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105A - 고강도 고연신 전해동박 - Google Patents

고강도 고연신 전해동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105A
KR20230062105A KR1020210147045A KR20210147045A KR20230062105A KR 20230062105 A KR20230062105 A KR 20230062105A KR 1020210147045 A KR1020210147045 A KR 1020210147045A KR 20210147045 A KR20210147045 A KR 20210147045A KR 20230062105 A KR20230062105 A KR 20230062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elongation
electrodeposited copper
present
p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덕
박슬기
이선형
이수운
Original Assignee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2105A/ko
Priority to PCT/KR2022/015127 priority patent/WO2023075195A1/ko
Priority to CN202280071297.3A priority patent/CN118215756A/zh
Priority to TW111140204A priority patent/TW202336283A/zh
Publication of KR20230062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3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op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고강도 고연신 전해동박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온에서의 인장강도가 40kgf/mm2 이상이고, 상온에서의 두께비 연신율이 1.3 ~ 2.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강도 고연신 전해동박{Electrolytic copper foil with high elongation and high strength characteristic}
본 발명은 전해동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온 및 고온 열처리 후에도 높은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동시에 구비한 고강도 고연신 전해동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의 집전체로는 일반적으로 동박이 사용된다. 상기 동박은 압연가공에 의한 압연동박이 주로 사용되나,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광폭의 동박 제조가 어렵다. 또한, 압연동박은 압연 가공시 윤활유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윤활유의 오염에 의해 활물질과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리튬전지는 충방전시 체적변화 및 과충전에 따른 발열현상을 수반한다. 또한, 전극활물질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충방전 사이클에 따른 활물질층의 팽창 수축과 관련하여 동박 기재에 영향을 덜 받아 집전체로서의 동박에 주름, 파단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도록 동박의 표면 조도가 낮아야 한다. 따라서, 리튬전지의 체적변화 및 발열현상을 견딜 수 있고 활물질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고연신, 고강도 및 저조도 동박이 요구된다. 또한, 이차전지용 음극(anode) 집전체로 사용할 때에 동박의 양면에는 전극 활물질이 피복된다. 이 때, 전해동박 양쪽 면의 조도가 다른 경우에는 전지 특성이 달라지게 되므로 전해동박 양쪽 면의 조도가 같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해동박을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공정에서는 동박을 진공건조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진공건조는 고온에서 장시간 수행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동박을 진공건조하는 단계에서 동박과 활물질 코팅면과의 접착력 및 응력이 변화하여 전지의 수명을 저하시키거나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자기기의 경박단소 요구로 인하여 고기능화, 소형화, 경량화에 따른 적은 면적 내에 회로의 집적도를 높이고자 반도체실장기판이나 메인보드 기판의 미세 배선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 패턴을 가지는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에 두꺼운 동박이 이용되면 배선 회로 형성을 위한 에칭 시간이 길어지고 배선 패턴의 측벽 수직성이 저하된다. 특히,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배선패턴의 배선 선폭이 좁은 경우에는 배선이 단선 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피치 회로를 얻기 위해서는, 보다 두께가 얇은 동박이 요구된다. 그러나, 얇은 동박은 동박의 두께가 제한되므로 기계적 강도가 약해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제조시에 구김이나 꺽임 등의 불량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넓은 두께 범위와 다양한 온도 영역에서 높은 기계적 강도와 고연신율을 구비한 동박이 요구된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33408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넓은 두께 범위에서 높은 기계적 강도와 고연신율을 갖는 전해동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 건조 공정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높은 기계적 강도와 고연신율을 갖는 전해동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온 인장강도가 40kgf/mm2 이상이고, 상온 두께비 연신율이 1.3 ~ 2.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200℃에서 1시간 열처리 후의 두께비 연신율이 1.4 ~ 2.4 %/μ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상온 두께비 연신율에 대한 200℃에서 1시간 열처리 후의 두께비 연신율의 비율이 1.05 ~ 1.2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두께가 2~12 μm 범위에서 전술한 것과 같은 높은 두께비 연신율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MIT 절곡 회수가 240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TOC 함량이 5~8 ppm인 것이 바람직하고, M면과 S면의 경도가 모두 10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해동박의 상온 인장강도는 40~45 kgf/mm2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넓은 두께 범위와 다양한 온도 영역에서 높은 기계적 강도와 고연신율을 구비한 전해동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제조된 시편의 굴곡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MIT 시험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S면은 전해동박 제조과정 중 드럼과 접하는 면으로 통상 광택면으로 호칭되고 있는 면을 말하며, M면은 그 반대면으로서 석출면 또는 매트면이라고 호칭된다. 이 용어는 해당 면의 거칠기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며, S면이 M면에 비해 광택도가 낮거나 표면 거칠기가 높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전해동박은 상온에서의 인장강도(이하 '상온 인장강도'라 함)가 40kgf/m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해동박은 상온 인장강도가 50kgf/mm2 이하 또는 45kgf/m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박의 상온 인장 강도가 40kgf/mm2 미만이면, 리튬 이차전지에서 음극(anode) 전극 형성 공정에서 음극 활물질(Anode active material)을 동박 위에 고속 코팅할 시 소성 변형으로 주름, 울음, 접힘등의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며, 50kgf/mm2 초과의 경우 울음 또는 주름 발생 현상은 감소될 수 있으나, 음극 활물질의 고속 코팅 시 높은 텐션의 불균형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고, 동박 자체의 취성이 증가하여 크랙(Crack) 및 찢어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고온 열처리 후에도 높은 인장강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200℃에서 1시간의 열처리 후 인장강도(이하 '고온 인장강도'라 함)는 36kgf/m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해동박은 고온 인장강도가 45kgf/mm2 이하, 또는 42kgf/m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고온 인장 강도는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Anode) 전극 형성 공정 시 Coating Dry 및 Vacuum Dry 등의 고온 공정이 가해지는 프로세스를 모사한 측정값인데, 동박의 고온 인장강도가 36kgf/mm2 미만이면, 리튬 이차 전지의 충방전시 음극의 부피 팽창으로 인하여 걸리는 응력(stress)에 대해서 변형이 발생하여 충방전 시 수명 저하를 일으키며, 45kgf/mm2 초과의 경우 부피팽창의 의한 응력에 대한 변형은 감소하나 동박의 취성이 증가하여 응력의 누적으로 인한 크랙 및 전극 탈리가 발생되어 전극 수명이 감소한다. 전해동박은 적당한 강도의 고연신율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상온 인장강도에 대한 고온 인장강도의 비는 0.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인장강도의 비는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95 미만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전해동박은 고온 열처리에 의한 인장강도의 열화가 최대한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해동박은 전해동박의 높은 연신율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연신율을 두께로 나눈 값(이하 '두께비 연신율'이라 함)이 종래의 전해동박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낸다. 예시적으로, 상온에서의 두께비 연신율(이하 '상온 두께비 연신율'이라 함)은 1.3%/mm 이상 또는 1.5%/mm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온 두께비 연신율은 2.0%/μm 이하, 1.9 %/μm 이하, 또는 1.8 %/μm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해동박은 고온 열처리 후에도 높은 연신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200℃에서 1시간의 열처리 후의 두께비 연신율(이하 '고온 두께비 연신율'이라 함)은 1.4%/μm 이상, 1.5%/μm 이상, 1.6%/μm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동박의 고온 두께비 연신율은 2.4 %/μm 이하, 2.2%/μm 이하, 또는 2.0%/μm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활물질의 함량을 늘리고 비활물질(non active material)인 동박 및 알루미늄 박, 분리 막등의 두께를 감소시켜야 한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가 늘어날수록 요구되는 동박의 두께는 얇아지고 있다. 그러나, 동박의 두께가 얇아지면 박이 가지고 있는 물성 에너지 함량이 작아진다. 따라서 두께가 얇을수록 작은 외부 응력(Stress)이 가해져도 찢어짐, 크랙 등이 발생하며, 일정 이상의 두께당 연신율을 가져야 동박의 제조 공정 또는 동박을 이용한 이차 전지용 전극의 제조 공정에서 안정적인 제품 제조가 가능하며, 이차전지 충방전 시 안정적인 수명 성능 구현이 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얇은 두께에서도 높은 두께비 연신율을 갖는다.
상온에서의 두께비 연신율의 하한값 미만일 경우 동박 제조 공정 및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공정에서 찢김, 크랙이 발생하며 상한값 초과시 과한 변형으로 인한 주름, 울음 등의 현상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고온 두께비 연신율의 경우 하한 미만 시 이차전지의 충방전 진행 시 전극의 끊어짐이 발생하여 수명 특성이 감소하며, 상한 초과시 전극의 변형으로 인한 충방전 성능 저하가 발생하여 적절한 범위의 두께당 연신율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해동박은 2μm, 또는 4 μm의 얇은 두께에서도 높은 두께비 연신율 값을 나타낸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동박이 전술한 두께비 연신율을 나타내는 두께 영역은 2~12μm 범위, 4~12μm 범위, 2~10μm 범위, 또는 4~10μm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해동박의 두께비 연신율은 동박의 두께 범위에 걸쳐 협소한 편차를 나타낸다. 예컨대, 두께 4 μm의 전해동박은 두께 12 μm의 전해동박과 유사한 두께비 연신율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상온 연신율에 대한 고온 연신율의 비율(연신율비)이 1 이상, 또는 1.05 이상의 값을 가진다. 또한, 상온 연신율에 대한 고온 연신율의 비율(연신율비)은 1.25 이하, 또는 1.2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MIT 절곡 회수가 2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MIT 절곡 회수가 240~300일 수 있다. 2차전지 충방전시 가해지는 수축 팽창 시 집전체(Current Collector)로 사용되는 동박 기재도 같이 수축 팽창하는데, MIT 값이 클수록 굴곡에 의한 응력을 견딜 수 있으므로, MIT 값이 높은 동박은 사이클 특성을 개선하고 고용량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M면과 S면의 비커스 경도가 모두 100~14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해동박의 M면의 비커스 경도는 100~110 범위에 있다. 또한, 상기 전해동박의 S면의 비커스 경도는 120~140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전해동박의 경도는 동박 제조 시 표면 결함이나 외부 힘에 대한 표면 스크래치나 변형에 저항을 제공하기 위하여 100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도 하한은 동박의 제조 과정 및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결함이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전해동박의 경도가 140을 초과하는 경우 연신율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의 전해동박은 M면 경도가 100이상이고, M면의 경도/S면의 경도의 비율은 0.7~0.9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경도 비율이 0.7 미만이면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0.9 초과이면 연신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온에서 고강도 및 고연신율을 구현하고, 상온과 고온에서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첨가제 A 내지 첨가제 C에서 선택된 조합의 첨가제를 전해액에서 제조될 수 있다.
첨가제 A
첨가제 A는 티오우레아계 화합물,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에 티올기가 연결된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여기서, 티오우레아계 화합물은 에틸렌티오우레아, 디에틸티오우레아, 아세틸렌티오우레아, 디프로필티오우레아, 디부틸티오우레아, N-트리플루오로아세틸티오우레아(N-trifluoroacetylthiourea), N-에틸티오우레아, (N-ethylthiourea), N-시아노아세틸티오우레아(N-cyanoacetylthiourea), N-알릴티오우레아(N-allylthiourea), o-톨릴티오우레아(o-tolylthiourea), N,N'-부틸렌 티오우레아(N,N'-butylene thiourea), 티오졸리딘티올(thiazolidinethiol), 4-티아졸리티올(4-thiazolinethiol), 4-메틸-2-피리미딘티올(4-methyl-2-pyrimidinethiol), 2-티오우라실(2-thiourac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첨가제로 사용 가능한 다양한 티오우레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A의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에 티올기가 연결된 화합물은, 2-머캅토-5-벤조이미다졸 술폰산 소듐염(2-mercapto-5-benzoimidazole sulfonic acid sodium salt), 소듐 3-(5-머캅토-1-테트라졸릴)벤젠 술포네이트(Sodium 3-(5-mercapto-1-tetrazolyl)benzene sulfonate) 및 2-머캅토 벤조티아졸(2-mercapto benzothiazo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첨가제로 사용 가능한 다양한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에 티올기가 연결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첨가제 A는 전해액 내에 2 ppm 미만이 되도록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제 A는 0.5~1.9 ppm 첨가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가 A는 전해동박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첨가제 A의 함량이 1.9ppm을 초과하면 석출면의 표면조도가 상승하여 저조도의 전해동박 제조가 어렵고 연신율이 저하될 수 있다.
첨가제 B
첨가제 B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술폰산 또는 그의 금속염이다.
예시적으로, 황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술폰산 또는 그의 금속염은 비스-(3-술포프로필)-디설파이드 디소듐염(SPS), 3-머캅토-1-프로판술폰산(MPS), 3-(N,N-디메틸티오카바모일)-티오프로판술포네이트 소듐염(DPS), 3-[(아미노-이미노메틸)티오]-1-프로판술포네이트 소듐염(UPS), o-에틸디티오카보네이토-S-(3-설포프로필)-에스테르 소듐염(OPX), 3-(벤조티아졸릴-2-머캅토)-프로필술폰산 소듐염(ZPS), 에틸렌디티오디프로필술폰산 소듐염(Ethylenedithiodipropylsulfonic acid sodium salt), 티오글리콜산(Thioglycolic acid), 티오포스포릭산-o-에틸-비스-(ω-술포프로필)에스테르 디소듐염(Thiophosphoric acid-O-ethyl-bis-(ω-sulfopropyl)ester disodium salt) 및 티오포스포릭산-트리스-(ω-술포프로필)에스테르 트리소듐염(Thiophosphoric acid-tris-(ω-sulfopropyl)ester trisodium sal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술폰산 또는 그의 금속염이라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첨가제 B는 전해액 내에 10~25 ppm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첨가제 B는 전해액 내에 13~25 ppm 첨가되는 것이 좋다. 구리전해액에서 첨가제 B는 전해동박의 표면 광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첨가제 B의 함량이 10ppm 미만이면 전해동박의 광택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 B의 함량이 25ppm 초과이면 석출면의 표면조도가 상승하여 저조도의 전해동박 제조가 어렵고 전해동박의 인장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첨가제 C
첨가제 C는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이다.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글리세린, , 노닐페놀 폴리글리콜에테르(Nonylphenol polyglycol ether), 옥탄 디올-비스-(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Octane diol-bis-(polyalkylene glycol ether), 옥탄올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Ocatanol polyalkylene glycol ether), 올레익산 폴리글리콜 에테르(Oleic acid polyglycol ether), 폴리에틸렌 프로필렌 글리콜(Polyethylene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Polyethylene glycoldimethyl ether),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Polyoxypropylene glycol),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β-나프톨 폴리글리콜 에테르(β-naphthol polyglycol ether), 스테아릭산 폴리글리콜 에테르(Stearic acid polyglycol eter) 및 스테아릴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Stearyl alcohol polyglycol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는 수용성 고분자라면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이 100 내지 2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arboxymethyl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는, 젤라틴, 콜라겐 등의 수용성 단백질성 아교 물질로서, 글리신, 하이드록시 리신, 하이드록시 프롤린이 반복되는 구조를 지니는데, type I, type II, type V를 포함하여 6종류 이상이 존재한다. 세 종류의 아미노산이 반복된 사슬을 alpha chain이라 부르며, alpha chain 세가닥이 감긴 것을 triple helix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이 triple helix끼리 가교결합이 일어나면서 콜라겐의 복잡한 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는 콜라겐,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일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첨가제 C는 전해액 내에 5~10 ppm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전해액에서 첨가제 C는 전해동박의 표면 조도를 낮추고 표면광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첨가제 C의 함량이 5ppm 미만이면 석출면의 표면조도가 상승하여 저도도의 전해동박 제조가 어렵고 전해동박의 광택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 C의 함량이 10ppm 초과이면 전해동박의 고온 강도 저하 및 고온 경도 저하가 일어 날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해액 내의 첨가제 A, B 및 C의 함량 비율은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A/(B+C) 값이 0.028~0.060 범위인 것이 좋다. 만약 A/(B+C)의 값이 0.028 미만이면 상온 및 고온 인장강도 저하가 일어나며 0.060 이상이면 상온 및 고온 연신율의 저하가 일어날수 있다,
이상 전해액 내의 첨가제 A, B, C가 전해동박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각 첨가제의 종류, 함량 또는 그 조합은 알려지지 않은 메커니즘에 의해 본 발명에서 제조된 전해동박의 다른 물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해동박 제조예 1>
(실시예 1 내지 5)
200~452 g/L의 CuSO45H2O, 30~250 g/L의 황산, 10~30 ppm의 염소 이온 농도를 갖는 전해액에서 50~60℃, 50~70A/dm2(ASD)의 전류밀도로 전해도금을 수행하였다. 첨가제 A로 0.5~1.9ppm의 ETU (에틸렌 티오 우레아), 첨가제 B로 10~20ppm SPS (비스-(3-술포프로필)-디설파이드 디소듐염)과 3~10ppm의 ZPS (3-(벤조티아졸릴-2-머캅토)-프로필술폰산 소듐염), 첨가제 C로 5~10ppm의 PEG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량 Mw : 500~4000)를 전해액에 첨가하였다. 각 실시예에서 사용된 전해액 조성은 표 1과 같다. 도금막의 두께는 실시예별로 달리하였다.
(비교예 1)
전해액에 Cu 100 g/L, 황산 150 g/L, 염소 이온 농도 20 ppm의 전해액에서 50~60℃, 50~70A/dm2(ASD)의 전류밀도로 전해도금을 수행하여 18μm 두께의 도금막을 제조하였다. 첨가제 A로 2 ppm의 DET (디에틸티오우레아), 첨가제 B로 45ppm의 SPS (비스-(3-술포프로필)-디설파이드 디소듐염)과 10ppm의 ZPS (3-(벤조티아졸릴-2-머캅토)-프로필술폰산 소듐염), 첨가제 C로 20ppm의 PEG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량 Mw : 500~4000), 첨가제 D로 3 ppm의 JGB (야누스 그린 B)를 전해액에 첨가하였다.
(비교예 2)
전해액에 Cu 90 g/L, 황산 120 g/L, 염소 이온 농도 30 ppm의 전해액에서 50~60℃, 50~70A/dm2(ASD)의 전류밀도로 전해도금을 수행하여, 4 μm 두께의 도금막을 제조하였다. 첨가제 A로 3 ppm의 DET (디에틸티오우레아), 첨가제 B로 60 ppm의 SPS (비스-(3-술포프로필)-디설파이드 디소듐염)과 40ppm의 ZPS (3-(벤조티아졸릴-2-머캅토)-프로필술폰산 소듐염), 첨가제 C로 20ppm의 PEG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량 Mw : 500~4000), 10 ppm의 PGL (폴리글리세린), 375 ppm의 Zn, 75 ppm의 Fe를 전해액에 첨가하였다.
(비교예 3)
전해액에 Cu 100 g/L, 황산 130 g/L, 염소 이온 농도 30 ppm의 전해액에서 50~60℃, 50~70A/dm2(ASD)의 전류밀도로 전해도금을 수행하여, 6 μm 두께의 도금막을 제조하였다. 첨가제 A로 26 ppm의 DET (디에틸티오우레아), 첨가제 B로 80 ppm의 SPS (비스-(3-술포프로필)-디설파이드 디소듐염)과 40ppm의 ZPS (3-(벤조티아졸릴-2-머캅토)-프로필술폰산 소듐염), 첨가제 C로 20ppm의 PEG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량 Mw : 500~4000), 10 ppm의 PGL (폴리글리세린)을 전해액에 첨가하였다.
(비교예 4)
전해액에 Cu 80 g/L, 황산 140 g/L, 염소 이온 농도 10 ppm의 전해액에서 50~60℃, 50~70A/dm2(ASD)의 전류밀도로 전해도금을 수행하여, 12 μm 두께의 도금막을 제조하였다. 첨가제 B로 5 ppm의 MPS (3-머캅토-1-프로판술폰산), 첨가제 E로 DDAC (염화디알릴디메틸암모늄)를 전해액에 첨가하였다.
(비교예 5)
전해액에 Cu 80 g/L, 황산 140 g/L, 염소 이온 농도 10 ppm의 전해액에서 50~60℃, 50~70A/dm2(ASD)의 전류밀도로 전해도금을 수행하여, 12 μm 두께의 도금막을 제조하였다. 첨가제 B로 5 ppm의 MPS (3-머캅토-1-프로판술폰산), 첨가제 E로 DDAC (염화디알릴디메틸암모늄)를 전해액에 첨가하였다.
각 실시예의 도금액 조성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물성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표면처리동박 샘플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평가 항목 및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인장강도/연신율
전해동박을 폭 12.7mm * 게이지 길이 50mm로 인장시편을 채취한 후 50.8 mm/min 크로스헤드 속도로 인장시험으로 IPC-TM-650 2.4.18B 규격에 따라 실시하여 측정되는 인장강도의 최대하중을 인장강도라 하고, 파단시의 연신율을 연신율이라 하였다. 각 시편에 대하여 상온에서의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측정하였고, 200℃의 고온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 한 후에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한편, 상온 인장강도에 대한 고온 인장강도의 비(인장강도비)와 상온 연신율에 대한 고온 연신율의 비(연신율비)를 계산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b. MIT 절곡 회수
MIT 굴곡시험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MIT 굴곡시험 장치에 의해 MIT 굴곡시험을 행하였다. 굴곡시험은 제조된 원박 시편을 하기 조건 하에서 굴곡을 반복하고, 시편이 단선될때까지의 횟수를 굴곡횟수로서 구하였다.
1) 굴곡반경(R) : 0.38mm ,
2) 굴곡각도 : 135° ,
3) 굴곡속도 : 175회/분
4) 하중(load) : 500g
c. 동박의 TOC 측정
전해동박에 함유된 TOC 함량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전해동박 시편을 염산(35%) 60ml, 과산화수소수(30%) 40ml에 녹인 후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하기 표 2(단위 ppm)에 그 결과를 기재하였다.
d. 경도
ISO 6507-1(KS B 0811) 표준에 따라 비커스 경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Hardness scale : HV0.02
2) Dwell time : 10 sec.
3) Hardness tester type : DURAMIN-40 A1
구분 두께
(μm)
인장강도
(kgf/㎟)
연신율
(%)
두께비 연신율
(%/μm)
연신율비 TOC MIT 경도
상온 고온 상온 고온 상온 고온 M면 S면
실시예1 4 43 41 5.2 5.6 1.30 1.40 1.08 5 270 106 138
실시예2 5 41.7 38.7 8.1 9.5 1.62 1.90 1.17 5.7 250 102 120
실시예3 6 42.3 40 9.9 11.8 1.65 1.97 1.19 5.9 260 109 153
실시예4 8 40.5 37.5 15.3 19.2 1.91 2.40 1.25 6 250 110 130
실시예5 10 42.4 39.1 15.1 16.5 1.51 1.65 1.09 8 240 102 120
비교예1 18 46.15 43.3 7.21 11.63 0.40 0.65 1.61 10 150 85 124
비교예2 4 43.7 41.9 3.2 4.1 0.80 1.03 1.28 10 230 84 122
비교예3 6 42.3 40.5 7.2 7 1.20 1.17 0.97 9 200 84 120
비교예4 12 38.2 34.6 6.2 9.8 0.52 0.82 1.58 9 143 78 85
비교예5 12 33.1 31.7 6.7 10 0.56 0.83 1.49 10 141 75 8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의 전해동박은 5~8의 낮은 TOC 함량을 나타내고 있다.
표 2에 열거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시편들은 상온에서 40 kgf/mm2의 고강도 특성을 나타내며, 200 °C의 고온 열처리를 거친 후에도 높은 강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는 상온에서의 두께비 연신율 값이 1.3~1.91 %/μm의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4 μm 두께의 실시예 1에서도 두께비 연신율은 1.3 %/μm의 값을 나타내는 반면, 비교예들에서는 1.2 이하의 값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에 열거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시편들은 MIT 수치가 240 이상의 높은 수치를 기록하여 내굴곡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며, 비교예들에서는 230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에 열거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시편들은 M면의 경도 수치가 100 이상의 높은 수치를 기록하여 경도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며, 비교예들에서는 100 미만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상온 인장강도가 40kgf/mm2 이상이고, 상온 두께비 연신율이 1.3 ~ 2.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2. 제1항에 있어서,
    200℃에서 1시간 열처리 후의 두께비 연신율이 1.4 ~ 2.4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온 두께비 연신율에 대한 200℃에서 1시간 열처리 후의 두께비 연신율의 비율은 1.05 ~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가 2~12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가 4~1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6. 제1항에 있어서,
    MIT 절곡 회수가 2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7. 제1항에 있어서,
    TOC 함량이 5~8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8. 제1항에 있어서,
    M면과 S면의 경도가 모두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9. 제1항에 있어서,
    상온 인장강도는 40~45 kgf/m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동박.
KR1020210147045A 2021-10-29 2021-10-29 고강도 고연신 전해동박 KR20230062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045A KR20230062105A (ko) 2021-10-29 2021-10-29 고강도 고연신 전해동박
PCT/KR2022/015127 WO2023075195A1 (ko) 2021-10-29 2022-10-07 고강도 고연신 전해동박
CN202280071297.3A CN118215756A (zh) 2021-10-29 2022-10-07 具有高伸长率及高强度特性的电解铜箔
TW111140204A TW202336283A (zh) 2021-10-29 2022-10-24 具有高伸長率及高強度特性之電解銅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045A KR20230062105A (ko) 2021-10-29 2021-10-29 고강도 고연신 전해동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105A true KR20230062105A (ko) 2023-05-09

Family

ID=8615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045A KR20230062105A (ko) 2021-10-29 2021-10-29 고강도 고연신 전해동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30062105A (ko)
CN (1) CN118215756A (ko)
TW (1) TW202336283A (ko)
WO (1) WO202307519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408B1 (ko) 2016-11-11 2017-05-10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5004B2 (ja) * 2005-03-31 2008-03-1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電解銅箔、その電解銅箔を用いて得られた表面処理電解銅箔、その表面処理電解銅箔を用いた銅張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5074611B2 (ja) * 2011-03-30 2012-11-14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二次電池負極集電体用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50541A (ko) * 2012-10-18 2014-04-29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전해동박, 이를 포함하는 전기부품 및 전지, 및 전해동박 제조방법
KR102446550B1 (ko) * 2017-10-18 2022-09-22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고용량 이차전지용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US10424793B2 (en) * 2017-11-14 2019-09-24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Electrodeposited copper foi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urrent collec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electrodeposited copper foi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408B1 (ko) 2016-11-11 2017-05-10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215756A (zh) 2024-06-18
TW202336283A (zh) 2023-09-16
WO2023075195A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9207B2 (ja) 電解銅箔、並びにこれを含む電気部品及び電池
KR102049908B1 (ko) 전착된 구리 포일
US5403465A (en) Electrodeposited copper foil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ing electrolyte solutions having controlled additions of chloride ions and organic additives
JP6014186B2 (ja) 電解銅箔、これを含む電気部品および電池
US20110139626A1 (en) Electrolytic copper coating,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pper electrolyte for manufacturing electrolytic copper coating
CN112543822B (zh) 电解铜箔的制造方法
TWI449814B (zh) 低內應力銅電鍍方法
KR101605071B1 (ko) 전해도금에 의한 구리호일
KR20110114971A (ko) 전해동박 제조용 구리전해액, 전해동박의 제조방법 및 전해동박
US20160260980A1 (en) Electrolytic Copper Foil, Electric Component and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571060B1 (ko) 전해동박, 이를 포함하는 전기부품 및 전지, 및 전해동박 제조방법
KR101571064B1 (ko) 전해동박, 이를 포함하는 전기부품 및 전지, 및 전해동박 제조방법
KR101571063B1 (ko) 전해동박, 이를 포함하는 전기부품 및 전지, 및 전해동박 제조방법
KR20230062105A (ko) 고강도 고연신 전해동박
KR101571066B1 (ko) 전해동박, 이를 포함하는 전기부품 및 전지, 및 전해동박 제조방법
KR20230062099A (ko) 이차전지 집전체용 전해동박
CN112030199B (zh) 一种用于先进封装的高速电镀铜添加剂及电镀液
KR20230062081A (ko) 이차전지 집전체용 전해동박
KR101502373B1 (ko) 전해동박, 이를 포함하는 전기부품 및 전지
KR20240097798A (ko) 이차전지 집전체용 전해동박
KR102567549B1 (ko) 전해 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EP4202084A2 (en) Double layered electrolytic copper fo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30098098A (ko) 전해 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