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827A -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827A
KR20230061827A KR1020210146466A KR20210146466A KR20230061827A KR 20230061827 A KR20230061827 A KR 20230061827A KR 1020210146466 A KR1020210146466 A KR 1020210146466A KR 20210146466 A KR20210146466 A KR 20210146466A KR 20230061827 A KR20230061827 A KR 20230061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handle
cargo screen
screen
forming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531B1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5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4Auxiliary operations prior to the thermoforming operation,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29C51/421Heating or cooling of preforms, specially adapted for thermo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29Hand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은, 카고 스크린에서 그립핸들을 형성하고자 하는 영역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카고 스크린의 가열된 영역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워지면 상기 가열된 영역을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된 영역을 몰딩하는 단계는, 상기 카고 스크린에 상기 카고 스크린을 관통하는 핸들홀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홀을 둘러싸도록 그립핸들부가 형성되도록 몰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GRIP HANDLE FORMING METHOD OF CARGO SCREEN}
본 발명은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을 형성할 수 있는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카고 스크린은 차량 중 해치백(hatch back)이나 SUV(sport utility vehicle) 타입의 차량에서 러기지 룸을 가리도록 설치된다. 러기지 룸이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 러기지 룸에 수납되는 수화물이 외부에 노출되어 도난의 위험이 있고, 차량 실내 공간의 미관을 해칠 수 있어, 카고 스크린을 이용하여 러기지 룸을 가릴 수 있다.
이러한 카고 스크린은 스크린 바의 스크린 하우징 내부에 스크린부가 권취되어 배치되고, 스크린 하우징에서 스크린부가 외력에 의해 인출되는 형태로 이용된다. 이때, 카고 스크린은 스크린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스크린부가 다시 스크린 하우징에 인입되도록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카고 스크린을 스크린 하우징에서 인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카고 스크린에 그립핸들을 형성한다. 그립핸들은 사용자가 카고 스크린을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로 핸들이 장착된다. 카고 스크린에 핸들을 장착하기 위해 톰슨 가공을 통해 카고 스크린에 홀을 형성하고, 형성된 홀에 그립핸들을 장착한다. 이때, 그립핸들은 상부 부품과 하부 부품을 포함하고, 그립핸들은 카고 스크린에 형성된 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 부품과 하부 부품이 배치되고 서로 결합되어 완성된다.
이렇게 그립핸들을 장착할 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그립핸들의 상부 부품 및 하부부품을 결합하여 제조하여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9957호 (2011.07.1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은, 카고 스크린에서 그립핸들을 형성하고자 하는 영역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카고 스크린의 가열된 영역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워지면 상기 가열된 영역을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된 영역을 몰딩하는 단계는, 상기 카고 스크린에 상기 카고 스크린을 관통하는 핸들홀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홀을 둘러싸도록 그립핸들부가 형성되도록 몰딩할 수 있다.
상기 가열된 영역을 몰딩하는 단계는, 소정의 열이 가해진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립핸들을 형성하고자 하는 영역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PP+GF40일 수 있다.
상기 그립핸들부는 상기 카고 스크린의 가열되지 않은 부분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카고 스크린의 소재 특성을 이용하여 그립핸들 형상을 구현하여,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 완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그립핸들 형상의 디자인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어 디자인 구현 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핸들 형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핸들 형성 방법에서 카고 스크린을 가열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핸들 형성 방법에서 카고 스크린을 가열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핸들 형성 방법에서 카고 스크린에 그립핸들부를 가공하기 위해 몰딩 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핸들 형성 방법에서 카고 스크린에 몰딩 장치를 이용하여 그립핸들부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핸들 형성 방법에서 카고 스크린에 그립핸들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핸들 형성 방법에서 카고 스크린에 그립핸들부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핸들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고 스크린(100)은 차량에서 러기지 룸을 가리도록 설치되며, 사용자가 카고 스크린(100)을 스크린 하우징에 인출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카고 스크린(100)은 단단한 소재를 갖는 스크린 플레이트와 연성 소재를 갖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스크린 플레이트는 사용자가 카고 스크린(100)을 스크린 하우징에서 인출할 때 카고 스크린(100)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게 연성 소재의 스크린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 플레이트는 단단한 소재가 이용되며, 예컨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가 이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PP+GF40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을 기반으로 유리 섬유 및 기타 첨가제를 추가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일반 플라스틱에 비해 인장강도, 압축 강도 굽힘 강도가 일반 플라스틱에 비해 향상된다.
또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이용된 스크린 플레이트는 성형이 가능하며, 가열하는 경우 고탄성 성질로 인해 두께가 상승되는 특성이 있다.
스크린 플레이트에 이용되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특성을 이용하여 그립핸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린 플레이트에 그립핸들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카고 스크린(100)의 스크린 플레이트를 이송벨트 위에 배치시켜 이송시킨다(S101).
스크린 플레이트에 그립핸들을 형성할 때, 스크린 플레이트는 이송벨트에 놓인 상태로 이송되면서 그립핸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100)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은 자동 공정을 통해 그립핸들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플레이트에서 그립핸들을 형성하고자 하는 일부 영역인 가열부(110)를 가열한다(S103).
가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플레이트 중 그립핸들을 형성하고자 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가열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영역이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부(110)에 해당하는 영역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가열부(110)는 이송벨트 상에 배치된 스크린 플레이트의 이송이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오븐 등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렇게 가열부(110)가 가열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110)의 두께가 다른 위치보다 두꺼워질 수 있다. 이렇게 가열되어 다른 위치보다 두꺼워진 부분이 그립핸들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부(105)이다.
가열부(110)를 가열하여 스크린 플레이트의 다른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가공부(105)가 형성되면, 가공부(105)를 몰딩한다(S105).
가열된 부분이 가공부(105)에 대해 몰딩 장치(200)를 이용하여 그립핸들을 형성하기 위해 몰딩이 이루어진다. 몰딩 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부(105)에 사용자의 손이 통과할 수 있는 핸들홀(120)을 형성하기 위해 홀 형성부(220) 및 가공부(105)에 그립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그립 형성부(210)를 포함한다.
홀 형성부(220)는 가공부(105)에 홀을 형성하기 위해 가공부(105)를 뚫어 관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홀 형성부(220)는 몰딩 장치(200)가 스크린 플레이트의 가공부(105)를 상부에서 찍어 가공부(105)의 일부를 밀어내어 홀을 형성한다. 또는 홀 형성부(220)는 필요에 따라 가공부(105)를 커팅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 형성부(210)는 가공부(105)에 홀을 형성하는 홀 형성부(2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가공부(105)에 그립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립 형성부(210)는 홀 형성부(220)보다 상부로 돌출되고, 그립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단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단계에서, 몰딩 장치(200)를 이용하여 가공부(105)에 그립핸들을 형성할 때, 가공부(105)에는 지속적으로 열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가공부(105)에 가해진 열에 의해 가공부(105)의 일부가 떨어져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그립핸들부(130)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몰딩 장치(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부(105)를 소정의 시간 동안 몰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정의 시간 동안 몰딩이 이루어지면, 카고 스크린(100)의 스크린 플레이트 일면에 그립핸들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시간 동안 몰딩 장치(200)를 이용하여 가공부(105)를 몰딩하여 그립핸들 형상을 구현한다(S107).
몰딩 장치(200)를 이용하여 가공부(105)를 몰딩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 스크린(100)의 스크린 플레이트에 그립핸들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그립핸들을 형성함으로써, 그립핸들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그립핸들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홀 형성부(220) 및 그립 형성부(210)를 포함하는 몰딩 장치(200)가 스크린 플레이트의 가공부(105)를 찍어 몰딩함에 따라 가공부(105)에 그립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몰딩 장치(200)를 이용하여 스크린 플레이트의 가공부(105)에 그립핸들을 형성하면 스크린 플레이트와 동일 소재로 그립핸들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 그립핸들부(130)는 핸들홀(12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카고 스크린(100)의 스크린 플레이트의 다른 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몰딩 장치(200)를 이용하여 몰딩하는 동안 열을 가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그립핸들부(130)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공부(105)에 대한 몰딩은 스크린 플레이트의 일면을 향해 몰딩 장치(200)가 배치되어 가공부(105)의 일면에 대해 그립핸들을 형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필요에 따라 몰딩 장치(200)는 가공부(105)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가공부(105)의 양면을 모두 몰딩하여 가공할 수 있다. 이렇게 가공부(105)의 양면에 몰딩 장치(200)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경우, 스크린 플레이트의 양면 모두에 그립핸들이 형성될 수 있다.
100: 카고 스크린
105: 가공부
110: 가열부
120: 핸들홀
130: 그립핸들부
200: 몰딩 장치
210: 그립 형성부
220: 홀 형성부

Claims (5)

  1. 카고 스크린에서 그립핸들을 형성하고자 하는 영역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카고 스크린의 가열된 영역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워지면 상기 가열된 영역을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된 영역을 몰딩하는 단계는, 상기 카고 스크린에 상기 카고 스크린을 관통하는 핸들홀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홀을 둘러싸도록 그립핸들부가 형성되도록 몰딩하는,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영역을 몰딩하는 단계는, 소정의 열이 가해진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핸들을 형성하고자 하는 영역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PP+GF40인,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핸들부는 상기 카고 스크린의 가열되지 않은 부분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
KR1020210146466A 2021-10-29 2021-10-29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 KR10254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66A KR102542531B1 (ko) 2021-10-29 2021-10-29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66A KR102542531B1 (ko) 2021-10-29 2021-10-29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827A true KR20230061827A (ko) 2023-05-09
KR102542531B1 KR102542531B1 (ko) 2023-06-12

Family

ID=8640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466A KR102542531B1 (ko) 2021-10-29 2021-10-29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5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329B1 (ko) * 2008-10-20 2010-02-04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의 스크린패널 조립체
KR101049957B1 (ko) 2009-08-12 2011-07-15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장치의 핸들
KR20110011739U (ko) * 2010-06-15 2011-12-2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KR102259591B1 (ko) * 2021-04-22 2021-06-02 주식회사 서연이화 경량 카고스크린 리어판넬 제조방법
KR102296996B1 (ko) * 2017-03-22 2021-09-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장재용 부직포, 그 제조 방법 및 차량 내장재용 부직포를 이용한 차량용 카고스크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329B1 (ko) * 2008-10-20 2010-02-04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의 스크린패널 조립체
KR101049957B1 (ko) 2009-08-12 2011-07-15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장치의 핸들
KR20110011739U (ko) * 2010-06-15 2011-12-2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KR102296996B1 (ko) * 2017-03-22 2021-09-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장재용 부직포, 그 제조 방법 및 차량 내장재용 부직포를 이용한 차량용 카고스크린
KR102259591B1 (ko) * 2021-04-22 2021-06-02 주식회사 서연이화 경량 카고스크린 리어판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531B1 (ko) 202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8874B2 (ja) 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及び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202102373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woven trim panels
EP25650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horizontal molding of vehicle interior components
US20150115501A1 (en) Process for producing plastic moulded pieces
KR20120034953A (ko) 목재 필름 및 그 성형 방법
US10603825B2 (en) Fiber-reinforced resin molde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fiber-reinforced resin molded article
EP3674141B1 (en) Shutter
KR102542531B1 (ko) 카고 스크린의 그립핸들 형성 방법
US5151237A (en) Method of injection molding a flat deformable laminate
KR101302396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CN113085147B (zh) 拉伸及弯折机构、树脂成型装置、拉伸及弯折方法以及树脂成型方法
US20210086411A1 (en) Interior trim panel for a vehicle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H08174648A (ja) 車両用熱可塑性樹脂品の製造方法
US200702125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unching A Part Of Moulded Fibre Material
KR102098214B1 (ko) 이동금형을 구비한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내장재 제조방법
KR102098218B1 (ko) 트리밍금형을 구비한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내장재 제조방법
JP6919041B2 (ja) 成形金型、樹脂成形装置
KR101906837B1 (ko) 차량용 파티션 패널 성형장치
KR101811697B1 (ko) 배출지지부를 포함하는 섬유강화 복합재 성형물 성형장치
JP2011194686A (ja) 表皮加飾成形品
JP4570503B2 (ja) 成形品の取出し方法
JPH06270149A (ja) ガラス繊維プリフォーム製品の製造方法
JPH02203891A (ja) 内装材及び内装材の端末処理方法
JPH06270148A (ja) ガラス繊維プリフォーム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8291A (ja) スタンパブルシート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