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403A - 수집 지점에서 주문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집 지점에서 주문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403A
KR20230068403A KR1020237010355A KR20237010355A KR20230068403A KR 20230068403 A KR20230068403 A KR 20230068403A KR 1020237010355 A KR1020237010355 A KR 1020237010355A KR 20237010355 A KR20237010355 A KR 20237010355A KR 20230068403 A KR20230068403 A KR 20230068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customer
parking space
delivery
sign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맹 물랑
르노 하이츠
마크 샤또
Original Assignee
엑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소텍 filed Critical 엑소텍
Publication of KR2023006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주문 픽업 스테이션들을 가지는 수집 지점에서 차량의 트렁크에 가깝게 온라인으로 배치된 주문들을 자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제1 주차 장소 및 상기 제1 장소 뒤에 위치되는 제2 주차 장소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 지점은, 각각의 주문 픽업 스테이션에 대해, 상기 제1 또는 제2 주차 장소 및/또는 제1 주차 장소로부터 보이는 제1 및 제2 이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며, 및 상기 제1 및 제2 주차 장소의 바로 근처에 위치되는 주문을 전달하기 위한 요청에 신호를 보내기 위한 제2 수단 및/또는 상기 제1 및 제2 주차 장소에 근접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집 지점에서 주문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본 발명의 분야는 "드라이브-스루(Drive-through)"로도 공지되어 있는, 픽업 지점(pick-up point)에서 주문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점들에서의 물류의 분야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픽업 지점에서 주문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픽업 지점들에서 음식 또는 소비자 제품들의 제거에 적용가능하다.
"드라이브-스루 서비스"로도 불리는 픽업 지점에서 주문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점들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피커들은 수집된 주문의 물품들을 선반들 상의 백들에 저장하고, 고객이 주문을 픽업하기를 기다리고 있다. 주문의 물품들의 분류는 수집 라운드 동안 또는 주문이 선반 상에 놓일 때 실행될 수 있다.
주문을 준비하는 이러한 기술은 많은 단점들을 갖는다.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공지된 기술의 경우, 그의 주문을 받으러 오는 고객은 특정 시간의 길이, 피커가 선반들로부터 그의 주문을 수집하고 그 주문을 그에게 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위해 특정 시간 동안 대기해야 할 수 있거나, 모든 피커들(pickers)이 수집 라운드를 실행하기 위해 바쁘고 그의 주문을 전달하는데 이용가능하지 않은 상황.
고객들의 대기 시간을 제한하기 위해, 또한 자동화된 버퍼 저장 시설로부터 주문 물품들의 자동 전달 트랙들을 구현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이 버퍼들은 고객이 자신의 신호를 보내자 마자 자동으로 주문을 고객에게 핸드오버하는 것을 허용한다. 픽업 지점의 키오스크 상의 존재.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기술로, 물품들을 주문대로 수집하고 그리고 물품들을 픽업 지점으로 운반하는 데 약 2 내지 3 분이 걸린다. 따라서, 고객의 차량은 총 약 5 내지 6분, 그리고 고객이 물품들을 그의 차량에 로딩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동안 총 약 5 내지 6분 동안 픽업 지점에 주차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는 100℃ 내지 이러한 공지된 기술로 픽업 지점을 10 내지 12로 조정한다.
픽업 지점에서 시간당 전달될 수 있는 고객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각각의 고객이 픽업 장소로 이동하기 전에 그의 도착 신호를 보내는 것을 허용하는, 상점들의 주차장들의 입구에 추가의 단말기들을 구현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픽업 지점은, 고객이 버퍼 저장 시설에 저장된 자신의 주문 물품들을 수집하기 시작하고, 고객이 주차장에 진입하자마자 이러한 물품들을 버퍼 저장으로부터 픽업 지점으로 가져갈 수 있게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기술은, 주차장으로의 입구와 직원 사이의 거리를 커버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당 (최대 20% 정도의) 전달될 수 있는 고객들의 수에서의 상대적으로 약간의 증가를 허용한다. 픽업 지점은 일반적으로 매우 짧고, 가장 빈번하게는 1분 미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픽업 지점의 주문 피킹 스테이션에서 시간당 주문이 전달될 수 있는 고객들의 수를 상당히 증가시키는 픽업 지점 주문 전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시간당 적어도 20 개의 주문들이 주문 피킹 스테이션당 핸드아웃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기술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구현하기에 간단한 주문 전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감소된 비용으로 이러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 및 나중에 나타나는 다른 목적들은, 차량의 트렁크 근처에서 온라인으로 주문된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며, 이 시스템은,
- 복수의 주문 피킹 스테이션들을 갖는 픽업 지점(pick-up point) ─ 각각은 자동차를 위한 접근 및 파킹 차선과 연관되며, 이에 인접함 ─ ;
- 주문된 물품들을 위한 자동화 버퍼 저장 시설;
- 상기 버퍼 저장 시설로부터 상기 주문 피킹 스테이션들로 상기 저장된 물품들을 자동으로 보내기 위한 수단,
- 상기 버퍼 저장 설비에서 주문 물품들의 수집을 주문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물품들을 라우팅하는 수단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는 주문 전달 관리 유닛(order delivery management unit)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접근 차선은 차량들을 주차하기 위한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차선에서의 상기 제1 공간 뒤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픽업 지점은, 각각의 주문 피킹 스테이션에 대해,
- 상기 제1 파킹 공간으로부터 보이는 제1 이차원 바코드는, 상기 주문 피킹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1 주차 공간의 바로 근처에 위치되는 주문의 전달을 위한 요청을 시그널하기 위한 제1 수단 및/또는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주문하는 고객의 존재
- 상기 제2 주차 공간으로부터 보이는 제2 이차원 바코드는, 상기 주문 피킹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주차 공간의 바로 근처에 위치되는 주문의 전달을 위한 요청을 시그널하기 위한 제2 수단 및/또는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주문한 고객의 존재,
상기 주문 전달 관리 유닛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이차원 바코드가 상기 고객의 단말기 상에 다운로드가능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주문한 고객에 의해 스캐닝될 때, 상기 관리 유닛은, 주문의 전달을 위한 요청이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에 의해 시그널링될 때 또는, 주문의 고객의 존재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파킹 공간의 근처에서 검출되며, 상기 관리 유닛은 상기 버퍼 저장 시설 내에서, 시그널링된 주문의 물품들의 수집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생성한다. 고객의 주문은 상기 바코드들 중 하나를 스캔한 것 또는 인접한 곳에서 검출된 고객의 주문 및 상기 제1 바코드 또는 상기 제2 바코드가 상기 고객에 의해 또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으로 스캐닝된 것과 연관된 상기 라우팅 수단에 의해 상기 주문 피킹 스테이션으로의 상기 물품들의 라우팅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물품들이 상기 버퍼 저장 시설 내에 존재한다면, 상기 고객의 또는 상기 고객의 존재가 검출된 접근 차선의 주문의 전달을 위한 요청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새로운 방식으로, 본 발명은, 픽업 지점의 주문 피킹 스테이션마다, 2 개의 바코드들 및/또는 주문의 전달을 위한 요청을 시그널하는 2 개의 수단 및/또는 존재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현하는 것을 제안한다. 각각의 피킹 스테이션에서 시간당 주문들의 전달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2개의 상이한 파킹 공간들에서 고객의 선택.
따라서,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의해, 픽업 지점에서 주문을 핸드오버하기(handing over) 공지된 기술들과 비교하여, 픽업 지점에서 시간당 핸드오버된 주문들의 수들을 60% 초과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동일한 수의 피킹 스테이션(picking station)에 대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그널링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은 단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시그널링 수단과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은 5 내지 10미터만큼 떨어져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접근 및 파킹 차선들은 헤링본 패턴(herring-bone pattern)으로 배열되고, 상기 픽업 지점의 휴게 도로와 30° 내지 50°의 각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시그널링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은 적어도,
바코드 판독기;
QR 코드 판독기;
자기 스트립(magnetic strip) 또는 칩 판독기(chip reader);
-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패드(numeric keypad);
생체인식 식별 판독기, 예컨대 지문 판독기를 포함하는,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주차 공간 근처에서 주문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주차 공간 근처에서 주문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요소를 포함하며, 이 검출 요소는 적어도,
존재 센서;
지오로케이션 시스템(geolocation system);
번호판 인식 디바이스(license plate recognition device)를 포함하는,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픽업 지점은, 각각의 접근 및 주차 차선에 대해, 상기 접근 및 주차 차선에 주차된 차량들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르면, 접근 및 주차 차선에 주차된 차량들의 수를 시그널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신호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된 물품들이 빈들(bins)에서 상기 피킹 스테이션들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피킹 스테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는 빈 빈들을 상기 자동 이송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주문 피킹 스테이션들(order picking station)을 가지는 픽업 지점(pick-up point)에서 차량의 트렁크 근처에서 인라인(in-line)으로 오더된 주문들을 자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접근 차선은 제1 위치 및 제2 차량 주차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차선에서의 상기 제1 공간 뒤에 위치되고, 상기 픽업 지점은 다음과 연관되며,
- 주문의 대상이 된 물품들을 위한 자동화 버퍼(automated buffer) 저장 시설;
상기 버퍼 저장 시설로부터 상기 피킹 스테이션들로의 상기 저장된 물품들을 위한 자동화식 보냄 수단, 및
상기 버퍼 저장 설비에서 주문의 물품들의 수집을 명령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물품들을 위한 보내는 수단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는 주문 전달 관리 유닛(order delivery management unit)을 포함하며;
- 상기 픽업 지점은, 각각의 주문 피킹 스테이션에 대해,
상기 제1 주차 공간으로부터 보이는 제1 이차원 바코드(2-dimensional bar code) ─ 상기 제1 주차 공간은, 상기 주문 피킹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1 주차 공간의 바로 근처에 위치되는 주문의 전달에 대한 요청을 시그널하는 제1 수단 및/또는 상기 제1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주문을 배치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함 ─ ;
상기 제2 주차 위치로부터 보이는 제2 이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주차 공간은, 상기 주문 피킹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주차 공간의 바로 근처에 위치되는 주문의 전달에 대한 요청을 시그널하기 위한 제2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주문을 배치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주문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바코드에 보유되는 상기 주문 픽킹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유닛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상기 고객의 단말기 상에 다운로드가능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2 이차원 바코드의 주문을 배치한 고객에 의해 스캔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에 의해 주문의 운반을 위한 요청을 통지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고객의 존재의 검출하는 단계;
상기 버퍼 저장 시설 내에서, 상기 시그널된 주문 또는 상기 바코드들 중 스캔된 바코드를 가지는 상기 고객의 주문, 또는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검출된 상기 고객의 주문의 물품들의 수집을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관리 유닛에 의해 명령들, 및 상기 고객에 의해 스캔된 상기 제2 바코드와 연관된 또는 상기 고객의 주문의 전달을 위한 요청을 통지한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과 연관된 또는 상기 고객의 존재가 검출된 상기 접근 차선과 연관된 상기 픽업 스테이션으로 상기 보냄 수단에 의해 상기 아이템들의 보냄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상기 스캐닝 또는 통지 또는 상기 검출로부터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문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바코드에 보유되는 상기 주문 픽킹 스테이션의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유닛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상기 고객의 단말기 상에 다운로드가능한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1 이차원 바코드의 동일한 고객에 의해 스캔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시그널링 수단에 의해 상기 고객의 주문의 운반을 위한 요청을 통지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상기 동일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는; 및
상기 고객에 의해 스캔된 상기 제1 바코드와 연관된 또는 상기 고객의 주문의 전달을 위한 요청을 통지한 상기 제1 시그널링 수단과 연관된 또는 상기 고객의 존재가 검출된 상기 접근 차선과 연관된 상기 피킹 스테이션으로 상기 주문 물품들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단지 예시적인 그리고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2개의 실시예들 및 첨부 도면들의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전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전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다른 예의 주문 피킹 스테이션의 측면도이다.
도 1은 소매점의 픽업 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전달 시스템(10)의 일 실시예의 일 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픽업 지점(11)은 가게의 판매 구역에 인접하게 저장 창고(12)에 가깝게 위치되고, 본 발명의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5개의 접근 수단들을 통해 자동차에 의해 접근되는 5개의 평행한 주문-피킹 스테이션들(order-picking station)(131 내지 135)을 갖는다. 헤링본 패턴의 임시 파킹 차선들(141 내지 145), 각각은 피킹 스테이션(13)과 연관된다.
각각의 차선들(141 내지 145)은 서로 뒤에 있는 2개의 자동차들(151, 152)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다.
주문 내의 개별 물품들은 버퍼 저장 설비(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빈들(bins)에 있는 피킹 스테이션들(131 내지 135)로 전달되며, 여기서 이들 물품들은, 5개의 2차 구역들로 분할되는 주요 이송 오버헤드 트랙(171)을 통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 오버헤드 트랙들(172), 이 오버헤드 트랙들의 단부는 피킹 스테이션(131, 132, 133, 134 또는 135)에서 물품 전달 컬럼으로 개방된다.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이미 주문한 가게의 제1 고객(110)이 임의의 차량 없는 차선(141, 142, 143, 144 또는 145)에서 파킹하고, 피킹 스테이션(picking station)이 설비된 제1 단말기(18)로 보고할 때, 예를 들어, 스크린 또는 키보드 상에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또는 단말기(18) 상의 바코드 판독기를 사용하여 그의 스마트폰 상에서 그에게 전송된 그의 주문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 그 후, 시스템(10)은 저장 시설(도 1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로봇들에게 버퍼 시설의 저장 선반들로부터 자신이 주문한 물품들을 피킹하고 그리고 이 물품들이 메인 컨베이어 트랙 상에 놓여지는 전달 스테이션으로 이송시키도록 명령한다. 171. 그 후, 주문 물품들은 메인 컨베이어 트랙 상에서 수송되고 그리고 고객이 자신의 주문의 전달을 위해 보고한 피킹 스테이션(131, 132, 133, 134 또는 135)에 할당되는 2차 컨베이어 트랙(172) 상에서 분배된다. 주문의 물품들을 보유하는 용기들은 2차 차선(172)으로부터 리프트로 연속적으로 전달되며, 이 리프트는 주문 전달 테이블 상의 물품들을 수납하며, 여기서 고객은 자신의 주문 물품들을 픽업하여 자신의 차량(151)의 트렁크에 이를 수납할 수 있다.
제2 시그널링 단말기(19)는, 이러한 피킹 스테이션과 연관된 접근 도로(141, 142, 143, 144 또는 145)의 교통의 방향에 대해, 제1 단말기(18)의 상류의, 각각의 피킹 스테이션(131 내지 135)의 레벨에 위치된다. 이러한 제2 단자(19)는, 본 발명의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주차 공간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제1 단자(18)로부터 이격된다.
제2 고객이 제1 고객의 차량(151)과 동일한 접근 차선 상에 자신의 차량(152)을 주차시키고, 제1 고객이 떠나기를 기다리고, 제1 고객이 떠나기를 기다리고, 그는, 예를 들어,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제2 단말기(19) 상에 자신의 존재에 신호를 보낸다. 또는 그의 주문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 그 후, 시스템의 주문 전달 관리 컴퓨터 유닛(10)은 저장 시설에서의 로봇들에게 버퍼 설비의 저장 선반들로부터 제2 고객의 주문 물품들을 피킹하고 그리고 제2 고객의 주문 물품들이 메인 컨베이어 트랙(171) 상에 증착되는 전달 스테이션으로 수송하도록 명령한다. 그 후, 주문 물품들은 메인 컨베이어 트랙으로 수송되고 2차 컨베이어 트랙(172)으로 분배되며, 여기서 주문 물품들은 대기 상태에 있다. 제1 고객이 그의 차량에 그의 주문을 로딩하는 것을 종료하고, 출구 차선(111)에 참여하기 위해 접근 차선(141, 142, 143, 144 또는 145)을 떠날 때, 제2 고객이 그의 차량을 제1 단말기(18)의 레벨로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신호를 보낸다. 그가 단말기(18)의 레벨에서 다시 존재하는 경우, 2차 컨베이어 트랙(172) 상에서 대기 중인 그의 주문 물품들은 주문 전달 테이블 상에서 연속적으로 그에게 직접적으로 핸드오버된다. 그 후, 그는 이 물품들을 집어올릴 수 있고 그리고 자신의 차량(152)의 트렁크에 적재할 수 있다. 2개의 단자들(18 및 19)의 사용이 각각의 피킹 스테이션(131 내지 135)에서 시간당 핸드오버될 수 있는 주문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 자신보다 앞선 고객의 명령이 그에게 넘어지기를 기다리고 있는 고객은, 고객이 제2 단말기(19)에서 자신에게 신호를 보내자마자 시작된다.
접근 차선들에서의 차량들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비스 차선(112)에 진입하는 각각의 차량(112)은 각각의 접근 차선(141)으로의 입구에 배치된 신호들(114)에 의해 자유 픽업 스테이션(free pick-up station)으로 지향되는 것이 또한 유의되어야한다. 145로 따라서, 예를 들어, 적색 등은 2 개의 자동차들이 진입로 상에 이미 주차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고, 황색 등은 단지 하나의 차량이 진입로 상에 주차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며, 그리고 녹색 등은 진입로에 차량들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전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다른 예의 피킹 스테이션(21)을 측면도로 도시한다.
이러한 샘플링 스테이션은, 도 2에서 도시되는 상황에서, 2개의 차량들(251 및 252)이 파킹되는, 제1 주차 공간(23) 및 이의 후방에 제2 주차 공간(24)을 갖는 접근 및 주차 차선(22)에 인접한다.
이러한 피킹 스테이션(21)은, 고객 주문 물품들이 버퍼 저장 영역으로부터 증착되고, 2차 오버헤드 컨베이어 트랙(26)을 통해 라우팅되는 주문 전달 테이블(213)을 포함하며, 이 주문 전달 테이블의 단부는 전달 컬럼(27) 상으로 개방된다. 이 차량은 또한, 제1 주차 공간(23)의 레벨에서, 피킹 스테이션(21)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210)가 그 위에 디스플레잉되거나 인쇄되는 단말기(29)를 포함하며, 피킹 스테이션(21)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QR-코드(212)가 높이로 211(211)에 디스플레잉되며, 이 제2 QR-코드는, 본 발명의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제1 QR-코드(210)와 동일하다.
따라서, 차량(251)이 제1 주차 공간(23)을 떠나기를 기다리는 동안, 차량(252)이 제2 주차 공간(24)에 주차할 때, 그 탑승자 중 하나는 그가 다운로드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다음에,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그의 주문을 식별하는 정보 및 픽업 스테이션(21)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픽업 지점의 주문 핸드오버 관리 모듈로의 메시지를 생성하며, 이는 픽업 스테이션으로의 주문한 물품들의 라우팅을 즉시 트리거한다. 도 21에서 차선 26을 통과한다. 차량(251)이 제1 주차 공간(23)을 떠나자마자, 차량(252)은 제1 주차 공간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그리고 차량(252)의 탑승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단말기(211) 상의 제2 QR-코드(212)를 스캔하기만 하면 된다.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하려고 할 때, 피킹 스테이션으로 이미 라우팅된 주문의 물품들이 주문 전달 테이블(213)로 전달되도록한다. 따라서, 제2 QR-코드(212)가 스캐닝되는 순간과 차량(252)의 탑승자가 자신이 주문한 물품들을 차량(252)의 트렁크 내로 적재할 수 있는 순간 사이에 매우 짧은 시간이 경과한다.

Claims (10)

  1. 차량의 트렁크(trunk)에 근접하게 인라인으로(in line) 주문된,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system)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주문 피킹 스테이션들(order picking stations)을 가지는 픽업 지점(pick-up point) ─ 상기 주문 피킹 스테이션들 각각은 상기 주문 피킹 스테이션에 인접한 자동차에 대한 접근 및 주차 차선과 연관됨 ─ ;
    주문된 물품들의 버퍼 저장(buffer storage)을 위한 자동화식 설비;
    상기 저장된 물품들을 상기 버퍼 저장 시설로부터 상기 피킹 스테이션들로 보내는 자동화식 수단, 및
    상기 버퍼 저장 설비에서 주문의 물품들의 수집을 명령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물품들을 보내는 수단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는 주문 전달 관리 유닛(order delivery management unit)을 포함하며,
    각각의 접근 차선은 제1 차량 주차 공간 및 제2 차량 주차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차선에서의 상기 제1 공간 뒤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픽업 지점은, 각각의 주문 피킹 스테이션에 대해,
    상기 제1 주차 공간으로부터 보이는 제1 이차원 바코드(2-dimensional bar code) ─ 상기 제1 주차 공간은, 상기 주문 피킹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1 주차 공간의 바로 근처에 위치되는 주문의 전달에 대한 요청을 시그널하는 제1 수단 및/또는 상기 제1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주문을 배치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함 ─ ;
    상기 제2 주차 공간으로부터 보이는 제2 이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주차 공간은, 상기 주문 피킹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주차 공간의 바로 근처에 위치되는 주문의 전달에 대한 요청을 시그널하기 위한 제2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주문을 배치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주문을 식별하는 정보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바코드에 보유되는 상기 주문 픽업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유닛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상기 고객의 단자 상으로 다운로드가능한 전용 애플리케이션(dedicated application)에 의해 주문을 배치한 고객에 의해,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이차원 바코드가 스캔될 때, 또는 주문의 전달을 위한 요청이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에 의해 통지될 때 또는 주문을 배치한 고객의 존재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검출될 때, 상기 관리 유닛은, 상기 버퍼 저장 시설 내에서, 상기 통지된 주문 또는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검출된 상기 고객의 주문의 물품들의 수집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 또는 상기 고객에 의해 스캔된 상기 제1 바코드 또는 상기 제2 바코드와 연관된 또는 상기 고객의 주문의 전달을 위한 요청을 통지하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과 연관된 또는 상기 물품들이 상기 버퍼 저장 시설 내에 존재한다면, 상기 고객의 존재가 검출되는 접근 차선과 연관된 상기 피킹 스테이션으로 상기 보냄 수단에 의해 상기 물품들의 보냄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주문 전달 관리 유닛이 구성되는,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그널링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은 단말기를 포함하는,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그널링 수단 및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은 5미터 내지 10미터 만큼 이격되는,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및 주차 차선들은 헤링본 패턴(herringbone pattern)으로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픽업 지점의 서비스 도로(service road)와 30° 내지 50°의 각도를 형성하는,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그널링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은,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그널링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은 적어도,
    바코드 판독기;
    QR 코드 판독기;
    자기 스트립(magnetic strip) 또는 칩 판독기(chip reader);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보드(numerical keyboard);
    생체인식 식별 판독기, 예컨대 지문 판독기를 포함하는,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차 공간 근처에서 주문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주차 공간 근처에서 주문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은 적어도,
    존재 센서;
    지오로케이션 시스템(geolocation system);
    번호판 인식 디바이스(license plate recognition device)를 포함하는,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지점은, 각각의 접근 및 주차 차선에 대해, 상기 접근 및 주차 차선에 주차된 차량들의 수를 시그널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및 주차 차선에 주차된 상기 차량들의 수를 시그널하기 위한 수단은 신호등(traffic light)을 포함하는,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물품들은 용기들에서 상기 피킹 스테이션들로 전달되며, 상기 피킹 스테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는 비어있는 용기들을 상기 자동화식 보냄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주문들의 자동 전달을 위한 시스템.
  10. 복수의 주문 픽업 스테이션들(order pick-up stations)을 갖는 픽업 지점에서 차량의 인-라인으로(in-line) 주문된, 주문들을 자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주문 픽업 스테이션들 각각은, 상기 주문 픽업 스테이션들에 인접한 연관된 자동차 접근 및 주차 차선을 가지며, 각각의 접근 차선은 제1 차량 주차 공간 및 제2 차량 주차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차 공간은 상기 차선에서 상기 제1 주차 공간 뒤에 위치결정되며,
    상기 픽업 지점은,
    주문된 물품들을 위한 자동화식 버퍼 저장 시설(automated buffer storage facility);
    상기 버퍼 저장 시설로부터 상기 피킹 스테이션들로의 상기 저장된 물품들을 위한 자동화식 보냄 수단, 및
    상기 버퍼 저장 설비에서 주문의 물품들의 수집을 주문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물품들을 위한 보냄 수단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는 주문 전달 관리 유닛과 연관되며;
    상기 픽업 지점은, 상기 각각의 주문 픽업 스테이션에 대해,
    상기 제1 주차 공간으로부터 보이는 제1 이차원 바코드 ─ 상기 제1 주차 공간은, 상기 주문 피킹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1 주차 공간의 바로 근처에 위치되는 주문의 전달에 대한 요청을 시그널하기 위한 제1 수단 및/또는 상기 제1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주문을 배치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 ─ ;
    상기 제2 주차 공간으로부터 보이는 제2 이차원 바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주차 공간은, 상기 주문 피킹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주차 공간의 바로 근처에 위치되는 제2 주문 전달 요청 시그널링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주문을 배치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주문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바코드에 보유되는 상기 주문 픽킹 스테이션의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유닛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상기 고객의 단말기 상에 다운로드가능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2 이차원 바코드의 주문을 배치한 고객에 의해 스캔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에 의해 주문의 운반을 위한 요청을 시그널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고객의 존재의 검출하는 단계;
    상기 버퍼 저장 시설 내에서, 상기 시그널된 주문 또는 상기 바코드들 중 스캔된 바코드를 가지는 상기 고객의 주문, 또는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검출된 상기 고객의 주문의 물품들의 수집을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관리 유닛에 의해 명령들, 및 상기 고객에 의해 스캔된 상기 제2 바코드와 연관된 또는 상기 고객의 주문의 전달을 위한 요청을 통지한 상기 제2 시그널링 수단과 연관된 또는 상기 고객의 존재가 검출된 상기 접근 차선과 연관된 상기 픽업 스테이션으로 상기 보냄 수단에 의해 상기 아이템들의 보냄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상기 스캐닝 또는 시그널링 또는 상기 검출로부터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문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바코드에 보유되는 상기 주문 픽킹 스테이션의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유닛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상기 고객의 단말기 상에 다운로드가능한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제1 이차원 바코드의 동일한 고객에 의해 스캔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시그널링 수단에 의해 상기 고객의 주문의 운반을 위한 요청을 시그널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주차 공간의 근처에서 상기 동일한 고객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에 의해 스캔된 상기 제1 바코드와 연관된 또는 상기 고객의 주문의 전달을 위한 요청을 시그널한 상기 제1 시그널링 수단과 연관된 또는 상기 고객의 존재가 검출된 상기 접근 차선과 연관된 상기 피킹 스테이션으로 상기 주문 물품들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문들을 자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
KR1020237010355A 2020-09-18 2021-09-20 수집 지점에서 주문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KR202300684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97079 2020-09-18
EP20197079.5 2020-09-18
PCT/EP2021/075834 WO2022058596A2 (fr) 2020-09-18 2021-09-20 Systeme de remise d'une commande en point-retra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403A true KR20230068403A (ko) 2023-05-17

Family

ID=7267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355A KR20230068403A (ko) 2020-09-18 2021-09-20 수집 지점에서 주문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005384A1 (ko)
EP (1) EP4214655A2 (ko)
JP (1) JP2023542909A (ko)
KR (1) KR20230068403A (ko)
CN (1) CN116964290A (ko)
CA (1) CA3193636A1 (ko)
FR (1) FR3114425A1 (ko)
WO (1) WO2022058596A2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7026A (en) * 1969-12-31 1972-03-07 Gilbert L Alexander Automatic drive-in store
US7054832B1 (en) * 1999-06-24 2006-05-30 Rajesh Vallabh System for merchandize transactions
US20140114778A1 (en) * 2012-10-24 2014-04-24 NCR Corporation, Law Dept. Techniques for drive thru mobile ord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14655A2 (fr) 2023-07-26
CA3193636A1 (en) 2022-03-24
WO2022058596A2 (fr) 2022-03-24
FR3114425A1 (fr) 2022-03-25
US20240005384A1 (en) 2024-01-04
JP2023542909A (ja) 2023-10-12
WO2022058596A3 (fr) 2022-05-27
CN116964290A (zh)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14746B (zh) 基于无人配送车辆的无人配送系统
JP6096804B2 (ja) 容器をスタックするための材料取扱設備およびスタッカ器具
US5890136A (en) Quick stop mass retail system
EP09112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ordering and distribution of articles
JP6994739B2 (ja) 無人配送車両による無人配送システム
US20210370988A1 (en) Package locker unit and package delivery management
US10875711B2 (en) Storage-and-retrieval cell for a parcel-handling logistics platform
CN109242058B (zh) 具有预加载功能的货物提取系统及方法
EP2514690B1 (en) Warehouse guiding system for industrial trucks
RU215345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хранения в аэропорту преждевременного багажа
CN108830529B (zh) 基于物联网的货物智能监控方法及系统
CN113052521A (zh) 物品提取方法、装置及系统
EP26412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baggage reclaim
KR20230068403A (ko) 수집 지점에서 주문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US20070073578A1 (en) Dock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of product
CN114287016A (zh) 用于递送订单的系统以及相关方法
US20220297941A1 (en) Order fulfillment system
CN114341025B (zh) 用于递送订单的系统以及相关方法
US11999566B2 (en) Overhead rail based order delivery system and method
WO2021009741A1 (en) Order fulfillment system
NL1012102C2 (nl) Werkwijze en systeem voor vervoer van personen.
NL1027227C2 (nl) Werkwijze en systeem voor het sorteren van producten overeenkomstig orders daarvoor.
JPH0717607A (ja) 台車集配装置
WO2022101956A1 (ja) 搬送システムおよび搬送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