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565A -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565A
KR20230053565A KR1020230045243A KR20230045243A KR20230053565A KR 20230053565 A KR20230053565 A KR 20230053565A KR 1020230045243 A KR1020230045243 A KR 1020230045243A KR 20230045243 A KR20230045243 A KR 20230045243A KR 20230053565 A KR20230053565 A KR 20230053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ehicle
disposed
guideline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884B1 (ko
Inventor
정상진
오원석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이피
Priority to KR102023004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88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35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lide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가이드 라인; 및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라인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라인; 및 상기 제1가이드라인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시트의 위치가 목적에 맞게 변경될 수 있는,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A vehicle Comprising Moving Type Seat}
본 발명은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Purpose Built Mobility)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변하는 모빌리티에 관한 것으로, 캠핑, 여가활동, 운송수단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물류운송 목적이나 푸드트럭 등 상업적 용도에도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컨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는, 대중교통으로 이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용도공간을 포함하는 모빌리티,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빌리티, 거주공간을 제공하는 모빌리티, 푸드트럭으로 사용되는 모빌리티, 화물운송 등에 사용되는 모빌리티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컨셉은, 기존의 승용차 또는 승합차 등과 비교하여, 보다 넓은 공간을 가지게 된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00622호는, 차량용 시트 이동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차량용 시트 이동 장치는, 차량의 내부 바닥에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 바닥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탈착되도록 결합되는 판형 프레임; 및 상기 판형 프레임에 결착되어 상기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시트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00622호에서의 차량용 시트의 경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서만 상기 시트가 전우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시트의 이동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즉,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이 위치하는 내부 바닥의 제1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시트가 상기 제1영역의 범위 내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서만 전우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시트의 이동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며, 이는 시트의 이동이라기 보다는,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편하게 하기 위한, 공간확보의 위치변경이고 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컨셉은, 기존의 승용차 또는 승합차 등과 비교하여, 보다 넓은 공간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공간 활용성의 효율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트의 위치가 목적에 맞게 변경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이 상용화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 내부를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할 것인지가 구체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의 내부에서, 시트의 위치가 목적에 맞게 변경되는 개념은 공지된 바가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0062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의 내부에서, 시트의 위치가 목적에 맞게 변경될 수 있는,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공간;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가이드 라인; 및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라인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라인; 및 상기 제1가이드라인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공간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시트; 및 상기 제1시트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시트는, 상기 제1시트와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시트와 인접하는 영역까지 이동가능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가이드라인의 일측은 상기 제1시트와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라인의 타측은 상기 제2가이드라인의 일측과 연속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가이드라인의 타측은 상기 제2시트와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라인은, 상기 제2가이드라인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가이드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가이드라인은, 상기 제2시트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3가이드라인의 일측은 상기 제2가이드라인의 타측과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라인은,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하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샤프트 부재; 및 상기 샤프트 부재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가이드 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 부재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이동형 시트가 체결되며, 상기 샤프트 부재의 타측 단부에 상기 이동형 시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롤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샤프트 부재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어 회전하고, 복수개의 톱니부를 포함하는 스프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롤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프라켓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으로 일정 두께(t)를 갖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으로 일정 높이(h)를 갖되, 상기 스프라켓이 배치되는 영역보다 낮은 위치의 높이(h)를 갖는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상기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롤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라인은 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석부는, 제1자석부; 및 상기 제1자석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자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석부는, 제1압력스위치; 및 상기 제1압력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자석부는, 제2압력스위치; 및 상기 제2압력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자석부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석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압력스위치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압력스위치가 ON 상태가 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제1전자석부에 전달하여, 상기 제1전자석부는 자력이 발생하며, 상기 제2압력스위치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2압력스위치가 ON 상태가 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제2전자석부에 전달하여, 상기 제2전자석부는 자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자석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석부 및 상기 제2자석부는 병렬연결되며, 상기 메인스위치의 on/off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자석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시트의 위치가 목적에 맞게 변경될 수 있는,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컨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컨셉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내부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의 제1사용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의 제2사용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의 다른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2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컨셉사진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Purpose Built Mobility)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1)은, 내부공간(10); 상기 내부공간(10)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시트(20); 상기 제1시트(20)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10)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시트(30); 및 상기 제1시트(20)와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시트와 인접하는 영역까지 이동가능한 제3시트(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시트(20) 및 상기 제2시트(30)는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각각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시트(40)는, 상기 차량(1)의 내부공간(10)에서,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시트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시트(20)와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시트와 인접하는 영역까지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3시트(40)는 스툴 형태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시트의 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내부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10); 상기 내부공간(10)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시트(20); 상기 제1시트(20)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10)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시트(30); 및 상기 제1시트(20)와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시트와 인접하는 영역까지 이동가능한 제3시트(4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시트 및 상기 제2시트의 유무 및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형 시트, 즉, 상기 제3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특징으로 한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1)은, 상기 내부공간(10)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가이드 라인(50)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시트, 즉, 상기 제3시트(40)는 상기 가이드 라인(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라인(50)의 일측은 상기 제1시트(20)와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라인(50)의 타측은 상기 제2시트(30)와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라인(5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라인(50a); 및 상기 제1가이드라인(50a)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라인(50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라인(50)은, 상기 제2가이드라인(50b)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가이드라인(5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차량의 길이방향(도 3의 X 방향);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차량의 폭방향(도 3의 Y 방향); 및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과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차량의 높이방향(도 3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을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을 상기 내부공간을 기준으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공간은, 내부공간의 길이방향(도 3의 X 방향); 상기 내부공간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내부공간의 폭방향(도 3의 Y 방향); 및 상기 내부공간의 길이방향과 상기 내부공간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내부공간의 높이방향(도 3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을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가이드라인(50a)의 일측은 상기 제1시트(20)와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라인(50a)의 타측은 상기 제2가이드라인(50b)의 일측과 연속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가이드라인(50b)의 타측은 상기 제2시트(30)와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3가이드라인(50c)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3가이드라인(50c)은, 상기 제2시트(30)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3가이드라인(50c)의 일측은 상기 제2가이드라인(50b)의 타측과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형 시트, 즉, 상기 제3시트(40)는 상기 가이드 라인(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3시트(40)는, 상기 제1시트(20)와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시트와 인접하는 영역까지 이동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경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서만 상기 시트가 전우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시트의 이동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즉,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이 위치하는 내부 바닥의 제1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시트가 상기 제1영역의 범위 내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서만 전우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시트의 이동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며, 이는 시트의 이동이라기 보다는,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편하게 하기 위한, 공간확보의 위치변경이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시트의 위치가 목적에 맞게 변경될 수 있는,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의 (a)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 예를 들면, 제3시트(40)는, 상기 제3가이드라인(50c)의 타측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2시트(30)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 예를 들면, 제3시트(40)는, 상기 제2가이드라인(50b)의 일측 영역 및 상기 제1가이드라인(50a)의 타측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2시트(30)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c)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 예를 들면, 제3시트(40)는, 상기 제3가이드라인(50c)의 일측 영역 및 상기 제2가이드라인(50b)의 타측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2시트(30)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c)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 예를 들면, 제3시트(40)는, 상기 제1가이드라인(50a)의 일측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1시트(20)와 함께 활용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5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시트의 위치가 목적에 맞게 변경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의 사용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의 제1사용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의 제2사용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의 제1사용예는, 상기 이동형 시트(40)가 별도의 시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시트의 제2사용예는, 상기 이동형 시트가 별도의 테이블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형 시트(40)가 상기 가이드 라인(5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시트의 위치가 목적에 맞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의 사용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이동형 시트는, 상술한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함과 함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형 시트는,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50)의 일정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형 시트(30)는 제자리에서 360°회전가능하다.
이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형 시트가 등받이(41) 등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이동형 시트의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후술하는 가이드 라인의 구성은 일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에서 가이드 라인의 구성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 라인의 일부 영역만을 도시하였으며, 상술한 도 3의 제1가이드 라인 내지 제3가이드라인은 후술하는 도 7 내지 도 9의 가이드 라인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가이드 라인(100)은, 가이드 홈(101)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110); 및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1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도 7의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측면 플레이트(111);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1)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도 7의 Y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도 7의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측면 플레이트(112);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도 7의 Z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도 7의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하면 플레이트(11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101)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1),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 및 상기 하면 플레이트(111)의 배치에 의한 내부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120)는, 샤프트 부재(121); 및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가이드 롤(12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회전된다 함을,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샤프트 부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 롤(122)이 회전함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도 7의 Z 방향)으로 배치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타측 단부에는 상술한 이동형 시트, 즉, 제3시트가 체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타측 단부에 상기 이동형 시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롤(122)이 체결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샤프트 부재의 타측 단부에 체결된 상기 이동형 시트는, 상기 가이드 라인,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50)의 일정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형 시트(30)는 제자리에서 360°회전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타측 단부에 상기 이동형 시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롤(122)이 체결되어 회전하므로,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타측 단부에 체결된 상기 이동형 시트는,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360°회전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형 시트가 등받이 등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이동형 시트의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가이드 라인(100)은, 다음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가이드 라인의 제1측면 플레이트(111)는,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도 7의 Y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가이드 라인의 가이드 부재(120)는,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어 회전하고, 복수개의 톱니부(123a)를 포함하는 스프라켓(1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프라켓(123)이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어 회전된다 함을, 상기 스프라켓(123)이 상기 샤프트 부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프라켓(123)이 회전함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정 영역은, 상기 샤프트 부재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의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과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라켓(123)의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123a)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프라켓(123)이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프라켓(123)이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123a)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123a)를 포함하는 스프라켓(123)의 구성 및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을 포함하는 제1측면 플레이트(111)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샤프트 부재의 타측 단부에 체결된 상기 이동형 시트는, 상기 가이드 라인,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이동형 시트는 적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이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123a)를 포함하는 스프라켓(123)의 구성 및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을 포함하는 제1측면 플레이트(111)의 구성을 포함함에 의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해야만 상기 이동형 시트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통해, 상기 이동형 시트가 적은 힘에 의해 쉽게 이동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형 시트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도 7의 Z 방향)으로 쉽게 들어올려질 수 있는데,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123a)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도 7의 Z 방향)으로 쉽게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라켓(123)의 용이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의 제1측면 플레이트 측에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이 제1측면 플레이트 측 뿐만아니라, 제2측면 플레이트 측에도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스프라켓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스프라켓의 복수개의 톱니부는,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 측과는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가이드 라인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도 7의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도 7의 Y 방향)으로 일정 두께(t)를 갖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도 7의 Z 방향)으로 일정 높이(h)를 갖되, 상기 스프라켓이 배치되는 영역보다 낮은 위치의 높이(h)를 갖는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112a)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112a)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도 7의 Y 방향)으로 일정 두께(t)를 갖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도 7의 Z 방향)으로 일정 높이(h)를 갖되, 상기 스프라켓이 배치되는 영역보다 낮은 위치의 높이(h)를 갖음으로써, 상기 스프라켓의 복수개의 톱니부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122)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1)의 내측면과 상기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112a)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가이드 라인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112a)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11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112a)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의 체결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의 다른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 라인의 일부 영역만을 도시하였으며,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의 다른예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참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 부재의 타측 단부에 체결된 상기 이동형 시트는, 상기 가이드 라인,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에서는, 상기 이동형 시트가 사용자의 힘, 즉, 수동 방식에 의해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이동형 시트는 기계적인 힘, 즉, 자동 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의 다른예는, 자동 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이동형 시트의 예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은,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어 회전하고, 복수개의 톱니부(123a)를 포함하는 스프라켓(123)을 포함한다.
이때,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다른예의 가이드 라인은, 상기 스프라켓(123)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을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1)은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라켓(123)의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123a)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프라켓(123)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이 제1측면 플레이트 측 뿐만아니라, 제2측면 플레이트 측에도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이 불가능해지므로, 상기 스프라켓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스프라켓의 복수개의 톱니부는,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 측과는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가이드 라인은, 상기 스프라켓(123)의 복수개의 톱니부는,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 측과는 이격하여 배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연속형 체인(140)의 내부에,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은, 상기 스프라켓(123)과 체결되어,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140); 상기 체인(14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구동 스프라켓(150); 및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150)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체인(14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구동 스프라켓(160)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140)은 연속형 체인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이 연속형 체인인 경우, 상기 연속형 체인(140)의 내부에,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150) 및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160)은 상기 연속형 체인(14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150) 및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1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속형 체인(140)을 회전하고, 상기 연속형 체인(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프라켓(123)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라켓(123)의 이동에 의해, 상기 사프트 부재(121)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샤프트 부재의 타측 단부에 체결된 상기 이동형 시트는, 상기 가이드 라인,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라켓(123)은, 상기 연속형 체인(123)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상기 연속형 체인(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프라켓(123)이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속형 체인(123)의 외주면은, 상기 연속형 체인(123)의 내부와 반대면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150) 또는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160)은, 공지된 구동모터와 체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150) 또는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160)이 회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연속형 체인(14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에서는, 상기 루프 콘솔이 사용자의 힘, 즉, 수동 방식에 의해 이동하는 것에 해당하나,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1예의 다른예에서는, 상기 스프라켓(123)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동형 시트는 기계적인 힘, 즉, 자동 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스프라켓을 이동시킬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라인의 제2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 라인의 일부 영역만을 도시하였으며, 상술한 도 3의 제1가이드 라인 내지 제3가이드라인은 후술하는 도 12의 가이드 라인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예의 가이드 라인(100)은 자석부(201)를 포함하며, 상기 자석부(201)는, 제1자석부(210); 상기 제1자석부(210)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자석부(220); 상기 제2자석부(220)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자석부(230); 및 상기 제3자석부(230)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4자석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자석부(201)는 7개의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자석부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자석부 내지 상기 제4자석부는 병렬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상기 자석부(20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50); 및 상기 전원공급부(250)와 상기 자석부(201)의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스위치(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스위치(260)의 on/off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부(250)에서 상기 자석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자석부(210)는, 제1압력스위치(210b); 및 상기 제1압력스위치(21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자석부(210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압력스위치(210b)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압력스위치(210b)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압력스위치(210b)가 ON 상태가 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제1전자석부(210a)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스위치는 일반적인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전자석부(210a)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전자석부(210a)는 활성화되어 일정 자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석부는 일반적인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2자석부(220)는, 제2압력스위치(220b); 및 상기 제2압력스위치(22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자석부(220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압력스위치(220b)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압력스위치(220b)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2압력스위치(220b)가 ON 상태가 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제2전자석부(220a)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자석부(230)는, 제3압력스위치(230b); 및 상기 제3압력스위치(23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자석부(230a)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4자석부(240)는, 제4압력스위치(240b); 및 상기 제4압력스위치(24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전자석부(240a)를 포함한다.
이들 제3전자석부 및 제4전자석부의 작동은 상술한 제1전자석부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시트의 위치가 목적에 맞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형 시트는 일정 무게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시트의 무게에 의해, 상술한 압력스위치가 ON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제1자석부의 영역 및 상기 제2자석부의 영역에 걸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압력스위치 및 상기 제2압력스위치가 각각 ON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전자석부 및 상기 제2전자석부가 활성화되어 일정 자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전자석부 및 상기 제2전자석부에 일정 자력이 발생함에 의해, 상기 이동형 시트는, 상기 제1자석부의 영역 및 상기 제2자석부의 영역에 걸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상기 이동형 시트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제3자석부의 영역 및 상기 제4자석부의 영역에 걸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압력스위치 및 상기 제4압력스위치가 각각 ON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3전자석부 및 상기 제4전자석부가 활성화되어 일정 자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전자석부 및 상기 제4전자석부에 일정 자력이 발생함에 의해, 상기 이동형 시트는, 상기 제3자석부의 영역 및 상기 제4자석부의 영역에 걸쳐 고정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시트의 위치가 목적에 맞게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상기 일정 자력의 힘을 초과하는 힘으로, 상기 이동형 시트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의 일정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형 시트는 제자리에서 360°회전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자석부에 의해, 상기 이동형 시트가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이동형 시트의 하면, 또는,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과 접촉하는 면은, 금속재질이거나, 영구자석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자석부 내지 상기 제4자석부는 병렬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상기 자석부(20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50); 및 상기 전원공급부(250)와 상기 자석부(201)의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스위치(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의 경우,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또는 차량의 메인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로 차량의 메인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 방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의해, 상기 메인스위치(260)의 off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부(250)에서 상기 자석부(201)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경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서만 상기 시트가 전우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시트의 이동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즉,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이 위치하는 내부 바닥의 제1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시트가 상기 제1영역의 범위 내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서만 전우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시트의 이동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며, 이는 시트의 이동이라기 보다는,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편하게 하기 위한, 공간확보의 위치변경이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형 시트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시트의 위치가 목적에 맞게 변경될 수 있는,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내부공간;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가이드 라인; 및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라인은,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샤프트 부재; 상기 샤프트 부재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가이드 롤; 및 상기 샤프트 부재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어 회전하고, 복수개의 톱니부를 포함하는 스프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라인은, 상기 스프라켓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라켓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라켓 이동수단은, 상기 스프라켓과 체결되어,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 상기 체인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구동 스프라켓; 및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체인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구동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라인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라인; 및 상기 제1가이드라인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내부공간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시트; 및 상기 제1시트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시트는, 상기 제1시트와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2시트와 인접하는 영역까지 이동가능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라인의 일측은 상기 제1시트와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라인의 타측은 상기 제2가이드라인의 일측과 연속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가이드라인의 타측은 상기 제2시트와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라인은, 상기 제2가이드라인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가이드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가이드라인은, 상기 제2시트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3가이드라인의 일측은 상기 제2가이드라인의 타측과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측면 플레이트;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하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 부재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이동형 시트가 체결되며,
    상기 샤프트 부재의 타측 단부에 상기 이동형 시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롤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프라켓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으로 일정 두께(t)를 갖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으로 일정 높이(h)를 갖되, 상기 스프라켓이 배치되는 영역보다 낮은 위치의 높이(h)를 갖는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상기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롤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30045243A 2021-05-07 2023-04-06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 KR102625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243A KR102625884B1 (ko) 2021-05-07 2023-04-06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593A KR102520505B1 (ko) 2021-05-07 2021-05-07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230045243A KR102625884B1 (ko) 2021-05-07 2023-04-06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593A Division KR102520505B1 (ko) 2021-05-07 2021-05-07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565A true KR20230053565A (ko) 2023-04-21
KR102625884B1 KR102625884B1 (ko) 2024-01-16

Family

ID=840419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593A KR102520505B1 (ko) 2021-05-07 2021-05-07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230045243A KR102625884B1 (ko) 2021-05-07 2023-04-06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593A KR102520505B1 (ko) 2021-05-07 2021-05-07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050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603B1 (ko) * 2002-08-07 2005-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내 시트의 위치조절장치
US20180072189A1 (en) * 2015-05-26 2018-03-15 Exonetik Inc. Dynamic motion control system using magnetorheological fluid clutch apparatuses
US20180099705A1 (en) * 2016-10-06 2018-04-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th round passenger compartment
KR20200000622A (ko) 2018-06-25 2020-01-03 손정훈 차량용 시트 이동 장치
US20200086767A1 (en) * 2018-09-14 2020-03-19 Toyota Body Seiko Co., Ltd. Seat slider device
US20200156508A1 (en) * 2017-07-26 2020-05-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hicle Seat Console
JP2020142563A (ja) * 2019-03-04 2020-09-10 トヨタ車体精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WO2023173524A1 (zh) * 2022-03-18 2023-09-21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滑轨传动装置以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07B1 (ko) * 2008-09-22 2011-05-16 현대다이모스(주) 자동차의 파워 롱 슬라이드 리어시트
GB2563287B (en) * 2017-06-09 2021-05-12 Ford Global Tech Llc A vehicle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1987006B1 (ko) * 2017-11-10 2019-06-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JP7115183B2 (ja) 2018-09-26 2022-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構造
KR102324778B1 (ko) * 2019-09-16 2021-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 및 자율주행 차량의 시트 회전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603B1 (ko) * 2002-08-07 2005-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내 시트의 위치조절장치
US20180072189A1 (en) * 2015-05-26 2018-03-15 Exonetik Inc. Dynamic motion control system using magnetorheological fluid clutch apparatuses
US20180099705A1 (en) * 2016-10-06 2018-04-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with round passenger compartment
US20200156508A1 (en) * 2017-07-26 2020-05-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hicle Seat Console
KR20200000622A (ko) 2018-06-25 2020-01-03 손정훈 차량용 시트 이동 장치
US20200086767A1 (en) * 2018-09-14 2020-03-19 Toyota Body Seiko Co., Ltd. Seat slider device
JP2020044858A (ja) * 2018-09-14 2020-03-26 トヨタ車体精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20142563A (ja) * 2019-03-04 2020-09-10 トヨタ車体精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WO2023173524A1 (zh) * 2022-03-18 2023-09-21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滑轨传动装置以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088A (ko) 2022-11-15
KR102520505B1 (ko) 2023-04-13
KR102625884B1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6418B2 (ja) 車両用スライドシート装置
WO2009031225A1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2520505B1 (ko) 이동형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
EP1491388A3 (en) Electrically foldable seat
JP2006207756A (ja) ラチェット機構、椅子
JPH11137368A (ja) シート機構
KR102527263B1 (ko)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CN114423645A (zh) 头枕
JP2008110148A (ja) テーブル
EP1304256A3 (en) A tiltable rear seat for a motor vehicle
KR100774403B1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레버 이동장치
JP2004034779A (ja) 車両用座席群
KR102520509B1 (ko) 루프 콘솔을 포함하는 차량
JP2005112237A (ja) 車両用シート
JPH02114036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5428220B2 (ja) 車両用シート
KR970006346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회전 구조
JP2582292Y2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4169422B2 (ja) メモ台付き椅子
JPH0420269Y2 (ko)
JP2005335458A5 (ko)
JPS6349386Y2 (ko)
JPS6310990Y2 (ko)
DE10347838A1 (de) Fußplatte für Kraftwagen
KR0122895Y1 (ko) 자동차용 무릎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