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819A - 복층유리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복층유리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819A
KR20230048819A KR1020210131690A KR20210131690A KR20230048819A KR 20230048819 A KR20230048819 A KR 20230048819A KR 1020210131690 A KR1020210131690 A KR 1020210131690A KR 20210131690 A KR20210131690 A KR 20210131690A KR 20230048819 A KR20230048819 A KR 20230048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ouble
base plate
pivot
gla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602B1 (ko
Inventor
김환엽
Original Assignee
(주)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테크 filed Critical (주)한테크
Priority to KR102021013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602B1/ko
Publication of KR2023004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7Sheet handling, means, e.g. manipulators, devices for turning or tilting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4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장 이상의 유리 사이의 테두리를 밀봉하도록 실란트가 도포된 복층유리를 수평으로 회전시켜서 실란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복층유리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세워져 컨베이어를 따라 전후로 이송되는 복층유리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층유리 일면을 진공으로 흡착하도록 제1 흡착구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복층유리의 타면을 진공으로 흡착하도록 제2 흡착구가 구비된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액추에이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지브; 상기 지브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컬럼;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층유리 회전장치{DOUBLE GLAZING ROT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층유리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장 이상의 유리 사이의 테두리를 밀봉하도록 실란트가 도포된 복층유리를 수평으로 회전시켜서 실란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복층유리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복층유리는 두 장 이상의 유리와 그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유리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어 건조 공기나 특정 가스를 충진하여 테두리를 실란트로 밀봉한 제품으로서, 유리와 유리 사이의 공기층을 통해 열이나 음파의 전도를 차단하므로 단열성과 차음성 및 결로방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일반적인 복층유리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복층유리(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 이상의 유리(11), 유리(1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바(bar) 모양의 스페이서(12), 스페이서(12)와 유리(11) 사이에 도포되어 충진된 건조 공기 또는 특정 가스의 누출을 차단하는 1차 실란트(13), 1차 실란트(13)의 외측에 도포되어 두 장 이상의 유리를 기밀히 접착하는 2차 실란트(14)를 포함한다.
여기서, 1차 실란트(13)는 부틸(polyisobutylene)로 구현되고, 2차 실란트(14)는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 또는 실리콘(silicon) 따위로 구현된다.
이러한 복층유리(10)는 수직으로 세워진 두 장 이상의 유리(11) 사이에 스페이서(12)를 조립하여 1차 실란트(13)를 도포 및 압축한 다음 2차 실란트(14)를 도포하는 공정을 통해 제작된 후 보관 장소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복층유리(10)의 제작 중 1차 실란트(13) 및 2차 실란트(14)를 도포하는 공정은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 중 이루어지며, 종래의 복층유리 컨베이어에 관련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7494호(등록일자 2013년02월20일) ‘복층유리 이송용 컨베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1차 실란트(13) 및 2차 실란트(14)는 고온으로 용융된 상태에서 유리(11)에 도포되므로 완전히 경화되기까지 소정의 시간이 필요한데, 수직으로 세워진 복층유리(10)가 컨베이어로 이송된 후 어느 한 유리(11)의 외면을 진공으로 흡착하여 보관 장소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1차 실란트(13) 및 2차 실란트(14)에 변형이 발생하여 기밀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두 장 이상의 유리(11) 테두리가 일치하지 않아서 새시(sash)에 조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7494호(등록일자 2013년02월2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란트가 도포된 복층유리의 양측 외면을 진공으로 흡착한 후 수평으로 회전시켜서 실란트의 안정적인 경화를 통해 기밀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두 장 이상의 유리의 테두리를 일치시켜서 새시에 조립할 때에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층유리 회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세워져 컨베이어를 따라 전후로 이송되는 복층유리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층유리 일면을 진공으로 흡착하도록 제1 흡착구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복층유리의 타면을 진공으로 흡착하도록 제2 흡착구가 구비된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액추에이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지브; 상기 지브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컬럼;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회전 시 피벗 및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피벗승강부재, 상기 피벗승강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수평 회전 및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회전승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벗승강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벗스프로킷, 일단부는 상기 피벗스프로킷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회전 시 피벗을 이루도록 연결된 피벗체인, 상기 피벗체인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피벗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피벗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승강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스프로킷, 일단부는 상기 회전스프로킷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피벗체인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회전체인, 상기 회전체인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피벗체인 및 상기 회전체인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 양측에 구비된 체인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 네 모서리 부근에는 회전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서포트암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란트 도포 후 세워진 상태로 이송되는 복층유리의 일면과 이면을 진공으로 흡착한 후 수평으로 회전시켜서 보관 장소에 안착시키므로, 실란트가 안정적으로 경화되어 복층유리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며 이를 통해 두 장 이상의 유리의 테두리가 일치되어 새시에 조립할 때에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층유리를 수평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로 승강시키며 좌우로 슬라이딩시켜서 안전하게 보관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의 회전 과정을 정면에서 나타낸 작동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플레이트의 회전 과정을 우측면에서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장치의 상승을 우측면에서 나타낸 작동도.
도 9는 일반적인 복층유리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층유리 회전장치는, 컨베이어(C)를 따라 전후로 이송되는 수직의 복층유리(G) 일면을 진공으로 흡착하도록 제1 흡착구(410)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400),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전후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복층유리(G)의 타면을 진공으로 흡착하도록 제2 흡착구(520)가 구비된 회전플레이트(500), 회전플레이트(500)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액추에이터, 베이스 플레이트(400)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회전부재(700), 회전부재(700)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더(300), 슬라이더(300)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레일(210)이 구비된 지브(200), 지브(20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컬럼(100)을 포함한다.
먼저, 도면에 도시된 X축은 좌우 방향, Y축은 전후 방향, Z축은 상하 방향으로 각각 정의한다.
컬럼(100, column)은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루는 지주로서, 이러한 컬럼(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지브(20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한다.
지브(200, jib)는 좌우로 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컬럼(100)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브(200)의 상면에는 가이드레일(210)이 구비되어 슬라이더(300)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선택적으로, 지브(200)는 컬럼(1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더(300)는 지브(200)를 따라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슬라이더(300)는 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되어 지브(200)의 상면에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슬라이더(300)는 상부에 설치된 회전부재(700)와 이 회전부재(700)에 연결된 베이스 플레이트(400) 및 회전플레이트(500)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슬라이더(300)는 이송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지브(200)의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선택적으로, 이송모터(310)는 직선운동을 하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400)는 복층유리(G)를 진공으로 흡착하고 회전시키는 기초를 이룬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400)는 복층유리(G)보다 큰 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일면 중앙에는 복수의 제1 흡착구(410)가 구비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복층유리(G)의 일면을 진공으로 흡착하고, 네 모서리 부근에는 서포트암(420)이 구비되어 회전플레이트(5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타면에는 전후 양측으로 두 개의 체인브래킷(430)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회전부재(700)의 피벗체인(712) 및 회전체인(732)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제1 흡착구(410)는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펌프(도시생략)에 호스로 연결된다.
회전플레이트(500)는 복층유리(G)의 타면을 진공으로 흡착하는 제2 흡착구(520)가 구비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전후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플레이트(500)는 상하로 긴 직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서포트암(420)에 힌지(510)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플레이트(500)에는 복층유리(G)의 타면을 진공으로 흡착하도록 복수의 제2 흡착구(5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2 흡착구(520)는 회전플레이트(500)의 전후 양측에 두 개씩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흡착구(520)는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펌프(도시생략)에 호스로 연결된다.
양측 회전플레이트(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암(420)과 평행하게 펼쳐질 때에 제1 흡착구(410)에서 분리되는 복층유리(G)에 간섭되지 않도록 적절한 간격으로 벌어지게 베이스 플레이트(400)에 설치된다.
액추에이터는 회전플레이트(500)를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는 회전플레이트(500)를 회전시키도록 베이스 플레이트(400)와 회전플레이트(500)에 연결된 회전실린더(600)로 구현된다.
회전부재(700)는 베이스 플레이트(40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회전부재(700)는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회전 시 피벗 및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피벗승강부재(710), 피벗승강부재(710)를 중심으로 베이스 플레이트(400)를 수평 회전 및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회전승강부재(730)를 포함한다.
피벗승강부재(7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벗스프로킷(711), 일단부는 피벗스프로킷(7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회전 시 피벗을 이루도록 연결된 피벗체인(712), 피벗체인(712)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400)를 승강시키도록 피벗스프로킷(711)을 회전시키는 피벗모터(713)를 포함한다.
피벗스프로킷(711)은 슬라이더(300)의 상면 우측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1 링크샤프트(711a)로 연결되고, 제1 링크샤프트(711a)는 슬라이더(300)의 상면 양측에 설치된 제1 샤프트브래킷(711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양측 피벗스프로킷(711)에는 피벗체인(712)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피벗체인(712)의 타단부는 슬라이더(300)를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후방 체인브래킷(430)에 연결된다.
피벗모터(713)는 슬라이더(30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어느 한 피벗스프로킷(711)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한다.
회전승강부재(7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스프로킷(731), 일단부는 회전스프로킷(7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400)를 피벗체인(712)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회전체인(732), 회전체인(732)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400)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733)를 포함한다.
회전스프로킷(731)은 슬라이더(300)의 상면 좌측 전후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2 링크샤프트(731a)로 연결되고, 제2 링크샤프트(731a)는 슬라이더(300)의 상면 양측에 설치된 제2 샤프트브래킷(731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양측 회전스프로킷(731)에는 회전체인(732)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회전체인(732)의 타단부는 슬라이더(300)를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전방 체인브래킷(430)에 연결된다.
이때, 회전스프로킷(731)은 가이드 스프로킷(734)에 의해 피벗체인(712)과 간섭되지 않도록 안내된다.
회전모터(733)는 슬라이더(30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어느 한 회전스프로킷(731)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 컨베이어(C)를 따라 이송하는 복층유리(G)의 일면에 근접한 상태에서 제1 흡착구(410)를 이용하여 복층유리(G)의 일면을 진공으로 흡착한다.
회전실린더(600)의 구동으로 회전플레이트(500)를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 3과 같이 제2 흡착구(520)를 이용하여 복층유리(G)의 타면을 진공으로 흡착한다.
이때, 제2 흡착구(520)는 복층유리(G)의 타면을 가볍게 지지하여 1차 실란트 및 2차 실란트가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진공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층유리(G)가 컨베이어(C)에서 분리하기 위해, 피벗모터(713)와 회전모터(733)를 동시에 구동시켜서 베이스 플레이트(400)와 회전플레이트(500)를 상승시킨 후 이송모터(310)를 구동시켜서 슬라이더(300)를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도 3과 같이 피벗모터(713)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회전모터(733)를 구동시키면 회전체인(732)이 회전스프로킷(731)에 감기면서 도 4와 같이 피벗체인(712)을 중심으로 베이스 플레이트(400)와 회전플레이트(500) 및 복층유리(G)가 회전을 시작한다.
계속해서, 회전모터(733)를 구동시키면 회전체인(732)이 회전스프로킷(731)에 감기면서 도 5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00)와 회전플레이트(500) 및 복층유리(G)가 수평으로 회전된다.
이후, 이송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더(300)를 지브(200)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보관 장소의 팰릿(pallet) 상부에 배치한 후, 피벗모터(713)와 회전모터(733)를 동시에 구동시켜서 복층유리(G)가 팰릿의 상면에 근접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400)와 회전플레이트(500)를 하강시킨다.
도 6과 같이 수평으로 회전된 복층유리(G)는 제2 흡착구(520)의 진공을 해제한 후, 도 7과 같이 회전실린더(600)의 구동에 의해 회전플레이트(500)를 외측으로 회전시킨다.
피벗모터(713)와 회전모터(733)를 동시에 구동시켜서 복층유리(G)를 팰릿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 제1 흡착구(410)의 진공을 해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차 실란트 및 2차 실란트 도포 후 세워진 상태로 이송되는 복층유리(G)의 일면과 이면을 진공으로 흡착한 후 회전부재(700)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시켜서 보관 장소의 팰릿 상면에 안착시키므로 1차 실란트 및 2차 실란트가 안정적으로 경화되어 복층유리(G)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며 이를 통해 두 장 이상의 유리의 테두리가 일치되어 새시에 조립할 때에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층유리(G)를 수평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로 승강시키며 좌우로 슬라이딩시켜서 안정하게 보관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컬럼 200 : 지브
300 : 슬라이더 400 : 베이스 플레이트
410 : 제1 흡착구 420 : 서포트암
500 : 회전플레이트 520 : 제2 흡착구
600 : 회전실린더 700 : 회전부재
710 : 피벗승강부재 730 : 회전승강부재
C : 컨베이어 G : 복층유리

Claims (6)

  1. 수직으로 세워져 컨베이어를 따라 전후로 이송되는 복층유리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층유리 일면을 진공으로 흡착하도록 제1 흡착구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복층유리의 타면을 진공으로 흡착하도록 제2 흡착구가 구비된 회전플레이트;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액추에이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지브;
    상기 지브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컬럼;
    을 포함하는 복층유리 회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회전 시 피벗 및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피벗승강부재, 상기 피벗승강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수평 회전 및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회전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회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벗승강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벗스프로킷, 일단부는 상기 피벗스프로킷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회전 시 피벗을 이루도록 연결된 피벗체인, 상기 피벗체인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피벗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피벗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회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승강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스프로킷, 일단부는 상기 회전스프로킷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피벗체인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회전체인, 상기 회전체인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회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벗체인 및 상기 회전체인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 양측에 구비된 체인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회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 네 모서리 부근에는 회전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서포트암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회전장치.
KR1020210131690A 2021-10-05 2021-10-05 복층유리 회전장치 KR102609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690A KR102609602B1 (ko) 2021-10-05 2021-10-05 복층유리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690A KR102609602B1 (ko) 2021-10-05 2021-10-05 복층유리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819A true KR20230048819A (ko) 2023-04-12
KR102609602B1 KR102609602B1 (ko) 2023-12-04

Family

ID=8598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690A KR102609602B1 (ko) 2021-10-05 2021-10-05 복층유리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6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858A (ja) * 1994-03-07 1995-12-05 For El Base Di Vianello Fortunato & Co Snc 断熱窓ガラスを搬送するための機械および方法
KR20090057698A (ko) * 2007-12-03 2009-06-08 주식회사 제우스 유리판 이송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37494B1 (ko) 2011-01-20 2013-02-26 주식회사 진영이노텍 복층유리 이송용 컨베이어
JP6061199B2 (ja) * 2013-08-13 2017-01-18 旭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窓の圧着装置及び圧着方法
KR101963187B1 (ko) * 2018-09-17 2019-03-28 김정섭 유리 흡착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858A (ja) * 1994-03-07 1995-12-05 For El Base Di Vianello Fortunato & Co Snc 断熱窓ガラスを搬送するための機械および方法
KR20090057698A (ko) * 2007-12-03 2009-06-08 주식회사 제우스 유리판 이송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37494B1 (ko) 2011-01-20 2013-02-26 주식회사 진영이노텍 복층유리 이송용 컨베이어
JP6061199B2 (ja) * 2013-08-13 2017-01-18 旭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窓の圧着装置及び圧着方法
KR101963187B1 (ko) * 2018-09-17 2019-03-28 김정섭 유리 흡착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602B1 (ko) 202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1534B2 (en) Multiple pane
JP4642608B2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システム
KR101650816B1 (ko) 진공 펌핑 장치, 진공유리 제작 시스템, 및 관련 방법
US49098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as-containing insulating glass assemblies
US11834896B2 (en) Independently operating insulated glass unit assembly line and method
JP2001282126A (ja) 基板組立装置
JP2004037594A (ja) 基板組立て装置
KR20230048819A (ko) 복층유리 회전장치
CN106467366B (zh) 用于将玻璃板组装成绝缘玻璃片的方法和装置
EP03897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as-containing insulating glass assemblies
US20190003245A1 (en) Gas filling assembly machine and method for an insulated glass unit
WO2020098117A1 (zh) 贴合治具、贴合方法及裸眼3d手机套
US20190003244A1 (en) No-chamber gas filling for an insulated glass unit
KR101612344B1 (ko) 진공유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진공 유리
CN213510236U (zh) 一种中空玻璃加工用抽气装置
CN113023365B (zh) 一种液晶玻璃基板搬运装卸装置
CN115258693B (zh) 一种真空复合玻璃夹持翻转装置
KR100921996B1 (ko) 기판 합착 장치
JP2019082693A (ja) 基板組立装置とそのテーブル構造
CN217655908U (zh) 钙钛矿薄膜制备装置
TWM573670U (zh) Glass laser packaging equipment
KR101418875B1 (ko) 진공창 제조 설비의 갠트리 장치
JP4470922B2 (ja) 基板の搬出入方法とロボット
JPH086036A (ja) 液晶パネル組立体の加圧装置
JP2553943Y2 (ja) 密閉容器の開閉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