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527A -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 Google Patents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527A
KR20230057527A KR1020210141186A KR20210141186A KR20230057527A KR 20230057527 A KR20230057527 A KR 20230057527A KR 1020210141186 A KR1020210141186 A KR 1020210141186A KR 20210141186 A KR20210141186 A KR 20210141186A KR 20230057527 A KR20230057527 A KR 20230057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top plate
battery case
extruded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369B1 (ko
Inventor
장상기
박상필
Original Assignee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3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케이스에 있어서, 리어멤버와 한 쌍의 사이드멤버와 프론트멤버를 가지며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하우징;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측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측을 밀폐시키는 상판; 상기 상판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압출가스켓; 상기 사이드멤버의 내측면과, 리어멤버 내측면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압출가스켓 삽입홈; 및 상기 압출가스켓이 장착된 상판이 상기 사이드멤버의 삽입홈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판의 후방면의 압출가스켓이 상기 리어멤버의 삽입홈에 삽입된 후, 전방측에 삽입되어 상기 압출가스켓이 장착된 상판을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Battery case having assembly structure of sliding type using extrusion gasket}
본 발명은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secondary cell)는 고출력 대용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다수의 소형 이차전지(battery cell)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셀 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 셀 모듈 복수개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배터리 케이스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배터리케이스는 차량 내부 및/또는 차량 외부에 장착될 수 있는데, 그 중 차량 외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케이스의 경우에는 장착 위치의 특성상 수밀구조를 구비해야만 한다. 수밀구조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어 내부 회로들이 단락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 1a 및 도 1b는 상판이 결합된 배터리 케이스의 사시도,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케이스 내에는 배터리모듈이 위치하게 되고, 그 상부로는 상판이 결합되게 된다.
배터리 하우징(10)에 상판(20) 결합시 케이스(1)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사출가스켓(2)이 장착된다. 도 2a 및 도 2b는 FDS 체결이 적용된 상판 조립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a 및 도 3b는 인서트볼트/너트가 적용된 상판 조립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 결합을 위하여 기계적 접합(FDS, 리브텍, 인서트볼트, 인서트 너트 등)을 통해 상판(20)을 고정하여 기밀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도 4는 기계적 접합 부위를 나타낸 접합 부분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 결합을 위해 H/W(FDS, 인서트볼트, 너트) 70EA 이상이 필요하게 된다. 즉, 배터리 케이스 상판(20)을 조립하기 위해 필요한 H/W 및 고정수가 증가되게 된다.
도 5a는 볼트/너트 압입설비 사진, 도 5b는 볼트/너트 체결로봇설비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배터리 케이스 상판을 조립하기 위해 필요한 H/W 및 고정수가 증가됨에 따라 접합을 위한 초기투자비 및 중량이 상승하며 제품원가 경쟁력이 하락하게 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기계적 접합시 70EA 이상의 H/W 사용으로 조립공정시간이 상승하고, A/S를 위해 70EA 이상의 접합부를 해체하여야 하므로, A/S성도 하락하고, 체결부 도장 벗겨짐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1044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1515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38248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6476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케이스 상판조립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적 접합을 사용하지 않고 상판을 조립하며 배터리케이스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케이스에 있어서, 리어멤버와 한 쌍의 사이드멤버와 프론트멤버를 가지며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하우징;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측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측을 밀폐시키는 상판; 상기 상판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압출가스켓; 상기 사이드멤버의 내측면과, 리어멤버 내측면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압출가스켓 삽입홈; 및 상기 압출가스켓이 장착된 상판이 상기 사이드멤버의 삽입홈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판의 후방면의 압출가스켓이 상기 리어멤버의 삽입홈에 삽입된 후, 전방측에 삽입되어 상기 압출가스켓이 장착된 상판을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출가스켓은 튜브형 단면을 갖고,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판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삽입고정부를 갖고, 상판의 코너 각각에 장착되는 가스켓 코너부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멤버와 상기 사이드 멤버의 연결부 부분의 삽입홈의 상면에 용접확보부가 마련되고, 상기 용접확보부의 측면측으로 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이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전방측 압출가스켓을 감싸게 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와 전방에서 절곡연결되는 전방부와, 전방부에 하단에 절곡연결되어 리어멤버의 전방면에 구비된 가이드홈에 장착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상부면의 양측 후방에 연장되어 장착시 상기 사이드멤버의 가이드 홈에 고정되는 스프링 구조 후크를 갖는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과 상기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은 스프링 후크 구조가 적용된 플라스틱 사출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에 따르면, 배터리케이스 상판조립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적 접합을 사용하지 않고 상판을 조립하며 배터리케이스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상판이 결합된 배터리 케이스의 사시도,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FDS 체결이 적용된 상판 조립구조,
도 3a 및 도 3b는 인서트볼트/너트가 적용된 상판 조립구조,
도 4는 기계적 접합 부위를 나타낸 접합 부분의 평면도,
도 5a는 볼트/너트 압입설비 사진,
도 5b는 볼트/너트 체결로봇설비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케이스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이 결합된 상판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부분단면도,
도 7c는 가스켓 코너부 조인트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판이 결합되는 배터리 케이스의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A-A 단면도,
도 9c는 도 9a의 B-B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하우징과, 후방측 테두리에서 용접 확보부가 가공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케이스에서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단면도, 부분 평면도,
도 11b는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이 설치되는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1c 내지 도 11f는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이 설치되는 부분의 평면도, 부분평면도, 부분사시도,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확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이 상대의 사시도,
도 12b 내지 도 12d는 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이 장착된 부분의 평면도, 측면도,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이 조립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배터리케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케이스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이 결합된 상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도 7a의 부분단면도, 도 7c는 가스켓 코너부 조인트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판이 결합되는 배터리 케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A-A 단면도, 도 9c는 도 9a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케이스(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하우징(10), 상판(20), 압출가스켓(30), 전방 가스켓 눌림 브라켓(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10)은 리어멤버(12)와 한 쌍의 사이드멤버(11)와 프론트멤버(13)를 가지며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판(20)은 배터리 하우징(10)의 상부측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삽입되어 배터리 하우징(10)의 상부측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되며, 압출가스켓(30)은 상판 테두리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게 된다.
또한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멤버(11)의 내측면과, 리어멤버(!2) 내측면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압출가스켓 삽입홈(41, 42)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가스켓(30)이 장착된 상판(20)이 사이드멤버의 삽입홈(41)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판(20)의 후방면의 압출가스켓(30)이 리어멤버의 삽입홈(42)에 삽입된 후, 전방 가스켓 눌림브라켓(60)이 프론트 멤버(13) 측에 삽입되어 압출가스켓(30)이 장착된 상판(20)이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가스켓(30)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튜브형 단면을 갖고,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판(20)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삽입고정부(31)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삽입고정부(31)에 의해 압출가스켓(30)은 상판(20)의 테두리 측을 둘러싸도록 고정되게 된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0)의 코너 각각에는 가스켓 코너부 조인트(32)가 장착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하우징(10)에 상판(20)이 삽입홈(41, 42)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다. 일반적인 상판(20)이 결합되면 기밀구조를 유지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밀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상판(20)에 압출가스켓(30)을 선조립한 후 배터리하우징(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여 완벽한 기밀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하우징(10)에 상판(20)을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해 사이드멤버(11) 각각의 양단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41)이 형성되며(도 9b), 리어멤버(12)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42)이 구비된다(도 9c). 이러한 삽입홈(41, 42)이 추가됨으로써 압출가스켓(30)이 적용된 상판(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압출가스켓(30)과 오버랩을 유지하며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삽입시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리스를 도포함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하우징과, 후방측 테두리에서 용접 확보부가 가공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멤버(12)와 사이드 멤버(11)의 연결부(결합부) 부분의 삽입홈(41, 42)의 상면에 용접확보부(50)가 마련됨을 알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하우징(10) 내 용접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단순슬라이딩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삽입홈(41, 42)을 적용한다면 배터리하우징(10) 조립을 위한 용접이 불가하다.
즉, 도 10의 좌측 두번째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을 위한 공간까지 용접이 되어야 배터리 하우징(10)의 기밀유지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판(20)이 삽입되는 삽입홈(41, 42)은 공간이 협소해 용접적용이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드멤버(11)와 리어멤버(12)에 용접확보부(50)를 가공하여 용접을 진행한다. 가공 후 용접부분은 압출가스켓(30) 안착부로 기밀유지가 가능하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케이스에서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단면도, 부분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b는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이 설치되는 상태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1c 내지 도 11f는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이 설치되는 부분의 평면도, 부분평면도, 부분사시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60)은 스프링 구조 후크(64)가 적용된 플라스틱 사출 브라켓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러한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60)은 전방측 압출가스켓(30)을 감싸게 되는 상단부(61)와, 상단부(61)와 전방에서 절곡연결되는 전방부(62)와, 전방부(62)에 하단에 절곡연결되어 프론트멤버(13)의 전방면에 구비된 가이드홈(43)에 장착되는 걸림턱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단부(61)의 양측 후방에 연장되어 장착시 사이드멤버(11)의 가이드 홈(44)에 고정되는 스프링 구조 후크(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판(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우고 난 후 전방부 측에 압출가스켓(30) 눌림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구조가 적용된 플라스틱 사출 브라켓인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60)이 설치된다.
프론트멤버(13)의 가이드홈(43)과 사이드멤버의 삽입홈(41)에 맞춰 삽입하면 후방의 스프링 구조 후크(64)가 사이드멤버 가이드홈(44)에 맞게 장착되는 구조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확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이 상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b 내지 도 12d는 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이 장착된 부분의 평면도, 측면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이 조립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배터리케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용접확보부(50)의 측면측으로 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70)이 삽입 고정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70) 역시 스프링 구조 후크(74)가 적용된 플라스틱 사출 브라켓(70)으로 구성된다.
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70)은 몸체(71)와, 사이드멤버(11)와 리어멤버(12)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어지는 삽입단(72)과, 삽입된 후 사이드멤버(11)의 내측면에 걸리게 되는 스크링 구조 후크(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방향의 지지구조를 가지게 되며 압출가스켓(30)을 압착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물, 먼지, 이물질 등의 유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배터리케이스
2:사출가스켓
10:배터리하우징
11:사이드멤버
12:리어멤버
13:프로트멤버
20:상판
30:압출가스켓
31:삽입고정부
32:코너부 조인트
41:사이드멤버 삽입홈
42:리어멤버 삽입홈
43:프론트멤버 가이드홈
44:사이드멤버 가이드홈
50:용접확보부
51:용접부
60: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
61:상단부

Claims (5)

  1. 배터리 케이스에 있어서,
    리어멤버와 한 쌍의 사이드멤버와 프론트멤버를 가지며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하우징;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측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측을 밀폐시키는 상판;
    상기 상판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압출가스켓;
    상기 사이드멤버의 내측면과, 리어멤버 내측면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압출가스켓 삽입홈; 및
    상기 압출가스켓이 장착된 상판이 상기 사이드멤버의 삽입홈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상판의 후방면의 압출가스켓이 상기 리어멤버의 삽입홈에 삽입된 후, 전방측에 삽입되어 상기 압출가스켓이 장착된 상판을 고정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가스켓은 튜브형 단면을 갖고,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판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삽입고정부를 갖고, 상판의 코너 각각에 장착되는 가스켓 코너부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멤버와 상기 사이드 멤버의 연결부 부분의 삽입홈의 상면에 용접확보부가 마련되고, 상기 용접확보부의 측면측으로 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이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전방측 압출가스켓을 감싸게 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와 전방에서 절곡연결되는 전방부와, 전방부에 하단에 절곡연결되어 리어멤버의 전방면에 구비된 가이드홈에 장착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상부면의 양측 후방에 연장되어 장착시 상기 사이드멤버의 가이드 홈에 고정되는 스프링 구조 후크를 갖는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과 상기 전방 가스켓 누름 브라켓은 스프링 후크 구조가 적용된 플라스틱 사출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KR1020210141186A 2021-10-21 2021-10-21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KR102647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186A KR102647369B1 (ko) 2021-10-21 2021-10-21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186A KR102647369B1 (ko) 2021-10-21 2021-10-21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527A true KR20230057527A (ko) 2023-05-02
KR102647369B1 KR102647369B1 (ko) 2024-03-14

Family

ID=8638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186A KR102647369B1 (ko) 2021-10-21 2021-10-21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36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8582A (ja) * 2005-08-10 2007-02-22 Yodogawa Hu-Tech Kk ガスケット
KR20130136023A (ko)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KR20140110444A (ko) 2013-03-08 2014-09-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외부 배터리팩의 결합구조 및 방법
KR20170138248A (ko) 2016-06-07 2017-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15154B1 (ko) 2017-09-28 2018-01-04 김도용 교환형 차량 배터리 모듈 케이스 및 그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체 제조방법
KR20180064769A (ko) 2016-12-06 2018-06-15 동아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팩의 결합구조
KR20190138072A (ko) * 2018-06-04 2019-12-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WO2020162124A1 (ja) * 2019-02-04 2020-08-13 Nok株式会社 密封構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8582A (ja) * 2005-08-10 2007-02-22 Yodogawa Hu-Tech Kk ガスケット
KR20130136023A (ko)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KR20140110444A (ko) 2013-03-08 2014-09-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외부 배터리팩의 결합구조 및 방법
KR20170138248A (ko) 2016-06-07 2017-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64769A (ko) 2016-12-06 2018-06-15 동아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팩의 결합구조
KR101815154B1 (ko) 2017-09-28 2018-01-04 김도용 교환형 차량 배터리 모듈 케이스 및 그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체 제조방법
KR20190138072A (ko) * 2018-06-04 2019-12-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WO2020162124A1 (ja) * 2019-02-04 2020-08-13 Nok株式会社 密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369B1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9748A (en) Movable connector
RU2652376C2 (ru) Крепежная рама для модулей штекер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US6422899B1 (en) Panel mounting connector
JP5211341B2 (ja) 自動車ドア用ケーブルコネクタ
US5475919A (en) PCMCIA card manufacturing process
US20170320449A1 (en) Camera Module for Automobile
US7699653B2 (en) Rubber stopper for waterproof connector and waterproof connector
JP2014520376A (ja) チャンバブロック及びコンタクト位置保証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05552798A (zh) 护线管
CA2537851C (en) Self-aligning connector
JP2018017250A (ja) 組付け型車両部品
CN107425334B (zh) 连接器
JP4360262B2 (ja) 組電池
KR20230057527A (ko)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JP4291216B2 (ja) パネル貫通コネクタの組付構造
US5630731A (en) Waterproof connector
US11469539B2 (en) Seals for a flat flexible conductor in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1218252B1 (en) Torsional snap fit connector for air filter cover
JPH0724900Y2 (ja) ワイヤハーネス集合コネクタ接続装置
US6238229B1 (en) Connector
FR3082913A1 (fr) Raccord permettant de relier deux portions d’un circuit d’air, dispositif de jonction comportant ledit raccord et circuit d’air d’un aeronef comportant ledit dispositif de jonction
CN210537151U (zh) 一种防水钣金电气箱
JP4277703B2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JPH05124468A (ja) 車両へのランプ取付方法
JP2000091012A (ja) コネクタ及びその端子ならびにコネク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