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983A - 차량용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983A
KR20230059983A KR1020210144135A KR20210144135A KR20230059983A KR 20230059983 A KR20230059983 A KR 20230059983A KR 1020210144135 A KR1020210144135 A KR 1020210144135A KR 20210144135 A KR20210144135 A KR 20210144135A KR 20230059983 A KR20230059983 A KR 20230059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ushion pad
armrest
vehic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747B1 (ko
Inventor
김남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74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9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용 암레스트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는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지지되고, 공기의 주입이 가능한 튜브 형태로 마련되는 쿠션패드; 상기 쿠션패드 내부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쿠션패드에 연결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킹부재; 상기 패킹부재의 승강 조작을 위해 상기 패킹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암레스트{arm 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팔을 쿠션감 있게 지지하는 차량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암레스트가 마련되고, 암레스트 중에는 탑승자의 팔을 쿠션감 있게 지지할 수 있게 쿠션패드를 구비한 것이 있다.
통상 암레스트에 채용되는 쿠션패드는 폼이나 고무 등의 재질로 마련되어 그 경도가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쿠션패드의 경도가 고정되는 암레스트의 경우, 쿠션감 조절이 어렵게 된다.
탑승자에게 제공되는 쿠션감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암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조원가가 과도하게 상승되지 않으면서 쿠션감 조절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 차량용 암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는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지지되고, 공기의 주입이 가능한 튜브 형태로 마련되는 쿠션패드; 상기 쿠션패드 내부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쿠션패드에 연결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킹부재; 상기 패킹부재의 승강 조작을 위해 상기 패킹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 본체는, 상기 실린더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 상기 손잡이를 상기 본체 외부 측방으로 인출시키는 인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공은, 상기 손잡이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승강안내부; 승강 동작된 상기 손잡이의 승강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승강안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되는 승강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제한부는 상기 승강안내부와 직교하도록 마련된 복수개가 상기 승강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를 상기 실린더의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패킹부재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제1로드부; 상기 제1로드부의 하단부 상부로부터 상기 인출공 외부로 절곡 연장되는 제2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단이 상기 제2로드부 저부의 제1로드부의 하단부에 끼워지고, 하단이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패드의 내부공간에는 쿠션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쿠션체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쿠션체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쿠션체는 상면이 상기 내부공간 상부의 쿠션패드 내면과 이격 가능하도록 저면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 하부의 쿠션패드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 하부로 인출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나사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암레스트는 전동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쿠션패드의 경도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되므로, 탑승자에게 원하는 쿠션감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제조원가가 과도하게 상승되지 않으면서 쿠션감 조절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가 설치된 차량 도어의 내측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의 사시도로, 본체와 쿠션패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쿠션패드와 본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에 있어서, 쿠션패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에 있어서, 압력조절유닛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1)는 차량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차량의 내장재(2)에 마련될 수 있다.
내장재(1)는 차량 도어(3)의 내면을 형성하는 도어트림(4)이나, 차량의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콘솔박스의 외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암레스트(1)가 도어트림(4)에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한다.
차량용 암레스트(1)는 본체(10)와, 본체(10) 상부에 지지되는 쿠션패드(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는 도어트림(4)에 차실 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고, 쿠션패드(20)는 본체(10)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용 암레스트(1)에 지지되는 탑승자의 팔을 쿠션감 있게 지지할 수 있다.
차량용 암레스트(1)는 외면이 도어트림(4)의 내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스킨층(5)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스킨층(5)은 가죽이나 인조가죽 등의 원단이 될 수 있다.
쿠션패드(20)는 공기의 주입이 가능한 튜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쿠션패드(20)는 내부공간(21)에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팽창이 가능하도록 신축 가능한 연질의 소재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쿠션패드(20)의 일측에는 내부공간(21)으로 공기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22)가 마련될 수 있다. 주입구(22)는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차량용 암레스트(1)는 쿠션패드(20)의 경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것으로, 쿠션패드(20) 내부공간(21)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30)을 구비할 수 있다.
압력조절유닛(30)은 쿠션패드(20)의 경도를 가변시켜 쿠션패드(20)를 통해 탑승자에게 제공되는 쿠션감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압력조절유닛(30)은 내부공간(21)과 연통하도록 쿠션패드(20)에 연결되는 실린더(40)와, 실린더(4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킹부재(50)와, 패킹부재(50)의 승강 조작을 위해 패킹부재(50)에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10) 외부로 인출되는 손잡이(60)를 구비할 수 있다.
쿠션패드(20)의 저부 일측에는 통공(23)이 형성되고, 실린더(40)는 상단이 통공(23) 둘레의 쿠션패드(20) 저면에 결합되어 쿠션패드(20)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실린더(40)는 경질의 소재로 마련되어 형체가 고정될 수 있다.
패킹부재(50)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소재로 마련되고, 외주면을 통해 실린더(4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쿠션패드(20)의 내부공간(21)과 실린더(40) 내부공간(41)은 상호 연통된 상태에서 패킹부재(50)를 통해 밀폐되고, 패킹부재(50)가 실린더(40) 상에서 승강됨에 따라 쿠션패드(20)의 경도는 가변 될 수 있게 된다.
즉 패킹부재(50)가 실린더(40)에서 상승할 경우, 내부공간의(21) 압력이 상승하면서 쿠션패드(20)의 경도는 높아질 수 있다. 반대로 패킹부재(50)가 실린더(40)에서 하강할 경우, 내부공간(21)의 압력이 하강하면서 쿠션패드(20)의 경도는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암레스트(1)는 차량 탑승자가 손잡이(6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들어올리거나 내림에 따라 실린더(40) 상에서 패킹부재(50)의 높이가 달라지면서 쿠션패드(20)의 경도가 가변되고, 이에 따라 쿠션패드(20)를 통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쿠셤감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패킹부재(50)의 높이가 수동방식으로 조작되는 차량용 암레스트(1)는 별도의 전동기를 채용하지 않고서도 쿠션패드(20)의 경도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쿠션감 조절 기능을 구비함에 있어서 제조원가가 과도하게 상승할 우려가 없게 된다.
본체(10)는 실린더(40)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11)과, 손잡이(60)를 본체(10) 외부 측방으로 인출시키는 인출공(12)을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11)은 본체(10)의 상면 내측으로 형성되고, 손잡이(60)가 위치하는 실린더(40) 저부까지 내부로 수용할 수 있게 실린더(40)의 길이보다 깊게 마련될 수 있다.
안착홈(11)은 손잡이(60)의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인출공(12)과 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출공(12)은 손잡이(6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실린더(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승강안내부(12a)와, 승강 조작된 손잡이(60)의 승강을 제한하기 위해 승강안내부(12a)와 통하도록 형성되는 승강제한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60)는 승강안내부(12a)로 위치된 상태에서 패킹부재(50)를 승강시킬 수 있고, 손잡이(60)가 승강제한부(12b)로 위치된 상태에서 패킹부재(50)는 승강이 제한된 상태로 실린더(40) 상에서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승강제한부(12b)는 복수개가 승강안내부(12a)와 직교하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승강제한부(12b)는 승강안내부(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킹부재(50)의 높이가 실린더(40) 상에서 다단으로 제한됨에 따라 쿠션패드(20)의 경도는 단계별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손잡이(60)는 패킹부재(50)로부터 실린더(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제1로드부(61)와, 제1로드부(61)로부터 인출공(12) 외부로 절곡 연장되는 제2로드부(62)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60)의 회전 조작을 위해 제1로드부(61)는 상단을 통해 패킹부재(50)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로드부(62)는 제1로드부(61)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절곡 되어 인출공(12)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차량용 암레스트(1)를 덮는 스킨층(5)에는 인출공(12) 형상의 연통공이 인출공(12)과 일치하도록 마련되고, 손잡이(60)는 연통공을 통해 스킨층(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참고로 스킨층(5)에는 주입구(22)와 연통하는 통공(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패드(20)의 내부공간(21)에는 쿠션체(70)가 마련되고, 쿠션체(70)는 경도가 고정되도록 폼이나 고무 등의 재질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쿠션체(70)는 튜브 형태로 마련되는 쿠션패드(20)의 특성을 감안하여 마련된 것으로, 쿠션패드(20)나 패킹부재(50) 등이 손상되어 쿠션패드(20) 내부공간(21)의 공기가 제거되는 경우에도 쿠션패드(20)가 기본적인 탄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쿠션체(70)는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쿠션체(70)는 쿠션패드(20) 내부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내부공간(21)에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쿠션체(70) 사이의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쿠션체(70)는 내부공간(21)에 고정될 수 있다.
쿠션체(70)는 상면이 내부공간(21) 상부의 쿠션패드(20) 내면과 이격 가능하도록 저면을 통해 내부공간(21) 하부의 쿠션패드(20)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쿠션체(70) 저면은 쿠션패드(20)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쿠션패드(20)는 쿠션체(70)가 내장된 상태에서도, 내부공간(21)의 압력 변화시 상면을 통해 탑승자에게 제공되는 쿠션감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암레스트(1)는 손잡이(60′)를 실린더(40)의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80)는 손잡이(60′)를 쿠션패드(20)의 압력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조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에 의한 손잡이(60′)의 조작성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손잡이(60′)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80)는 탑승자가 손잡이(6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패킹부재(50)가 실린더(40)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손잡이(60′)의 조작 오류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60′)는 패킹부재(50)로부터 실린더(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제1로드부(61′)와, 제1로드부(61′)의 하단부 상부로부터 인출공(12) 외부로 절곡 연장되는 제2로드부(6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80)는 상단이 제2로드부(62′) 저부의 제1로드부(61′)의 하단부에 끼워지고, 하단이 본체(10)에 지지되는 스프링(81)으로 마련되어 손잡이(60′)와 본체(10) 사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로드부(61′)의 위치에 대응하는 본체(10)의 안착홈(11) 저면에는 돌기(13)가 마련되고, 스프링(81)의 하단은 돌기(13) 둘레에 끼워진 상태로 본체(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0)는 본체(10) 하부로 인출되고, 본체(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나사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체(10) 저부에는 손잡이(60)의 인출을 위해 내주에 암나선(14)이 가공된 인출공(15)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60)는 암나선(15)과 나사 결합하는 수나선(63)이 외주에 형성된 직선형의 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60)는 상단을 통해 패킹부재(50)에 결합하고, 수나선(63)은 손잡이(60)의 하부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본체(10) 하부로 인출된 손잡이(6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패킹부재(50)의 높이를 조절하여 쿠션패드(20)의 경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손잡이(60)의 회전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손잡이(60)의 하단에는 손가락 파지부(64)가 저부로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60)의 인출 구조에서는 손잡이(60)가 탑승자 쪽으로 쉽게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손잡이(60)에 의해 차량용 암레스트(1)의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때는 손잡이(60)의 인출을 위해 본체(10)에 마련되는 인출공(14)을 단순한 형태로 마련할 수 있게 되고, 손잡이(60)를 회전시키는 방향이나 손잡이(60)의 회전 정도를 달리하는 방식으로 쿠션패드(20)의 내부공간(21)의 압력을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 차량용 암레스트 10: 본체
20: 쿠션패드 21: 내부공간
30: 압력조절유닛 40: 실린더
50: 패킹부재 60: 손잡이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지지되고, 공기의 주입이 가능한 튜브 형태로 마련되는 쿠션패드;
    상기 쿠션패드 내부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쿠션패드에 연결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킹부재;
    상기 패킹부재의 승강 조작을 위해 상기 패킹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실린더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
    상기 손잡이를 상기 본체 외부 측방으로 인출시키는 인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공은,
    상기 손잡이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승강안내부;
    승강 조작된 상기 손잡이의 승강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승강안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되는 승강제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제한부는 상기 승강안내부와 직교하도록 마련된 복수개가 상기 승강안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상기 실린더의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패킹부재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제1로드부;
    상기 제1로드부의 하단부 상부로부터 상기 인출공 외부로 절곡 연장되는 제2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단이 상기 제2로드부 저부의 제1로드부의 하단부에 끼워지고, 하단이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드의 내부공간에는 쿠션체가 마련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체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쿠션체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체는 상면이 상기 내부공간 상부의 쿠션패드 내면과 이격 가능하도록 저면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 하부의 쿠션패드 내면에 고정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 하부로 인출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KR1020210144135A 2021-10-27 2021-10-27 차량용 암레스트 KR10259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135A KR102599747B1 (ko) 2021-10-27 2021-10-27 차량용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135A KR102599747B1 (ko) 2021-10-27 2021-10-27 차량용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983A true KR20230059983A (ko) 2023-05-04
KR102599747B1 KR102599747B1 (ko) 2023-11-09

Family

ID=8637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135A KR102599747B1 (ko) 2021-10-27 2021-10-27 차량용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747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5638U (ko) * 1988-12-22 1990-07-05
EP0669221A1 (fr) * 1994-02-28 1995-08-30 Automobiles Peugeot Accoudoir réglable en hauteur pour véhicule automobile
KR970021673A (ko) * 1995-10-04 1997-05-28 한승준 연소공기 온도 저감용 폐회로를 가지는 터어보 엔진
KR970036750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차량용 암레스트
JPH09191974A (ja) * 1996-01-11 1997-07-29 Davidson Textron Inc 自動車の内装トリムのための調節自在の支え面
KR0131118Y1 (ko) * 1994-06-23 1998-12-15 전성원 콘솔박스의 아암레스트 쿠션장치
KR200256511Y1 (ko) * 2001-08-10 2001-12-24 유호상 골반 교정용 의자
JP2004196126A (ja) * 2002-12-18 2004-07-15 Aisin Seiki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7105292A (ja) * 2005-10-14 2007-04-26 Kokuyo Furniture Co Ltd 椅子
KR20170064090A (ko) * 2015-11-30 2017-06-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암레스트
JP2018001909A (ja) * 2016-06-30 2018-01-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触感提示装置
JP2018149910A (ja) * 2017-03-13 2018-09-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アームレスト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5638U (ko) * 1988-12-22 1990-07-05
EP0669221A1 (fr) * 1994-02-28 1995-08-30 Automobiles Peugeot Accoudoir réglable en hauteur pour véhicule automobile
KR0131118Y1 (ko) * 1994-06-23 1998-12-15 전성원 콘솔박스의 아암레스트 쿠션장치
KR970021673A (ko) * 1995-10-04 1997-05-28 한승준 연소공기 온도 저감용 폐회로를 가지는 터어보 엔진
KR970036750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차량용 암레스트
JPH09191974A (ja) * 1996-01-11 1997-07-29 Davidson Textron Inc 自動車の内装トリムのための調節自在の支え面
KR200256511Y1 (ko) * 2001-08-10 2001-12-24 유호상 골반 교정용 의자
JP2004196126A (ja) * 2002-12-18 2004-07-15 Aisin Seiki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7105292A (ja) * 2005-10-14 2007-04-26 Kokuyo Furniture Co Ltd 椅子
KR20170064090A (ko) * 2015-11-30 2017-06-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암레스트
JP2018001909A (ja) * 2016-06-30 2018-01-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触感提示装置
JP2018149910A (ja) * 2017-03-13 2018-09-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アームレ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747B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7421B2 (en) Electro-active polymer actuators for vehicle seating applications
US5816645A (en) Adjustable resting surfaces for automotive interior trim
US10358054B2 (en) Variable-sized seat back for a vehicle seat
CN108725279A (zh) 具有可调节的扶手的车辆控制台
US20120007399A1 (en) Integrated lumbar for thin seat
US9713974B2 (en) Vehicle seat with head and neck support
EP2572928B1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a vehicular suspension seat
KR20230059983A (ko) 차량용 암레스트
KR20100134365A (ko) 허리받침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의자
US20180312093A1 (en) Vehicle comprising a deformable feet support device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CN208411509U (zh) 车辆扶手调整机构
CN205728832U (zh) 一种人体工学工作座椅
CN114788779A (zh) 一种按摩装置、按摩器、按摩座椅和车辆
KR20130112510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및 슬리브 결합구조
KR20170064090A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KR200152311Y1 (ko) 시트 암레스트 조립체
KR20020090668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US10696200B2 (en) Trim element comprising a support surface positionable in a plurality of positions
KR0131118Y1 (ko) 콘솔박스의 아암레스트 쿠션장치
KR0117358Y1 (ko) 팔걸이가 부착된 자동차용 시트
KR102420607B1 (ko) 변위 조절식 콘솔 암레스트
KR200175772Y1 (ko) 운전자무릎옆부분지지장치
KR20240008573A (ko) 의자용 좌판 쿠션
JP6785127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