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768A -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 Google Patents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768A
KR20230048768A KR1020210131602A KR20210131602A KR20230048768A KR 20230048768 A KR20230048768 A KR 20230048768A KR 1020210131602 A KR1020210131602 A KR 1020210131602A KR 20210131602 A KR20210131602 A KR 20210131602A KR 20230048768 A KR20230048768 A KR 20230048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um
argon
mixed gas
gas
aluminum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엠에스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엠에스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엠에스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1013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8768A/ko
Publication of KR2023004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3Arc welding or cut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35Preliminary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1 저장부로부터 토출되는 헬륨가스와 제2 저장부로부터 토출되는 아르곤가스를 예열 및 혼합시킨 뒤, 공급관에 의해 용접 부위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혼합 모듈; 및 상기 공급관을 따라 용접 부위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내부의 가온 구역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가온시키도록 마련되는 가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합금 판재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를 용접시 혼합가스 총중량에 대하여 헬륨가스 75중량%와 아르곤가스 25중량%의 양으로 혼합하고, 혼합가스를 용접 전에 50도 내지 60도로 가온시킴으로써 판재의 용접 부위에 수소가스로 인한 핀홀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WELDING SYSTEM FOR PREVENTING PIN HOLE OF ALUMINUM ALLOY AND STAINLESS STEEL USING MIXTURE GAS OF HELIUM AND ARGON}
본 발명은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합금 판재를 용접하거나 또는 스테인리스 판재를 용접시 판재의 용접 부위에 핀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부품 등의 제조과정에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용 진공챔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 진공챔버는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주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를 용접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기존의 용접 방식으로는 판재의 용접 부위에 다수의 용접 불량이 발생하여 수익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알루미늄 합금 혹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를 기존의 용접 방식으로 용접하는 경우, 판재의 용접 부위에서 수소가스로 인해 다수의 핀홀이 생성됨으로써 치명적인 용접 결함을 발생시키게 것이다.
핀홀은 판재의 용접 부위에 생긴 관통된 미세한 구멍으로, 이러한 기공에 의해 디스플레이용 진공챔버의 진공력이 약해지게 됨으로써 제조된 디스플레이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용 진공챔버의 제조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의 용접 부위에서 발생하는 핀홀의 생성 방지를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뚜렷한 방법이 없는 상태이고, 다만 숙련된 용접공의 숙련도에 따라 핀홀의 생성 여부가 결정되고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용 진공챔버의 제조시 판재의 용접 부위에서 발생하는 핀홀의 생성 방지를 위한 연구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018470호(공개일자: 2008년01월3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4471호(공개일자: 2013년11월1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7409호(등록일자 2007년01월04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디스플레이용 진공챔버를 제조하기 위하여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합금 판재를 용접하거나 혹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를 용접시 판재의 용접 부위에 수소가스로 인한 핀홀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제1 저장부로부터 토출되는 헬륨가스와 제2 저장부로부터 토출되는 아르곤가스를 예열 및 혼합시킨 뒤, 공급관을 통해 용접 부위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혼합 모듈; 및 상기 공급관을 따라 용접 부위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내부의 가온 구역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가온시키도록 마련되는 가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 모듈은, 상기 제1 저장부의 제1 토출관과 제2 저장부의 제2 토출관이 양 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이 가온 모듈을 관통하도록 연결되는 혼합 하우징; 상기 제1 토출관의 단부에 헬륨가스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제1 나선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토출관의 단부에 아르곤가스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제2 나선관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나선관과 제2 나선관을 통해 혼합 하우징 내로 토출되는 헬륨가스와 아르곤가스를 열풍에 의한 열전도 방식으로 예열시키는 중공형의 예열관; 및 상기 예열관의 제1 나선관과 제2 나선관 사이에 공급관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열풍의 흐름시 발생되는 터빈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혼합 하우징 내의 혼합가스를 공급관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온 모듈은 하부에 혼합가스를 열전도 방식으로 가온시킬 수 있는 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열선은 혼합가스를 설정된 온도로 가온시키기 위해 가온 구역 내의 공기를 가열하여 50도 내지 60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온 구역은 하부를 제외한 내부의 표면 전체에 다수의 공기확산돌기를 갖는 공기 확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확산부는 가온 구역 내의 공기가 대류에 의한 흐름을 형성하여 접촉될 때, 접촉된 공기를 공기확산돌기의 양측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관은 가온 구역 내에서 혼합가스의 흐름을 지연시켜 가온을 위한 일정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가스는 혼합가스 총중량에 대하여 헬륨가스 75중량%와 아르곤가스 25중량%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저장부와 제2 저장부는 혼합가스를 설정된 혼합비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전자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합금 판재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를 용접시 혼합가스 총중량에 대하여 헬륨가스 75중량%와 아르곤가스 25중량%의 양으로 혼합하고, 혼합가스를 용접 전에 50도 내지 60도로 가온시킴으로써 판재의 용접 부위에 수소가스로 인한 핀홀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혼합 모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가온 모듈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의해 혼합가스를 용접에 이르기 전에 가온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의해 용접된 알루미늄 합금의 사진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시스템은, 제1 저장부(100)와, 제2 저장부(200)와, 혼합 모듈(300)과, 그리고 가온 모듈(400)을 포함한다.
제1 저장부(100)는 헬륨가스가 저장되며, 헬륨가스는 제1 저장부(100)로부터 토출되어 혼합 모듈(300)로 공급된다.
제2 저장부(200)는 아르곤가스가 저장되며, 아르곤가스는 제2 저장부(200)로부터 토출되어 혼합 모듈(300)로 공급된다.
여기서 알루미늄 합금 판재 또는 스테인리스 판재는 가스 용접에 의해 접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아르곤 뿐만 아니라 헬륨과의 혼합가스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고, 질소 및/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혼합가스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아르곤과 질소를 이용한 혼합가스 또는 아르곤과 산소를 이용한 혼합가스는 알루미늄 합금 판재 또는 스테인리스 판재의 용접 부위에 수소가스의 생성을 초래하여 다수의 핀홀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현재는 아르곤과 헬륨을 이용한 혼합가스를 이용하는 추세이다.
혼합가스는 혼합가스 총중량에 대하여 헬륨가스 75중량%와 아르곤가스 25중량%의 양으로 혼합된 가스로 공급된다. 이를 위해서, 제1 저장부(100)와 제2 저장부(200)는 혼합가스를 설정된 혼합비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전자밸브(101),(201)가 각각 설치되게 된다. 전자밸브(101),(20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제1 저장부(100)의 헬륨가스와 제2 저장부(200)의 아르곤가스를 설정된 혼합비로 토출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혼합 모듈(300)은 제1 저장부(100)의 혼합가스와 제2 저장부(200)의 아르곤가스를 예열 및 혼합한 뒤, 공급관(312)을 통해 용접 부위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며, 혼합 하우징(310)과, 예열관(320)과 그리고 송풍팬(330)을 포함한다.
혼합 하우징(310)은 중공체로 형성된다. 혼합 하우징(310)은 양 측면에 제1 저장부(100)의 제1 토출관(110)과 제2 저장부(200)의 제2 토출관(210)이 서로 대향되도록 연결된다. 공급관(312)은 가온 모듈(400)을 관통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예열관(320)은 내부로 일정온도의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예열관(320)은 혼합 하우징(310)의 내부에서 제1 토출관(110)의 단부와 제2 토출관(210)의 단부에 제1, 2 나선관(322),(324)을 각각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제1 나선관(322)은 혼합 하우징(310)의 내부 방향으로 헬륨가스의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제1 토출관(110)의 단부에 일정길이의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제2 나선관(324)은 혼합 하우징(310)의 내부 방향으로 아르곤가스의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제2 토출관(210)의 단부에 일정길이의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 나선관(322)과 제2 나선관(324)은 혼합 하우징(310) 내에서 와류 형성에 의한 혼합공기의 원활한 혼합을 위해, 오른나사와 왼나사 방식으로 서로 대응되게 권취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열관(320)은 제1 토출관(110)의 단부와 제2 토출관(210)의 단부에 제1, 2 나선관(322),(324)을 각각 형성하게 됨으로써 제1 저장부(100)의 헬륨가스와 제2 저장부(200)의 아르곤가스는 제1, 2 나선관(322),(324)을 통해 토출될 때, 열풍에 의해 일정온도로 예열됨과 동시에 제1, 2 나선관(322),(324)의 나선구조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여 토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혼합가스는 혼합 하우징(310) 내에서 일정온도로 예열되면서도 와류 형성에 의해 신속하게 혼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송풍팬(330)은 예열관(320)의 제1 나선관(322)과 제2 나선관(324) 사이에 공급관(312)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송풍팬(330)은 예열관(320)의 내부를 따라 흐름는 열풍에 의해 회전되어 혼합 하우징(310) 내의 혼합가스를 공급관(312) 방향으로 송풍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송풍팬(330)과 대응되는 예열관(320)의 내부에는 열풍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332)이 설치된다. 터빈(332)은 송풍팬(330)과 연결됨으로써 혼합 하우징(310) 내의 혼합가스는 송풍팬(330)에 의해 공급관(312)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온 모듈(400)은 공급관(312)을 따라 용접 부위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설정된 온도로 가온시키도록 마련되며, 가온 구역(410)과, 열선(420)과 그리고 공기 확산부(430)를 포함한다.
가온 구역(410)은 가온 모듈(4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공간이며, 공급관(312)은 가온 구역(4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열선(420)은 가온 모듈(4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열선(420)은 공급관(312)을 따라 용접 부위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설정된 온도로 가온시키기 위해, 제어부(도면에 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가온 구역(410) 내의 공기를 가열하여 50도 내지 60도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혼합공기는 가온 구역(410) 내의 가열된 공기와 공급관(312) 간의 열전도 방식에 의해 50도 내지 60도로 가온된 후, 용접 부위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가 50도 내지 60도로 가온된 상태로 용접 부위로 공급되는 경우, 알루미늄 합금 판재 또는 스테인리스 판재의 용접 부위에 수소가스의 생성을 억제하며, 이에 따라 용접에 의한 핀홀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공급관(312)은 가온 구역(410) 내에서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며, 이에 따라 공급관(312)은 가온 구역(410) 내에서 혼합가스의 흐름을 지연시켜 가온을 위한 일정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공기 확산부(430)는 가온 구역(410)의 하부를 제외한 내부의 표면 전체에 다수의 공기확산돌기(432)를 갖는 파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 확산부(430)는 가온 구역(410) 내의 공기가 대류에 의한 흐름을 형성하여 접촉될 때, 접촉된 공기를 공기확산돌기(432)의 양측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즉, 공기 확산부(430)는 가온 구역(410) 내에서 열선(420)에 의해 가온된 공기를 공기확산돌기(432)의 양측 방향으로 확산시키게 됨으로써 가온 구역(410) 내의 공기는 설정된 온도로 신속하게 가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의해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용접에 이르기 전에 가온시키는 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제1 저장부(100)로부터 토출되는 헬륨가스와 제2 저장부(200)로부터 토출되는 아르곤가스는 혼합 모듈(300) 내에서 예열 및 혼합된 뒤, 공급관(312)을 통해 용접 부위로 공급되게 된다. 즉, 혼합 모듈(300)의 예열관(320)은 혼합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토출관(110)의 단부와 제2 토출관(210)의 단부에 제1, 2 나선관(322),(324)을 형성하도록 일정길이로 권취됨으로써 제1 저장부(100)의 헬륨가스와 제2 저장부(200)의 아르곤가스는 제1, 2 나선관(322),(324)을 통해 토출될 때, 예열관(320)을 따라 흐르는 열풍에 의해 일정온도로 예열됨과 동시에 제1, 2 나선관(322),(324)의 나선구조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도록 토출되어 혼합 하우징(310) 내에서 신속하게 예열 및 혼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송풍팬(330)은 예열관(320) 내의 열풍 흐름시 발생되는 터빈(33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혼합 하우징(310) 내의 혼합가스는 공급관(312) 방향으로 신속하게 송풍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온 모듈(400)은 공급관(312)을 따라 흐르는 혼합가스를 가온 구역(410)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온시키게 된다. 즉, 가온 구역(410) 내의 공기는 열선(420)에 의해 50도 내지 60도로 가열되어 유지됨으로써 혼합가스는 열선(420)에 의해 가온된 공기와 공급관(312) 간의 열전도 방식에 의해 가온 구역(410)과 대응되는 온도로 가온된 후, 용접 부위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공급관(312)은 가온 구역(410) 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됨으로써 혼합가스는 흐름의 지연구조에 의해 가온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온 모듈(400)은 공기 확산부(430)에 의해 가온 구역(410) 내의 공기를 설정된 온도로 신속하게 가온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공기 확산부(430)는 가온 구역(410)의 하부를 제외한 내부의 표면 전체에 다수의 공기확산돌기(432)를 갖는 파형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기 확산부(430)에 의해 가온 구역(410) 내의 공기가 대류에 의한 흐름을 형성하여 공기확산돌기(432)와 접촉될 때, 공기확산돌기(432)는 접촉된 공기를 양측 방향으로 확산시키게 됨으로써 가온 구역(410) 내의 공기는 설정된 온도로 신속하게 가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시스템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합금을 용접하였다.
알루미늄 합금의 용접 조건은 혼합가스 총중량에 대하여 헬륨가스 75중량%와 아르곤가스 25중량%의 양으로 혼합하고, 혼합가스를 용접 전에 55도로 가온시킨뒤 용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의 용접 부위에서 핀홀이 발견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은,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합금 판재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판재를 용접시 혼합가스 총중량에 대하여 헬륨가스 75중량%와 아르곤가스 25중량%의 양으로 혼합하고, 혼합가스를 용접 전에 50도 내지 60도로 가온시킴으로써 판재의 용접 부위에 수소가스로 인한 핀홀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제1 저장부
110: 제1 토출관
200: 제2 저장부
210: 제2 토출관
300: 혼합 모듈
310: 혼합 하우징
312: 공급관
320: 예열관
322: 제1 나선관
324: 제2 나선관
330: 송풍팬
332: 터빈
400: 가온 모듈
410: 가온 구역
420: 열선
430: 공기 확산부
432: 공기확산돌기

Claims (7)

  1. 제1 저장부로부터 토출되는 헬륨가스와 제2 저장부로부터 토출되는 아르곤가스를 예열 및 혼합시킨 뒤, 공급관을 통해 용접 부위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혼합 모듈; 및
    상기 공급관을 따라 용접 부위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내부의 가온 구역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가온시키도록 마련되는 가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모듈은,
    상기 제1 저장부의 제1 토출관과 제2 저장부의 제2 토출관이 양 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이 가온 모듈을 관통하도록 연결되는 혼합 하우징;
    상기 제1 토출관의 단부에 헬륨가스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제1 나선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토출관의 단부에 아르곤가스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제2 나선관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나선관과 제2 나선관을 통해 혼합 하우징 내로 토출되는 헬륨가스와 아르곤가스를 열풍에 의한 열전도 방식으로 예열시키는 중공형의 예열관; 및
    상기 예열관의 제1 나선관과 제2 나선관 사이에 공급관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열풍의 흐름시 발생되는 터빈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혼합 하우징 내의 혼합가스를 공급관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 모듈은 하부에 혼합가스를 열전도 방식으로 가온시킬 수 있는 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열선은 혼합가스를 설정된 온도로 가온시키기 위해 가온 구역 내의 공기를 가열하여 50도 내지 60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 구역은 하부를 제외한 내부의 표면 전체에 다수의 공기확산돌기를 갖는 공기 확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확산부는 가온 구역 내의 공기가 대류에 의한 흐름을 형성하여 접촉될 때, 접촉된 공기를 공기확산돌기의 양측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가온 구역 내에서 혼합가스의 흐름을 지연시켜 가온을 위한 일정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가스는 혼합가스 총중량에 대하여 헬륨가스 75중량%와 아르곤가스 25중량%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와 제2 저장부는 혼합가스를 설정된 혼합비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전자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KR1020210131602A 2021-10-05 2021-10-05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KR20230048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602A KR20230048768A (ko) 2021-10-05 2021-10-05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602A KR20230048768A (ko) 2021-10-05 2021-10-05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768A true KR20230048768A (ko) 2023-04-12

Family

ID=85984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602A KR20230048768A (ko) 2021-10-05 2021-10-05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876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409B1 (ko) 2005-05-09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예열 기능을 갖춘 자동 용접기
JP2008018470A (ja) 2006-07-12 2008-01-31 L'air Liquide-Sa Pour L'etude &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アルミナイズ金属工作物をレーザー−アークハイブリッド溶接する方法
KR20130124471A (ko) 2010-07-13 2013-11-14 레르 리키드 쏘시에떼 아노님 뿌르 레?드 에렉스뿔라따시옹 데 프로세데 조르즈 클로드 질소 및/또는 산소를 포함한 가스를 사용하는 알루미늄 도금 강 부품의 하이브리드 아크/레이저-용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409B1 (ko) 2005-05-09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예열 기능을 갖춘 자동 용접기
JP2008018470A (ja) 2006-07-12 2008-01-31 L'air Liquide-Sa Pour L'etude &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アルミナイズ金属工作物をレーザー−アークハイブリッド溶接する方法
KR20130124471A (ko) 2010-07-13 2013-11-14 레르 리키드 쏘시에떼 아노님 뿌르 레?드 에렉스뿔라따시옹 데 프로세데 조르즈 클로드 질소 및/또는 산소를 포함한 가스를 사용하는 알루미늄 도금 강 부품의 하이브리드 아크/레이저-용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6580B2 (en) Burner, combustion apparatus, method for combustion, method for controlling combustion, recording medium, and water heater
US8172567B2 (en) Lancing of oxygen
EP2815180B1 (en) Staged oxy-fuel burne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BRPI0719076A2 (pt) Sistema de queimador, e, método para aquecer um substrato
JP6043522B2 (ja) 燃焼装置、燃焼制御方法および給湯装置
US6036475A (en) Cyclonic type combustion apparatus
KR20230048768A (ko)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핀홀 방지용 용접 시스템
US7008598B2 (en) Reactor for generating moisture
JP4106553B2 (ja) マイクロコンバスタ
JP2014009839A (ja) 燃焼装置、燃焼方法および給湯装置
JP3639440B2 (ja) 水分発生用反応炉
JP2004069139A (ja) 低NOx燃焼装置
JP3723335B2 (ja) 面状火炎型バーナ
WO1980001945A1 (fr) Bruleur du type a premelange
JP2615181B2 (ja) 合金化炉におけるメッキ鋼帯の加熱方法
JP3217303B2 (ja) 表面燃焼装置
JP2605564Y2 (ja) 燃焼装置
JPS59176508A (ja) 強制予混合ガスバ−ナ
JPS5883112A (ja) 燃焼装置
JP4689425B2 (ja) マイクロコンバスタ
JP3116555B2 (ja) 炭酸泉製造装置
JP2000337608A (ja) 燃焼装置
JPH01305209A (ja) バーナ
JPH0411761B2 (ko)
JP2003329217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