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908A -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908A
KR20230065908A KR1020220144558A KR20220144558A KR20230065908A KR 20230065908 A KR20230065908 A KR 20230065908A KR 1020220144558 A KR1020220144558 A KR 1020220144558A KR 20220144558 A KR20220144558 A KR 20220144558A KR 20230065908 A KR20230065908 A KR 20230065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
brake
cutouts
rear surface
pa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힌 하템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6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1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actua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brake piston and p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06Noise or vibration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00/00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 F16D2200/0034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non-metallic
    • F16D2200/0056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 피스톤(11) 및 브레이크 피스톤(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캘리퍼 핑거(20)를 가진다.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디스크(1)와 마주하는 전면과 후면(6)을 갖는 백 플레이트(4), 브레이크 디스크(1)의 마찰면과 접촉하기 위한 백 플레이트(4)의 전면에 배치된 마찰층(3), 및 상기 백 플레이트(4)의 후면(6)에 배치된 심(shim, 5)을 포함한다. 상기 심(5)은 상부 엣지(14)와 제1 및 제2 측부 가장자리(16, 17)를 갖는 후면(12)을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심(5)의 후면(12)은 브레이크 적용 시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11) 또는 상기 캘리퍼 핑거(20)에 의해 밀리도록 구성된 압력 영역(13)을 포함한다. 상기 심(5)은 소음 감소를 위한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상기 심(5)의 후면(12)의 압력 영역(13)과 상기 심(5)의 후면(12)의 상부 엣지 (1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신에,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상기 심(5)의 후면(12)의 압력 영역(13)과 상기 심(5)의 후면(12)의 제1 측부 가장자리(16) 및 제2 측부 가장자리(17)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BRAKE PAD ASSEMBLY FOR A DISK BRAKE SYSTEM AND DISK BRAKE SYSTEM}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크 엔지니어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스퀄 노이즈(일반적으로 1000Hz에서 16000Hz 사이의 주파수에서 나타나는 큰 소리)를 억제하는 강력한 솔루션에 대해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NVH(소음, 진동 및 거칠기)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의 백플레이트 뒷면에 접착된 강철 심(shim),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의 패드에 있는 서로 다른 모따기, 디스크와 접촉하는 패드 표면의 슬롯,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재 수정 및 하층 연결 뒷판에 마찰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솔루션이 알려져 있다. 심의 주요 효과는 시스템 모드를 서로 분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솔루션은 스퀄 노이즈 특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솔루션은 특정 제동 조건(저주파수 또는 고주파수, 저온 또는 고온)에서만 잘 작동한다.
DE 197 06 122 A1
전술한 측면의 관점에서, 본 개시의 목적은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광범위한 제동 조건에서 삐걱거리는 소음(squeal noises)을 안정적으로 억제하는 컴팩트하고 견고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본 개시의 목적이다. 또한, 이러한 장점을 갖는 개선된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본 개시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선택적인 추가 특징 및 추가 개발은 첨부 도면과 함께 종속항 및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안된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는 브레이크 피스톤 및 브레이크 피스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캘리퍼 핑거를 가진다.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주하는 전면과 후면(6)을 갖는 백 플레이트,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면과 접촉하기 위한 백 플레이트(4)의 전면에 배치된 마찰층,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후면에 배치된 심(shim)을 포함한다. 상기 심은 상부 엣지와 제1 및 제2 측부 가장자리를 갖는 후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심의 후면은 브레이크 적용 시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 또는 상기 캘리퍼 핑거에 의해 밀리도록 구성된 압력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심은 소음 감소를 위한 복수의 컷아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컷아웃은 상기 심의 후면의 압력 영역과 상기 심의 후면의 상부 엣지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상기 복수의 컷아웃은 상기 심의 후면의 압력 영역과 상기 심의 후면의 제1 측부 가장자리 및 제2 측부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제안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는 심의 복수의 컷아웃의 유익한 배열을 사용하여 소음, 특히 삐걱거리는 소음의 감소를 개선힌다.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는 차체 및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의 바디 및 구조물 내에서 제어된 음파 전달을 기반으로 더 높은 감쇠 효과를 달성하고 공중에서의 소리를 통해 구조물서 주변으로의 음파 전달을 감소시킨다. 복수의 컷아웃(cutouts)의 배열로 인해 음의 경로가 제어될 수 있고 고압 진폭이 감소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심의 복수의 컷아웃의 제안된 배열은 감쇠될 구조 소음 및 소산될 삐걱거리는 소리 에너지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안된 발명은 구조 및 심(shim)의 표면을 통한 음향 경로의 소산에 의해 넓은 주파수 스케일에서 개선된 전역 감쇠(global damping)(음압 레벨 감소)를 달성한다. 제안된 컷아웃 배열은 압력 영역에서 시작하여 심(shim)의 가장자리 및 기타 연결 영역으로 힘 흐름 라인의 균질한 분포를 개선하는 데 적합하므로 향상된 소음 감소를 가능하게 하는 보다 균질한 압력 분포(homogeneous pressure distribution)를 달성합니다. 그 이유는 현실적인 브레이크 시나리오에서 브레이크 적용 시 심 내부의 힘 전달이 접선 압력 성분으로 인해 압력 영역에서 심의 상단 및 첫 번째 및 두 번째 측면 가장자리를 향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본 개시는 또한 상기 또는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 피스톤 및 브레이크 피스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캘리퍼 핑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위에서 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의 특징을 갖는 다른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와 다른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는 피스톤과 브레이크 디스크 중 하나와 캘리퍼 핑거와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컷아웃은 브레이크 적용 시 심의 후면의 압력 영역과 심의 후면의 가장자리 표면 사이의 힘 전달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심의 후면의 가장자리 표면은 전형적으로 심의 후면의 상부 가장자리 및 제1 및 제2 측부 가장자리 중 하나에 의해 전형적으로 경계가 정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레이크 적용시 균일한 힘 분포를 제공함으로써 소음 감소가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컷아웃이 심 후면의 압력 영역과 심 후면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 및/또는 심의 후면의 압력 영역과 심의 후면의 제1 측면 가장자리 및 제2 측면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배열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심은 복수의 컷아웃 이외의 컷아웃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심의 후방 표면의 상부 가장자리는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심의 경계를 정한다. 제1 측부 가장자리 및 제2 측부 가장자리는 일반적으로 각각 선행 및 후행 접선 방향으로 심의 후면을 한정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복수의 컷아웃가 심 후면의 압력 영역과 심 후면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뿐만 아니라 심의 후면의 압력 영역과 심의 후면의 제1 측부 가장자리 및 제2 측부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노이즈 감소를 추가로 개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컷아웃이 심 후면의 압력 영역과 심 후면의 첫 번째 측부 가장자리 사이에 부분적으로 심 후면의 압력 영역과 심 후면의 두 번째 측면 가장자리 사이에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컷아웃은 예를 들어 압력 영역의 반경 방향으로, 특히 심의 후면의 상부 에지를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레이크 적용시 상부 가장자리로의 힘 전달은 보다 균일한 압력 분포를 가능하게 하고 소음 감소를 개선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심의 후방 표면의 압력 영역은 브레이크 적용시 브레이크 피스톤에 의해 밀리도록 구성된다. 압력 영역은 만곡된(curved) 상부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압력 영역의 원형 상단 가장자리는 링 모양의 피스톤 표면으로 인한 결과로 도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컷아웃의 적어도 일부, 특히 전체는 원형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패턴을 형성한다. 원형 세그먼트는 3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60도 이상의 각도 범위에 걸쳐 있다. 원형 세그먼트는 전형적으로 압력 영역의 만곡된 상부 가장자리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력 표면의 상부 부분 주위에 복수의 홀(holes)의 곡선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소음 감소가 개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심의 후면의 압력 영역은 브레이크 적용시 캘리퍼 핑거에 의해 밀리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컷아웃의 일부는 압력 영역과 심의 후면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에서 필수적으로(essentially) 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컷아웃의 다른 부분은 압력 영역과 심의 후면의 제1 측부 가장자리 및 제2 측부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필수적으로 다른 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선된 소음 감소를 위해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를 밀고 있는 캘리퍼 핑거의 경우를 위하여 힘 전달이 개선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영역은 전형적으로 서로 분리된 좌측 압력 영역 및 우측 압력 영역을 포함한다. 압력 영역은 일반적으로 왼쪽 및 오른쪽 핑거 면을 갖는 캘리퍼 핑거 모양의 결과이다. 전형적으로, 복수의 컷아웃의 일부는 좌측 압력 영역과 제1 측부 가장자리 사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컷아웃의 일부는 또한 좌측 압력 영역과 상부 가장자리 사이에 배열된다. 캘리퍼 핑거 측의 개선된 소음 감소 특성을 위하여 다른 복수의 컷아웃의 일부가 우측 압력 영역과 제2 가장자리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다른 복수의 컷아웃의 다른 부분이 우측 압력 영역과 상부 가장자리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심은 금속 시트를 포함한다. 복수의 컷아웃은 금속 시트에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시트는 예를 들어 강철, 구리,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심은 심의 후면 상에 배열된 고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컷아웃는 또한 고무층에 형성될 수 있다.
효과적인 소음 감소를 위해, 복수의 컷아웃은 적어도 3개의 컷아웃, 특히 적어도 5개의 컷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컷아웃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포함합니다. 또한, 복수의 컷아웃는 적어도 하나의 블라인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컷아웃은 복수의 긴 구멍 또는 둥근 구멍을 포함하고 및/또는 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컷아웃은 관통 구멍 및 홈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컷아웃의 컷아웃은 속이 비어 있거나 및/또는 고체 재료로 채워지지 않는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컷아웃은 둥근 모서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심의 전면 또는 후면과 복수의 컷아웃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에지는 적어도 5mm, 특히 적어도 10mm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 요소(예: 브레이크 피스톤, 캘리퍼 핑거 및 심)의 상대적인 움직임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컷아웃은 심이 생산되는 동일한 제조 단계(절단, 펀칭)에서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음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 및 브레이크 디스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의 더 자세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 및 4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와 브레이크 피스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8은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 및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 및 캘리퍼 핑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14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디스크(1)를 도시한다.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캘리퍼 하우징, 캘리퍼 핑거 및 브레이크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은 캘리퍼 핑거 및/또는 피스톤에 부착될 수 있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를 더 포함한다.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 또는 전기 작동 시에 브레이크 디스크(1)의 마찰 표면에 대해 밀리는 마찰 층(3)을 갖는다. 마찰층(3)은 브레이크 디스크(1)와 맞물릴 때 우수한 제동 성능과 열 전달을 나타내는 재료를 포함한다. 마찰층(3)은 백 플레이트(back plate, 4)의 전면에 부착되어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에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4)는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가 백 플레이트(4)를 통해 피스톤 또는 캘리퍼 핑거에 장착되도록 피스톤 또는 캘리퍼 핑거에 의해 유지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백 플레이트(4)는 금속, 특히 강철로 만들어진다. 백 플레이트(4)의 두께는 적어도 3mm 및/또는 최대 8mm일 수 있다. 마찰층(3)은 예를 들어 적어도 8mm 및/또는 최대 1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마찰층(3)의 재료는 예를 들어 구리, 황화철, 흑연, 아연 분말, 현무암, 탄산칼슘, 황화주석, 아연 알루미늄, 페놀 수지, 고무 먼지 및 광물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재료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결합할 때 우수한 정지 성능과 열 전달을 보여줄 수 있다.
심(5)은 백 플레이트(4)의 후면(6)에 장착된다. 심(5)은 접착층을 사용하여 후면 플레이트(4)의 후면(6)에 접착되지만 탄성 클립이 있는 클립온 심(clip-on shim)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 클립은 후면 플레이트(4)에 심(5)을 부착하기 위해 후면 플레이트(4)의 에지 표면(7)과 접촉하고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클립은 심(5)의 가장자리 부분에 접힌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백 플레이트(4) 및 심(5)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상이한 도면에 도시된 대응하고 반복되는 특징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심(5)은 백 플레이트(4)의 후면(6)에 심(5)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층(8), 금속 시트(9), 및 고무층(10)을 갖는 적층 구조를 포함한다. 금속 시트(9)는 강철, 구리,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 층(10)은 금속 시트(9)의 후면을 덮는다. 심(5)의 총 두께는 예를 들어, 적어도 0.2 mm 및/또는 최대 2 mm에 이를 수 있다.
도 3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와 브레이크 피스톤(11)을 뒤에서, 즉 브레이크 디스크(1)를 향하여 보았을 때를 도시한다. 브레이크 피스톤(11)은 심(5)의 후면(12)에 대해 밀도록 구성된다. 브레이크 피스톤(11)은 링 형상의 전면을 가지며, 이는 링 형상의 압력 영역(13), 즉 심(5)의 후방 표면(12)의 링 형상 영역으로 이어진다. 심(5)의 후방 표면(12)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피스톤(11)에 의해 가해지는 축방향 압력에 노출된다. 도 3(b)는 브레이크 피스톤(11)을 도시하지 않는다. 심(5)의 후면(12)은 상부 에지(14)를 갖고, 이는 심(5)을 상향 방향으로 한정한다. 위쪽 방향은 반경 방향 15입니다. 도면의 묘사에 따르면, 브레이크 디스크(1)의 회전 축(도시되지 않음)은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2) 아래에, 즉 도면의 바닥을 향해(반경 방향(15) 반대 방향으로) 배열될 것이다. 심(5)의 후면(12)은 도면에서 좌측의 전단 가장자리(leading edge)인 제1 측부 가장자리(16)와 우측의 후단 가장자리인 제2 측부 가장자리(17)를 더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세그먼트 형태의 라인(18)은 심의 복수의 컷아웃의 배열을 위한 영역을 도시한다. 상기 영역은 복수의 컷아웃의 바람직한 노이즈 제거 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영역은 압력 영역(13)과 상부 가장자리(14) 사이 뿐만 아니라 압력 영역과 제1 및 제2 측부 가장자리(16, 17) 사이에 배열된다. 복수의 컷아웃이 상기 영역에, 즉 압력 영역(13)으로부터 반경 방향(도면에서 위쪽)으로 그리고 압력 영역(13)으로부터 접선 방향(도면에서 좌우)으로 배열된다. 이에 의해, 심(5)의 감쇠비는 재료 감쇠 외에 구조적 감쇠의 개선에 의해 효율적으로 개선된다. 컷아웃(19, 19', 19'')은 심(5)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지만, 현실적인 제동 시나리오에서 힘의 흐름이 심의 표면에 고르게 전달되고 분포되도록 함과 같이 최대 압력 진폭의 최적 감소가 달성되는 바와 같이, 체계적인 방법으로 설명된다. 또한 설명된 컷아웃의 분포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의 접촉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데 적합하고 단단한 접촉에서 부드러운 접촉 특성으로의 전환을 지원한다. 구멍의 위치, 모양 및 수는 접촉 구성 요소 사이의 진동 분리를 지원하고 구조 소음을 줄이고 진동 부품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중 소음의 소산(dissipation)을 지원하도록 선택된다.
도 5는 도 4에서 라인(18)으로 표시된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컷아웃의 위치를 도시한다. 복수의 컷아웃은 다수의 개별 컷아웃을 포함한다(각각은 도 5에서 원으로 도시됨). 예를 들어, 개별 컷아웃 중 3개는 참조 번호 19, 19' 및 19''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각각의 컷아웃은 도 5와 같은 둥근 구멍이나 도 6(직사각선으로 표시됨)에서와 같이 길쭉한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컷아웃은 막힌 홀(예: 막힌 홀 또는 홈) 또는 관통 홀(예: 관통 홀 또는 슬롯)이 될 수 있다. 복수의 컷아웃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홀과 긴 홀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도 4에서 라인 18로 도시된 영역에 배열된다. 복수의 컷아웃은 심(5)의 금속 시트(9)에 형성되고 전형적으로 중공이고 고체 재료로 채워지지 않는다. 복수의 컷아웃은 심(5)의 모든 층, 즉 접착층(8) 및 고무층(1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캘리퍼 핑거 측에 배열되도록 의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시스템은 캘리퍼 핑거(20)를 포함할 수 있다(도면에서 후방에서, 즉, 브레이크 디스크(1)를 향하여 보았을 때). 캘리퍼 핑거(20)는 브레이크가 인가될 때 심(5)의 후면(12)에 대해 푸시하도록 구성된다. 캘리퍼 핑거(20)는 압력 영역(13)에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에 축방향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압력 영역(21) 및 우측 압력 영역(22)을 포함한다. 참조 부호 23 및 24로 표시된 선은 선호되는 노이즈 감소를 위한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경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의 일부는 왼쪽 압력 영역(21)과 심(5)의 후면(12)의 상부 가장자리(14) 사이의 필수적으로 직선 상에 배열되고, 다른 부분은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심(5)의 후면(12)의 제1 측부 가장자리(16)와 좌측 압력 영역(21) 사이의 필수적으로 다른 직선 상에 배열된다. 또 다른 복수의 컷아웃(25, 25', 25'')은 우측 압력 영역(22)과 상부 및 제2 측부 가장자리(14, 17) 사이의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된다. 피스톤 측에서 사용하도록 의도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컷아웃의 바람직한 위치는 압력 영역(21, 22)과 상부 가장자리(14) 사이, 즉 압력 영역 위, 뿐만 아니라 압력 영역(21, 22)과 제1 및 제2 측부 가장자리(16, 17) 사이, 즉 각각 압력 영역의 좌측 및 우측에 있다. 도 11 내지 도 1414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형 홀과 긴 홀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상이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청구항에 기재될 수도 있다.
1: 브레이크 디스크
2: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
3: 마찰층
4: 백 플레이트
5: 심(shim)
6: 백 플레이트 후면
7: 백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표면
8: 접착층
9: 금속판
10: 고무층
11: 브레이크 피스톤
12: 심의 흐면
13: 압력 영역
14: 심 후면의 상단 가장자리
15: 반경 방향
16: 심 후면의 제1 측부 가장자리
17: 심 후면의 제2 측부 가장자리
18: 복수의 절개선을 배치하기 위한 영역을 나타내는 선
19, 19', 19'': 복수의 컷아웃
20: 캘리퍼 핑거
21: 왼쪽 압력 영역
22: 오른쪽 압력 영역
23, 24: 복수의 컷아웃 위치를 나타내는 선
25, 25', 25'': 복수의 컷아웃

Claims (14)

  1. 브레이크 피스톤(11) 및 브레이크 피스톤(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캘리퍼 핑거(20)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에 있어서,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디스크(1)와 마주하는 전면과 후면(6)을 갖는 백 플레이트(4),
    브레이크 디스크(1)의 마찰면과 접촉하기 위한 백 플레이트(4)의 전면에 배치된 마찰층(3), 및
    상기 백 플레이트(4)의 후면(6)에 배치된 심(shim, 5)을 포함하고,
    상기 심(5)은 상부 엣지(14)와 제1 및 제2 측부 가장자리(16, 17)를 갖는 후면(12)을 포함하고,
    상기 심(5)의 후면(12)은 브레이크 적용 시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11) 또는 상기 캘리퍼 핑거(20)에 의해 밀리도록 구성된 압력 영역(13)을 포함하며,
    상기 심(5)은 소음 감소를 위한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상기 심(5)의 후면(12)의 압력 영역(13)과 상기 심(5)의 후면(12)의 상부 엣지 (1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및/또는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상기 심(5)의 후면(12)의 압력 영역(13)과 상기 심(5)의 후면(12)의 제1 측부 가장자리(16) 및 제2 측부 가장자리(17)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브레이크 적용 시 상기 심(5)의 후면(12)의 압력 영역(13)과 상기 심(5) 후면(12)의 엣지 표면 사이의 힘 전달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상기 심(5)의 후면(12)의 상부 엣지(14)를 향한 압력 영역(13)의 반경 방향(15)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상기 심(5) 후면(12)의 압력 영역(13)과 상기 심(5) 후면(12)의 제1 측부 가장자리(16)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뿐만 아니라 상기 심(5)의 후면(12)의 압력 영역(13)과 상기 심(5)의 후면(12)의 제2 측부 가장자리(17))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5)의 후면(12)의 압력 영역(13)은 브레이크 적용시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11)에 의해 밀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압력 영역(13)은 원형 상부 에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의 적어도 일부는 원형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5) 후면(12)의 압력 영역(13)은 브레이크 작동 시 상기 캘리퍼 핑거(20)에 의해 밀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의 일부는 상기 압력 영역(13)과 상기 심(5)의 후면(12)의 상부 가장자리(14) 사이에서 필수적으로 직선 상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의 다른 일부는 상기 압력 영역(13)과 상기 심(5)의 후면(12)의 제1 측부 가장자리 (16) 및 제2 측부 가장자리 (17)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필수적으로 다른 직선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심(5)은 금속 시트(9)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상기 금속 시트(9)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심(5)은 상기 심(5)의 후면에 배치된 고무층(1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상기 고무층(10)에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적어도 3개의 컷아웃(19, 19', 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적어도 3개의 컷아웃(19, 19', 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적어도 하나의 블라인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컷아웃(19, 19', 19'')은 적어도 하나의 블라인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2)를 포함하고, 브레이크 피스톤(11)과 브레이크 피스톤(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캘리퍼 핑거(20)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220144558A 2021-11-05 2022-11-02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 KR202300659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212499.2A DE102021212499A1 (de) 2021-11-05 2021-11-05 Bremsbelaganordnung für ein Scheibenbremssystem und Scheibenbremssystem
DE102021212499.2 2021-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908A true KR20230065908A (ko) 2023-05-12

Family

ID=8605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558A KR20230065908A (ko) 2021-11-05 2022-11-02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41199A1 (ko)
KR (1) KR20230065908A (ko)
DE (1) DE102021212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3287A1 (de) * 2021-03-31 2022-10-06 Mando Corporation Bremsbelaganordnung für ein Scheibenbremssystem und Scheibenbrems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6122A1 (de) 1997-02-17 1998-08-20 Itt Mfg Enterprises Inc Herstellverfahren für eine Bremsbacke mit Dämpfungsblech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5695B2 (ja) 1995-11-29 2006-08-30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用シム
JP3863250B2 (ja) 1997-05-16 2006-12-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ブレーキ
DE19756553C2 (de) 1997-12-18 2002-06-13 Eagle Picher Wolverine Gmbh Dämpfungsblech
JP3940432B2 (ja) 1998-07-21 2007-07-04 ユーサンガスケット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の鳴き防止用シムおよびディスクブレーキ
US9874255B2 (en) 2014-03-17 2018-01-23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Decoupling brake compon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6122A1 (de) 1997-02-17 1998-08-20 Itt Mfg Enterprises Inc Herstellverfahren für eine Bremsbacke mit Dämpfungsble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41199A1 (en) 2023-05-11
DE102021212499A1 (de)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5651A (en) Brake assembly
US7370736B2 (en) Laminated shim for disc brake and pad unit having the laminated shim
US8505699B2 (en) Flanged shim for disc brake squeal attenuation
US9803709B2 (en) Disk brake device and pair of brake pads
US7905333B2 (en) Brake insulator for disc brake pads
KR20230065908A (ko)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위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
KR101953243B1 (ko) 자기유변탄성체를 이용한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US20120073915A1 (en) Noise-damping disc brake shim system
US20230167865A1 (en) Brake pad assembly for a disk brake system and disk brake system
JP2018123866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US10670094B2 (en) Brake lining for a railway vehicle and disc brake equipped with the same
KR20230112519A (ko)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용 패드 스프링을 갖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 및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JP611239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用シム
WO2018199119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摩擦パッド組立て体
KR20230157881A (ko) 브레이크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KR20230124499A (ko) 브레이크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KR20220136125A (ko)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및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
US20230265899A1 (en) Brake pad assembly for a disk brake system and disk brake system
JP2016008667A (ja) ブレーキパッド及びブレーキパッドの製造方法
KR20230112521A (ko)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용 심을 갖는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 및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JPH0823299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シム
GB2280717A (en) Noise-damped disc-brake caliper assembly
US20230160446A1 (en) Brake pad for disc brake
KR20230161361A (ko) 브레이크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
KR200309222Y1 (ko) 브레이크 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