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912A - 다중 카 승강구 시스템을 위한 그룹 외 작동 - Google Patents

다중 카 승강구 시스템을 위한 그룹 외 작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912A
KR20230054912A KR1020237013089A KR20237013089A KR20230054912A KR 20230054912 A KR20230054912 A KR 20230054912A KR 1020237013089 A KR1020237013089 A KR 1020237013089A KR 20237013089 A KR20237013089 A KR 20237013089A KR 20230054912 A KR20230054912 A KR 20230054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
elevator
mode
c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서 슈
데이비드 긴즈버그
호세 미구엘 파시니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230054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66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multiple cars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07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an electrical linear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4Call input for a preferential elevator car or indicating a special requ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23Taking into account the separation of passengers or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05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by input of special passenger or passenger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76Call registering systems for checking authorization of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레인을 가지는 승강구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에 힘을 부여하기 위한 추진 시스템, 및 컨트롤러기를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가 서비스 요구를 수행하는 그룹 내 모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가 그룹 서비스 모드 서비스 요구를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는 그룹 외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가 준비되고 그룹 내 모드의 작동으로부터 그룹 모드의 작동으로 전환되는 전환 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카 승강구 시스템을 위한 그룹 외 작동{OUT-OF-GROUP OPERATIONS FOR MULTICAR HOISTWAY SYSTEMS}
본 명세서에 개시된 요지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의 그룹 외 엘리베이터 카 작동에 관한 것이다.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ropeless elevator system)으로도 지칭되는 자주식 엘리베이터 시스템(self-propelled elevator system)은, 로프 시스템을 위한 대규모의 로프가 금지되고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가 단일 레인에서 주행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특정 적용(예를 들어, 고층 빌딩)에서 유용하다. 제1 레인이 상향 주행하는 엘리베이터 카들을 위해 지정되고 제2 레인이 하향 주행하는 엘리베이터 카들을 위해 지정되는 기존의 자주식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존재한다. 승강구의 각각의 단부에 있는 환승 스테이션(transfer station)은 제1 레인과 제2 레인 사이에서 수평으로 엘리베이터 카들을 움직이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레인을 가지는 승강구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에 힘을 부여하는 추진 시스템(propulsion system),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가 서비스 요구(service demand)를 수행하는 그룹 내 모드(in-group mode),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가 그룹 서비스 모드 서비스 요구(group service mode service demand)를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는 그룹 외 모드(out-of-group mod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가 준비되고 상기 그룹 내 모드의 작동으로부터 상기 그룹 외 모드의 작동으로 전환되는 전환 모드(transition mode)에서 작동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상기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적인 추가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진 시스템은 선형 추진 시스템이며, 상기 선형 추진 시스템은 승강구에 장착되고 복수의 모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주요 부분, 및 복수의 2차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2차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2차 부분은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되며; 상기 그룹 내 모드에서, 상기 서비스 요구는 승객 호출(passenger call)이고; 상기 전환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그룹 외 개시 요청(out-of-group initiation request)을 수신하고, 개시 요청 승인(initiation request acknowledgement) 및/또는 개시 요청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그룹 내 모드 작동으로부터 상기 그룹 외 모드 작동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이 완료되었다는 카 준비 통지(car readiness notification)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되며; 그룹 외 개시 요청의 수신은 증명된 사용자의 증명을 더 포함하고; 그룹 외 개시 요청의 수신은 관련된 그룹 외 선택 파라미터들 및 옵션들의 제공을 더 포함하며; 그룹 외 개시 요청의 수신은 상기 전환의 전제 조건의 충족을 더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그룹 외 모드에서, 컨트롤러는 그룹 외 제어를 제공하고, 그룹 내 복귀 개시 요청(in-group return initiation request)을 수신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레인을 가지는 승강구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에 힘을 부여하는 추진 시스템을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가 서비스 요구를 수행할 수 있는 그룹 내 모드에서 작동하는 단계,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가 그룹 서비스 모드 서비스 요구를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는 그룹 외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내 모드로부터 상기 그룹 외 모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를 준비하고 전환하도록 전환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추가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서비스 요구를 수행하는 단계는 승객 호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환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그룹 외 개시 요청을 수신하고 개시 요청 승인 및/또는 개시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전환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그룹 내 모드 작동으로부터 그룹 외 모드 작동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이 완료되었다는 카 준비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그룹 외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증명된 사용자를 증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룹 외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관련된 그룹 외 선택 파라미터들 및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룹 외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의 전제 조건을 충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그룹 외 모드에서 작동하는 단계는 그룹 외 제어를 제공하고 그룹 내 복귀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 간주되는 요지는 특히 명세서의 말미에 있는 청구범위에서 특히 지적되고 명확히 청구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구동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다중 카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중 카의 자주식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복수의 레인(13, 15, 17)을 가지는 승강구(11)를 포함한다. 3개의 레인이 도 1에 도시되었지만, 실시예들이 다중 카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자주식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임의의 수의 레인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각각의 레인(13, 15, 17)에서, 카(14)들은 한쪽 방향으로, 즉 위 또는 아래로 주행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레인(13 및 15)들에 있는 카(14)들은 위로 주행하고, 레인(17)에 있는 카(14)는 아래로 주행한다. 하나 이상의 카(14)는 단일 레인(13, 15 및 17)에서 주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들은 레인에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
최상층의 위에는 레인(13, 15, 17)들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카(14)들을 움직이도록 엘리베이터 카(14)들에 수평 운동을 부여하는 상부 환승 스테이션(30)이 있다. 상부 환승 스테이션(30)은 최상층 위보다는 오히려 최상층에 위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1층 아래에는 레인(13, 15, 17)들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카(14)들을 움직이도록 엘리베이터 카(14)들에 수평 운동을 부여하는 하부 환승 스테이션(32)이 있다. 하부 환승 스테이션(32)이 1층 아래보다는 오히려 1층에 위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하나 이상의 중간 환승 스테이션이 1층과 최상층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중간 환승 스테이션들은 상부 환승 스테이션(30) 및 하부 환승 스테이션(32)과 유사하다.
카(14)들은 주요 고정부(16) 및 2차 가동 부분(18)을 가지는 선형 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추진된다. 주요 부분(16)은 레인(13, 15 및 17)들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된 권선 또는 코일을 포함한다. 2차 부분(18)은 카(14)들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된 영구 자석들을 포함한다. 주요 부분(16)은 그 각각의 레인에서 카(14)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동 신호가 공급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구동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어, 안전 장치, 브레이크 등)들이 예시의 편의성을 위해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DC 전원(40)은 하나 이상의 DC 버스(44)를 통해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42)에 결합된다. DC 전원(40)은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배터리들, 커패시터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전원(예를 들어, 정류기들)으로부터 전력을 조정하는 능동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드라이브(42)들은 DC 버스(44)들로부터 DC 전력을 수신하고, 선형 모터 시스템의 주요 부분(16)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각각의 드라이브(42)는 DC 버스(44)로부터의 DC 전력을 주요 부분(16)의 각각의 섹션에 제공된 다상(예를 들어, 3상) 구동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일 수 있다. 주요 부분(16)은 복수의 모터 섹션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모터 섹션은 각각의 드라이브(42)와 관련된다.
컨트롤러(46)는 구동 신호의 생성을 제어하도록 구동 신호(42)들의 각각에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컨트롤러(46)는 드라이브(42)에 의한 구동 신호의 생성을 제어하도록 펄스 폭 변조(PWM) 제어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컨트롤러(46)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세서 기반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46)는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또는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의부분일 수 있다.
도 3은 승강구(11)에서 주행하는 엘리베이터 카(14)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카(14)는 승강구(11)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24)에 의해 안내되며, 여기에서, 가이드 레일(24)은 구조 부재(19)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의 용이성을 위해, 도 3은 오직 단일 가이드 레일(24)만을 도시하였으며; 그러나, 2개 이상의 가이드 레일(24)이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14)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선형 추진 시스템(20)과 같은 추진 시스템을 사용하며, 여기에서, 주요 부분(16)은 각각 하나 이상의 코일(26)(즉, 위상 권선)을 구비하는 다수의 모터 세그먼트(22)를 포함한다. 주요 부분(16)은 가이드 레일(24)에 장착되거나, 가이드 레일(24)에 통합되거나, 또는 가이드 레일(24)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주요 부분(16)은 엘리베이터 카(14)에 힘을 부여하도록 영구 자석 동기식 선형 모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linear motor)의 고정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2차 부분(18)은 엘리베이터 카(14)에 장착되고, 선형 추진 시스템(20)의 제2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영구 자석(28)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모터 세그먼트(22)들의 코일(26)들은 전기 모터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3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주요 부분(16)은 엘리베이터 카(14)에 장착된 영구 자석(28)들과 상호 작용하도록 승강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영구 자석(28)들은, 비록 영구 자석(28)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14)의 단일 측부만이 도 3의 예에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엘리베이터 카(14)의 2개의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단일 주요 부분(16) - 2차 부분(18) 구성, 또는 다수의 주요 부분(16) - 2차 부분(18)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모터 세그먼트(22A), 모터 세그먼트(22B), 모터 세그먼트(22C), 및 모터 세그먼트(22D)로서 도시된 4개의 모터 세그먼트(22)가 있다. 각각의 모터 세그먼트(22A-22D)는 대응하는 드라이브(42A-42D)를 가진다. 컨트롤러(46)는 엘리베이터 카(14)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드라이브(42A-42D)들을 통해 모터 세그먼트(22A-22D)들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컨트롤러(46)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작동을 수행하도록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컨트롤러(46)는 하드웨어(예를 들어, ASIC, FPGA)로 또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46)는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부분일 수 있다. 컨트롤러(46)는 주요 부분(16)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 회로(예를 들어, 인버터 또는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의 컨트롤러(46)가 도시되었을지라도, 당업자는 복수의 컨트롤러(46)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 컨트롤러(46)는 비교적 짧은 거리에 걸쳐서 모터 세그먼트(22)들의 그룹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카(14)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transceiver)(38), 및 프로세서 또는 CPU(34)를 가지는 온보드 컨트롤러(on-board controller)(56)를 포함한다. 온보드 컨트롤러(56) 및 컨트롤러(46)는 전산 처리가 온보드 컨트롤러(56)와 컨트롤러(46) 사이에서 시프팅될 수 있는 제어 시스템(50)을 총체적으로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4)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모니터하고 송수신기(38)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46)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확실한 통신을 보장하도록, 엘리베이터 카(14)는 적어도 2개의 송수신기(38)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38)들은 방해를 최소화하고 엘리베이터 카(14)와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46) 사이에서 전이중 통신(full duplex communication)을 제공하도록 상이한 주파수 또는 통신 채널들에서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온보드 컨트롤러(56)는 브레이크(36) 상에서의 엘리베이터 하중을 검출하도록 하중 센서(52)와 접속한다. 브레이크(36)는 구조 부재(19), 가이드 레일(24), 또는 승강구(11)에 있는 다른 구조와 결합할 수 있다. 도 3의 예가 오직 단일의 하중 센서(52) 및 브레이크(36)만을 도시하였을지라도, 엘리베이터 카(14)는 다수의 하중 센서(52) 및 브레이크(3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 센서(52)에 의해 관찰된 엘리베이터 하중은 온보드 컨트롤러(56)에 의해 국부적으로 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 처리를 위해 송수신기(38)를 통해 컨트롤러(46)에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온보드 컨트롤러(56)는 수집됨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하중 센서(52)로부터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온보드 컨트롤러(56)는 타임 스탬핑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컨트롤러(46)로 전송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하중 데이터를 타이밍 정보와 엘리베이터 하중 데이터를 상관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 작동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그룹 내" 모드 또는 "그룹 외" 모드로 각 엘리베이터 카(14)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카(14)는 승객 호출에 대한 응답과 같은 통상적인 통근 수요(traffic demand)를 카가 제공할 수 있을 때 그룹 내에 있다. 엘리베이터 카(14)는 카가 전원 오프되거나 또는 통상적인 통근을 제공하도록 이용 가능하지 않도록 만들 수 있는 일부 특별한 기능을 위해 예약되었을 때 그룹 외에 있다. 전형적으로, 엘리베이터 카(14)들은 증명된 사용자가 그룹 서비스로부터 벗어나 카를 탈 때까지 디폴트에 의해 그룹 내에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또한 필요한 그룹 외 카 작동의 특수한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그룹 내 모드로부터 그룹 외 모드로의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들(14)를 전환시키는 전환 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것은 지정된 그룹 외 작동을 위한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14)의 준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환 모드 작동은 다수의 동시 작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들 사이의 잠재적인 충돌로 인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다중 카 승강구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하다.
정상적인 사용 동안,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그룹 내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카들(14)들을 작동시킨다. 하나 이상의 카(14)를 그룹 외로 전환할 때, 전환 모드는 대체로 (A) 그룹 외 요청의 개시(또는 수신), (B) 요청 승인 및/또는 정보의 수신(또는 제공), (C) 전환이 완료되었다는 카 준비 통지의 제공을 포함한다. 그룹 외 모드 작동은 이어서, (D) 그룹 외 제어의 제공, (E) 그룹 내 복귀 요청(또는 그룹 외 모드를 떠나라는 요청)을의 개시(또는 수신)를 포함한다.
(A) 그룹 외 요청 개시
그룹 외 요청의 개시는, (A1) 제어 단말기(control terminal)으로의 접근, (A2) 증명된 사용자의 증명, (A3) 관련된 그룹 외 선택 파라미터들 및 옵션들의 제공, 및 (A4) 전환 전제 조건의 충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1) 제어 단말기 접근
제어 단말기로의 접근은 컨트롤러(46)와 신호 통신하는 제어 단말기(58)(도 3)로의 접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단말기(58)는 하나 이상의 키오스크(kiosk), 키 스위치들, 키패드들, 컴퓨터 단말기들, 터치 스크린들, 오디오 인식 디바이스들 등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기(58)는 빌딩 복도, 엘리베이터 카들, 및/또는 보안 영역들에 있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 단말기(58)는 모바일 또는 손 파지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건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될 수 있다. 제어 단말기(58)는 빌딩 관리 시스템, 무선, 인터넷,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컨트롤러 네트워크(다른 빌딩 네트워크들과 관련되지 않을 수도 있음) 등을 통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A2) 증명된 사용자의 증명
증명된 사용자의 증명은 그룹 외 요청을 개시하도록 사용자가 로그인 코드를 입력하거나, 키 스위치를 결합하거나, 또는 키 카드를 인식기에 대도록 요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10)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기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증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스템(10)은 사용자 증명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A3) 관련 그룹 외 선택 파라미터들 및 옵션들 제공
관련된 그룹 외 선택 파라미터들 및 옵션들의 제공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14)에 필요한 그룹 외 특징의 형태를 정의할 수 있도록 하는 파라미터의 유형의 제공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일반적으로 네가지 유형의 파라미터: (A3-1) 엘리베이터 카의 사양, (A3-2) 특징이 개시/요청되는 위치, (A3-3) 위치 범위; 및 (A3-4) 특징의 부분으로서 수행된 기능의 형태를 포함한다.
제1 유형의 파라미터/옵션, 엘리베이터 카의 사양(A3-1)은, (a) 특정 카의 지정(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카의 문제를 해결하기를 원한다), (b) 특정 유형의 카의 지정(예를 들어, 서비스 카들 또는 고용량 카들과 같은 특정 특성을 가지는 상이한 유형의 카들이 존재할 수 있다), (c) 특정 레인에서 임의의 카의 지정, 및/또는 (d) 임의의 레인에서 임의의 카의 지정과 같은 카 지정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 유형의 파라미터/옵션, 특징이 개시/요청되는 위치(A3-2)는, (a) 특정 층에서 개방하는 특정 도어에서, (b) 특정 층에서(특정 레인은 중요하지 않음), (c) 특정 유지 보수 구역(예를 들어, 유지 보수 차고 또는 지하실)에서, (d) 특정 주차 구역(예를 들어, 카를 보관하는 장소)에서, 및/또는 (e) 레인 또는 환승 영역에서의 특정 위치에서(예를 들어, 도어 개방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20.3 m의 층계(rise)에서)와 같은 위치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의 사양은, 사용자가 카의 내부에 정상적으로 들어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의 일부 다른 부분이 접근 가능하도록 카가 도달할 수 있는 곳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비사가 카의 지붕 위로 걸어갈 수 있는 곳으로 카가 도달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정비사는 카의 상부에서 장비를 검사하기를 원할 수 있다.
제3 유형의 파라미터/옵션, 위치 범위(A3-3)는 (a) 레인의 서브세트인 층의 범위(예를 들어, 7 내지 12 층)의 지정, (b) 층 위치들과 반드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는 수직 위치의 범위(예를 들어, 20.5m 내지 31.7m)의 지정, (c) 측면 환승 영역(30)에서 수평 위치의 범위의 지정, 및/또는 (d) 카가 그룹 내 작동으로 복귀되기 전에(예를 들어, 자동으로) 그룹 외 모드로 작동하도록 시간의 범위 또는 기간(예를 들어, 시간 제한)의 지정과 같은 위치 범위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지정된 범위를 벗어난 레인 부분은 여전히 그룹 내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4 유형의 파라미터/옵션, 특징 준비의 부분으로서 수행되는 기능의 형태(A3-4)는 각각의 카에 대한 특정 작동 옵션과, 지정된 작동을 위한 준비와 관련된 추가의 서브-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카 리콜-유지 보수(car recall-maintenance)" 옵션 및 "카 리콜-화재(car recall-fire)" 옵션과 같은 카를 위한 작동 옵션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카를 위한 사전 한정된 그룹 외 작동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파라미터/옵션(A3-1, A3-2 및/또는 A3-3)을 자동으로 선택 또는 한정할 수 있다. 다른 사전 한정된 작동들은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카에 대한 작동이 선택되면, 사용자는 선택된 옵션의 준비를 위해 다양한 서브 옵션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선제 제어(pre-emptive control)" 옵션과 "비선제 제어(non-pre-emptive control)" 옵션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제 제어에 의해, 카는 기존의 모든 요구를 무시하고, 가능한 빨리 사용될 수 있도록 승객이 카에서 즉시 나올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비선제 제어에 의해, 카는 그룹 외 작동으로 전환하기 전에 기존의 모든 요구를 제공한다(그러나 새로운 요구를 취하지 않을 것이다).
(A4) 전환 전제 조건 충족
전환 전제 조건의 충족은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14)가 선택된 그룹 외 작동으로 적절하고 안전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사전 한정된 조건들이 충족되는지의 확인을 포함한다. 요구된 전제 조건들은 그룹 외 작동의 선택된 형태 및/또는 특정 카 형태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 컨트롤러는 먼저 이미 할당된 카가 선택된 범위를 가로지르는 것을 허용하며, (b) 컨트롤러는 그룹 외 서비스를 위해 지정된 카에 할당된 임의의 기존의 요구가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고(예를 들어, 비선제 작동), (c) 컨트롤러는 그룹 외 작동을 제공하지 않는 카들이 선택된 범위 밖으로 움직이는 것을 보장하며, (d) 컨트롤러는 선택된 범위를 가로지르도록 요구될 카에 수송을 할당하지 않으며, (e) 컨트롤러는 지정된 카가 개시 위치로 움직이도록 명령하며(컨트롤러가 카가 다른 레인으로부터 오도록 계획하고 명령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 및/또는 (f) 그룹 외 카가 선택된 범위의 배타적 제어를 취하기 전에 컨트롤러는 준비 시에 그룹 내 카들을 위치시킨다(예를 들어, 선택된 범위 위의 레인의 부분이 그룹 내 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지만,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과 격리되어서, 컨트롤러는 레인이 차단되기 전에 레인의 이러한 부분에 사전 한정된 수의 그룹 내 카들을 배치할 수 있다). 오직 한정된 전제 조건들이 충족된 후에만, 선택된 카(14)는 그룹 외 작동으로 진행할 수 있다.
(B) 요청 승인 및/또는 정보 수신
요청 승인 및/또는 정보의 수신은, (a) 그룹 외 요청의 승인의 수신, (b) 요청의 거부/인가의 수신, 및/또는 (c) 그룹 외 요청과 관련된 정보의 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승인의 수신은 요청이 인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청각적 또는 시각적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버튼을 조명하며), (b) 예를 들어, 일부 층들에 대해 그룹 내 서비스를 항상 허용하는 것과 같이 보다 높은 수준의 제약을 요청의 허락이 위반하면 요청이 거부될 수 있으며, (c) 정보의 제공은 선택된 카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카의 전원이 꺼지고, 카가 특수한 작동을 위해 준비될 때까지의 예상 시간).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또 다른 예는 한 세트의 단계들이 전환 모드 동안 수행되어야만 할 때 발생할 수 있고, 시스템(10)은 어느 단계가 수행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승인 및 상태 정보는 엘리베이터/빌딩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든 및 시스템(10)에 근거리 또는 원격지이든 디스플레이 또는 오디오 디바이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C) 카 준비 통지
전환이 완료되었다는 카 준비 통지는 하나 이상의 카(14)가 선택된 그룹 외 서비스를 위해 준비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신호 또는 경고한다. 이러한 것은 (a)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통지(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스크린 상의 문자, 벨,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진동), 및 (b) 추가 사용자 증명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사용자 증명은, 그룹 외 모드를 위한 초기 요청이 승인되었을지라도, 그룹 외 모드를 위한 엘리베이터 카를 준비하도록 일정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요구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증명된 사용자는 개시 위치를 떠날 수 있으며, 증명되지 않은 사용자가 카의 제어를 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D) 그룹 외 제어 제공
그룹 외 제어를 제공하는 것은 그룹 외 작동 동안 하나 이상의 특정의 일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0)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지정된 그룹 외 작동에 특정한 제어 옵션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카 내부로부터 카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카 운전자 패널, 무선 입력 디바이스, 또는 카 내부의 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은 목표 층 명령 또는 목표 승강구 위치 명령(예를 들어, 독립적인 서비스 모드), 또는 필요한 현재 속도(예를 들어, 검사 모드를 위한)일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디바이스는 카에서의 설치에 의해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한 것과 같이 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카 외부로부터 카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량 리콜 작동에서, 제1 응답자는 먼저 카가 비어있는지 점검하고, 카에서 나오고, 그런 다음 도어를 폐쇄하고 다음의 카를 검사하는 입력을 제공하기를 원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룹 외 카 리콜 작동에서, 사용자는 "카 1 리콜", "카 2 리콜" 및 "모든 카 리콜"과 같은 특정 제어 옵션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은 그런 다음 예를 들어 검사를 위해 지정된 카(들)를 1 층으로 가져올 수 있다.
아울러, 그룹 외 작동 동안, 컨트롤러(58, 46)는 (a) 그룹 외 작동의 선택된 범위를 방해하지 않고 새로운 요구의 할당, 및/또는 (b) 다른 작동(그룹 내 및 그룹 외 모두)을 위해 레인을 이용할 때 요구된 카 분리 또는 기타 제약의 처리를 을 수행할 수 있다.
(E) 그룹 내 복귀 요청 개시
그룹 내 복귀 요청의 개시는 그룹 외 작동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카(14)들을 그룹 내 서비스로 복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어 단말기(58)에 접근하여, 카들을 그룹 내 서비스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추가 사용자 증명 단계를 요구하고, 승객이 카에서 나오는 것을 촉구하며, 및/또는 그룹 외 서비스 모드가 완료되고 카가 정상적인 그룹 내 서비스 또는 다른 작동 모드로 복귀할 것이라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의 예시적인 방법
도 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을 작동시키는 예시적인 방법(100)은 그룹 내 모드에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레인에 있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14)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단계 102에서 시작할 수 있다. 단계 104에서, 그룹 외 요청이 개시되며, 이러한 것은 제어 단말기에 접근하는 단계(단계 106), 증명된 사용자의 증명 단계(단계 108), 관련된 그룹 외 선택 파라미터들 및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110), 및 전환 전제 조건을 충족시키는 단계(단계 12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된 그룹 외 선택 파라미터들 및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110)는 엘리베이터 카의 사양에 관련된 파라미터/옵션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112), 그룹 외 특징이 개시/요청되는 위치에 관련된 파라미터/옵션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114), 위치 범위와 관련된 파라미터/옵션을 제공하고(단계 116), 및 그룹 외 특징의 일부로서 수행된 카 기능들의 형태에 관련된 파라미터/옵션을 제공하는 단계(단계 118)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20에서, 그룹 내 모드로부터 선택된 그룹 외 모드로의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과 관련된 전제 조건이 충족되는지가 결정된다. 단계 122에서, 그룹 외 요청 승인 및 정보가 수신된다. 단계 124에서, 카 준비 통지는 그룹 외 모드로의 카 전환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내도록 및/또는 선택된 카(들)가 선택된 그룹 외 서비스를 위해 준비되었는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제공된다.
단계 126에서, 그룹 외 작동 동안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에게 제어가 제공된다. 단계 128에서, 그룹 외 작동 동안 발생하는 임의의 새로운 요구는 선택된 그룹 외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당될 수 있다. 단계 130에서, 그룹 외 작동의 임의의 제약은 내내 유지된다. 단계 132에서, 사용자는 그룹 외 엘리베이터 카를 그룹 내 작동으로 복귀시키도록 요청을 개시한다. 제어는 그런 다음 단계 102로 복귀할 수 있다.
예시적인 그룹 외 작동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a) 비선제 범위 작동, (b) 선제 범위 작동, (c) 검사 작동, 및 (d) 유지 보수 호출 작동, (e) 선제 리콜 작동, (f) 비선제 리콜 작동, (g) 대량 리콜 작동, (h) 카 셧다운 작동(car shutdown operation), (i) 범위 셧다운 작동, (j) 클리어링 트립 작동(clearing trip operation), (k) 레인 사이클링 시운전 작동(lane cycling test run operation), (l) 환승 영역 작동, (m) 승객 호출이 없는 요구-제공 작동(demand-serving operation), 및 (n) 구조 작동과 같은 많은 다양한 특정의 그룹 외 특징 또는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a) 비선제 범위 작동
비선제 범위 작동은, 예를 들어 누군가가 2개의 층들 사이에서 레인의 사용을 요구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지정된 층들 사이의 공간을 "예약한다". 특정 카는 운영자에 의해 명령을 받을 수 있다(전형적으로 반드시 카 내부에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지정 층들이 특정될 수 있는 카 작동 패널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운영자는 선택된 범위를 한정한다.
그룹 내에 있는 카들을 담당하는 컨트롤러는 그룹 외 카가 선택한 범위에서 위치되는지에 관계없이 다른 카가 그룹 외 카를 방해할 수 없는 것을 보장한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는 선택된 레인 내의 임의의 요청 또는 선택된 범위를 가로지르는 것을 요구할 임의의 요구를 서비스하도록 그 레인에서 임의의 다른 카를 할당하지 않는다. 컨트롤러는 그룹 외 카와 다른 카들 사이의 요구되는 분리 거리에 의존하여 다른 카가 선택된 범위 가까이에서 요구를 제공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외 카는 다른 카를 방해하지 않고 선택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작동할 수 있는 반면, 컨트롤러는 선택된 범위의 래인의 부분 및/또는 아래에서 하나 이상의 그룹 내 카를 자유롭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을 사용할 때, 컨트롤러는 레인의 서브세트인 범위를 명시하고, 수평 환승 영역의 임의의 부분을 명시하고, 개시 위치를 명시하고, 그룹 외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기존의 요구 약속(demand commitment)을 제공하고, 선택된 범위를 방해함이 없이 추후 요구를 할당하고, 지정된 카에 의해 범위가 무기한으로 예약되는 것을 허용하기 전에 추후 요구를 위하여 카를 예비 위치시키고, 다른 작동(그룹 내든 그룹 외든)을 위하여 레인의 부분(또는 환승 영역)에서 이용 시에 요구된 분리 및 다른 이러한 제약을 처리하고, 그 후에 카가 자동으로 그룹 작동으로 복귀되는 시간의 기간(또는 시간 제한)을 명시할 수 있다.
(b) 선제 범위 작동
선제 범위 작동은 가능한 한 빨리 그룹 외 작동을 시작하려고 시도한다. 예를 들어, 병원에서, 카는 특정 시나리오를 위해 즉시 이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선제 범위 작동은 비선제 범위 작동과 유사하지만, 승객들이 그 목적지로의 도중에 일부 다른 층에서 카를 빠져나오도록 요청받을 수 있도록 기존의 승객 통근이 미리 비워질 수 있으며, 특정의 카를 기다리는 다른 승객들이 그들의 요청이 취소된다는 것에서 다르다. 가능하면, 그들의 서비스가 선제된 승객들에게 통지된다.
이러한 작동에서, 컨트롤러는 지정된 카들 및 그룹 외 작동을 위해 지정된 카 이외의 영향을 받는 다른 카(예를 들어, 승객들이 일부 목적지에서 내리도록 강제할 수 있는)에서 서비스를 추가로 선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그들의 서비스가 중단되었다는 것을 승객에게 알리기 위해 추가 인터페이스(그 위에 층들이 제공될 카 호출 버튼 표시기를 디스플레이, 음성 안내, 끄기)들로 보완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사용자에게 기존의 카 할당을 추가로 선제할 수 있다. 대기중인 사용자들이 그들에게 할당될 카에 관하여 이미 통지받았을 때의 경우에, 이러한 것은 그들의 서비스가 중단되었다는 것을 승객들에게 알리기 위해 추가 인터페이스(복도 통화 버튼 디스플레이, 음성 안내, 끄기 등)들로 보완될 수 있다.
(c) 검사 작동
검사 작동은 정비사가 레인(즉, 카 내부가 아닌)에서 서비스 작동을 검사하고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것은 카의 상부(또는 카의 다른 곳)에서의 유지 보수를 수반하거나, 또는 레인에서의 유지 보수(예를 들어, 레일 정렬, 배선 등에서 보이는 플랫폼으로서 카를 사용하여)를 수반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을 위한 관련 그룹 외 선택 파라미터들 및 옵션들은 [엘리베이터 카의 지정(A3-1)을 위하여] (a) 그 카에서 유지 보수를 수행하기 위한 특정 카의 지정, (b) 레인에서 유지 보수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카(예를 들어, 플랫폼 및 난간을 구비한 것)를 명시, (c) 임의의 카가 레인에서 특정 형태의 유지 보수에 적합한지 결정; [특징이 개시/요청되는 위치에 대하여(A3-2)] (a) 개시 위치는 정비사(또는 서비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로봇)가 위치되는 곳일 수 있음), (b) 랜딩 지점(즉, 건물 플로어와 같은), 그러나 카의 플로어가 랜딩 지점과 정렬되지 않음(예를 들어, 카의 상부에 접근하기 위해); 및 [위치 범위에 대하여(A3-3)] (a) 단일 층(유지 보수가 카에서 수행되고 카가 움직일 필요가 없음), 또는 (b) 레인 위치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컨트롤러는 다른 카가 선택된 범위에 침범하지 않는 것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정비사가 카에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컨트롤러는 다른 카가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아야 하는 선택된 레인 위 또는 아래에서 공간 버퍼(spatial buffer)를 유지한다. 컨트롤러는 전력(예를 들어, 레인에 있는 선형 전기 모터를 위한)이 "버퍼 영역" 내에 분배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검사 작동은 선제 및 비선제로 작동될 수 있다.
레인에 진입하기 위한 특별한 특징은 카가 초기 위치에서 적절히 위치되었을 때에만 카가 개시 위치에서 준비하고 도어를 개방하는(또는 도어들이 개방되는 것을 허용하는)것을 정비사(또는 서비스 디바이스)에 알리고 표준 안전 장치를 무효로 하는(예를 들어, 점퍼 케이블들을 적용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것과 같이 검사 작동 동안 이용 가능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 후, 정비사 또는 서비스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감속된 속도로 선택된 범위 내에서 카의 위치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검사 작동의 고유 요소들은 (a) 특정 유형의 카들의 명시(예를 들어, 안전 장비 또는 검사 및 유지 보수를 위해 설계된 전원 콘센트와 같은 다른 장비를 구비한 특수 서비스 플랫폼), (b) 서비스 플랫폼 레벨(카의 지붕일 수 있음)이 랜딩 지점과 정렬되도록 컨트롤러가 카를 움직이는 개시 위치 명시, (c) 선택된 카가 선택된 범위 내에서만 작동하는 것을 보장, 및 (d) 레인 내부에서 작동하는 동안 정비사의 안전을 고려하도록 추가 제약의 추가(예를 들어, 여분의 버퍼 공간, 주변 카의 느린 작동)를 포함한다.
(d) 유지 보수 호출 작동
유지 보수 호출 작동은 특정 카를 지정된 유지 보수 영역으로 호출한다. 특정 카 및 위치는 지정되지만, 범위의 지정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e) 선제 리콜 작동
선제 리콜 작동은 카들의 내용물을 검사하기 위해 특정 층으로 하나 이상의 카를 가져오는 것을 포함한다. 리콜 사용자는 예를 들어 경보가 기동된 것을 감지한 경비원, 또는 아무도 카에 갇히지 않았다는 것을 보장하도록 각각의 카를 점검하는 소방관일 수 있다.
이러한 선제 작동에서, 카는 가능한 직접 리콜 사용자에게 보내진다. 이와 같이, 카 내부의 승객은 그들의 이전 호출 요청에 관계없이 이러한 위치로 보내질 것이다. 전제 조건은 이미 할당된 카들이 선택된 범위를 가로지르고 리콜되지 않는 카들이 선택된 범위 밖으로 움직이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허용하고, 카가 개시 위치로 움직이도록 명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리콜된 카의 도어들을 개방함이 없이 카가 리콜 위치로 가는 경로를 치운다. 추가적으로, 도어들은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개방 명령까지).
(f) 비선제 리콜 작동
비선제 리콜 작동은 추가적인 전제 조건이 카에 할당된 임의의 기존 요구가 제공되고 및/또는 선택된 범위를 가로지르도록 요구될 카에 통근을 할당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외에 선제 리콜 작동과 유사하다.
(g) 대량 리콜 작동
대량 리콜 작동은 화재와 같은 빌딩 비상 사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제1 응답자는 아무도 엘리베이터에 갇히거나 옴짝달싹 못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여야만 한다. 표준 절차는 제1 응답자가 각각의 모든 카를 점검하고, 아무도 안에 없다는 것을 육안으로 검사한 후에, 카는 제1 응답자에 의해서만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다중 카 시스템에서, 제1 응답자는 특정 위치 또는 카들이 점검되는 위치로 카를 리콜한다. 카들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모든 카를 점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작동에서, 컨트롤러는 각각의 카를 리콜 위치로 보낸다. 한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는 카들이 아직 점검되지 않았다는 추적을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다. 카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응답자가 그 카가 멀리 떠나기 전에 확신하여서, 점검될 필요가 있는 다른 카가 리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1 응답자와 컨트롤러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환승 영역에 있는 이러한 카들을 포함하는 카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카들의 순서를 계획하는 것에 의해 동일 레인에 다수의 카를 수용한다.
(h) 카 셧다운 작동
카 셧다운 작동은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14)들이 셧다운되는(전력이 차단되는) 것을 허용한다. 특정 카 및 레인 또는 환승 영역에서의 위치가 명시된다. 작동은 선제 또는 비선제일 수 있다. 전제 조건은 컨트롤러가 카 셧다운을 수행하기 전에 카가 비어있음을 보장하는(예를 들어, 중량 센서, 카메라 확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 범위 셧다운 작동
범위 셧다운 작동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브세트가 셧다운되고(예를 들어,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전력이 차단되도록),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브세트가 비워지는 것(예를 들어, 유지 보수 작동을 수용하도록)을 보장하며, 및/또는 카가 움직이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예를 들어, 승객이 구조되는 동안 카를 홀딩하도록). 선택된 범위는 전체 레인 또는 환승 영역이거나 또는 레인 또는 환승 영역의 일부일 수 있다.
선택되는 파라미터들/옵션들은 위치 범위와 셧다운 작동의 어떤 형태가 요청되었는지를 포함한다. 작동은 선제 또는 비선제일 수 있다. 컨트롤러는 그런 다음 셧다운되는(예를 들어, 그 범위에 전력을 공급하는 드라이브 또는 모터 세그먼트) 또는 카를 홀딩하는(예를 들어, 브레이크를 록킹하는) 범위에 대해 신호할 수 있다.
(j) 클리어링 트립 작동
클리어링 트립 작동은 초기 시운전 또는 지진 발생 후와 같은 특정 이벤트에 대한 시스템의 구조적 무결성의 검사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은 저속으로 주행하는 엘리베이터 카(12) 상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다중 카 시나리오에서, 카의 서브세트만이 클리어링 작동을 위해 장비될 수 있으며, 다른 카들은 경로 밖으로 움직이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선택된 파라미터들/옵션들은 클리어링 장비 능력을 구비한 카의 유형의 명시 및 필요한 범위의 명시를 포함한다. 전환 모드에서,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는 선택한 범위로 보내지고, 다른 카는 범위 밖으로 움직인다. 컨트롤러는 범위 내내 사전 결정된 속도로 카를 움직인다. 그러나, 클리어링 작동이 수동이면, 인터페이스가 컨트롤러와 사용자 사이에 제공된다.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운동을 중단하고 추가 검사를 위해 역행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클리어링 트립 작동을 위해 장비된 하나 이상의 카가 존재할 때, 컨트롤러는 작동을 위해 다수의 카를 조화시키고, 시스템의 어떤 부분이 클리어링되었는지 추적하며, 작동이 전체 목표 구역을 총체적으로 커버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k) 레인 사이클링 시운전 작동
레인 사이클링 시운전 작동은 엘리베이터 카(14)가 레인의 길이 또는 레인의 일부를 양방향(즉, 위 및 아래)으로 주행하는 레인 사이클링 시운전을 수행한다. 선택된 파라미터들/옵션들은 특정 레인에 있는 카의 명시, 선택된 레인에서 범위의 명시를 포함한다. 다른 카들은 사이클 테스트의 선택된 범위로부터 치워지고, 사이클 시운전을 위해 지정된 카는 선택된 범위의 한쪽 단부에 위치된다. 그런 다음, 컨트롤러는 레인 사이클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카에 명령한다.
추가적으로, 다수의 카는 시간을 절약하도록 이러한 작동을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들은 하나 보다 많은 레인을 커버하는 순환 패턴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환 패턴에 있는 모든 카가 사이클링 테스트의 부분이기 때문에, 선택된 범위 밖으로 카를 치울 필요가 없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카는 레인의 섹션들을 주행하며, 컨트롤러는 완전히 점검될 때까지 테스트된 레인의 부분의 추적을 유지한다.
(l) 환승 영역 작동
환승 영역 작동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만, 마찬가지로 수평 환승 영역들을 위해 이용되는 다른 작동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것은 하나 이상의 이동 디바이스가 카와 함께 또는 카없이 환승 영역의 전체 주행을 행하는 사이클링 테스트 작동, 및 이동 디바이스가 환승 영역 및/또는 레인을 검사하기 위해 원격으로 작동되는 클리어링 트립 작동을 포함한다. 검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는 환승 디바이스 상에 또는 환승 디바이스에 의해 운반되는 적절하게 장비된 카에 장착될 수 있다.
(m) 여객 호출이 없는 요구 제공 작동
승객 호출이 없는 요구 제공 작동은 엘리베이터 카(14)들이 승객을 움직이도록 의도되지만 승객 호출이 없는(즉, 승객이 어떠한 버튼도 누르지 않는) 작동을 포함한다. 이러한 작동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버튼들과 컨트롤러 사이의 접속이 오작동할 때 또는 승객들이 임의의 버튼을 누르는 것이 제한될 때 이용될 수 있다.
다중 레인 작동은 적어도 하나의 레인이 카를 위쪽으로 운반하고 적어도 하나의 레인이 카를 아래쪽으로 운반하는 2개 이상의 레인을 수반하는 순환 패턴을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각각의 카를 하나의 랜딩 지점으로부터 인접한 랜딩 지점으로 움직이고 잠시 동안 카 도어를 개방하고, 도어를 닫은 후에, 다음의 랜딩 지점으로 진행한다. 종점에 도달하면, 카는 반대 방향으로 레인으로 환승된다. 이와 같이, 어떠한 버튼도 누르지 않고, 승객은 임의의 2개의 층 사이를 주행할 수 있다.
순환 패턴이 하나 이상의 층을 스킵할 수 있도록 어느 층들이 카에 의해 제공되는지를 나타낼 있는 승객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층 빌딩에서, "급행" 순환 패턴은 모든 층에서 정지하는 "지역" 순환 패턴과 결합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그들의 통근 동안 엘리베이터 변경이 요구될 수 있을지라도 그들의 목적지에 보다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다.
단일 레인 작동은 다른 레인으로 환승함이 없이 단일 레인에서 하나 이상의 카를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단일 카는 레인 위 아래로 주행하고 모든 랜딩 지점에서 정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수의 카는 각각의 범위 내의 모든 랜딩 지점에서 각각 정지한다. 범위들이 중첩하여서, 사용자는 임의의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 주행할 수 있지만, 다른 카로 환승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는, 동일한 레인에 있는 다수의 카가 충분한 분리와 함께 안전하게 작동하고, 어느 층이 각각의 카에 의해 제공되는지를 나타내도록 승객 인터페이스가 포함되는 것을 보장한다.
(n) 구조 작동
구조 작동은 하나 이상의 보조 카를 사용하여 무력화된 엘리베이터 카(14)를 "구출"하는 것이 필요할 때 이용될 수 있다. 구조 작동은 갇힌 승객들을 구출하기 위한 제1 단계와, 레인을 차단하지 않고 정비될 수 있는 구역으로, 레인 밖으로 카를 움직이는 제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카는 구조 작동을 돕는 장비를 구비한 특수한 카일 수 있다.
제1 단계는 카를 적소에 록킹하도록 범위 셧다운 작동에 무력화된 카를 두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카가 정상 신호에 응답하지 않아서 움직이는 것을 보장한다. 컨트롤러는 보조 카(들)의 위치 설정 또는 무력화된 카의 견인 움직임을 차단하는 모든 카를 치운다. 그런 다음 하나 이상의 보조 카는 무력화된 카 가까이로 움직일 수 있다. 승객은 예를 들어 보조 카에 있는 천장 트랩 도어를 통하여 또는 측부 패널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무력화된 카로부터 보조 카(들)로 대피할 수 있다. 보조 카의 위치 설정은 수동 작동(예를 들어, 미세 정밀 제어로 카를 위치시키도록 특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정비사)일 수 있거나, 또는 무력화된 카의 위치에 관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관리된 정보에 기초하여 보조 카를 최적으로 위치시키는 특별한 구조 작동 명령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카는 인접한 레인에 있는 무력화된 카의 위치를 자동으로 일치시키도록 명령을 받을 수 있다).
제2 단계는 무력화된 카의 움직임을 돕도록 하나 이상의 보조 카의 위치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별한 "견인 카"는 무력화된 카의 위 및/또는 아래에서 무력화된 카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견인용 카는 인접한 레인들에 있는 무력화된 카와 나란히 위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추진 시스템의 구성을 염두에 두고 보조 카들의 위치 설정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보조 카와 무력화된 카가 동일한 레인에 있고 서로 근접하면, 그리고 카들이 선형 모터 주 섹션들에 의해 추진되면, 컨트롤러는 선형 모터 주 섹션들로의 동력 공급이 무력화된 카와 보조 카 모두의 2차 섹션들과 동시에 중첩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무력화된 카를 움직일 때, 컨트롤러는 모든 카(무능력화된 카와 보조 카)에서 추진 제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그룹 외 작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그룹 외 작동들을 수행하는 것은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범위 내에 있다. 추가적으로, 그룹 외 작동 동안, 엘리베이터 시스템 컨트롤러(들)는 시스템(10)의 모든 이용 가능한 요소들에 의한 최대 통근 성능을 계속 보장하고, 따라서 통근 흐름의 방향을 돌릴 수 있다.
도 5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 있는 지정된 위치 또는 구역(68)으로 하나 이상의 특정 엘리베이터 카(66)들을 움직이는 그룹 외 작동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66)가 유지 보수를 요구할 때, 그룹 외 모드는 제어 단말기(58)를 통해 개시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카(66)는 후속으로 주차 또는 유지 보수 구역일 수 있는 지정된 구역(68)으로 움직인다.
도 6은 승강구(11) 내의 예약된 위치 또는 구역(72)에 걸쳐서 배타적 작동 능력을 가지도록 하나 이상의 특정 엘리베이터 카(70)에 명령하는 그룹 외 작동을 도시한다. 통상적인 그룹 서비스는 예약 구역(72)의 위 및/또는 아래에서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예를 들어 카가 레인의 소수의 층들 사이(예를 들어, 10층과 15층 사이)에서 작동을 요구할 때 또는 사용자가 레인의 내부를 검사하도록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올라타는 것이 필요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특정 위치 또는 구역(82)으로 하나 이상의 특정 엘리베이터 카(80)들을 리콜하는 그룹 외 작동을 도시한다. 이러한 작동은 예를 들어 화재 발생시에 각각의 카(80)가 비어있다는 것을 소방관이 검사하고 확인하기 위해 로비 층에 하나씩 각각의 카 (80)를 리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단지 제한된 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쉽게 이해하여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은 지금까지 기술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와 상응하는 임의의 수의 변형, 변경, 대안 또는 동등한 배열을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양태들은 기술된 실시예들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6)

  1.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ropeless elevator system)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레인을 가지는 승강구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에 힘을 부여하는 추진 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가 서비스 요구를 수행하는 그룹 내 모드(in-group mode);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가 그룹 서비스 모드 서비스 요구를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는 그룹 외 모드(out-of-group mod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가 준비되고, 상기 그룹 내 모드의 작동으로부터 상기 그룹 외 모드의 작동으로 전환되는 전환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프로그램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증명된 사용자를 증명하고 상기 전환 모드의 전제 조건들을 충족시킨 후에 전환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프로그램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ropeless elevator system).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시스템은 선형 추진 시스템이며, 상기 선형 추진 시스템은,
    상기 승강구에 장착된 주요 부분으로서, 복수의 모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주요 부분; 및
    복수의 2차 부분으로서, 상기 복수의 2차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2차 부분이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되는, 상기 복수의 2차 부분을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내 모드에서, 상기 서비스 요구는 승객 호출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외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그룹 외 제어를 제공하고; 그리고
    그룹 내 복귀 개시 요청을 수신하도록 프로그램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5.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ropeless elevator system)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레인을 가지는 승강구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에 힘을 부여하는 추진 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가 서비스 요구를 수행하는 그룹 내 모드(in-group mode);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가 그룹 서비스 모드 서비스 요구를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는 그룹 외 모드(out-of-group mod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가 준비되고, 상기 그룹 내 모드의 작동으로부터 상기 그룹 외 모드의 작동으로 전환되는 전환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프로그램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그룹 외 개시 요청을 수신하고;
    개시 요청 승인 및/또는 개시 요청 정보를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그룹 내 모드 작동으로부터 상기 그룹 외 모드 작동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이 완료되었다는 카 준비 통지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그룹 외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은 증명된 사용자를 증명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그룹 외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은 관련된 그룹 외 선택 파라미터들 및 옵션들을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그룹 외 개시 요청의 수신은 상기 전환의 전제 조건들의 충족을 더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적어도 하나의 레인을 가지는 승강구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에 힘을 부여하는 추진 시스템을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ropeless elevator system)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가 서비스 요구를 수행할 수 있는 그룹 내 모드에서 작동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가 그룹 서비스 모드 서비스 요구를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는 그룹 외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내 모드로부터 상기 그룹 외 모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를 준비하고 전환하도록 전환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증명된 사용자를 증명하고 상기 전환 모드의 전제 조건들을 충족시킨 후에 이루어지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ropeless elevator system)을 제어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서비스 요구를 수행하는 단계는 승객 호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외 모드에서 작동하는 단계는,
    그룹 외 제어를 제공하는 단계; 및
    그룹 내 복귀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12. 적어도 하나의 레인을 가지는 승강구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에 힘을 부여하는 추진 시스템을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ropeless elevator system)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가 서비스 요구를 수행할 수 있는 그룹 내 모드에서 작동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가 그룹 서비스 모드 서비스 요구를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는 그룹 외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내 모드로부터 상기 그룹 외 모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를 준비하고 전환하도록 전환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그룹 외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개시 요청 승인 및/또는 개시 요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그룹 내 모드 작동으로부터 그룹 외 모드 작동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이 완료되었다는 카 준비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그룹 외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증명된 사용자를 증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그룹 외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관련된 그룹 외 선택 파라미터들 및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그룹 외 개시 요청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의 전제 조건을 충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237013089A 2015-02-05 2016-02-02 다중 카 승강구 시스템을 위한 그룹 외 작동 KR202300549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12352P 2015-02-05 2015-02-05
US62/112,352 2015-02-05
KR1020177024679A KR20170110131A (ko) 2015-02-05 2016-02-02 다중 카 승강구 시스템을 위한 그룹 외 작동
PCT/US2016/016046 WO2016126627A1 (en) 2015-02-05 2016-02-02 Out-of-group operations for multicar hoistway system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679A Division KR20170110131A (ko) 2015-02-05 2016-02-02 다중 카 승강구 시스템을 위한 그룹 외 작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912A true KR20230054912A (ko) 2023-04-25

Family

ID=553533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089A KR20230054912A (ko) 2015-02-05 2016-02-02 다중 카 승강구 시스템을 위한 그룹 외 작동
KR1020177024679A KR20170110131A (ko) 2015-02-05 2016-02-02 다중 카 승강구 시스템을 위한 그룹 외 작동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679A KR20170110131A (ko) 2015-02-05 2016-02-02 다중 카 승강구 시스템을 위한 그룹 외 작동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66738B2 (ko)
KR (2) KR20230054912A (ko)
CN (1) CN107207184B (ko)
WO (1) WO2016126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6881A (zh) * 2013-01-17 2015-09-23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的增强型减速推进系统
US10532911B2 (en) * 2013-12-05 2020-01-14 Otis Elevator Company Motor drive having dual inverter system connected to first and second stator sections
WO2016126686A1 (en) * 2015-02-05 2016-08-11 Otis Elevator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 for self-propelled elevator system
US10829342B2 (en) * 2015-02-05 2020-11-10 Otis Elevator Company Operational modes for multicar hoistway systems
US20160352249A1 (en) * 2015-06-01 2016-12-01 Otis Elevator Company Paralleled active front-end rectifiers with negligible common-mode
EP3331800A1 (en) * 2015-08-07 2018-06-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inear propulsion system with cooling device
US10532908B2 (en) * 2015-12-04 2020-01-14 Otis Elevator Company Thrust and moment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linear motor alignment in an elevator system
US10494229B2 (en) 2017-01-30 2019-12-03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esilient design and operation of elevator system
US11027943B2 (en) 2018-03-29 2021-06-08 Otis Elevator Company Destination dispatch sectoring
US11524864B2 (en) 2018-07-25 2022-12-13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understanding and planning elevator use
EP3650382B1 (en) * 2018-11-06 2024-01-03 KONE Corporation An operational entity and a multicar elevator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 plurality of elevator cars of a multicar elevator system
EP3650391B1 (en) * 2018-11-06 2022-01-05 KONE Corporation A method, a multicar elevator system, and an operational entity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wo or more elevator cars of a multicar elevator system
EP3964470A1 (en) * 2020-09-07 2022-03-09 KONE Corporation A multicar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9199A (en) * 1977-04-29 1978-12-12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CN1154338A (zh) 1995-11-29 1997-07-16 奥蒂斯电梯公司 紧急电梯舱室征用传送装置
US5655625A (en) 1995-11-29 1997-08-12 Otis Elevator Company Emergency elevator cab commandeering shuttle
JP2000063058A (ja) 1998-08-19 2000-02-29 Nippon Signal Co Ltd:The リニアモータ駆動式エレベータ
CN100567118C (zh) 2004-08-26 2009-12-0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群管理控制装置
JP4539682B2 (ja) 2007-06-12 2010-09-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CN101980942B (zh) * 2008-03-31 2014-06-04 奥蒂斯电梯公司 电梯轿厢分配控制策略
WO2012066937A1 (en) 2010-11-17 2012-05-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motion of a first car and a second car in a multi-car elevator system
CN105246813B (zh) 2013-03-25 2019-04-09 奥的斯电梯公司 多轿厢自力推进电梯系统
WO2014182284A1 (en) 2013-05-07 2014-11-13 Otis Elevator Company Connecting cars in a multicar elevator system
WO2015070907A1 (en) * 2013-11-14 2015-05-21 Kone Corporation Method for an allocation of elevators in elevator systems
WO2015165484A1 (en) * 2014-04-28 2015-11-05 Kone Corporation Destination call control for different traffic types
DE102014017486A1 (de) * 2014-11-27 2016-06-02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mit einer Mehrzahl von Fahrkörben sowie einem dezentralen Sicherheitssystem
US9896303B2 (en) * 2014-12-10 2018-02-20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cars
US9957132B2 (en) * 2015-02-04 2018-05-01 Thyssenkrupp Elevator Ag Elevator control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07184B (zh) 2021-02-09
CN107207184A (zh) 2017-09-26
WO2016126627A1 (en) 2016-08-11
US20180022573A1 (en) 2018-01-25
KR20170110131A (ko) 2017-10-10
US10766738B2 (en)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7184B (zh) 用于多轿厢井道系统的组外操作
US10829342B2 (en) Operational modes for multicar hoistway systems
JP5572018B2 (ja) 自律移動装置同乗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5836559B (zh) 电梯用维护终端装置
JP4391226B2 (ja) 避難用エレベーター運行制御装置
JP2014504998A (ja) エレベータ呼び及び供給かごの割り当てにおける自動化
CN113454013A (zh) 电梯的自动呼梯登记系统
CN107879204B (zh) 具有封锁模式的电梯系统
JP4602330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CN113767058B (zh) 电梯的自动呼梯登记系统
JP7360569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US11993489B2 (en) Elevator system
EP3722238B1 (en) Management of elevator service
CN114040883B (zh) 移动辅助装置的点检指示装置
JP2023506905A (ja) 検査のためにエレベータ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JP486663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20170355562A1 (en) Fire service sequence for multicar elevator systems
WO2020194826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12520517A (zh) 电梯控制系统、电梯系统及用于其的控制方法
JP200622509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318839B1 (ko) 승강기 연동 agv 충전 제어 장치
JP2023106953A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用プログラム
CN117819320A (zh) 施工升降机的运行权限的控制系统、方法以及施工升降机
CN116507573A (zh) 服务于公共建筑物区域和非公共建筑物区域的电梯设备
JP2023111339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