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146A -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146A
KR20230056146A KR1020210139842A KR20210139842A KR20230056146A KR 20230056146 A KR20230056146 A KR 20230056146A KR 1020210139842 A KR1020210139842 A KR 1020210139842A KR 20210139842 A KR20210139842 A KR 20210139842A KR 20230056146 A KR20230056146 A KR 20230056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cil
pattern
bridge
printing
photores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일
김판겸
하태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3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146A/ko
Priority to PCT/KR2022/013600 priority patent/WO2023068555A1/ko
Publication of KR2023005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50Mask blanks not covered by G03F1/20 - G03F1/34;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16Coating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04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light source, e.g. fluorescent lamps or deep UV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세 인쇄 패턴에 대응되는 스텐실 홀과; 상기 스텐실 홀을 가로지르며 스텐실 홀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어 스텐실 홀 형상을 지지하는 브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으로서, 유리 기판 상층의 Cr 박막에 상기 브리지 패턴을 구현시킨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 상단에 감광제를 도포하고, 상기 감광제 상단에 스텐실 홀 패턴에 형성된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올리는 a 단계; 상측에서 자외선 노광하는 상단노광 후, 상기 감광제에 상부에 스텐실 홀 패턴을 감광시킨 후,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하측에서 자외선 노광하는 하단 노광 후, 상기 감광제에 하부에 브리지 패턴을 감광시키는 단계; 상기 감광제를 현상하여 유리 기판 상층의 Cr 박막에, 저부에 브리지가 음각 형성된 양각 스텐실 홀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감광제 스텐실 패턴에 금속도금 전주공정을 실행하여 금속 도금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금속 도금층을 분리하여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마스크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Method of making a stencil for printing fine patterns with a protective bridge}
본 발명은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텐실 홀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브리지가 형성되어 스텐실 홀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제품 생산 시장은 새로운 생산 공정의 도입을 통하여 생산 비용의 절감, 소재의 소비 효율 향상, 청정생산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인쇄전자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인쇄공정을 활용하여 전자회로, 센서, 소자 및 각종 전자제품을 인쇄하듯 만들어내는 차세대 인쇄기술을 의미한다.
인쇄전자 기술에는 잉크젯 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롤투롤 프린팅, 임프린팅 등 다양한 인쇄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미세패턴의 전도성 회로 인쇄는 금속잉크를 스크린 프린팅 방식 또는 스프레이 프린팅 방식으로 인쇄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스크린 메쉬가 결합된 스텐실을 이용하는 종래의 스크린 프린팅 방식은 일반적으로 40㎛ 내외의 직경을 갖는 스크린메쉬를 이용한다.
이때, 스크린메쉬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패턴을 인쇄하는 경우, 스텐실에 형성된 인쇄패턴이 스크린메쉬에 가려져 위치에 따라 인쇄 불량 부분이 발생하여 패턴의 불균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프레이 프린팅 방식은 스텐실을 제작할 때, 최소한의 강성유지를 위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스텐실을 제작하게 된다. 따라서 인쇄하는 패턴이 미세할수록, 패턴의 선폭 대비 높이가 커지게 되고, 스텐실을 통해 인쇄된 인쇄재료가 스텐실의 인쇄패턴 사이에 끼어, 스텐실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함께 제거되어 인쇄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스텐실 및 이의 제조방법(공개번호 : 10-2020-0043796)'에서는 인쇄패턴에 대응되는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마스크부 및 상기 마스크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는 부위에 구비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스텐실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에 의하면 마스크부가 보강부에 의해 지지되며 기판과 이격되어 있어, 마스크부가 인쇄된 금속잉크와 접촉되지 않아, 금속잉크가 관통홀에 끼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패턴을 선명하게 인쇄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편, 종래기술방식의 미세 패턴용 스텐실의 크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텐실의 길이를 길게하고 패턴 밀도를 높이는 경우, 인쇄과정에서 스텐실이 벌어지는 등의 파손 문제점이 있으며, 폐곡선형 패턴의 경우 스텐실 제작이 불가능하였고, 니켈 재질의 스텐실과 인쇄용 기판 사이의 점착력에 의하여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선출원 특허 '스텐실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금속 스텐실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출원한 바가 있는데, 상기 발명의 실시에서 브리지의 형성 과정이 스텐실 홀의 형성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었다.
KR 10-2020-0043796 A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텐실의 길이를 길게 하고 패턴 밀도를 높이는 경우에도 인쇄과정에서 스텐실의 파손이 방지되며, 폐곡선형 패턴 스텐실 제작이 가능하고,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세 인쇄 패턴에 대응되는 스텐실 홀과; 상기 스텐실 홀을 가로지르며 스텐실 홀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어 스텐실 홀 형상을 지지하는 브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으로서, 유리 기판 상층의 Cr 박막에 상기 브리지 패턴을 구현시킨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 상단에 감광제를 도포하고, 상기 감광제 상단에 스텐실 홀 패턴에 형성된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올리는 a 단계; 상측에서 자외선 노광하는 상단노광 후, 상기 감광제에 상부에 스텐실 홀 패턴을 감광시킨 후,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하측에서 자외선 노광하는 하단 노광 후, 상기 감광제에 하부에 브리지 패턴을 감광시키는 단계; 상기 감광제를 현상하여 유리 기판 상층의 Cr 박막에, 저부에 브리지가 음각 형성된 양각 스텐실 홀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감광제 스텐실 패턴에 금속도금 전주공정을 실행하여 금속 도금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금속 도금층을 분리하여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마스크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의 제작방법은 브리지 패턴이 형성된 브리지 패턴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형성시키는 단계; 유리 기판 위에 투명전극 및 Cr 박막을 코팅시키고, Cr 박막 위에 감광제를 도포시키는 감광기판 준비 단계; 상기 포토 마스크를 상기 감광기판 상단에 놓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브리지 패턴을 감광시키는 단계; 상기 브리지 패턴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제거하고, 상기 감광기판을 현상하여 상기 감광제에 브리지 패턴을 구현시키는 단계; 습식 식각 또는 건식 식각으로 Cr 층을 식각시키고, 감광제를 제거시켜 유리 기판 상층의 Cr 박막에 상기 브리지 패턴을 구현시킨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을 제작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도금 전주공정은 상기 금속도금의 높이를 조정하여, 스텐실 인쇄 선폭을 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감광제와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시켜, 상기 감광제와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이격 적층시키고, 상기 상단 노광을 수행하여 상기 양각 스텐실 홀 패턴 단면을 사다리꼴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금속 도금 전주 공정시 상기 금속 도금의 높이를 조정하여, 스텐실 인쇄 선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스텐실의 길이를 길게 하고 패턴 밀도를 높이는 경우에도 인쇄과정에서 스텐실의 파손이 방지되며, 폐곡선형 패턴 스텐실 제작이 가능하고,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작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의 상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작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의 하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브리지 패턴 제작용 포토마스크 단면 및 평면 구조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 제작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 단면 및 평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작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을 제작하기 위한 적층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 단면 및 평면 구조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작 순서에 따른 설명도
도 14는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작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의 단면 구조도
도 15는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작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의 실시 상태도
도 16과 도 17은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작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포토마스크, 감광제, 투명전극, 노광 공정,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50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인쇄 패턴에 대응되는 스텐실 홀(10)과 상기 스텐실 홀(10)을 가로지르며 스텐실 홀(10)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어 스텐실 홀(10) 형상을 지지하는 브리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으로서,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200), 감광제(300), 상기 스텐실 홀(10)을 형성시키는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100)를 순차 적층시킨 후, 상측 자외선 노광, 하측 자외선 노광, 현상, 금속 도금 전주 공정을 진행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우선 상기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200)의 제작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 상층의 Cr 박막에 상기 브리지 패턴을 구현시킨 크롬 기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200)의 제작방법은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 패턴이 형성된 브리지 패턴 제작용 포토마스크(210)를 형성시키는 단계(S10)로 시작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브리지 패턴은 밝고 배경은 어두운 음각형 포토마스크로 제작하는 것을 고려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브리지 패턴 제작용 포토마스크(210)는 설계한 스텐실 디자인에 설치할 브리지 부분만을 표현한 문양을 투명기판에 올려 제작된다.
다음 단계(S20)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유리 기판(223) 위에 투명전극(222) 및 Cr 박막(221)을 코팅시키고, Cr 박막(221) 위에 감광제(230)를 도포시킨 크롬 감광기판(220)을 준비하고, 상기 브리지 패턴 제작용 포토마스크(210)를 상기 크롬 감광기판(220) 상단에 올리는 단계이다.
상기 투명전극은 대표적으로 ITO (Indium Tin Oxide)가 있으며, 기타 공지의 투명전극이 사용된다.
다음 단계(S30)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브리지 패턴 제작용 포토마스크(210)를 상기 크롬 감광기판(220) 상단에 놓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브리지 패턴을 크롬 감광기판에 감광시킨다.
이 단계(SD30)에서 브리지 패턴은 음각형으로 형성되므로 브리지 패턴 부분만 자외선에 감광된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 단계(S40)는 상기 브리지 패턴 제작용 포토마스크(210)를 제거하고, 상기 크롬 감광기판(220)을 현상하여 상기 감광제에 브리지 패턴을 구현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S40)에서 상기 크롬 감광기판(220)에 브리지 패턴이 음각 형성된다.
다음 단계(S50)로는 습식 식각 또는 건식 식각으로 Cr 층을 식각시키고, 감광제를 제거시키는 단계(S60)를 실행한다.
단계(S50)는 유리 기판 상층의 Cr 박막에 상기 브리지 패턴을 구현시키는 단계로서, 단계(S50)에서는 Cr 박막은 감광제가 없는 부분만 식각되며, 단계(S60)에서 감광제를 제거시키면,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상기 브리지 패턴이 음각 성형된 크롬 기판을 획득하게 되며, 이를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200)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a 단계(S70)는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200) 상단에 감광제(300)를 도포하고, 상기 감광제(300) 상단에 스텐실 홀 패턴에 형성된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100)를 올리는 단계이다.
상기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100)는 도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설계한 스텐실 디자인을 표현한 문양을 투명기판에 올려 제작된 마스크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도 9의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스텐실 디자인 문양은 어둡고, 배경은 밝은 양각형 마스크를 고려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100) 상측에서 자외선을 노광시키는 상단 노광 단계(S80)를 실행한다.
상기 상단노광에 의해 상기 감광제(300)의 상측 방향에서 스텐실 홀 패턴이 감광되면 상기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100)를 제거시키고,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200) 하측에서 자외선을 노광시키는 하단 노광 단계(S90)를 실행한다.
상기 하단 노광에 의해 상기 감광제(300)에는 하측 방향에서 브리지 패턴이 감광된다.
다음 단계(S100)에서 이와 같이 상측은 스텐실 홀 패턴으로 노광되고, 하측은 브리지 패턴으로 노광된 감광제를 현상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의 Cr 박막 상층에, 저부에 음각 브리지(20a)가 형성된 양각 스텐실 홀 패턴(410)이 형성된 크롬 스텐실 패턴판(400)이 형성된다.
다음 단계(S1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롬 스텐실 패턴판(400)에 금속도금 전주공정을 실행하여 금속 도금층(50)을 형성시키는 단계가 실행된다.
다음 단계(S120)에서 상기 금속 도금층(50)을 크롬 스텐실 패턴판(400)에서 분리하면, 도 14와 도 1,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 금속 도금층(50)이 일측면은 인쇄가 실행되는 스텐실 홀(10)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스텐실 홀(10)을 지지 보호하는 브리지(20)가 형성된 본 발명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500)'이 된다.
도 1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500)'은 브리지(20)가 형성된 면으로 금속 페이스트가 주입되며, 스텐실 홀이 형성된 면은 스텐실 패턴 형성면이 된다.
이에 따르면 스텐실 인쇄 품질은 상기 스텐실 홀(10)이 형성된 일측면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이를 고려하여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110)의 금속도금 전주공정에서 상기 금속 도금층(50)의 높이를 조정하여, 스텐실 인쇄 선폭을 조정시킬 수 있다.
도 13(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속도금 전주공정에서 금속은 스텐실 홀(10) 주변에서 중심으로 서서히 채워지므로 상기 금속 도금층(50)의 높이를 크롬 스텐실 패턴판(400)보다 미세하게 올리게 되면, 스텐실 홀(10) 주변에서 금속 도금층(50)이 채워지며 스텐실 홀 선폭을 형성시키므로,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하여 스텐실 선폭을 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크롬 스텐실 패턴판(400)에 채워지는 금속 도금층(50)의 높이가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500)'의 높이가 되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 크롬 스텐실 패턴판(400)에 형성된 양각 스텐실 홀 패턴(410)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로 형성시키는 경우, 금속 도금층(50)의 높이에 따라 스텐실 홀 선폭이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양각 스텐실 홀 패턴(410)을 사다리꼴로 형성시켜 스텐실 인쇄 품질 항상에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제()와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100) 사이에 스페이서(110)를 삽입시켜, 상기 감광제()와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100)를 이격 적층시킨다.
이와 같이 이격 적층 후, 상단 노광 단계(S80)를 수행하면 자외선이 감광제 깊이에 따라 노광시키는 힘이 약해져, 상기 양각 스텐실 홀 패턴(410) 단면을 도 1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양각 스텐실 홀 패턴(410) 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되면, 도 1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보다 쉽게 상기 금속 도금 전주 공정시 상기 금속 도금층(50)의 높이를 조정하여, 스텐실 인쇄 선폭을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스텐실 홀 20 : 브리지
50 : 금속 도금층
100 :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
110 : 스페이서
200 :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
210 : 브리지 패턴 제작용 포토마스크
221 : Cr 박막
222 : 투명전극
223 : 유리 기판
410 : 양각 스텐실 홀 패턴
400 : 크롬 스텐실 패턴판
500 :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Claims (4)

  1. 미세 인쇄 패턴에 대응되는 스텐실 홀과; 상기 스텐실 홀을 가로지르며 스텐실 홀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어 스텐실 홀 형상을 지지하는 브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으로서,
    유리 기판 상층의 Cr 박막에 상기 브리지 패턴을 구현시킨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 상단에 감광제를 도포하고, 상기 감광제 상단에 스텐실 홀 패턴에 형성된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올리는 a 단계;
    상측에서 자외선 노광하는 상단노광 후, 상기 감광제에 상부에 스텐실 홀 패턴을 감광시킨 후,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하측에서 자외선 노광하는 하단 노광 후, 상기 감광제에 하부에 브리지 패턴을 감광시키는 단계
    상기 감광제를 현상하여 유리 기판 상층의 Cr 박막에, 저부에 음각 브리지가 형성된 양각 스텐실 홀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감광제 스텐실 패턴에 금속도금 전주공정을 실행하여 금속 도금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금속 도금층을 분리하여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마스크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의 제작방법은
    브리지 패턴이 형성된 브리지 패턴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형성시키는 단계;
    유리 기판 위에 투명전극 및 Cr 박막을 코팅시키고, Cr 박막 위에 감광제를 도포시키는 감광기판 준비 단계;
    상기 브리지 패턴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상기 감광기판 상단에 놓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브리지 패턴을 감광시키는 단계;
    상기 브리지 패턴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제거하고, 상기 감광기판을 현상하여 상기 감광제에 브리지 패턴을 구현시키는 단계;
    습식 식각 또는 건식 식각으로 Cr 층을 식각시키고, 감광제를 제거시켜 유리 기판 상층의 Cr 박막에 상기 브리지 패턴을 구현시킨 브리지 패턴 제작용 크롬 마스크을 제작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도금 전주공정은
    상기 금속도금의 높이를 조정하여, 스텐실 인쇄 선폭을 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감광제와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시켜, 상기 감광제와 스텐실 홀 제작용 포토마스크를 이격 적층시키고,
    상기 상단 노광을 수행하여
    상기 양각 스텐실 홀 패턴 단면을 사다리꼴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금속 도금 전주 공정시 상기 금속 도금의 높이를 조정하여, 스텐실 인쇄 선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
KR1020210139842A 2021-10-20 2021-10-20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 KR20230056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842A KR20230056146A (ko) 2021-10-20 2021-10-20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
PCT/KR2022/013600 WO2023068555A1 (ko) 2021-10-20 2022-09-13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842A KR20230056146A (ko) 2021-10-20 2021-10-20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146A true KR20230056146A (ko) 2023-04-27

Family

ID=8605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842A KR20230056146A (ko) 2021-10-20 2021-10-20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6146A (ko)
WO (1) WO202306855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796A (ko) 2018-10-18 2020-04-28 한국전기연구원 마이크로 스텐실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373B1 (ko) * 1999-03-16 2001-05-02 김영환 리쏘그래피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631933B1 (ko) * 2000-06-28 2006-10-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스텐실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100515102B1 (ko) * 2003-01-21 2005-09-14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스텐실 마스크의 제조 방법
KR20210053596A (ko) * 2019-11-04 2021-05-12 한국전기연구원 함몰형 신축전극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796A (ko) 2018-10-18 2020-04-28 한국전기연구원 마이크로 스텐실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555A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65679A (ja) パターン形成体の製造方法
KR20200043796A (ko) 마이크로 스텐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6146A (ko)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스텐실 제조방법
KR100602912B1 (ko) 도체 패턴의 제조방법
JP3934723B2 (ja) メタルマスクの製造方法
KR20120055754A (ko) 클리세 및 그의 제조방법
JP5891861B2 (ja) 反転印刷方法および反転印刷装置
JP3017752B2 (ja) 印刷用メタルマ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41680B1 (ko) 배선전극을 가지는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KR102092993B1 (ko) 포토마스크, 상기 포토마스크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상기 포토마스크의 제조방법
JP2009137085A (ja) 高精細樹脂凸版印刷版
JP4892835B2 (ja) フォトマスク及びそれを用いた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4808954B2 (ja) 印刷用メタルマスク版の製造方法と印刷用メタルマスク版
JP6358488B2 (ja) オフセット印刷用クリシェの製造方法及びオフセット印刷用クリシェ
JP2006167937A (ja) パターン毎に版深が異なる刷版用凹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56359A (ko) 스텐실 보호 브리지가 구비된 미세 패턴 인쇄용 금속 스텐실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JP7125534B1 (ja) 印刷用メタルマスク
JP2008200959A (ja) マスク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KR20020042554A (ko) 금속막 스크린마스크의 제조방법
KR20220021676A (ko) 미세 패턴이 형성된 인쇄 공정용 스텐실 및 그의 제조방법
JP7125533B1 (ja) 印刷用メタルマスクの製造方法
JPH05229091A (ja) スクリーン印刷用のスクリーン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169628A (ja) ダミーパターンを有するサスペンドメタルマスクおよびダミーパターンを有するサスペンドメタルマスクの製造方法
KR102016616B1 (ko) 오프셋 인쇄용 클리쉐의 제조방법 및 오프셋 인쇄용 클리쉐
JP2001350269A (ja) 半田印刷用マスク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