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833A - 면역기능 개선 조성물 - Google Patents

면역기능 개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833A
KR20230064833A KR1020210150361A KR20210150361A KR20230064833A KR 20230064833 A KR20230064833 A KR 20230064833A KR 1020210150361 A KR1020210150361 A KR 1020210150361A KR 20210150361 A KR20210150361 A KR 20210150361A KR 20230064833 A KR20230064833 A KR 20230064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une function
lactic acid
acid bacteria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하영
이일규
Original Assignee
안하영
이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하영, 이일규 filed Critical 안하영
Priority to KR1020210150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833A/ko
Publication of KR2023006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3Reuteri
    • A23Y2220/71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계열 신규 유산균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역기능 개선 조성물{IMMUNE FUNCTION IMPROVEM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면역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계열 신규 유산균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습관의 서구화에 의한 지질의 과다섭취, 짠맛, 단맛에 길들여져 있는 현대인들은 심각한 면역기능 저하로 다양한 질병에 노출되어 있다. 황사 또는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환경)오염, 수질악화와 같은 환경오염 또한 현대인들의 면역기능 저하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SARS-CoV-2 virus 감염증의 폭발적인 증가에 의해 면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면역기능 관련 기능성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시판중인 기존 면역 조혈기능증진 기능성식품으로는 인삼, 키토산, 알로에, 크릴오일과 같은 제품이 개발/판매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과학적인 효능 검증이 미비하거나 실제 효과를 보지 못했다는 소비자보호원 접수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시판중인 제품들은 천연제품임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성분표의 기재내용을 보면 상당량의 인위적이고 화학으로 제조된 성분 또는 과량의 당분이 존재한다.
식품도 일정량 이상의 성분이 체내에 유입되면 부작용 또는 이상반응을 보이므로, 명확한 성분표시 및 부작용에 대한 주의사항을 적시해야 하지만 식품의 경우 지켜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Lactobacillus 속 reuteri 계열의 유산균을 통해 면역 기능 향상능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6739호(2019.01.21)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 또는 Lactobacillus 속 reuteri 계열의 신규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산균 이외에 인위적이고 화학적 원료를 배제한 천연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와 90% 이상의 16s rRNA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유산균,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 첨가제 예를 들어, 허브추출물(라벤더, 타임, 로즈마리 등), 오갈피, 찔레 및 사자발 쑥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인위적이고 화학적 원료를 배제한 천연물 성분을 포함하여, 목적하는 면역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신규 유산균의 16s rRNA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도 확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신규 유산균이 Lactobacillus reuteri 계일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유산균의 Helicobacter pylori 균에 대한 항생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유산균의 자궁경부암 세포에 대한 항암능을 평가한 결과 (a: 정상세포(Pre-adipocyte); b: 암세포(Invasive Cervical Cancer))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16sRNA 유전자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와 90% 이상의 16s rRNA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유산균,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 또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와 90% 이상의 16s rRNA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신규 유산균을 포함한다.
16sRNA(16S ribosomal RNA)는 원핵생물의 유전체 DNA에서 전사되어 만들어지며, 원핵생물 리보솜의 30S 소단위체를 구성하고 있는 rRNA로 1,542 뉴클레오타이드 길이를 가진다. 16sRNA의 서열은 대부분 상당히 보존되어 있는 한편 일부 구간에서는 높은 염기서열 다양성이 나타나는데, 특히 동종간에는 다양성이 거의 없는 반면, 타종간에는 다양성이 나타나 원핵생물을 동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16sRNA에 대한 모식도는 도 5와 같다.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와 90% 이상의 16s rRNA 서열 상동성과 관련하여,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의 16s rRNA 서열과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99%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와 90% 이상의 16s rRNA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유산균은 다음 중 어느 하나의 16s rRNA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16S-27 Forward primer를 이용한 염기서열 분석]
Figure pat00001
[16S-1492 Forward primer를 이용한 염기서열 분석]
Figure pat00002
분석된 16s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NCBI (https://www.ncbi.nlm.nih.gov/) 내 phylogenetic analysis를 이용하여 계통도 작성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인간의 분변에서 발굴된 균주로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확인 결과 아직까지 발표된 예가 없는 신규한 유산균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신규 유산균은 Lactobacillus reuteri 계열임을 확인하였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 또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와 90% 이상의 16s rRNA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신규 유산균의 면역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산균 제제는 bifidobacteria 계열로 정장기능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산균은 정장기능 뿐 아니라, 항암 및 항생능을 가지며 면역기능에도 효과가 있다.
면역기능은 인터루킨(Interleukin-1,-6,-12), 인터페론 감마(IFN-γ)으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터루킨(interleukin, IL)은 백혈구에서 분비되어 면역계 조절 기능에 관여하며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여러 단계에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인체의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 그 종류는 IL-1,6,12 등이 있다.
이 중 IL-12는 p35와 p40 단백질로 구성된 사이토카인으로, 선천면역과 획득면역을 서로 연결시키는 매우 중요한 면역학적 기능을 하며, 내인성 항원의 제거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작동세포 즉, 대식세표(macrophage), NK 세포 및 T-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IL-12의 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 NK 세포 및 T-세포는 IFN-γ의 생산을 자극함으로서 초기 선천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주요 인자로의 특성을 가진다. 또한 T-세포의 면역기구를 주로 Th-1 성향이 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세포성 면역 매개자이다.
인터페론(interferon, IFN)은 바이러스의 증식 방지나 세포 증식 제어의 기능을 하며 면역 체계에서도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인터페론은 알파(α), 베타(β), 감마(γ), 그리고 오메가(ω)형이 있다. 인터페론-α는 주로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되고 인터페론-β는 섬유아세포(fibroblasts)에서 주로 분비된다. 인터페론-γ는 Th1 세포와 NK세포에 의해 분비되고, 인터페론-ω는 영양포 또는 영양아층(Trophoblast)에 의해 주로 분비된다. 특히, 인터페론-γ(IFN-γ)는 T 림프구와 대과립구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포식된 미생물이나 항원의 살해를 유도하는 물질이다. 또한, 다양한 면역조절작용을 하며,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세포에 처리한 결과 IFN-γ, IL-12와 같은 면역 세포인자의 분비량을 증가시키며, TAS 와 같은 항산화 지표에 대한 개선효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면역 기능 개선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차 면역기능은 선천적 면역으로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와 같은 외부 침임항원을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반응시간은 빠르나 특이적인 반응이 아닌 비 특이적인 반응이므로 효율성은 낮다는 특징이 있다.
획득면역이라 불리 2차면역은 외부항원이 침입하면 항원을 인지하고, 인지된 항원에 대한 항체를 형성하여 특이적인 면역기능을 수행하므로 1차 면역에 비해 정교하고 정확한 면역체계이나, 알려지지 않은 외부항원의 침입 시 선천적 면역반응에 비해 반응 속도가 느리다.
SARS-CoV-2 virus의 경우 corona virus의 일종이긴 하지만 아직까지 체내에서 항체가 형성된 바 없는 최초침입 항원이므로 많은 사람들이 감염되었으나 아직까지 치료법이 없어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70%의 완치율을 보이는 SARS-CoV-2 virus 완치자들에 대한 역학조사에 의하면, 대부분 기저질환이 없고 평소 건강을 유지하던 사람들로 1차면역반응이 우수했던 것으로 보고되었다.
SARS-CoV-2 virus와 같은 최초침입 항원에 대비하는 이상적인 방법은 1차면역기능을 향상시켜 침입초기 항원의 발현을 억제하면서 항체가 형성될 시간을 확보한 후, 체내에서 만들어지는 항체를 이용한 2차면역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면역기능개선용 조성물이 필요하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유산균에 허브추출물(라벤더, 타임, 로즈마리 등), 오갈피, 찔레 및 사자발 쑥과 같은 면역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익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배양물”은 상기 3종의 균주 각각 또는 3종의 균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균주를 배양 배지 또는 배양액에서 배양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3종의 균주 각각 또는 3종의 균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은 제형이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양물의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배양물의 농축액, 건조물 또는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을 주원료로, 배양배지 또한 예를 들어 무, 배추와 같은 천연물 원료만을 사용하므로 인위적이고 화학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료는 첨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제 또는 피부 노화 개선을 위한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배설 속도, 질병 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유산균주를 MRS media (BD Difco, 288130) 10ml에 접종하여 혐기성 (Anaerobic Chamber) 을 유지한 배양기에서 37
Figure pat00003
, 24시간 배양하는데 3회 반복하였다. 배양물을 3ml 분주하고 3000RPM, 1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Genomic DNA extraction kit (SolGent, SGD41-C100)를 이용하여 유산균 genomic DNA 추출하였다. 추출된 genomic DNA를 0.5Mprimer(16S-27F 5′-AGAGTTTGATCCTGGCTCAG-3′; 16S-1492R 5′-T ACGGYTACCTTGTTACGACTT-3′; Bioneer)를 이용하여 반응시켰다(DNA 증폭).
PCR 반응물은 유산균의 genomic DNA, PCR buffer (10mM-Tris/HCl(pH8.3), 50mM-KCl, 2mM-MgCl2, 0.01%-gelatin), 200M의 dNTP, 1.0U의 Taq 중합효소 (Boehringer)로 구성된다.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94℃ 에서 30초 (denaturation), 58℃ 에서 30초, (annealing), 72℃ 에서 1분 (extension)간 총35회(cycles) 진행하였으며, final extension은 72℃ 에서 10분간 진행하여 증폭하였다.
증폭된 유전자는 솔젠트에 의뢰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유니버셜 프라이머 (universal primer) 27F 와 1492R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과정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forward (27F)와 reverse(1492R) 양쪽 모두에서 염기서열 분석하였다.
[16S-27 Forward primer를 이용한 염기서열 분석]
Figure pat00004
[16S-1492 Forward primer를 이용한 염기서열 분석]
Figure pat00005
실시예 2. 계통도(phylogenetic analysis) 확인
실시예 1에서 분석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NCBI (https://www.ncbi.nlm.nih.gov/) 내 phylogenetic analysis를 이용하여 계통도 작성하였으며, 도 1에 나타내었다. 사람의 분변에서 발굴된 균주로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확인결과 아직까지 발표된 예가 없는 신규한 유산균임을 확인하였다 (도 2).
실시예 3. 효능 평가
구강 내 세균Candida albicans, Porphyroom-nas gingivalis, Streptococcus mutans의 3종류 세균에 유산균을 처리하였다. 그 결과, 유산균의 수가 증가할수록 (103, 105, 107, 109)각 세균들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표 1 및 도 3).
Figure pat00006
자궁경부암 세포에 대한 항암능 평가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유산균 섭취 전/후 백혈구수 변화 및 유산균 섭취 전/후 림프구 (lymphocyte)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유산균 섭취 전/후 백혈구수 변화
Time placebo CS132 1 X 109 cfu/day CS132 2 X 109 cfu/day
baseline 4300 4500 4400
1 week 4380 4652 4550
2 weeks 4340 4700 4900
3 weeks 4320 4900 5200
4 weeks 4350 5000 5400
유산균 섭취 전/후 림프구 (lymphocyte) 변화
Time placebo CS132 1 X 109 cfu/day CS132 2 X 109 cfu/day
baseline 35.31 37,15 38.11
1 week 35.72 38.12 39.05
2 weeks 36.01 39.87 40.87
3 weeks 35.76 41.02 42.09
4 weeks 35.87 43.98 45.76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와 90% 이상의 16s rRNA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유산균,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개선 조성물.
KR1020210150361A 2021-11-04 2021-11-04 면역기능 개선 조성물 KR20230064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361A KR20230064833A (ko) 2021-11-04 2021-11-04 면역기능 개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361A KR20230064833A (ko) 2021-11-04 2021-11-04 면역기능 개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833A true KR20230064833A (ko) 2023-05-11

Family

ID=8637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361A KR20230064833A (ko) 2021-11-04 2021-11-04 면역기능 개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8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739A (ko) 2017-07-11 2019-01-21 이일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구강병원균 억제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739A (ko) 2017-07-11 2019-01-21 이일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구강병원균 억제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4025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bacterial strains
Altunoglu et al. Immune responses to methanolic extract of black cumin (Nigella sativa)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KR101614262B1 (ko) 신규 유산균, 그리고 신규 유산균을 함유하는 의약, 음식품 및 사료
Nayak Probiotics and immunity: a fish perspective
Oyetayo et al. Potential of probiotics as biotherapeutic agents targeting the innate immune system
WO2011111734A1 (ja) 乳酸菌含有製剤
WO2013099883A1 (ja) IgA産生促進作用を有する新規乳酸菌及びその用途
ES2336222T3 (es) Una composicion que tiene actividades inmunorreguladoras que comprende lactobacillus pensosus.
JP6986067B2 (ja) 脱毛症防止、発毛促進または性機能改善能を有するリューコノストック・ホルザプフェリイ菌株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EP3950928A1 (en)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wikim0109 having efficacy for relief of arthritis
KR101732778B1 (ko) 장내의 세균의 균상 개선, 위점막 손상 면적 감소, 위점막 손상 지수 감소, 및 위점막 중 조직 히스타민 농도 감소를 위한,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 NTU 101를 함유하는 유산균 조성물
KR101791088B1 (ko) 탈모 예방, 발모 촉진 또는 성기능 개선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30088326A (ko)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643541A (zh) 一株可调节过敏性哮喘Th2/Th1平衡的干酪乳杆菌及其应用
WO2020226468A1 (ko) 면역기능 조절 및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효과를 갖는 페디오코쿠스 이노피나투스 WiKim0108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33226B1 (ko)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WO2020226467A1 (ko) 면역기능 조절 및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효과를 갖는 엔테로코쿠스 락티스 WiKim0107 균주 및 이의 용도
CN109939138B (zh) 一种抗鸡球虫的中草药微生态制剂及其应用
JP4707246B2 (ja) 消化器障害予防・治療剤
KR20230064833A (ko) 면역기능 개선 조성물
KR101794771B1 (ko) 탈모 예방, 발모 촉진 또는 성기능 개선능이 있는 브레비바실러스 루제리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98138B1 (ko) 면역 조절 t 세포를 유도하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bfe920 균주를 포함하는 수산양식 기능성 사료 첨가제
TWI230611B (en) Anti-infection composition and food containing such anti-infection composition
KR101705361B1 (ko) Egcg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쇼그렌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강직성척추염 또는 루프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3615B1 (ko) 신규한 카자츠타니아 투리센시스 cau y1706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