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969A - 수지 중합 반응 장치 및 수지 토출 방법 - Google Patents

수지 중합 반응 장치 및 수지 토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969A
KR20230057969A KR1020220134856A KR20220134856A KR20230057969A KR 20230057969 A KR20230057969 A KR 20230057969A KR 1020220134856 A KR1020220134856 A KR 1020220134856A KR 20220134856 A KR20220134856 A KR 20220134856A KR 20230057969 A KR20230057969 A KR 20230057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discharge
polymerization reaction
diameter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수
송영수
임예훈
최동철
최종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30057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785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19/0013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B01J19/0066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0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in the form of helices, e.g. screw 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30/00Compositions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 중합 반응 장치는, 수지가 수용되고, 수지 중합 반응이 수행되는 반응기; 반응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지를 교반하는 교반부; 및 반응기의 하부에 위치되고, 토출구의 직경의 3/80 내지 10/80 범위 내인 개구 직경을 가진 복수의 토출 개구가 마련된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수지 중합 반응 장치 및 수지 토출 방법{Polymerization reactor for resin and method for discharging resin therefrom}
본 발명은 수지 중합 반응 장치 및 수지 토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반응기의 온도 제어를 통해 수지의 토출 온도를 높여, 수지의 점도를 낮춤으로써 수지의 토출 속도를 높이고, 타공판을 통해 토출 면적을 조절하여 수지의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및 수지 토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지는 모노머 및 개시제와 함께 중합 반응기에 투입된 후, 중합 반응을 거쳐, 점도를 가진 상태로 중합 반응기에서 토출된다. 중합 반응 완료 후, 수지를 중합 반응기에서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중합 반응기의 상부로 질소 가스가 주입된다.
중합 반응기(10) 내의 수지는 질소 가스가 가압하는 힘에 의해, 토출구에서 토출된다. 이때, 수지의 토출 속도는 토출구(11)의 토출면적에 따라 토출속도가 가변된다. 수지의 토출속도는 토출구의 토출면적이 넓을수록 빨라진다.
수지의 토출속도가, 질소 가스가 중합 반응기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는 속도보다 빠르면, 질소 가스가 중합 반응기의 하부로 도달하기 전에 수지가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중합 반응기의 하부에는 미쳐 토출되지 못한 수지가 잔존하게 된다.
그리고, 중합 반응기(10)에서, 토출구(11)의 토출면적이 좁으면, 수지의 토출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수지가 토출구 주변에서 응고되어, 토출구를 막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특허공개 JP 1997-067404에는 고분자 폴리마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반응기의 온도 제어를 통해 수지의 토출 온도를 높여, 수지의 점도를 낮춤으로써 수지의 토출 속도를 높이고, 타공판을 통해 토출 면적을 조절하여 수지의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및 수지 토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 중합 반응 장치는, 수지가 수용되고, 수지 중합 반응이 수행되는 반응기; 반응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지를 교반하는 교반부; 및 반응기의 하부에 위치되고, 토출구의 직경의 3/80 내지 10/80 범위 내인 개구 직경을 가진 복수의 토출 개구가 마련된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토출 개구는 동일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토출 개구는 토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진 가상의 동심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의 동심원은 토출구의 직경의 1/4 내지 5/7의 범위 내인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토출 개구는 토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이격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토출 개구가 마련되고,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공판은 복수의 토출 개구가 개구 직경의 범위 내에서 동일 직경으로 마련되고, 개구 직경의 범위는 토출구의 직경의 3/80 내지 10/80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반응기는 수지의 토출 예열 온도가 수지의 중합 반응 온도보다 높아지게 온도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반응기는 수지의 중합 반응 완료 후에 수지를 토출 예열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토출 예열 온도는 중합 반응 온도보다 20도 내지 50도 범위에서 높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토출 예열 온도는 중합 반응 온도보다 30도 높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반부는 수지의 토출 방향으로, 반응기 내부에 설치된 교반봉; 교반봉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 토출 방향과 수직되게, 교반봉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지지대; 상부 지지대와 나란하게, 교반봉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지지대; 및 이중 나선 구조로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에 결합된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반 날개는, 나선형 구조를 가지되, 상단이 상부 지지대의 일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하부 지지대의 일단에 결합된 제1 교반 날개; 및 나선형 구조를 가지되, 상단이 상부 지지대의 타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하부 지지대의 타단에 결합된 제2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반부는 하부 지지대의 끝단에서 토출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하부 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날개는, 제1 교반 날개의 하단에서 하부 지지대의 하부로 연장되되, 하부 지지대의 일단에서 교반봉의 회전축을 향해 토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 하부 날개; 및 제2 교반 날개의 하단에서 하부 지지대의 하부로 연장되되, 하부 지지대의 타단에서 교반봉의 회전축을 향해 토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2 하부 날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부 날개와 제2 하부 날개는 삼각 단면을 가지되, 교반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하부 날개와 제2 하부 날개는 교반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되, 토출구의 직경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날개는 반응기의 깔대기부에 위치되고, 깔대기부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도로, 하부 지지대의 끝단에서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반부는, 교반 날개와 하부 날개가 교반봉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교반 날개가 깔대기부의 상부에 존재하는 수지를 교반하고, 하부 날개가 깔대기부에 존재하는 수지를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 중합 반응 장치는, 반응기의 상부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부를 더 포함하고, 가스는 소정의 압력으로, 수지가 토출구를 향해 이동되게 수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토출 개구의 직경은 토출구의 직경의 1/16 내지 1/8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토출 개구의 직경은 토출구의 직경의 1/16 내지 1/1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토출 개구의 직경이 토출구의 직경의 3/80 내지 1/1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 토출 방법은 수지 중합 반응 장치를 이용하여, 반응기에서 수지 중합 반응을 수행하고, 수지 중합 반응 후에 수지를 반응기에서 토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반응기의 온도 제어를 통해 수지의 토출 온도를 높여, 수지의 점도를 낮춤으로써 수지의 토출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이로 부터 수지의 토출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공판을 통해 수지의 토출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수지의 토출량 및 토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타공판의 교체를 통해, 중합 공정 후 진행되는 펠레타이징(pelletizing) 공정의 요구 사항에 맞춰, 생분해성 수지의 굵기를 조절가능하여, 전체 공정 진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지 중합 반응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지 중합 반응 장치의 구성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지 중합 반응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응기의 내부 사시도로서, 반응기에 설치된 교반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판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타공판의 토출 개구의 직경에 따른 토출속도에 대한 실험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타공판의 토출 개구의 직경에 따른 토출량에 대한 실험 그래프이다.
도 8(a)는 중합 공정 후 반응기에서 수지의 토출이 시작된 시점의 수지 체적 분율 분포 이미지이다. 도 8(b)는 반응기에서 수지의 토출이 거의 완료된 시점의 수지 체적 분율 분포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출원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출원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지 중합 반응 장치 및 수지 토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수지를 중합 반응하고, 중합 반응이 완료된 생분해성 수지의 토출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생분해성 수지는 미생물 등 생물적 작용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수지이다. 생분해성 수지로는 폴리락타이드(PLA, Poly Lactic Acid),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르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폴리락테이트 하이드라크릴레이트(PLH, Poly Lactate Hydracrylate) 등이다.
여기서, 폴리락타이드(PLA, Poly Lactic Acid), PLH는 옥수수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수지로서, 사용 중에는 일반 플라스틱과 동등한 특징을 가지지만 폐기시 미생물에 의해 100% 생분해된다.
생분해성 수지는 모노머 및 개시제와 함께 중합 반응기에 투입된 후, 중합 반응을 거쳐, 점도를 가진 상태로 중합 반응기에서 토출된다.
도 2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지 중합 반응 장치(100)는, 반응기(110), 교반부(120), 타공판(130) 및 가스주입부(140)를 포함한다.
반응기(110)는 수지(R)에 대한 중합 반응이 수행되는 장치이다. 반응기(11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진 본체(111)와, 본체의 하부로 연장되되 깔대기 구조를 가진 깔대기부(112), 깔대기부(112)의 하단에 마련된 토출구(113)로 구성된다.
반응기(110)의 상부에는 가스주입부(140)가 연결된다.
가스주입부(140)는 반응기(110)의 상부로 가스(G)를 주입하는 장치이다. 소정의 압력을 가진 가스(G)는 가스주입부(140)를 통해 반응기(110) 상부로 주입되어, 수지(R)를 반응기(110)의 하부로 밀어낸다. 가스(G)는 질소(N2)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반응기의 내부 사시도로서, 반응기에 설치된 교반부(1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교반부(120)는 반응기(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교반부(120)는 수지(R)의 중합 반응 완료 후에 수지(R)를 교반한다.
교반부(120)는 교반모터(121), 교반봉(122), 상부 지지대(123), 하부 지지대(125), 교반 날개(124), 하부 날개(126)과 중간 지지대(127)로 구성된다.
교반모터(121)는 반응기(110)의 외부에서, 교반봉(122)에 결합된다. 교반모터(121)는 교반봉(122)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교반봉(122)은 수지(R)의 토출 방향(F)으로, 반응기(110) 내부에 설치된다. 교반봉(122)은 교반봉(122)의 회전축이 토출구(113)의 중심과 동축 상에 위치된다.
교반봉(122)에는 상부 지지대(123)와 하부 지지대(125)가 설치된다. 상부 지지대(123) 및 하부 지지대(125)는 토출 방향(F)과 수직되게, 교반봉(122)에 설치된다.
상부 지지대(123)는 반응기(11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게, 교반봉(122)에 설치된다. 하부 지지대(125)는 상부 지지대(123)와 나란하게, 교반봉(122)의 하부에 설치된다. 하부 지지대(125)에는 교반 날개(124)에서 연장된 하부 날개(124)가 마련된다.
상부 지지대(123)와 하부 지지대(125)의 사이에는 중간 지지대(127)가 설치된다. 중간 지지대(127)는 상부 지지대(123)와 하부 지지대(125)에 나란하게 이격되어, 교반 날개(124)를 지지한다.
교반 날개(124)는 이중 나선 구조로 상부 지지대(123)와 하부 지지대(125)에 결합된다. 이중 나선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교반 날개(124)는 제1 교반 날개(124a)와 제2 교반 날개(124b)로 구성된다.
제1 교반 날개(124a) 및 제2 교반 날개(124b)는 나선형 구조를 가진다.
제1 교반 날개(124a)는 상단이 상부 지지대의 일단(123a)에 결합되고, 하단이 하부 지지대의 일단(125a)에 결합된다. 제2 교반 날개(124b)는 상단이 상부 지지대의 타단(123b)에 결합되고, 하단이 하부 지지대의 타단(125b)에 결합된다.
하부 날개(126)는 제1 하부 날개(126a)와 제2 하부 날개(126b)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하부 날개(126a)와 제2 하부 날개(126b)는 교반봉(1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되, 토출구(113)의 직경(R1)보다 큰 간격(D)으로 이격된다. 제1 하부 날개(126a)와 제2 하부 날개(126b)는 반응기(110)의 깔대기부(112)에 위치된다.
제1 하부 날개(126a)는 제1 교반 날개(124a)의 하단에서 하부 지지대(125)의 하부로 연장된다. 제1 하부 날개(126a)는 하부 지지대의 일단(125a)에서 교반봉(122)의 회전축을 향해 토출 방향(F)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제1 하부 날개(126a)는 삼각 단면을 가진다.
제2 하부 날개(126b)는 제2 교반 날개(124b)의 하단에서 하부 지지대(125)의 하부로 연장된다. 제2 하부 날개(126b)는 하부 지지대(125)의 타단에서 교반봉(122)의 회전축을 향해 토출 방향(F)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제2 하부 날개(126b)는 삼각 단면을 가진다.
교반부(120)는, 교반 날개(124)와 하부 날개(126)가 교반봉(12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교반 날개(124)가 깔대기부(112)의 상부에 존재하는 수지(R)를 교반하고, 하부 날개(126)가 깔대기부(112)에 존재하는 수지(R)를 교반한다.
이에, 본 발명은 하부 날개(126)가 깔대기부(112)에 존재하는 수지(R)를 교반하여, 종래에 수지(R)가 토출구(113)의 주변에서 응고되어 토출구(113)를 막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반응기(110)의 토출구(113)에는 타공판(130)이 설치된다. 타공판(130)은 토출구(1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타공판(130)과 토출구(113)의 결합구조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가능하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타공판(130)에는 복수의 토출 개구(133)가 마련된다. 도 2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타공판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복수의 토출 개구(133)는 타공판(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직경을 가진 가상의 동심원(C)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예로, 동심원의 직경(R3)은 토출구(113)의 직경(R1)의 1/4 내지 5/7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토출구(113)의 직경(R1)이 80mm이라면, 가상의 동심원(C)의 직경(R3)은 20mm 내지 58mm 범위 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130)은 가상 동심원(C) 상에서, 복수의 토출 개구(133)를 가진다. 가상의 동심원(C)의 직경(R3)은 토출구(113)의 직경(R1)의 1/2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토출 개구(133)는 타공판(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동심원(C)을 따라 방사형으로 이격 배치된다. 타공판(130)마다, 복수의 토출 개구(133)는 동일 직경으로 마련된다.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은 토출구(113)의 직경(R1)의 3/80 내지 10/80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토출구(113)의 직경(R1)이 80mm이라면, 토출 개구(133)는 3mm 내지 10mm의 직경을 가진다.
펠레타이징(pelletizing) 공정의 요구 사항이 빠른 속도로 수지(R)가 토출되길 원하는 경우에, 복수의 토출 개구(133)는 토출구(113)의 직경(R1)의 1/16 내지 1/8의 범위 내인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토출구(113)의 직경(R1)이 80mm이라면,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은 5mm 내지 10mm 범위 내이다.
펠레타이징(pelletizing) 공정의 요구 사항이 토출 속도는 크게 영향이 없으나, 수지(R)의 토출량이 중요한 경우에, 복수의 토출 개구(133)는 토출구(113)의 직경(R1)의 3/80 내지 1/16의 범위 내인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토출구(113)의 직경(R1)이 80mm이라면,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은 3mm 내지 5mm 범위 내이다.
펠레타이징(pelletizing) 공정의 요구 사항이 수지(R)를 빠른 속도로 많은 토출량을 요구하는 경우에, 복수의 토출 개구(133)는 토출구(113)의 직경(R1)의 1/16 내지 1/10의 범위 내인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토출구(113)의 직경(R1)이 80mm이라면,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은 5mm 내지 8mm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은 타공판을 통해 수지(R)의 토출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수지(R)의 토출량 및 토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타공판의 교체를 통해, 중합 공정 후 진행되는 펠레타이징(pelletizing) 공정의 요구 사항에 맞춰, 생분해성 수지(R)의 굵기를 조절가능하여, 전체 공정 진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에 따른 토출 속도 및 토출량 증가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표 1은 토출 개구의 직경에 따른 수지(R)의 토출 속도의 비율 및 토출량의 비율에 대한 실험 1 내지 실험 4의 결과표이다. 도 6은 타공판(130)의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에 따른 수지(R)의 토출 속도 비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타공판의 토출 개구의 직경에 따른 토출량에 대한 실험 그래프이다.
실험 No. 실험 1 실험 2 실험 3 실험 4
토출 개구의 직경 5mm 3mm 8mm 10mm
토출 속도의 비율 1.0 0.2 4.1 7.8
토출량 비율 78.9% 82% 58.4% 49.1%
실험 1은 5mm 직경의 토출 개구(133)를 가진 타공판(130)에서 토출되는 수지(R)의 토출 속도 비율 및 토출량 비율에 대한 실험이다. 표 1을 참조하면, 5mm 직경의 토출 개구(133)를 가진 타공판(130)에서 토출되는 수지(R)의 토출 속도 비율을 1로 가정한다. 그리고, 표 1을 참조하면, 5mm 직경의 토출 개구(133)를 가진 타공판(130)에서 토출되는 수지(R)의 토출량은 전체 토출량의 78.9%임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험 1을 기준으로, 실험 2 내지 실험 4에 따른 토출 속도 비율 및 토출량 비율을 검토하기로 한다.
실험 2은 3mm 직경의 토출 개구(133)를 가진 타공판(130)에서 토출되는 수지(R)의 토출 속도 비율 및 토출량 비율에 대한 실험이다.
실험 2의 토출 속도 비율은, 실험 1의 토출 속도 비율을 1로 가정했을 때 실험 1의 토출 속도 비율의 0.2배이다. 실험 2에서의 수지(R)의 토출량은 전체 토출량의 82%임을 알 수 있다. 5mm의 토출 개구(133)와 비교하여, 3mm의 토출 개구(133)는 토출 속도는 0.2배로 현저히 감소하나, 토출량의 비율이 78.9%에서 82%로 3.1%만큼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험 3의 토출 속도 비율은, 실험 1의 토출 속도 비율을 1로 가정했을 때, 실험 1의 토출 속도 비율의 4.1배이다. 실험 3에서의 수지(R)의 토출량은 전체 토출량의 58.4%임을 알 수 있다. 5mm의 토출 개구(133)와 비교하여, 8mm의 토출 개구(133)는 토출 속도는 4.1배로 증가하나, 토출량의 비율이 78.9%에서 58.4%로 20.5% 만큼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실험 4의 토출 속도 비율은, 실험 1의 토출 속도 비율을 1로 가정했을 때, 실험 1의 토출 속도 비율의 7.8배이다. 실험 3에서의 수지(R)의 토출량은 전체 토출량의 49.1%임을 알 수 있다. 5mm의 토출 개구(133)와 비교하여, 10mm의 토출 개구(133)는 토출 속도는 7.8배로 급격히 증가하나, 토출량의 비율이 78.9%에서 49.1%로 29.8%만큼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표 1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일 조건에서, 수지(R)의 토출 속도는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이 클수록, 즉, 토출 면적이 커질수록 빨라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동일 조건에서, 수지(R)의 토출량은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이 작을수록, 즉, 토출 면적이 작을수록 많아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동일 조건이란, 수지(R)의 종류 및 수지(R)의 토출 온도가 동일한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실험 1 내지 실험 4으로부터, 수지(R)의 토출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이 작아야 하고, 토출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토출 개구(133)의 직경(R2)을 크게 해야 하는 결과가 도출된다.
반응기(110)는 수지(R)의 토출 예열 온도가 수지(R)의 중합 반응 온도보다 높아지게 반응기의 온도를 제어한다.
반응기(110)는 수지(R)의 중합 반응 완료 후에 수지(R)를 토출 예열 온도로 가열한다. 토출 예열 온도는 중합 반응 온도보다 20도 내지 50도 범위에서 높은 온도이다. 토출 예열 온도는 중합 반응 온도보다 30도 높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반응기의 온도 제어를 통해 수지(R)의 토출 온도를 높여, 수지(R)의 점도를 낮춤으로써 수지(R)의 토출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이로 부터 수지(R)의 토출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수지(R)의 토출 전과 토출 완료 후에, 수지(R)의 유체의 유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a)는 중합 공정 후 수지(R)가 반응기(110)에서 토출되기 전의 CFD이미지이고, 도 8(b)는 반응기(110)에서 수지(R)의 토출이 거의 완료된 시점의 CFD이미지이다. CFD이미지는 유체의 유동 흐름을 컴퓨터 해석한 이미지이다.
도 8(a)는 중합 공정 후 반응기(110)에서 수지(R)의 토출이 시작된 시점의 수지(R)의 체적 분율 분포 이미지이다. 도 8(b)는 반응기(110)에서 수지(R)의 토출이 거의 완료된 시점의 수지(R)의 체적 분율 분포 이미지이다.
여기서, 수지(R)의 체적 분율 분포 이미지는 수지(R)의 유동 흐름을 전산유체역학에 따라 컴퓨터 해석한 이미지이다.
체적분율은 0 또는 1로 표현된다. 여기서, 0은 수지(R)가 존재하지 않은 영역으로서, 도 8의 이미지에서 파란 영역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1은 수지(R)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도 8의 이미지에서 빨간 영역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도 8에서 녹색 영역은 빨간 영역(수지(R) 존재)과 파란 영역(수지(R) 미존재)의 경계이다. 도 8(b)을 참조하면, 수지(R)는 반응기(110)에서의 토출이 거의 완료되면, 반응기(110)의 깔대기부(112)에 잔존하고 토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 1 실험 5
수지(R)의 토출 온도 180도(중합 반응 온도) 210도(토출 예열 온도)
토출 개구의 직경 5mm 5mm
토출 속도 비율 1.0 7.9
토출량 비율(%) 78.9% 81.5%
표 2의 실험 결과값은, 동일 조건에서, 수지(R)의 토출 온도만 180도에서 210도로 변경된 것에 대한 실험 결과값이다. 표 2는 실험 1을 기준으로, 수지(R)의 토출 온도를 중합 반응 온도인 180도에서 210도로 승온한 것이다. 실험 5는 실험 1에서 수지(R)의 토출 온도만 180도에서 210도로 변경된 것에 대한 실험 결과값이다. 다만, 토출 예열 온도는 중합 반응 온도에서 일정 범위 이상으로 승온한 온도로서, 수지(R)의 종류 및 반응기(110)의 규격에 따라 조절 가능한 온도인 바, 반드시 210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5의 토출량 비율은 81.5%로서, 실험 1의 토출량 비율인 78.9%보다 2.6%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험 5의 토출량 비율은 실험 1의 토출량 비율에 거의 근접함을 알 수 있다.
실험 1의 토출 속도 비율을 1로 가정했을 때, 실험 5의 토출 속도 비율은 실험 2의 토출 속도 비율의 7.9배임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수지(R)의 토출 속도는 수지(R)의 토출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표 1 및 표 2를 종합하면, 본 발명은 타공판(130)을 통해 수지(R)의 토출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수지(R)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반응기(110)의 온도 제어를 통해 수지(R)의 토출 온도를 높여, 수지(R)의 점도를 낮춤으로써 수지(R)의 토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부터 수지(R)의 토출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타공판(130)의 교체를 통해, 중합 공정 후 진행되는 펠레타이징(pelletizing) 공정의 요구 사항에 맞춰, 생분해성 수지(R)의 굵기를 조절가능하여, 전체 공정 진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지(R)의 중합 반응 완료 후에 수지(R)를 수지(R) 토출 예열 온도로 가열하여, 수지(R)의 점도를 낮춰, 수지(R)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생분해성 수지(R)의 토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수지 중합 반응 장치 110: 반응기
111: 본체 112: 깔대기부
113: 토출구 120: 교반부
121: 교반모터 122: 교반봉
123: 상부 지지대 124: 교반날개
124a: 제1 교반날개 124b: 제2 교반날개
125: 하부 지지대 126: 하부 날개
126a: 제1 하부 날개 126b: 제2 하부 날개
127: 중간 지지대 130: 타공판
133: 토출 개구 140: 가스주입부

Claims (24)

  1. 수지가 수용되고, 수지 중합 반응이 수행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지를 교반하는 교반부; 및
    상기 반응기의 하부에 위치되고, 토출구의 직경의 3/80 내지 10/80 범위 내인 개구 직경을 가진 복수의 토출 개구가 마련된 토출구를 포함하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 개구는 동일 직경을 가지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 개구는 상기 토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진 가상의 동심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수지 중합 반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동심원은 상기 토출구의 직경의 1/4 내지 5/7의 범위 내인 직경을 가지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 개구는 상기 토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이격 배열된, 수지 중합 반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판을 더 포함하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은 상기 복수의 토출 개구가 상기 개구 직경의 범위 내에서 동일 직경으로 마련되고, 상기 개구 직경의 범위는 상기 토출구의 직경의 3/80 내지 10/80 범위 내인, 수지 중합 반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상기 수지의 토출 예열 온도가 상기 수지의 중합 반응 온도보다 높아지게 온도 제어되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상기 수지의 중합 반응 완료 후에 상기 수지를 상기 토출 예열 온도로 가열하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예열 온도는 상기 중합 반응 온도보다 20도 내지 50도 범위에서 높은 온도인, 수지 중합 반응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예열 온도는 상기 중합 반응 온도보다 30도 높은 온도인, 수지 중합 반응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수지의 토출 방향으로, 상기 반응기 내부에 설치된 교반봉;
    상기 교반봉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
    상기 토출 방향과 수직되게, 상기 교반봉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와 나란하게, 상기 교반봉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지지대; 및
    이중 나선 구조로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에 결합된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개는,
    나선형 구조를 가지되, 상단이 상기 상부 지지대의 일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타단에 결합된 제1 교반 날개; 및
    나선형 구조를 가지되, 상단이 상기 상부 지지대의 타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일단에 결합된 제2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하부 지지대의 끝단에서 상기 토출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하부 날개를 더 포함하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날개는,
    상기 제1 교반 날개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부로 연장되되, 상기 하부 지지대의 일단에서 상기 교반봉의 회전축을 향해 상기 토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 하부 날개; 및
    상기 제2 교반 날개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부로 연장되되, 상기 하부 지지대의 타단에서 상기 교반봉의 회전축을 향해 상기 토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2 하부 날개를 포함하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날개와 상기 제2 하부 날개는 삼각 단면을 가지되, 상기 교반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마련된, 수지 중합 반응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날개와 상기 제2 하부 날개는 상기 교반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되, 상기 토출구의 직경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된, 수지 중합 반응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날개는 상기 반응기의 깔대기부에 위치되고, 상기 깔대기부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도로, 상기 하부 지지대의 끝단에서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진, 수지 중합 반응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교반 날개와 상기 하부 날개가 상기 교반봉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교반 날개가 상기 깔대기부의 상부에 존재하는 수지를 교반하고, 상기 하부 날개가 상기 깔대기부에 존재하는 수지를 교반하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의 상부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는 소정의 압력으로, 상기 수지가 상기 토출구를 향해 이동되게 상기 수지를 가압하는, 수지 중합 반응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개구의 직경은 상기 토출구의 직경의 1/16 내지 1/8의 범위 내인, 수지 중합 반응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개구의 직경은 상기 토출구의 직경의 1/16 내지 1/10의 범위 내인, 수지 중합 반응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개구의 직경은 상기 토출구의 직경의 3/80 내지 1/10의 범위 내인, 수지 중합 반응 장치.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중합 반응 장치를 이용하여, 반응기에서 수지 중합 반응을 수행하고, 상기 수지 중합 반응 후에 상기 수지를 상기 반응기에서 토출시키는, 수지 토출 방법.
KR1020220134856A 2021-10-22 2022-10-19 수지 중합 반응 장치 및 수지 토출 방법 KR202300579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1469 2021-10-22
KR1020210141469 2021-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969A true KR20230057969A (ko) 2023-05-02

Family

ID=8605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856A KR20230057969A (ko) 2021-10-22 2022-10-19 수지 중합 반응 장치 및 수지 토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57969A (ko)
CN (1) CN117413003A (ko)
WO (1) WO202306885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404A (ja) 1995-01-31 1997-03-11 Basf Ag 高分子ポリマー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769A (ja) * 1991-10-17 1993-04-27 Nkk Corp 回分式高粘度樹脂製造装置
KR100191816B1 (ko) * 1993-07-23 1999-06-15 야마모토 카즈모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0496477B1 (ko) * 1997-09-19 2005-10-13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에스테르폴리머중합장치
JP4080126B2 (ja) * 2000-02-04 2008-04-23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ポリ乳酸の製造方法
KR20210141469A (ko) 2019-03-14 2021-11-2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성 수지 시트, 경화막, 경화막의 제조 방법, 유기 el 표시 장치, 및 전자 부품
CN212492911U (zh) * 2020-05-06 2021-02-09 宿迁市万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铝背胶树脂生产用聚合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404A (ja) 1995-01-31 1997-03-11 Basf Ag 高分子ポリマー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413003A (zh) 2024-01-16
WO2023068859A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27816A1 (en) Apparatus for continuous stirring and process for continuous polycondensation of polymer resin
AU2013341212B2 (en) High solids enzyme reactor mixer with vertical paddle and method
CN1859978A (zh) 用于精磨机的精磨表面和叶片部分
JP6601862B1 (ja) 攪拌機
JP7212965B2 (ja) 攪拌機
EP14535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pulverous material with liquid
KR20230057969A (ko) 수지 중합 반응 장치 및 수지 토출 방법
KR100887349B1 (ko) 균질혼련기의 교반장치
US20040198870A1 (en) Method for mixing a polyol component and an isocyanate component
WO2020213177A1 (ja) 攪拌機
US4014525A (en) Horizontal type continuous pug mill for high viscous material
JPH03188936A (ja) 高粘性物質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H0559781B2 (ko)
CN208727226U (zh) 一种用于美缝剂生产的搅拌混合装置
KR101340712B1 (ko) 드래프트 튜브를 구비한 혼합 장치
JPWO2020213184A1 (ja) 攪拌機
CN219926568U (zh) 一种树脂原料预加热装置
CN214973801U (zh) 一种变螺距造粒搅拌器
CN219765086U (zh) 一种动态混胶搅拌器
US10201798B2 (en) Polymerization reactor
CN220878412U (zh) 一种高速均质乳化生产反应釜
CN217662664U (zh) 一种涂料制备用的搅拌组件
CN212492592U (zh) 一种药液搅拌器
KR102444247B1 (ko) 소스 교반 장치
KR900004975Y1 (ko) 연속혼합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