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929A -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 Google Patents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929A
KR20230060929A KR1020210145660A KR20210145660A KR20230060929A KR 20230060929 A KR20230060929 A KR 20230060929A KR 1020210145660 A KR1020210145660 A KR 1020210145660A KR 20210145660 A KR20210145660 A KR 20210145660A KR 20230060929 A KR20230060929 A KR 20230060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hemispherical
film
type thermoplastic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035B1 (ko
Inventor
이인영
이서인
Original Assignee
이인영
이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영, 이서인 filed Critical 이인영
Priority to KR102021014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03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5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garments and text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두 장의 섬유 원단(10) 사이에 개재된 후 열과 압력 발생시 섬유 원단(10)을 서로 맞붙여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는,
이형지(30)의 표면에 반구형 접착제(201)를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형성한 후 상기 이형지(30)를 벗겨내고 사용하되, 상기 반구형 접착제(201)를 연속해서 한 줄로 나란히 이어 붙여 하나의 반구형 접착제(201)와 인접한 다른 반구형 접착제(201) 사이에 교차 지점(C)을 갖는 하나의 제1접착라인(210)이 인접한 다른 제2접착라인(220)과 서로 간에 교차 지점(C)을 가지면서 교호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하나의 반구형 접착제(201)와 인접한 다른 반구형 접착제(201) 사이에 삼각형 모양의 통기공(23)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THERMOPLASTIC ADHESIVE FILM FOR TEXTILE FABRIC ADHESIVE}
본 발명은 신축성과 통기성이 우수하고 올 풀림 및 컬링 현상을 방지하는 속옷용 폴리우레탄 합성 섬유 원단에 적용되는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판덱스 원단을 겹쳐 열융착법으로 맞대어 붙이는 라미네이트 가공 시 필름형으로 얇게 만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접착제를 이용해서 접착하는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티나 브래지어, 란제리 등과 같은 각종 속옷은 보온과 위생 및 피부를 보호하고, 체형의 결점을 보정하기 위해 겉옷 안에 입는 것으로서, 흡습성과 통기성이 풍부하여 촉감이 좋고 탄성과 신축성을 지닌 것이 좋다.
이러한 속옷은 장식 등을 붙이거나 올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 오버로크(overlock) 재봉틀을 이용하여 가장자리를 마감처리하고 있다.
최근에는 가장자리 부분에 별도의 마감처리 없이도 올이 풀어지지 않고, 속옷을 착용했을 때 밀착감이 뛰어나 편안한 착용감과 신축성은 물론 몸에 배기거나 걸리는 부분(자국) 없이 매끄러운 라인을 살려주어 몸에 달라붙는 겉옷을 입더라도 가장자리 라인이 드러나지 않는 열융착 방식의 일명 스판덱스 원단이 각광을 받고 있다.
예컨대, 속옷용 스판덱스 원단은 신축성을 부여하고 구김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두 장의 스판덱스 원단 사이에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를 개재한 후, 그 표면을 열과 압력을 가하여 붙이는 무봉제 방식으로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의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통풍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는 핫멜트 필름 위에 폴리우레탄 수지나 아크릴 수지 점착제를 도트 코팅(dot coating)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점착제의 사용의 최소화하면서도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름형 접착제를 적용하여 합포(합지)한 스판덱스 원단은 그 점착제가 점의 집합으로 나타나는 도트처럼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합포(합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데다 당기는 힘에 의한 신축 과정에서 가장자리 부분이 쉽게 해지거나 원사(실)가 터지면서 올 풀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컬링(휨, 주름) 현상이 발생하여 재단이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특허등록 10-1855590 B1(2018.04.30) KR 특허등록 10-0397755 B1(2003.08.29) KR 특허등록 10-0772036 B1(2007.10.25) KR 특허공개 10-2018-0053851 A(2018.05.24)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속옷용 합성 섬유 원단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두 장의 합성 섬유 원단이 안정적으로 합포(합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통기성은 물론 탄력성과 신축성이 뛰어나 올 풀림 및 컬링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속옷용 합성 섬유 원단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신축성과 통기성이 우수하면서 가장자리 부분의 올 풀림 및 컬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두 장의 합성 섬유 원단 사이에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를 개재한 후, 그 표면을 열과 압력을 가하여 맞붙여 만든 속옷용 합성 섬유 원단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는, 이형지의 표면에 반구형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형성한 후 상기 이형지를 벗겨내고 사용하되, 상기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는, 이형지의 표면에 반구형 접착제가 이루는 하나의 제1원둘레와 인접한 반구형 접착제가 이루는 다른 제2원둘레 간에 서로 교차하는 교차 지점을 갖도록 가로로 연속해서 이어 붙여 형성된 제1접착라인 및 이형지의 표면에 반구형 접착제가 이루는 하나의 제3원둘레와 인접한 반구형 접착제가 이루는 다른 제4원둘레 간에 서로 교차하는 교차 지점을 갖도록 가로로 연속해서 이어 붙여 형성하되, 상기 제1접착라인의 제1 및 제2원둘레에 상기 제3원둘레가 각각 교차하는 교차 지점을 갖고, 상기 제1접착라인의 제2원둘레 및 그 제2원둘레와 인접한 다른 제1원둘레에 상기 제4원둘레가 각각 교차하는 교차 지점을 갖도록 상기 제1접착라인의 양쪽에 세로로 이어 붙여 형성된 제2접착라인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옷용 합성 섬유 원단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두 장의 합성 섬유 원단이 안정적으로 합포(합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통기성은 물론 탄력성과 신축성이 우수하여 가장자리 부분의 올 풀림 및 컬링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제1접착라인과 상기 제2접착라인 사이에 삼각형 모양의 통기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됨으로써 두 장의 합성 섬유 원단이 안정적으로 합포(합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제1접착라인 및 상기 제2접착라인의 교차 지점들은 하나의 반구형 접착제와 인접한 다른 반구형 접착제 사이에 움푹 패어 들어간 골 모양으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신축 시 반구형 접착제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가 완전히 끊어지지 않아 신축성과 통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가 반구형 접착제를 가로 및 세로로 길게 이어 붙여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그 반구형 접착제 간의 교차 지점들 사이사이에 통기공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두 장의 합성 섬유 원단이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에 의해 합포(합지)된 상태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통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가 외력을 받아 늘어남 등 변형 과정에서 각 교차 지점 중 일부분이 합성 섬유 원단과 분리되어 그 교차 지점의 원사가 맞물린 직조 상태나 혹은 짜여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움직임이 자유로워 신축성이 크고 구김이 잘 생기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원단을 신축 시 교차 지점이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스트레치성이 높아 올이 완전히 끊어지지 않고 틈이 자연스럽게 생기므로 신축력이 손실되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통기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원단이 해지거나 원사가 터지면서 발생하는 올 풀림과 컬링(휨, 주름)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를 분해하여 나타낸 국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 A부터 A'까지의 절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는, 속옷용 섬유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두 장의 합성 섬유 원단(10) 및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를 포함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 두 장의 합성 섬유 원단(10) 사이에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를 개재한 후, 그 표면을 열과 압력을 가하여 맞붙임으로써 신축성과 통기성이 우수하면서 올 풀림 및 컬링 현상을 방지하도록 만들 수 있다.
여기서 합성 섬유 원단(10)은 공지 소재로 폴리우레탄을 함유하고 있는 탄성사로 직조하여 얻거나, 폴리에테르와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용융방사하여 얻은 원사를 교호로 배열하여 직조하거나 혹은 나일론과 두 세 가지 섬유를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는 우레탄 수지가 적용되며 우레탄 소재의 반구형 접착제(21)를 이형지(30)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형성한 후, 그 이형지(30)를 벗겨내고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는 반구형 접착제(21)를 연속해서 한 줄로 나란히 이어 붙여 하나의 반구형 접착제(21)와 인접한 다른 반구형 접착제(21) 사이에 직선 형태의 교차 지점(C)을 갖는 하나의 제1접착라인(210)이 인접한 다른 제2접착라인(220)과 서로 간에 교차 지점(C)을 가지면서 교호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아울러 하나의 반구형 접착제(21)와 인접한 다른 반구형 접착제(21) 사이에는 대략 삼각형 형태의 통기공(23)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뚫려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는 제1접착라인(210)과 제2접착라인(220)을 포함하고 있다.
제1접착라인(210)은 반구형 접착제(21)가 이루는 하나의 제1원둘레(211)와 인접한 반구형 접착제(21)가 이루는 다른 제2원둘레(212) 간에 서로 교차하여 직선형태를 이루는 교차 지점(C)을 갖도록 가로로 연속해서 이어 붙여 형성되어 있다.
제2접착라인(220)은 반구형 접착제(21)가 이루는 하나의 제3원둘레(223)와 인접한 반구형 접착제(21)가 이루는 다른 제4원둘레(224) 간에 서로 교차하여 직선 구간을 형성하는 교차 지점(C)을 갖도록 가로로 연속해서 이어 붙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접착라인(220)은 제1접착라인(210)의 제1 및 제2원둘레(211)(212)에 제3원둘레(223)가 각각 교차하여 직선 구간을 형성하는 교차 지점(C)을 갖고, 제1접착라인(210)의 제2원둘레(212) 및 그 제2원둘레(212)와 인접한 다른 제1원둘레(211)에 제4원둘레(224)가 각각 교차하여 직선 구간을 형성하는 교차 지점(C)을 갖도록 제1접착라인(210)의 양쪽에 세로로 이어져 있다.
그리고 제1접착라인(210)과 제2접착라인(220) 사이에는 삼각형 모양의 통기공(230)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착라인(210) 및 제2접착라인(220)의 교차 지점(C)들은 하나의 반구형 접착제(21)와 인접한 다른 반구형 접착제(21) 사이에 일정 구간 직선으로 움푹 패어 들어간 골 모양으로 직선 구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가 반구형 접착제(21)를 가로 및 세로로 길게 이어 붙여 만든 제1접착라인(210) 및 제2접착라인(220)으로 인해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그 반구형 접착제(21)의 교차 지점(C)들 사이사이에 삼각형 모양의 통기공(23)이 뚫려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하 두 장의 합성 섬유 원단(10)이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에 의해 합포(합지)된 상태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통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반구형 접착제(21)의 모양은 높이보다 폭이 넓은 반구형을 이루고 있어 두 장의 합성 섬유 원단(10) 사이에 놓고 열융착 시 반구형 접착제(21)가 거의 편평하게 펴지면서 제1접착라인(210) 및 제2접착라인(220)에 골 모양으로 움푹 패어 들어간 각 교차 지점(C)들을 자연스럽게 메워 합성 섬유 원단(10)이 한층 더 견고하게 부합될 수 있다.
또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가 외력을 받아 늘어남 등 변형 과정에서 각 교차 지점(C) 중 일부분이 합성 섬유 원단(10)과 분리되기 때문에 그 교차 지점(C) 내 합성 섬유 원단(10)의 실이 맞물린 직조 상태나 혹은 짜여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움직임이 자유로워 신축성이 크고 구김이 잘 생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1접착라인(210) 및 제2접착라인(220)의 각 교차 지점(C)들은 하나의 반구형 접착제(21)와 인접한 다른 반구형 접착제(21) 사이에 움푹 패어 들어간 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소정구간 직선을 이루기 때문에 합성 섬유 원단(10)을 신축 시 각 교차 지점(C)이 탄성 변형되면서 스트레치성이 높아 올이 완전히 끊어지지 않고 분포적으로 틈이 자연스럽게 생겨 통기성이 풍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합성 섬유 원단(10)이 해지거나 원사가 터지면서 발생하는 올 풀림과 컬링(휨, 주름)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섬유 원단
20: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21: 반구형 접착제
23: 통기공 30: 이형지
210: 제1접착라인 211: 제1원둘레
212: 제2원둘레 220: 제2접착라인
223: 제3원둘레 224: 제4원둘레
C: 교차 지점

Claims (5)

  1. 두 장의 섬유 원단(10) 사이에 개재된 후 열과 압력 발생시 섬유 원단(10)을 서로 맞붙여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는,
    이형지(30)의 표면에 반구형 접착제(21)를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형성한 후 상기 이형지(30)를 벗겨내고 사용하되,
    상기 반구형 접착제(21)가 이루는 하나의 제1원둘레(211)와 인접한 반구형 접착제(21)가 이루는 다른 제2원둘레(212) 간에 서로 교차하는 교차 지점(C)을 갖도록 가로로 연속해서 이어 붙여 형성된 제1접착라인(210); 및
    상기 반구형 접착제(201)가 이루는 하나의 제3원둘레(223)와 인접한 반구형 접착제(21)가 이루는 다른 제4원둘레(224) 간에 서로 교차하는 교차 지점(C)을 갖도록 가로로 연속해서 이어 붙여 형성하되, 상기 제1접착라인(210)의 제1 및 제2원둘레(211)(212)에 상기 제3원둘레(223)가 각각 교차하는 교차 지점(C)을 갖고, 상기 제1접착라인(210)의 제2원둘레(212) 및 그 제2원둘레(212)와 인접한 다른 제1원둘레(211)에 상기 제4원둘레(224)가 각각 교차하는 교차 지점(C)을 갖도록 상기 제1접착라인(210)의 양쪽에 세로로 이어 붙여 형성된 제2접착라인(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라인(210)과 상기 제2접착라인(220) 사이에 삼각형 모양의 통기공(23)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라인(210) 및 상기 제2접착라인(220)의 각 교차 지점(C)들은 하나의 반구형 접착제(201)와 인접한 다른 반구형 접착제(201) 사이에 일정 길이 직선 구간을 형성하되 움푹 패어 들어간 골 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4. 두 장의 섬유 원단(10) 사이에 개재된 후 열과 압력 발생시 섬유 원단(10)을 서로 맞붙여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는,
    이형지(30)의 표면에 반구형 접착제(201)를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형성한 후 상기 이형지(30)를 벗겨내고 사용하되,
    상기 반구형 접착제(201)를 연속해서 한 줄로 나란히 이어 붙여 하나의 반구형 접착제(201)와 인접한 다른 반구형 접착제(201) 사이에 교차 지점(C)을 갖는 하나의 제1접착라인(210)이 인접한 다른 제2접착라인(220)과 서로 간에 교차 지점(C)을 가지면서 교호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하나의 반구형 접착제(201)와 인접한 다른 반구형 접착제(201) 사이에 삼각형 모양의 통기공(23)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20)는,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KR1020210145660A 2021-10-28 2021-10-28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KR10257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60A KR102573035B1 (ko) 2021-10-28 2021-10-28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60A KR102573035B1 (ko) 2021-10-28 2021-10-28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929A true KR20230060929A (ko) 2023-05-08
KR102573035B1 KR102573035B1 (ko) 2023-08-30

Family

ID=8638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660A KR102573035B1 (ko) 2021-10-28 2021-10-28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03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818A (ko) * 2000-06-13 2001-12-20 홍기영 의류 장식부재 합지용 접착테이프
KR100397755B1 (en) 2002-12-30 2003-09-13 Young Un Ahn Brassie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0044905A (ko) * 2001-09-14 2004-05-31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신규의 용이 부착성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72036B1 (ko) 2006-09-13 2007-10-31 (주)거산월드 통풍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2009007532A (ja) * 2007-06-29 2009-01-15 Nitto Shinko Kk ホットメルト接着シートならびにホットメルト接着シート製造方法
JP2010031100A (ja) * 2008-07-28 2010-02-12 Nitomuzu:Kk 粘着テープ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03375A (ko) * 2011-03-11 2012-09-19 (주)아셈스 신발 부분품 접착용 핫멜트 접착필름
KR20180032782A (ko) * 2016-09-23 2018-04-02 박희대 폴리우레탄 핫멜트 필름에 도포된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KR20180053851A (ko) 2016-11-14 2018-05-24 고미화 무봉제 속옷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818A (ko) * 2000-06-13 2001-12-20 홍기영 의류 장식부재 합지용 접착테이프
KR20040044905A (ko) * 2001-09-14 2004-05-31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신규의 용이 부착성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97755B1 (en) 2002-12-30 2003-09-13 Young Un Ahn Brassie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72036B1 (ko) 2006-09-13 2007-10-31 (주)거산월드 통풍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2009007532A (ja) * 2007-06-29 2009-01-15 Nitto Shinko Kk ホットメルト接着シートならびにホットメルト接着シート製造方法
JP2010031100A (ja) * 2008-07-28 2010-02-12 Nitomuzu:Kk 粘着テープ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03375A (ko) * 2011-03-11 2012-09-19 (주)아셈스 신발 부분품 접착용 핫멜트 접착필름
KR20180032782A (ko) * 2016-09-23 2018-04-02 박희대 폴리우레탄 핫멜트 필름에 도포된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55590B1 (ko) 2016-09-23 2018-05-04 박희대 폴리우레탄 핫멜트 필름에 도포된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KR20180053851A (ko) 2016-11-14 2018-05-24 고미화 무봉제 속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035B1 (ko)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4628B (zh) 粘合带
US20090068908A1 (en) Fabric having a thermoplastic fusible yarn, process of making a fabric containing a thermoplastic fusible yarn, and fabric article formed with a fabric containing a thermoplastic fusible yarn
CN106562482A (zh) 胸罩的部分以及胸罩
US8745829B2 (en) Closure for connecting straps of a garment
CN106455794B (zh) 化妆用片材
US10920110B2 (en) Tape for producing non-quilted articles and garment using the tape
JP2016005949A (ja) 車両用天井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921810B2 (ja) 帽子及び帽子の製造方法
KR102573035B1 (ko) 섬유 원단 접착을 위한 필름형 열가소성 접착제
ES2965446T3 (es) Componente de producto de consumo
US20190000696A1 (en) Short fiber nonwoven fabric, loop member for surface fastener, and sanitary article
CN105283160A (zh) 短裤型一次性尿布和短裤型一次性尿布的制造方法
JP6227940B2 (ja) カップ付衣類
JP7062594B2 (ja) ストレッチデニムや他の布地製品の縫目または裾の形成方法
WO2010013599A1 (ja) 湾曲型テープ、及び、これを備えた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WO2023276958A1 (ja) 布帛の解れ防止構造、布帛の解れ防止加工方法及び衣服
JP2016215441A (ja) 積層体布帛
CN107454826B (zh) 表面紧固件凹材料、表面紧固件以及吸收性商品
JP2016160546A (ja) 複合繊維構造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繊維構造体を用いた繊維製品
WO2023163036A1 (ja) 接着加工品
JP6370328B2 (ja) 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用一次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00032435A1 (en) Warp-Knitted Fabric And Elastic Article
JPH0529742U (ja) 不織布積層体
KR101604125B1 (ko) 직조 테이프용 원단
JP7420316B1 (ja) 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