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540A - 역반전기 - Google Patents

역반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540A
KR20230053540A KR1020220132505A KR20220132505A KR20230053540A KR 20230053540 A KR20230053540 A KR 20230053540A KR 1020220132505 A KR1020220132505 A KR 1020220132505A KR 20220132505 A KR20220132505 A KR 20220132505A KR 20230053540 A KR20230053540 A KR 20230053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transfer unit
unit
shee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완
Original Assignee
장일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완 filed Critical 장일완
Publication of KR2023005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6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changing orientation or changing direction of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2Feeding sheets or blank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31B50/102Feeding or positioning web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31B50/106Feeding or positioning webs involving changing orientation or changing direction of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5/00Overturn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66Advancing articles in overlapping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2Turning, overturning
    • B65H2301/3321Turning, overturning kinetic therefor
    • B65H2301/33214Turning, overturning kinetic therefor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and parallel to the surfa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4Stream of articles in shingled formation, overlapping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역반전기(100)는 일정 수량씩 교번하여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1장(낱장)씩 공급하는 공급부(110)와, 공급부(110)에서 1장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수단(170)과, 사선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되어 이송수단(170)에 의해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용지를 순차적으로 수평 이송시키거나 하부쪽으로 그대로 낙하하도록 하는 제1 이송부(120)와, 제1 이송부(120)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를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시켜 역반전시키는 회전수단(130)과, 회전수단(130)에 의해 정방향으로 역반전된 용지를 제1 이송부(120)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140)와, 제1 이송부(1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공급부(110)에서 낙하하거나 제2 이송부(140)에 의해 이송된 낱장의 용지를 일정량 적재하거나 적재하면서 제2 이송부(140)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되도록 하는 제3 이송부(150), 및 제2 이송부(14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3 이송부(150)에 적재되거나 적재되는 용지를 하부부터 순차적으로 톰슨기계의 급지부에 적재되도록 제2 이송부(140)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제4 이송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역반전기{Reverse inverting apparatus}
이 발명은 역반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앞 공정에서 일정 수량씩 대칭으로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앞면과 뒷면으로 구분하여 한 방향으로 적재하도록 역반전시켜 이송하거나 그대로 이송하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역반전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서는 각종 홍보물이나 보고서, 책자 등 각종 인쇄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와 같은 인쇄물 등의 제작 및 유통과정에서 대량으로 처리해야 하는 공정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양측면 또는 일측면이 인쇄된 각종 인쇄물이나 코팅용지 등은 용지 자체의 특성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수축되거나 또는 인쇄시 발생하는 열이나 마찰의 영향에 따라 용지의 특성이 변화하여 일측 방향으로의 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이 박스의 재료가 되는 골판지의 경우에도 골판지의 상면과 배면의 수축률이 다르고 인쇄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시 발생하는 열이나 마찰 등의 영향으로 일측 방향으로의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인쇄물, 코팅용지, 박스지 등의 경우 유통이나 제작을 위해 대량으로 적재하게 되면 일측 방향으로의 휨 현상이 가중되기 때문에 이후 실제 사용에 있어 용지가 둘둘 말리거나 박스 제조시에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와 같은 용지를 대량으로 적재하는 경우 일정량의 용지모듈마다 적재 방향이 상하 반전되도록 대칭 적재하여 휨 현상을 완화시키는 방식으로 적재하고 있다. 한편, 이렇게 대칭으로 적재된 용지모듈을 작업을 위해 톰슨기계 등에 공급함에 있어서는 대칭으로 적층된 용지모듈을 정방향으로 다시 반전(역반전)시켜 공급하고 있다.
상기 톰슨기계는 박스 형태로 타발하는 기계로서 자동화되어 있다. 즉, 톰슨기계는 크게 급지 공급부, 타발부, 파지 탈치부 및 적재부(급지부)로 구성되어 자동으로 작동한다.
한편, 톰슨기계는 급지의 종류에 따라 크게 2가지 타입으로 구성된다. 그 중 한 타입은 도 1과 같이 적재된 용지를 하부부터 공급하는 하급지를 타발하도록 구성되고, 나머지 한 타입은 도 2와 같이 적재된 용지를 상부부터 공급하는 상급지를 타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급지용 톰슨기계는 주로 원지가 두껍고 강한 박스용 타발 기계로서, 농산품 종류인 포도 박스 등을 생산하는 기계이다. 그리고, 상급지용 톰슨기계는 주로 원지가 얇고 견고한 화장품 상자, 담배각, 약품 상자, 선물박스, 피자박스 등을 생산하는 기계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톰슨기계 등에 대칭으로 적층된 용지모듈을 정방향으로 다시 반전(역반전)시켜 공급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수행함에 따라 작업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앞 공정에서 일정 수량씩 대칭으로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앞면과 뒷면으로 구분하여 한 방향으로 적재하도록 역반전시켜 이송하거나 그대로 이송하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역반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역반전기는, 일정 수량씩 교번하여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1장(낱장)씩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1장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사선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용지를 순차적으로 수평 이송시키거나 하부쪽으로 그대로 낙하하도록 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를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시켜 역반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정방향으로 역반전된 용지를 상기 제1 이송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공급부에서 낙하하거나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낱장의 용지를 일정량 적재하거나 적재하면서 상기 제2 이송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되도록 하는 제3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3 이송부에 적재되거나 적재되는 용지를 하부부터 순차적으로 톰슨기계의 급지부에 적재되도록 상기 제2 이송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제4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역반전기는, 일정 수량씩 교번하여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1장(낱장)씩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1장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사선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용지를 순차적으로 수평 이송시키거나 하부쪽으로 그대로 낙하하도록 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를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시켜 역반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정방향으로 역반전된 용지를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이송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공급부에서 낙하하거나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낱장의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적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역반전기는, 일정 수량씩 교번하여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1장(낱장)씩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1장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사선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용지를 순차적으로 수평 이송시키거나 하부쪽으로 그대로 낙하하도록 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를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시켜 역반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정방향으로 역반전된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공급부에서 낙하하는 낱장의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제2 적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수단은 선행하는 선행 용지의 뒷부분과 후행하는 후행 용지의 앞부분의 일부분씩이 서로 간에 겹쳐지되, 선행 용지가 상부에 후행 용지가 하부에 위치하여 겹쳐진 상태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수단은 구동롤러와 피동롤러로 구성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저속회전 및 고속회전이 가능해, 용지를 저속이송 및 고속이송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수단은 중앙에 위치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사각 단면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코너에 각각 형성되어 낱장의 용지를 각각 거치하는 다수개의 거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표면과의 사이에 낱장의 용지가 삽입되어 거치된 후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갖도록 상기 지지대의 코너에서 표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이송부는 용지의 규격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이송부와 상기 제4 이송부가 서로 간에 수평방향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3 이송부에 안착된 용지의 일부분이 상기 제4 이송부에 안착되어, 용지가 상기 제4 이송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3 이송부에서 상기 제4 이송부 쪽으로 순차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앞 공정에서 일정 수량씩 대칭으로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앞면과 뒷면으로 구분하여 한 방향으로 적재하도록 역반전시켜 이송하거나 그대로 이송하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하급지 및 상급지용 톰슨기계에 원지를 수동으로 투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역반전기를 적용한 하급지용 톰슨기계에서의 자동 기계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역반전기를 이용하여 용지를 역반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역반전기를 이용하여 용지를 역반전시키지 않는 과정(무반전)을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반전기를 적용한 상급지용 톰슨기계에서의 자동 기계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역반전기를 이용하여 용지를 역반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역반전기를 이용하여 용지를 역반전시키지 않는 과정(무반전)을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9는 상급지용 톰슨기계에 적용되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반전기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역반전기를 이용하여 용지를 역반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가이드부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역반전기를 이용하여 용지를 역반전시키지 않는 과정(무반전)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역반전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역반전기를 적용한 하급지용 톰슨기계에서의 자동 기계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역반전기를 이용하여 용지를 역반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역반전기를 이용하여 용지를 역반전시키지 않는 과정(무반전)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역반전기(100)는 일정 수량씩 교번하여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1장(낱장)씩 공급하는 공급부(110)와, 공급부(110)에서 1장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수단(170)과, 사선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되어 이송수단(170)에 의해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용지를 순차적으로 수평 이송시키거나 하부쪽으로 그대로 낙하하도록 하는 제1 이송부(120)와, 제1 이송부(120)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를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시켜 역반전시키는 회전수단(130)과, 회전수단(130)에 의해 정방향으로 역반전된 용지를 제1 이송부(120)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140)와, 제1 이송부(1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공급부(110)에서 낙하하거나 제2 이송부(140)에 의해 이송된 낱장의 용지를 일정량 적재하거나 적재하면서 제2 이송부(140)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되도록 하는 제3 이송부(150), 및 제2 이송부(14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3 이송부(150)에 적재되거나 적재되는 용지를 하부부터 순차적으로 톰슨기계의 급지부에 적재되도록 제2 이송부(140)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제4 이송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110)는 일정 수량씩 교번하여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1장(낱장)씩 공급하는 것으로서, 공급될 용지의 표면이 인쇄면인지 비인쇄면인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공급부(110)는 용지를 1장씩 공급할 수 있도록 용지 사이에 끼워져 뒷장의 용지가 딸려 가지고 않도록 하는 용지 분리부재와, 용지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된 상부의 낱장을 상하 피스톤식으로 흡입하는 흡입부, 및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낱장을 제1 이송부(120) 쪽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등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공급부(110)는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채택하는 방식이다.
상기 이송수단(170)은 공급부(110)에서 1장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것으로서, 선행하는 선행 용지의 뒷부분과 후행하는 후행 용지의 앞부분의 일부분씩이 서로 간에 겹쳐지되, 선행 용지가 상부에 후행 용지가 하부에 위치하여 겹쳐진 상태로 이송한다. 이러한 이송수단(170)은 구동롤러와 피동롤러로 구성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와, 구동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롤러는 하부 쪽에 위치하고 피동롤러는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그 상부에 위치한다. 한편, 구동롤러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저속회전 및 고속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용지를 제1 이송부(120) 쪽으로 이송할 경우에는 저속회전하고, 용지를 제3 이송부(150)의 상부에 그대로 낙하하여 적재할 경우에는 고속회전 하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제1 이송부(120)는 이송수단(170)에 의해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용지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1 이송부(120)는 컨베이어가 사선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회전수단(130)과 인접한 부분의 컨베이어 부분이 회전축이 되어 상부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틸트를 위한 구동원으로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는 이송수단(170)과 인접하는 쪽의 컨베이어에 결합된다. 따라서, 실린더의 구동원으로 컨베이어를 틸트시키면, 공급부(110)와 인접한 부분의 컨베이어 부분이 상부방향으로 들리게 되어 공급부(110)에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용지가 제3 이송부(150)의 상부에 그대로 낙하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된다. 이 틈새를 통해 역반전시키지 않아도 되는 용지는 제3 이송부(150)의 상부에 그대로 낙하하여 적재된다.
상기 회전수단(130)은 제1 이송부(120)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를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시켜 역반전시키는 것으로서, 중앙에 위치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고정된 사각 단면의 지지대, 및 지지대의 코너에 각각 형성되어 낱장의 용지를 각각 거치하는 다수개의 거치부재를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거치부재는 지지대의 표면과의 사이에 낱장의 용지가 삽입되어 거치된 후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갖도록 지지대의 코너에서 표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이 실시예의 거치부재는 4개로 구성되어 제1 이송부(120)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가 삽입되어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역반전된 상태로 제2 이송부(140)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거치부재는 지지대의 코너에서 표면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더 넓은 개방각을 갖도록 구성되어, 용지가 원활하게 삽입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이송부(140)는 회전수단(130)에 의해 정방향으로 역반전된 용지를 제1 이송부(120)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이송부(140)는 회전수단(13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용지의 규격(폭 또는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제2 이송부(140)는 회전수단(130)에 의해 용지가 정방향으로 역반전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용지의 하부면이 컨베이어의 표면에 접촉하면, 용지를 제1 이송부(120)와 반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수평 이송시켜 제3 이송부(150)에 적재한다.
상기 제3 이송부(150)는 제1 이송부(1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제3 이송부(150)는 일반적인 컨베이어와, 컨베이어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로 구성된 것으로서, 공급부(110)에서 낙하하거나 제2 이송부(140)에 의해 이송된 낱장의 용지를 일정량 적재하거나 적재하면서 제2 이송부(140)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역반전이 필요한 용지는 회전수단(130)에 의해 역반전된 후 공급되고, 역반전되지 않아도 되는 용지는 공급부(110)에서 그대로 낙하하여 공급됨에 따라, 제3 이송부(150)에는 한 방향으로만 용지가 적재된다.
구체적으로, 제3 이송부(150)는 공급부(110)에서 낙하하는 용지의 경우에는 승하강부재를 통해 제1 이송부(120) 쪽으로 상승하여 일정량 적재되면 하강하여 제4 이송부(16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제2 이송부(140)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의 경우에는 일정량 적재하면서 제4 이송부(16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3 이송부(150)는 그 컨베이어가 용지의 규격(폭 또는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3 이송부(150)와 제4 이송부(160)가 서로 간에 수평방향에 위치할 경우, 제3 이송부(150)의 컨베이어에 안착된 용지의 일부분이 제4 이송부(160)에 안착된다. 그로 인해, 용지는 제4 이송부(160)의 구동력에 의해 제3 이송부(150)에서 제4 이송부(160) 쪽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4 이송부(160)는 제2 이송부(14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일반적인 컨베이어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4 이송부(160)는 제3 이송부(150)에 적재되거나 적재되는 용지를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면서 하부부터 순차적으로 톰슨기계의 급지부에 적재되도록 제2 이송부(140)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6은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반전기를 적용한 상급지용 톰슨기계에서의 자동 기계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역반전기를 이용하여 용지를 역반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역반전기를 이용하여 용지를 역반전시키지 않는 과정(무반전)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역반전기(200)는 일정 수량씩 교번하여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1장(낱장)씩 공급하는 공급부(210)와, 공급부(210)에서 1장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수단(270)과, 사선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되어 이송수단(270)에 의해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용지를 순차적으로 수평 이송시키거나 하부쪽으로 그대로 낙하하도록 하는 제1 이송부(220)와, 제1 이송부(220)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를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시켜 역반전시키는 회전수단(230)과, 회전수단(230)에 의해 정방향으로 역반전된 용지를 순차적으로 제1 이송부(220)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240), 및 제1 이송부(2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공급부(210)에서 낙하하거나 제2 이송부(240)에 의해 이송된 낱장의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적재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적재부(250)에 한 방향으로 적재된 용지는 상급지용 톰슨기계의 급지부로 자동 이송되어 후속공정이 수행된다.
이 실시예의 역반전기(200)는 상급지용 톰슨기계에 적용됨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하급지용 톰슨기계에 적용되는 역반전기(100)에 비해 그 구성관계가 간단한다. 이 실시예의 역반전기(200)를 구성하는 공급부(210), 이송수단(270), 제1 이송부(220), 회전수단(230) 및 제2 이송부(2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공급부(110), 이송수단(170), 제1 이송부(120), 회전수단(130) 및 제2 이송부(140)와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동일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 실시예의 역반전기(200)는 용지의 규격(폭 또는 길이)에 따라 제2 이송부(24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60)을 더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동수단(260)은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 방식으로 제2 이송부(24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도 9는 상급지용 톰슨기계에 적용되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반전기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역반전기를 이용하여 용지를 역반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가이드부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역반전기를 이용하여 용지를 역반전시키지 않는 과정(무반전)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역반전기(300)는 일정 수량씩 교번하여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1장(낱장)씩 공급하는 공급부(310)와, 공급부(310)에서 1장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수단(370)과, 사선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되어 이송수단(370)에 의해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용지를 순차적으로 수평 이송시키거나 하부쪽으로 그대로 낙하하도록 하는 이송부(320)와, 이송부(320)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를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시켜 역반전시키는 회전수단(330)과, 회전수단(330)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회전수단(330)에 의해 정방향으로 역반전된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제1 적재부(340), 및 이송부(3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공급부(310)에서 낙하하는 낱장의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제2 적재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1, 제2 적재부(340, 350)에 한 방향으로 적재된 용지는 상급지용 톰슨기계의 급지부로 자동 이송되어 후속공정이 수행된다.
이 실시예의 역반전기(300)는 이송부(3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송부(320)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가 회전수단(330)쪽으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60)를 더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이드부(360)는 이송부(320)로 이송되는 용지의 표면에 밀착되어 가이드하는 다수 쌍의 롤러 등을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가이드부(360)는 이송부(320)에 결합되어 이송부(320)와 동시에 틸트되거나 원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역반전기(300)는 상급지용 톰슨기계에 적용됨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하급지용 톰슨기계에 적용되는 역반전기(100)에 비해 그 구성관계가 간단한다. 이 실시예의 역반전기(300)를 구성하는 공급부(310), 이송수단(370), 이송부(320) 및 회전수단(33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공급부(110), 이송수단(170), 제1 이송부(120), 회전수단(130)과 그 구성 및 작동관계가 동일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역반전기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200, 300 : 역반전기 110, 210, 310 : 공급부
120, 220 : 제1 이송부 130, 230, 330 : 회전수단
140, 240 : 제2 이송부 150 : 제3 이송부
160 : 제4 이송부 170, 270, 370 : 이송수단
250 : 적재부 260 : 이동수단
320 : 이송부 340 : 제1 적재부
350 : 제2 적재부 360 : 가이드부

Claims (8)

  1. 일정 수량씩 교번하여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1장(낱장)씩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1장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사선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용지를 순차적으로 수평 이송시키거나 하부쪽으로 그대로 낙하하도록 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를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시켜 역반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정방향으로 역반전된 용지를 상기 제1 이송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공급부에서 낙하하거나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낱장의 용지를 일정량 적재하거나 적재하면서 상기 제2 이송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되도록 하는 제3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3 이송부에 적재되거나 적재되는 용지를 하부부터 순차적으로 톰슨기계의 급지부에 적재되도록 상기 제2 이송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제4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반전기.
  2. 일정 수량씩 교번하여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1장(낱장)씩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1장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사선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용지를 순차적으로 수평 이송시키거나 하부쪽으로 그대로 낙하하도록 하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를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시켜 역반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정방향으로 역반전된 용지를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이송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공급부에서 낙하하거나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낱장의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적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반전기.
  3. 일정 수량씩 교번하여 적재된 용지모듈의 용지를 1장(낱장)씩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1장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사선방향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2장의 용지 일부분씩이 상하로 겹쳐진 상태로 공급되는 용지를 순차적으로 수평 이송시키거나 하부쪽으로 그대로 낙하하도록 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낱장의 용지를 로터리 방식으로 회전시켜 역반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정방향으로 역반전된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공급부에서 낙하하는 낱장의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제2 적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반전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선행하는 선행 용지의 뒷부분과 후행하는 후행 용지의 앞부분의 일부분씩이 서로 간에 겹쳐지되, 선행 용지가 상부에 후행 용지가 하부에 위치하여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반전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구동롤러와 피동롤러로 구성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저속회전 및 고속회전이 가능해, 용지를 저속이송 및 고속이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반전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중앙에 위치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사각 단면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코너에 각각 형성되어 낱장의 용지를 각각 거치하는 다수개의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반전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표면과의 사이에 낱장의 용지가 삽입되어 거치된 후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갖도록 상기 지지대의 코너에서 표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반전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부는 용지의 규격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이송부와 상기 제4 이송부가 서로 간에 수평방향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3 이송부에 안착된 용지의 일부분이 상기 제4 이송부에 안착되어, 용지가 상기 제4 이송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3 이송부에서 상기 제4 이송부 쪽으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반전기.
KR1020220132505A 2021-10-14 2022-10-14 역반전기 KR202300535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36530 2021-10-14
KR1020210136530 2021-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540A true KR20230053540A (ko) 2023-04-21

Family

ID=8609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505A KR20230053540A (ko) 2021-10-14 2022-10-14 역반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35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69351A1 (en) Automatic stacking device
JPH03256925A (ja) 平らな製品のパイルのパレットに対する積下し方法と、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4824775B2 (ja) 平坦な物体を丁合いするためおよび丁合いされた物体をさらに搬送するための装置
JPH09360U (ja) バッチ成形機械
JP2016132474A (ja) 包装開梱処理装置
US8418834B2 (en) Prefeeding corrugated boards to box finishing machines
CN216154688U (zh) 纸箱码垛机
US3764024A (en) Automatic vertical feeding machine for vertical stacking of carton blanks of the like
KR102005852B1 (ko) 골판지 시트의 와프방지를 위한 적재장치
KR20230053540A (ko) 역반전기
JP2000233824A (ja) 積み重ねシートの搬送装置
CN107601131A (zh) 一种新型蓄纸输纸装置及蓄纸输纸方法
EP0033799A1 (en) Conveying apparatus for sheet-like articles
CN211495871U (zh) 一种全自动上料机
US4986731A (en) Sheet handling apparatus
EP0841269B1 (en) Stacked-container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CN216583018U (zh) 一种基于高适配性机械手的自动垛码机
JP2008156075A (ja) 給紙装置
JP4136159B2 (ja) 積み重ねシートの段積装置
CN215709517U (zh) 应用于啤机的自动送纸装置
JPH0416423A (ja) シート状物品の積込方法と積層装置
CN211894972U (zh) 自动旋转输送台
CN220500067U (zh) 一种纸箱原料上料系统
CN216710701U (zh) 一种新型防跑偏带式给料机倒料机构
US11511941B2 (en) Discharge belt for a palleti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