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252A - 음향 시그널링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시그널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252A
KR20230061252A KR1020220131752A KR20220131752A KR20230061252A KR 20230061252 A KR20230061252 A KR 20230061252A KR 1020220131752 A KR1020220131752 A KR 1020220131752A KR 20220131752 A KR20220131752 A KR 20220131752A KR 20230061252 A KR20230061252 A KR 20230061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ing device
cover
vibrating body
acoustic signaling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아킴 울브리히
Original Assignee
아미고 스피엘 + 프라이자이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미고 스피엘 + 프라이자이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미고 스피엘 + 프라이자이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6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7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mechanically operated; Hand bells; Bells for anim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7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mechanically operated; Hand bells; Bells for animals
    • G10K1/071Hand bells; Bells for anim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7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mechanically operated; Hand bells; Bells for animals
    • G10K1/072Operating or striking mechanism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8Details or accessories of general applicability
    • G10K1/26Mountings; Cas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28Bells for towers or the like
    • G10K1/30Details or accessories
    • G10K1/32Sounding members; Clappers or other strik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28Bells for towers or the like
    • G10K1/30Details or accessories
    • G10K1/34Operating mechanisms
    • G10K1/341Operating mechanisms for a still-standing be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02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having an effect on the human senses
    • A63F2250/027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having an effect on the human senses generating a sound without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895Accessories for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8Question-and-answer g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음향 시그널링 장치는 진동 상태(oscillating state)에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체(oscillating body), 진동체의 진동을 수동적으로 촉발시키기 위한 촉발 수단(excitation means), 및 진동체를 유지하고 촉발 수단을 받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진동체는, 작동 요소의 작동 시에, 진동체에 대한 촉발 수단의 타격을 야기하도록 작동 요소가 가이딩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음향 시그널링 장치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고 촉발 수단의 반대편 측면 상에서 진동체를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덮는 커버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향 시그널링 장치{ACOUSTIC SIGNALING DEVICE}
본 발명은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및 이러한 타입의 음향 시그널링 장치를 포함하는 보드 게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보드 게임들은 특정 임무를 맨 먼저 해결하거나 특정 질문에 가장 빨리 답한 사람을 판정하는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음향 시그널링 장치, 예를 들어 테이블 벨 등을 사용하여 가장 빨리 임무 또는 질문을 해결한 사람의 판정하는 것을 수행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테이블 벨을 작동시킬 경우 테이블 벨을 작동시킨 사람이 맨 먼저 임무나 질문을 올바르게 해결한 것으로 여겨지는 사람인 것으로 명확하게 식별된다.
종래의 테이블 벨은 일반적으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금속 벨, 및 그 상단 중앙에 배치되는 작동 버튼을 포함한다. 작동 버튼의 수동 작동의 경우에, 이 벨은 촉발 수단(excitation means), 예를 들어 벨 내부를 타격하는 망치 등에 의해 촉발된다.
보드 게임의 편안한 분위기에서, 테이블 벨의 작동은 일반적으로 조용하고 의도적인 방식이 아니라, 플레이어들 간의 경쟁 상황으로 인해 시끌벅적하고 모호한 방식으로 발생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테이블 벨을 맨 먼저 작동시키는 특정 플레이어의 손이, 통상적으로 금속 벨인 테이블 벨을 다른 플레이어(너무 늦게 오는)가 타격하는 움직임에 의해 불쾌한 방식으로 밀려나게 되는, 불쾌한 상황이 보드 게임을 하는 플레이어들에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플레이에 대한 인센티브 및 플레이의 즐거움이 감소될 수가 있다.
종래의 테이블 벨이 예를 들어 DE 38 873 A 또는 US 264 226 A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을 극복하여, 정신 없고 시끌벅적한 게임 상황(특히 플레이어의 타격 동작이 시그널링 장치에 매우 높은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서도 시그널링 장치의 작동이 게임 참가자에게 불편한 것으로 인식되지 않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특히 테이블 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모든 특징을 포함하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그 이유는 위에서 설명한 단점들이 이것에 의해 극복되거나 감소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음향 시그널링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가 제공되며, 이 음향 시그널링 장치는 진동 상태(oscillating state)에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체(oscillating body), 진동체의 진동을 수동적으로 촉발시키기 위한 촉발 수단(excitation means), 및 진동체를 유지하고 촉발 수단을 받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진동체는, 작동 요소의 작동 시에, 진동체에 대한 촉발 수단의 타격을 야기하도록 작동 요소가 가이딩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음향 시그널링 장치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고 촉발 수단의 반대편 측면 상에서 진동체를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덮는 커버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음향 시그널링 장치의 수동 작동의 경우에 있어서, 플레이어 또는 사용자의 손이 커버의 탄성 재료에만 접촉하게 되고,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구성되는 진동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은 불가능한 것이 제공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커버가 돔과 같은 방식으로 진동체를 에워싸기 때문에 보드 게임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시끌벅적한 상황들에서도 적용된다.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의 존재에 의해 일반적으로 경질 금속으로 이루어진 진동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높은 힘 효과 하에서 진동체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유익하지 않은 불쾌한 느낌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가 댐핑 레이어(damping layer) 역할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시끌벅적하거나 정신없는 게임 상황에서도 게임의 재미가 방해됨 없이 계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 개발에 따르면, 진동체가 돔형 또는 방패형 형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구부가 돔형 또는 방패형 형상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돔형 또는 방패형 형상이 유지 수단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유지 수단이 촉발 수단 위에서 아치형이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에 따르면, 커버가 후드(hood)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되고 및/또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촉발 수단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진동체의 외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가 진동체를 덮게 되며, 이에 따라 시그널링 장치의 수동 작동의 경우, 진동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커버가 진동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은, 적어도 비작동 상태 동안 뿐만 아니라 최적으로는 작동 중에도 유리하다. 이에 따르면, 커버는 후드와 같은 방식으로 진동체를 덮는 설계로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동시에 진동체와 커버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존재하게 된다. 커버와 진동체 사이의 거리는 진동이 불필요하게 감쇠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에 따르면, 변형 후에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는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커버가 제공된다. 이것은 가능한 최소한의 사운드 개발 손상을 초래하지만, 커버의 원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동시에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체의 개구부에 배치된 작동 요소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정지 위치에서는, 촉발 수단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진동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작동 요소는 대략 로드(rod)와 같은 방식으로 또는 태핏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작동 요소가 진동체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진동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작동 요소를 수동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한, 진동체와의 접촉에 의해 촉발 수단이 활성화되고 음향 신호가 생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이것은 작동 요소가 밀려 들어감으로써, 작동 요소에서 멀리 떨어진 레버의 끝이 진동체의 내부에 부딪하게 되는 것에 의해, 레버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 메커니즘을 작동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요소는 진동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작동 요소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촉 표면을 구비하며, 이 접촉 표면은 음향 시그널링 장치가 의도한 대로 작동될 경우, 커버를 밀어 넣는 방식에 의해 커버가 진동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 시그널링 장치의 작동은 커버를 통해 발생하며, 여기서 시그널링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영역은 사용자를 향한 커버의 측면에 그래픽으로 표시되거나 그래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광학적 엠퍼시스(emphasis)는 커버의 상기 부분에 대한 작용이 원하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작동 요소가 배치된 커버 하부면의 영역을 나타낸다. 이제 상기 영역을 확장함과 동시에 음향 시그널링 장치가 넓은 표면적에 걸쳐 커버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원하는 소리를 생성하기 위해(예를 들어, 손바닥 전체를 시그널링 장치에 배치함으로써), 작동 요소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접촉 표면이 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작동 요소의 단부에 제공되며, 이 접촉 표면은 시그널링 장치의 성공적인 작동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 접촉 표면은, 또한 넓은 표면적에 걸쳐 커버에 작용하는 경우, 커버의 작거나 가능한 적은 표면 영역이 진동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보장한다. 특히, 이것은 원하는 음향 신호 생성이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발생하지 않게 방해되는 사운드 개발의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와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가 음향 시그널링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밀려 들어가는 영역에서 밀려 들어가면, 접촉 표면이 진동체와의 직접 접촉에 대한 커버의 차폐물로서 작용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접촉 표면의 직경은 돔과 같은 방식 또는 후드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진동체 형상의 직경보다 작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접촉 표면이 원형 평판 디스크의 기본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밀려 들어간 상태에서, 작은 접촉 표면만이 돔과 같은 방식 또는 후드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진동체 형상과 접촉하게 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진동체와의 접촉은 바람직하게는 기본 진동의 진동 노드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발생하며, 이에 따라 음향 신호가 발생할 때 - 고작 - 접촉 표면에서 약간의 손상만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요소, 특히 나선형 스프링이 진동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접촉 표면의 측면 상에 제공되며, 이 스프링은 커버가 밀려 들어가는 것에 의한 음향 시그널링 장치의 작동 시에, 커버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원래 형상으로 되돌리는데 기여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요소가 접촉 표면과 커버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스프링 요소는 커버를 원래 형상으로 되돌리는데 기여한다. 특히, 일부 상황들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의 경우, 커버가 작동 후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갈 만큼 충분한 안정성을 더 이상 갖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새로운 음향 시그널링 장치의 경우에도, 스프링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며, 그 이유는 이 경우 원래 형상이 더욱 신속하게 취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선택적인 개발에 따르면, 유지 수단이 바람직하게는 스냅-인(snap-in) 연결에 의해, 진동체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홀더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의 홀더는 일반적으로 진동체의 개구부를 통과하고 스냅-인 연결을 통해 개구부의 영역에 진동체를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홀더는 작동 요소가 중공형으로 설계된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홀더는 예를 들어 구부러진 레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촉발 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홀더에 장착될 때 촉발 수단은 피봇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동 요소와 함께, 피봇 운동이 수행되어 진동체의 내부에 부딪힐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피봇 축은 눕게 되도록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동 요소의 작동에 의해 유발되는 촉발 수단의 레버 아암을 아래로 미는 것을 통해, 그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되고 진동체와 접촉하게 되는 추가 레버 아암의 상향 이동을 유도한다. 이 경우에, 가능한 한 효과적인 진동체의 촉발을 달성하기 위해, 촉발 수단의 접촉 표면이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 변형에 따르면, 유지 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원형이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edge)에 위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 밖으로 연장되는 둘레 방향(peripheral) 릿지 부분(ridge portion)을 가지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방폐와 같은 방식 또는 돔과 같은 방식으로 설계된 진동체의 최대 직경이 원의 방식으로 설계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진동체의 최대 직경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직경보다 10% 초과, 바람직하게는 20% 초과, 더 작은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변형에 따르면, 커버가 릿지 부분과 같은 높이로 끝이 나며, 외부 상의 릿지 부분을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탄성 클램핑력을 사용하여, 그 위에 고정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가 홀더로부터 멀리 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하부면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가 음향 시그널링 장치의 모든 컴포넌트를 에워싸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논의된 변형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음향 시그널링 장치를 포함하는 보드 게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 세부 사항들 및 이점들은 다음과 같은 도면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시그널링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분해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시그널링 장치의 구조를 볼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유지 장치(holding device)(6)는 릿지형(ridge-like) 융기부(elevation)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진행하여 원형 외주 상으로 연장된다. 촉발 수단(7, 8)을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리셉터클은 촉발 수단(7, 8)이 진동체(oscillating body)(5)를 타격하도록 하기 위한 피봇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리 떨어진 유지 장치(6)의 단부에는 스냅-인(snap-in) 잠금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스냅-인 잠금 장치가 진동체(5)의 개구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진동체(5)가 개구부의 영역에서만 유지되도록 하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진동체의 기본 진동의 진동 노드에 동시에 대응한다. 이 경우, 스냅-인 잠금 장치는 속이 비어 있도록 설계됨으로써, 태핏(tappet)으로서 설계된 작동 요소(4)가 촉발 수단들(7, 8)의 영역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작동 요소(4)가 밀려 들어가면, 이것이 진동체(5)와 접촉하게 되는 촉발 수단들(7, 8)의 영역의 상향 이동으로 이어짐으로써, 이것이 음향 신호의 발생을 야기하게 된다. 이제 음향 시그널링 장치의 작동으로 이어지는 작동 요소(4)의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진동체(5)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작동 요소(4)의 단부 상에 원판형(discoid) 접촉 표면(3)이 제공되며, 이 접촉 표면은 또한 시그널링 장치의 작동 시 밀려 들어가는 커버가 접촉 표면(3) 아래에 위치한 진동체(5)의 영역과 직접 접촉할 수 없게 되는 긍정적인 효과와 관련이 있다.
스프링 요소(2)가 진동체(5)로부터 멀리 떨어진 접촉 표면(3)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 스프링 요소는 커버(1)를 원래의 형상이 되게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 요소(2)는 나선형 스프링일 수 있으며, 그 변형된 상태로부터 커버(1)의 복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요소(2)는 나선형 스프링일 수 있으며, 이것의 직경은 진동체(5)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증가한다. 그 결과, 커버의 하부면과의 접촉을 위한 접촉 영역이 확대되고, 이것의 결과로서 작동 요소에 작용하는 커버의 표면이 확대된다.
커버(1)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물론 진동체(5) 외에 스프링 요소(2) 및 접촉 표면(3)도 커버한다. 커버(1)는 후드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유지 장치에 대면하는 그 에지 영역은 원형 코스(circular course)를 가지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릿지 영역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커버의 에지 영역은 릿지 영역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같은 높이로 끝날 수 있다. 더욱이, 그러나, 직경이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릿지 영역의 직경보다 클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1)가 릿지 영역을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게 된다. 이 경우, 커버(1)의 탄성 재료의 탄성은 커버(1)와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그로부터 진행하는 릿지 영역 사이에 클램핑 연결을 야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연결은, 음향 시그널링 장치의 제조를 단순화하고 임의의 추가 고정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시그널링 장치의 개별 컴포넌트들은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 스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최종 작동 단계에서 커버(1)는 당겨지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접착 연결에 의한 별도의 고정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3)

  1.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시그널링 장치로서,
    진동 상태(oscillating state)에서 상기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체(oscillating body)(5),
    상기 진동체(5)의 진동을 수동적으로 촉발시키기 위한 촉발 수단(excitation means)(7, 8), 및
    상기 진동체(5)를 유지하고 상기 촉발 수단(7, 8)을 받치기 위한 유지 수단(6)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체(5)는, 작동 요소(4)의 작동 시에, 상기 진동체(5)에 대한 상기 촉발 수단(7, 8)의 타격을 야기하도록 상기 작동 요소(4)가 가이딩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시그널링 장치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촉발 수단(7, 8)의 반대편 측면 상에서 상기 진동체(5)를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덮는 커버(1)를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5)는 돔형(dome-like) 또는 방패형(shield-like)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돔형 또는 상기 방패형 형상의 중앙에 배치되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는 후드(hood)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되고 및/또는 상기 촉발 수단(7, 8)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진동체(5)의 외부와 접촉하지 않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는 변형 후에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는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5)의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상기 작동 요소(4)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하며, 정지 위치에서는, 상기 촉발 수단(7, 8)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상기 진동체(5)의 상기 외부로 돌출되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4)는 상기 진동체(5)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상기 작동 요소(4)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촉 표면(3)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 표면(3)은 상기 음향 시그널링 장치가 의도한 대로 작동될 경우, 상기 커버(1)를 밀어 넣는 방식에 의해 상기 커버(1)가 상기 진동체(5)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표면(3)은 원형 디스크의 기본 형상을 갖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2), 특히 나선형 스프링이 상기 진동체(5)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접촉 표면(3)의 측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커버(1)가 밀려 들어가는 것에 의한 상기 음향 시그널링 장치의 작동 시에, 상기 커버(1)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원래 형상으로 되돌리는데 기여하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6)은 바람직하게는 스냅-인(snap-in) 연결에 의해, 상기 진동체(5)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홀더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원형이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edge)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 밖으로 연장되는 둘레 방향(peripheral) 릿지 부분(ridge portion)을 가지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는 상기 릿지 부분과 같은 높이로 끝이 나며, 상기 외부 상의 상기 릿지 부분을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1)의 탄성 클램핑력을 사용하여, 그 위에 고정되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는 상기 홀더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하부면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는, 음향 시그널링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향 시그널링 장치를 포함하는, 보드 게임.
KR1020220131752A 2021-10-28 2022-10-13 음향 시그널링 장치 KR202300612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28121.0A DE102021128121B3 (de) 2021-10-28 2021-10-28 Akustische Signalvorrichtung sowie Gesellschaftsspiel
DE102021128121.0 2021-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252A true KR20230061252A (ko) 2023-05-08

Family

ID=8343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752A KR20230061252A (ko) 2021-10-28 2022-10-13 음향 시그널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36628A1 (ko)
EP (1) EP4174842A1 (ko)
KR (1) KR20230061252A (ko)
CN (1) CN116052623A (ko)
DE (1) DE102021128121B3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226A (en) 1882-09-12 Spoon-holder
DE38873C (de) 1886-09-04 1887-04-07 H. LOBENTZ in Stettin, Heumarkt 7 Tischglocke
US7225753B1 (en) 2005-12-28 2007-06-05 Yi Hsuan Lo Bell device
DE102012016905B4 (de) 2012-08-27 2020-07-09 AMIGO Spiel + Freizeit GmbH Akustische Signalvorrichtung und Gesellschaftsspiel
DE102016013790A1 (de) 2015-11-23 2017-05-24 Marquardt Gmbh Elektrischer Scha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52623A (zh) 2023-05-02
DE102021128121B3 (de) 2023-01-19
US20230136628A1 (en) 2023-05-04
EP4174842A1 (de)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07451A (ja) 電子シンバル
JP7027717B2 (ja) 反力発生装置及び電子鍵盤楽器
KR20230061252A (ko) 음향 시그널링 장치
US3994197A (en) Footpedal drive for simulating tambourine hand-striking
JP2003280657A (ja) アップライト型鍵盤楽器
US20050211058A1 (en) Drum-mounted striker-type percussion attachment
JPH06289853A (ja) 鍵盤楽器
US5355760A (en) Multi-sound tambourine
JPH11272266A (ja) シンバル
JPH07325564A (ja) ピアノ用止音装置
JPH07168569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US11922914B2 (en) Desk bell
EP0923772B1 (en) A striking mechanism for a string instrument
JP3317363B2 (ja) 鍵盤楽器
JPS5921826Y2 (ja) ピアノと鉄琴を兼ねた玩具
JP3167234U (ja) ハンドベル構造
JPS6318060Y2 (ko)
JPH0326555Y2 (ko)
JP3598571B2 (ja) 鍵盤楽器
JP2567758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2567760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3443866B2 (ja) ペダル鍵盤構造
JPH04303891A (ja) 電子ピアノの鍵盤装置
JP2575772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US2813447A (en) Vibrator exciting 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