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752A -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및 차량 - Google Patents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752A
KR20230048752A KR1020210131549A KR20210131549A KR20230048752A KR 20230048752 A KR20230048752 A KR 20230048752A KR 1020210131549 A KR1020210131549 A KR 1020210131549A KR 20210131549 A KR20210131549 A KR 20210131549A KR 20230048752 A KR20230048752 A KR 20230048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anel
mobility
box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문
성기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1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8752A/ko
Publication of KR2023004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91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wheels coupl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2Scissors-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7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collapsible shopping tro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1)에 적용된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10)은 차체 바닥 패널(3)에 고정되어 후석 시트(7)의 시트 열 중 하나를 이루는 시트(20)의 쿠션(23)을 받쳐주는 시트 레그(25)와 탈/장착되는 시트 클램프(30), 시트 레그(25)의 시트 지상고(H)를 가변시키는 신축 작용이 하이트 레버(70)의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X-링크(63)와 함께 시트(20)의 이동을 위한 바퀴(50)가 구비된 휠 캐리어(40), 쿠션(23)에 물건을 담는 박스 공간을 형성하는 패널 박스(80)가 포함됨으로써 시트(20)의 분리로 차량 밖에서 캠핑 의자로 활용 가능하고, 소비자의 위생요구 경향(Trend)을 반영하면서도 시트백 상단을 이용한 스캐너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 부착으로 개인용 마트 카트로 활용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및 차량{Mobility Seat System and Vehicle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부에서 탈/장착되어 차량 외부에서 개인 용도의 캠핑 의자 및 마트 카트로 활용 가능한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차량 실내에 운전자 및 탑승객 용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차체 바닥(즉, 플로워 패널(Floor Panel))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다.
특히 상기 시트는 차량 실내에서 시트를 사용하는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편의성이 제공되도록 전/후방 위치 이동 구조 및 상/하 높이 조절 구조를 적용한다.
일례로 상기 전/후방 위치 이동 구조는 차체 바닥에 결합된 고정 레일과 시트의 쿠션에 결합된 이동 레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레일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고정 레일에 대한 이동 레일의 이동으로 시트 위치가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맞춰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 구조는 쿠션 측면에 구비된 레버를 올리거나 내려 쿠션 프레임의 고정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쿠션 높이를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맞춰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시트는 차량의 주행 또는 주/정차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이 착석하도록 하고, 착석 상태에서 다양한 편리 기능으로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여 준다.
국제공개특허 WO 2012/025539(2012년03월01일)
하지만, 상기 시트는 운전자 및 탑승객이 손쉽게 조작 가능한 시트 탈/장착 구조를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차량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할 뿐 차량 외부에서 활용이 불가한 차체 바닥 고정 구조이다.
일례로 차량이 캠핑 장소에 정차되어 필드에서 작석할 의자가 필요한 경우에 운전자 및 탑승객은 별도의 캠핑 의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차량이 시내의 마트 등에 정차되어 쇼핑 물건을 임시로 담아 이동할 경우 운전자 및 탑승객은 별도의 마트 비치용 카트를 사용하여야 하고, 특히 카트에 물건을 담고 계산 후 박스에 옮겨야 하는 불편함 및 쇼핑 후 긴 줄을 서서 기다리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시트는 운전자 및 탑승객이 차량 외부에서 사용할 수 없고, 이는 차량이 필수적인 이동 수단인 상태에서 운전자 및 탑승객이 차량 이용 중 불편을 느끼게 하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더구나 현재와 같이 코로나시대에 위생상 불특정 다수가 함께 사용해야 하는 마트용 카트를 같이 사용하기 꺼려하는 경향(Trend)을 감안 할 때, 소비자의 차량 상품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위생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개인용 카트 또는 개인용 캠핑 의자로 활용 가능한 차량용 시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서 시트로 사용되다 탈/장착 기능으로 분리되어 차량 외부에서 개인 용도의 캠핑 의자 및 마트 카트로 활용 가능함으로써 차량 시트의 활용성을 넓게 확장할 수 있고, 특히 X-서포트 기구의 높낮이 조절 메커니즘으로 시트 자체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시트 탈거 후 카트로 사용시 시트를 손으로 밀기 위한 적절한 높이조절로 바퀴적용 캐리어 기능의 이동성을 통해 마트 카트를 대체함으로써 소비자의 위생요구 경향(Trend)을 반영하면서도 시트백 상단을 이용한 스캐너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 부착으로 사용 편리성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및 차량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은 시트, 매미 고리 구조로 상기 시트를 고정과 분리해 주는 시트 클램프, X-서포트 기구의 X-링크 신축 작용으로 상기 시트의 시트 지상고를 가변시키고, 바퀴로 상기 시트를 이동시는 휠 캐리어, 및 물건이 담기는 박스 공간을 상기 시트에 형성하는 패널 박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 클램프는 서로 결합과 분리되는 후크와 와이어로 상기 매미 고리 구조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후크는 상기 시트의 시트 레그에 위치된 브래킷 경첩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시트가 장착된 차체 바닥 패널(3)에 고정되어 상기 브래킷 경첩과 탈/장착되는 매미 고리에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경첩과 상기 매미 고리는 상기 시트 레그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휠 캐리어는 링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X-서포트 기구는 상기 시트의 시트 레그와 결합되어 상기 링크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퀴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링크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X-서포트 기구는 상기 X-링크 신축 작용을 발생하는 X-링크, 상기 시트 레그와 상기 링크 프레임사이에서 상기 X-링크를 고정시켜 주는 마운팅 고정부, 및 상기 X-링크를 움직여 주는 하이트 레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X-링크는 “X"자 배열을 이루는 쇽 업소버 타입 인장 댐퍼와 인장 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 댐퍼는 상기 하이트 레버의 케이블로 인장되며, 상기 인장 로드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인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하이트 레버는 상기 시트 레그에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X-링크와 상기 마운팅 고정부는 상기 시트 레그의 좌측 시트 레그와 우측 시트 레그에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패널 박스는 상기 시트의 쿠션의 3면 부위를 가려 시트 백과 함께 상기 박스 공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패널 박스는 수직 상태로 상기 박스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패널, 및 상기 쿠션의 3면 부위에 덧대어져 상기 박스 패널을 힌지 결합한 박스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박스 패널은 상기 박스 프레임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세워지는 전방 패널, 상기 박스 프레임의 좌측부에 결합되어 세워지는 좌측 패널, 및 상기 박스 프레임의 우측부에 결합되어 세워지는 우측 패널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방 패널과 상기 좌측 패널 및 상기 전방 패널과 상기 우측 패널의 각각은 모서리 클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모서리 클램프는 상기 전방 패널을 상기 좌측 패널과 상기 우측 패널에 고정하여 상기 수직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모서리 클램프는 상기 전방 패널에 구비된 고정 핀, 및 상기 좌측 패널과 상기 우측 패널의 각각에 구비되고, 절개부에 의한 탄성 변형으로 상기 고정 핀을 삽입하여 구속해 주는 핀 후크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시트 백에 스캐너와 모니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캐너와 상기 모니터는 상기 시트 백의 뒤쪽 상단부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시트 열을 구성하는 복수개 시트 중 하나로 후석 시트에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은 복수개 시트로 시트 열을 구성하고, 차체 바닥 패널에 장착되어 차량 후방 공간으로 위치된 후석 시트; 상기 차체 바닥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개 시트 중 하나를 이루는 시트의 쿠션을 받쳐주는 시트 레그와 탈/장착되는 시트 클램프, 상기 시트 레그의 시트 지상고를 가변시키는 신축 작용이 하이트 레버의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X-링크와 함께 상기 시트의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된 휠 캐리어, 상기 쿠션에 물건을 담는 박스 공간을 형성하는 패널 박스로 이루어진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및 상기 바퀴가 삽입되도록 상기 차체 바닥 패널에 파여진 가이드 채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시트 백으로 상기 박스 공간의 한쪽면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 백은 뒤쪽 상단부에 바코드용 스캐너 및 이동경로용 모니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 클램프의 해제로 상기 후석 시트에서 분리되고, 상기 바퀴가 위치된 상기 가이드 채널로 상기 차량 후방 공간에서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패널 박스가 상기 쿠션의 밑으로 내려진 상태에서 캠핑 의지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패널 박스가 상기 쿠션의 위로 세워져 박스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마트 카트로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에 적용된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차량용 시트가 탈/장착 기능을 차량 밖으로 빼내짐으로써 차량 내부로 국한되어 사용되던 시트가 차량 외부에서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차량 밖에서 시트를 캠핑 의자 및 마트 카트 등으로 사용됨으로써 시트의 개인 도구 전환으로 편리함 제공과 함께 소비자의 위생요구 경향(Trend)도 반영할 수 있다. 셋째, 시트에 X-서포트 기구의 높낮이 조절 기능을 부여하여 사용 편리성이 제공되면서 바퀴적용 케리어 기능으로 이동성을 부여함으로써 캠핑용 물건이나 쇼핑 물건을 편리하게 운반 할 수 있다. 넷째, 시트에 스캐너 및 LCD 모니터 부착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카트에 물건을 담고 계산 후 박스에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마트 카트로 사용되는 편리함을 구현 할 수 있고, 특히 시트 탈거 후 카트로 사용시 시트를 손으로 밀기 위한 적절한 높이조절이 자유롭다. 다섯째, 차량 시트를 모빌리티 시트로 개념 전환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새로운 신선함과 차량 이용의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여섯째, 차량 특히, RV 포함 승합차에 시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를 모빌리티 시트로 사용함으로써 차량 판매 시 세일즈 포인트로 이용하여 차량 상품성 증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적용된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의 시트 체결 장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의 이동 캐리어 장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캐리어 장치의 시트 높이 조정 전/후 상태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의 패널 박스 구성 및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이 캠핑 의자 또는 마트 카트로 상요되는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체 바닥 패널(3)에 설치된 후석 시트(7) 중 하나 이상의 시트(20)를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10)으로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차량(1)은 승합차, RV(Recreational Vehicle), MPV(Multi Purpose Vehicle) 및 SUV(Sports Utility Vehicle) 중 어느 하나의 차량이다. 또한, 상기 후석 시트(7)는 복수개의 시트(20)로 시트 열을 구성한다.
특히 상기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10)은 시트 체결 장치(30)를 적용하여 차체 바닥 패널(3)로부터 시트(20)의 탈/장착을 손쉽게 하면서 이동 캐리어 장치(40)를 적용하여 차체 바닥 패널(3)의 가이드 채널(5)로부터 시트(20)의 전/후 이동을 손쉽게 함으로써 차향 내부에서 만 고정되어 있는 기존의 시트 구조를 벗어나 차량(1)의 밖에서 캠핑 의자나 마트 카트로 사용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채널(5)은 시트 폭에 2열로 구성된 바퀴(50)에 맞춘 시트 폭 간격으로 3개의 가이드 채널(5)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10)은 시트(20), 시트 클램프(30), 휠 캐리어(40) 및 패널 박스(80)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시트(20)는 승객이 등을 기댈 수 있도록 쿠션(23)에 대해 틸트 기능을 갖는 시트 백(21), 승객이 착석하는 쿠션(23) 및 쿠션(23)의 하부부위를 이루는 시트 레그(25)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시트(20)는 후석 시트(7)의 통상적인 구성요소이다. 다만, 상기 시트(20)는 시트 레그(25)를 이용하여 시트 클램프(30)와 휠 캐리어(40)가 장착됨으로써 차체 바닥 패널(3)과 고정되는 기존의 시트 레그와 차이를 갖는다.
일례로 상기 시트 클램프(30)는 시트 레그(25)에 구비된 브래킷 경첩(31), 차체 바닥 패널(3)에 구비된 매미 고리(33)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매미 고리(33)는 걸고리형 토글 클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브래킷 경첩(31)과 상기 매미 고리(33)는 4개를 한 쌍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브래킷 경첩(31) 중 2개의 브래킷 경첩은 시트 레그(25)의 전면에서 상기 매미 고리(33) 중 2개의 매미 고리(33)와 쌍을 이루어 잠금 기능을 수행하며, 나머지 2개의 브래킷 경첩은 시트 레그(25)의 후면에서 나머지 2개의 매미 고리(33)와 쌍을 이루어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 시트 클램프(30)는 매미 고리 구조에 의한 시트(10)의 탈/장착이 이루어지는 매미 고리 클램프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휠 캐리어(40)는 바퀴(50)(도 3 참조)를 이용함으로써 차체 바닥 패널(3)의 가이드 채널(5)을 따라 시트(20)의 전/후 이동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하이트 레버(Height Lever)(70)와 연계된 X-서포트 기구(60)(도 3 참조)로 시트 레그(25)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시트(20)의 숭/하강으로 시트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휠 캐리어(40)는 시트(20)의 움직임과 높이 조절의 기능으로 시트(20)를 캠핑 의자나 마트 카트로 용도 전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잇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패널 박스(80)는 시트(20)의 쿠션(23)에 수직하게 세워진 3면의 격벽으로 시트 백(21)과 함께 시트(20)에 물품 수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시트(20)의 마트 카트 사용 시 마트 카트와 같이 쇼핑 물건을 담을 수 있는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10)은 액세서리 장치(90)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액세서리 장치(90)는 도 5 및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는 상기 시트 클램프(30), 상기 휠 캐리어(40) 및 상기 패널 박스(80)에 대한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 클램프(30)는 브래킷 경첩(31), 매미 고리(33) 및 볼트(35)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시트 클램프(30)는 시트 레그(25)의 좌/우측 시트 레그(25a,25b)(도 3 및 도 6 참조) 각각에 위치된다.
일례로 상기 브래킷 경첩(31)은 장방형 길이의 브래킷으로 4개를 한 쌍으로 하여 구성되고, 브래킷 한쪽부위를 시트(20)의 시트 레그(25)와 용접 고정(또는 볼트)하면서 브래킷 반대쪽부위를 후크(31a)로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후크(31a)는 “u"자 형상의 걸쇠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매미 고리(33)는 클램프 본체에 힌지 결합된 손잡이를 형성하고, 손잡이 반대쪽으로 손잡이의 조작으로 당겨지거나 풀어지는 와이어(33a)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매미 고리(33)는 볼트(35)가 클램프 본체에 천공된 홀을 통해 차체 바닥 패널(3)과 체결됨으로써 고정되나, 필요 시 용접으로 차체 바닥 패널(3)과 체결되어 볼트(35)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시트 클램프(30)는 매미 고리(33)의 와이어(33a)가 브래킷 경첩(31)의 후크(31a)에 걸어짐으로써 시트(10)를 차체 바닥 패널(3)에 고정하고, 반면 매미 고리(33)의 와이어(33a)가 브래킷 경첩(31)의 후크(31a)에서 분리함으로써 시트(10)를 차체 바닥 패널(3)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휠 캐리어(40)는 바퀴(50), X-서포트 기구(60) 및 하이트 레버(Height Lever)(70)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바퀴(50)는 바닥과 저항을 줄여 시트(10)의 움직임을 손쉽게 하면서 차체 바닥 패널(3)에 파여진 가이드 채널(5)에 삽입됨으로써 차량 내부에서 시트(10)의 움직임을 잡아주고, X-서포트 기구(60)의 링크 프레임(61)에서 그 하부에 2개를 쌍으로 하여 좌/우측 2열로 구비됨으로써 4개의 바위로 이동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 경우 상기 바퀴(50)는 캐스터(Castor)를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X-서포트 기구(60)는 링크 프레임(61), X-링크(63) 및 마운팅 포인트(67)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링크 프레임(61)은 사각 테두리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바퀴(50)를 한 쌍으로 하여 4변 중 좌/우 변의 각각에 바퀴(50) 및 X-링크(63)의 좌/우측 X-링크(63A,63B)를 구비한다.
일례로 상기 X-링크(63)는 링크 프레임(61)의 4변 중 좌/우 변 각각에 구비된 한 쌍의 좌/우측 X-링크(63A,63B)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X-링크(63A)는 좌측 인장 댐퍼(64a)와 좌측 인장 로드(65a)로 “X"자 배열을 구성하며, 상기 우측 X-링크(63B)는 우측 인장 댐퍼(64b)와 우측 인장 로드(65b)로 “X"자 배열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좌/우측 X-링크(63A,63B)의 각각은 인장 댐퍼(64a,64b)와 인장 로드(65a,65b)를 동일한 구성요소로 적용한다.
특히 상기 좌/우측 인장 댐퍼(64a,64b)의 각각은 쇽 옵서버(Shock Absorber)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측 쇽 옵서버의 각각은 하이트 레버(70)의 좌/우측 케이블(71,72)과 연결되어 인장 또는 수축됨으로써 좌/우측 인장 댐퍼(64a,64b)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짧아진다. 또한, 상기 좌/우측 인장 로드(65a,65b)의 각각은 2단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좌/우측 인장 댐퍼(64a,64b)의 인장으로 함께 길이 신장되는 반면 수축으로 함께 길이 수축된다.
일례로 상기 마운팅 고정부(67)는 링크 프레임(61)의 좌/우 변에 대한 좌/우측 인장 댐퍼(64a,64b)와 좌/우측 인장 로드(65a,65b)의 하부부위가 형성한 프레임 마운팅 고정부, 시트 레그(25)의 좌/우측 시트 레그(25a,25b)에 대한 좌/우측 인장 댐퍼(64a,64b)와 좌/우측 인장 로드(65a,65b)의 상부부위가 형성한 시트 마운팅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하이트 레버(70)는 조작 스위치로서 차량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한 쌍의 좌/우측 케이블(71,72)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하이트 레버(70)는 통상적인 하이트 레벨 어저스터와 동일하다.
특히 상기 좌측 케이블(71)은 좌측 X-링크(63A)의 좌측 인장 댐퍼(64a)와 연결되어 좌측 인장 댐퍼(64a)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 케이블(72)은 우측 X-링크(63B)의 우측 인장 댐퍼(64b)와 연결되어 우측 인장 댐퍼(64b)의 로드에 연결된다.
도 4의 시트 높이 조정 전(A)과 시트 높이 조정 후(B)를 참조하면, 상기 X-서포트 기구(60)는 시트 지상고(H)로 시트(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준다.
일례로 상기 하이트 레버(70)는 1차 누름 시 좌/우측 케이블(71,72)을 잡아당김으로써 좌/우측 인장 댐퍼(64a,64b)의 로드가 인출되도록 작용하고, 이를 통해 시트(10)는 시트 높이 조정 전(A)에서 시트 높이 조정 후(B)로 전환된다.
반면 상기 하이트 레버(70)는 2차 누름 시 좌/우측 케이블(71,72)을 놓아줌으로써 좌/우측 인장 댐퍼(64a,64b)의 로드가 인입되도록 작용하고, 이를 통해 시트(10)는 시트 높이 조정 후(B)에서 시트 높이 조정 전(A)로 위치 복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 박스(80)는 시트(20)의 시트 백(21)이 제외된 쿠션(23)의 3면 부위를 가려줌으로써 시트(20)에 쿠션(23)을 바닥면으로 하는 박스 공간(즉, 물건 수납공간)으로 형성하여 준다.
즉, 상기 패널 박스(80)는 수직 상태로 박스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패널(81,83,84), 박스 패널(81,83,84)을 고정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모서리 클램프(86,87), 및 쿠션(23)의 3면 부위에 덧대어져 박스 패널(81,83,84)을 힌지 결합한 박스 프레임(89)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박스 패널(81,83,84)은 사각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전방 패널(81) 및 사각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좌/우측 패널(83,8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전방 패널(81)은 쿠션(23)의 앞쪽부위에서 수직하게 세워지고, 상기 좌측 패널(83)은 쿠션(23)의 왼쪽부위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며, 상기 우측 패널(84)은 쿠션(23)의 오른쪽부위에서 수직하게 세워진다.
일례로 상기 모서리 클램프는 고정 핀(86)과 핀 후크(87)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핀(86)은 전방 패널(81)의 좌/우 측면에서 핀 형상의 돌기 보스 구조로 돌출되며, 상기 핀 후크(87)는 좌/우측 패널(83,84)의 좌/우 측면에서 반원 형상의 고리 구조로 돌출된다. 이 경우 상기 핀 후크(87)는 PP(Polypropylene) 재질로 이루어져 연성 사출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핀 후크(87)는 절개부(87-1)로 반원 형상의 고리 구조에 오프닝 갭(Opening Gab)을 형성함으로써 고정 핀(86)이 절개부(87-1)의 눌림으로 끼워 진 후 탄성에 의한 초기 상태 북원으로 고정 핀(8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박스 프레임(89)은 쿠션(23)의 3면을 에워쌓는 “ㄷ"자 형상을 이루어 쿠션(23)의 3면 모서리를 따라 결합됨으로써 쿠션(23)의 상부에 덧대어진다. 이 경우 상기 박스 프레임(89)의 형상은 쿠션(23)의 형상에 맞춰 적절한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박스 프레임(89)은 전방 패널(81)과 좌/우측 패널(83,84)과 경첩 구조 또는 축 구조로 힌지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패널 박스(80)는 박스 프레임(89)에 결함된 전방 패널(81)과 좌/우측 패널(83,84)을 쿠션(23)의 위쪽으로 올려주고, 위로 올라간 상태에서 전방 패널(81)을 좌/우측 패널(83,84)쪽으로 밀어 절개부(87-1)를 통과한 고정 핀(86)이 핀 후크(87)에 걸어짐으로써 물건을 담을 수 있는 박스 공간으로 변형된다.
반면 상기 패널 박스(80)는 전방 패널(81)을 잡아 당겨 고정 핀(86)이 절개부(87-1)에서 빠져나와 박스 공간을 해체함으로써 전방 패널(81)과 좌/우측 패널(83,84)이 쿠션(23)의 아래쪽으로 다시 내려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세서리 장치(90)가 시트(20)의 시트 백(21)에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액세서리 장치(90)는 스캐너(90A)와 모니터(90B)로 구성되고, 시트(20)의 시트 백(21)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 백(21)의 뒤쪽에서 시트 백 상단부 구조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특히 상기 스캐너(90A)는 바코드 스캐너이고, 상기 모니터(90B)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 스크린이다.
한편 도 6은 상기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10)이 차량(1)에서 꺼내져 캠핑 의자 또는 마트 카트로 활용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클램프(30)는 매미 고리(33)의 와이어(33a)가 브래킷 경첩(31)의 후크(31a)에 걸어져 고정된 상태에서 매미 고리(33)의 손잡이 부위를 올려줌으로써 와이어(33a)와 후크(31)의 분리로 시트 클램프(30)에 의한 시트(2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다. 이 경우 상기 시트 클램프(30)는 시트 레그(25)의 전면과 후면쪽에서 각각 와이어(33a)와 후크(31a)의 결합을 해제하여 준다.
이어 상기 차체 바닥 패널(3)과 분리된 시트(20)를 잡아당김으로써 휠 캐리어(40)의 바퀴(50)가 가이드 채널(5)을 따라 이동되어 차량(1)의 내부에서 밖으로 인출된다.
일례로 상기 캠핑 의자를 참조하면, 상기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10)은 패널 박스(80)를 쿠션(23) 밑으로 내려준 상태로 캠핑 의지로 사용된다.
일례로 상기 마트 카트를 참조하면, 상기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10)은 패널 박스(80)를 쿠션(23) 위로 올려줌으로써 패널 박스(80)로 만들어진 박스 공간을 쇼핑 물건이 담아 지는 마트 카트로 사용된다.
특히 상기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10)은 시트 백(21)의 뒤쪽에서 상부에 구비된 스캐너(90A)와 모니터(90B)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스캐너(90A)의 바코드 기능과 상기 모니터(90B)의 LCD 스크린으로 마트 이동 경로 및 마트 층별 물건 적재 장소의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10)은 마트 카트 사용 시 쇼핑 후 긴 줄을 서서 기다려야만 하던 마트 계산대의 비용 정산 절차가 필요 없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10)은 후석 시트(7) 중 어느 하나의 시트를 클램프/후크 고정 구조로 쉽게 탈/부착 가능하고, 차에서만 고정되어 있던 시트의 구조적 한계를 벗어나 캠핑 장소의 캠핑 의자 및 쇼핑몰의 마트 카트로 차량 외부에서 개인용으로 활용됨으로써 코로나시대에 위생관련으로 같이 쓰기를 꺼려하는 소비자 트랜드에 맞춘 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1)에 적용된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10)은 차체 바닥 패널(3)에 고정되어 후석 시트(7)의 시트 열 중 하나를 이루는 시트(20)의 쿠션(23)을 받쳐주는 시트 레그(25)와 탈/장착되는 시트 클램프(30), 시트 레그(25)의 시트 지상고(H)를 가변시키는 신축 작용이 하이트 레버(70)의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X-링크(63)와 함께 시트(20)의 이동을 위한 바퀴(50)가 구비된 휠 캐리어(40), 쿠션(23)에 물건을 담는 박스 공간을 형성하는 패널 박스(80)가 포함됨으로써 시트(20)의 분리로 차량 밖에서 캠핑 의자로 활용 가능하고, 소비자의 위생요구 경향(Trend)을 반영하면서도 시트백 상단을 이용한 스캐너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 부착으로 개인용 마트 카트로 활용 가능하다.
1 : 차량
3 : 차체 바닥 패널 5 : 가이드 채널
7 : 후석 시트
10 :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20 : 시트 21 : 시트 백
23 : 쿠션 25 : 시트 레그
25a,25b : 좌/우측 시트 레그
30 : 시트 클램프 31 : 브래킷 경첩
31a : 후크 33 : 매미 고리(33)
33a : 와이어 35 : 볼트
40 : 휠 캐리어
50 : 바퀴 60 : X-서포트 기구
61 : 링크 프레임 63 : X-링크
63A,63B : 좌/우측 X-링크
64a,64b : 좌/우측 인장 댐퍼
65a,65b : 좌/우측 인장 로드
67 : 마운팅 고정부 70 : 하이트 레버(Height Lever)
71,72 : 좌/우측 케이블 80 : 패널 박스
81 : 전방 패널 83,84 : 좌/우측 패널
86 : 고정 핀 87 : 핀 후크
87-1 : 절개부 89 : 박스 프레임
90 : 액세서리 장치 90A : 스캐너
90B : 모니터

Claims (21)

  1. 시트,
    매미 고리 구조로 상기 시트를 고정과 분리해 주는 시트 클램프,
    X-서포트 기구의 X-링크 신축 작용으로 상기 시트의 시트 지상고를 가변시키고, 바퀴로 상기 시트를 이동시는 휠 캐리어 및
    물건이 담기는 박스 공간을 상기 시트에 형성하는 패널 박스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 클램프는 서로 결합과 분리되는 후크와 와이어로 상기 매미 고리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시트의 시트 레그에 위치된 브래킷 경첩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시트가 장착된 차체 바닥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브래킷 경첩과 탈/장착되는 매미 고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경첩과 상기 매미 고리는 상기 시트 레그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캐리어는 링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X-서포트 기구는 상기 시트의 시트 레그와 결합되어 상기 링크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퀴는 상기 링크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X-서포트 기구는
    상기 X-링크 신축 작용을 발생하는 X-링크,
    상기 시트 레그와 상기 링크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X-링크를 고정시켜 주는 마운팅 고정부 및
    상기 X-링크를 움직여 주는 하이트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X-링크는 “X"자 배열을 이루는 인장 댐퍼와 인장 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 댐퍼는 상기 하이트 레버의 케이블로 인장되며,
    상기 인장 로드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장 댐퍼는 쇽 업소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이트 레버는 상기 시트 레그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X-링크와 상기 마운팅 고정부는 상기 시트 레그의 좌측 시트 레그와 우측 시트 레그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 박스는 상기 시트의 쿠션의 3면 부위를 가려 시트 백과 함께 상기 박스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패널 박스는
    수직 상태로 상기 박스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패널 및
    상기 쿠션의 3면 부위에 덧대어져 상기 박스 패널을 힌지 결합한 박스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박스 패널은
    상기 박스 프레임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세워지는 전방 패널, 상기 박스 프레임의 좌측부에 결합되어 세워지는 좌측 패널 및 상기 박스 프레임의 우측부에 결합되어 세워지는 우측 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패널과 상기 좌측 패널 및 상기 전방 패널과 상기 우측 패널의 각각은 모서리 클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모서리 클램프는 상기 전방 패널을 상기 좌측 패널과 상기 우측 패널에 고정하여 상기 수직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클램프는
    상기 전방 패널에 구비된 고정 핀 및
    상기 좌측 패널과 상기 우측 패널의 각각에 구비되고, 절개부에 의한 탄성 변형으로 상기 고정 핀을 삽입하여 구속해 주는 핀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시트 백에 스캐너와 모니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캐너와 상기 모니터는 상기 시트 백의 뒤쪽 상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시트 열을 구성하는 복수개 시트 중 하나로 후석 시트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19. 복수개 시트로 시트 열을 구성하고, 차체 바닥 패널에 장착되어 차량 후방 공간으로 위치된 후석 시트;
    상기 차체 바닥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복수개 시트 중 하나를 이루는 시트의 쿠션을 받쳐주는 시트 레그와 탈/장착되는 시트 클램프, 상기 시트 레그의 시트 지상고를 가변 시키는 신축 작용이 하이트 레버의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X-링크와 함께 상기 시트의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된 휠 캐리어, 상기 쿠션에 물건을 담는 박스 공간을 형성하는 패널 박스로 이루어진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및
    상기 바퀴가 삽입되도록 상기 차체 바닥 패널에 파여진 가이드 채널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시트 백으로 상기 박스 공간의 한쪽면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 백은 뒤쪽 상단부에 바코드용 스캐너 및 이동경로용 모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 클램프의 해제로 상기 후석 시트에서 분리되고,
    상기 바퀴가 위치된 상기 가이드 채널로 상기 차량 후방 공간에서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패널 박스가 상기 쿠션의 밑으로 내려진 상태에서 캠핑 의지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패널 박스가 상기 쿠션의 위로 세워져 박스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마트 카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10131549A 2021-10-05 2021-10-05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및 차량 KR20230048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549A KR20230048752A (ko) 2021-10-05 2021-10-05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및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549A KR20230048752A (ko) 2021-10-05 2021-10-05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및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752A true KR20230048752A (ko) 2023-04-12

Family

ID=8598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549A KR20230048752A (ko) 2021-10-05 2021-10-05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및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87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5539A1 (de) 2010-08-23 2012-03-01 Johnson Controls Gmbh Längs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mit trennbarer ober- und unterschie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5539A1 (de) 2010-08-23 2012-03-01 Johnson Controls Gmbh Längs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mit trennbarer ober- und unterschie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7351B2 (en) Seat/flatbed/drop-in-container assembly for cart
US6015186A (en) Folding bench seat
JP2012507443A (ja) 折り畳み式座席
BR102015021184A2 (pt) Temporary seating covers
US20050046220A1 (en) Cantilever supported vehicle seat and system
US4955973A (en) Convertible bench seat for vans
JP2017148445A (ja) 車椅子固定装置
US6481800B2 (en) Dinette child safety seat attachment system
KR20230048752A (ko)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 및 차량
CN107650744B (zh) 交通工具用座椅
US4075720A (en) Support frames adapted for use with car seats and beds
US20140217790A1 (en) Quick Release Bench Seat and Hitch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305678B2 (en) Belt mount for a vehicle seat or a vehicle bench seat and vehicle seat arrangement
EP2930057B1 (en) Motor caravan seating
JP2754339B2 (ja) 伸縮式階段状移動観覧席のサイドパネル構造
KR200488205Y1 (ko) 6인승 트럭을 베이스로 한 캠핑카용 시트 구조
JPH078305Y2 (ja) 車両用補助シート
JP3200763U (ja) 吊下式車両荷室床面長延長台
JP2022042881A (ja) 座椅子兼用カーシート
JP4382993B2 (ja) 自動車用装着具並びに自動車
CN111247036B (zh) 车辆用收纳结构
JP6533264B2 (ja) フック装置
KR20010027634A (ko) 자동차용 보조매트
JP4421465B2 (ja) 車両用シート
JPH0121869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