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331A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331A
KR20230058331A KR1020230049781A KR20230049781A KR20230058331A KR 20230058331 A KR20230058331 A KR 20230058331A KR 1020230049781 A KR1020230049781 A KR 1020230049781A KR 20230049781 A KR20230049781 A KR 20230049781A KR 20230058331 A KR20230058331 A KR 20230058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user
play
mobile device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곽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43103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300583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230049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8331A/ko
Publication of KR2023005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63B2024/0081Coaching or training aspects related to a group of us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윙을 센싱할 수 있는 센싱수단을 구비하는 골프클럽 및 사용자가 상기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동작은, 사용자에게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며, 상기 골프클럽을 이용한 사용자의 스윙에 대해서 상기 센싱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플레이 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PORTABLE VIRTUAL GOLF SYSTEM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가상의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스포츠의 활동 인구가 증가하면서, 골프도 일반인이 자연스럽게 즐기는 대중 스포츠로 그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골프 인구만 수백만에 이르게 되었으며, 골프관련 사업도 크게 활성화되어 골프장과 골프연습장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비교적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골프장의 속성상 대부분의 골프장은 거주 지역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편이고, 골프장 이용 비용도 적다고는 볼 수 없어서, 시간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사람들이 실제 골프장에 자주 찾아가서 플레이하기는 쉽지 않다.
최근에는 3차원 입체영상 및 컴퓨터 시뮬레이팅 기술을 이용하여 현장에 나가지 않고도 스포츠 경기를 즐길 수 있는 시뮬레이팅 장치들이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고, 골프의 저변이 확대되면서 컴퓨터 시뮬레이팅 기술이 골프에 적용된 스크린 골프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스크린 골프의 경우에는 스크린을 통하여 골프장의 영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마치 야외에서 실제의 골프 경기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면서도 야외의 필드에서 경기하는 것에 비해 비용이 세이브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제 골프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더라도 통상의 컴퓨터 게임에 비하면 스크린 골프장 이용 비용은 고가라 할 수 있고, 또한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기 위해서 직접 스크린 골프장을 방문해야 한다는 점에서 스크린 골프에도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스크린 골프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개인이 원하는 시간에 더 적은 비용으로 골프를 즐길 수 있게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아울러 골프는 다른 스포츠에 비해서 입문이 까다로운 편이어서 골프 스윙의 자세, 골프코스의 공략법 등 골프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알아두어야 할 사항이 많아서 초보자가 입문하기가 어려운 편에 속하는데, 초보자라도 쉽게 골프에 입문할 수 있고 또한 숙련자라 하더라도 자신의 골프 실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골프를 플레이하는 개인에게 골프 플레이에 관한 적절한 어드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가상의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윙을 센싱할 수 있는 센싱수단을 구비하는 골프클럽 및 사용자가 상기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의 동작은, 사용자에게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며, 상기 골프클럽을 이용한 사용자의 스윙에 대해서 상기 센싱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플레이 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가상의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고 또한 실시간으로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현대에는 개인마다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대부분 구비하는데, 이러한 현대사회의 스마트폰에 대한 기술발전은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자신의 스마트폰을 모바일 기기로 이용함으로써 언제 언디서나 골프 플레이를 즐기면서 동시에 골프 플레이에 대한 적절한 어드바이스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모의 골프클럽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모의 골프클럽에 있어서 감지모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모의 골프클럽으로 스윙하는 경우에 감지될 수 있는 스윙궤적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골프클럽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가상의 캐디가 골프 플레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어드바이스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어드바이스 생성에 있어서 다양한 샘플 그룹의 선정 범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이 실제 골프 플레이에 적용되어 있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모의 골프클럽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모의 골프클럽에 있어서 감지모듈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의 모의 골프클럽으로 스윙하는 경우에 감지될 수 있는 스윙궤적의 예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1의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은 모의 골프클럽(1) 및 모바일 기기(10)를 포함한다. 모의 골프클럽(1)은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을 구비하여 모바일 기기(1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는 사용자가 가상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관련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10)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플레이하고자 하는 가상의 골프코스와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며, 사용자가 모의 골프클럽(1)으로 스윙동작을 취하였을 때에는 사용자 스윙과 관련한 정보를 모의 골프클럽(1)으로부터 수신하며, 또한 상기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스윙에 의하여 가상의 골프공이 어떠한 궤적으로 비행할 것인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10)로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자신의 휴대폰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신의 스마트폰에 상기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모바일 기기(10)로 사용할 수 있다.
모의 골프클럽(1)은 모바일 기기(10)에 표시된 가상의 골프공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스윙동작을 취할 때 사용된다. 이때에 사용자의 스윙동작은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실제하지 않는 상상의 골프공을 대상으로 하는 일종의 모의 스윙이다. 사용자가 스윙동작을 취하면, 상기 스윙동작에 관한 정보가 모바일 기기(10)에 전달된다. 모바일 기기(10)에는 산출부(11)가 구비되어 있고, 산출부(11)는 사용자의 스윙동작에 기초하여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모의 골프클럽(1)의 세부구조와 산출부(11)에서의 산출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모의 골프클럽(1)은 그립부(2), 바디부(3), 헤드부(4)를 포함한다. 그립부(2)는 바디부(3)의 일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스윙할 때 붙잡는 부분에 해당한다. 바디부(3)는 소정방향으로 신장하는 형상을 가지며, 모의 골프클럽(1)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이다. 헤드부(4)는 바디부(3)의 타단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스윙동작시 골프공이 임팩트 된다고 가정되는 부분이다. 모의 골프클럽(1)은 실제의 골프공을 타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골프공없이 스윙동작을 취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헤드부(4)에는 실제의 골프공이 임팩트되지 않고, 타격하고자 하는 상상의 골프공을 가정할 때에, 이 상상의 골프공이 임팩트 된다.
모의 골프클럽(1)에는 사용자의 스윙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감지모듈(5)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감지모듈(5)은 모의 골프클럽(1)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지모듈(5)에는 감지수단(5a), 프로세서(5b), 송수신수단(5c), 진동수단(5d)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수단(5a)은 사용자의 스윙동작을 센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감지수단(5a)은 서로 직교하는 3축방향의 속도 및/또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와 서로 직교하는 3축방향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각속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수단(5a)의 각 센서에서 감지된 센싱신호는 프로세서(5b)에 전달되고, 상기 전달된 센싱신호는 프로세서(5b)에 의하여 각종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송수신수단(5c)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의 골프클럽(1)을 이용하여 스윙동작을 취하였을 때,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스윙동작 중의 소정의 스윙위치에서 감지모듈(5)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가 외부의 모바일 기기(10)로 전송될 수 있는데, 그 결과 사용자가 전체적으로 어떠한 스윙궤적으로 스윙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스윙동작이 감지되고 이를 모바일 기기(10)에 전송하면, 모바일 기기(10)에서 스윙동작을 분석한 후, 상기 스윙으로 골프공을 타격했다고 가정했을 때 해당 골프공이 어떠한 궤적을 나타내는지와 어느 정도의 비거리를 나타내는지 등을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대로 골프공이 움직이는 영상이 모바일 기기(10)에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궤적이나 비거리를 계산하는 것은 모바일 기기(10)에 구비된 산출부(1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산출부(11)에서 골프공의 궤적이나 비거리 등을 산출하는 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모의 골프클럽(1)에 의한 사용자의 스윙동작에 있어서 상상의 골프공과 임팩트된다고 판단되는 순간에서의 속도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속도에 비례하여 비거리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다음과 같이 약간 복잡한 과정으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의 골프클럽(1)으로 정지상태(V0, θ0)의 골프공(B0)을 타격하여 소정의 운동상태(V, θ)를 갖는 골프공(B)으로 상태변화가 발생했다고 가정한다. 상기 V0, θ0, V, θ는 골프공의 물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초기속도, 초기각도, 타격후 속도, 타격후 각도 등을 의미한다. 상기 각도는 골프공의 수평면상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위각이나 골프공이 수평면에 대해서 기울어진 각도를 나타내는 상하각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언급된 속도나 각도 등의 파라미터는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스핀 등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가 더 고려될 수도 있다. 상기 타격후 속도, 타격후 각도 등을 계산할 때에는 사용자의 스윙동작시 모의 골프클럽(1)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골프공과 임팩트 된다고 간주되는 시기에 있어서의 스윙각도, 스윙속도 등을 파악한 후, 상기 각도와 속도 등에 의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때에 골프공에 전달되는 충격량이나 임팩트 방향 등을 감안하여 타격후 속도, 타격후 각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모의 골프클럽(1)은 실제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모의 골프클럽(1)을 가지고 스윙하는 동작 중 어떠한 상태에서 골프공과 임팩트된다고 간주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여기에도 여러가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윙하기 직전에 어드레스 동작을 완료했을 때의 모의 골프클럽(1)의 위치를 기억하고, 사용자의 스윙동작에 있어서 모의 골프클럽(1)이 상기 기억된 위치를 통과할 때 골프공과 임팩트가 발생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통상 임팩트가 발생했을 때에 최대의 스윙속도가 될 수 있으므로, 최대의 스윙속도가 되는 지점에서 골프공과 임팩트가 발생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프공의 상태변화(V0, θ0 → V, θ)를 가정하여 골프공의 타격후 속도나 각도와 같은 파라미터(V, θ)의 값을 산출한 후, 이 값에 근거하여 골프공의 최종궤적(S)을 산출한다. 즉, 상기한 물리적 파라미터(V, θ)를 갖는 골프공이 야외에서 비행한다고 가정하였을 때에, 해당 골프공이 어떠한 궤적을 나타낼 것인지를 계산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어떠한 종류의 골프클럽으로 스윙하였는지가 고려될 수 있다. 실제의 골프클럽에서는 우드, 아이언, 퍼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골프클럽이 있고, 어떠한 골프클럽으로 스윙하였는지에 따라 골프공의 궤적이 달라질 수 있다. 모의 골프클럽(1)은 실제의 골프클럽과 같이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지 않고, 1개의 모의 골프클럽(1)이 실제에 있어서 여러가지 종류의 골프클럽에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실제 골프클럽은 그 종류에 따라 비거리나 정확도 등이 달라지는 점을 감안하여, 모의 골프클럽(1)이 스윙시 어떠한 실제 골프클럽에 대응하고 있는 것인지를 체크하여, 이를 골프공의 궤적 계산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파라미터(V, θ)로부터 'D'라는 중간 비거리값이 산출되었다면, 상기 중간 비거리값에 상수 'K'를 곱하여 최종 비거리값을 계산하되 상수 'K'의 값을 골프클럽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현재 스윙시 모의 골프클럽(1)이 어떠한 종류의 골프클럽에 대응하는가에 대한 정보(가령 사용자가 모의 골프클럽(1)을 1번 우드로 간주하고 스윙한 것인지 또는 7번 아이언으로 간주하고 스윙한 것인지 등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가 스윙동작에 앞서 스스로 모바일 기기(10)를 통하여 직접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값에 따라 모의 골프클럽(1)이 어떠한 종류의 골프클럽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파악하여, 이를 골프공의 비거리나 궤적 산출에 반영한다.
골프 플레이시 발생하는 특정상황에서 어떠한 종류의 골프클럽을 사용해야 하는지는 대체로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골프 플레이어들은 티샷에 대해서는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벙커샷에 대해서는 샌드웨지를 사용하고, 퍼팅에 대해서는 퍼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의 골프클럽(1)이 어떠한 종류의 골프클럽에 대응하는 것인지 입력하지 않더라도,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어떠한 종류의 골프클럽을 사용할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 선택된 골프클럽은 모바일 기기(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는 표시된 자동 선택 골프클럽으로 타격하는 경우에는 선택사항을 변경하지 않고 모의 골프클럽(1)으로 스윙동작을 취하면 된다. 또한 사용자가 자동 선택된 골프클럽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기기(10)를 통하여 직접 골프클럽의 선택을 입력하면 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감지모듈(5)은 사용자의 스윙동작을 센싱하는 역할 이외에 다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감지모듈(5)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5d)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진동수단(5d)은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스윙과 관련한 특정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모의 골프클럽(1)을 이용하는 경우에 어드레스 자세를 취하고 이어서 타격을 위한 스윙동작을 취한다면, 어드레스 자세가 완료되었을 때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드레스 동작에 이어지는 '타격을 위한 스윙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을 알려줄 수 있다. 또는 실제의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은 아니지만 골프공을 타격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모의 골프클럽(1)과 가정된 골프공이 임팩트된다고 인정되는 시점에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가정한 골프공이 임팩트되는 시점을 알려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어드레스 완료 시점이나 골프공과의 임팩트 시점 등을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진동수단(5d)을 대신하여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고, 감지모듈(5)에는 감지수단(5a), 프로세서(5b), 송수신수단(5c), 진동수단(5d)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모의 골프클럽(1)을 이용하여 스윙하면, 모의 골프클럽(1)에 의하여 감지된 스윙동작의 정보가 모바일 기기(10)에 전송되고, 모바일 기기(10)의 산출부(11)에서는 상기 전송된 정보에 근거하여 모의 골프클럽(1)에 의하여 임팩트 되었다고 가정된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궤적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골프공 및 가상의 골프코스(실제하는 골프공과 골프코스가 아니라 화면에 표시되는 골프공과 골프코스라는 의미로 '가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함) 등의 영상이 모바일 기기(1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를 플레이 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는 모의 골프클럽(1)과 모바일 기기(10)로 사용될 수 있는 자신의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스크린 골프장을 가지 않더라도 언제/어디서나 부담없이 골프를 즐길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골프클럽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모의 골프클럽(1a)은, 감지모듈(5)이 내부에 내장되어 있지 않고 탈부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는 감지모듈(5)이 탈부착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는 실제 골프클럽(1b)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탈부착이 가능한 감지모듈(5)을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임의의 대상물체에 감지모듈(5)을 물리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어떠한 종류의 골프클럽이든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고, 반드시 모의 골프클럽(1a)이나 실제 골프클럽(1b)이 아니더라도 감지모듈(5)을 장착시킬 수 있는 대상물체라면 이를 골프클럽의 대용품으로 사용하여 가상 골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대상물체는 골프스윙과 비슷한 스윙감을 줄 수 있도록 길쭉한 막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모듈(5)을 탈부착 방식으로 구성하는 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모듈(5)이 자성체를 구비하여 자성을 갖도록 한 후에, 감지모듈(5)을 모의 골프클럽(1a)이나 실제 골프클럽(1b)의 몸체에 있어서 금속재질로 된 부분에 자기력에 의하여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자성체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별도의 장착수단 등을 구비하여 감지모듈(5)을 탈부착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은 모의 골프클럽(1), 모바일 기기(10) 및 디스플레이 기기(D)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하면, 디스플레이 기기(D)가 더 구비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모의 골프클럽(1)과 모바일 기기(10)는 이전 실시예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기기(D)는 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 TV 등과 같은 임의의 기기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D)는 미러링 등의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10)에 표시되는 영상을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한다. 모바일 기기(10)는 화면 사이즈가 작아서 가상 골프 플레이시 사용자가 다소 불편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D)가 구비되면, 대형 사이즈의 화면을 통하여 영상을 보면서 편리하게 가상 골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가상의 캐디가 골프 플레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은 모의 골프클럽(1), 모바일 기기(10) 및 서버유닛(2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하면, 서버유닛(20)이 더 구비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모의 골프클럽(1)과 모바일 기기(10)는 이전 실시예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유닛(20)은 모바일 기기(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서, 모바일 기기(10)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서버유닛(20)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유닛(20)은 가상 골프 플레이에 필요한 여러가지 서포트 동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10)로서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상의 골프코스 등의 화면을 보여주고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한데, 서버유닛(20)에 접속하여 상기 소프트웨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 골프를 플레이할 때마다 자신의 플레이 기록이 누적되어 저장되기를 희망할 수 있는데, 서버유닛(20)은 이러한 기록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서버유닛(20)에는 데이터베이스(2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서버유닛(20)에 접속한 상태에서 가상 골프를 플레이하면, 데이터베이스(21)에는 해당 플레이 기록이 저장될 수 있고, 이후 동일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폰이 아닌 다른 모바일 기기(10)로 서버유닛(20)에 접속하여 가상 골프를 플레이하더라도, 로그인 등을 통하여 사용자 자신의 신원을 확인한다면 이전의 플레이 기록에 더하여 현재 플레이에 따른 기록도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21)를 통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모바일 기기(10)를 통하여 가상 골프를 플레이하였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특정 사용자에 대한 플레이 기록이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버유닛(20)은 사용자가 로그인을 완료한 경우에만 모바일 기기(10)를 이용한 가상 골프 플레이가 가능해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로그인 요청은 모바일 기기(10)를 통하여 서버유닛(20)에 전달되도록 하고 또한 데이터베이스(21)에 사용자 개인의 로그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도록 하면, 서버유닛(20)은 데이터베이스(21)를 참조하여 로그인의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로그인이 승인된 이후에만 모바일 기기(10)를 통하여 가상 골프 플레이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로그인을 하지 않더라도 게스트 모드로 가상 골프 플레이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게스트 모드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특정되지 않으므로 게스트로 플레이한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을 누적하여 저장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골프 플레이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여러가지 편의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이러한 편의수단은 본 실시예뿐만 아니라 도 1,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프 플레이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제공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은 서버유닛(20)에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개개의 모바일 기기(10)에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0)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모바일 기기(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제공된다. 특히, 정보의 전달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10) 화면에 가상의 캐디(VC)를 표시한 후, 상기 가상의 캐디(VC)가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의 캐디(VC)에 의하여 전달되는 정보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를 참조하면, 가상의 캐디(VC)를 통하여 '나이스 샷' 등과 같이 사용자의 타격에 대한 간단한 응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도 9(b)를 참조하면, 가상의 캐디(VC)를 통하여 현재 골프공의 위치에서부터 홀컵까지의 거리 등과 같이 사용자의 플레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골프코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도 9(c)를 참조하면, 가상의 캐디(VC)를 통하여 코스공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골프 플레이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골프 플레이에 관한 어드바이스는,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상관없이 골프코스에 관한 기본정보에 의거한 코스공략 어드바이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플레이 중인 골프코스에서 골프공이 놓여 있는 위치, 이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거리와 방향 등을 감안하여, 어느 정도의 비거리를 목표로 어느 방향으로 타격할 것인지를 어드바이스 할 수 있다.
골프 플레이에 관한 어드바이스는,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가 누구이고 어느 정도 레벨을 가지고 있는지까지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어드바이스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에서는 개별 사용자에게 특화된 사용자 맞춤형 어드바이스를 생성하여 가상의 캐디(VC)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서버유닛(20)에는 어드바이스 생성부(22)가 구비될 수 있다(어드바이스 생성부는 개별 모바일 기기에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맞춤형 어드바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이 중 2가지를 예로써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2가지의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이하, '제1, 제2 방법'이라 명명) 이외에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또한 이 2가지 방법도 서로 완전히 구별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을 일부 또는 전부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방법>
본 방법은 골프공의 위치 등 타격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현재 처해있는 상황 및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 등을 고려하여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 것이다.
도 10은 제1 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골프 플레이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은 가상 골프공의 위치정보 파악(S11), 가상 골프공의 상황정보 파악(S12),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 분석(S13), 어드바이스 생성(S14)의 단계를 포함한다.
가상 골프공의 위치정보 파악(S11) 단계에서는, 모바일 기기(10)에 표시되는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사용자가 타격(실제로는 모의 골프클럽(1)을 이용한 스윙동작)하기 전에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곳의 위치를 파악한다. 사용자가 특정 코스에서 최초의 타격(티샷)을 하기 전이라면 가상 골프공의 위치는 가상의 골프코스에 있어서 최초 시작위치에 해당된다. 또한 사용자가 타격을 한 이후부터는 상기 타격을 분석하여 산출된 궤적에 따라 가상의 골프공이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산출결과에 따라 움직인 후의 최종적인 착지위치가 넥스트 타격에 있어서 가상 골프공의 위치에 해당된다. 상기 최초 시작위치는 정해진 위치이므로 그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착지위치는 가상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하면서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가상 골프공의 상황정보 파악(S12) 단계에서는, 가상 골프공의 위치정보로부터 가상 골프공이 처해 있는 상황정보를 파악한다. 서버유닛(20)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21) 또는 모바일 기기(10)에는 사용자가 플레이 중인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플레이 중인 가상의 골프장의 18홀 골프코스에 대한 맵 정보 및 맵 상의 각 위치에서의 좌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하고 있는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정보에 가상 골프공의 위치정보 파악(S11) 단계에서 얻어진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나 좌표를 대입함으로써 가상의 골프공이 처한 상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상 골프공의 상황정보로는 가상의 골프공과 홀컵까지의 거리나 가상의 골프공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형의 속성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사용자가 플레이 하고 있는 가상의 골프코스가 그린, 러프, 페어웨이의 속성을 갖는 지형을 포함하는 경우에, 가상 골프공의 상황정보로서 가상 골프공의 현재위치에서 홀컵까지의 거리와 가상의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형이 그린/러프/페어웨이 중 어떠한 속성을 갖는 지형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가상 골프공의 상황정보을 파악하면,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을 분석한 후(S13), 사용자에게 제공할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한다(S14).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과거 플레이 기록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동일한 가상 골프코스에서 모바일 기기(10)을 이용하여 과거에 가상 골프를 플레이한 적이 있다면, 해당 플레이 기록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유닛(20)을 통하여 로그인을 진행한 후 플레이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되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이 누적되어 저장된다. 만약 서버유닛(20)을 운영하는 서비스 업자가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뿐만 아니라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까지 운영하고 있다면, 서버유닛(20)은 상기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 중 어느 하나에서 스크린 골프를 플레이하였다면, 상기 스크린 골프장에서의 플레이 기록도 서버유닛(20)의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스크린 골프장 등 다양한 방식으로 플레이를 하였다면, 해당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은 매우 풍부할 것이고, 과거 플레이 기록이 풍부할수록 상기 과거 플레이 기록을 분석하여 생성되는 어드바이는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 방법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어드바이스를 생성할 때에는, 현재 가상의 골프공이 처해있는 상황정보에 플레이 중인 사용자의 다양한 소스로부터의 과거 플레이 기록를 고려하여 객관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어드바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현재 가상의 골프공이 벙커에 빠져 있는 상황이고 사용자가 과거 플레이 기록상 대체로 벙커샷의 결과가 우수하였다면, 현 상황에 대응하여 단순히 벙커를 벗어나기 위한 소극적인 샷보다는 벙커를 벗어나고 그린에 안착하여 홀컵에 근접할 수 있는 적극적인 샷을 권장하는 어드바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방법>
본 방법은 사용자의 타격결과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타격결과에 근거하여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1은 제2 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어드바이스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도 11의 어드바이스 생성에 있어서 다양한 샘플 그룹의 선정 범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방법에 따라 골프 플레이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은 사용자 레벨 산정(S21), 샘플 그룹 선정(S22), 샘플 그룹의 정보 분석(S23), 타격 결과 예측(S24), 예측결과를 근거로 한 어드바이스 생성(S25)의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레벨 산정(S21)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플레이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골프 레벨이 산정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서버유닛(20)을 이용한 로그인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 개별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은 서버유닛(20)의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될 수 있다. 로그인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된 상태에서 가상 골프를 위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신원이 확인된 사용자가 가상 골프 플레이를 하는 동안 해당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이 해당 사용자 정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저장된 사용자의 플레이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의 레벨을 산정할 수 있다. 참고로, 골프에서는 사용자의 레벨을 '핸디캡'이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8홀 72타를 기준으로 할 때에, 사용자가 기록한 스코어가 82타라면 해당 사용자의 핸디캡은 82와 72의 차이인 10이 된다. 핸디캡이 크면 18홀의 평균 타수가 높다는 의미이므로, 그만큼 사용자의 골프 레벨이 낮은 것이며, 마이너스 핸디캡인 경우에는 18홀의 평균 스코어가 72타보다 적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해당 사용자는 골프 레벨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21)는 산정된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정보 저장영역이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골프 레벨에 따라 저장영역이 복수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복수로 구분된 개개의 저장영역내에 다시 해당 레벨에 속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저장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사용자 A, B, C, D가 있고 사용자 A, B는 레벨 1에 속하고 사용자 C, D는 레벨 2에 속한다고 할 때에, 데이터베이스(21)에는 레벨 1에 속하는 사용자를 위한 영역(N1)과 레벨 2에 속하는 사용자를 위한 영역(N2)이 서로 구분되어 있고, 사용자 A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P1)과 사용자 B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P2)은 상기 레벨1 영역(N1)에 형성되고, 사용자 C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P3)과 사용자 D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영역(P4)은 상기 레벨2 영역(N2)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각 사용자를 위한 저장영역(P1, P2, P3, P4)에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 DB, 사용자의 플레이 정보 DB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의 신상 정보 DB는 사용자의 개인 신상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로그인 과정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플레이 정보 DB는 사용자가 플레이한 기록을 저장하는 것으로 타격예측을 하여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데에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레벨은 해당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 등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평가된 것으로,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타격예측을 통한 어드바이스 생성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레벨은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플레이 기록이 갱신됨에 따라 그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의 레벨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용자의 플레이 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플레이 정보 DB에는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균 타수, 드라이버 비거리, 페어웨이 안착률, 그린 정확도, 평균 퍼팅수 등이 사용자의 과거기록으로부터 산출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레벨 산정에 사용될 수 있다.
평균 타수는 사용자가 기록한 타수를 더한 후 이를 홀 수에 따라 나눈 것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총 18홀로 구성되는 골프코스에 있어서 규정타수를 모두 더하면 72타가 되는데, 프로골퍼들은 60대 후반 또는 70대 초반의 타수를 기록하며 일반인들은 80타 이내에 들어가면 상급자로 인정될 수 있다. 평균 타수 이외에도, 드라이버 비거리, 페어웨이 안착률, 그린 정확도, 평균 퍼팅수 등이 레벨 산정에 사용될 수 있다. 드라이버 비거리는 드라이버샷에 의하여 골프공이 비행하는 거리를 의미한다. 골프에서는 타수를 줄이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기 때문에, 비거리가 타인에 비하여 길다면 타수를 줄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비거리는 단순히 힘이 좋다고 증가하는 것이 아니고, 스윙 자세나 골프공과의 임팩트시의 스윙 정확도 등 기술적인 측면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비거리가 길수록 골프스킬에 있어서 레벨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페어웨이 안착률(드라이버 정확도(Driving Accuracy))은 드라이버에 의한 티샷이 어느 정도의 비율로 (러프나 벙커에 빠지지 않고) 페어웨이에 안착하느냐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으로, 18홀 중 Par3홀 4개를 제외한 14개 홀에서 티샷이 페어웨이에 안착한 횟수를 퍼센트로 나타낸다. 그린 정확도는 그린에 골프공을 규정타 이하로 올린 횟수를 '퍼센트(%)'로 나타낸 것으로, 페어웨이 안착률과 유사하게 산출된다. 평균 퍼팅수는 18홀 라운딩 중 전체 퍼팅수를 18로 나누어 계산되는데, 예를 들어 전체 퍼팅 횟수가 30이라면 1.67(30/18=1.666)이 된다.
이와 같이, 드라이버 비거리는 드라이버샷의 장타 능력을, 페어웨이 안착률이나 그린 정확도는 샷의 정확도를, 평균 퍼팅수는 퍼팅의 정확도를 나타내므로,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레벨을 산정할 수 있다.
결국, 평균 타수는 종합적인 측면에서 골퍼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고, 드라이버 비거리, 페어웨이 안착률, 그린 정확도, 평균 퍼팅수 등은 세부적인 특정 측면에서 골퍼의 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자의 레벨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의 레벨 산정(S21) 단계에 이어서 다음 단계로 샘플 그룹이 선정된다(S22). 샘플 그룹은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가 속하는 레벨의 그룹을 포함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레벨을 갖는 사용자들의 그룹으로 선정된다. 예를 들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 그룹은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N)을 갖는 사용자들 중에서 선정될 수 있다. 또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 그룹은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N)을 갖는 사용자 및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보다 한 단계 높은 레벨(N+1)을 갖는 사용자들 중에서 선정될 수 있다. 또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 그룹은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N)을 갖는 사용자,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보다 한 단계 높은 레벨(N+1)을 갖는 사용자 및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보다 한 단계 낮은 레벨(N-1)을 갖는 사용자들 중에서 선정될 수도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방식으로 샘플 그룹이 선정될 수 있다. 가령, 샘플 그룹은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을 갖는 사용자 및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보다 한 단계 낮은 레벨을 갖는 사용자들 중에서 선정될 수 있다. 또는 샘플 그룹은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을 갖는 사용자와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보다 몇 단계까지 높거나 낮은 레벨을 갖는 사용자들 중에서 선정될 수 있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위와 같이 샘플 그룹이 선정되면 샘플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정보를 분석한다(S23). 여기에서 분석된 정보는 타격결과를 예측할 때에 사용된다. 샘플 그룹을 선정하는 이유는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의 타격결과를 예측함에 있어서, 예측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 자신의 데이터만으로는, 타격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근거 데이터로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근거 데이터는 그 양이 풍부할수록 예측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근거 데이터를 풍부하게 확보하기 위해서, 임의의 사용자들의 데이터까지 추가하는 경우, 추가된 데이터의 사용자와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 사이의 레벨 차이가 크다면, 추가된 데이터로 인하여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에 대한 타격결과 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풍부한 데이터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의 타격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와 비슷한 실력을 가진 샘플 그룹으로부터 데이터를 확보한다. 샘플 그룹을 선정할 때에,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을 갖는 사용자들만으로도 타격결과를 예측하는데에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면,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샘플 그룹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와 동일한 레벨을 갖는 사용자들만으로는 타격결과를 예측하는데에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없다면, 도 13(b), (c)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샘플 그룹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샘플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과거 플레이 정보를 분석한 후에는 이를 근거로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의 타격결과를 예측한다(S24). 여기에서 예측가능한 '타격결과'의 대상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티샷을 하기 전에 특정 홀에서 몇타에 홀인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고, 또는 특정 홀에서 티샷을 했을 때에 골프공의 궤적이나 비거리가 어떻게 될 지를 예측할 수 있고, 또는 특정 홀의 퍼팅 상황에서 퍼팅에 성공할지 또는 실패할지 등을 예측할 수 있다. 즉 골프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하여 여러가지 타격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골프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타격결과를 예측함에 있어서 상기 예측을 위하여 여러가지 계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가 티샷을 하기 전에 특정 홀에서 몇타에 홀인할 것인지를 예측하고자 하는 경우, 샘플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해당 특정 홀에서의 플레이 결과(타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가 Par3 홀에서 티샷을 하고자 할 때에, 샘플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A가 해당 홀에서 3번 플레이하였고 보기(4타), 보기(4타), 파(3타)를 기록했었다면 (보기:2회, 파:1회)라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해당 홀에서 샘플 그룹의 사용자 B가 2번 플레이하였고 보기(4타), 버디(2타)를 기록했었다면 (보기:1회, 버디:1회)의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런식으로 샘플 그룹에 속하는 모든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를 합산하면 "더블보기:100회, 보기:200회, 파:50회, 버디:50회" 등과 같은 합산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합산 데이터를 이용하면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가 해당 홀에서 몇타로 플레이할 것인지를 확률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블보기(6타)'가 될 확률은 25%(100회/(100회+200회+50회+50회)로 계산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타격결과의 예측은 결과로서 나올 수 있는 여러가지 상황에 대해서, 각 상황이 발생할 확률을 계산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는 타격결과의 예측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특정 상황에 대해서 성공/실패라는 2가지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예측하는 것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퍼팅을 하는 상황에서 퍼팅에 성공할 지 또는 실패할 지의 타격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이때에도 여러가지 계산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가 특정 골프코스의 특정 홀에서 퍼팅을 하는 경우에, 샘플 그룹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특정 홀에서 플레이한 결과를 분석하여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의 퍼팅의 성공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예측을 위하여, 먼저 샘플 그룹 사용자들의 과거 플레이 기록으로부터 퍼팅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데에 근거가 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계산모델을 단순화하여 퍼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가 2가지만 있다고 가정한다. 즉, 상기 변수로서 홀컵과 퍼팅시 가상의 골프공이 놓여있는 지점 사이의 거리(x)와 퍼팅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퍼팅능력(예를 들면, 평균 퍼팅수)(y)의 2가지만 있다고 가정한다. 만약 샘플 그룹의 사용자 A가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와 동일한 골프코스에서 과거 퍼팅을 하면서 x=x1, y=y1의 조건에서 퍼팅을 성공하였다면 (x1, y1, 1)이라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사용자 B가 x=x2, y=y2의 조건에서 퍼팅을 실패하였다면 (x2, y2, 0)이라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만약 사용자 C가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와 동일한 골프코스에서 과거 복수회 퍼팅을 하였다면 상기 복수회 각각에 대하여 (x3, y3, 0), (x4, y4, 1)과 같은 데이터를 추출한다(y가 사용자의 퍼팅능력을 나타내는 평균 퍼팅수인 경우, 사용자 C에 대한 y값은 일정하기 때문에 y3, y4는 동일한 값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샘플 그룹에 속하는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x1, y1, 1), (x2, y2, 0), …, (xN, yN, 1)"과 같은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후 "(x1, y1, 1), (x2, y2, 0), …, (xN, yN, 1)"의 추출 데이터를 머신러닝과 같은 인공지는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퍼팅에 성공하는 경우와 실패하는 경우의 모델을 설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에 대해서 x, y에 해당하는 변수값 (xuser, yuser)를 입력하면 그 결과값이 0인지 또는 1인지에 따라 퍼팅의 성공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퍼팅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는 변수를 2가지로 가정하였지만, 퍼팅 지점의 지형이나 경사 등 다양한 변수를 추가함으로써 타격결과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퍼팅의 성공 여부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퍼팅이외의 다른 특정상황(예를 들면, 벙커샷이나 어프로치샷 등)에서의 샷이 성공할 지 여부도 유사한 방법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상 특정 홀에서 타수예측 및 퍼팅의 성공 여부 등과 같은 특정상황에서 타격결과를 예측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로 든 것일 뿐이며,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상황에 대해서도 타격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아울러 타격결과를 예측하는 계산과정도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능한 단순한 방식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며, 실제로는 더 복잡한 계산과정이 필요할 수 있고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방식 이외에 다른 계산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타격결과를 예측한 후에는 이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절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한다(S25). 예를 들면, 현재 플레이 중인 사용자가 티샷을 하기 전에 파5 홀의 특정 가상 골프코스에서 6타(보기)에 홀인하는 것으로 예측이 되었다면, 보기 또는 보기보다 한 단계 위인 파로 해당 코스를 공략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이 목표에 부합하도록 어드바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를 플레이함에 있어서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은 포터블 가상 골프 뿐만 아니라 다른 골프 플레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 골프장에서의 가상 골프 플레이에도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야외 골프장에서 실제의 골프를 플레이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제 골프장에서 골프 플레이시에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이 적용되는 예를 살펴본다.
도 14는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이 실제 골프 플레이에 적용되어 있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이 적용된 시스템(100)은 모바일 기기(110) 및 서버 유닛(120)을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110)는 서버 유닛(12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모바일 기기(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101)을 이용하여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얻는데에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10)는 서버 유닛(120)과 통신할 수 있고, GPS 위성(101)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어드바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면 어떠한 기기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110)로서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자신의 휴대폰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기기(110)로서 사용자가 이용중인 골프장에 소속되어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면서 플레이를 돕는 캐디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이나 혹은 사용자가 이용중인 골프장에서 제공되는 별도의 모바일 기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지 않거나 사용자의 휴대폰이 GPS 위성(101)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필요하다. 서버 유닛(120)은 데이터베이스(121)와 어드바이스 생성부(122)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21)는 사용자 개인의 신상정보 및 과거 플레이 기록 등을 저장하고, 어드바이스 생성부(122)는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맞춤형 어드바이스를 생성한다. 생성된 어드바이스는 모바일 기기(1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전달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어드바이스는 가상의 캐디(도 9의 도면부호 'VC' 참조)를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 맞춤형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 데에는 앞에서 설명한 제1 방법, 제2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앞에서 설명한 제1, 2 방법은 사용자가 가상 골프를 플레이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고,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실제 골프를 플레이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어드바이스 제공방법에 있어서도 가상 골프와 실제 골프의 차이로 인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방법을 예로서 실제 골프에서 사용자 맞춤형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방법에 따라 골프 플레이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은 골프공의 위치정보 획득(S110), 골프공의 상황정보 획득(S120),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 분석(S130), 어드바이스 생성(S140)의 단계를 포함한다.
골프공의 위치정보 획득(S110) 단계에서는, 모바일 기기(110), GPS 위성(101) 등을 이용하여 골프공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모바일 기기(110)를 소지한 사용자가 골프공과 근접하여 위치하면, 모바일 기기(110)의 위치를 골프공의 위치라고 볼 수 있고, 모바일 기기(110)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에 모바일 기기(110)의 위치는 모바일 기기(110)가 GPS 위성(101)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 등으로 파악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얻기 위하여 GPS 위성(101)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위치정보의 획득시에 반드시 위성신호를 이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법으로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어드바이스 제공을 요청한 이후에 비로서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10)로서 사용자 자신의 휴대폰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요청은 자신의 휴대폰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아무 때나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거나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골프공의 상황정보 획득(S120) 단계에서, 골프공의 위치정보로부터 골프공이 처한 상황정보를 획득한다. 골프공의 상황정보 획득시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1)는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중인 실제 골프장의 골프코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이는 골프장의 18홀 골프코스에 대한 맵 정보 및 맵 상의 각 위치에서의 좌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골프공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골프장의 골프코스 정보에 상기 위치정보를 대입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 하고 있는 골프코스에 있어서 골프공의 위치나 좌표를 파악할 수 있고 이로부터 골프공이 처한 상황정보(골프공과 홀컵까지의 거리나 골프공이 놓여 있는 지형의 속성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 분석(S130) 단계가 진행된다.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이란 사용자가 해당 골프장을 방문하여 과거에 플레이하였던 기록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실제 골프장을 찾는 횟수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제 골프장에서의 과거 플레이 기록은 양적으로 부족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실제 골프장에서는 전자장비를 설치하기가 곤란하여, 개인의 플레이 기록을 상세하게 자동으로 기록하기도 곤란하다. 현재로서는 사용자 자신이나 캐디 등과 같은 보조요원이 특정 홀에서 몇타로 홀인하였는지 등의 간단한 사항을 작성하여 입력시키는 정도로만 플레이 기록을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 골프장에서 과거 플레이 하였던 기록은 적절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크린 골프장에서의 과거 플레이 기록을 참고할 수 있다. 스크린 골프장은 실제 골프장에 비하여 시간이 비용이 세이브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자주 방문할 수 있고, 각종 전자장비가 설치되어 있어서 개인의 플레이 기록을 상세하게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 유닛(120)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을 운영하는 서비스업자가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을 관리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중앙서버에 해당되는 것일 수 있고, 이 경우 서버 유닛(120)은 상기 복수의 스크린 골프장과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린 골프장에서의 개인의 플레이 기록은 스크린 골프장에 연결된 서버유닛(120)에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될 수 있다.
스크린 골프에서는 실제의 골프장과 무관하게 창작된 가상의 골프코스가 제공되거나 또는 실제의 골프장을 모델로 하는 가상의 골프코스가 제공된다. 실제의 골프장을 모델로 하는 것은 실제 존재하는 골프장을 그대로 컴퓨터 그랙픽으로 표현한 것으로, 코스의 세부구성이 거의 실제 코스와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장에서 실제 골프장 A를 모델로 한 가상의 골프장 A'에서 플레이하였다면, 나중에 실제 골프장 A에서 실제로 골프를 할 때에는 가상의 골프장 A'에서 플레이 하였던 결과와 비슷한 결과로 플레이할 가능성이 있다. 사용자가 실제 골프장에서 과거 플레이 하였던 기록이 충분하지 않을 때에,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장에서 플레이 하였던 기록은 적절한 어드바이스를 생성하는데에 보충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고, 특히 사용자가 현재 플레이하고 있는 골프장을 모델로 하는 가상의 골프장에서 플레이 하였던 기록은 사용자 맞춤형 어드바이스를 생성할 때에 유력한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단계(S130)에 있어서 사용자의 과거 플레이 기록은,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실제 골프에서 플레이하였던 기록에 사용자가 스크린 골프장에서 플레이하였던 기록을 추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분석 대상 데이터를 양적으로 풍부하게 만들어서 생성되는 어드바이스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골프 플레이에 관한 어드바이스 생성(S140) 단계가 진행되며, 이는 앞에서 설명한 가상 골프 플레이에서의 어드바이스 생성 단계(도 10의 S14)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실제 골프장에서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앞에서 설명한 제2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 레벨을 산정(도 11의 S21 참조)하고 샘플 그룹의 정보를 분석(도 11의 S23 참조)함에 있어서 사용자 자신이나 사용자와 비슷한 레벨의 다른 사용자들이 스크린 골프장에서 플레이하였던 기록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이를 변형하여, 제1 방법에서의 골프공의 위치정보 획득(S110), 골프공의 상황정보 획득(S120)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현재 골프공이 처해 있는 상황을 파악한 후, 파악된 현재상황에 맞추어 타격결과를 예측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어드바이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모의 골프클럽
10, 110: 모바일 기기
20, 120: 서버 유닛

Claims (1)

  1. 사용자의 스윙을 센싱할 수 있는 센싱수단을 구비하는 골프클럽; 및
    사용자가 상기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를 플레이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동작은,
    사용자에게 가상의 골프코스 및 가상의 골프공을 보여주며, 상기 골프클럽을 이용한 사용자의 스윙에 대해서 상기 센싱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플레이 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0230049781A 2019-07-15 2023-04-17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30058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781A KR20230058331A (ko) 2019-07-15 2023-04-17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47A KR102344921B1 (ko) 2019-07-15 2019-07-15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제공방법
KR1020210118683A KR102526376B1 (ko) 2019-07-15 2021-09-06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제공방법
KR1020230049781A KR20230058331A (ko) 2019-07-15 2023-04-17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683A Division KR102526376B1 (ko) 2019-07-15 2021-09-06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331A true KR20230058331A (ko) 2023-05-03

Family

ID=7431038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947A KR102344921B1 (ko) 2019-07-15 2019-07-15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제공방법
KR1020210118683A KR102526376B1 (ko) 2019-07-15 2021-09-06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제공방법
KR1020230049781A KR20230058331A (ko) 2019-07-15 2023-04-17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947A KR102344921B1 (ko) 2019-07-15 2019-07-15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골프 플레이에 대한 어드바이스 제공방법
KR1020210118683A KR102526376B1 (ko) 2019-07-15 2021-09-06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44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476B1 (ko) * 2021-06-07 2022-09-14 주식회사 에스지엠 골프 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3858A (ja) * 2004-03-15 2005-09-22 Nec Fielding Ltd ゴルフプレー支援システム、方法、アドバイスサーバ、プログラム
KR20110032484A (ko) * 2009-09-23 2011-03-30 스마트스크린골프(주) 개인용휴대전화및피디에이에서 골프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연동하여 라운딩 게임
KR101019803B1 (ko) * 2010-06-30 2011-03-04 (주) 골프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30034844A (ko) * 2011-09-29 2013-04-08 (주)파이네트웍스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KR101415945B1 (ko) * 2013-01-28 2014-07-04 (주) 골프존 골프 클럽, 골프 클럽에 장착되는 그립 및 골프 클럽의 골프 샷 정보 분석 및 제공방법
JP2016032580A (ja) * 2014-07-31 2016-03-10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ゴルフプレイ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ゴルフプレイ支援装置
KR101958399B1 (ko) * 2017-12-26 2019-03-18 주식회사 타우 스윙센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골프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965A (ko) 2021-01-26
KR102526376B1 (ko) 2023-04-28
KR102344921B1 (ko) 2021-12-31
KR20210116378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222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rajectories of basketball shots for display
US11400362B2 (en) Motion mirroring system that incorporates virtual environment constraints
US8926443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US7922586B2 (en) Active play interactive game system
US20050227792A1 (en) Virtual golf training and gaming system and method
US201202956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TWI635417B (zh) 螢幕高爾夫系統、實現於螢幕高爾夫系統的高爾夫資訊服務方法、用於高爾夫資訊服務的移動終端的控制方法及存儲根據該方法的程式的電腦可讀存儲介質
JP7194282B2 (ja) ユーザに対しゴルフショットをシミュレート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118790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시스템
KR20120077906A (ko) 유무선통신기반 다자간 실시간 시뮬레이션골프게임 및 스윙연습이 가능한 이동형 스크린골프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230058331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0972819B1 (ko) 포터블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76425B1 (ko) 멘트를 제공하는 가상 스포츠 시스템
KR20230040319A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US20020077164A1 (en) Golf computer game
KR102344919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258214B1 (ko) 타격결과를 예측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장치의 동작방법
KR102442476B1 (ko) 골프 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US12005344B2 (en) Motion mirroring system that incorporates virtual environment constraints
KR20240037404A (ko)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장치, 가상 골프 시스템 및 골프 플레이 어드바이스 시스템
KR20230001037A (ko) 가상의 캐릭터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30051778A (ko) 가상 골프 장치 및 골프공의 타격결과를 예측하는 시스템
KR20190107510A (ko) 골프 필드 내에서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35784A (ko) 플레이 리뷰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40030541A (ko) 가상 골프 게임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