성과 발포성을 조절하며, 적절한 수중 펠레타이징 공정 조건을 선택하여,분해성 고분자 비드의 공기량과 발포율 등을 조절하고; 동시에 배출 시스템의 설정 및 삼방 밸브의 조절을 통해 발포 시스템의 배출 상태와 정상 생산 상태의 전환을 구현하여, 다이 헤드 상에 수중 펠레타이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생분해성 고분자의 발포 비드를 연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산업화 생산에 적합하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시피, 예시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선을 이룰 수 있고,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은 본 발명의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Claims (10)

  1. 압출기 및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원료에 대해 예혼합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 후 압출 작업을 수행하며; 및
    압출물을 펠레타이징 시스템에 주입하고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공정용수의 압력 및 압출물의 발포제의 포화 증기압을 제어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얻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
  2. 압출기 및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기에서 제조되는 제1항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 고분자,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 핵제 마스터배치를 혼합 반응시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발포제와 상기 제1 혼합물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압출하고 수중에서 펠레타이징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탠덤 압출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원료에 대해 예혼합 반응을 수행하고, 상기 탠덤 압출기 시스템은 상단 2축 압출기 및 하단 1축 압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1축 압출기는 2축 압출기의 토출단에 수직 또는 평행 연결되고; 반응 후 압출 작업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 및 핵제 마스터배치를 탠덤 압출기 시스템의 상단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2축 압출기에서 가소화, 혼합, 사슬 연장 반응을 완료하여,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하며; 발포제를 첨가하고, 상기 제1 혼합물과 혼합 및 확산하여, 상기 제2 혼합물을 얻으며;
    상기 제2 혼합물을 1축 압출기에서 균질화 및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축 압출기의 토출단과 다이 헤드 사이에는 삼방 밸브, 및 삼방 밸브 내에 설치된 중간 유로, 토출 유로 및 배출 유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간 유로는 1축 압출기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 유로는 중간 유로와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다이 헤드와 유통되며; 및 배출 유로는 중간 유로와 수직으로 설치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유압 구동 시스템을 제어하여, 삼방 밸브의 중간 유로를 자유롭게 전환하여 토출 유로와 연통함으로써, 발포 시스템의 생산 상태의 설정을 구현할 수 있거나; 삼방 밸브를 전환하여 배출 유로와 연통함으로써, 발포 시스템의 배출 상태의 설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압출기가 멈추지 않도록 보장하는 경우, 발포 시스템의 배출 상태와 정상 생산 상태의 전환을 구현하여, 다이 헤드 상에 수중 펠레타이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삼방 밸브를 배출 상태로 전환하고, 생분해성 고분자,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 및 핵제를 안정적인 사슬 연장 반응 상태로 구축하여,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발포제를 첨가하여 상기 제2 혼합물을 제조하며; 배출 상태에서 안정적인 제2 혼합물을 얻은 후, 삼방 밸브를 생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혼합물을 다이 헤드에서 압출하며;
    수중 펠레타이저의 회전 절단 헤드에 의해 수중 챔버에서 다이 헤드에 의해 압출된 스트립 형태의 고분자를 펠릿 형태로 절단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제조하되;
    삼방 밸브는 배출 상태에서 생산 상태로 전환된 후, 머신 헤드의 압력 변화 ΔP가 3 ~ 5 Mpa 미만, 바람직하게는 1 ~ 3 Mpa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pa 미만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수중 펠레타이징 방법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공정용수 압력이 발포제의 포화 증기압보다 높은 경우, 압출물이 다이 헤드를 떠나 수중 챔버에 들어간 후, 발포제가 고분자 경화 과정에서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여전히 남아, 발포 가능한 비드를 얻고;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공정용수 압력이 낮거나 정상 압력인 경우, 압출물이 다이 헤드를 떠나 수중 챔버로 들어간 후, 고분자 매트릭스에 용해된 발포제가 핵 생성 및 발포를 시작하여, 발포된 비드를 얻되;
    압출기의 출구 압력을 10 ~ 20 MPa, 바람직하게는 12 ~ 18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18 MPa로 조절하고;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의 수압을 0.2 ~ 1.0 MPa, 바람직하게는 0.2 ~ 0.6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0.4 MPa로 조절하며; 공정용수의 온도를 10 ~ 90℃, 바람직하게는 30 ~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50℃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배출 유로의 외측에 설치되며, 배출관에서 삼방 밸브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밸브 바디 밖으로 연장되고; 및 밸브 바디 밖으로 연장된 배출관의 외부 표면에는 가열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가열 장치의 외부 표면에는 단열 장치가 설치되되;
    밸브 바디의 외부 배출 유로의 직경 D는 0.5 ~ 5 mm, 바람직하게는 1 ~ 3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3 mm이고; 배출 유로의 종횡비 L/D는 5 ~ 50, 바람직하게는 10 ~ 35,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PLA, PBAT, PBS, PCL, PHA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는 고분자 캐리어 및 사슬연장제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고분자 캐리어는 PLA이고, 상기 사슬연장제는 에폭시 사슬연장제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폭시 사슬연장제는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계 에폭시 사슬연장제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의 농도는 0.5 ~ 5 wt%, 바람직하게는 0.8 ~ 2.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 wt%이며; 상기 핵제 마스터배치는 2축 압출기를 통해 고분자 캐리어와 핵제를 용융 혼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고분자 캐리어는 PLA이며, 상기 핵제는 활석 파우더,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나노클레이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핵제 마스터배치의 농도는 1 ~ 4 wt%, 바람직하게는 1.5 ~ 2.5 wt%이며; 상기 발포제는 펜탄 또는 CO2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발포제의 주입량은 2 ~ 15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제1항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의 제조 기기로서,
    물질 통과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 원료 창고, 제습 및 건조 시스템, 공급 시스템, 감량식 공급 시스템, 탠덤 압출기 시스템, 발포제 주입 시스템 및 수중 펠레타이징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탠덤 압출기는 상단 2축 압출기 및 하단 1축 압출기를 포함하며;
    공급 시스템이 각 성분의 원료를 원료 창고에서 대응되는 제습 및 건조 시스템으로 이송한 후, 고온 및 저노점의 공기에 의해 제습 및 건조 시스템에서 각 성분의 원료를 건조시키고;
    감량식 공급 시스템은 건조된 생분해성 고분자, 및 사슬연장제 마스터배치와 핵제 마스터배치를 일정한 질량 유량으로 탠덤 압출기 시스템의 상단 2축 압출기에 공급한 다음, 발포제 주입 시스템을 통해 발포제를 배럴에 주입하여 고분자 시스템과의 혼합 및 확산을 완료하며;
    상기 1축 압출기의 토출단과 다이 헤드 사이에는 삼방 벨브, 및 삼방 밸브 내에 설치된 중간 유로, 토출 유로 및 배출 유로가 구비되어 있고;
    수중 펠레타이저의 회전 절단 헤드에 의해 수중 챔버에서 다이 헤드에 의해 압출된 스트립 형태의 고분자를 펠릿 형태로 절단하여, 발포 가능한/발포된 비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기기.
KR1020220153509A 2021-11-16 2022-11-16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 제조 방법 및 기기 KR202300717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359232.2A CN113910485B (zh) 2021-11-16 2021-11-16 一种生物可降解聚合物珠粒、制备方法及设备
CN202111359232.2 2021-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760A true KR20230071760A (ko) 2023-05-23

Family

ID=7924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509A KR20230071760A (ko) 2021-11-16 2022-11-16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 제조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71760A (ko)
CN (1) CN113910485B (ko)
WO (1) WO2023090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81320A (zh) * 2022-08-15 2022-10-14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可降解pla/pbat的挤出发泡珠粒及其制备方法
CN116284954A (zh) * 2023-03-06 2023-06-23 江苏越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蒸汽模压成型的生物可降解聚合物发泡珠粒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6733A (ja) * 1990-09-17 1992-04-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架橋発泡体の製造方法
US5605937A (en) * 1994-09-30 1997-02-25 Knaus; Dennis A. Moldable thermoplastic polymer foam beads
CN101268125B (zh) * 2005-11-04 2013-03-27 尤尼吉可株式会社 生物降解性树脂泡沫片、生物降解性树脂泡沫体和生物降解性树脂成型容器
JP4436435B1 (ja) * 2009-07-02 2010-03-24 Wpc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押出発泡成形用の成形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前記成形材料を使用して製造した木質発泡成形体,前記木質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CN102837377B (zh) * 2012-08-07 2015-09-02 合肥会通中科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聚合物挤出发泡的水下造粒装置
CN106280046B (zh) * 2015-05-29 2019-05-31 广东奔迪新材料科技有限公司 预发泡epo珠粒、其制备方法及设备
KR102056838B1 (ko) * 2016-09-12 2019-12-17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고분자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5785B1 (ko) * 2018-07-03 2018-11-06 주식회사 현진피오피 생분해 발포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트레이
CN109852037A (zh) * 2018-12-29 2019-06-07 中粮集团有限公司 聚乳酸发泡片材及其制备方法
CN111253677B (zh) * 2020-02-28 2021-03-16 山东大学 一种低密度聚丙烯珠粒泡沫、其制备方法及应用
CN212288259U (zh) * 2020-05-27 2021-01-05 潍坊誉博新材料有限公司 一种连续制备发泡热塑性聚氨酯弹性体珠粒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10485B (zh) 2023-10-13
WO2023090857A1 (ko) 2023-05-25
CN113910485A (zh)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71760A (ko) 생분해성 고분자 비드, 제조 방법 및 기기
US595816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foam by extrusion
CN112512771A (zh) 可生物降解和工业可堆肥的注射成型微孔软质泡沫及制造其的方法
US20120007267A1 (en) Method of Producing Compostable or Biobased Foams
CN112980057A (zh) 一种淀粉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819885A (zh) 一种聚乳酸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890066A (zh) 可堆肥的或基于生物的发泡物、制造和使用方法
US20080200572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xtruded Sheets Of Expanded Polystyrene
CN114605623B (zh) 一种柔性pet基共聚酯及其制备的珠粒泡沫
US20170182696A1 (en) Particle foam distribute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article foam articles
CN115181320A (zh) 一种可降解pla/pbat的挤出发泡珠粒及其制备方法
EP4137285A2 (en) Method for preparing a biodegradable polymeric composition comprising thermoplastic starch and a synthetic biodegradable polymer
EP2543489A2 (en) Process for enabling secondary expansion of expandable beads
US20160175794A1 (en) Protein foam
JP3086392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H06190853A (ja) 高強度および高剛性の発泡ポリラクチド射出成形品の製造法
US20050035499A1 (en) Method for producing foamed structural parts that are mixed with vegetable carrier materials
US11912843B2 (en) Recyclable, biodegradable, and industrially compostable extruded foam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6284954A (zh) 一种可蒸汽模压成型的生物可降解聚合物发泡珠粒
CN107083006A (zh) 一种生产可生物降解发泡塑料的方法
Sorrentino et al. 11 Foaming Technologies for Thermoplastics
CN116144067A (zh) 一种可降解pbat发泡材料的制备方法
JP3059355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KR101183959B1 (ko) 경량 나무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Gonçalves et al. Forefront Research of Foaming Strategies on Biodegradable Polymers and Their Composites by Thermal or Melt-Based Processing Technologies: Advances and Persp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