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263B1 -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263B1
KR102527263B1 KR1020210094060A KR20210094060A KR102527263B1 KR 102527263 B1 KR102527263 B1 KR 102527263B1 KR 1020210094060 A KR1020210094060 A KR 1020210094060A KR 20210094060 A KR20210094060 A KR 20210094060A KR 102527263 B1 KR102527263 B1 KR 102527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sole box
guide line
disposed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384A (ko
Inventor
정종호
오원석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이피
Priority to KR102021009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263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384A/ko
Priority to KR1020230054102A priority patent/KR102554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9Floor, e.g. side sills, fir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높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바닥면; 및 상기 차량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바닥면의 제1영역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1가이드 라인; 상기 제1벽면의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 라인과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가이드라인; 상기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콘솔박스부; 및 상기 제1벽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1테이블부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테이블부의 제1접이식 테이블이, 제1-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즉, 차량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함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A vehicle Comprising Folding Type Table}
본 발명은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미사용시에는 테이블을 차량의 벽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차량 내부에서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Purpose Built Mobility)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변하는 모빌리티에 관한 것으로, 캠핑, 여가활동, 운송수단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물류운송 목적이나 푸드트럭 등 상업적 용도에도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컨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는, 대중교통으로 이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용도공간을 포함하는 모빌리티,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빌리티, 거주공간을 제공하는 모빌리티, 푸드트럭으로 사용되는 모빌리티, 화물운송 등에 사용되는 모빌리티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컨셉은, 기존의 승용차 또는 승합차 등과 비교하여, 보다 넓은 공간을 가지게 된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0-0160540호는, "승합 차량의 접이식 테이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승합 차량의 접이식 테이블 장치"는, 테이블 장치 자체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실질적인 구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차량의 일정 위치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여, 테이블의 사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컨셉은, 기존의 승용차 또는 승합차 등과 비교하여, 보다 넓은 공간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공간 활용성의 효율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테이블의 구조가 단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테이블의 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테이블을 이동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이 상용화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 내부를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할 것인지가 구체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테이블의 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개념은 공지된 바가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0062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차량의 내부에서, 접이식 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을 증대시키면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테이블의 미사용시에는 테이블을 차량의 벽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차량 내부에서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면서,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높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바닥면; 및 상기 차량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바닥면의 제1영역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1가이드 라인; 상기 제1벽면의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 라인과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가이드라인; 상기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콘솔박스부; 및 상기 제1벽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1테이블부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솔박스부는, 제1테이블부의 사용시, 상기 제1테이블부를 받치는 받침부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제1-1가이드 라인 상에 체결되고, 공간부를 포함하는 콘솔박스 케이스부;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의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는 콘솔박스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테이블부는, 제1접이식 테이블;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1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1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와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2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2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솔박스 커버부는,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의 길이방향 타측과 힌지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부 본체; 상기 커버부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 및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의 폭방향 타측과 힌지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은, 상기 커버부 본체와 동일한 길이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본체보다 작은 크기의 폭을 포함하여,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과 상기 커버부 본체는 계단형 단차구조를 이루며, 상기 계단형 단차구조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 본체의 일정 영역에는,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착턱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 본체가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의 상기 공간부를 폐구한 상태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커버부 본체의 상부에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이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힌지운동하여, 상기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이 펼쳐치게 되며, 또한,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여 펼쳐짐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안착턱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커버부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1측면에 위치하는 제1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는, 제1레일 어셈블리 본체;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 본체로부터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1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기준축; 상기 제1기준축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1베어링; 및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베어링이 삽입되는 안착되는 제1베어링 안착홈을 포함하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재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제1베어링 안착홈에 상기 제1베어링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여 펼쳐짐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커버부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2측면에 위치하는 제2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는, 제2레일 어셈블리 본체;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 본체로부터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2측면으로 돌출되는 제2기준축; 상기 제2기준축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2베어링; 및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베어링이 삽입되는 안착되는 제2베어링 안착홈을 포함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부재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제2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부재의 제2베어링 안착홈에 상기 제2베어링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여 펼쳐짐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커버부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후방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제1-1가이드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의 제2영역에 배치되며,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2가이드 라인; 상기 후방면의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2가이드 라인과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3가이드라인; 및 상기 후방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2테이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제1-1가이드 라인 및 상기 제1-2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테이블부는, 제2접이식 테이블; 상기 제2접이식 테이블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의 제1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3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3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제3레일 어셈블리와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2접이식 테이블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의 제2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3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4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1-1가이드 라인 및 상기 제1-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테이블부를 사용시에는,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1-1가이드 라인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부의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제2테이블부의 사용시에는,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1-2가이드 라인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2접이식 테이블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부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이, 제1-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즉, 차량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함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미사용시에는,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을 차량의 벽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차량 내부에서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컨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1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2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3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솔박스부의 제1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솔박스부의 제2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솔박스부의 제3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테이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테이블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라인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본체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본체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며, 도 13은 도 9의 I-I선의 방향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9의 I-I선의 방향에 따른 분리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1-1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1-1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가이드 라인의 제2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1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2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3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때, 도 2의 제1상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미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의 제2상태 및 도 4의 제3상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제3상태는, 도 3의 제2상태에서, 후술하는 제1접이식 테이블 및 콘솔박스부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Purpose Built Mobility)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의 길이방향(도 2의 X 방향);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차량의 폭방향(도 2의 Y 방향); 및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과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차량의 높이방향(도 2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을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의 폭방향(도 2의 X 방향); 상기 차량의 폭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차량의 길이방향(도 2의 Y 방향); 및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과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차량의 높이방향(도 2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을 차량의 폭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폭방향,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은, 상기 차량의 방향을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는, 상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을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상기 차량의 높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바닥면(20); 및 상기 차량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벽면(30)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차량(10)은, 상기 차량의 높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천정면(미도시); 및 상기 차량의 폭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벽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전방면(미도시); 및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후방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바닥면, 제1벽면, 제2벽면, 천정면, 전방면 및 후방면에 의해,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40)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을 차량의 폭방향으로 정의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10)은, 상기 차량의 높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바닥면(20); 및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벽면(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차량의 높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천정면(미도시); 및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벽면(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차량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전방면(미도시); 및 상기 차량의 폭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후방면(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바닥면, 제1벽면, 제2벽면, 천정면, 전방면 및 후방면에 의해,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40)이 정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상기 바닥면(20)의 제1영역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1가이드 라인(21); 및 상기 제1벽면(30)의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 라인(21)과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가이드라인(3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방향의 정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10)은, 상기 바닥면(20)에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 라인(21)을 따라 이동하는 콘솔박스부(300); 및 상기 제1벽면(30)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 라인(31)을 따라 이동하는 제1테이블부(2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솔박스부(300)는, 상기 제1-1가이드 라인(21) 상에 체결되는 콘솔박스 케이스부(350);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를 개폐하는 콘솔박스 커버부(34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테이블부(200)는, 제1접이식 테이블(210);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도 2의 Y 방향 좌측)의 제1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 라인(31)을 따라 이동하는 제1레일 어셈블리(220); 및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220)와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도 2의 Y 방향 좌측)의 제2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 라인(31)을 따라 이동하는 제2레일 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부(3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솔박스부의 제1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솔박스부의 제2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솔박스부의 제3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때, 도 5의 제1상태 및 도 6의 제2상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미사용 상태에서의 콘솔박스부를 도시하고, 도 7의 제3상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 상태에서의 콘솔박스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부(300)는, 상기 제1-1가이드 라인(21) 상에 체결되는 콘솔박스 케이스부(350);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를 개폐하는 콘솔박스 커버부(3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콘솔박스부(300)는, 콘솔박스부의 길이방향(도 5의 X 방향); 상기 콘솔박스부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콘솔박스부의 폭방향(도 5의 Y 방향); 및 상기 콘솔박스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콘솔박스부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콘솔박스부의 높이방향(도 5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을 콘솔박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폭방향,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은, 상기 콘솔박스부의 방향을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는, 상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을 콘솔박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는,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부(351)를 포함하며, 상기 콘솔박스 커버부(340)는, 상기 공간부(351)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솔박스 커버부(340)는,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의 길이방향 타측(도 5의 X 방향의 후방)과 힌지결합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콘솔박스 커버부(340)는,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의 상기 공간부(351)를 개구하거나,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의 상기 공간부(351)를 폐구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차량용 콘솔박스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콘솔박스 커버부(340)는,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의 길이방향 타측(도 5의 X 방향의 후방)과 힌지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부 본체(330); 상기 커버부 본체(330)의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 및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의 상면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의 폭방향 타측(도 5의 Y 방향 우측)과 힌지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3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은, 상기 커버부 본체(330)와 동일한 길이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본체(330)보다 작은 크기의 폭을 포함하며, 즉,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의 폭을 상기 커버부 본체(330)의 폭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과 상기 커버부 본체(330)는 계단형 단차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과 상기 커버부 본체(330)는 계단형 단차구조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 본체(330)의 일정 영역에는,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착턱(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턱(331)은, 상기 커버부 본체(330)의 폭방향 일측(도 5의 Y 방향 좌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만,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부(300)는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안착턱(331)이 위치하는 방향은 크게 의미가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시에는, 상기 안착턱(331)이 상기 커버부 본체(330)의 폭방향 일측(도 5의 Y 방향 좌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부의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부의 제1상태는 접이식 테이블의 미사용 상태로, 상기 콘솔박스부는 일반적인 콘솔박스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콘솔박스부를 팔걸이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콘솔박스부를 물품의 보관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부의 제2상태는 접이식 테이블의 미사용 상태로, 상기 콘솔박스부는 일반적인 콘솔박스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콘솔박스 커버부(340)는,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의 길이방향 타측(도 5의 X 방향의 후방)과 힌지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부 본체(33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 본체(330)를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의 길이방향 타측(도 5의 X 방향의 후방)으로부터 힌지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콘솔박스 커버부(340)는,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의 상기 공간부(351)를 개구하거나,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의 상기 공간부(351)를 폐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부의 제3상태는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 상태로,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310)은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의 폭방향 타측(도 5의 Y 방향 우측)과 힌지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 본체(330)가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의 상기 공간부(351)를 폐구한 상태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커버부 본체(330)의 상부에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310)을,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의 폭방향 타측(도 5의 Y 방향 우측)으로부터 힌지운동하여, 상기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310)을 펼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힌지운동을 한다함은, 공지된 경첩 등의 구성을 통하여, 이들 구성을 힌지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과 상기 커버부 본체(330)는 계단형 단차구조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 본체(330)의 일정 영역에는,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35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착턱(331)을 포함하며,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도 2의 Y 방향 좌측)가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220) 및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230)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여 펼쳐짐으로써, 상기 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타측 단부(도 2의 Y 방향 우측)가 상기 안착턱(331)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커버부 본체(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시에는,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타측 단부(도 2의 Y 방향 우측)가 상기 안착턱(331)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커버부 본체(33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단순하게,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시에는,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부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 본체(330)의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 및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의 상면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의 폭방향 타측(도 5의 Y 방향 우측)과 힌지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31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시에,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을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 및 상기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310)을 테이블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을 최대화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320) 및 상기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310)을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테이블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테이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테이블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라인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본체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본체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며, 도 13은 도 9의 I-I선의 방향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9의 I-I선의 방향에 따른 분리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방향에 대한 정의는, 상기 테이블부를 기준으로 정의하였으며, 도 8 및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가이드 라인의 구성을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상기 제1벽면(30)의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 라인(21)과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가이드라인(31)을 포함하며, 상기 제1벽면(30)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라인(31)을 따라 이동하는 제1테이블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테이블부(200)는, 제1접이식 테이블(210);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도 2의 Y 방향 좌측)의 제1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 라인(31)을 따라 이동하는 제1레일 어셈블리(220); 및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220)와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도 2의 Y 방향 좌측)의 제2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 라인(31)을 따라 이동하는 제2레일 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가이드라인(31)은 가이드 레일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가이드 홈(31a)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 홈(31a)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 예를 들어, 제1레일 어셈블리(220)는 제1레일 어셈블리 본체(2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 본체(221)는 제1가이드 롤러(221a)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 본체(221)는, 상기 가이드 홈(31a)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 롤러(221a)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와 동일하며, 따라서, 제2레일 어셈블리(230)는 제2레일 어셈블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 본체는 제2가이드 롤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 본체는, 상기 가이드 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라인 및 상기 레일 어셈블리 본체의 구조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접이식 테이블(210)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도 2의 Y 방향 좌측)의 제1측면에 위치하는 제1체결홈(210a)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레일 어셈블리(2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레일 어셈블리 본체(221);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 본체(221)로부터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1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기준축(222); 상기 제1기준축(222)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1베어링(223); 및 상기 제1체결홈(210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베어링(223)이 삽입되는 안착되는 제1베어링 안착홈(241)을 포함하는 제1체결부재(2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체결부재(240)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제1체결홈(210a)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제1베어링 안착홈(241)에 상기 제1베어링(223)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도 2의 Y 방향 좌측)가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220)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여 펼쳐짐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타측 단부(도 2의 Y 방향 우측)가 상기 안착턱(331)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커버부 본체(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체결부재(240)는 복수개의 제1체결공(2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제1체결공(242)에 공지의 제1체결수단(243), 예를 들면, 나사 또는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제1체결수단(243)에 의해, 상기 제1체결부재(240)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1측면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1접이식 테이블(210)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2측면에 위치하는 제2체결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레일 어셈블리(2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2레일 어셈블리 본체;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 본체로부터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2측면으로 돌출되는 제2기준축; 상기 제2기준축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2베어링; 및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베어링이 삽입되는 안착되는 제2베어링 안착홈을 포함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체결부재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제2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부재의 제2베어링 안착홈에 상기 제2베어링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230)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여 펼쳐짐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안착턱(331)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커버부 본체(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체결부재는 복수개의 제2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제2체결공에 공지의 제2체결수단, 예를 들면, 나사 또는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제2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2체결부재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2측면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가이드 라인 및 콘솔박스부(300)의 연결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후술하는 제1-1가이드 라인의 구성은 일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에서 제1-1가이드 라인의 구성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1-1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1-1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1-1가이드 라인(100)은, 가이드 홈(101)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110); 및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1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도 15의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측면 플레이트(111);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1)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도 15의 Y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도 15의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측면 플레이트(112);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도 15의 Z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도 15의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하면 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101)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1),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 및 상기 하면 플레이트(113)의 배치에 의한 내부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120)는, 샤프트 부재(121); 및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가이드 롤(12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어 회전된다 함을,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샤프트 부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 롤(122)이 회전함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도 15의 Z 방향)으로 배치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타측 단부에는 상술한 콘솔박스부의 저면이 체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타측 단부에 상기 루프 콘솔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롤(122)이 체결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샤프트 부재의 타측 단부에 체결된 상기 콘솔박스부은, 상기 가이드 라인,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가이드 라인(50)의 일정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콘솔박스부는 제자리에서 360°회전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타측 단부에 상기 콘솔박스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롤(122)이 체결되어 회전하므로,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타측 단부에 체결된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제자리에서 360°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가이드 라인(100)은, 다음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제1-1가이드 라인의 제1측면 플레이트(111)는,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도 15의 Y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제1-1가이드 라인의 가이드 부재(120)는,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어 회전하고, 복수개의 톱니부(123a)를 포함하는 스프라켓(1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프라켓(123)이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어 회전된다 함을, 상기 스프라켓(123)이 상기 샤프트 부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프라켓(123)이 회전함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정 영역은, 상기 샤프트 부재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의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과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라켓(123)의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123a)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프라켓(123)이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프라켓(123)이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123a)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123a)를 포함하는 스프라켓(123)의 구성 및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을 포함하는 제1측면 플레이트(111)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샤프트 부재의 타측 단부에 체결된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가이드 라인,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콘솔박스부는 적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이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123a)를 포함하는 스프라켓(123)의 구성 및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을 포함하는 제1측면 플레이트(111)의 구성을 포함함에 의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해야만 상기 콘솔박스부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통해, 상기 콘솔박스부가 적은 힘에 의해 쉽게 이동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데,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123a)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라켓(123)의 용이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의 제1측면 플레이트 측에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이 제1측면 플레이트 측 뿐만아니라, 제2측면 플레이트 측에도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스프라켓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스프라켓의 복수개의 톱니부는,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 측과는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제1-1가이드 라인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도 15의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도 15의 Y 방향)으로 일정 두께(t)를 갖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도 6의 Z 방향)으로 일정 높이(h)를 갖되, 상기 스프라켓이 배치되는 영역보다 낮은 위치의 높이(h)를 갖는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112a)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112a)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폭방향(도 15의 Y 방향)으로 일정 두께(t)를 갖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높이방향(도 15의 Z 방향)으로 일정 높이(h)를 갖되, 상기 스프라켓이 배치되는 영역보다 낮은 위치의 높이(h)를 갖음으로써, 상기 스프라켓의 복수개의 톱니부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122)은,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1)의 내측면과 상기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112a)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롤(122)이 상기 가이드 홈(10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제1-1가이드 라인의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112a)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11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측면 보조 플레이트(112a)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의 체결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가이드 라인의 제2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제1-1가이드 라인의 일부 영역만을 도시하였으며,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가이드 라인의 제2예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1가이드 라인의 제1예를 참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 부재의 타측 단부에 체결된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가이드 라인,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1-1가이드 라인의 제1예에서는, 상기 콘솔박스부가 사용자의 힘, 즉, 수동 방식에 의해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콘솔박스부는 기계적인 힘, 즉, 자동 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1-1가이드 라인의 제2예는, 자동 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콘솔박스부의 예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1가이드 라인은, 상기 샤프트 부재(121)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어 회전하고, 복수개의 톱니부(123a)를 포함하는 스프라켓(123)을 포함한다.
이때,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예의 제1-1가이드 라인은, 상기 스프라켓(123)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을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 플레이트(111)은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라켓(123)의 상기 복수개의 톱니부(123a)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 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프라켓(123)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홀(111a)이 제1측면 플레이트 측 뿐만아니라, 제2측면 플레이트 측에도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이 불가능해지므로, 상기 스프라켓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스프라켓의 복수개의 톱니부는,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 측과는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예의 제1-1가이드 라인은, 상기 스프라켓(123)의 복수개의 톱니부는,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 측과는 이격하여 배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연속형 체인(140)의 내부에,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은, 상기 스프라켓(123)과 체결되어,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140); 상기 체인(14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구동 스프라켓(150); 및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150)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체인(14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구동 스프라켓(160)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140)은 연속형 체인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이 연속형 체인인 경우, 상기 연속형 체인(140)의 내부에,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은 상기 제2측면 플레이트(11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150) 및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160)은 상기 연속형 체인(14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150) 및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1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속형 체인(140)을 회전하고, 상기 연속형 체인(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프라켓(123)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라켓(123)의 이동에 의해, 상기 사프트 부재(121)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샤프트 부재의 타측 단부에 체결된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가이드 라인,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라켓(123)은, 상기 연속형 체인(123)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상기 연속형 체인(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프라켓(123)이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속형 체인(123)의 외주면은, 상기 연속형 체인(123)의 내부와 반대면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150) 또는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160)은, 공지된 구동모터와 체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구동 스프라켓(150) 또는 상기 제2구동 스프라켓(160)이 회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연속형 체인(14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1가이드 라인의 제1예에서는, 상기 콘솔박스부가 사용자의 힘, 즉, 수동 방식에 의해 이동하는 것에 해당하나, 본 발명에 따른 제1-1가이드 라인의 제2예에서는, 상기 스프라켓(123)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콘솔박스부는 기계적인 힘, 즉, 자동 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라켓 이동수단(130)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스프라켓을 이동시킬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은,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의 길이방향(도 20의 X 방향);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차량의 폭방향(도 20의 Y 방향); 및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과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차량의 높이방향(도 20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을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의 폭방향(도 20의 X 방향); 상기 차량의 폭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차량의 길이방향(도 20의 Y 방향); 및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과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차량의 높이방향(도 20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을 차량의 폭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폭방향,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은, 상기 차량의 방향을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는, 상기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을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상기 차량의 높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바닥면(20); 및 상기 차량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벽면(30)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차량(10)은, 상기 차량의 높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천정면(미도시); 및 상기 차량의 폭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벽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전방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후방면(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바닥면, 제1벽면, 제2벽면, 천정면, 전방면 및 후방면에 의해,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40)이 정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상기 바닥면(20)의 제1영역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1가이드 라인(21); 상기 제1-1가이드 라인(21)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20)의 제2영역에 배치되며,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2가이드 라인(22); 상기 제1벽면(30)의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 라인(21)과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가이드라인(31); 및 상기 후방면(50)의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2가이드 라인(22)과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3가이드라인(3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차량의 폭방향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정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10')은, 상기 바닥면(20)에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 라인(21) 및 상기 제1-1가이드 라인(22)을 따라 이동하는 콘솔박스부(300); 상기 제1벽면(30)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 라인(31)을 따라 이동하는 제1테이블부(200); 및 상기 후방면(50)에 배치되고, 상기 제3가이드 라인(32)을 따라 이동하는 제2테이블부(40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콘솔박스부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테이블부(200)는, 제1접이식 테이블(210);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도 20의 Y 방향 좌측)의 제1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 라인(31)을 따라 이동하는 제1레일 어셈블리(220); 및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220)와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210)의 폭방향 일측 단부(도 20의 Y 방향 좌측)의 제2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 라인(31)을 따라 이동하는 제2레일 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테이블부(400)는, 제2접이식 테이블(410); 상기 제2접이식 테이블(4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도 20의 X 방향 후방)의 제1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3가이드 라인(32)을 따라 이동하는 제3레일 어셈블리(420); 및 상기 제3레일 어셈블리(420)와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2접이식 테이블(4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도 20의 X 방향 후방)의 제2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3가이드 라인(32)을 따라 이동하는 제4레일 어셈블리(43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제1벽면에만 테이블부가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제1벽면 및 후방면에 각각 테이블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콘솔박스부(300)는,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시,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부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제1-1가이드 라인(21) 및 상기 제1-2가이드 라인(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테이블부를 사용시에는,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1-1가이드 라인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테이블부의 사용시에는,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1-2가이드 라인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2접이식 테이블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부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의 경우, 차량의 내부에서, 상기 테이블의 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개념은 공지된 바가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이, 제1-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즉, 차량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함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미사용시에는,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을 차량의 벽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차량 내부에서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높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바닥면; 및 상기 차량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제1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바닥면의 제1영역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1가이드 라인; 상기 제1벽면의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 라인과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가이드라인; 상기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콘솔박스부; 및 상기 제1벽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1테이블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솔박스부는, 제1테이블부의 사용시, 상기 제1테이블부를 받치는 받침부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제1-1가이드 라인 상에 체결되고, 공간부를 포함하는 콘솔박스 케이스부;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의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는 콘솔박스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테이블부는, 제1접이식 테이블;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1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1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2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2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박스 커버부는,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의 길이방향 타측과 힌지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부 본체; 상기 커버부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 및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의 폭방향 타측과 힌지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은, 상기 커버부 본체와 동일한 길이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 본체보다 작은 크기의 폭을 포함하여,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과 상기 커버부 본체는 계단형 단차구조를 이루며,
    상기 계단형 단차구조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 본체의 일정 영역에는,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착턱을 포함하는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본체가 상기 콘솔박스 케이스부의 상기 공간부를 폐쇄한 상태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커버부 본체의 상부에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이 상기 커버부 제1보조테이블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힌지운동하여, 상기 커버부 제2보조테이블이 펼쳐지게 되며,
    또한,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여 펼쳐짐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안착턱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커버부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1측면에 위치하는 제1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는, 제1레일 어셈블리 본체;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 본체로부터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1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기준축; 상기 제1기준축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1베어링; 및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베어링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1베어링 안착홈을 포함하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재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제1베어링 안착홈에 상기 제1베어링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제1레일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여 펼쳐짐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커버부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2측면에 위치하는 제2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는, 제2레일 어셈블리 본체;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 본체로부터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의 제2측면으로 돌출되는 제2기준축; 상기 제2기준축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2베어링; 및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베어링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베어링 안착홈을 포함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부재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제2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부재의 제2베어링 안착홈에 상기 제2베어링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제2레일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여 펼쳐짐으로써,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폭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커버부 본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후방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제1-1가이드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의 제2영역에 배치되며,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2가이드 라인; 상기 후방면의 제2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2가이드 라인과 동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3가이드라인; 및 상기 후방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2테이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솔박스부는 상기 제1-1가이드 라인 및 상기 제1-2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테이블부는, 제2접이식 테이블; 상기 제2접이식 테이블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의 제1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3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3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제3레일 어셈블리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2접이식 테이블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의 제2측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3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제4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1-1가이드 라인 및 상기 제1-1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테이블부를 사용시에는,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1-1가이드 라인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1접이식 테이블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부의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제2테이블부의 사용시에는,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1-2가이드 라인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콘솔박스부가 상기 제2접이식 테이블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부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10094060A 2021-07-19 2021-07-19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KR10252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060A KR102527263B1 (ko) 2021-07-19 2021-07-19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230054102A KR102554297B1 (ko) 2021-07-19 2023-04-25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060A KR102527263B1 (ko) 2021-07-19 2021-07-19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102A Division KR102554297B1 (ko) 2021-07-19 2023-04-25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384A KR20230013384A (ko) 2023-01-26
KR102527263B1 true KR102527263B1 (ko) 2023-05-02

Family

ID=851109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060A KR102527263B1 (ko) 2021-07-19 2021-07-19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230054102A KR102554297B1 (ko) 2021-07-19 2023-04-25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102A KR102554297B1 (ko) 2021-07-19 2023-04-25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72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5912A (ja) * 2008-03-04 2011-05-19 ルフトハンザ・テッヒニク・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折り畳み式テ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763B1 (ko) * 2016-10-18 2018-06-11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용 무빙콘솔
KR102144904B1 (ko) 2018-06-25 2020-08-14 손정훈 차량용 시트 이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5912A (ja) * 2008-03-04 2011-05-19 ルフトハンザ・テッヒニク・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折り畳み式テ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297B1 (ko) 2023-07-11
KR20230058370A (ko) 2023-05-03
KR20230013384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6189C2 (ru) Система ящика для хранения (варианты),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отделения для хранения
US20080169668A1 (en) Vehicle trunk internal storage compartment structure
US9610898B2 (en) Deployable center console
US6428073B1 (en) Vehicle with slide-out room
RU26689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предметов в автомобильном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EP1955897A1 (en) Hinged liner for vehicle cargo area
US7950728B2 (en) Table assemblies for a vehicle
JP2015523276A (ja) 調節可能な車両用アームレストおよびタンブールドア
KR102527263B1 (ko) 접이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US6565137B1 (en) Table top lift assembly for center stack
US6890013B2 (en) Power assisted cargo area extender
JP4973090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CN107571803B (zh) 地板盖
KR20210125445A (ko) 캠핑 장치
KR100930757B1 (ko) 콘솔박스의 콘솔커버 양방향 개폐장치
JP4297343B2 (ja) デッキフロア構造
JP2009096270A (ja) キャンバス格納構造
JP4453950B2 (ja) 自動2輪車用キャリヤ
US20240131993A1 (en) Collapsible vehicle interior console
JP2010167810A (ja) 車内の床下収納構造
JP2000127857A (ja) 自動車のラゲージフロア
GB2267216A (en) Convertible seat assemblies
KR20240038386A (ko) 러기지 공간 확장을 위한 슬라이딩 및 회전 보드구조
KR20220127015A (ko) 확장 베드부를 포함하는 캠핑 장치
KR20240043491A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