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836A -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836A
KR20230066836A KR1020210152267A KR20210152267A KR20230066836A KR 20230066836 A KR20230066836 A KR 20230066836A KR 1020210152267 A KR1020210152267 A KR 1020210152267A KR 20210152267 A KR20210152267 A KR 20210152267A KR 20230066836 A KR20230066836 A KR 20230066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module
fastening
fixing
uni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교찬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6836A/ko
Publication of KR2023006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 외부의 작업대에서 사전 조립된 트레이 모듈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부로부터 트레이 모듈을 전달받고, 트레이 모듈을 건물 내부의 천장부로 향해 리프팅하는 리프팅부 및 천장부에 설치되고, 리프팅된 트레이 모듈과 체결되어 트레이 모듈을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CABLE TRAY MODULE CONSTRUCTING APPARATUS AND CABLE TRAY MODULE CONTSTRUCT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장에는 클린룸과 플레넘룸에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천장측에 케이블 배선 구간을 따라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한다.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방법은 테이블 리프트를 사용하여 하나의 단 씩 트레이를 설치한 뒤, 각각의 트레이의 높이를 측정하여 수평을 맞추어 고정하는 순서로 진행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길게 소요되고, 각 단의 전기 트레이를 테이블 리프트에 의해 개별적으로 리프팅함에 따라 추락, 낙하 등의 안전 사고 리스크를 내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4470호(2007.07.25 등록, 발명의 명칭: 건축물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는: 건물 외부의 작업대에서 사전 조립된 트레이 모듈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상기 트레이 모듈을 전달받고, 상기 트레이 모듈을 건물 내부의 천장부로 향해 리프팅하는 리프팅부; 및 상기 천장부에 설치되고, 리프팅된 상기 트레이 모듈과 체결되어 상기 트레이 모듈을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작업대와 상기 리프팅부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대차부; 및 상기 대차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케이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대차부와 상기 케이지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대차부에 대한 상기 케이지부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지부는 상기 대차부가 상기 리프팅부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후, 상기 대차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리프팅부 상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천장부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천장부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 모듈과 체결되어 상기 트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 모듈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2열 이상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고정브라켓; 및 상기 바디부의 상측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천장부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제2고정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상대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2고정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는 제1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체결브라켓; 및 상기 바디부의 하측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 모듈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2체결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체결부재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대한 상기 체결부의 상대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체결브라켓 및 상기 제2체결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는 제2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은: 천장부에 수평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 작업대에서 사전 조립된 트레이 모듈을 리프팅부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 모듈을 천장부로 향해 리프팅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 모듈이 상기 천장부에 대해 수평 상태로 지지되도록 상기 트레이 모듈을 상기 수평지지부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는, 고정부재의 일측을 상기 천장부에 고정하는 단계; 바디부에 대한 고정부 및 체결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을 제2고정브라켓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부를 상기 천장부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모듈을 상기 리프팅부로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대에서 사전 조립된 상기 트레이 모듈을 케이지부 상에 적재하는 단계; 대차부가 상기 작업대로부터 상기 리프팅부로 향해 이동되며 상기 트레이 모듈을 운반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지부가 상기 대차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리프팅부 상으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모듈을 상기 수평지지부에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트레이 모듈을 상승시켜 체결부재를 제2체결브라켓의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체결브라켓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제2체결브라켓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은 다단의 트레이부재로 구성되는 트레이 모듈이 사전 조립된 상태로 천장부에 일체로 설치됨에 따라 리프트부의 반복 사용에 따른 추락, 낙하 등의 안전 사고 리스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은 수평지지부에 의해 별도의 측정 작업 없이 트레이 모듈의 체결과 동시에 트레이 모듈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의 지연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의 구성을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의 구성을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10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20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40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1)는 건물 외부의 작업대(2)에서 사전 조립된 트레이 모듈(10)을 건물 내부의 천장부(3)에 설치하는 작업에 이용될 수 있도록 이송부(100), 리프팅부(200), 수평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레이 모듈(10)은 건물 내부에 배선되는 각종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단위 구조체로서, 건물 외부의 작업대(2)에서 사전 조립된다. 여기서 건물은 반도체 공장으로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택, 선박 등 케이블이 배선되는 다양한 종류의 건축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모듈(10)은 트레이부재(11), 체결부재(12)를 포함한다.
트레이부재(11)는 트레이 모듈(1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트레이부재(11)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적층 배치된다. 이웃하는 트레이부재(11)는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사이에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부재(11)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 사이에 다수개의 수직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배열되는 사다리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부재(11)의 구체적인 개수, 크기는 건물 내부에 배선된 케이블의 개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체결부재(12)는 트레이부재(11)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트레이부재(11)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후술하는 수평지지부(300)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봉 형상의 전산 볼트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2)는 복수개의 트레이부재(11)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부재(12)는 용접 등에 의해 트레이부재(11)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별도의 브라켓 등에 의해 트레이부재(1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체결부재(12)의 상단부는 최상단의 트레이부재(11)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체결부재(12)의 상단부는 샹크 너트 등을 매개로 수평지지부(300)와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체결부재(1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트레이부재(11)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체결부재(12)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1)는 이송부(100), 리프팅부(200), 수평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이송부(100)는 건물 외부의 작업대(2)에서 사전 조립된 트레이 모듈(10)을 후술하는 리프팅부(200)로 반복하여 이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00)는 대차부(110), 케이지부(120), 가이드부(130)를 포함한다.
대차부(110)는 지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대(2)와 리프팅부(200)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대차부(110)는 작업대(2)와 리프팅부(200) 사이를 왕복 이동하며 후술하는 케이지부(120)에 적재된 트레이 모듈(10)을 리프팅부(200) 측으로 운반한다. 이 경우, 대차부(11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전동 모터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부(110)는 하단부에 바퀴가 설치된 사각 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대차부(110)의 구체적인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케이지부(120)는 대차부(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부(100)의 이송 과정에서 트레이 모듈(10)을 대차부(110) 상에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부(120)는 하단부에 바퀴가 구비된 사각 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대차부(110)의 상부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케이지부(120)는 후술하는 가이드부(130)에 의해 대차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케이지부(120)의 상단부는 트레이 모듈(10)이 수평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평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지부(120)는 대차부(110)에 대한 상대 이동 시, 대차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케이지부(120)는 대차부(110)가 작업대(2)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경우, 대차부(110)로부터 분리되어 작업대(2) 상으로 이동된다. 케이지부(120)는 대차부(110)가 리프팅부(200)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경우, 대차부(110)로부터 분리되어 리프팅부(200) 상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케이지부(120)는 대차부(110)의 진입이 어려운 공간으로도 트레이 모듈(10)을 이송할 수 있고, 작업대(2)에서 최초 적재된 트레이 모듈(10)이 별도의 하차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천장부(3)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대차부(110)와 케이지부(120)의 사이에 구비되고, 대차부(110)에 대한 케이지부(120)의 상대 이동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30)는 중앙부에 홈이 형성된 레일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대차부(110)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가이드부(130)는 길이 방향이 대차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부(130)의 내부에는 케이지부(120)의 하단부에 구비된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가이드부(130)의 양 내측면은 케이지부(120)의 바퀴 양측면과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30)는 케이지부(120)가 대차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케이지부(120)가 대차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대차부(110)의 상부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리프팅부(200)는 이송부(100)로부터 상기 트레이 모듈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트레이 모듈을 건물 내부의 천장부(3)로 향해 리프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부(200)는 리프팅부본체(210), 리프팅부재(220), 리프팅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리프팅본체(210)는 천장부(3)의 하방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리프팅부재(220), 리프팅플레이트(23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리프팅부본체(210)는 트레이 모듈(1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리프팅 위치 즉, 천장부(3)에 대한 상대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지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프팅부재(220)는 리프팅본체(210)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리프팅플레이트(230)를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부재(220)는 유압 등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기둥, 실린더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프팅부재(2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리프팅본체(210)의 각각의 모서리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리프팅플레이트(230)는 리프팅부재(220)에 결합되고, 리프팅부재(220)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플레이트(230)는 하측면이 리프팅부재(2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평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프팅플레이트(230)는 상측면이 천장부(3)와 수평하게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리프팅플레이트(230)는 트레이 모듈(10)이 후술하는 수평지지부(300)와 체결되는 과정에서 트레이 모듈(10)을 천장부(3)에 대해 수평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수평지지부(300)는 천장부(3)에 설치되고, 리프팅부(200)에 의해 천장부(3) 측으로 리프팅된 트레이 모듈(10)과 체결된다. 수평지지부(300)는 트레이 모듈(10)이 리프팅부(200)에 리프팅되기에 앞서 천장부(3)에 사전 설치될 수 있다. 수평지지부(300)는 트레이 모듈(10)과 체결됨과 동시에 트레이 모듈(10)을 천장부(3)에 대해 수평한 상태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수평지지부(300)는 별도의 수평 유무 확인 작업 없이 트레이 모듈(10)과의 체결만으로 트레이 모듈(10)의 수평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의 지연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의 구성을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의 구성을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300)는 바디부(310), 고정부(320), 체결부(330), 제1유동방지부(340), 제2유동방지부(3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31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310)는 천장부(3)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바디부(310)는 후술하는 고정부(320)에 의해 천장부(3)의 하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바디부(310)는 길이 방향이 트레이 모듈(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 즉, 케이블의 배선 구간을 따라 연장된다. 바디부(310)는 천장부(3)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된다. 바디부(31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바디부(310)는 트레이 모듈(10)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2열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바디부(310)의 구체적인 개수 및 배치 상태는 도 7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트레이 모듈(10)의 길이, 너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바디부(310)의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제1유동방지부(340) 및 제2유동방지부(350)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관통홀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관통홀부(311)는 바디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관통홀부(311)의 개수는 제1유동방지부(340) 및 제2유동방지부(350)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관통홀부(311)의 내주면에는 제1유동방지부(340) 및 제2유동방지부(35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20)는 바디부(310)에 결합되고, 천장부(3)에 고정되어 바디부(310)를 지지한다. 고정부(3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바디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부(320)는 바디부(3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320)는 바디부(310)의 수평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20)는 제1고정브라켓(321), 제2고정브라켓(322), 고정부재(323)를 포함한다.
제1고정브라켓(321)은 고정부(32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바디부(310)의 하측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브라켓(321)은 대략 "ㄷ"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바디부(310)의 하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1고정브라켓(321)의 양단부는 후술하는 제2고정브라켓(322)과 결합될 수 있도록 바디부(3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고정브라켓(321)에는 후술하는 제1유동방지부(340)가 삽입되는 제1유동방지홀부(321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동방지홀부(321a)는 제1고정브라켓(321)의 양측면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동방지홀부(321a)는 바디부(3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부(311)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유동방지홀부(321a)는 제1고정브라켓(321)이 바디부(310)에 대해 설정된 지점에 위치된 경우, 중심축이 어느 하나의 관통홀부(311)의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제1유동방지홀부(321a)는 제1유동방지부(34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브라켓(322)은 고정부(320)의 타측 외관을 형성하고, 바디부(310)의 상측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브라켓(322)은 대략 "ㄷ"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바디부(310)의 상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2고정브라켓(322)의 하단 내측면은 바디부(310)의 상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고정브라켓(322)은 내부에 후술하는 고정부재(323)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제2고정브라켓(322)의 양단부는 바디부(3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고정브라켓(321)의 양단부와 접촉된다. 제2고정브라켓(322)의 양단부는 제1고정브라켓(321)의 양단부와 볼팅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323)는 일측이 천장부(3)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고정브라켓(322)과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32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봉 형상의 전산 볼트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23)는 길이 방향이 천장부(3)와 수직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고정부재(323)의 상단부는 천장부(3)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고정부재(323)의 하단부는 천장부(3)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고정브라켓(322)의 내부로 삽입된다. 고정부재(323)의 하단부는 제2고정브라켓(32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샹크 너트 등을 매개로 제2고정브라켓(322)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20)가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고정부재(323) 또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고정부재(323)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323)는 바디부(310)를 천장부(3)에 대해 수평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체결부(330)는 바디부(310)에 결합되고, 트레이 모듈(10)과 체결되어 트레이 모듈(10)을 지지한다. 체결부(3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바디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체결부(330)는 이웃하는 고정부(3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부(330)는 바디부(3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330)는 제1체결브라켓(331), 제2체결브라켓(332)을 포함한다.
제1체결브라켓(331)은 체결부(33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바디부(310)의 상측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체결브라켓(331)은 대략 "ㄷ"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바디부(310)의 상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1체결브라켓(331)의 양단부는 후술하는 제2체결브라켓(332)과 결합될 수 있도록 바디부(3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체결브라켓(332)은 체결부(330)의 타측 외관을 형성하고, 바디부(310)의 하측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브라켓(332)은 대략 "ㄷ"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바디부(310)의 하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제2체결브라켓(332)은 트레이 모듈(10)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부재(12)와 결합되어 트레이 모듈(10)을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12)의 상단부는 제2체결브라켓(33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샹크 너트 등을 매개로 제2체결브라켓(33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체결브라켓(332)의 상단 내측면은 바디부(310)의 하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체결브라켓(332)은 내부에 체결부재(1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제2체결브라켓(332)의 양단부는 바디부(3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체결브라켓(331)의 양단부와 접촉된다. 제2체결브라켓(332)의 양단부는 제1체결브라켓(331)의 양단부와 볼팅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체결브라켓(332)에는 후술하는 제2유동방지부(350)가 삽입되는 제2유동방지홀부(332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동방지홀부(332a)는 제2체결브라켓(332)의 양측면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동방지홀부(332a)는 바디부(3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부(311)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유동방지홀부(332a)는 제2체결브라켓(332)이 바디부(310)에 대해 설정된 지점에 위치된 경우, 중심축이 어느 하나의 관통홀부(311)의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제2유동방지홀부(332a)는 제2유동방지부(35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동방지부(340)는 바디부(310)에 대한 고정부(320)의 상대 이동을 방지한다. 제1유동방지부(340)는 제1고정브라켓(321) 및 제2고정브라켓(3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바디부(310)를 관통하여 고정부(320)와 바디부(310)를 상호 고정시킨다. 이하에서는 제1유동방지부(340)가 제1고정브라켓(321)을 관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제1유동방지부(34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고정브라켓(322) 또는 제1고정브라켓(321) 및 제2고정브라켓(322)을 모두 관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동방지부(34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동방지부(340)는 제1고정브라켓(321)의 측면에 형성된 제1유동방지홀부(321a)와 바디부(31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부(311)를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된다. 제1유동방지부(340)는 제1유동방지홀부(321a)와 관통홀부(3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어 고정부(320)와 바디부(310)를 상호 고정시킨다.
제2유동방지부(350)는 바디부(310)에 대한 체결부(330)의 상대 이동을 방지한다. 제2유동방지부(350)는 제1체결브라켓(331) 및 제2체결브라켓(3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바디부(310)를 관통하여 체결부(330)와 바디부(310)를 상호 고정시킨다. 이하에서는 제2유동방지부(350)가 제2체결브라켓(332)을 관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제2유동방지부(35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체결브라켓(331) 또는 제1체결브라켓(331) 및 제2체결브라켓(332)을 모두 관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동방지부(35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동방지부(350)는 제2체결브라켓(332)의 측면에 형성된 제2유동방지홀부(332a)와 바디부(31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부(311)를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된다. 제2유동방지부(350)는 제2유동방지홀부(332a)와 관통홀부(3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어 체결부(330)와 바디부(310)를 상호 고정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1)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트레이 모듈(10)을 천장부(3)에 설치하기에 앞서, 수평지지부(300)를 천장부(3)에 사전 설치한다(S100). 수평지지부(300)는 케이블의 배선 경로를 따라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10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S100 단계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고정부재(323)의 일측 즉, 상단부를 천장부(3)의 하측면에 고정한다(S110).
S110 단계 이후, 바디부(310)에 대한 고정부(320) 및 체결부(330)의 위치를 고정한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브라켓(321)의 내측면에 바디부(310)의 하측 둘레면을 안착시킨다. 제2고정브라켓(322)의 개구된 측이 제1고정브라켓(321)의 개구된 측과 마주보도록 배치시킨 상태에서 제2고정브라켓(322)의 양단부를 제1고정브라켓(321)의 양단부와 접촉시키고, 제1고정브라켓(321)과 제2고정브라켓(322)의 양단부를 볼팅에 의해 상호 고정한다.
이후, 제1고정브라켓(321)에 구비되는 제1유동방지홀부(321a)와 바디부(310)에 구비되는 관통홀부(311)의 중심축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1유동방지부(340)가 제1고정브라켓(321)과 바디부(310)를 관통하도록 제1유동방지부(340)를 제1유동방지홀부(321a)와 관통홀부(311)로 삽입시킨다. 제1유동방지부(340)는 제1유동방지홀부(321a)와 관통홀부(311)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바디부(310)와 고정부(320)를 상호 고정시킨다.
마찬가지로, 제1체결브라켓(331)의 내측면에 바디부(310)의 상측 둘레면을 안착시킨다. 제2체결브라켓(332)의 개구된 측이 제1체결브라켓(331)의 개구된 측과 마주보도록 배치시킨 상태에서 제2체결브라켓(332)의 양단부를 제1체결브라켓(331)의 양단부와 접촉시키고, 제1체결브라켓(331)과 제2체결브라켓(332)의 양단부를 볼팅에 의해 상호 고정한다.
이후, 제2체결브라켓(332)에 구비되는 제2유동방지홀부(332a)와 바디부(310)에 구비되는 관통홀부(311)의 중심축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2유동방지부(350)가 제2체결브라켓(332)과 바디부(310)를 관통하도록 제2유동방지부(350)를 제2유동방지홀부(332a)와 관통홀부(311)로 삽입시킨다. 제2유동방지부(350)는 제1유동방지홀부(321a)와 관통홀부(311)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바디부(310)와 고정부(320)를 상호 고정시킨다.
S120 단계 이후, 고정부재(323)의 타측 즉, 하단부를 제2고정브라켓(322)에 결합하여 바디부(310)를 천장부(3)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시킨다(S130).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323)의 하단부를 제2고정브라켓(322)의 상측면을 통해 제2고정브라켓(322)의 내부로 삽입한다.
복수개의 고정부재(323)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복수개의 고정부재(323)의 하단부는 동일한 길이만큼 제2고정브라켓(322)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 제2고정브라켓(322)의 내부로 삽입된 고정부재(323)의 하단부에 샹크 너트를 체결하여 제2고정브라켓(322)와 고정부재(323)를 상호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바디부(310)는 천장부(3)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S100 단계의 전후 또는 S100 단계와 동시에, 작업대(2)에서 다단의 트레이부재(11)와 체결부재(12)를 결합하여 트레이 모듈(10)을 사전 조립한다. 작업대(2)에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트레이 모듈(10)의 작업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작업대(2)에서 사전 조립된 트레이 모듈(10)을 리프팅부(200)로 이송한다(S200).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20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 및 도 17을 참조하여 S200 단계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작업대(2)에서 사전 조립이 완료된 트레이 모듈(10)을 케이지부(120) 상에 적재한다(S210).
보다 구체적으로, 대차부(110)가 작업대(2) 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후, 케이지부(120)는 대차부(110)로부터 분리되어 작업대(2)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 경우, 케이지부(12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고, 별도의 전동 모터 등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사전 조립이 완료된 트레이 모듈(10)은 별도의 양중 장치에 의해 케이지부(120)의 상부에 적재된다.
트레이 모듈(10)의 적재가 완료됨에 따라 케이지부(120)는 작업대(2)로부터 대차부(110)의 상부로 다시 이동된다.
S210 단계 이후, 대차부(110)가 작업대(2)로부터 리프팅부(200)로 향해 이동되며 트레이 모듈(10)을 운반한다(S220). 이 경우, 대차부(11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고, 별도의 전동 모터 등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S220 단계 이후, 대차부(110)가 리프팅부(200) 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경우, 케이지부(120)는 트레이 모듈(10)이 적재된 상태에서 대차부(110)로부터 분리되어 리프팅부(200) 상으로 이동된다(S230).
S200 단계 이후, 도 11과 같이 리프팅부(200)를 구동시켜 트레이 모듈(10)을 천장부(3)로 향해 리프팅한다(S300).
S300 단계 이후, 트레이 모듈(10)이 천장부(3)에 대해 수평 상태로 지지되도록 트레이 모듈(10)을 수평지지부(300)에 체결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400 단계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 도 17을 참조하여 S400 단계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리프팅부(200)에 의해 트레이 모듈(10)을 상승시켜 체결부재(12)를 제2체결브라켓(332)의 내부로 삽입한다(S410).
이 경우, 트레이 모듈(10)은 케이지부(120) 상에서 수평하게 지지된 상태로 상승 이동된다. 또한, 상승 과정에서 작업자는 케이지부(120)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수평지지부(300)에 대한 트레이 모듈(1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부재(12)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복수개의 체결부재(12)의 상단부는 동일한 길이만큼 제2체결브라켓(332)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 제2체결브라켓(332)의 내부로 삽입된 체결부재(12)를 제2체결브라켓(332)에 고정시킨다(S420).
보다 구체적으로, 제2체결브라켓(332)의 내부로 삽입된 체결부재(12)의 하단부에 샹크 너트를 체결하여 제2체결브라켓(332)와 체결부재(12)를 상호 고정시킨다.
복수개의 체결부재(12)의 상단부가 동일한 길이만큼 제2체결브라켓(332)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트레이 모듈(10)은 천장부(3)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트레이 모듈(10)이 수평지지부(300)에 체결된 이후, 리프팅부(200)는 케이지부(120)를 하강 이동시키고, 케이지부(120)는 리프팅부(200)로부터 대차부(110)상으로 이동된다.
케이지부(120)가 대차부(110) 상으로 이동 완료됨에 따라 대차부(110)는 리프팅부(200)로부터 작업대(2) 측으로 이동되고, 또 다른 트레이 모듈(10)에 대해 상기한 작업을 반복 수행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2 : 작업대
3 : 천장부 10 : 트레이 모듈
11 : 트레이부재 12 : 체결부재
100 : 이송부 110 : 대차부
120 : 케이지부 130 : 가이드부
200 : 리프팅부 210 : 리프팅부본체
220 : 리프팅부재 230 : 리프팅플레이트
300 : 수평지지부 310 : 바디부
311 : 관통홀부 320 : 고정부
321 : 제1고정브라켓 321a : 제1유동방지홀부
322 : 제2고정브라켓 323 : 고정부재
330 : 체결부 331 : 제1체결브라켓
332 : 제2체결브라켓 332a : 제2유동방지홀부
340 : 제1유동방지부 350 : 제2유동방지부

Claims (16)

  1. 건물 외부의 작업대에서 사전 조립된 트레이 모듈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상기 트레이 모듈을 전달받고, 상기 트레이 모듈을 건물 내부의 천장부로 향해 리프팅하는 리프팅부; 및
    상기 천장부에 설치되고, 리프팅된 상기 트레이 모듈과 체결되어 상기 트레이 모듈을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작업대와 상기 리프팅부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대차부; 및
    상기 대차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케이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대차부와 상기 케이지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대차부에 대한 상기 케이지부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부는 상기 대차부가 상기 리프팅부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후, 상기 대차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리프팅부 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천장부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천장부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 모듈과 체결되어 상기 트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 모듈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2열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고정브라켓; 및
    상기 바디부의 상측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천장부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제2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상대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2고정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는 제1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체결브라켓; 및
    상기 바디부의 하측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 모듈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2체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체결부재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바디부에 대한 상기 체결부의 상대 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체결브라켓 및 상기 제2체결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는 제2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13. 천장부에 수평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
    작업대에서 사전 조립된 트레이 모듈을 리프팅부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 모듈을 천장부로 향해 리프팅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 모듈이 상기 천장부에 대해 수평 상태로 지지되도록 상기 트레이 모듈을 상기 수평지지부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는,
    고정부재의 일측을 상기 천장부에 고정하는 단계;
    바디부에 대한 고정부 및 체결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을 제2고정브라켓에 결합하여 상기 바디부를 상기 천장부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모듈을 상기 리프팅부로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대에서 사전 조립된 상기 트레이 모듈을 케이지부 상에 적재하는 단계;
    대차부가 상기 작업대로부터 상기 리프팅부로 향해 이동되며 상기 트레이 모듈을 운반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지부가 상기 대차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리프팅부 상으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모듈을 상기 수평지지부에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트레이 모듈을 상승시켜 체결부재를 제2체결브라켓의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체결브라켓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제2체결브라켓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
KR1020210152267A 2021-11-08 2021-11-08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 KR20230066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267A KR20230066836A (ko) 2021-11-08 2021-11-08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267A KR20230066836A (ko) 2021-11-08 2021-11-08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836A true KR20230066836A (ko) 2023-05-16

Family

ID=8654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267A KR20230066836A (ko) 2021-11-08 2021-11-08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68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65655A (ja) 物品搬送設備
US20140003894A1 (en) Article Storag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in Article Storage System
KR970007017B1 (ko) 승강 반송장치의 캐리지 안내용 지주
KR102305399B1 (ko) 시공 건축물의 높낮이 조절형 리프팅 장치
JP2008074541A (ja) 昇降装置
JP6167025B2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KR20230066836A (ko)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
JP2019210109A (ja) 重量物の揚重装置、および、揚重運搬方法
KR20190109873A (ko)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JP6621732B2 (ja) 作業床装置
JPH0812262A (ja) 天井クレーンの設置方法及びその装置
US1105970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ifting elevator cars during installation
JPH04141341A (ja) ガントリーローダ
JPH07112805A (ja) マスト
JP4598454B2 (ja) クレーン桁・サドル組立装置
JP7202809B2 (ja) 搬送装置及び機械式駐車設備の組立方法
WO2019043949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天井およびエレベータかごの製造方法
JP7192744B2 (ja) 物品搬送設備
JPH09202563A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CN215047956U (zh) 一种快速装车用新型吊架
JP2018127342A (ja) バッファ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およびバッファクリアランス調整方法
JP2019096665A (ja) 静止誘導機器の搬入方法
KR102374834B1 (ko) 시스템 실링 모듈 설치 시스템
CN210060475U (zh) 一种地坎的铣床夹具
AU2011244854A1 (en) Carriage frame and fork pin loc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