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365A - 허리받침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허리받침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365A
KR20100134365A KR1020090052961A KR20090052961A KR20100134365A KR 20100134365 A KR20100134365 A KR 20100134365A KR 1020090052961 A KR1020090052961 A KR 1020090052961A KR 20090052961 A KR20090052961 A KR 20090052961A KR 20100134365 A KR20100134365 A KR 20100134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backrest
waist
suppor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097B1 (ko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웰
Priority to KR1020090052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097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받침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부재, 이 등받이부재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부재, 및 이 등받이부재에 대해 허리지지부재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착석자의 허리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계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의자, 등받이, 허리받침

Description

허리받침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의자{SEAT MEMBER AND CHAIR THEREWITH}
본 발명은 허리받침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허리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계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허리받침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다 쾌적한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여러 종류의 의자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전술한 종래의 일반적인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부와, 등을 지지시키기 위한 등받이부가 고정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좌판의의 하부 즉, 고정프레임의 저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바퀴가 부설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기 위한 허리 지지장치가 구비된다.
기존의 허리 지지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의자의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원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게 허리 지지장치의 위치를 쉽게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의자에 장착되는 위치조절부를 외력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허리지지부재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허리받침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는: 등받이부재, 상기 등받이부재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에 대해 상기 허리지지부재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등받이부재에 함몰되는 가이드홈부, 상기 허리지지부재에서 연장되는 리브, 상기 리브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승하강 안내되는 가이드돌부, 상기 가이드돌부가 상기 가이드홈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재를 커버링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의 외측으로 돌출 되도록 상기 리브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는, 상기 허리지지부재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메인리브, 상기 가이드돌부를 갖는 서브리브, 및 상기 메인리브와 상기 서브리브를 전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메인리브에 장방형으로 통공된 슬롯홀부, 상기 슬롯홀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서브리브의 일측에 돌출되는 끼움돌부, 상기 슬롯홀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편부, 및 상기 지지편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끼움돌부의 측부위에 함몰 형성된 지지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좌판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허리받침용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허리받침용 시트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등받이부재, 상기 등받이부재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에 대해 상기 허리지지부재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측으로 브라켓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은 유동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재를 허용 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부는, 상기 등받이부재에 통공된 삽입홀부, 상기 삽입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과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등받이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패드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의자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의자에 장착되는 위치조절부를 외력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허리지지부재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위치조절부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호환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의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의 위치조절부 분해 사 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와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프레임(10), 좌판부재(20), 허리받침용 시트(1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좌판부재(20)와 허리받침용 시트(100)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팔걸이(30)는 프레임(10) 또는 좌판부재(20)에 지지된다. 편의상, 팔걸이(30)는 좌판부재(20) 하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팔걸이(30)는 프레임(10) 또는 좌판부재(20)에 자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프레임(10) 또는 좌판부재(2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좌판부재(20)는 프레임(10)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 좌판부재(20)는 착석자의 엉덩이와 직접적으로 접하여 착석자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좌판부재(20)는 프레임(10)에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프레임(1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좌판부재(20)는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프레임(10)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좌판부재(2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허리받침용 시트(100)는 프레임(10)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허리받침용 시트(100)는 허리 중 전측으로 들어간 하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도 3에서처럼, 허리받침용 시트(100)는 등받이부재(110), 허리지지부재(120) 및 위치조절부(130)를 포함한다.
이 등받이부재(110)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허리지지부재(120)는 등받이부재(110)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허리지지부재(120)는 등받이부재(110)의 전측 하부에 접하게 형성되어 착석자의 허리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허리지지부재(120)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허리지지부재(120)는 착석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등받이부재(110)에 대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허리지지부재(120)는 위치조절부(130)에 연결된다.
이때, 위치조절부(130)는 가이드홈부(140), 리브(150), 가이드돌부(160), 커버부재(170) 및 손잡이(180)를 포함한다.
가이드홈부(140)는 등받이부재(110)에 함몰 형성된다. 특히, 가이드홈부(140)는 등받이부재(110)의 전측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고, 상하??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가이드홈부(14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리브(150)는 허리지지부재(120)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때, 리브(150)는 허리지지부재(120)에서 가이드홈부(140) 각각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브(150)는 허리지지부재(120)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나, 허리지지부재(12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리브(15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부(160)는 리브(150)에 형성되어 대응되는 가이드홈부(140)에 수용된다.
그래서, 가이드돌부(160)는 외력에 의해 가이드홈부(140)를 따라 승하강된다.
따라서, 가이드돌부(160)는 가이드홈부(140)의 길이만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된다.
물론, 가이드돌부(1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가이드홈부(140)에 수용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가이드돌부(160)는 리브(15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리브(150)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부재(170)는 가이드홈부(140)에 수용된 가이드돌부(160)의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커버부재(170)는 등받이부재(110)를 커버링한다.
특히, 커버부재(170)는 등받이부재(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커버부재(170)는 끼움결합이나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등받이부재(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커버부재(170)는 착석자의 등과 직접적으로 접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허리지지부재(120)와 위치조절부(13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커버부재(170)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허리지지부재(120)는 등받이부재(110)와 커버부재(170) 사이에 위치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등받이부재(110) 또는 커버부재(170)와 간섭을 발생하여 쉽게 승하강되지 못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등받이부재(110)와 커버부재(170)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부위에 스폰지 등과 같은 마찰저감부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허리지지부재(120)가 등받이부재(110)와 커버부재(170) 사이에서 쉽게 오르락내리락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리브(150)는 각 단부에 손잡이(180)를 형성한다. 이 손잡이(180)는 등받이부재(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래서, 도 5에서처럼, 사용자가 손잡이(180)를 잡고 들어올리거나 내리면, 허리지지부재(120)는 등받이부재(110)와 커버부재(170) 사이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특히, 착석자가 착석하게 되면, 커버부재(170)와 허리지지부재(120)는 등받 이부재(110)에 밀착되기 때문에 허리지지부재(120)는 위치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4에서처럼, 리브(150)는 메인리브(151), 서브리브(152) 및 길이조절부(153)를 포함한다.
메인리브(151)는 허리지지부재(120)에 직접적으로 연결 형성된다. 즉, 메인리브(151)는 허리지지부재(120)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이 메인리브(151)는 허리지지부재(120)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리브(151)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서브리브(152)는 메인리브(151)와 별도로 성형되고, 가이드돌부(160)를 구비한다.
즉, 서브리브(152)와 가이드돌부(160)는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허리지지부재(120)는 등받이부재(110)의 중앙부위에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등받이부재(110)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등받이부재(110) 중심에서 가이드홈부(140)까지의 거리는 다양해 질 수 있다.
따라서, 리브(150)의 길이는 가변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리브(151)와 서브리브(152)의 전체 길이는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메인리브(151)와 서브리브(152)는 길이조절부(153)에 의해 전체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길이조절부(153)는 슬롯홀부(154), 끼움돌부(155), 지지편부(156) 및 지지홈부(157)를 포함한다.
슬롯홀부(154)는 메인리브(151)의 축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양측으로 통공된다.
그리고, 끼움돌부(155)는 서브리브(15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이 끼움돌부(155)는 메인리브(151)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슬롯홀부(154)에 삽입된다. 끼움돌부(15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서브리브(152)와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지편부(156)는 슬롯홀부(154)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지지편부(156)는 끼움돌부(155)가 슬롯홀부(154)에 최초 삽입되는 위치를 제외한 슬롯홀부(154)의 내측면을 따라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얇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지편부(156)는 메인리브(151)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지지편부(15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지지홈부(157)는 끼움돌부(155)의 측부위에 함몰 형성된다. 이 지지홈부(157)는 지지편부(156)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끼움돌부(155)는 지지편부(156)에 지지되며 슬롯홀부(154) 내부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메인리브(151)와 서브리브(152)의 전체 길이는 슬롯홀부(154)의 길이만큼 길이 가변된다.
한편, 프레임(10)은 상측으로 브라켓(210)을 연장 형성한다.
그래서, 브라켓(210)은 등받이부재(1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브라켓(210)은 프레임(10)에 일체로 성형되어 소정 거리만큼 등받이부재(110)를 포함한 허리받침용 시트(100)의 전,후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등받이부재(110)는 브라켓(21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소정 유동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브라켓(210)은 유동부(220)에 의해 등받이부재(110)를 허용 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유동부(220)는 등받이부재(110)가 브라켓(210)에 대해 전, 후, 좌 및 우 방향으로 소정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브라켓(2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나, 편의상 'Y'자 형상으로 도시한다.
도 6에서처럼, 유동부(220)는 삽입홀부(222), 체결부재(224) 및 탄성패드부재(226)를 포함한다.
삽입홀부(222)는 등받이부재(110)에 통공된다. 여기서, 브라켓(210)이 'Y'자 형상이기 때문에 삽입홀부(222)는 등받이부재(110)에 3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결부재(224)는 삽입홀부(222) 각각에 삽입되어 브라켓(210)과 체결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체결부재(224)는 볼트 등 기계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탄성패드부재(226)는 체결부재(224)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삽입홀부(222) 내측에 삽입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탄성패드부재(226)는 브라켓(210)에 체결된 체결부재(224)에 대해 등받이부재(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탄성패드부재(226)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등받이부재(110)는 탄성적으로 다방향으로 소정 유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탄성패드부재(226)는 완충력도 갖게 된다. 이 탄성패드부재(226)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를 구비한 의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의 위치조절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받침용 시트와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00: 허리받침용 시트
110: 등받이부재 120: 허리지지부재
130: 위치조절부 140: 가이드홈부
150: 리브 160: 가이드돌부
170: 커버부재 180: 손잡이

Claims (8)

  1. 등받이부재;
    상기 등받이부재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에 대해 상기 허리지지부재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침용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등받이부재에 함몰되는 가이드홈부;
    상기 허리지지부재에서 연장되는 리브;
    상기 리브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승하강 안내되는 가이드돌부;
    상기 가이드돌부가 상기 가이드홈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등받이부재를 커버링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리브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침용 시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허리지지부재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메인리브;
    상기 가이드돌부를 갖는 서브리브; 및
    상기 메인리브와 상기 서브리브를 전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침용 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메인리브에 장방형으로 통공된 슬롯홀부;
    상기 슬롯홀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서브리브의 일측에 돌출되는 끼움돌부;
    상기 슬롯홀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편부; 및
    상기 지지편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끼움돌부의 측부위에 함몰 형성된 지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침용 시트.
  5.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좌판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허리받침용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용 시트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등받이부재;
    상기 등받이부재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에 대해 상기 허리지지부재의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측으로 브라켓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은 유동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재를 허용 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등받이부재에 통공된 삽입홀부;
    상기 삽입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과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등받이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패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090052961A 2009-06-15 2009-06-15 의자의 허리받침용 시트 KR101059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61A KR101059097B1 (ko) 2009-06-15 2009-06-15 의자의 허리받침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61A KR101059097B1 (ko) 2009-06-15 2009-06-15 의자의 허리받침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65A true KR20100134365A (ko) 2010-12-23
KR101059097B1 KR101059097B1 (ko) 2011-08-24

Family

ID=43509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961A KR101059097B1 (ko) 2009-06-15 2009-06-15 의자의 허리받침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0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666B1 (ko) * 2014-05-02 2015-03-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등받이 조립체
KR101505665B1 (ko) * 2014-05-02 2015-03-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 조립체
KR20160067494A (ko) * 2014-12-04 2016-06-14 정상진 의자의 등받이 구조
CN108260972A (zh) * 2011-06-08 2018-07-10 霍沃思公司 座椅,尤其是办公椅
KR102616682B1 (ko) * 2023-08-10 2023-12-21 주식회사 기영포맥스 메쉬의자의 지지부위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343B1 (ko) 2018-04-11 2019-08-28 주식회사 네오퍼스 요추지지력이 향상된 의자
KR102166940B1 (ko) 2018-10-04 2020-10-30 연봉흠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360Y1 (ko) * 2003-08-06 2003-10-23 현대금속 (주) 위치조절이 가능한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그물의자용 등받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0972A (zh) * 2011-06-08 2018-07-10 霍沃思公司 座椅,尤其是办公椅
CN108260972B (zh) * 2011-06-08 2022-01-14 霍沃思公司 座椅,尤其是办公椅
KR101505666B1 (ko) * 2014-05-02 2015-03-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등받이 조립체
KR101505665B1 (ko) * 2014-05-02 2015-03-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 조립체
KR20160067494A (ko) * 2014-12-04 2016-06-14 정상진 의자의 등받이 구조
KR102616682B1 (ko) * 2023-08-10 2023-12-21 주식회사 기영포맥스 메쉬의자의 지지부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097B1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097B1 (ko) 의자의 허리받침용 시트
CN104276066B (zh) 用于车辆座椅总成的装饰物附接装置
US6296313B1 (en) Adjusting device for an armrest of a chair
US6726278B1 (en) Back pad for chair back
US9706848B2 (en) Waist supporting device equipped electric apparatus for lying and/or sitting
KR101967201B1 (ko) 요추받이부 굴곡조절모듈이 구비된 의자
CN105902034B (zh) 一种头枕自动调节的沙发
KR20140013899A (ko) 의자의 조절장치
CN108297752A (zh) 分布板载荷分配
KR102382087B1 (ko) 의자의 탄성력 있는 굴곡조절모듈
CN201360765Y (zh) 座椅腰靠上下调节结构
CN210018655U (zh) 机械儿童升降椅
KR102041978B1 (ko)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KR101101872B1 (ko) 의자의 요추 지지장치
KR20110031591A (ko) 의자용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JP3189545U (ja) 椅子及び椅子セット
KR101759479B1 (ko) 의자용 등받이
KR20110031589A (ko) 의자용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228159B1 (ko) 의자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 구조
KR20220153812A (ko) 각도와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JP3188287U (ja) 椅子
KR102445563B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KR20100110009A (ko) 발받침대
JP5599645B2 (ja) 車両用シート
CN220675601U (zh) 一种便捷调节腰枕的办公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