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514A - 애완동물용 화장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화장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514A
KR20230058514A KR1020237011253A KR20237011253A KR20230058514A KR 20230058514 A KR20230058514 A KR 20230058514A KR 1020237011253 A KR1020237011253 A KR 1020237011253A KR 20237011253 A KR20237011253 A KR 20237011253A KR 20230058514 A KR20230058514 A KR 20230058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ynthetic resin
pets
fibrous component
essentia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린 오쿠다이라
Original Assignee
에스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58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5Litter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적어도 일부가, 수목의 목질부 및/또는 잎을, 감압 하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하여,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섬유질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에 의해, 배설액이나 배설물에 유래하는 악취를 발생시키기 어렵고, 양호한 사육 환경을 유지하고, 또 유지 비용이 저감된 애완동물용 화장실이 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화장실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화장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고양이나 개 등의 애완동물(pet)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화장실로서는, 화장실 본체의 하부에, 예를 들면, 고양이 모래, 화장실 모래(toilet sand) 등의 화장실 바닥을 형성하는 배설물 처리재를 수용하는 구조인 것(단층 타입), 화장실 본체를 드레인보드(drainboard) 등의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에 의해 상하로 구획하고, 상층 부분에 상기 배설물 처리재를 수용하고, 하층 부분에,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흡수성 수지, 식물성 섬유,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변 흡수매트 등의 소변 흡수체를 수용하는 구조인 것(2층 타입), 화장실 본체를 드레인보드 등의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에 의해 상하로 구획하고, 상층 부분에 상기 배설물 처리재를 수용하고, 하층 부분의 트레이에 상기 소변 흡수매트 등의 소변 흡수체를 수용해서 사용하는 것(시스템 타입)이 알려져 있다.
이들 애완동물용 화장실 중에서도 시스템 타입은, 상층 부분에 수용된 배설물 처리재가, 애완동물이 배설하는 소변을 재빠르게 통과시키고, 통과한 소변을 드레인보드의 통액 구멍을 개재하여 하층 부분에 낙하시키고, 낙하한 소변을 하층 부분의 트레이에 수용된 소변 흡수체에 적극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상기 시스템 타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드레인보드의 아래쪽에 배치된 트레이 내의 배설액 등의 냄새가, 드레인보드를 개재하여 외부로 휘산될 우려가 있어, 악취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고양이 모래 등이 드레인보드의 상부면에 부설(敷設)되어 있으면, 냄새를 차단할 수 있지만, 고양이는, 배설 후에 배설물 처리재를 발로 뒤섞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배설 후에 배설물 처리재를 뒤섞는 것에 의해, 배설물 처리재가 긁어내어져 드레인보드가 노출되고, 그 노출된 부분을 개재하여 배설액 등이 외부로 휘산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흡수 시트에 있어서, 그 표면 시트에, 향료 성분(예를 들면 게라니올 등의 알코올류), 소취 성분(예를 들면 카테킨), 살균 성분(예를 들면 벤잘코늄염)의 적어도 1개의 성분을 포함하는 약액을 부착시킨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식물 유래 소재의 분쇄물을 주 된 구성 기재로 한 애완동물용 배설물 처리재로서, 식물 유래 소재의 분쇄물을 70 내지 98.99질량%, 합성수지를 1 내지 20질량%, 및 텍토규산염을 0.01 내지 5질량%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배설물 처리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흡수 시트나 배설물 처리제는, 통상 1회용이며, 일정한 사이클로 새 것과 교환되기 때문에, 고가인 소취제를 포함한 것은 유지 비용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JP 2013-17446 A JP 2006-238745 A JP 2006-345830 A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여러 가지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 배설액이나 배설물에 유래하는 악취를 발생시키기 어렵고, 양호한 사육 환경을 유지하며, 또한 유지 비용이 저감된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특정한 섬유질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적어도 일부가, 수목의 목질부 및/또는 잎을, 감압 하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하여,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섬유질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와, 아비에스 사칼리넨시스(Abies sachalinensis)를 함유하는 수목 원료로부터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 이루어지는 섬유질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 조성물을 혼련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합성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융 혼련한 후에 금형에 공급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배설액이나 배설물에 유래하는 악취에 대하여 뛰어난 소취 효과를 지니고, 그 지속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섬유질 성분 유래의 향기를 지니고, 그 지속성이 우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소취·방향 효과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단층 타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의 애완동물용 화장실(2층 타입)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시스템 타입)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애완동물의 배설액이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화장실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고양이 모래, 화장실 모래 등의 화장실 바닥을 형성하는 배설물 처리재를 수용하는 구조의 용기(단층 타입), 화장실 본체를 드레인보드 등의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에 의해 상하로 구획하고, 상층 부분에 상기 배설물 처리재를 수용하고, 하층 부분에,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흡수성 수지, 식물성 섬유,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변 흡수매트 등의 소변 흡수체를 수용하는 구조의 용기(2층 타입), 화장실 본체를 드레인보드 등의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에 의해 상하로 구획하고, 상층 부분에 상기 배설물 처리재를 수용하고, 하층 부분의 트레이에 상기 소변 흡수매트 등의 소변 흡수체를 수용해서 사용하는 용기(시스템 타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층 타입, 2층 타입, 시스템 타입에는 필요에 따라 애완동물의 출입구가 되는 문이나, 화장실의 상층 부분 전체나 일부를 덮는 후드, 화장실을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로서는, 소취 효과와 비용면에서 시스템 타입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상기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수목의 목질부 및/또는 잎을, 감압 하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하여,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섬유질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로 성형한다. 여기에서 적어도 일부란, 애완동물용 화장실을 구성하는 부품 전부나 일부의 부품이 상기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거나, 부품의 일부가 상기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애완동물용 화장실이 단층 타입인 경우에는 배설물 처리재를 수용하는 용기 전체나 적어도 용기 벽면을 상기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층 타입의 경우에는, 적어도 하층 부분 용기나 드레인보드 등의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을 상기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드레인보드 등의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을 상기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시스템 타입의 경우에는, 적어도 드레인보드 등의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 트레이, 하층 부분 용기, 후드를 상기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드레인보드 등의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 트레이를 상기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적어도 드레인보드 등의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을 상기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합성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중 어느 쪽이어도 되지만, 섬유질 성분에 포함되어 있는 정유 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합성수지 측으로 이행시켜서 섬유질 성분의 소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터설폰, 폴리에터케톤, 폴리이미드, 폴리다이메틸실록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설파이드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 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또한, 폴리에틸렌을 부분 구조로서 가지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과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인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도 상기 폴리에틸렌과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랜덤 블록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노넨, 1-데센 등의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중에는, 수목 원료로부터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 이루어지는 섬유질 성분을 함유시킨다. 섬유질 성분을 얻기 위해서 이용되는 수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측백나무과 편백속, 측백나무과 눈측백속, 측백나무과 향나무속, 측백나무과 삼나무속, 소나무과 전나무속, 소나무과 개잎갈나무속, 소나무과 가문비나무속, 소나무과 소나무속, 소나무과 잎갈나무속, 소나무과 솔송나무속, 도금양과 유칼립투스속, 금송과 금송속, 주목과 비자나무속, 측백나무과 나한백속 등을 들 수 있다.
측백나무과 편백속의 수목으로서는, 채매시파리스 오브투사(Chamaecyparis obtusa), 채매시파리스 오브투사 바르. 포르모사나(Chamaecyparis obtusa var. formosana), 채매시파리스 누트카텐시스(Chamaecyparis nootkatensis), 채매시파리스 로소니아나(Chamaecyparis lawsoniana), 채매시파리스 오브투사 바르. 브레비라메아(Chamaecyparis obtusa var. Breviramea), 채매시파리스 피시페라 엔들(Chamaecyparis pisifera Endl.), 채매시파리스 오브투사 바르. 필리코이데스(Chamaecyparis obtusa var filicoides), 채매시파리스 피시페라 시브이. 나나 아우레아(Chamaecyparis pisifera cv. Nana aurea.), 채매시파리스 오브투사 바르. 펜둘라(Chamaecyparis obtusa var. pendula), 채매시파리스 피시페라 시브이. 필리페라 (Chamaecyparis pisifera cv. Filifera), 채매시파리스 피시페라 시브이. 필리페라 아우레아(Chamaecyparis pisifera cv. Filifera Aurea.), 채매시파리스 피시페라 바르. 플루모사(Chamaecyparis pisifera var. plumosa), 채매시파리스 피시페라 시브이. 플루모사 아우레아(Chamaecyparis pisifera cv. Plumosa aurea), 채매시파리스 피시페라 시브이. 스쿠아로사(Chamaecypraris pisifera cv. Squarrosa) 등을 들 수 있다. 측백나무과 눈측백속의 수목으로서는, 투자 옥시덴탈리스(Thuja occidentalis), 투자 스탄디시(Thuja standishii) 등을 들 수 있다. 측백나무과 향나무속의 수목으로서는, 주니페루스 치넨시스 바르. 프로쿰벤스(Juniperus chinensis var. procumbens), 주니페루스 리지다(Juniperus rigida), 주니페루스 비르지니아나(Juniperus virginiana), 주니페루스 탁시폴리아 바르. 루트추엔시스(Juniperus taxifolia var. lutchuensis) 등을 들 수 있다. 측백나무과 삼나무속의 수목으로서는 크립토메리아 자포니카(Cryptomeria japonica), 크립토메리아 자포니카 바르. 라디칸스(Cryptomeria japonica var. radicans.), 크립토메리아 자포니카 시브이. 아라우카리오이데스(Cryptomeria japonica cv. araucarioides), 크립토메리아 자포니카 바르. 아라우카리오이데스 포르마 스피랄리스(Cryptomeria japonica var. araucarioides Forma spiralis), 크립토메리아 자포니카 바르. 아우레아(Cryptomeria japonica var.aurea), 크립토메리아 자포니카 에프. 크리스타타(Cryptomeria japonica f. cristata), 크립토메리아 자포니카 에프. 비리디스(Cryptomeria japonica f. viridis) 등을 들 수 있다.
소나무과 전나무속의 수목으로서는, 아비에스 사칼리넨시스, 아비에스 피르마(Abies firma), 아비에스 호모레피스(Abies homolepis), 아비에스 베이트치(Abies veitchii), 아비에스 마리에시(Abies mariesii), 아비에스 발사메아(Abies balsamea), 아비에스 움벨라타(Abies umbellata), 아비에스 콘콜로르(Abies concolor), 아비에스 아마빌리스(Abies amabilis), 아비에스 사칼리넨시스 바르. 마이리아나(Abies sachalinensis var. mayriana), 아비에스 마그니피카(Abies magnifica), 아비에스 그란디스(Abies grandis), 아비에스 프로케라(Abies procera) 등을 들 수 있다. 소나무과 가문비나무속의 수목으로서는, 피체아 글레니(Picea glehnii), 피체아 제조엔시스 바르. 혼도엔시스(Picea jezoensis var. hondoensis) 등을 들 수 있다. 소나무과 소나무 속의 수목으로서는, 피누스 덴시플로라(Pinus densiflora), 피누스 팔루스트리스(Pinus palustris), 피누스 스트로부스 린(Pinus strobus Linn.), 피누스 푸밀라(Pinus pumila) 등을 들 수 있다. 소나무과 잎갈나무속의 수목으로서는, 라릭스 캠프페리(Larix kaempferi) 등을 들 수 있다. 소나무과 솔송나무속의 수목으로서는, 츠가 시에볼디 카르(Tsuga sieboldii Carr) 등을 들 수 있다.
도금양과 유칼립투스속의 수목으로서는,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Eucalyptus globulus), 유칼립투스 시네레아 아종 시네레아(Eucalyptus cinerea ssp. cinerea), 유칼립투스 카말둘렌시스 바르. 카말둘렌시스(Eucalyptus camaldulensis var. camaldulensis), 유칼립투스 시트리오도라(Eucalyptus Citriodora) 등을 들 수 있다.
금송과 금송속의 수목으로서는, 스키아도피티스 베르티실라테(Sciadopitys verticillate) 등을 들 수 있다.
주목과 비자나무속의 수목으로서는, 토레이아 누시페라(Torreya nucifera) 등을 들 수 있다.
측백나무과 나한백속의 수목으로서는, 타우조프시스 돌라브라테(Taujopsis dolabrate), 투조프시스 돌라브라타 바르. 돌라브라타(Thujopsis dolabrata var. dolabrata), 투조프시스 돌라브라타 바르. 혼데(Thujopsis dolabrata var. hondae), 투조프시스 돌라브라타 바르. 혼데 에프. 우치마페아나(Thujopsis dolabrata var. hondae f. uchimappeana)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수목 중에서도, 측백나무과 편백속, 측백나무과 삼나무속, 소나무과 전나무속, 도금양과 유칼립투스속, 금송과 금송속, 측백나무과 나한백속이 바람직하고, 일본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입수가 용이한 것으로부터, 측백나무과 편백속의 채매시파리스 오브투사, 채매시파리스 오브투사 바르. 포르모사나, 채매시파리스 누트카텐시스, 측백나무과 삼나무속의 크립토메리아 자포니카, 소나무과 전나무속의 아비에스 사칼리넨시스, 아비에스 피르마, 도금양과 유칼립투스속의 유칼립투스 글로불루스, 금송과 금송속의 스키아도피티스 베르티실라테, 측백나무과 나한백속의 타우조프시스 돌라브라테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수목은 복수 종을 조합시켜도 된다.
상기 수목의 목질부 및/또는 잎, 바람직하게는 목질부 및 잎을, 감압 하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하여,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을 감압 건조법이라고 한다. 이 감압 건조법은, 마이크로파가 물 분자를 직접 가열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소재 중에 원래부터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나 정유의 제거를 행하는 방법이다.
이 감압 건조법은, 예를 들면, 국제공개 WO2010/098440호 팜플렛 등에 기재된 마이크로파 증류장치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감압 건조법에 있어서는, 증류조 내의 압력을, 1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로 하면 된다. 이 때의 증기 온도는 40 내지 100℃가 된다. 또한, 생성하는 증류 성분 중, 유성 성분은 정유로서 다른 용도, 예를 들면, 질소산화물 제거제나 방향제 등의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감압 건조법으로 수목의 목질부 및/또는 잎을, 감압 하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하여,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 후에는, 상압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나 건조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 내지 80℃에서 1 내지 5시간 정도 행하면 된다. 잔존하는 정유 성분은 0.01 내지 10질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질량%이다. 또한, 잔존하는 수분은 1질량% 이하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섬유질 성분은, 고형이며, 우수한 소취 효과를 나타낸다. 섬유질 성분이 소취 효과를 나타내는 이유에 대해서는 불명확한 부분도 많지만, 현시점에서는, 셀룰로스가 리그닌, 정유로 고착되어 있다는 목질의 구조로 보아, 정유의 일부가 제거된 후의 리그닌 구조 혹은 셀룰로스 구조 중에 악취를 흡착할 수 있는 부위가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섬유질 성분은, 수분은 거의 제거되지만, 정유 성분은 완전히 제거된 것이 아니고, 수목의 목질부 및/또는 잎에 포함되는, 정유 성분의 일부가 제거된 것이며, 일부의 정유 성분은 섬유질 성분 중에 잔류된 상태이다.
그리고 섬유성분 중에 잔류하는 정유는, 바람직하게는 낮은 휘발성 및/또는 불휘발성이다. 휘발성이 낮을수록, 보다 긴 기간에 걸쳐 정유의 기능(예를 들면, 소취 기능 및/또는 방향 기능)이 발휘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유 성분은 비교적 분자량이 큰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클수록, 휘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수목의 목질부 등으로부터 정유를 추출하면, 보다 분자량이 작은, 및/또는 휘발하기 쉬운 정유가 우선적으로 추출되기 때문에, 당해 재료에는 휘발성이 낮은, 및/또는 분자량이 보다 큰 정유가 남는 경향이 있다. 당해 재료에 남는 정유 성분은 모노터펜의 함유량이 적고, 세스퀴터펜, 다이터펜 또는 테트라터펜을 보다 많이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스퀴터펜, 다이터펜 등의 분자량이 큰 터펜류의 비율이 크면, 장기간에 걸쳐 소취 효과 및/또는 방향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산성, 알칼리성, 중성의 악취 물질에 기인하는 여러 가지 악취에 대한 소취 효과나 질소 산화물의 제거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악취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메틸머캅탄, 황화수소,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트라이메틸아민, 아세트알데하이드,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노말(normal) 뷰티르알데하이드, 아이소뷰티르알데하이드, 노말 발레르알데하이드, 아이소발레르알데하이드, 아이소부탄올, 아세트산에틸, 메틸아이소부틸케톤, 톨루엔, 스타이렌, 자일렌, 프로피온산, 노말 뷰티르산, 노말 발레르산, 아이소발레르산, 3-머캅토-3-메틸-1-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질 성분의 소취성이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되므로, 섬유질 성분에는, 휘발성이 낮은 정유 및/또는 불휘발성의 정유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질 성분에는, 분자량이 큰 정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질 성분에는, 모노터펜류나 세스퀴터펜류 등의 정유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터펜류로서는, 예를 들면, α-피넨, β-피넨, 캄펜, 트라이시클렌, 미르센, β-펠란드렌, 보르닐 아세테이트, δ-3-카렌, 테르피놀렌, 리모넨, 등을 들 수 있다.
세스퀴터펜류로서는, 예를 들면, β-카리오필렌, 사비넨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질 성분에 잔존하는 정유는, 모노터펜의 함유량이 적고 그리고 세스퀴터펜, 다이터펜 및/또는 테트라터펜을 보다 많이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스퀴터펜, 다이터펜 등의 분자량이 큰 터펜류의 비율이 크면, 섬유질 성분은,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소취성을 유지할 수 있다.
섬유질 성분은 우수한 소취성을 지니고 있어, 애완동물용 화장실 특히 고양이의 분뇨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에 대하여 우수한 소취 효과를 발현한다. 섬유질 성분은,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아세트산, 톨루엔 및 폼알데하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유래하는 악취에 대하여 우수한 탈취성을 지니고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메틸머캅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에 유래하는 악취에 대하여 우수한 소취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 섬유질 성분은, 식물인 수목으로부터 얻어진 자연물이기 때문에, 애완동물에 대한 위험성도 없는 것이다. 또한, 난휘산성이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소취 효과를 지속할 수 있다.
또, 이 섬유질 성분은, 더욱 정밀분쇄를 가하여, 평균 입경을 1 내지 5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1㎛ 이하이면 성형 시에 응집해버려 성형하기 어려워지는 일이 있고, 500㎛보다 크면 사출성형기의 노즐에 막히는 일이 있어, 균일하게 혼합되기 어려운 것으로부터 소취 효과도 떨어지는 일이 있다. 보다 바람직한 평균 입경은 5 내지 400㎛이다. 또한, 평균 입경이나 최대 입경은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분포 측정장치, 입도분포를 측정하고, 중위 직경(median diameter)(D50)으로 표시되는 값으로 한다.
정밀분쇄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정밀분쇄기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된다. 정밀분쇄기로서는, 예를 들면, 터보밀, 제트밀, 비드밀, 블레이드밀, 모터 그라인더, 로터밀, 컷팅밀, 디스크밀, 진동밀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수지에 함유시키는 섬유질 성분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합성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섬유질 성분 0.01 내지 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이다.
합성수지에, 섬유질 성분을 함유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하는 플라스틱 원료의 양을 줄일 수 있어, 환경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고, 소취 효과가 높으며, 게다가, 그것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혼련이 바람직하다.
섬유질 성분을 합성수지에 이겨 넣을 경우에는, 섬유질 성분을 함유시킨 마스터배치 펠릿을 제작하고, 이것을 합성수지 펠릿과 리본 블렌더 등으로 혼합하고, 범용의 합성수지의 성형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성형하면 된다. 합성수지와 섬유질 성분을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동시에, 합성수지 중에 있어서 섬유질 성분을 가열하여 섬유질 성분 중의 정유 및 수분의 일부를 합성수지 측에 원활하게 이행시켜, 섬유질 성분의 다공질화의 촉진 및 소취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압출기를 이용한 합성수지의 성형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합성수지의 성형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블로우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에는, 다른 기능성 성분, 예를 들면,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활성탄, 점토광물, 광촉매(이산화티탄) 향료, 소취제, 항균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이것들을 배합할 경우, 종래 공지의 방법을 따르면 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제조방법은, 상기 합성수지로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합성수지와, 아비에스 사칼리넨시스를 함유하는 수목 원료로부터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 이루어지는 섬유질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 조성물을 혼련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합성수지 조성물을 가열해서 용융 혼련한 후에 금형에 공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금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기 전체, 하층 부분 용기, 드레인보드 등의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 트레이, 용기 벽면의 일부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질 성분은, 상기 제조 과정에 있어서, 용융 상태의 합성수지에 의해 가열된다. 이 가열에 의해 섬유질 성분 중에 포함되어 있는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가 합성수지 측으로 이행하고, 섬유질 성분은 보다 미세한 다공질 구조가 되는 동시에, 섬유질 성분 중에는, 보다 소취성이 우수한 정유분이 농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섬유질 성분은, 이 섬유질 성분에 형성된 미세구멍부를 통해서 정유에 기인한 우수한 소취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적어도 일부가,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소취 효과를 지니는 섬유질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애완동물용 화장실 내에 배출된 배설액이나 배설물로부터 발생한 악취를 소취하고, 악취가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체 밖으로 누출하는 것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고양이나 개 등의 애완동물의 배설액이나 배설물로부터 발생한 악취를 소취하는데도 적합한 것이지만, 특히 독특한 냄새를 지니는 고양이의 배설액이나 배설물로부터 발생한 악취를 소취하는 데에도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들 애완동물용 화장실은 각 타입의 전형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형상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1 실시형태: 단층 타입>
제1 실시형태의 애완동물용 화장실(1)을 도 1에 나타낸다. 애완동물용 화장실(1)은, 화장실 본체의 하부(바닥면)에 고양이 모래, 화장실 모래 등의 화장실 바닥을 형성하는 배설물 처리재(도시 생략)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의 용기이다.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체에는, 필요에 따라, 고양이, 개 등의 애완동물(소동물)이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벽면을 오목 형상으로 하거나, 벽면에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배설물 처리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배설액을 흡수해서 굳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배설액은 굳어진 배설물 처리재째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배설물은 배설물 처리재 상에 머물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2층 타입>
제2 실시형태의 애완동물용 화장실(10)을 도 2에 나타낸다.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체(13)는, 상기 애완동물의 배설액을 투과 가능한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인 드레인보드(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구조의 용기이다.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체(13)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애완동물이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벽면을 오목 형상으로 하거나, 벽면에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상층 부분(드레인보드 위)에 상기 배설물 처리재(도시 생략)를 수용한다. 하층 부분은 필요에 따라 상기 소변 흡수체(12)를 수용한다. 배설물 처리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배설액을 흡수해서 붕괴되는 것 혹은 배설액을 흡수하지 않고 투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설액을 흡수해서 붕괴되는 것인 경우, 배설액과 붕괴된 배설물 처리재는 드레인보드(11)를 투과하고, 하층 부분으로 이행한다. 또한, 배설액을 흡수하지 않고 투과시키는 것인 경우, 배설액은 드레인보드(11)를 투과하고, 하층 부분으로 이행한다. 소변 흡수체(12)가 있는 경우에는 그것에 흡수되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배설물은 배설물 처리재 상에 머물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시스템 타입>
제3 실시형태의 애완동물용 화장실(20)을 도 3에 나타낸다.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체(23)는, 상기 애완동물의 배설액을 투과 가능한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인 드레인보드(2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구조의 용기이다.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체(23)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애완동물이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벽면을 오목 형상으로 하거나, 벽면에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상층 부분(드레인보드 위)에 상기 배설물 처리재(도시 생략)을 수용한다. 하층 부분에는 트레이(24)가 들어가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배설물 처리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배설액을 흡수해서 붕괴되는 것 혹은 배설액을 흡수하지 않고 투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설액을 흡수해서 붕괴되는 것인 경우, 배설액과 붕괴된 배설물 처리재는 드레인보드(21)를 투과하고, 하층 부분으로 이행한다. 또한, 배설액을 흡수하지 않고 투과시키는 것인 경우, 배설액은 드레인보드(21)를 투과하고, 하층 부분으로 이행한다. 트레이(24) 상의 소변 흡수체(22)에 흡수되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트레이(24)는 상기 소변 흡수체(22)를 수용한다. 또한, 배설물은 배설물 처리재 상에 머물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섬유질 성분의 제조)
잎이 붙은 상태의 아비에스 사칼리넨시스의 가지 90㎏을 압쇄식 분쇄기(KYB제작소(KYB Seisakusho)사 제품)을 이용하여 분쇄하고, 10 내지 20㎜정도의 치수를 지니는 작은 조각인 수목 원료를 얻었다. 수목 원료를 마이크로파 증류 장치의 증류조 내에 공급하였다.
그 다음에, 증류조 내의 압력을 약 15㎪의 감압으로 유지하고, 수목 원료에 마이크로파를 1시간에 걸쳐서 조사하였다. 발생한 증기(정유 및 수분)를 감압펌프로 흡인하여 증류조 내로부터 제거하고, 아비에스 사칼리넨시스 처리물을 얻었다. 얻어진 아비에스 사칼리넨시스 처리물의 양은 68㎏이었다.
얻어진 아비에스 사칼리넨시스 처리물에 고속 기류에 의한 제트밀을 이용한 분쇄 처리를 실시하고, 수목 원료로부터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섬유질 성분을 얻었다. 섬유질 성분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녹색 또는 청색의 부분이 포함되어 있어, 잎 유래의 재료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비에스 사칼리넨시스 처리물의 분쇄 처리의 처리 조건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평균 입경이 7㎛인 고형의 섬유질 성분 A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표 1에 나타낸 소정량의 폴리프로필렌 및 섬유질 성분 A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180℃에서 용융 혼련한 후, 압출기로부터 수지조성물을 압출하고, 압출된 수지조성물을 냉각한 후에, 1변이 100㎜인 입방체 형상의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서, 하기의 요령으로 시험편의 소취성(감각적 소취 효과)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감각적 소취 효과 1)
용량이 10리터인 콕(cock)이 부착된 에어백을 준비하였다. 에어백 내에, 1개의 시험편과 약 30ppm의 암모니아 가스를 공급하고 밀봉하여 20℃에서 300분간 방치하였다. 그 다음에, 에어백의 콕을 열어서 직접, 냄새를 맡고 6단계 악취 강도표시법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측정자를 10명으로 하고, 각 측정자가 각각의 시험편에 대해서 감각적 소취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편의 평가의 산술평균값을 산출하였다.
〈평가 기준〉
(점수) (내용)
0 … 무취였다.
1 … 겨우 감지할 수 있는 냄새였다.
2 … 무슨 냄새인지 알 수 있는 냄새였다.
3 …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냄새였다.
4 … 강한 냄새였다.
5 … 강렬한 냄새였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6)
폴리프로필렌 100질량부 및 섬유질 성분 A 0.6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180℃에서 용융 혼련한 후, 사출성형기에 의해 도 3의 24에 상당하는 트레이(세로 48㎝×가로 36㎝×깊이 4.5㎝)를 성형하였다.
(감각적 소취 효과 2)
상기에서 성형한 트레이를 2㎥의 창문이 달린 부스 내에 설치하고, 7%의 암모니아 수용액 0.5㎖를 함침시킨 여과지를 트레이 위에 재치하고, 20℃에서 300분간 방치하였다. 그 다음에, 부스의 창문으로부터 부스 내부를 직접 냄새를 맡고 6단계 악취 강도 표시법(감각적 소취 효과 1과 마찬가지의 평가 방법) 및 9단계 쾌·불쾌도(odor hedonics) 표시법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측정자를 10명으로 하고, 각 측정자가 각각의 시험편에 대해서 감각적 소취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의 산술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쾌·불쾌도 평가 기준>
(점수) (내용)
-4: 극단적으로 불쾌
-3: 매우 불쾌
-2: 불쾌
-1: 다소 불쾌
0: 쾌도 불쾌도 아님
+1: 다소 쾌
+2: 쾌
+3: 매우 쾌
+4: 극단적으로 쾌
Figure pct00002
(감각적 소취 효과 3)
악취를 유사 고양이 분뇨 냄새로 바꾸어 일회용 피펫으로 3방울 여과지에 적하한 이외에는 상기 감각적 소취 효과 1 및 2와 마찬가지로 시험을 행하고, 6단계 악취 강도 표시법 및 9단계 쾌·불쾌도 표시법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측정자를 10명으로 하고, 각 측정자가 각각의 시험편에 대해서 감각적 소취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의 산술평균값을 산출하였다.
Figure pct00003
이상과 같이, 수목의 목질부 및/또는 잎을, 감압 하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하여,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섬유질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는, 암모니아, 유사 고양이 분뇨 냄새에 유래하는 악취를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었다.
그 때문에, 상기 합성수지를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는 것에 의해 애완동물의 배설액이나 배설물에 유래하는 악취를 발생시키기 어렵고, 양호한 사육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폴리프로필렌 100질량부 및 섬유질 성분 A 0.6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180℃에서 용융 혼련한 후, 사출성형기에 의해 도 3의 21에 상당하는 드레인보드를 성형하였다. 이 드레인보드를 종래의 시스템 타입의 애완동물용 화장실 드레인보드와 바꾸어 설치해서 이 드레인보드 상에 고양이 모래를 넣고, 트레이에 흡수체를 넣어 약 3일간 고양이의 화장실로서 사용한 바, 고양이의 분뇨냄새를 억제할 수 있었다.
1: 애완동물용 화장실(단층 타입)
10: 애완동물용 화장실(2층 타입)
11: 드레인보드
12: 소변 흡수체
13: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체
20: 애완동물용 화장실(시스템 타입)
21: 드레인보드
22: 소변 흡수체
23: 애완동물용 화장실 본체
24: 트레이

Claims (6)

  1. 애완동물용 화장실로서,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적어도 일부가, 수목의 목질부 및/또는 잎을, 감압 하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하여,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섬유질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섬유질 성분 0.01 내지 20질량부를 함유하는 것인, 애완동물용 화장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합성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인, 애완동물용 화장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애완동물용 화장실이, 화장실 본체를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에 의해 상하층으로 구획된 것이고, 상층 부분에 배설물 처리재 및 하층 부분에 소변 흡수재를 부설(敷設)하는 것인, 애완동물용 화장실.
  5. 제4항에 있어서,
    소변 투과성 칸막이층이, 수목의 목질부 및/또는 잎을, 감압 하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하여,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섬유질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인, 애완동물용 화장실.
  6.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제조방법으로서,
    합성수지와, 아비에스 사칼리넨시스(Abies sachalinensis)를 함유하는 수목 원료로부터 정유 및 수분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서 이루어지는 섬유질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 조성물을 혼련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합성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융 혼련한 후에 금형에 공급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화장실의 제조방법.
KR1020237011253A 2020-09-03 2021-08-25 애완동물용 화장실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58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8161A JP2022042668A (ja) 2020-09-03 2020-09-03 ペット用トイレ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20-148161 2020-09-03
PCT/JP2021/031084 WO2022050140A1 (ja) 2020-09-03 2021-08-25 ペット用トイレ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514A true KR20230058514A (ko) 2023-05-03

Family

ID=8049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253A KR20230058514A (ko) 2020-09-03 2021-08-25 애완동물용 화장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042668A (ko)
KR (1) KR20230058514A (ko)
CN (1) CN116133519A (ko)
WO (1) WO2022050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0714A1 (ja) * 2021-11-30 2023-06-08 エステー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セ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居住空間における動物の糞尿臭の消臭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8745A (ja) 2005-03-01 2006-09-14 Unicharm Petcare Corp ペット用排泄物吸収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45830A (ja) 2005-06-20 2006-12-28 Kao Corp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
JP2013017446A (ja) 2011-07-13 2013-01-31 Unicharm Corp 動物用便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4079B2 (ja) * 2010-11-09 2014-06-04 花王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JP5651432B2 (ja) * 2010-11-09 2015-01-14 花王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JP4892643B1 (ja) * 2011-09-29 2012-03-07 伊藤 博 動物用トイレ
CN106577314A (zh) * 2016-12-15 2017-04-26 上海同化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吸水天然植物纤维猫砂及其制备方法
JP7265836B2 (ja) * 2017-01-27 2023-04-27 エステー株式会社 吸収材、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およびペット排泄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8745A (ja) 2005-03-01 2006-09-14 Unicharm Petcare Corp ペット用排泄物吸収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45830A (ja) 2005-06-20 2006-12-28 Kao Corp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
JP2013017446A (ja) 2011-07-13 2013-01-31 Unicharm Corp 動物用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140A1 (ja) 2022-03-10
CN116133519A (zh) 2023-05-16
JP2022042668A (ja)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4772B2 (ja) ペット用排泄物処理具
JP4842891B2 (ja) ペット用シート
JP7265836B2 (ja) 吸収材、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およびペット排泄用シート
US20060169215A1 (en) Clumping animal litter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8601981B2 (en) Animal litter
JP2004535770A (ja) シリカゲルを含む動物の寝ワラ組成物およびその方法
KR101353908B1 (ko) 소취 입자
JP5524405B1 (ja) 芳香性粒状物及び動物用トイレ砂
KR20230058514A (ko) 애완동물용 화장실 및 그 제조방법
US6837181B2 (en) Animal litter
JP4640799B2 (ja)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
JP6302617B2 (ja) 排泄物処理材
JP3519353B2 (ja)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
WO2023100714A1 (ja) 動物用トイレセ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居住空間における動物の糞尿臭の消臭方法
JP6581778B2 (ja) 尿臭消臭剤
JP2017079622A (ja)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
JP3522664B2 (ja) 汚液処理システム
KR20230116912A (ko) 배설물 처리재 및 이것을 이용한 배설물의 소취 방법
JP3169386U (ja) 動物用トイレ粒材
JP2012213366A (ja) ペット用トイレ砂
WO2021025171A1 (ja) ゴミ箱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043900A (ja)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及びこれを用いたペット用排泄物処理システム
WO2022163063A1 (ja) 排泄物処理材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排泄物の消臭方法
JP7261042B2 (ja)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
JP2004033047A (ja) 動物用排泄物処理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