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090A - 자동차의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090A
KR20170064090A KR1020150168874A KR20150168874A KR20170064090A KR 20170064090 A KR20170064090 A KR 20170064090A KR 1020150168874 A KR1020150168874 A KR 1020150168874A KR 20150168874 A KR20150168874 A KR 20150168874A KR 20170064090 A KR20170064090 A KR 20170064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ushion
armrest
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16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4090A/ko
Publication of KR20170064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6
    • B60N2/4626
    • B60N2/466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 트림에 설치되는 암레스트; 상기 암레스트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에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쿠션감으로 쿠션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암레스트{Arm rest for vehicle }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팔을 거치하는 암레트스의 쿠션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감성적 품질 요구조건이 향상되어 예전에 제기하지 않았던 세세한 부분까지 개선을 요구하는 경우가 증대하고 있다.
특히, 암레스트의 쿠션감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이 증대하고 있어 이를 개선할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도어 트림을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도어 트림(10)의 중앙부에는 암레스트(11)가 설치되고, 암레스트(11)의 일측에는 쿠션 패드(13)가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암레스트(11)에 사용되는 쿠션패드(13)은 단순한 쿠션패드나 폼(FOAM)을 사용하여 암레스트(11)에 쿠션감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폼 재질은 성형과정에서 산포가 발생함에 따라 원하는 쿠션감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발포라는 공법특성상 발포율이 셋팅되면 변경할 수 없으므로 한번 설정된 쿠션감을 변경할 수 없어 각기 다른 고객의 감성품질을 만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41499호(2002.06.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암레스트 쿠션부의 쿠션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고객들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는, 자동차의 도어 트림에 설치되는 암레스트; 상기 암레스트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에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력 조절부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공기에 압력을 가하는 공기 압축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쿠션부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기 공급관 및 공기 배출관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암레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에서 상기 쿠션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에는 상기 공기 공급관과 상기 공기 배출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압력 조절부를 조작하여 상기 쿠션부의 쿠션감을 조절할 수 있는 동작 버튼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동작 버튼은, 상기 쿠션부의 쿠션감을 조절하도록 압력의 세기에 따른 다단의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쿠션부의 쿠션감을 조절하는 압력을 상승시키는 상승 버튼과 압력을 하강시키는 하강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암레스트 쿠션부의 쿠션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고객들의 요구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버튼을 통해 간단히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신속하게 쿠션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도어 트림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에 구비된 압력 조절부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에 구비된 쿠션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는, 자동차의 도어 트림에 설치되는 암레스트(111)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쿠션부(113)이 설치된다.
한편, 도 2에서 쿠션부(113)를 제거한 (b)를 참조하면, 암레스트(111)에는 압력 조절부(미도시)의 공기 공급관(미도시) 및 공기 배출관(미도시)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111a)이 2개 형성되며, 암레스트(111)의 상측면에는 쿠션부(113)가 장착될 때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11b)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에 구비된 압력 조절부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의 단면이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에 구비된 압력 조절부(115)는 암레스트(111)의 하측에 위치되고, 도어 트림(110)에 장착 고리(112)에 의해 장착 고정된다.
압력 조절부(115)에서 공급 또는 흡입되는 에어는 공기 공급관(117a) 및 공기 배출관(111b)에 의해 암레스트(111) 상측에 위치한 쿠션부(113)로 공급되거나 흡입되게 된다.
공기 공급관(117a)와 공기 배출관(117b)는 암레스트(111)에 형성된 관통홀(111a)을 관통하여 쿠션부(113)와 연결된다.
여기서, 압력 조절부(115)는, 공기나 유압 등 다양한 유체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여러 수단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공기에 압력을 가하는 소형의 공기 압축기로 구성하였다.
쿠션부(113)는 에어백 형태의 부품으로 압력 조절부(115)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면 탄력적으로 단단한 쿠션감이나 물렁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에 구비된 쿠션부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쿠션부(113)의 배면에는 공기 공급관(117a) 및 공기 배출관(117b)이 체결되고 암레스트(111)의 관통홀(111a)에 장착되는 관 체결부(113a)와, 암레스트(111)의 결합돌기(11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요홈(113b)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암레스트(111)의 일측에는 압력 조절부(115)의 압력을 조절하여 쿠션부(113)의 쿠션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동작 버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버튼(미도시)은, 쿠션부(113)의 쿠션감을 조절하도록 압력의 세기에 따른 다단의 버튼들(예를 들면, 1,2,3단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의 쿠션감을 조절하는 압력을 상승시키는 압력 상승 버튼과 압력을 하강시키는 압력 하강 버튼의 2개의 구성으로 동작 버튼(미도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은 편안한 자세를 위해 암레스트(111)에 팔을 거치하게 된다. 이때, 탑승객은 암레스트(111) 상단의 쿠션부(113)에 팔이 맞닿게 된다.
탑승객이 쿠션부(113)의 쿠션감을 조절하려고 판단하면, 동작 버튼(미도시)를 눌러 압력 조절부(115)를 조작한다.
탑승객이 보다 단단한 쿠션감을 원하여 압력을 상승시키면 압력 조절부(115)에서는 공기를 공급하여 쿠션부(113)가 부풀게 됨으로써 보다 단단해진 쿠션감을 느낄수 있게 된다.
반면, 탑승객이 보다 연한 쿠션감을 원하여 압력을 하강시키면 압력 조절부(115)에서는 공기를 흡입하여 쿠션부(113)가 보다 연한 상태의 쿠션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암레스트는 자동차의 도어 내측에 장착되는 도어 트림(110)에 운전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쿠션부(113)의 쿠션감을 운전자가 원하는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레스트의 쿠션감에 대한 고객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상품의 고급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자동차의 암레스트는 기존의 암레스트(111)의 기본구조를 유지하고, 외관 디자인의 변경없이 내측에 관통홀(111a)를 구비하여 추가적인 압력 조절부(115)를 설치하여 제작되므로 구조적인 측면에서 장점이 있으며, 옵션사양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도어 트림 111: 암레스트
112: 장착 고리 113: 쿠션부
113a: 관 체결부 113b: 결합요홈
115: 압력 조절부 117a: 공기 공급관
117b: 공기 배출관

Claims (6)

  1. 자동차의 도어 트림에 설치되는 암레스트;
    상기 암레스트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에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는,
    공기에 압력을 가하는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쿠션부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기 공급관 및 공기 배출관;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암레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에서 상기 쿠션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에는 상기 공기 공급관과 상기 공기 배출관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는,
    상기 압력 조절부를 조작하여 상기 쿠션부의 쿠션감을 조절할 수 있는 동작 버튼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작 버튼은,
    상기 쿠션부의 쿠션감을 조절하도록 압력의 세기에 따른 다단의 버튼들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작 버튼은,
    상기 쿠션부의 쿠션감을 조절하는 압력을 상승시키는 상승 버튼과 압력을 하강시키는 하강 버튼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암레스트.


KR1020150168874A 2015-11-30 2015-11-30 자동차의 암레스트 KR20170064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874A KR20170064090A (ko) 2015-11-30 2015-11-30 자동차의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874A KR20170064090A (ko) 2015-11-30 2015-11-30 자동차의 암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090A true KR20170064090A (ko) 2017-06-09

Family

ID=5921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874A KR20170064090A (ko) 2015-11-30 2015-11-30 자동차의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40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4956A (zh) * 2019-11-28 2020-02-11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防止后排大扶手晃动的机构
KR20230059983A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암레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4956A (zh) * 2019-11-28 2020-02-11 重庆延锋安道拓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防止后排大扶手晃动的机构
CN110774956B (zh) * 2019-11-28 2024-02-20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防止后排大扶手晃动的机构
KR20230059983A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암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94279B (zh) 用于车辆座椅总成的气囊系统
US9630533B2 (en) Switch for selecting and adjusting seat-related functions of motor vehicle seats
US9527421B2 (en) Electro-active polymer actuators for vehicle seating applications
US20110084539A1 (en) Seat Cushion With Bubble Elements
JPH05115335A (ja) 自動車用座席
CN107107797B (zh) 座椅
US20050280294A1 (en) Vehicle seat
US20080191531A1 (en) Adjustable depth vehicle seat system
US10300824B2 (en) Vehicle seat with an adjustable seat base and method for adjusting an adjustable seat base
CN108297752B (zh) 分布板载荷分配
CN107804200B (zh) 一种用于车辆座椅的支撑组件
KR100805475B1 (ko) 차량용 시트의 서포트 장치
EP3216647A1 (en) Seat cushion pad and seat
KR20170064090A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CN108725286B (zh) 包括可变形的脚支撑装置的车辆
CN109774558B (zh) 包括模块化泡沫装置的座椅组件及其制造方法
US10358066B2 (en) Seat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seat system of a motor vehicle
KR101221678B1 (ko) 차량용 공압 마사지 장치의 제어장치
WO2003004355A3 (de) Passagiersitz für ein verkehrsmittel
JP6712351B1 (ja) 車両用シート
JP7335884B2 (ja) 車両用シート及びシートパッド
KR102261425B1 (ko) 차량용 시트
KR200484331Y1 (ko) 자동차 도어용 팔걸이
US9119472B2 (en) Movable seat insert
CN110194087B (zh) 车辆内部设备部件、相关车辆和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