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737A - 사이드 스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용 비행체 - Google Patents

사이드 스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용 비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737A
KR20230062737A KR1020210147497A KR20210147497A KR20230062737A KR 20230062737 A KR20230062737 A KR 20230062737A KR 1020210147497 A KR1020210147497 A KR 1020210147497A KR 20210147497 A KR20210147497 A KR 20210147497A KR 20230062737 A KR20230062737 A KR 20230062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tep
fuselage
unfolded
folde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041B1 (ko
Inventor
이성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04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24Steps mounted on, and retractable within, fusel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4Windows; Doors; Hatch covers or access panels; Surrounding frame structures; Canopie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e.g. pressure sensors, water deflectors, hinges, seals, handles, latches, windscreen wipers
    • B64C1/1407Doors; surroundin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방향에 따라 개인용 비행체의 동체(10)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설치된 사이드 스텝(100)을 포함하는바, 사용자가 동체(10)로 오르거나 동체(10)로부터 내릴 때에는 사이드 스텝(100)을 펼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비행할 때에는 사이드 스텝(100)을 접어 개인용 비행체의 비행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드 스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용 비행체 {SIDE STEP APPARATUS AND PERSONAL AIR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인용 비행체(personal air vehicle, PAV)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인용 비행체에 사용자의 탑승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사이드 스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비행체(PAV)의 개념은, 2차원적인 평면 상에서 이동하는 개인용 운송 수단의 한계를 뛰어넘어, 3차원적인 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출되었다. 근래에 들어서는, 이러한 개인용 비행체에 대하여, 간단한 조종 방식, 활주로와 같은 별도의 전용 공간 없이 이착륙 가능한 방식,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방식 등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개인용 비행체를 이용하려면, 사용자가 개인용 비행체에 직접 높이 오르거나 별도의 이동식 구조물을 딛고 오르는 방식으로 탑승하여야 한다.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개인용 비행체에 스텝을 부설하여 사용자가 비행체에 스텝을 밟고 오르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스텝의 부설은 개인용 비행체의 외관에 개인용 비행체의 비행성을 저하시키는 돌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용 비행체의 비행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자의 탑승 편의를 제고하기 위한 대책의 마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5922호(2017.09.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01476호(2021.08.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인용 비행체의 동체에 접거나 펼칠 수 있게 적용됨으로써, 펼쳐진 때 사용자가 개인용 비행체에 편리하게 밟고 오르거나 내릴 수 있고, 접힌 때 개인용 비행체의 비행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사이드 스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와 같은 사이드 스텝 장치를 포함하는 개인용 비행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용 비행체의 동체(10)의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제공된 탑승 개구(11)의 하측으로 배치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동체(10)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설치되며, 펼쳐진 때 사용자가 밟고 상기 탑승 개구(11)로 오를 수 있는 바닥(101 참조)을 제공하는 사이드 스텝(100)과; 상기 사이드 스텝(100)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유닛(200A, 200B)을 포함하는, 사이드 스텝 장치(4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스텝(100)은, 펼쳐진 때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운 근위 단부 및 상대적으로 먼 원위 단부를 가지고, 상기 근위 단부가 상기 동체(10)에 축 부재(11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 구동 유닛(200A)은 상기 축 부재(11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사이드 스텝(1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이드 스텝(100)은 상기 동체(10)에 링크 기구(12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 구동 유닛(200B)은 상기 링크 기구(120)를 작동시켜 상기 사이드 스텝(1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이드 스텝(100)은 개인용 비행체의 랜딩 베이스(34)를 상기 동체(10)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32)에 제공된 회전 이동 가이드(130, 135)의 안내 작용에 따라 회전 이동이 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이동 가이드는, 상기 연결 부재(32)에 곡률을 가지도록 제공된 가이드부(130)와; 상기 가이드부(130)를 따라 이동되고, 이동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130)의 곡률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사이드 스텝(100)에 연결된 이동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탑승을 위한 탑승 개구(11)가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제공된 동체(10)와; 상기 동체(10)에 비행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 장치(20)와; 상기 탑승 개구(11)의 하측으로 배치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동체(10)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설치되며, 펼쳐진 때 사용자가 밟고 상기 탑승 개구(11)로 오를 수 있는 바닥을 제공하는 제1 영역(101) 및 상기 제1 영역(101)의 맞은편인 제2 영역(102)을 가진 사이드 스텝(100)과; 상기 사이드 스텝(100)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유닛(200A, 200B)을 포함하는, 개인용 비행체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동체(10)는 상기 사이드 스텝(100)이 접힌 때 상기 사이드 스텝(100)이 수납되는 오목한 스텝 수납 공간(15)을 가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스텝(100)은 상기 스텝 수납 공간(15)에 수납된 때 노출되는 제2 영역(102)의 표면이 상기 동체(10)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비행체에서, 상기 탑승 개구(11)는 도어(12)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사이드 스텝(100)은 상기 도어(12)가 열리면 상기 회전 구동 유닛(200A, 200B)에 의하여 펼쳐질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전 구동 유닛(200A, 200B)에 의한 회전 방향(예를 들어, 상측으로 회전, 하측으로 회전)에 따라 개인용 비행체의 동체(10)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설치된 사이드 스텝(100)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동체(10)로 오르거나 동체(10)로부터 내릴 때에는 사이드 스텝(100)을 펼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비행할 때에는 사이드 스텝(100)을 접어 개인용 비행체의 비행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품성 면에서 보다 우수한 개인용 비행체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효과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각의 도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비행체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비행체에 적용되는 사이드 스텝 장치의 일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비행체에 적용되는 사이드 스텝 장치의 다른 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비행체에 적용되는 사이드 스텝 장치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비행체에 적용되는 사이드 스텝 장치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B)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유사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은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기에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용어에 대해서는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하는 때, 이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결합)된다고 하는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서 구성 요소의 크기나 형상,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비행체의 구성 및 작동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비행체는, 사용자의 탑승을 위한 탑승 개구(11)가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제공된 동체(10)와; 동체(10)에 비행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 장치(20)와; 동체(10)의 하부에 제공된 랜딩 유닛(30)과; 사용자가 동체(10)에 탑승하는 데 사용되는 사이드 스텝 장치(40)를 포함한다.
동체(10)는 내부에 조종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탑승 개구(11)는 도어(12)에 의하여 개폐된다. 도어(12)는 도어 구동 유닛에 의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어(12) 및 도어 구동 유닛은 도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추진 장치(20)는 프로펠러(prope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랜딩 유닛(30)은, 동체(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랜딩 베이스(34)와; 랜딩 베이스(34)를 동체(10)의 하부에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32)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이드 스텝 장치(40)는, 탑승 개구(11)의 하측으로 배치되고, 상하 회전 방향에 따라 동체(10)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설치되며, 펼쳐진 때 사용자가 밟고 탑승 개구(11)로 편리하게 오를 수 있는 바닥을 제공하는 제1 영역(101) 및 제1 영역(101)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 영역(102)을 가진 사이드 스텝(100, 100A, 100B)과; 사이드 스텝(100, 100A, 100B)을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 유닛(200A, 200B)을 포함한다.
동체(10)는 사이드 스텝(100, 100A, 100B)이 회전 구동 유닛(200A, 200B)에 의하여 접힌 때 사이드 스텝(100, 100A, 100B)이 수납되는 오목한 구조의 스텝 수납 공간(15)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공기 저항 등에 의한 개인용 비행체의 비행성 저하 최소화를 위하여, 사이드 스텝(100, 100A, 100B)은 스텝 수납 공간(15)에 수납된 때 노출되는 제2 영역(102)의 표면이 동체(10)의 표면(특히, 스텝 수납 공간(15)의 주위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사이드 스텝 장치(40)는 탑승 개구(11)를 개폐하는 도어(12)와 연동된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스텝 장치(40)는 도어(12)가 열리면 사이드 스텝(100)이 회전 구동 유닛(200A, 200B)에 의하여 펼쳐지도록 회전된다. 물론, 사이드 스텝 장치(40)는 도어(12)가 닫히면 사이드 스텝(100)이 회전 구동 유닛(200A, 200B)에 의하여 접히도록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개인용 비행체는, 도어(12)가 열렸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회전 구동 유닛(200A, 200B)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부터는 사이드 스텝 장치(40)의 작동 메커니즘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사이드 스텝 장치의 일례가 도시된 도 3을 참조하면, 사이드 스텝(100)은, 펼쳐진 때 동체(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운 근위 단부 및 상대적으로 먼 원위 단부를 가지고, 근위 단부가 동체(10)에 축 부재(11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구동 유닛(200A)은 축 부재(110)를 중심으로 사이드 스텝(1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축 부재(110)는 동체(10)에 전후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이드 스텝(100)은 근위 단부가 축 부재(110)에 결합되어 축 부재(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 구동 유닛(200A)은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모터는, 축 부재(110)에 직결되어 축 부재(110)를 회전시킬 수도 있고, 체인을 포함하는 전동 기구를 매개로 하여 축 부재(110)에 연결되어 축 부재(11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회전 구동 유닛(200A)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축 부재(1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른 수단으로 얼마든지 대체될 수 있다.
사이드 스텝 장치의 다른 예가 도시된 도 4를 참조하면, 사이드 스텝(100)은 동체(10)에 링크 기구(12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구동 유닛(200B)은 링크 기구(120)를 작동시켜 사이드 스텝(1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링크 기구(120)는, 동체(10)에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와; 사이드 스텝(100)의 근위 단부에 한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제1 링크의 다른 쪽 단부와 제2 링크의 다른 쪽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링크는 전후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구동 유닛(200B)은,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이고,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상호 연결 지점을 상측에서 하측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켜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서로에 대하여 접거나 펼침으로써, 사이드 스텝(100)을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고정 부분이 동체(10)에 전후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동 부분이 제1 링크의 다른 쪽 단부 또는 제2 링크의 다른 쪽 단부에 전후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 구동 유닛(200B)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이드 스텝(100)을 회전시키는 데 요구되는 동력을 링크 기구(120)에 제공하여 사이드 스텝(100)을 회전시키거나 사이드 스텝(100)에 전달하여 사이드 스텝(1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다른 수단으로 얼마든지 대체될 수 있다.
사이드 스텝 장치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도 5를 참조하면, 사이드 스텝(100)은 랜딩 유닛(30)의 연결 부재(32)에 제공된 회전 이동 가이드(130, 135)의 안내 작용에 따라 회전 이동이 될 수 있다. 회전 이동 가이드(130, 135)는, 랜딩 유닛(30)의 연결 부재(32)에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제공된 가이드부(130)와; 가이드부(130)를 따라 이동되고, 이동 과정에서 가이드부(130)의 곡률에 의하여 회전되며, 사이드 스텝(100)에 연결된 이동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연결 부재(32)는 동체(10)의 하부에 양옆으로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양쪽의 연결 부재(32) 중 탑승 개구(11) 하측에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연결 부재에 마련될 수 있다.
곡률을 가지는 가이드부(130)는, 상단 및 하단을 가지고 하단이 상단에 비하여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된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부(135)는 핀 형태이고 가이드부(130)에 삽입되어 가이드부(1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회전 구동 유닛은 이동부(135)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구동 유닛은, 동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회전 드럼과; 회전 드럼에 감긴 상태에 이동부(135)에 연결된 라인과; 라인을 감거나 풀기 위하여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을 풀면, 이동부(135)는, 자체의 하중 및 가이드부(130)의 곡률 형태에 의하여, 가이드부(130)의 상단 쪽에서 하단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이드 스텝 장치의 또 다른 예가 도 6,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7에 도시된 사이드 스텝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사이드 스텝 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사이드 스텝이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사이드 스텝이 펼쳐진 때 계단 구조를 제공하는 점만이 상이하다.
제1과 제2 사이드 스텝(100A, 100B)은 스텝 수납 공간(15)에 서로 적층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곡률을 가지는 홈으로 구성된 가이드부는 서로 이어진 제1 구간(130A)과 제2 구간(1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구간(130A)은 제2 구간(130B)에 비하여 하측으로 배치되어 가이드부의 하단을 포함하고, 제2 구간(130B)은 가이드부의 상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간(130A)은 폭이 제2 구간(130B)에 비하여 좁은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사이드 스텝(100A)에 연결된 제1 이동부(135A)는 제1 구간(130A)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제2 사이드 스텝(100B)에 연결된 제2 이동부(135B)는 제2 구간(130B)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이동부(135B)는, 크기가 제1 이동부(135A)에 비하여 커서, 제2 구간(130B)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나, 제2 구간(130B)에서 제1 구간(130A)으로 진입될 수 없다. 반면, 제1 이동부(135A)는 크기가 제2 이동부(135B)에 비하여 작으므로 제1 구간(130A) 및 제2 구간(130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회전 구동 유닛의 라인은 제1 사이드 스텝(100A)에 연결될 수 있다. 라인을 풀면, 제1 이동부(135A)가 제1 구간(130A)의 하단까지 이동되고, 제2 이동부(135B)가 제2 구간(130B)의 하단까지 이동되므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제1과 제2 사이드 스텝(100A, 100B)에 의하여 계단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라인을 감으면, 제1 사이드 스텝(100A)이 제1 구간(130A)으로부터 제2 구간(130B)으로 이동되고, 제2 사이드 스텝(100B)이 제1 사이드 스텝(100A)에 밀려 함께 이동되므로, 제1과 제2 사이드 스텝(100A, 100B)을 스텝 수납 공간(15)에 적층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10: 동체
11: 탑승 개구
12: 도어
15: 스텝 수납 공간
20: 추진 장치
30: 랜딩 유닛
40: 사이드 스텝 장치
100, 100A, 100B: 사이드 스텝
200A, 200B: 회전 구동 유닛

Claims (10)

  1. 개인용 비행체의 동체(10)의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제공된 탑승 개구(11)의 하측으로 배치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동체(10)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설치되며, 펼쳐진 때 사용자가 밟고 상기 탑승 개구(11)로 오를 수 있는 바닥(101 참조)을 제공하는 사이드 스텝(100, 100A, 100B)과;
    상기 사이드 스텝(100, 100A, 100B)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유닛(200A, 200B)을 포함하는,
    사이드 스텝 장치(4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텝(100)은, 펼쳐진 때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운 근위 단부 및 상대적으로 먼 원위 단부를 가지고, 상기 근위 단부가 상기 동체(10)에 축 부재(11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회전 구동 유닛(200A)은 상기 축 부재(110)를 중심으로 상기 사이드 스텝(1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스텝 장치(4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텝(100)은 상기 동체(10)에 링크 기구(12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 구동 유닛(200B)은 상기 링크 기구(120)를 작동시켜 상기 사이드 스텝(1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스텝 장치(4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텝(100, 100A, 100B)은 개인용 비행체의 랜딩 베이스(34)를 상기 동체(10)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32)에 제공된 회전 이동 가이드(130, 135)의 안내 작용에 따라 회전 이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스텝 장치(40).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 이동 가이드는,
    상기 연결 부재(32)에 곡률을 가지도록 제공된 가이드부(130)와;
    상기 가이드부(130)를 따라 이동되고, 이동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130)의 곡률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사이드 스텝(100)에 연결된 이동부(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스텝 장치(40).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텝(100A, 100B)은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사이드 스텝(100A, 100B)은, 접힌 때 서로 적층되고, 펼쳐진 때 서로 이격되어 계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스텝 장치.
  7. 사용자의 탑승을 위한 탑승 개구(11)가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제공된 동체(10)와;
    상기 동체(10)에 비행을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 장치(20)와;
    상기 탑승 개구(11)의 하측으로 배치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동체(10)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설치되며, 펼쳐진 때 사용자가 밟고 상기 탑승 개구(11)로 오를 수 있는 바닥을 제공하는 제1 영역(101) 및 상기 제1 영역(101)의 맞은편인 제2 영역(102)을 가진 사이드 스텝(100)과;
    상기 사이드 스텝(100)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유닛(200A, 200B)을 포함하는,
    개인용 비행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동체(10)는 상기 사이드 스텝(100)이 접힌 때 상기 사이드 스텝(100)이 수납되는 오목한 스텝 수납 공간(1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행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텝(100)은 상기 스텝 수납 공간(15)에 수납된 때 노출되는 제2 영역(102)의 표면이 상기 동체(10)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행체.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탑승 개구(11)는 도어(12)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사이드 스텝(100)은 상기 도어(12)가 열리면 상기 회전 구동 유닛(200A, 200B)에 의하여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비행체.
KR1020210147497A 2021-10-30 2021-10-30 사이드 스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용 비행체 KR102592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497A KR102592041B1 (ko) 2021-10-30 2021-10-30 사이드 스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용 비행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497A KR102592041B1 (ko) 2021-10-30 2021-10-30 사이드 스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용 비행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737A true KR20230062737A (ko) 2023-05-09
KR102592041B1 KR102592041B1 (ko) 2023-10-23

Family

ID=8640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497A KR102592041B1 (ko) 2021-10-30 2021-10-30 사이드 스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용 비행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0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3684A (en) * 1981-12-09 1984-06-12 Omac, Inc. Step operated locking mechanism for aircraft lower door
JP4852002B2 (ja) * 2006-10-27 2012-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航空機用乗降階段装置および乗物用乗降階段装置
KR101775922B1 (ko) 2015-05-21 2017-09-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도로주행 및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pav
KR20210101476A (ko) 2020-02-10 2021-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개인용 비행체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3684A (en) * 1981-12-09 1984-06-12 Omac, Inc. Step operated locking mechanism for aircraft lower door
JP4852002B2 (ja) * 2006-10-27 2012-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航空機用乗降階段装置および乗物用乗降階段装置
KR101775922B1 (ko) 2015-05-21 2017-09-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도로주행 및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pav
KR20210101476A (ko) 2020-02-10 2021-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개인용 비행체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041B1 (ko)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8512B2 (en) Airplane wing, an airplane and a flap system
US11820184B2 (en) Land-and-ai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land-and-air vehicle
US8157215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ircraft
JP2007276565A (ja) 航空機における乗降階段装置
EP2179919B1 (en) Aircraft with loading access opening
US11441321B2 (en) Work platform
EP1129938A1 (en) Linked multi-segment landing gear door for aircraft
JP4850048B2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の装着方法
NO165105B (n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e 1-cyklopropyl-6-fluor-1,4-dihydro-4-okso-7-(1-piperazinyl)-3-kinolinkarboksylsyrer.
JP5274588B2 (ja) ルーフアッセンブリを備えたカブリオレ
CN111216871A (zh) 带有可展开的下部台阶的乘客门
JP2008143295A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JP5162714B1 (ja) 自動車
KR20230062737A (ko) 사이드 스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용 비행체
US10479502B2 (en) Aircraft provided with a winch device
JP5026719B2 (ja) 可動デッキ
US11975855B2 (en) Propulsion module of air mobility vehicle
JP2022108354A (ja) スロープ装置付の車両
JP3714309B2 (ja) 車両のスロープ装置
IT202100012782A1 (it) Cabina di comando per autocarro e autocarro avente una tale cabina
JP2003226139A (ja) 複数の部分からなるスライドルーフ
JP2023110222A (ja) 防災用車両
WO2024015482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a door for a vehicle
JP2019177756A (ja) 作業車
JP2004130956A (ja) 搭乗橋用可動型操縦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