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453A -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453A
KR20230051453A KR1020230045164A KR20230045164A KR20230051453A KR 20230051453 A KR20230051453 A KR 20230051453A KR 1020230045164 A KR1020230045164 A KR 1020230045164A KR 20230045164 A KR20230045164 A KR 20230045164A KR 20230051453 A KR20230051453 A KR 20230051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etermined
printing
printer
initial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노리 가와우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51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4Errors handling and recovery, e.g. re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1Testing, i.e. determining the result of a t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7Detecting, i.e.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st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이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동작될 때, 인쇄 장치의 포장이 제거된 후에 최초로 인쇄 장치를 턴 온시키는 사용자에 응답하여 실행되는 프로세스인, 인쇄 장치를 위한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비완료 상태에서 인쇄 장치에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에, 오류 정보를 기초로 인쇄 장치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그리고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이 정보 처리 장치에서 동작될 때, 인쇄 장치를 위한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완료 상태에서 인쇄 장치에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에, 통지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는 통지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 장치의 포장을 제거한 후에 최초로 인쇄 장치를 사용자가 턴 온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초기 설정 프로세스는 또한, 인쇄 장치가 최초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인쇄 장치를 복귀시키는 '공장 리셋' 또는 다른 프로세스 이후에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장치 내에서 발생된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정보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제3880243호는, 인쇄 장치가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시간 동안 인쇄 장치에서 발생된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정보 처리 장치를 설명한다.
인쇄 장치에서 발생된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점점 더 많이 보급됨에 따라, 인쇄 장치에서 발생된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위한 더 적절한 통지 방법이 점점 더 많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쇄 장치에서 발생된 오류의 적절한 통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인쇄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한 방법은 인쇄 장치 내에서 발생된 오류와 관련된 오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이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동작될 때 인쇄 장치를 위한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비완료(non-completion) 상태에서 인쇄 장치 내에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에, 오류 정보를 기초로 인쇄 장치 내에서 발생된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이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동작될 때 인쇄 장치를 위한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완료 상태에서 인쇄 장치 내에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에, 통지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통신 장치의 외부 외관을 도시한다.
도 3은 통신 장치의 초기 설정을 위해서 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상태 체크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되는 해결책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는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더 명확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에 의해서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 아님을 주목하여야 한다.
제1 실시예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통신 장치를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개인용 컴퓨터(PC)는 정보 처리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정보 처리 장치의 예는 모바일 단말기, 노트북 PC, 태블릿 단말기,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및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또한, 프린터는 통신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통신 장치의 예는,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프린터의 예는 잉크젯 프린터, 풀-컬러(full-color) 레이저 빔 프린터, 및 단색 프린터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의 다른 예는 복사기, 팩시밀리 기계,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 노트북 PC, 태블릿 단말기, PDA, 디지털 카메라, 음악 재생 디바이스, 및 텔레비전 세트를 포함한다. 다른 예는, 복사 기능, 팩시밀리(FAX) 기능, 및 인쇄 기능과 같은 다수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주변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PC A(100), PC B(130), 및 프린터(110)를 포함한다. PC A(100) 및 PC B(130)는 정보 처리 장치고, 프린터(110)는 통신 장치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2개의 정보 처리 장치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양(both) PC이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가 PC일 수 있고, 다른 정보 처리 장치가 스마트폰일 수 있다.
PC A(100)는 중앙 처리 유닛(CPU)(101), 리드-온리 메모리(ROM)(102),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입력 인터페이스(I/F)(105), 범용 직렬 버스(USB) I/F(106), 및 네트워크 I/F(107)를 포함한다.
CPU(101)는 시스템 제어 유닛이고, PC A(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ROM(102)은, CPU(101)에 의해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표, 및 내장형 운영 시스템(이하에서 OS로 지칭됨) 프로그램과 같은, 고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ROM(1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은, ROM(102)에 저장된 내장형 OS의 관리하에서, 스케쥴 관리, 과제 스위칭, 및 프로세싱 중단과 같은,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실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ROM(102)은,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을 실시하기 위한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더 저장한다.
RAM(103)은, 예를 들어,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에 의해서 구성된다. RAM(103)은 데이터 백업 일차 배터리(미도시)의 이용에 의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에 따라 프로그램 제어 변수와 같은 중요 데이터를, 휘발(volatilization)이 없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RAM(103)은 PC A(100)의 설정 정보, PC A(100)의 관리 데이터, 및 기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지역을 구비한다. RAM(103)은 또한 CPU(101)를 위한 주 메모리 및 작업 메모리로서 이용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는 발광 다이오드(LED),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기타에 의해서 구성되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또는 PC A(10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용하기 위해서, 수치 입력 키, 모드 설정 키, 설정 키, 취소 키, 및 파워 키와 같은 키를 포함하는 소프트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 I/F(105)는 데이터의 입력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명령을 수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입력 I/F(105)는 물리적 키보드, 버튼, 터치 패널, 또는 기타에 의해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및 입력 I/F(105)가 동일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동일 구성으로 화면을 출력하도록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동작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SB I/F(106)는 USB를 통해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USB I/F(106)는 USB 케이블(150)을 통해서 프린터(110)에 포함된 USB I/F(117)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I/F(107)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Wi-Fi(Wireless Fidelity)(등록 상표)가 네트워크 I/F(107)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이용된다. 대안적으로, Bluetooth Classic(등록 상표) 또는 기타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대신, 유선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I/F(107)는, PC B(130) 또는 프린터(110)와 통신하기 위해서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연결부(151)를 통해서 근거리 네트워크(LAN)(152)에 연결된다. PC B(130)이외의 정보 처리 장치 또는 프린터(110) 이외의 통신 장치가 LAN(152)에 연결될 때, 네트워크 I/F(107)는 또한 PC B(130) 또는 프린터(110) 이외의 정보 처리 장치 또는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PC A(100)는 USB I/F(106) 및 네트워크 I/F(107)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다른 부가적인 인터페이스를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인터페이스의 예는, 근거리 통신(NFC) 및 Bluetooth Low Energy(등록 상표)와 같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PC B(130)는 PC A(100)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PC B(130)는 또한 네트워크 I/F를 이용함으로써 네트워크 연결부(154)를 통해 LAN(152)에 연결된다.
프린터(110)는 CPU(111) ROM(112), RAM(1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4), 입력 I/F(115), 인쇄 유닛(116), USB I/F(117), 및 네트워크 I/F(118)를 포함한다.
CPU(111)는 시스템 제어 유닛이고, 프린터(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ROM(112)은, CPU(111)에 의해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표, 및 내장형 OS 프로그램과 같은, 고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ROM(11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은, ROM(112)에 저장된 내장형 OS의 관리하에서, 스케쥴 관리, 과제 스위칭, 및 프로세싱 중단과 같은,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실시한다.
RAM(113)은, 예를 들어,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SRAM에 의해서 구성된다. RAM(113)은 데이터 백업 일차 배터리(미도시)의 이용에 의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에 따라 프로그램 제어 변수와 같은 중요 데이터를, 휘발이 없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RAM(113)은 프린터(110)의 설정 정보, 프린터(110)의 관리 데이터, 및 기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지역을 구비한다. RAM(113)은 또한 CPU(111)를 위한 주 메모리 및 작업 메모리로서 이용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4)는 LED, LCD, 또는 기타에 의해서 구성되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또는 프린터(11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4)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용하기 위해서, 수치 입력 키, 모드 설정 키, 설정 키, 취소 키, 및 파워 키와 같은 키를 포함하는 소프트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 I/F(115)는 데이터의 입력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명령을 수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입력 I/F(115)는 물리적 키보드, 버튼, 터치 패널, 또는 기타에 의해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4) 및 입력 I/F(115)가 동일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동일 구성으로 화면을 출력하도록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동작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쇄 유닛(116)은, 잉크와 같은 기록제를 이용함으로써, USB 케이블(150) 또는 LAN(152)을 통해서 PC A(100) 또는 PC B(130)로부터 수신된 인쇄 작업에 따라 종이 용지와 같은 기록 매체 상에서 화상을 형성하고, 인쇄 결과를 출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쇄 유닛(116)은 잉크젯 방법의 이용에 의해서 인쇄를 실행한다. 따라서, 인쇄 유닛(116)은, 잉크를 토출하는 인쇄헤드를 포함한다.
USB I/F(117)는 USB를 통해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I/F(118)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Wi-Fi(등록 상표)가 네트워크 I/F(118)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이용된다. 대안적으로, Bluetooth Classic(등록 상표) 또는 기타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대신, 유선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I/F(118)는, PC A(100) 또는 PC B(130)와 통신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연결부(153)를 통해 LAN(152)에 연결된다. PC A(100) 또는 PC B(130) 이외의 정보 처리 장치가 LAN(152)에 연결될 때, 네트워크 I/F(118)는 PC A(100) 또는 PC B(130) 이외의 정보 처리 장치 또는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프린터(110)는 USB I/F(117) 및 네트워크 I/F(118)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다른 부가적인 인터페이스를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인터페이스의 예는, NFC 및 Bluetooth Low Energy(등록 상표)와 같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도 2a는 프린터(110)의 외부 외관을 도시한다. 프린터(110)는 하우징(200), 파워 버튼(201), 시작 버튼(202), 급지 트레이(203), 배지 트레이(204), 접근 커버(205), 및 개구부(206)를 포함한다. 접근 커버(205)는, 접근 커버(205)가 개구부(206)를 덮는 폐쇄 위치와 접근 커버(205)가 개구부(206)를 덮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이동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개구부(206)로부터 볼 수 있는, 프린터(110)의 내측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접근 커버(205)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켜 개구부(206)를 노출시킴으로써, 프린터(110)의 내측에 접근할 수 있다. 프린터(110)의 내측에는 잉크 홀더(210), 샤프트(211), 급지 롤러(212), 및 고정 부재(221)가 위치된다.
잉크 카트리지를 유지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잉크 홀더(210)가 샤프트(211)를 따라서 좌우로 이동되어 인쇄를 실시한다. 인쇄가 실시되는 용지가 급지 롤러(212)에 의해서 급지된다. 고정 부재(221)는, 프린터(110)의 운송 중에 잉크 홀더(210)가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잉크 홀더(210)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2c는, 포장 상자로부터 방금 꺼낸 프린터(110)를 도시한다. 프린터(110)의 운송 중에 접근 커버(205)가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근 커버(205)는 포장 테이프(220)로 테이핑 작업된다.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
프린터(110)가 포장 상자로부터 제거된(꺼내진) 후에, 프린터(110)가 인쇄를 시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이제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프린터(110)를 위한 초기 설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세스(S300 내지 S308) 및 프린터(110)에 의해서 실행되는 초기 설정 프로세스(S310 내지 S317)를 도시한다. 도 3은 또한, 프린터(110)에 의해서 실행되는 초기 설정 프로세스 중에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에 따라 PC A(100)에 의해서 실행되는 통지 프로세스(S320 내지 S330)를 도시한다. 프린터(110)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ROM(112)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제로 RAM(113) 내로 읽어 내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11)에 의해서 실시된다. PC A(100)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ROM(102) 내에 저장된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실제로 RAM(103) 내로 읽어 내고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실행하는 CPU(101)에 의해서 실시된다.
첫 번째로, 프린터(110)의 설정을 시작할 때(S300), 사용자는 잉크 홀더(210)을 위한 고정 부재(221) 및 포장 테이프(220)를 프린터(110)로부터 제거한다(S301). 이어서, 사용자는 프린터(110)의 파워 버튼(201)을 눌러 프린터(110)를 켠다(S302). 이어서, 사용자는 프린터(110)의 접근 커버(205)를 개방하고(S303), 잉크 카트리지를 프린터(110)에 부착한다(S304). 이어서, 사용자는 접근 커버(205)를 폐쇄한다(S305). 그 후에, 사용자는 인쇄헤드 정렬 조정 프로세스를 준비하기 위해서 급지 트레이(203) 내에서 용지를 설정하고(S306), 이어서 시작 버튼(202)을 누른다(S307). 따라서, 프린터(110)는 인쇄헤드 정렬 조정을 시작한다. 인쇄헤드 정렬 조정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는 프린터(110)의 설정을 종료한다(S308).
프린터(110)가 S302에서 턴 온되었을 때, 프린터(110)는 초기 설정 프로세스(S310)를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프린터(110)가 턴 온되었을 때, 프린터(110)는,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initial-setting-in-progress flag)가 오프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가 오프가 아니라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에, 프린터(110)는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가 오프라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에, 프린터(110)는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시작하지 않는다.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는,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가 오프로 유지되지 않을 때, 프린터(110)의 턴 온에 응답하여 턴 온되는 플래그이다. 프린터(110)를 위한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완료 시에,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가 턴 오프된다. 따라서,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완료 상태에서 프린터(110)가 턴 온될 때에도, 초기 설정 프로세스는 실행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는 또한,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초기 설정 프로세스가 그러한 제어 하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초기 설정 프로세스는, 다시 말해서, 프린터(110)의 포장을 해체한 후에 최초로 프린터(110)를 턴 온하는 사용자에 응답하여 실행되는 프로세스이다. 초기 설정 프로세스가 시작될 때, 프린터(110)는, RAM(113) 또는 기타에 저장되고 그 내부에서 관리되는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를 턴 온시킨다(S311).
이어서, 프린터(110)는 PC A(100)에 대한 연결을 준비한다(S312). 구체적으로, 프린터(110)는 여러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고, USB 케이블(150) 또는 네트워크 연결부(153)를 통한 PC A(100)에 대한 연결을 준비한다.
이어서, 프린터(110)는 초기화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초기화 프로세스에서, 잉크 홀더(210)가 제 위치에 놓이도록, 프린터(110)는 잉크 홀더(210)의 이동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는 프린터(110)가 초기화 프로세스를 완료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프린터(110)가 초기화 프로세스를 시작할 때, 프린터(110)는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오류를 검출한다. 이어서,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에 따라 이루어진 정보 획득 요청에 응답하여, 프린터(110)가 PC A(100)에 연결된 경우에, 프린터(110)는 검출된 오류와 관련된 오류 정보를 PC A(100)에 전송한다. 오류 정보를 수신하면, PC A(100)는, 오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통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다양한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류의 예가 고정 부재 비제거 오류 및 커버-개방 오류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 비제거 오류는 잉크 홀더(210)용 고정 부재(221)가 S301에서 제거되지 않았을 때 유발된다. 커버-개방 오류는 접근 커버(205)가 개방되어 유지될 때(접근 커버(205)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유발된다. 고정 부재 비제거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경우에, PC A(100)는 통지 화면을 이용함으로써 고정 부재 비제거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321). 커버-개방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경우에, PC A(100)는 통지 화면을 이용함으로써 커버-개방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322). 오류가 발생되지 않거나 발생된 오류가 사용자 동작에 의해서 해소된 경우에, 프린터(110)는 초기화 프로세스를 완료한다(S313).
초기화 프로세스의 완료 후에, 프린터(110)는 인쇄헤드 세정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인쇄헤드 세정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프린터(110)에 부착된 잉크 카트리지로부터의 잉크로 인쇄헤드를 충전하는 프로세스, 및 인쇄헤드 내의 잉크 토출 포트를 세정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는 프린터(110)가 세정 프로세스를 완료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프린터(110)가 세정 프로세스를 시작할 때, 프린터(110)는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오류를 검출한다. 이어서,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에 따라 이루어진 정보 획득 요청에 응답하여, 프린터(110)가 PC A(100)에 연결된 경우에, 프린터(110)는 검출된 오류와 관련된 오류 정보를 PC A(100)에 전송한다.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류의 예는 커버-개방 오류 및 잉크 비-부착 오류(잉크-없음 오류)를 포함한다. 잉크 비-부착 오류는 잉크 카트리지를 프린터(110)에 부착하지 않은 것에 의해서 유발된다. 커버-개방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경우에, PC A(100)는 통지 화면을 이용함으로써 커버-개방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323). 잉크 비-부착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경우에, PC A(100)는 통지 화면을 이용함으로써 잉크 비-부착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324). 프린터(110)가 세정 프로세스를 완료하는데 몇 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프린터(110)는, 세정 프로세스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통지 정보를 PC A(100)에 전송한다. 이어서, PC A(100)는, 프린터(110)가 세정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통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325). 오류가 발생되지 않거나 발생된 오류가 사용자 동작에 의해서 해소된 경우에, 프린터(110)는 인쇄헤드 세정 프로세스를 완료한다(S314).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에 의해서, 프린터(110)는, 인쇄헤드로부터 토출된 잉크가 용지 상에 정착되는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정렬 조정 프로세스를 완료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세정 프로세스의 완료 후에, 프린터(110)는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오류를 검출한다. 이어서,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에 따라 이루어진 정보 획득 요청에 응답하여, 프린터(110)가 PC A(100)에 연결된 경우에, 프린터(110)는 검출된 오류와 관련된 오류 정보를 PC A(100)에 전송한다.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류의 예는 커버-개방 오류, 잉크 비-부착 오류, 및 종이-없음 오류를 포함한다. 종이-없음 오류는 급지 트레이(203) 내에 용지가 설정되지 않았을 때 유발된다. 커버-개방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경우에, PC A(100)는 통지 화면을 이용함으로써 커버-개방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326). 잉크 비-부착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경우에, PC A(100)는 통지 화면을 이용함으로써 잉크 비-부착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327).
그 후에, 프린터(110)는 사용자가 시작 버튼(202)을 누를 때까지 대기한다. 이어서, 프린터(110)는, 프린터(110)가 시작 버튼(202)의 누름을 대기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프린터(110)가 PC A(100)에 연결된 경우에, 프린터(110)가 대기 모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PC A(100)에 전송한다. 이어서, PC A(100)는, 프린터(110)가 대기 모드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통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328).
시작 버튼(202)이 사용자에 의해서 눌릴 때, 프린터(110)는 인쇄헤드 정렬 조정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정렬 조정 프로세스의 시작 후에도, 프린터(110)는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 정보를 PC A(1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종이-없음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경우에, PC A(100)는 통지 화면을 이용함으로써 종이-없음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329). 오류가 발생되지 않거나 발생된 오류가 사용자 동작에 의해서 해소된 경우에, 프린터(110)는 정렬 조정 프로세스를 완료한다(S315).
정렬 조정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프린터(110)는, RAM(113) 또는 기타에 저장되고 그 내부에서 관리되는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를 턴 오프시키고(S316), 이어서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S317). 따라서, 프린터(110)는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작업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4)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입력된 인쇄 작업에 따라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PC A(100)의 초기 설정
프린터(110)의 이용을 위해서, PC A(100)가 프린터(110)에 대해서 인쇄 실시를 명령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PC A(100)의 초기 설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PC A(100)의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이제 설명할 것이다.
PC A(100)의 초기 설정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완료 상태에서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프린터(110)의 판매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설명 매뉴얼은,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가 PC A(100)의 초기 설정을 실행할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는,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비완료 상태에서, PC A(100)의 초기 설정을 시작할 수 있다.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비완료는, 프린터(110)가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PC A(100)의 초기 설정이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비완료 상태에서 시작되는 경우에, 오류 정보가 프린터(110)로부터 PC A(100)로 전송될 수 있다.
PC A(100)의 초기 설정 중의 프린터(110)로부터 PC A(100)로의 오류 정보의 전송은, PC A(100)의 초기 설정이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비완료 상태에서 시작되는 상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PC A(100)의 초기 설정이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완료 상태에서 시작되는 상황에서도, 오류 정보가 프린터(110)로부터 PC A(100)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초기 설정이 완료된 프린터(110)가 인쇄를 실시하도록 PC B(130)로부터 명령을 받는 것으로서, 이러한 것이 프린터(110)에서 오류를 유발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PC A(100)의 초기 설정이 시작되는 경우에, 오류 정보가 프린터(110)로부터 PC A(100)에 전송될 수 있다.
PC A(100)의 초기 설정이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비완료 상태에서 시작되는 상황에서, PC A(100)의 사용자가,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완료 전에 프린터(110) 내에서 유발되는 오류를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PC A(100)의 초기 설정이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비완료 상태에서 시작되는 상황에서, PC A(100)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조적으로, PC A(100)의 초기 설정이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완료 상태에서 시작되는 상황에서, PC A(100)의 사용자가, 프린터(110) 내에서 유발된 오류를 반드시 해소할 필요는 없다. 즉, PC A(100)의 초기 설정이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완료 상태에서 시작되는 상황에서, PC A(100)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사용자에게 반드시 통지할 필요는 없다. 이는,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완료 상태에서, PC A(100)의 사용자가 오류의 해소보다 PC A(100)의 초기 설정의 완료를 우선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또한, PC A(100)를 위한 초기 설정 프로세스는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의 이용에 의해서 실행되고,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테스트 인쇄 이외의 정상 인쇄를 실시하도록 프린터(110)에 명령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다. 테스트 인쇄는 테스트 인쇄를 위한 미리결정된 화상(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지 않는 화상)의 인쇄인 반면, 테스트 인쇄 이외의 정상 인쇄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화상의 인쇄이다. 즉,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은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 및 PC A(100)의 초기 설정의 완료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정상 인쇄를 실시하도록 프린터(110)에 명령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아니다. 따라서, 프린터(110) 내의 오류의 발생은, 적어도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는 한,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실행하는 PC A(100)의 사용자에게 중요하지 않고, 사용자가 그러한 오류를 반드시 즉각적으로 해소할 필요는 없다. 또한, PC A(100)에서 동작되는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은 테스트 인쇄 명령만을 제공하고(정상 인쇄 명령은 제공하지 않고), 그에 따라 프린터(110)의 상태 정보가 얻어지는 타이밍 이전에 인쇄를 실시하도록 프린터(110)에 명령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완료 상태에서 유발되는 오류는 PC A(100)에 의해서 유발되는 오류일 가능성이 낮다. 즉,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완료 상태에서 유발되는 오류는, 정상 인쇄를 실시하도록 프린터(110)에 명령하는 PC B(130)에 의해서 유발되는 오류일 가능성이 더 높다.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오류가 PC B(130)에 의해서 유발된 오류인 경우에, PC B(130)의 사용자가 프린터(110) 내에서 유발된 오류를 해소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PC A(100)는 통지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PC A(100)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지의 여부가,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어되는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도 4는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에 따라 PC A(100)에 의해서 실행되는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ROM(102) 내에 저장된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RAM(103) 내로 읽어 내고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실행하는 CPU(101)에 의해서 실시된다. 이러한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이 PC A(100) 상에서 시작될 때, 시작된다.
첫 번째로, S401에서, CPU(101)는 프린터(110) 및 PC A(10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CPU(101)는, PC A(100)가 USB 또는 LAN을 통해서 연결되는 프린터(110)를 탐색한다. 대안적으로, CPU(101)는 프린터(110)로부터 방출되는 Wi-Fi 비컨(beacon)을 탐색하고 프린터(110)를 찾는다. 이어서, CPU(101)는 발견된 프린터(110) 및 PC A(100)를 연결한다. PC A(100)는 USB 또는 Wi-Fi를 통해서 프린터(1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 후에, CPU(101)는, 프린터(110)가 발견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발견된 프린터(110)가 PC A(100)로부터 이용될 수 있도록 설정을 실시할 지의 여부를 묻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확인 화면(500)(도 5a)을 디스플레이한다. 확인 화면(500) 상의 '다음' 버튼(501)이 눌릴 때, CPU(101)는 프린터(110) 및 PC A(100)를 연결하고, 이어서 S402로 진행한다.
S402에서, CPU(101)는 프린터(110)에 상응하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CPU(101)는 프린터(110)로부터 또는 인터넷으로부터 프린터 드라이버를 획득할 수 있고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의 설치 중에, CPU(101)는 설치 화면(510)(도 5b)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디스플레이한다. 설치 화면(510)은, 설치 프로세스 내의 진행을 나타내는 진행 막대(511)를 포함한다. 설치가 완료될 때, CPU(101)는 S403으로 진행한다. 이 때, 예를 들어, 예를 들어 프린터(110)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상태 모니터 또는 프린터(110)의 유지보수를 위한 유틸리티(utility)에 관한 프로그램이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와 함께 PC A(1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S403에서, CPU(101)는 프린터(110)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프린터 상태 체크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관한 상세 내용은 도 6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프린터 상태 체크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CPU(101)는 S404로 진행한다.
S404에서, CPU(101)는, 프린터(110)가 PC A(10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인쇄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서 테스트 인쇄를 실시하도록 프린터(110)에 명령하기 위한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에서, 첫 번째로, CPU(101)는 테스트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수용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명령 화면(530)(도 5d)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에 의한 '다음' 버튼(532)의 누름을 수신하면, CPU(101)는, 테스트 인쇄를 실시하기 위해서 프린터(110)에 명령하지 않고,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기초로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다른 한편으로, '실행' 버튼(531)의 누름을 수신하면, CPU(101)는 S401에서 확립된 연결을 통해서 테스트 인쇄를 실시하도록 프린터(110)에 명령한다. S401 및 S402의 프로세싱이 정확하게 완료된 경우에, 테스트 인쇄 명령이 프린터(110)에 정확하게 전송된다. 테스트 인쇄 명령에 응답하여, 프린터(110)는 테스트 인쇄를 위해서 미리결정된 인쇄 데이터를 기초로 인쇄를 실행한다. 테스트 인쇄의 완료는, 사용자가 PC A(100)와 프린터(110) 사이의 정확한 연결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예를 들어,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경우에, 테스트 인쇄는 실행되지 않고, 그에 따라 프린터(110)는 오류 정보를 PC A(100)에 전송한다. CPU(101)는,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에 따른 오류 정보를 기초로, 또는 S402에서 프린터 드라이버와 함께 설치된 상태 모니터 또는 기타를 이용함으로써, 통지를 제공할 수 있다. 프린터(110)로부터 테스트 인쇄의 완료에 관한 통지를 수신하면, CPU(101)는 완료 화면(540)(도 5e)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디스플레이한다. 즉, CPU(101)는, 프린터(110)의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것 그리고 프린터(110)가 PC A(10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완료 화면(540) 상에서 '종료' 버튼(541)이 눌릴 때, CPU(101)는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기초로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도 6은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에 따라 PC A(100)에 의해서 실행되는 상태 체크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ROM(102) 내에 저장된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RAM(103) 내로 읽어 내고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실행하는 CPU(101)에 의해서 실시된다. 즉, 이러한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은 PC A(100) 상에서 동작된다. 이러한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S403의 프로세싱에 상응한다.
첫 번째로, S601에서, CPU(101)는, 프린터(110)로부터, 프린터(11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프린터(110)의 상태 정보는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에 관한 오류 정보, 프린터(110)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 정보,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의 상태에 관한 정보, 및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얻어진 상태 정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오류 정보 및 통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얻어진 상태 정보는,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가 오프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지 않았다면, 얻어진 상태 정보는,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가 온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서, S602에서, CPU(101)는, 수신된 상태 정보가 오류 정보 및 통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포함하는 것(YES)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S603로 진행한다. 포함하지 않는 것(NO)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이러한 흐름도 내의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이어서 S404로 진행한다.
S603에서, CPU(101)는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S316의 플래그-오프 프로세싱 후에)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가 오프인 경우에, CPU(101)는,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결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S311의 플래그-온 프로세싱으로부터 S316의 플래그-오프 프로세싱으로의 프로세싱 중에)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가 온인 경우에, CPU(101)는,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것을 결정한다. 만약 그러한 것(YES)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이러한 흐름도 내의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이어서 S404로 진행한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완료 후에,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경우에도, CPU(101)는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은 것(NO)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S604로 진행한다. S603의 결정은 S602이 결정 전에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이 S603에서 결정된다면, S604의 프로세싱은, S602의 프로세싱의 실행이 없이, 실행될 수 있다.
S604에서, CPU(101)는,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 또는 프린터(110)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S601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통지 화면(520)(도 5c)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디스플레이한다. 통지 화면(520)은 '해결책' 버튼(521), '건너뛰기' 버튼(522), 및 '다음' 버튼(523)을 포함한다. '해결책' 버튼(521)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한 버튼이다. '건너뛰기' 버튼(522)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를 해소하지 않고, 사용자가 다음 프로세스로 진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버튼이다. '다음' 버튼(523)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를 해소한 후에, 사용자가 다음 프로세스로 진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버튼이다. 통지 화면(520) 상의 "지원 번호(support No.)"는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의 유형 또는 프린터(110)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사용자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의 유형을 통지받지 않을 수 있으나, 프린터(110) 내의 오류의 발생을 단순히 통지받을 수 있다.
S605에서, CPU(101)는, 통지 화면(520) 상의 임의의 버튼이 눌렸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한 것(YES)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S606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것(NO)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S605의 프로세싱을 다시 실행한다.
S606에서, CPU(101)는, 통지 화면(520) 상에서 눌린 버튼의 유형을 결정한다. 통지 화면(520) 상에서 눌린 버튼이 '해결책' 버튼(521)이라면, CPU(101)는 S607로 진행한다. 통지 화면(520) 상에서 눌린 버튼이 '건너뛰기' 버튼(522)이라면, CPU(101)는 이러한 흐름도 내의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이어서 S404로 진행한다. 통지 화면(520) 상에서 눌린 버튼이 '다음' 버튼(523)이라면, 프린터(110) 내에서 유발된 오류가 해소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프린터(110)에 의해서 실행된 프로세스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서, CPU(101)는 S601로 복귀한다.
S607에서, CPU(101)는 웹 브라우저를 시작하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함으로써, 해결책 화면(700)(도 7a)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디스플레이한다. '해결책' 화면(700)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을 설명하는 웹 콘텐츠이다. 도 7a에 도시된 해결책 화면(700)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커버-개방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화면이다. 커버-개방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커버를 닫도록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화면(701)이 해결책 화면(700)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해결책 화면(700)의 콘텐츠는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오류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웹 브라우저 상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입력이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오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S607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콘텐츠(711)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더 구체적인 해결 절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해결책 화면(71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CPU(101)는 해결책 화면을,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대신,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해결책 화면을 나타내는 웹 브라우저가 닫힐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통지 화면(520)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CPU(101)는 S605로 복귀되고, 통지 화면(520) 상의 사용자 동작을 기다린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그에 따라, PC A(100)의 초기 설정이 (프린터(110)에 의해서 실행되는 초기 설정 중의)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비완료 상태에서 실행될 때, PC A(100)는 프린터(110) 내에서 유발되는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대조적으로, PC A(100)의 초기 설정이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완료 상태에서 실행될 때, PC A(100)는 프린터(110) 내에서 유발된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지 않는다. 이는, PC A(100)의 사용자가 필요 정보를 통지받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는, 덜 필수적인 정보가 PC A(100)의 사용자에게 통지되는 경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기본 인쇄 장치를 동작시킬 때, 사용자의 체험 및 PC A(100)와의 상호 작용의 효율성을 개선한다.
비록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의 완료 상태에서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를 통해서, PC A(100)에 의해서 실행되는 초기 설정 중에 PC A(100)가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지 않는 것을 가정한다. 이어서, PC A(100)의 초기 설정의 완료 직후에 프린터(11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PC A(100)의 사용자가 정상 인쇄를 실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프린터(110) 내에서 오류가 여전히 발생되는 것으로 인해서, PC A(100)의 사용자는 프린터(110)의 이용에 의한 정상 인쇄를 실행할 수 없다. 그러나, 정상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S402에서 설치된 프로그램)은 정상 오류 통지 기능을 갖는다. 정상 오류 통지 기능은, PC A(100)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경우에 통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전술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에 따라 오류를 통지 받지 않으나, 정상 인쇄 통지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 오류를 통지 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또한, 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는 다양한 유형의 오류 정보로 분리되어 존재한다. 이는, 프린터(110)가, 초기 설정 및 초기 설정 이외의 동작 모두 중에, 다양한 유형의 오류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제2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서, PC A(100)는,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에서 프린터(110)의 상태를 체크하지 않고, 테스트 인쇄 명령을 프린터(110)에 전송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프린터(110)의 상태가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에서 체크된 후에, 테스트 인쇄 명령이 프린터(110)에 전송되는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과 유사하다.
도 8은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에 따라 PC A(100)에 의해서 실행되는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ROM(102) 내에 저장된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RAM(103) 내로 로딩하고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실행하는 CPU(101)에 의해서 실시된다. 또한, 이러한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가, 제1 실시예에 따른 S404의 프로세싱 대신 실행된다.
첫 번째로, S801에서, CPU(101)는 테스트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수용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명령 화면(530)(도 5d)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S802에서, CPU(101)는, 명령 화면(530) 상의 임의의 버튼이 눌렸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한 것(YES)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S803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것(NO)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S802의 프로세싱을 다시 실행한다.
이어서, S803에서, CPU(101)는, 명령 화면(530) 상에서 눌린 버튼의 유형을 결정한다. 명령 화면(530) 상에서 눌린 버튼이 '실행' 버튼(531)이라면, CPU(101)는 S804로 진행한다. 명령 화면(530) 상에서 눌린 버튼이 '다음' 버튼(532)이라면, CPU(101)는 이러한 흐름도에서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어서, S804에서, CPU(101)는, 프린터(110)로부터, 프린터(11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이어서, S805에서, CPU(101)는, 수신된 상태 정보가 오류 정보 및 통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한 것(YES)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S806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것(NO)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S810으로 진행한다.
S806에서, CPU(101)는,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 또는 프린터(110)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S804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명령 화면(530) 상에서 통지 화면(550)(도 5f)을 디스플레이한다. 통지 화면(550)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해결책' 버튼(551), 및 'OK' 버튼(552)을 포함한다. 통지 화면(520)과 달리, 통지 화면(550)은 '건너뛰기' 버튼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가 해소되지 않는 한, 프린터(110)가 테스트 인쇄를 실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통지 화면(550)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의 유형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거나, 프린터(110) 내의 오류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단순히 통지할 수 있다.
S807에서, CPU(101)는, 통지 화면(550) 상의 임의의 버튼이 눌렸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한 것(YES)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S808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것(NO)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S807의 프로세싱을 다시 실행한다.
S808에서, CPU(101)는, 통지 화면(550) 상에서 눌린 버튼의 유형을 결정한다. 통지 화면(550) 상에서 눌린 버튼이 '해결책' 버튼(551)이라면, CPU(101)는 S809로 진행한다. 통지 화면(550) 상에서 눌린 버튼이 'OK' 버튼(552)이라면, 프린터(110) 내에서 유발된 오류가 해소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프린터(110)에 의해서 실행된 프로세스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서, CPU(101)는 S803으로 복귀한다.
S809에서, CPU(101)는 웹 브라우저를 시작하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함으로써, 해결책 화면(700)(도 7a)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디스플레이한다. '해결책' 화면(700)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을 설명하는 웹 콘텐츠이다. 해결책 화면을 나타내는 웹 브라우저가 닫힐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통지 화면(550)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CPU(101)는 S807로 복귀되고, 통지 화면(550) 상의 사용자 동작을 기다린다.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되지 않거나 프로세스가 프린터(110)에 의해서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S810에서, CPU(101)는 테스트 인쇄를 실시하도록 프린터(110)에 명령한다. S401 및 S402의 프로세싱과 같은 프로세싱이 정확하게 완료된 경우에, 테스트 인쇄 명령이 프린터(110)에 정확하게 전송되고, 프린터(110)는 테스트 인쇄를 실행한다. 프린터(110)에 의한 테스트 인쇄의 완료에 관한 통지를 프린터(110)로부터 수신하면, CPU(101)는 S811로 진행한다.
S811에서, CPU(101)는, 프린터(110)의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완료 화면(540)(도 5e)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4) 상에서 디스플레이한다. 완료 화면(540) 상에서 '종료' 버튼(541)이 눌릴 때, CPU(101)는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기초로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그에 따라,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는, 프린터(110)의 상태가 체크된 후에 실행된다. 따라서, 오류가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경우에, 사용자는 오류를 통지받을 수 있다. 이는, 오류의 발생으로 인해서, 프린터(110)가 테스트 인쇄를 완료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또한,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에서, 상태 체크 프로세스와 달리, 프린터(110)의 초기 설정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가 오프인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프린터(110) 내에서 유발된 오류의 통지가 제공된다. 이는 또한, 오류의 발생으로 인해서, 프린터(110)가 테스트 인쇄를 완료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PC A(100)는 PC A(100)에 의해서 실행되는 초기 설정 프로세스에서 테스트 인쇄 명령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통해서 PC A(100)로부터 이용될 수 있는 장치가 스캐너 기능을 갖는 경우에, PC A(100)는, 테스트 인쇄 명령 대신, 테스트 스캔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S403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통지 화면(520) 상에서 '건너뛰기' 버튼(522)이 선택되는 경우에, 테스트 스캔 명령을 제공하기 위한 테스트 스캔 프로세스는 실행되지 않는다.
제3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서, 통지 화면(520) 상에서 '건너뛰기' 버튼(522)이 선택되었을 때에도,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건너뛰기' 버튼(522)이 선택될 때, 프린터(110) 내에서 발생된 오류로 인해서, 테스트 인쇄 명령이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에서 제공되는 경우에도, 프린터(110)가 테스트 인쇄를 완료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건너뛰기' 버튼(522)이 통지 화면(520) 상에서 선택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른,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의 실행과 그 비-실행 사이의 스위칭을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과 유사하다.
도 9는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에 따라 PC A(100)에 의해서 실행되는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ROM(102) 내에 저장된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RAM(103) 내로 읽어 내고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실행하는 CPU(101)에 의해서 실시된다. 이러한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이 PC A(100) 상에서 시작될 때, 시작된다. 이러한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세스 대신 실행된다.
S901 내지 S903의 프로세싱은 S401 내지 S403의 프로세싱과 유사하고, 그에 따라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S904에서, CPU(101)는, S903에서 디스플레이된 통지 화면(520) 상에서 '건너뛰기' 버튼(522)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그러한 것(YES)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이러한 흐름도 내의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이어서 초기 설정 프로그램(108)을 기초로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즉, 그러한 것(YES)로 결정되면, CPU(101)는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그렇지 않은 것(NO)으로 결정되면, CPU(101)는 S905로 진행한다.
S905에서, CPU(101)는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여기에서 실행되는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또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프로세스일 수 있다.
통지 화면(520) 상의 '건너뛰기' 버튼(522)을 선택한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초기 설정을 즉각적으로 완료하는 것을 희망한다. 사용자의 희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통지 화면(520) 상에서 '건너뛰기' 버튼(522)이 선택될 때, 테스트 인쇄 프로세스의 실행이 없이 초기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110)가 테스트 인쇄를 완료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테스트 인쇄 명령이 프린터(110)에 제공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는, 프린터(110)가 초기 설정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된 플래그 정보(초기-설정-처리중 플래그)가, 오류 정보 또는 통지 정보와 다른 정보로서, PC A(100)에 전송되는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오류 정보 또는 통지 정보는 프린터(110)가 초기 설정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오류 정보 또는 통지 정보가 비트 정보(bit information)로서 구현될 수 있고, 프린터(110)가 초기 설정에 있는지의 여부는, 오류 정보 또는 통지 정보 내의 미사용 비트가 온 또는 오프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오류 정보 또는 통지 정보는 프린터(110)가 초기 설정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또한 이하의 프로세스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를 통해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되고, 시스템 또는 장치 내의 컴퓨터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그러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또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고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시스템 또는 기구의 컴퓨터에 의해서, 예를 들어,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저장 매체로부터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판독하고 실행하는 것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시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시되는 방법에 의해서 또한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을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판독하고 실행하기 위한 별개의 컴퓨터들 또는 별개의 프로세서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저장부, 광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프로세싱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가장 광의의 해석에 따르며, 그에 따라 모든 그러한 수정예 및 균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한다.

Claims (31)

  1. 인쇄 유닛에 의해 인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장치와 통신하고,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인쇄 장치의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완료 또는 비완료(non-completion)에 기초하여 미리결정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이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미리결정된 조작을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 장치가 미리결정된 상태이고,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완료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결정된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이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동작 중인 경우에도, 적어도 상기 미리 결정된 조작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서의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에 관한 통지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미리결정된 조작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하는 프로세스는 상기 미리결정된 프로그램과는 다르고, 상기 인쇄 장치에 대응하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다른 프로그램은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가 상기 인쇄 장치에 대해서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인쇄 장치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인쇄 명령을 상기 인쇄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하는 프로세스의 실행 이후에, 상기 인쇄 명령을 상기 인쇄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미리결정된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결정된 입력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명령이 상기 인쇄 장치에 전송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입력이 접수되고,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가 완료된 상태 하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인 경우, 상기 통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입력이 접수되고 상기 통지 프로세스가 실행된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인쇄 장치에서의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를 해소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특정한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한 입력이 접수된 경우, 상기 인쇄 명령을 상기 인쇄 장치에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명령은 상기 인쇄 장치가 미리결정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테스트 인쇄를 수행하게 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은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테스트 인쇄 이외의 인쇄를 수행하는 것을 명령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인쇄 이외의 인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의 인쇄인,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는 상기 인쇄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는, 상기 인쇄 유닛을 잉크로 충전하는 것을 명령하기 위한 프로세스, 상기 인쇄 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정렬(registration) 조정 프로세스, 및 상기 인쇄 유닛을 세정(cleaning)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서 관리되는 미리결정된 플래그 정보가 상기 인쇄 장치를 위한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가 완료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상태에서, 상기 인쇄 장치의 턴 온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프로세스는,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인 인쇄 장치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화면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세스; 및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비완료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프로세스는, 상기 인쇄 장치에서의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에서의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상기 인쇄 장치에서의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버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를 위한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완료 하의 상기 인쇄 장치의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는, 상기 인쇄 장치에 인쇄를 수행할 것을 명령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이한 다른 장치에 의해 유발된 상태인,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를 위한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는,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를 실행 중인 상태인,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가 아니고,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비완료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결정된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적어도 상기 미리결정된 조작의 접수에 기초하여 통지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미리결정된 조작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설치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이고,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비완료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결정된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조작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서 실시된 상기 인쇄 유닛으로부터 토출된 잉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프로세스에 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이고,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완료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결정된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상기 프로그램이 동작 중인 때에도, 적어도 상기 미리결정된 조작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세스가 실행되지 않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가 아니고,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비완료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결정된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조작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는 상기 인쇄 장치에 잉크 카트리지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 상기 인쇄 장치에 용지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인쇄 장치의 커버가 닫히지 않은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은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과는 상이한,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프로세스는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인 것을 통지하기 위한 프로세스인,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프로세스는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의 유형에 따라 변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프로세스는 상기 인쇄 장치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를 해소할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촉구하기 위한 프로세스인,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이고,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비완료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결정된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조작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통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인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지 프로세스는 획득된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프로세스는, 획득된 상기 미리결정된 정보가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비완료에 기초하고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인 경우에 실행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30. 인쇄 유닛에 의해 인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장치와 통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 장치의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완료 또는 비완료에 기초하여 미리결정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유닛과,
    상기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이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동작할 때, 상기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미리결정된 조작을 접수하도록 구성되는 접수 유닛과,
    상기 인쇄 장치가 미리결정된 상태이고,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완료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결정된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이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동작 중인 경우에도, 적어도 상기 미리 결정된 조작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서의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에 관한 통지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미리결정된 조작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실행 유닛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3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인쇄 장치의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완료 또는 비완료에 기초하여 미리결정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이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동작할 때, 상기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미리결정된 조작을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 장치가 미리결정된 상태이고, 상기 초기 설정 프로세스의 완료에 기초하는 상기 미리결정된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프로그램이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상에서 동작 중인 경우에도, 적어도 상기 미리 결정된 조작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서의 상기 미리결정된 상태에 관한 통지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미리결정된 조작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30045164A 2018-08-01 2023-04-06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51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45044 2018-08-01
JP2018145044A JP7187202B2 (ja) 2018-08-01 2018-08-01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190092164A KR102520413B1 (ko) 2018-08-01 2019-07-30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164A Division KR102520413B1 (ko) 2018-08-01 2019-07-30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453A true KR20230051453A (ko) 2023-04-18

Family

ID=674377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164A KR102520413B1 (ko) 2018-08-01 2019-07-30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45164A KR20230051453A (ko) 2018-08-01 2023-04-06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164A KR102520413B1 (ko) 2018-08-01 2019-07-30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1023183B2 (ko)
EP (2) EP4163781A1 (ko)
JP (3) JP7187202B2 (ko)
KR (2) KR102520413B1 (ko)
CN (2) CN1107950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7118B2 (ja) * 2021-04-23 2023-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6177A (ja) * 1985-11-15 1987-05-27 Casio Comput Co Ltd 印字制御方式
JP3714017B2 (ja) * 1999-04-06 2005-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監視機能を備えるコンピュータ装置、コンピュ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3880243B2 (ja) 1999-05-28 2007-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3845789B2 (ja) * 1999-08-19 2006-11-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2123383A (ja) 2000-10-17 2002-04-26 Canon Inc 周辺機器のアフターサービス支援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サーバ
WO2002081226A1 (fr) * 2001-03-28 2002-10-17 Seiko Epson Corporation Appareil d'impression, procede de reglage initial de cet appareil, et procede et programme de recuperation d'erreur provenant dudit appareil
JP4047031B2 (ja) * 2002-02-26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4042280A (ja) 2002-07-08 2004-02-12 Canon Inc 記録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エラー制御方法と記憶媒体
JP2004074458A (ja) 2002-08-12 2004-03-11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の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記録媒体
JP2004110393A (ja) 2002-09-18 2004-04-08 Seiko Epson Corp セットアップ支援方法及びセットアップ支援用プログラム
JP2007065894A (ja) 2005-08-30 2007-03-15 Fuji Xerox Co Ltd プリンタドライバのインストール方法
JP5004335B2 (ja) * 2007-02-02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位置調整方法、記録システム、ホス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61465B2 (ja) * 2009-11-05 2014-07-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処理プログラム
JP5484010B2 (ja) 2009-11-16 2014-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53581B2 (ja) 2009-11-16 2014-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077206A (ja) 2011-09-30 2013-04-25 Brother Ind Ltd デバイスオブジェクト再登録プログラム及びデバイスオブジェクト再登録方法
JP6003235B2 (ja) * 2012-05-29 2016-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エラー報知方法
JP6080539B2 (ja) * 2012-12-25 2017-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75854B2 (ja) * 2013-03-29 2017-08-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5220598A (ja) 2014-05-16 2015-12-07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設置方法
JP6953969B2 (ja) * 2017-09-29 2021-10-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21311A (ja) 2020-02-06
JP7187202B2 (ja) 2022-12-12
US20210240402A1 (en) 2021-08-05
EP4163781A1 (en) 2023-04-12
CN117369740A (zh) 2024-01-09
KR20200014702A (ko) 2020-02-11
JP7423732B2 (ja) 2024-01-29
US11789670B2 (en) 2023-10-17
US20230367525A1 (en) 2023-11-16
US20220365731A1 (en) 2022-11-17
CN110795049B (zh) 2023-11-10
JP2023027121A (ja) 2023-03-01
US11474757B2 (en) 2022-10-18
JP2024032757A (ja) 2024-03-12
US20200042255A1 (en) 2020-02-06
KR102520413B1 (ko) 2023-04-11
CN110795049A (zh) 2020-02-14
EP3605309B1 (en) 2023-04-19
EP3605309A1 (en) 2020-02-05
US11023183B2 (en)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09663B (zh) 服务器系统、打印装置、控制方法和通信系统
JP2023053961A (ja) 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20230051453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250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updating a program
US20240004590A1 (en) Set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JP7337118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