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893A - 차광율이 향상되어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 Google Patents

차광율이 향상되어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893A
KR20230058893A KR1020210142674A KR20210142674A KR20230058893A KR 20230058893 A KR20230058893 A KR 20230058893A KR 1020210142674 A KR1020210142674 A KR 1020210142674A KR 20210142674 A KR20210142674 A KR 20210142674A KR 20230058893 A KR20230058893 A KR 20230058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blind fabric
ligh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493B1 (ko
Inventor
김재홍
남성욱
최종덕
김희동
최익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텍스
Priority to KR102021014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4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5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03D15/46Flat yarns, e.g. tapes or fil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광부와 투광부가 교번되게 형성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에 있어서, 차광부는 외부에 노출되는 양측의 외층 사이에 중간층의 3중 직물 구조이고, 외층 경사는 폴리에스테르 LM(Low melt)사이고, 위사는 폴리에스테르 FD(Full dull)사이며, 중간층은 중간사가 상기 외층의 경사 또는 위사와 교직되어 형성하되, 중간사는 심사로 폴리에스테르 블랙 원착사를 사용하고 그 외주를 감싸는 커버링사는 폴리에스테르 FD사로 심사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2중으로 교차되게 감겨지는 더블커버링사로 형성함으로써, 차광부 표면에서의 빛 반사율을 저감시켜 차광기능이 발현되면서도 차광부의 색감이 저하됨에 없이 외부에서 미려하게 인식될 수 있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이다.

Description

차광율이 향상되어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Combination black-out blind fabric to realize pure white color improved shading ratio}
본 발명은 콤비형 블라인드 직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광을 차단하도록 다중직으로 이루어지는 차광직물에 있어 차광율이 향상되어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는 거실, 방안, 사무실 등 유리창 또는 유리벽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로 입사되는 외부 광 또는 시선을 차단하거나 채광량을 조절한다. 블라인드는 구조나 재질에 따라 롤 블라인드, 우드 블라인드, 버티칼 블라인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중 롤 블라인드인 콤비 블라인드가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인 콤비 블라인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상단의 권취봉(2)과 하단의 중량봉(3) 사이에 전면 및 후면 두겹으로 권취되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1)으로 이루어진다. 콤비 블라인드 원단(1)은 메쉬 재질로 이루어져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광부(1a)와, 다중직으로 이루어져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부(1b)가 수직방향으로 교번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권취봉(2)을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켜 원단(1) 전면의 투광부(1a)와 후면의 투광부(1a)를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면 외부의 빛이 내부로 유입되고, 전면의 투광부(1a)와 후면의 차광부(1b)를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면 외부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광부(1b)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4528호의 "비코팅 경량성 암막직물"에 개시된 것과 같이, 외부 광을 차광할 수 있는 중간층을 개재하여 미려하게 실내를 장식할 수 있는 색상으로 형성되는 양측 표면층이 3중직으로 형성된다. 차광부(1b)는 표면층을 이루는 섬유 사이의 미세한 다수의 틈을 통해 외부 광이 투과되지 않도록, 카본블랙이 혼합된 원착사로 중간층을 형성하여 양측의 표면층사이에 개재시켜 광을 차단하고 있다.
카본블랙이 혼합된 검은색의 중간층은 광을 흡수하여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나, 다중직으로 형성되는 차광부(1b)의 표면과 내부에서 반사되는 빛의 차이로 인하여 관측자의 시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블라인드로 입사되는 빛은 중간층에서는 대부분 흡수되나 표면층에서는 반사되는데, 특히 표면층이 아이보리색 베이지색이나 흰색 계열과 같이 밝은 색상으로 이루어지면, 중간층과의 반사율의 차이가 커서 관측자에게 표면층의 색상이 왜곡되게 인식될 수 있다.
특히, 블라인드는 실내의 채광 조절기능과 함께, 실내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인테리어 소재로도 역할이 요구됨에 따라, 채광 조절과 함께 외부에서 인식되는 미감이 중요하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69933에는 외부 광을 차단하도록 다중직으로 이루어지는 차광부 내부에 난반사층을 형성함으로써, 차광부 표면에서의 빛 반사율의 차이를 저감시켜 차광기능이 발현되면서도 차광부의 색감이 저하됨에 없이 외부에서 미려하게 인식될 수 있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을 제공하고 있지만, 블랙 원착사를 내층에, 화이트 원착사를 외층에 두어 화이트컬러 구현 시, 내층사가 비쳐 보이는 동시에 외층 화이트사의 채도 문제로 육안상 보이는 백도가 다소는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4528호(발명의 명칭: 비코팅 경량성 암막직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69933호(발명의 명칭 : 다중직 차광부 표면의 반사율 차이를 저감시켜 표면의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할 수 있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콤비 블라인드 원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채광 조절과 함께 외부에서 색상의 왜곡 없이 미려하게 인지될 수 있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암막 블라인드 원단을 다중직(multi layer)으로 제직 하되, 내층부에 블랙 원착사 사용에 의해 블랙 컬러 색상이 표면으로 비쳐 나오므로, 외층사가 연색 화이트일 경우 표면 컬러가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과 같은 기존 암막 블라인드 단점을 개선하여 퓨어 화이트를 구현하고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중량이 무거운 원착사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콤비 암막 블라인드 직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광부과 투광부가 교번되게 형성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외부에 노출되는 양측 외층 사이에 중간층의 3중 직물 구조이고, 상기 외층은 경사로 폴리에스테르 LM(Low melt)사로 이루어지고, 위사로는 폴리에스테르 FD(Full dull)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은 중간사가 상기 외층의 경사 또는 위사와 교직되어 형성하되, 상기 중간사는 심사로 폴리에스테르 블랙 원착사를 사용하고 그 외주를 감싸는 커버링사는 폴리에스테르 FD사로 심사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2중으로 교차되게 감겨지는 더블커버링사로 복합사(y)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착사는 300de 원착사이고, 상기 커버링사는 폴리에스테르 75de FD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외층사와 중간사는 직물 표면의 원사 면적을 증가시키는 편평 단면사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사는 TiO2가 2.5~3% 함유한 복합가공사이거나, 원착사의 외주에 300~800TM으로 감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은 외층 경사로 폴리에스테르 LM사를 사용함으로써 제직 후 텐터 가공 시 LM사가 일부 용융되어 위사와 결착되어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고, 경·위사 사이의 공극을 메꾸게 되어 빛의 투과 및 차광부의 비침현상을 방지하며, 위사 및 커버링사로 폴리에스테르 FD사를 사용함으로써 외층 원착사 및 중간층 원착사 사용비율을 낮출 수 있어, 직무의 두께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차광율(99%↑)유지와 순백도 및 채도를 향상시켜 퓨어 화이트(L값 88↑)성이 발현됨으로써, 발현 컬러의 다양화로 파스텔톤과 같은 밝은 컬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직물의 조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을 구성하는 복합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편평단면사와 일반적인 원형단면사를 비교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 1, 2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콤비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요소의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섬유'란, 길고 가늘며 연하게 굽힐 수 있는 천연 또는 인조의 선상 고분자 물체를 의미하고, 용어 '커버링'은 중심사(core yarn)의 주위를 다른 실로 감는(덮어 싸는)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직물의 조직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면 콤비 블라인드 직물의 차광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양측의 표면층(100)사이에 중간층(200)이 개재하여 형성된다.
중간사는 심사로 폴리에스테르 블랙 원착사를 사용하고 그 외주를 감싸는 커버링사는 폴리에스테르 FD사로 심사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2중으로 교차되게 감겨지는 더블커버링사로 복합사(y)를 형성한다.
표면층(100)은 위사와 경사가 평직으로 제직되며, 중간층(200)은 경사 또는 위사로 배열되는 단일한 복합사(Y)로 이루어져 표면층(100)의 위사(110) 또는 경사(120)에 교직됨에 따라, 이들 양측의 표면층(100)과 중간층(200)은 3중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3중직으로 형성되는 콤비 블라인드 직물(10)의 표면층(100)은 외부로 노출되는 미려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고, 이에 개재된 중간층(200)은 입사되는 외부 광을 차광한다.
또한, 외층의 경사로 폴리에스테르 LM사를 사용함으로써 제직 후 텐터 가공 시 LM사가 일부 용융되어 위사와 결착되어 형태 안정성을 유지하고, 경·위사 사이의 공극을 메꾸게 되어 빛의 투과 및 차광부의 비침현상을 방지하며, 위사 및 커버링사로 폴리에스테르 FD사를 사용함으로써 외층 원착사 및 중간층 원착사 사용비율을 낮추었음에도 bright 또는 Semi-dull 원사 대비 TiO2 다량(2.5~3%) 포함되어 있에 광반사 및 비침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층(200)으로 사용되는 복합사(Y)의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면 중간층(200)을 형성하는 복합사(Y)는, 중간사로 블랙 원착사를 사용하였을 때 차광율 90% 이상을 얻을 수 있어 충분한 암막도의 구현은 가능하나 원착사 컬러가 블라인드 표면에 영향을 주어 화이트니스가 떨어지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블랙 원착사 표면을 폴리에스테르 FD로 더블커버링하여 암막도를 유지하면서 화이트니스의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커버링사는 광흡수층의 외주에 적절한 꼬임수로 감겨져야 하는데, 만일 낮은 꼬임수로 감기면 중간층에서 반사되는 빛의 비율이 높아 외부에서 표면층의 색상이 발현되지 못하고, 너무 높은 꼬임수로 감기면 커버링사의 강도가 약해짐에 따라, 커버링사(221)는 300~800TM의 꼬임수로 감겨지는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500~700TM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편평단면사와 일반적인 원형단면사를 비교한 것으로 편평 단면에 의해 직물표면에서의 광반사율이 증대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이하 설명한다.
<실시예>
외층 경사로 폴리에스테르 LM사 50/24de 경사 9620 본, 위사로는 외층사로 폴리에스테르 DTY 150/48de FD 3합, 중간사로 폴리에스테르 DTY 300/96de 카본블랙 2.5 중량%가 함유된 원착사에 폴리에스테르 75de FD를 더블커버링한 복합사를 사용하여 3중직 평직으로 제직한 결과 두께 0.5mm, 중량 150g/m2 이었다.
<비교예 1>
베이지색의 착색제가 혼합된 25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가연사를 표면층의 경사와 위사로 하고, 중심사를 카본블랙이 2.5중량%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원착사를 사용하여 상기 표면층의 경사와 평직으로 제직하여 3중직의 차광부를 제직하였다.
<비교예 2〉
중간층은 카본블랙이 2.5중량%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원착사의 외주에 베이지색으로 착색된 커버링사를 450TM 꼬임수로 감은 복합사를 배열하여 상기 비교예 1과 같이 제직하였다.
<실험예> 차광부의 반사율 및 채도 측정
<1-1> 육안 측정
도 4는 이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와 비교예 1, 2의 표면을 확대한 사진으로, 도 4에 드러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 1, 2를 비교하여 보면 표면층의 베이지 색상이 보다 선명하고 미려하게 인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에서는 표면층과 중간층에서 반사되는 빛의 차이가 적으나, 비교예 1, 2에서는 중간층의 블랙 원착사가 비쳐 보이는 문제로 육안상 보이는 백도가 다소는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1-2> CCM(Computer color matching) 측정
CCM(computer color matching, color i5, x-rite)를 이용하여 실시예와 비교예 1, 2의 반사율 및 채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차광율(%) 채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99↑ 82.64 94.99 1.2 13.58 1.29
위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비교예 1, 2 보다 보다 선명하고 밝은 색상으로 인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 표면층 110 : 위사
120 : 경사 200 : 중간층

Claims (5)

  1. 차광부과 투광부가 교번되게 형성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외부에 노출되는 양측의 외층 사이에 중간층의 3중 직물 구조이고,
    상기 외층은 경사로 폴리에스테르 LM사로 이루어지고, 위사로는 폴리에스테르 FD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은 중간사가 상기 외층의 경사 또는 위사와 교직되어 형성하되,
    상기 중간사는 심사로 폴리에스테르 원착사를 사용하고 그 외주를 감싸는 커버링사는 폴리에스테르 FD사로 심사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2중으로 교차되게 감겨지는 더블커버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착사는 300de 원착사를 사용하고, 상기 더블커버링은 75de FD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사와 중간사는 직물 표면의 원사 면적을 증가시키는 편평 단면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사는 TiO2가 2.5~3% 함유한 복합가공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사는 300~800T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KR1020210142674A 2021-10-25 2021-10-25 차광율이 향상되어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KR10256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674A KR102564493B1 (ko) 2021-10-25 2021-10-25 차광율이 향상되어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674A KR102564493B1 (ko) 2021-10-25 2021-10-25 차광율이 향상되어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893A true KR20230058893A (ko) 2023-05-03
KR102564493B1 KR102564493B1 (ko) 2023-08-07

Family

ID=8638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674A KR102564493B1 (ko) 2021-10-25 2021-10-25 차광율이 향상되어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4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167A (ko) * 2008-02-20 2009-08-2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 난연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원단과 이의제조방법
KR101564528B1 (ko) 2015-02-04 2015-10-3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코팅 경량성 암막직물
JP2019127669A (ja) * 2018-01-25 2019-08-01 東洋紡Stc株式会社 耐擦過摩耗性及び耐スナッグ性に優れた伸縮性織物
KR20200007398A (ko) * 2018-07-13 2020-01-22 주식회사 나경 콤비암막블라인드지
KR102269933B1 (ko) 2020-01-20 2021-06-25 김재홍 다중직 차광부 표면의 반사율 차이를 저감시켜 표면의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할 수 있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167A (ko) * 2008-02-20 2009-08-2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저융점 난연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원단과 이의제조방법
KR101564528B1 (ko) 2015-02-04 2015-10-3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코팅 경량성 암막직물
JP2019127669A (ja) * 2018-01-25 2019-08-01 東洋紡Stc株式会社 耐擦過摩耗性及び耐スナッグ性に優れた伸縮性織物
KR20200007398A (ko) * 2018-07-13 2020-01-22 주식회사 나경 콤비암막블라인드지
KR102269933B1 (ko) 2020-01-20 2021-06-25 김재홍 다중직 차광부 표면의 반사율 차이를 저감시켜 표면의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할 수 있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493B1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862B1 (ko) 일체 제직으로 이루어지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US8950462B2 (en) Blind of united blind by weaving
KR100911052B1 (ko)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CN101044015B (zh) 单向可视屏风
KR102269933B1 (ko) 다중직 차광부 표면의 반사율 차이를 저감시켜 표면의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할 수 있는 콤비 블라인드 원단
KR20090055524A (ko)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009180B1 (ko)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커튼지에서 직물부와 스트링의 고정 구조를 위한 제직 방법 및 그 제직 방법으로 제직된 고정 구조
KR102564493B1 (ko) 차광율이 향상되어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는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 직물
KR20180120932A (ko) 인쇄가 가능한 차양막용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04131A (ko) 개폐종방실 작동이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101796499B1 (ko)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 및 랜덤 웨이브 패턴을 갖는 블라인드용 원단의 제직 방법
KR102632495B1 (ko) 퓨어 화이트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콤비형 암막 블라인드용 원단
JP2003270726A (ja) 映写用スクリーン
KR101966007B1 (ko) 불규칙 빛샘부를 갖는 원단 제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직된 원단
JP2008163666A (ja) 防虫網
JP7168466B2 (ja) スクリーン及びスクリーン装置
KR102014698B1 (ko)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제직방법
KR20140134511A (ko) 개폐종방실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JP2020059261A (ja) 生地および遮蔽装置
KR20120140107A (ko) 입체 커튼지 및 이를 구비한 창문 차단장치
CN115637523B (zh) 一种遮光布织物及制造方法
CN217243721U (zh) 一种窗帘面料结构
KR102440983B1 (ko) 다중구조 블라인드 원단
KR20140134514A (ko)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CN115748062B (zh) 一种高清透景窗帘布及制造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