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023A -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6023A KR20130136023A KR1020120059521A KR20120059521A KR20130136023A KR 20130136023 A KR20130136023 A KR 20130136023A KR 1020120059521 A KR1020120059521 A KR 1020120059521A KR 20120059521 A KR20120059521 A KR 20120059521A KR 20130136023 A KR20130136023 A KR 201301360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battery
- guide
- battery terminal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단자를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주변 상관 부품과 간섭되지 않도록 슬라이드 되면서 이동되어서 배터리단자를 개방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B)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 상기 고정부재(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B)에서 돌출된 배터리단자(B1)의 주위를 포위하여서 커버하는 커버로드(30); 및 상기 커버로드(30)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이동되어 커버로드(30)의 상부를 덮어서 배터리단자(B1)를 커버하고, 커버로드(30)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배터리(B)의 일측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단자(B1)를 오픈하는 커버부재(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B)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 상기 고정부재(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B)에서 돌출된 배터리단자(B1)의 주위를 포위하여서 커버하는 커버로드(30); 및 상기 커버로드(30)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이동되어 커버로드(30)의 상부를 덮어서 배터리단자(B1)를 커버하고, 커버로드(30)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배터리(B)의 일측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단자(B1)를 오픈하는 커버부재(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단자를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주변 상관 부품과 간섭되지 않도록 슬라이드 되면서 이동되어서 배터리단자를 개방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차량 등에 장착되며, 특히 차량의 경우에는 점화계통을 포함한 각종의 전기계통에 전기를 공급한다. 그러한 배터리와 전기계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배터리에는 배터리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계통으로부터의 케이블단자가 이 배터리단자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터리단자(미도시)의 보호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1)을 씌워서 보호했다.
그러나, 전술한 보호캡(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B)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힌지구조(2)를 축으로 타단이 회전되어서 배터리단자를 커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회전되면서 오픈되는 경우 주변의 상관부품(A)과 간섭되어 완전히 오픈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블단자를 배터리단자에 착탈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더욱이, 보호캡(1)은 쐐기형태의 돌기가 결합홀에 억지끼움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도 2에서 점선의 원형으로 도시된 록킹구조(3)에 의해 배터리단자를 보호하는 상태가 유지되는데, 장기간 경과시 돌기나 결합홀의 변형이나 마모에 의해 착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단자가 외부에 노출되어 쇼트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터리단자를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주변 상관 부품과 간섭되지 않도록 슬라이드 되면서 이동되어서 배터리단자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서 침투되는 수분이 배터리단자에 접촉되지 않도록 침투된 수분을 외부로 자연배출 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B)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 상기 고정부재(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B)에서 돌출된 배터리단자(B1)의 주위를 포위하여서 커버하는 커버로드(30); 및 상기 커버로드(30)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이동되어 커버로드(30)의 상부를 덮어서 배터리단자(B1)를 커버하고, 커버로드(30)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배터리(B)의 일측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단자(B1)를 오픈하는 커버부재(5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재(10)는 상기 배터리단자(B1)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2)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단자(B1)에 결합되는 케이블단자(C1)에 고정되는 돌기(14)가 삽입홀(12)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B)의 상면에 밀착되는 고정판(11); 및 상기 고정판(1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단자(C1)에 연결되는 케이블(C)이 배터리(B)의 외측면에 근접되도록 케이블(C)을 가이드하는 케이블가이드(1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로드(30)는 상기 배터리단자(B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0)의 타측에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는 복수의 외벽(32) 및 상기 복수의 외벽(32)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여 마감하는 마감벽(34)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부재(31); 및 상기 가이드부재(31)의 외벽(32)들 각각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각각의 내주면에 마주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33); 및 상기 가이드홈(33)의 입구측에 상기 커버부재(50)의 일단이 걸리도록 하여 커버부재(50)가 가이드부재(3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수단(35);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부재(31)는 상기 커버부재(50)의 외측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외벽(32)들의 일단으로 배출되도록, 외벽(32)들의 내주면에 각기 형성되는 처마부재(3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마부재(37)는 상기 일측의 외벽(32)에서부터 상기 마감벽(34)과 상기 타측의 외벽(32)까지 각각의 내주면에 수평으로 연이어지면서 형성되는 수평부재(38); 및 상기 수평부재(38)에서 외벽(32)의 일단까지 연장되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재(39);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홈(33)은 상기 외벽(32)의 타단에서부터 내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구간(33a); 및 상기 수평구간(33a)에서 외벽(32)의 일단까지 연장되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구간(33b);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홈(33)은 상기 수평구간(33a)에 연이어지면서 마감벽(34)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50)의 단부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고정홈(33c);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걸림수단(35)은 상기 가이드홈(33)의 입구측에 서로 마주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걸고리(35a); 상기 복수의 걸고리(35a)에 걸리도록 상기 커버부재(50)의 일단에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35b);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부재(31)를 고정부재(10)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재(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40)는 상기 외벽(32) 일단의 외측과 상기 고정부재(10)의 타측에 각기 형성되어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41)와 홈(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50)는 상기 커버로드(30)를 따라 이동되어 배터리단자(B1)를 커버하거나 오픈시키는 판형태의 커버(51); 및 상기 커버(51)가 일단에서 타단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커버(51)의 외측면에 일단에서 타단까지 등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커버(51)의 양측 끝까지 연장형성되는 다수의 요홈(5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50)는 상기 커버(51)의 외측에 형성되는 손잡이(54); 및 상기 커버로드(30)의 내측 단부에 상기 커버부재(50)를 착탈가능하게 록킹시키는 록킹부재(55);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재(55)는 상기 커버로드(30)의 내측 단부와 상기 커버(51)의 일단에 각기 마련되어 서로 착탈가능하게 록킹되는 자석(56)과 금속편(5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단자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커버하거나 배터리단자를 개방시키기 위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므로, 주변 상관 부품과 간섭되지 않게 되어 협소한 공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외부에서 침투되는 수분을 외부로 자연배출 시킬 수 있어서 침투된 수분이 배터리단자에 접촉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보호캡이 회전되면서 배터리단자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보호캡이 쐐기형태의 돌기와 홀로 구성된 록킹구조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케이블단자와 함께 배터리단자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배터리단자를 커버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호캡이 쐐기형태의 돌기와 홀로 구성된 록킹구조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케이블단자와 함께 배터리단자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배터리단자를 커버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 커버로드(30) 및 커버부재(5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0)는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B)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배터리(B)의 상면에 밀착되는 고정판(11) 및 고정판(11)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가이드(13)를 포함한다.
고정판(11)은 배터리단자(B1)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2)이 일측에 형성되고, 배터리단자(B1)에 결합되는 케이블단자(C1)에 고정되는 돌기(14)가 삽입홀(12)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판(1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12)이 배터리단자(B1)에 끼워지면서 케이블단자(C1)가 배터리단자(B1)에 결합됨에 따라 케이블단자(C1)에 돌기(14)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고정판(11)은 돌기(14)가 케이블단자(C1)에 걸리게 됨에 따라 배터리(B)의 상면에 밀착된다.
케이블가이드(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1)의 타측에 형성되어 케이블단자(C1)에 연결되는 케이블(C)이 배터리(B)의 외측면에 근접되도록 케이블(C)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케이블가이드(13)는 수직판(15)과, 가이드판(16) 및 외측판(17)을 포함한다.
수직판(15)은 고정판(11)의 타측에서 하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배터리(B)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가이드판(16)은 복수로 구성되어 수직판(15)의 양단에서 수직판(15)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일단이 연장형성되어 케이블(C)의 양측을 안내한다. 외측판(17)은 가이드판(16)들 각각의 타단에 양단이 일체로 고정형성되어 가이드판(16)들에 의해 가이드되는 케이블(C)의 후방을 커버하여 케이블(C)이 배터리(B)의 외측면에 근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가이드(13)는 가이드판(16)과 외측판(17)에 의해 케이블단자(C1)에 연결되는 케이블(C)을 배터리(B)의 외측면에 근접되게 위치시키므로, 케이블(C)이 다른 부품들과 접촉이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커버로드(30)는 고정부재(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배터리(B)에서 돌출된 배터리단자(B1)의 주위를 포위한다. 즉, 커버로드(30)는 배터리단자(B1)의 외측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배터리단자(B1)의 외측면을 커버하여 보호한다.
이러한, 커버로드(30)는 가이드부재(31) 가이드홈(33) 및 걸림수단(35)을 포함한다.
가이드부재(31)는 배터리단자(B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부재(10)의 타측에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는 복수의 외벽(32) 및 복수의 외벽(32)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여 마감하는 마감벽(3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31)는 배터리단자(B1)의 외주면을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가이드홈(33)은 가이드부재(31)의 외벽(32)들 각각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각각의 내주면에 마주되게 형성되어 커버부재(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구간(33a) 및 경사구간(33b)을 포함한다.
수평구간(33a)은 외벽(32)의 타단에서부터 내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된다. 이때, 수평구간(33a)은 외벽(32)의 타단까지 형성되면서 마감벽(34)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50)는 수평구간(33a)에서 마감벽(34)까지 위치되므로 가이드부재(31)의 상부를 완벽하게 커버할 수 있다.
경사구간(33b)은 수평구간(33a)에서 외벽(32)의 일단까지 연장되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구간(33b)은 수직으로 늘어진 커버부재(50)가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가 되도록 수평구간(33a)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경사구간(33b)은 커버부재(50)가 부드럽게 이동되도록 수평구간(33a)과 연결되는 부분이 원호형태로 곡선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부재(50)는 경사구간(33b)을 따라 슬라이딩되어서 수평구간(33a)까지 이동될 수 있으므로, 수평구간(33a)에 위치되는 경우 배터리단자(B1)의 상부면을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33)은 고정홈(33c)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홈(33c)은 수평구간(33a)에 연이어지면서 마감벽(34)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커버부재(50)의 단부가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따라서, 커버부재(50)는 고정홈(33c)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양측단도 수평구간(33a)에 고정되므로, 배터리단자(B1)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걸림수단(35)은 가이드홈(33)의 입구측에 커버부재(50)의 일단이 걸리도록 하여 커버부재(50)가 가이드부재(3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로드(30)의 외벽에 형성된 걸고리(35a) 및 커버부재(50)에 형성된 걸림돌기(35b)를 포함한다.
걸고리(35a)는 복수로 구성되어 가이드홈(33)의 입구측에 서로 마주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입구는 전술한 경사구간(33b)의 개방된 단부이다.
걸림돌기(35b)는 복수로 구성되어 복수의 걸고리(35a)에 걸리도록 커버부재(50)의 일단에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부재(50)는 걸림돌기(35b)가 걸고리(35a)에 걸리는 경우 늘어진 상태로 되면서 배터리(B)의 외주면에 근접되게 위치되므로 다른 상관 부품들과 접촉되거나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커버부재(50)는 커버로드(30)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이동되어 커버로드(30)의 상부를 덮어서 배터리단자(B1)를 커버하고, 커버로드(30)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배터리(B)의 일측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배터리단자(B1)를 오픈한다. 이러한, 커버부재(50)는 커버(51) 및 요홈(53)을 포함한다.
커버(51)는 커버로드(30)를 따라 이동되어 배터리단자(B1)를 커버하거나 오픈시키는 판형태로 형성된다.
요홈(53)은 다수로 구성되어 커버(51)가 일단에서 타단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커버(51)의 외측면에 일단에서 타단까지 등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커버(51)의 양측 끝까지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커버(51)는 다수의 요홈(53)에 의해 용이하게 절곡되므로, 전술한 경사구간(33b)과 수평구간(33a)의 연결된 부분을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50)는 배터리단자(B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경우 커버로드(30)를 덮어서 배터리단자(B1)의 노출을 방지하고, 배터리단자(B1)를 오픈하고자 하는 경우 배터리(B)의 일측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주변의 상관 부품과 접촉되거나 간섭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커버부재(50)가 슬라이드식으로 커버로드(30)를 따라 이동되어 커버로드(30)의 상부를 개폐하므로, 배터리단자(B1)를 개방하는 경우 배터리단자(B1)에 케이블단자(C1)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배터리단자(B1)를 폐쇄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배터리단자(B1)와 케이블단자(C1)를 함께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가이드부재(31)는 커버부재(50)의 외측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외벽(32)들의 일단으로 배출되도록, 외벽(32)들의 내주면에 각기 형성되는 처마부재(3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처마부재(37)는 수평부재(38) 및 경사부재(39)를 포함한다.
수평부재(38)는 일측의 외벽(32)에서부터 마감벽(34)과 타측의 외벽(32)까지 각각의 내주면에 수평으로 연이어지면서 형성된다. 이때, 수평부재(38)는 외벽(32)에서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마감벽(34)에서는 상부로 볼록한 아크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크형태의 수평부재(38)는 침투된 수분을 외벽(32)쪽으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부재(38)는 침투된 수분을 마감벽(34)에서부터 외벽(32)쪽으로 안내하여 경사부재(39)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경사부재(39)는 수평부재(38)에서 외벽(32)의 일단까지 연장되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부재(39)는 수평부재(38)에서 안내되는 수분을 가이드부재(3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평부재(38) 및 경사부재(39)는 배티리단자(B1)를 향하는 각각의 일측단이 외벽(32)에 고정된 타측단보다 높게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평부재(38) 및 경사부재(39)는 가이드부재(31)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수분이 배티리단자(B1)쪽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가이드부재(3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처마부재(37)는 외부에서 침투되는 수분을 외부로 자연배출 시킬 수 있어서 침투된 수분이 배터리단자(B1)에 접촉되지 않게 하여 쇼트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31)를 고정부재(10)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재(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체결부재(40)는 외벽(32) 일단의 외측과 고정부재(10)의 타측에 각기 형성되어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41)와 홈(4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이드부재(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40)인 돌기(41)와 홈(42)을 통해 고정부재(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고정부재(10)에서 분리되는 경우 배터리단자(B1)를 외부에 완전히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5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4) 및 록킹부재(55)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54)는 커버(51)의 외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54)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므로, 사용자가 커버(5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록킹부재(55)는 커버로드(30)의 내측 단부에 커버부재(50)를 착탈가능하게 록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커버로드(30)의 내측 단부와 커버(51)의 일단에 각기 마련되어 서로 착탈가능하게 록킹되는 자석(56)과 금속편(57)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석(56)이나 금속편(57)은 커버로드(30)의 마감벽(34)에 형성된 고정홈(33c)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51)는 일단이 고정홈(33c)에 삽입되는 경우 자석(56)과 금속편(57)이 서로 결합되므로, 외부의 충격이 발생되어도 일단이 고정홈(33c)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4)를 파지한 상태로 가이드홈(33)을 통해 마감벽(34)까지 커버(51)를 이동시키는 경우, 록킹부재(55)인 자석(56)과 금속편(57)이 서로 부착되므로, 커버(51)가 가이드부재(31)의 상부를 커버한 상태로 록킹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는 잡이(54)를 파지한 상태로 가이드홈(33)을 통해 커버(51)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커버(51)가 마감벽(34)에서 이탈되면서 가이드부재(31)의 상부를 개방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1)가 배터리단자(B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커버하거나 배터리단자(B1)를 개방시키기 위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므로, 주변 상관 부품과 간섭되지 않게 되어 협소한 공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 배터리 B1 : 배터리단자
C : 케이블 C1 : 케이블단자
10 : 고정부재 11 : 고정판
12 : 삽입홀 13 : 케이블가이드
14 : 돌기 15 : 수직판
16 : 가이드판 17 : 외측판
30 : 커버로드 31 : 가이드부재
32 : 외벽 33 : 가이드홈
34 : 마감벽 33a : 수평구간
33b : 경사구간 35 : 걸림수단
35a : 걸고리 35b : 걸림돌기
37 : 처마부재 38 : 수평부재
39 : 경사부재 40 : 체결부재
50 : 커버부재 51 : 커버
53 : 요홈 55 : 록킹부재
56 : 자석 57 : 금속편
C : 케이블 C1 : 케이블단자
10 : 고정부재 11 : 고정판
12 : 삽입홀 13 : 케이블가이드
14 : 돌기 15 : 수직판
16 : 가이드판 17 : 외측판
30 : 커버로드 31 : 가이드부재
32 : 외벽 33 : 가이드홈
34 : 마감벽 33a : 수평구간
33b : 경사구간 35 : 걸림수단
35a : 걸고리 35b : 걸림돌기
37 : 처마부재 38 : 수평부재
39 : 경사부재 40 : 체결부재
50 : 커버부재 51 : 커버
53 : 요홈 55 : 록킹부재
56 : 자석 57 : 금속편
Claims (10)
- 차량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배터리에서 돌출된 배터리단자의 주위를 포위하는 커버로드; 및
상기 커버로드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이동되어 커버로드의 상부를 덮어서 배터리단자를 커버하고, 커버로드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배터리의 일측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단자를 오픈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배터리단자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단자에 결합되는 케이블단자에 고정되는 돌기가 삽입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밀착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단자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배터리의 외측면에 근접되도록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가이드;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로드는
상기 배터리단자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는 복수의 외벽 및 상기 복수의 외벽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여 마감하는 마감벽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벽들 각각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각각의 내주면에 마주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측에 상기 커버부재의 일단이 걸리도록 하여 커버부재가 가이드부재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외벽들의 일단으로 배출되도록, 외벽들의 내주면에 각기 형성되는 처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마부재는
상기 일측의 외벽에서부터 상기 마감벽과 상기 타측의 외벽까지 각각의 내주면에 수평으로 연이어지면서 형성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에서 외벽의 일단까지 연장되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외벽의 타단에서부터 내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구간; 및
상기 수평구간에서 외벽의 일단까지 연장되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구간;을 포함하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수평구간에 연이어지면서 마감벽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제 3 항에 있어서, 걸림수단은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측에 서로 마주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걸고리;
상기 복수의 걸고리에 걸리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일단에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고정부재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외벽 일단의 외측과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각기 형성되어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와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로드를 따라 이동되어 배터리단자를 커버하거나 오픈시키는 판형태의 커버; 및
상기 커버가 일단에서 타단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커버의 외측면에 일단에서 타단까지 등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커버의 양측 끝까지 연장형성되는 다수의 요홈;을 포함하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의 외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커버로드의 내측 단부에 상기 커버부재를 착탈가능하게 록킹시키는 록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커버로드의 내측 단부와 상기 커버의 일단에 각기 마련되어 서로 착탈가능하게 록킹되는 자석과 금속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9521A KR20130136023A (ko) | 2012-06-04 | 2012-06-04 |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9521A KR20130136023A (ko) | 2012-06-04 | 2012-06-04 |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6023A true KR20130136023A (ko) | 2013-12-12 |
Family
ID=4998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9521A KR20130136023A (ko) | 2012-06-04 | 2012-06-04 |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36023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2885A (ko) * | 2014-09-17 | 2016-03-25 | 세방전지(주) |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
FR3104827A1 (fr) * | 2019-12-17 | 2021-06-18 | Renault S.A.S. | Ensemble d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interverrouilles de protection des deux bornes de raccordement |
KR20230057527A (ko) * | 2021-10-21 | 2023-05-02 | 서진산업 주식회사 |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
-
2012
- 2012-06-04 KR KR1020120059521A patent/KR2013013602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32885A (ko) * | 2014-09-17 | 2016-03-25 | 세방전지(주) |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
FR3104827A1 (fr) * | 2019-12-17 | 2021-06-18 | Renault S.A.S. | Ensemble d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interverrouilles de protection des deux bornes de raccordement |
WO2021121942A1 (fr) * | 2019-12-17 | 2021-06-24 | Renault S.A.S | Ensemble d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interverrouilles de protection des deux bornes de raccordement |
CN115039274A (zh) * | 2019-12-17 | 2022-09-09 | 雷诺股份公司 | 包括用于保护两个连接端子的互锁装置的机动车辆电池组件 |
KR20230057527A (ko) * | 2021-10-21 | 2023-05-02 | 서진산업 주식회사 | 압출가스켓을 이용해 기계적 접합을 없앤 슬라이딩 방식의 상판 조립구조 배터리케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050945A1 (en) | Hidden hinge | |
KR20130136023A (ko) |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 |
CN107069596B (zh) | 保护器 | |
JP5321387B2 (ja) |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 |
JP4653613B2 (ja) | シールドコネクタ | |
KR200470152Y1 (ko) | 전선 보호용 조립체 | |
JPWO2016203588A1 (ja) | コネクタ | |
KR200318213Y1 (ko) | 배선용 덕트 | |
JP7132675B2 (ja) | グロメット | |
KR200439270Y1 (ko) | 그로멧 | |
JP5971696B2 (ja) | 電子機器の筺体及び電子機器の筺体用化粧パネル | |
JP6953174B2 (ja) | キャビネット | |
KR20150125119A (ko) | 전기자동차의 인렛 | |
CN211700739U (zh) | 一种可盖合的电排插装置 | |
JP2016048604A (ja) | コネクタ | |
KR200485932Y1 (ko) | 부품 케이스 | |
JP2013016399A (ja) | コネクタ | |
CN217115010U (zh) | 一种插座 | |
KR20130070787A (ko) | 커넥터 | |
JP6957285B2 (ja) | 住宅用分電盤 | |
KR200448594Y1 (ko) | 박스용 커버결합장치 | |
KR200465856Y1 (ko) | 커넥터의 와이어커버 결합구조 | |
JP6125195B2 (ja) | バッテリターミナル用カバー | |
JP6920149B2 (ja) | 住宅用分電盤 | |
CN213423547U (zh) | 一种网络工程用分线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