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672A - 판 접합식 도자기 제조방법 및 판 접합식 도자기 - Google Patents

판 접합식 도자기 제조방법 및 판 접합식 도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672A
KR20230057672A KR1020210141708A KR20210141708A KR20230057672A KR 20230057672 A KR20230057672 A KR 20230057672A KR 1020210141708 A KR1020210141708 A KR 1020210141708A KR 20210141708 A KR20210141708 A KR 20210141708A KR 20230057672 A KR20230057672 A KR 20230057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material
soil
mol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172B1 (ko
Inventor
홍수길
Original Assignee
홍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수길 filed Critical 홍수길
Priority to KR102021014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1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the shaping of preshaped articles, e.g. by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by spraying or proj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1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by us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2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for double - wall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6Reinforced clay-wa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98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ceramic materials
    • C04B41/5037Clay, Kaol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은, 하나의 바닥판과 4개의 측판으로 구분되는 십자형 평판 형상의 제1 흙판과, 절곡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흙판과 동일한 규격의 십자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흙판 상에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제1 흙판과 동일한 규격의 십자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 상에 안착되는 제2 흙판으로 구성되는 모재를 제작하는 제1 단계;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의 내측금형을 상기 모재의 바닥판 상에 안착시킨 후, 상기 모재 중 측판 부위를 상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내측금형의 외벽에 밀착시키는 제2 단계; 하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을 이루되 측벽의 하측부위가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측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모재의 측판을 두께방향으로 압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모재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외측금형과 상기 내측금형을 탈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판 접합식 도자기 제조방법 및 판 접합식 도자기 {Plate bonding type ceramic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평판 형태의 모재를 이용하여 도자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판 접합식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재를 절곡 및 접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보다 견고하고 빠르게 도자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되는 도자기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토기, 자기, 도기(이하 도자기라 한다) 등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초기단계에서는 도자기를 음식물의 보관 저장 등 용기의 기능으로 주로 토기를 사용하여 왔고, 다음 단계로서는 인간생활이 진일보하면서 예술성과 장식기능이 추가된 자기 제품들이 잇따라 등장하여 왔다.
한편 최근에 와서는 고도로 산업이 발달 되면서 건축자재로서 시멘트, 각종 플라스틱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들이 주거공간에 이용하게 되면서 환경공해를 유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음식물 저장용기를 플라스틱 등과 같은 화학물질로 제작하는 경우, 인체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황토 등과 같은 친환경적인 재료로 제작되는 도자기의 활용이 제안되고 있는데, 옹기, 자기, 항아리, 접시, 각종 그릇 등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반죽 된 모재를 물레 위에 올려둔 후 상기 물레를 회전시켜가면서 모재를 가공해야 하는바,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판 형상의 모재를 접합방식으로 결합시키는 '판 접합 청자 제작 기법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49862호)'이 제안된바 있다.
이와 같은 도자기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물레를 회전시켜가면서 모재를 성형하는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도자기 생산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그러나 판 형태의 모재로 제조되는 도자기는 모재 간 접합부위의 결합력이 떨어지고, 판 형태의 모재를 절곡 및 접합하는 과정에서 모재가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64986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평판 형상의 모재를 이용하여 도자기를 성형하되, 구조적 강도를 개선할 수 있고, 평판 간의 연결부위 결합력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되는 도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은, 하나의 바닥판과 4개의 측판으로 구분되는 십자형 평판 형상의 제1 흙판과, 절곡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흙판과 동일한 규격의 십자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흙판 상에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제1 흙판과 동일한 규격의 십자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 상에 안착되는 제2 흙판으로 구성되는 모재를 제작하는 제1 단계;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의 내측금형을 상기 모재의 바닥판 상에 안착시킨 후, 상기 모재 중 측판 부위를 상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내측금형의 외벽에 밀착시키는 제2 단계; 하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을 이루되 측벽의 하측부위가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측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모재의 측판을 두께방향으로 압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모재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외측금형과 상기 내측금형을 탈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는, 연속적으로 길게 공급되는 제1 흙판 상면에 사각판 형상의 지지판을 안착시킨 후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길게 공급되는 제2 흙판을 안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1 흙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2 흙판을 십자형으로 절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된 플레이트 구조로 적용된다.
상기 지지판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된 그물망 구조로 적용된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2 흙판의 상면에 수분 흡수가 가능한 이형용 종이를 안착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내측금형의 외벽에 밀착된 측판의 상측 끝단이 상기 내측금형의 외벽 상측 끝단보다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단계제2 단계제2 단계는, 하강된 외측금형의 천장면이 상기 측판의 상측 끝단을 하향 가압하여 상기 측판의 상측 끝단 높이와 상기 내측금형의 외벽 상측 끝단 높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측금형 중 상기 측판의 폭방향 끝단과 대응되는 내측 코너 부위에는 가압바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금형은, 상기 측판의 폭방향 끝단과 대응되는 모서리 부위가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지되 인가된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원 가능한 탄성판으로 제작되고, 상기 외측금형 중 상기 탄성판 주변을 수평방향으로 둘러싸는 모서리지그와, 상기 모서리지그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탄성판을 가압하여 상기 측판의 폭방향 끝단을 상기 내측금형 모서리 측에 압착시키는 가압피스톤이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외측금형의 하강이 완료된 이후, 상기 가압피스톤을 상기 모서리지그 내측으로 압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황토가루와 물이 혼합된 분사액을 성형이 완료된 모재의 외측면에 분사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사액은 꼬막껍질 가루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흙판보다 견고한 재료로 제작된 보강케이스를 상기 제2 흙판의 외측면에 장착시키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판 접합식 도자기는 상기와 같은 도자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한 판 접합식 도자기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평판 형상의 모재를 이용하여 도자기를 성형하되, 구조적 강도를 개선할 수 있고, 평판 간의 연결부위 결합력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1 흙판과 지지판과 제2 흙판이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제1 흙판과 지지판과 제2 흙판이 적층된 모재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내측금형 안착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측판이 세워진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외측금형의 하강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외측금형 제2 실시예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외측금형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 및 수평단면도이다.
도 13은 외측금형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보강케이스 부착과정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모재제작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판 접합식 도자기 제조방법 및 판 접합식 도자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 흙판과 지지판과 제2 흙판이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제1 흙판과 지지판과 제2 흙판이 적층된 모재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4는 내측금형 안착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측판이 세워진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은 평판 형상의 흙판을 이용하여 용기 형상의 도자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자기가 보다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판(300)을 흙판 내부에 매립시킨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도자기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길게 공급되는 평판 형상의 제1 흙판(100) 상면에 절곡 가능한 재질의 지지판(300)을 안착시킨 후 상기 지지판(300)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길게 공급되는 평판 형상의 제2 흙판(200)을 안착시킨다. 이때, 제1 흙판(100)과 제2 흙판(200)은 점착성이 있으므로, 제1 흙판(100)과 지지판(300)과 제2 흙판(200)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제1 흙판(100)과 제2 흙판(200)은 지지판(3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접합된다.
상기 지지판(300)은 모재(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1 흙판(100)이나 제2 흙판(200)보다 강도가 크면서 외력에 의해 굽혀질 수 있고, 제1 흙판(100) 및 제2 흙판(200)과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로도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판(300)은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소성변형이 가능하고, 독성이 없으면서도 쉽게 부식되지 아니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판(300)은 구리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 등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금속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300)은 외력에 의해 소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즉, 외력에 의해 굽혀질 수 있도록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고, 제1 흙판(100) 및 제2 흙판(200)과의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판(300)은 제1 흙판(100)과 제2 흙판(200) 사이에 삽입되어 모재(10)의 구조적 강도를 개선하면서 제1 흙판(100) 및 제2 흙판(200)과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흙판(100)과 지지판(300)과 제2 흙판(200)의 적층이 완료되면, 상기 모재(1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함과 동시에 네 개의 모서리를 정사각형 절단선(C)을 따라 절단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 평판으로 성형한다. 이와 같이 십자형으로 성형된 모재(10)는, 사각판 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4방향 각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 사방으로 연장되는 4개의 측판으로 구성된다.
십자형 모재(10) 성형이 완료되면,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의 내측금형(400)을 상기 모재(10)의 바닥판 상에 안착시킨 후, 상기 모재(10) 중 측판 부위를 상향으로 절곡시켜 수직으로 세운다. 상기 내측금형(400)의 저면 가장자리는 모재(10)의 바닥판과 측판 사이에 위치되므로,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모재(10)의 측판을 상향으로 절곡시키면 상기 모재(10)의 측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절곡되어 내측금형(400)의 외벽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모재(10)의 측판을 상향으로 절곡시키는 방법으로는, 유압피스톤의 힘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구동모터의 힘을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모재(10)의 측판을 상향으로 90도 절곡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외측금형(500)의 하강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0)의 측판이 내측금형(400)의 외벽에 밀착되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의 외측금형(500)을 하강시킨다. 상기 외측금형(500)은 모재(10)의 외측면이 내벽에 압착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바, 상기 외측금형(500)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모재(10)는 내측금형(400)과 외측금형(500) 사이에서 두께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모재(10)의 각 측판은 폭방향 끝단이 상호 압착되어 결합된다.
한편, 상기 내측금형(400)의 외벽에 밀착된 측판의 상측 끝단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금형(400)의 외벽 상측 끝단보다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외측금형(500)이 끝까지 하강되었을 때 하강된 외측금형(500)의 천장면은 상기 측판의 상측 끝단을 하향 가압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의 상측 끝단 높이와 상기 내측금형(400)의 외벽 상측 끝단 높이가 동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측금형(500)의 측벽 전체가 수직으로 세워진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외측금형(500)의 하강위치가 약간이라도 어긋나는 경우 상기 외측금형(500)이 하강될 때 상기 외측금형(500)의 하단에 모재(10)가 긁혀 상기 모재(10)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상기 외측금형(500)이 완전히 하강하더라도 상기 외측금형(500)의 측벽이 모재(10)를 가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금형(500)의 측벽 중 하측부위는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측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측금형(500)의 측벽 중 하측부위가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기 외측금형(500)의 하강위치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모재(10)가 외측금형(500)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고, 상기 외측금형(500)의 측벽이 모재(10)를 보다 확실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모재(10)가 두께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 상기 모재(10)는 두께가 감소함과 동시에 폭이 증가하게 되므로, 모재(10)의 각 측판은 폭방향 양단이 상호 압착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도 10은 외측금형(500) 제2 실시예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외측금형(500)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수직단면도 및 수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은 모재(10)의 측판간 결합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즉, 모재(10)의 모서리 부위를 더욱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금형(500) 중 상기 측판의 폭방향 끝단과 대응되는 내측 코너 부위에는 가압바(5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바(510)는, 모재(10)의 모서리와 접하는 부위가 오목한 곡선으로 형성되되, 하측 부위가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외측금형(500)이 하강하여 모재(10)가 외측금형(500) 측벽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가압바(510)는 모재(10)의 모서리 부위를 가압하여 라운드지게 형성한다. 상기 모재(10)의 모서리 부위가 라운드지는 만큼 상기 모재(10)의 모서리 부위는 더욱 압착되므로, 이웃하는 두 개의 측판은 더욱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바(510)는 모재(10)의 모서리 부위를 가압할 수 있다면 본 실시예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재(10)의 성형 및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외측금형(500)과 상기 내측금형(400)을 탈거한 후 황토가루와 물이 혼합된 분사액을 성형이 완료된 모재(10)의 외측면에 분사한다. 이와 같이 분사액이 모재(10)에 분사되면, 모재(10)에 형성되어 있던 미세한 공극이 분사액 내의 황토가루로 채워지므로 측판 간의 결합부위가 더욱 견고해지고, 모재(10)의 표면이 매끄럽게 성형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액이 모재(10)를 살균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도록, 상기 분사액에는 꼬막껍질 가루 등과 같은 살균소재가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모재(10)의 측벽이 내측금형(40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내측금형(400) 탈거 시 상기 모재(1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모재(10)와 내측금형(400) 사이에 미세한 간극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2 흙판(200)의 상면에 수분 흡수가 가능한 이형용 종이를 안착시키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이형용 종이는 제2 흙판(200)의 수분을 흡수하였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건조되는데, 일반적으로 종이는 수분을 흡수하였다가 건조되었을 때 구불구불하게 변형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상기 이형용 종이가 건조되었을 때에도 상기 이형용 종이 역시 구불구불하게 변형된다. 이와 같이 이형용 종이가 변형되면 제2 흙판(200)과 내측금형(400) 사이에 이격틈새가 발생하게 되는바, 상기 내측금형(400)은 보다 원활하게 모재(10)로부터 탈거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외측금형(500)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가압바(510)를 외측금형(500)에 추가하지 아니하더라도 이웃하는 두 개의 측판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은, 외측금형(500)이 완전히 하강한 이후 상기 외측금형(500)의 모서리 부위를 외부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압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상기 외측금형(500)은 상기 측판의 폭방향 끝단과 대응되는 모서리 부위가 탄성판(502)으로 제작되고, 상기 외측금형(500) 중 상기 탄성판(502) 주변을 수평방향으로 둘러싸는 모서리지그(520)와, 상기 모서리지그(520)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탄성판(502)을 가압하여 상기 측판의 폭방향 끝단을 상기 내측금형(400) 모서리 측에 압착시키는 가압피스톤(53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판(502)은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질 수 있으면서, 인가된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에는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금형(500)의 하강이 완료된 이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피스톤(530)을 상기 모서리지그(520) 내측으로 압입하면 상기 탄성편은 가압피스톤(530)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고, 모재(10)의 모서리 부위는 상기 탄성편에 의해 안쪽으로 가압되어 견고하게 압착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보강케이스(600) 부착과정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도자기보다 더욱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제2 흙판(200)보다 견고한 재료로 제작된 보강케이스(600)를 상기 제2 흙판(200)의 외측면에 장착시키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흙판(200)의 외측면에 보강케이스(600)가 장착되면, 구조적인 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우려가 감소되는바, 내구성이 우수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케이스(600)는 모재(10)를 보강할 수 있다면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 어떠한 재료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공기가 모재(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형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모재제작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 중 모재(10)를 제작하는 단계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흙판(100)과 지지판(300)과 제2 흙판(200)을 적층시킨 후 제1 흙판(100)과 지지판(300)과 제2 흙판(200)을 한 번에 십자형상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흙판(100)과 지지판(300)과 제2 흙판(200)을 각각 십자형으로 먼저 절단한 후 제1 흙판(100)과 지지판(300)과 제2 흙판(20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모재(10)를 제작하는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으로 성형된 제1 흙판(100) 상면에 십자형으로 성형된 지지판(300)을 안착시킨 후, 십자형으로 성형된 제2 흙판(200)을 지지판(300) 상에 안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흙판(100)과 지지판(300)과 제2 흙판(200)의 성형을 먼저 한 후 적층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제1 흙판(100)과 지지판(300)과 제2 흙판(200)의 공급이 보다 간편해지고, 제1 흙판(100)과 지지판(300)과 제2 흙판(200)을 정확한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모재 100 : 제1 흙판
200 : 제2 흙판 300 : 지지판
400 : 내측금형 500 : 외측금형
502 : 탄성판 510 : 가압바
520 : 모서리지그 530 : 가압피스톤
600 : 보강케이스

Claims (12)

  1. 하나의 바닥판과 4개의 측판으로 구분되는 십자형 평판 형상의 제1 흙판과, 절곡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흙판과 동일한 규격의 십자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흙판 상에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제1 흙판과 동일한 규격의 십자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 상에 안착되는 제2 흙판으로 구성되는 모재를 제작하는 제1 단계;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의 내측금형을 상기 모재의 바닥판 상에 안착시킨 후, 상기 모재 중 측판 부위를 상향으로 절곡시켜 상기 내측금형의 외벽에 밀착시키는 제2 단계;
    하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을 이루되 측벽의 하측부위가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측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외측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모재의 측판을 두께방향으로 압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모재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외측금형과 상기 내측금형을 탈거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연속적으로 길게 공급되는 제1 흙판 상면에 사각판 형상의 지지판을 안착시킨 후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길게 공급되는 제2 흙판을 안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1 흙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2 흙판을 십자형으로 절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된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된 그물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2 흙판의 상면에 수분 흡수가 가능한 이형용 종이를 안착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내측금형의 외벽에 밀착된 측판의 상측 끝단이 상기 내측금형의 외벽 상측 끝단보다 상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단계는, 하강된 외측금형의 천장면이 상기 측판의 상측 끝단을 하향 가압하여 상기 측판의 상측 끝단 높이와 상기 내측금형의 외벽 상측 끝단 높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금형 중 상기 측판의 폭방향 끝단과 대응되는 내측 코너 부위에는 가압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금형은, 상기 측판의 폭방향 끝단과 대응되는 모서리 부위가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지되 인가된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원 가능한 탄성판으로 제작되고,
    상기 외측금형 중 상기 탄성판 주변을 수평방향으로 둘러싸는 모서리지그와, 상기 모서리지그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탄성판을 가압하여 상기 측판의 폭방향 끝단을 상기 내측금형 모서리 측에 압착시키는 가압피스톤이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외측금형의 하강이 완료된 이후, 상기 가압피스톤을 상기 모서리지그 내측으로 압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황토가루와 물이 혼합된 분사액을 성형이 완료된 모재의 외측면에 분사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사액은 꼬막껍질 가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흙판보다 견고한 재료로 제작된 보강케이스를 상기 제2 흙판의 외측면에 장착시키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접합식 도자기.
KR1020210141708A 2021-10-22 2021-10-22 판 접합식 도자기 제조방법 및 판 접합식 도자기 KR10259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708A KR102592172B1 (ko) 2021-10-22 2021-10-22 판 접합식 도자기 제조방법 및 판 접합식 도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708A KR102592172B1 (ko) 2021-10-22 2021-10-22 판 접합식 도자기 제조방법 및 판 접합식 도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672A true KR20230057672A (ko) 2023-05-02
KR102592172B1 KR102592172B1 (ko) 2023-10-20

Family

ID=8638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708A KR102592172B1 (ko) 2021-10-22 2021-10-22 판 접합식 도자기 제조방법 및 판 접합식 도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1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360A (ja) * 1995-02-23 1996-09-03 Oribesuto Kk 陶磁器板および陶磁器板の製造方法
KR960041583A (ko) * 1996-08-20 1996-12-19 김영진 건축용 내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6114U (ko) * 2008-12-08 2010-06-17 민경애 점토용기를 신속하게 반복 생산하는 장치
KR101552769B1 (ko) * 2013-11-26 2015-09-1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제조방법
KR101649862B1 (ko) 2014-07-14 2016-08-22 이희복 판 접합 청자 제작 기법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360A (ja) * 1995-02-23 1996-09-03 Oribesuto Kk 陶磁器板および陶磁器板の製造方法
KR960041583A (ko) * 1996-08-20 1996-12-19 김영진 건축용 내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6114U (ko) * 2008-12-08 2010-06-17 민경애 점토용기를 신속하게 반복 생산하는 장치
KR101552769B1 (ko) * 2013-11-26 2015-09-1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제조방법
KR101649862B1 (ko) 2014-07-14 2016-08-22 이희복 판 접합 청자 제작 기법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172B1 (ko)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7537C2 (ru) Изогнутая сотовая структура и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WO2009089757A1 (en) A honeycomb composite plate of plastic foam
WO2008022547A1 (fr) Panneau composite à bande de chant étanche, et procédé de production correspondant
KR20230057672A (ko) 판 접합식 도자기 제조방법 및 판 접합식 도자기
WO2006075435A1 (ja) 板紙立体成形パレット
US6511722B1 (en) Spacer
JP2519766B2 (ja) セル構造を備えた負荷支持ボ―ド
CA2313263C (en) Housing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housing panel and house using housing panel
JP2011110749A (ja) 表皮材成形型
KR20100088739A (ko) 고강도 허니컴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4204472A (ja) 箱抜き用型枠
JPH066086B2 (ja) 固形粉体化粧料充填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333668B2 (ja) 外壁出隅部材の製造方法及び外壁出隅構造
JP4871446B2 (ja) セメント、粘土、石綿のいずれかからなる圧縮成形品の支持受体
KR101555292B1 (ko) 다단 프레스 포밍 금형 및 다단 프레스 포밍 방법
JP3618123B2 (ja) 炭酸化硬化体の複合成形体及びその製造法
CN201268915Y (zh) 装配式菱镁轻质高强隔墙板
CN209832016U (zh) 一种组合式可重复使用混凝土模具
JP3490412B2 (ja) 補強コンクリート平板の製法
JPH069242Y2 (ja) 補強リブ付スラブ用型枠
EP1590141A1 (en) Mould having flexible sidewalls with support members for moulding building products
CN2377190Y (zh) 一种抗压单元体
JP2005163884A (ja) 圧縮繊維パネルの接合構造
JP2821865B2 (ja) 壁パネルとその成形方法
US20040016198A1 (en) Artificial stone fl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