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885A -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885A
KR20160032885A KR1020140123570A KR20140123570A KR20160032885A KR 20160032885 A KR20160032885 A KR 20160032885A KR 1020140123570 A KR1020140123570 A KR 1020140123570A KR 20140123570 A KR20140123570 A KR 20140123570A KR 20160032885 A KR20160032885 A KR 20160032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handle
protector
terminal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436B1 (ko
Inventor
이규형
김현령
고정의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4012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4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상면에 형성된 양(+)과 음(-)의 전원을 출력하는 단자를 보호하는 단자 프로텍터를 손잡이와 일체로 구비한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BATTERY GRIP WITH INTEGRATED PROTECTOR FOR BATTERY TERMINAL}
본 발명은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상면에 형성된 양(+)과 음(-)의 전원을 출력하는 단자를 보호하는 단자 프로텍터를 손잡이와 일체로 구비한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차량에 설치되어 엔진을 시동할 때와 발전량이 부족할 때 점화장치, 등화장치 등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 배터리의 종류에는 납산과 알카리로 이루어진 것이 있으며, 그리고 용량은 완전 충전된 배터리를 일정한 전류로 연속 방전시켜 방전중의 단자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에 이를 때까지 사용할 수 있는 전기량으로서 자동차용 배터리의 용량의 표시는 25°C를 기준으로 하고, 극판의 수, 셀의 크기 전해액의 양(황산의 양)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는 전류를 외부로 흐르게 하여 차량의 전원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의 상부에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을 갖는 두 개의 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단자에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여 차량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는 자동차에 설치되기 이전에 외부물질에 의한 쇼트 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 프로텍터로서 밀폐된다. 상기 단자 프로텍터는 통상적으로 배터리를 자동차에 설치시에 제거한 뒤에 버려진다. 하지만 최근 제안된 기술에서는 배터리를 자동차에 설치시에 단자 프로텍터를 제거하지 않고 배터리가 자동차에 설치된 이후에도 계속 보호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즉, 종래(예를 들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5281호)에는 배터리 몸체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두 개의 단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몸체의 상면에서 힌지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단자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덮개(단자 프로텍터를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단자를 보호하는 덮개는 상기 몸체를 운반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단자를 보호하는 덮개와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중에 사용자가 배터리의 충전 또는 측정을 위하여 단자에 케이블이나 기타 계측장비를 연결시에 매번 손잡이를 회전시켜 덮개를 제거해야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25281호(1999.07.05)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43226호(1999.06.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 프로텍터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배터리의 재충전 또는 계측시에 매번 단자 프로텍터를 제거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단자 프로텍터를 손잡이의 내측으로 인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를 일체로 구비하는 배터리용 손잡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배터리 몸체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배터리커버에서 양과 음의 전원을 출력하는 단자를 보호하는 단자 프로텍터; 및 상기 배터리의 몸체의 상면에서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한쪽 끝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와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서 상기 단자 프로텍터가 인출입되도록 절개되는 절개구; 상기 한 쌍의 수직바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에서 상기 절개구를 통하여 인입된 상기 단자 프로텍터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 프로텍터는 상기 단자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평판; 상기 평판의 각 테두리에서 직립형성되는 벽면중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벽면에서 내향된 안내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판은 측방향으로 돌출된 이동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바닥면에서 함몰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걸림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편은 상면 또는 하면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자를 보호하는 단자 프로텍터를 슬라이딩식으로 손잡이와 일체로 구비함에 따라 단자 프로텍터를 손잡이에서 인출하여 배터리의 단자를 보호하고, 단자 프로텍터를 손잡이에 인입시켜 단자를 노출한 뒤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함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이나 계측시에서 단자 프로텍터를 제거하지 않기에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가 설치되는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에서 손잡이의 수평바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에서 이동편의 측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가 설치되는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는 전해액 및 극판을 수용하는 배터리 몸체(200)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배터리 커버(100)의 상면에서 양(+)과 음(-)의 전원을 출력하는 단자(500)와, 상기 단자(500)를 밀폐시키켜 보호하는 단자 프로텍터(400)와,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가 슬라이딩식으로 인출입되는 손잡이(300)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3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바(320)와, 상기 수직바(320)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바(310)와, 상기 수직바(320)의 끝단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100)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부(340)와, 상기 수평바(310)에서 내향되어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5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수직바(320)는 상기 수평바(310)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끝단에 형성된 힌지부(340)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커버(100)의 상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바(320)는 각각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가 인출입되도록 절개되는 절개구(33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바(310)와 가이드홈(35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400)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300)에서 손잡이(300)의 수평바(310)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의 수평바(310) 및 가이드홈(350)은 도 2의 하측에 위치된 수평바(31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의 상측에 위치된 수평바(310)와 동일하다.
상기 수평바(310)는 상기 수직바(320)의 상하측에서 각각 수평으로 연결되어 상기 절개구(330)를 통하여 인입되는 단자 프로텍터(400)를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바(310)는 상기 수직바(320)가 회전시에 사용자가 이동시에 손으로 잡는 영역이다.
상기 가이드홈(350)은 상기 수평바(310)에서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에 접촉되는 면에 각각 내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절개구(330)를 통하여 인입되는 단자 프로텍터(400)를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350)은 벽면에서 내향되어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의 이동을 지지하는 이동홈과, 바닥면에서 함몰된 걸림홈(35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352)은 인입된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를 걸림시켜 인입된 이후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단자 프로텍터(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스토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는 상기 단자(500)의 상측을 밀폐시키도록 편평한 평면을 이루는 평판(410)과, 상기 평판(410)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단자(500)가 삽입되는 보호캡(440)과, 상기 평판(410)의 각 테두리에서 직립되어 상기 단자(500)의 전후좌우측을 밀폐시키는 벽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벽면은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후술되는 상기 손잡이(300)의 수평바(3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50)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판(420)과, 상기 슬라이딩판(420)의 양측 끝단에서 각각 연결되는 지지판(450)과, 상기 슬라이딩판(420)의 선단에서 돌출되는 이동편(43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450)은 도 2와 같이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가 직립될 시에 측면에 해당되어 상기 절개구(330)를 통하여 상기 손잡이(300)로 인입된다.
상기 슬라이딩판(420)은 도 2와 같이 상기 지지판(450)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수평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홈(350)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이동편(430)은 상기 슬라이딩판(420)의 선단에서 연장되되, 양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판(420)이 상기 가이드홈(350)을 따라 이동되도록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한다. 아울러 상기 이동편(430)은 하면 또는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350)에서 함몰된 걸림홈(352)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시키는 걸림돌기(431)(도 5 참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는 각각 음(-)과 양(+)의 단자(500)를 보호하는 한 쌍으로서 상기 손잡이(300)에 인입시에 중심측에서 만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352)은 상기 가이드홈(350)에서 양측의 단자 프로텍터(400)가 인입되어 만나게 되는 중심지점에 상호 이격된 한 쌍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커버(100)는 상기 배터리 몸체(20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하부커버(100)와, 상기 하부커버(10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커버(10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10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배터리 커버(100)로서 총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터리 커버(100)는 상기 단자(500)가 형성되는 일정영역을 상방으로 돌출되는 벽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의 슬라이딩판(420)과 지지판(450)이 밀착되는 영역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단자 설치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 설치부(110)는 상기 손잡이(300)의 수직바(320)의 두께 차이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400)의 높이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는 상기 손잡이(300)의 절개부를 통하여 인출입됨에 따라 손잡이(300)의 수직바(320)의 두께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판(420)과 지지판(450)의 끝단이 배터리 커버(100)의 상면에 밀착되지 못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자 설치부(110)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와 같은 손잡이(300)의 수직바(320)의 두께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400) 벽면의 높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배터리 커버(100)의 상면에서 상기 단자(500)의 높이를 보상하도록 상향 돌출되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 프로텍터(400)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300)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배터리가 자동차에 설치되기 이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0)에서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가 인출되어 각각 양(+)과 음(-)의 단자(500)를 밀폐시킨다.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는 상기 평판(41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된 보호캡(440)에 상기 단자(500)가 삽입된다. 상기 보호캡(440)은 상기 단자(50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다 수개가 분할 형성되어 상기 단자(500)가 삽입시에 팽창되어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삽입 후 다시 수축되어 상기 단자(500)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잡이(300)는 상기 배터리 커버(100)의 상면에서 밀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배터리를 자동차에 설치하기 위하여 이동하고자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00)를 상방으로 회전시킨 뒤에 상기 수평바(310)를 손으로 잡고 이동시킨다. 아울러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는 상기 손잡이(300)가 상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보호캡(440)에서 상기 단자(500)기 이탈되어 상기 단자(500)를 공기중에 노출시킨다.
이때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는 상기 슬라이딩판(420)의 이동편(430)이 상기 안내홈(351)에 삽입된 상태임에 따라 상기 손잡이(300)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이다. 즉, 상기 이동편(430)은 상기 가이드홈(350)의 끝단에서 상기 안내홈(35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가 손잡이(30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가 자동차에서 설정된 위치에 올려놓고,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를 가압하여 상기 손잡이(300)의 내측으로 인입시킨다. 따라서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는 상기 손잡이(300)의 수직바(320)에서 형성된 절개구(330)를 통하여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홈(350)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이동편(430)은 상기 안내홈(351)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후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는 상기 가이드홈(350)을 따라 이동되던 중에 상기 걸림돌기(431)가 상기 걸림홈(352)에 삽입되면서 이동이 저지된다.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단자 프로텍터(400)를 상기 손잡이(300) 내측으로 인입시킨 뒤에 상기 손잡이(300)를 하향시켜 배터리 커버(100)의 상면에 접착시킨다. 이는 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단자(500)에 케이블을 연결하면, 배터리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를 배터리 설치후에 버리지 않고, 또한 손잡이(300)에 슬라이딩식으로 인입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단자 프로텍터(400)를 손잡이(300)에서 인출하여 단자(500)를 밀폐시키도록 사용할 수 있고, 배터리의 사용중에 단자(500)를 상시 노출시킴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배터리 커버 110 : 단자 설치부
200 : 배터리 몸체 300 : 손잡이
310 : 수평바 320 : 수직바
330 : 절개구 340 : 힌지부
350 : 가이드홈 351 : 안내홈
352 : 걸림홈 400 : 단자 프로텍터
410 : 평판 420 : 슬라이딩판
430 : 이동편 431 : 걸림돌기
440 : 보호캡 450 : 지지판
500 : 단자

Claims (6)

  1. 배터리 몸체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배터리 커버에서 양(+)과 음(-)의 전원을 출력하는 단자를 보호하는 단자 프로텍터; 및 상기 배터리 커버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한쪽 끝에서 상기 배터리 커버와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서 상기 단자 프로텍터가 인출입되도록 절개되는 절개구;
    상기 한 쌍의 수직바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에서 상기 단자 프로텍터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프로텍터는
    상기 단자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평판;
    상기 평판의 각 테두리에서 직립형성되는 벽면중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판;을 포함하는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벽면에서 내향된 안내홈을 더 포함하는 단자 프로텍터가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판은 상측과 하측의 선단에서 각각 측방향으로 돌출된 이동편을 더 포함하는 단자 프로텍터가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바닥면에서 함몰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단자 프로텍터가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편은 상면 또는 하면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단자 프로텍터가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KR1020140123570A 2014-09-17 2014-09-17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KR101645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570A KR101645436B1 (ko) 2014-09-17 2014-09-17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570A KR101645436B1 (ko) 2014-09-17 2014-09-17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885A true KR20160032885A (ko) 2016-03-25
KR101645436B1 KR101645436B1 (ko) 2016-08-04

Family

ID=5564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570A KR101645436B1 (ko) 2014-09-17 2014-09-17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4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2548A (zh) * 2016-07-29 2016-12-21 浙江亿能塑业科技有限公司 带引脚护盖的蓄电池箱
CN111211282A (zh) * 2018-11-22 2020-05-29 马自达汽车株式会社 电池、电池的导电线的连接方法及导电线的拆除方法
CN115039274A (zh) * 2019-12-17 2022-09-09 雷诺股份公司 包括用于保护两个连接端子的互锁装置的机动车辆电池组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916A (ja) * 1995-06-05 1996-12-13 Suzuki Motor Corp 小型車両用バッテリ装置
KR19990025281A (ko) 1997-09-11 1999-04-06 전주범 피디피의 시청각 조절장치
KR19990043226A (ko) 1997-11-29 1999-06-15 양재신 배터리 단자 보호용 커버
KR19990026023U (ko)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배터리
JP2003031189A (ja) * 2001-07-04 2003-01-31 Deruko:Kk 外装ボックスを有する蓄電池
KR20130136023A (ko)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9916A (ja) * 1995-06-05 1996-12-13 Suzuki Motor Corp 小型車両用バッテリ装置
KR19990025281A (ko) 1997-09-11 1999-04-06 전주범 피디피의 시청각 조절장치
KR19990043226A (ko) 1997-11-29 1999-06-15 양재신 배터리 단자 보호용 커버
KR19990026023U (ko)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배터리
JP2003031189A (ja) * 2001-07-04 2003-01-31 Deruko:Kk 外装ボックスを有する蓄電池
KR20130136023A (ko)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슬라이드타입 배터리 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2548A (zh) * 2016-07-29 2016-12-21 浙江亿能塑业科技有限公司 带引脚护盖的蓄电池箱
CN111211282A (zh) * 2018-11-22 2020-05-29 马自达汽车株式会社 电池、电池的导电线的连接方法及导电线的拆除方法
CN115039274A (zh) * 2019-12-17 2022-09-09 雷诺股份公司 包括用于保护两个连接端子的互锁装置的机动车辆电池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436B1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114B1 (ko) 배터리 팩
EP2421067B1 (en) Battery pack having waterproof structure
KR101645436B1 (ko) 단자 프로텍터가 일체로 구비된 배터리용 손잡이
JP5573471B2 (ja) バッテリパック
US9634503B2 (en) Battery chargers
JP2007052998A (ja) 電気機器
US20150194710A1 (en) Battery packs for electric tools
KR20170099670A (ko) 배터리 팩용 전장 박스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구조체
KR20150141810A (ko) 전지셀용 지그장치
US20130308253A1 (en) Battery packs and systems including battery packs and electric apparatus
CN210692639U (zh) 电池模组输出极保护盒以及电池模组
WO2013027772A1 (ja) 電源装置
JP7216530B2 (ja) 電池パック
JP7125337B2 (ja) 電池パック
JP2014236898A (ja) 電気掃除機
JP7095111B2 (ja) 電池パック
US20170331082A1 (en) Electric device
KR101495775B1 (ko)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US20200373771A1 (en) Device charging system
JP2013059371A (ja) 電気かみそり用収納ケース
KR20170003319U (ko) 보조 배터리팩 수납을 겸용한 휴대폰 단말기 수납 케이스
CN220400834U (zh) 一种快换式电池及电瓶车
CN208611596U (zh) 除颤器外壳
CN216390550U (zh) 一种充电装置及服务机器人
KR20180059146A (ko) 방수 기능을 갖는 배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