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550A - GmIPK1 유전자 교정에 의해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 - Google Patents

GmIPK1 유전자 교정에 의해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550A
KR20230047550A KR1020210130538A KR20210130538A KR20230047550A KR 20230047550 A KR20230047550 A KR 20230047550A KR 1020210130538 A KR1020210130538 A KR 1020210130538A KR 20210130538 A KR20210130538 A KR 20210130538A KR 20230047550 A KR20230047550 A KR 20230047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gmipk1
gene
acid content
phy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수
김혜정
송지현
김인아
김차영
정재철
신길옥
이샛별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30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7550A/ko
Publication of KR2023004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42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C12N15/8243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involving biosynthetic or metabolic pathways, i.e. metabolic engineering, e.g. nicotine, caffe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6Processes for producing mutations, e.g. treatment with chemicals or with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0Processes for modifying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0S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54Leguminosae or Fabaceae, e.g. soybean, alfalfa or peanu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12N15/1137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against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2Transferases (2.) transferring phosphorus containing groups, e.g. kinases (2.7)
    • C12N9/1205Phosphotransferases with an alcohol group as acceptor (2.7.1), e.g. protein kin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16Hydrolases (3)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N9/22Ribonucleases RNAses, DN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7/00Transferases transferring phosphorus-containing groups (2.7)
    • C12Y207/01Phosphotransferases with an alcohol group as acceptor (2.7.1)
    • C12Y207/01158Inositol-pentakisphosphate 2-kinase (2.7.1.158)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20Type of nucleic acid involving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ir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 유래 GmIPK1(Glycine max inositol pentakisphosphate 2-kinase 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와 엔도뉴클레아제(endonuclease) 단백질의 복합체(ribonucleoprotein); 또는 콩 유래 GmIPK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guide RNA)를 암호화하는 DNA 및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콩 식물체의 피트산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전체 교정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GmIPK1 유전자 교정에 의해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Method for producing soybean plant having decreased phytic acid content using GmIPK1 gene editing and genome-edited soybean plant having decreased phytic acid content produced by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GmIPK1(Glycine max inositol pentakisphosphate 2-kinase 1) 유전자 교정에 의해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에 관한 것이다.
피트산(phytic acid)은 많은 식물 조직에서 인산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 특히 콩과 식물의 종자 및 곡물의 씨껍질 부위에 많이 분포해 있다. 대부분의 피트산은 세포 내에서 부분적으로 음이온화되어 있어 칼슘, 철, 아연 등의 무기질과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필수 무기질류의 흡수를 저해한다. 그로 인해 골다공증을 유발하고 소화 장애, 근육 경련, 고혈압 등이 생기기 쉽다. 또한, 피트산은 피타아제(phytase)에 의해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과 무기태인(inorganic phosphate)으로 분해되는데, 인간을 포함한 동물은 이러한 피타아제를 가지고 있지 않아 피트산의 인과 이노시톨을 사용할 수가 없다.
콩(Glycine max)은 밀, 옥수수, 벼 다음으로 전 세계에서 많이 생산되는 작물로, 대부분 콩기름과 닭, 오리, 물고기 등의 사료로 사용되는데 콩에 다량으로 함유된 피트산은 동물들의 장에서는 흡수가 되지 않고 배출된다. 배출된 인은 냇물과 강으로 흘러 들어 조류의 영양분이 되고 조류의 생장과 번식을 촉진시킴으로써 수중 산소의 결핍을 유발하여 수질오염으로 이어진다. 결국, 인이 풍부한 가금류의 분뇨는 부영양화를 일으키고 동물의 사망률을 증가시키며 물 생태계를 파괴한다. 생태계 오염의 원인인 피트산을 분해하는 효소인 피타아제는 식물과 미생물에만 존재하며, 주로 곡물과 종자에 있는 인의 체내 이용성을 높여 축산 폐수의 인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산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가금 산업에서는 90%, 양돈 산업에서는 70%가 피타아제를 사용하지만 피타아제 처리시에도 사료 내에 존재하는 인 중 35%만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유전자 교정과 유전공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의 품종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632139호에는 '피트산 민감도가 증가된 Gle1 단백질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고생산성 저-피트산 작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1-0006141호에는 '라피노스 사카라이드 및 파이트산 함량이 감소된 종자를 생산하는 대두 식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GmIPK1 유전자 교정에 의해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를 제조하기 위해 콩 유래 GmIPK1(Glycine max inositol pentakisphosphate 2-kinase 1)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CRISPR/Cas9 시스템을 콩 원형질체에 도입하여 특정 가이드 RNA에 의한 GmIPK1 유전자의 Indel 효율을 분석하였고, 그 중에서 Indel 효율이 높은 가이드 RNA를 선택하여 콩 종자를 대상으로 유전자 교정을 수행한 결과, 유전체가 교정된 콩 종자로부터 분화된 식물체가 야생형 콩 식물체에 비해 피트산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콩 유래 GmIPK1(Glycine max inositol pentakisphosphate 2-kinase 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와 엔도뉴클레아제(endonuclease) 단백질의 복합체(ribonucleoprotein); 또는 콩 유래 GmIPK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guide RNA)를 암호화하는 DNA 및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콩 식물체의 피트산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전체 교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콩 유래 GmIPK1(Glycine max inositol pentakisphosphate 2-kinase 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guide RNA) 및 엔도뉴클레아제(endonuclease) 단백질을 콩 식물세포에 도입하여 유전체를 교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유전체가 교정된 콩 식물세포로부터 콩 식물체를 재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 및 이의 유전체가 교정된 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GmIPK1 유전자 편집을 통한 돌연변이 유도는 콩 식물체 내 피트산의 함량을 감소시키므로,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를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자연적 변이와 구별할 수 없는 변이를 유도하므로, 안전성과 환경 유해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작물과 달리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콩 원형질체를 이용한 PEG 매개 형질전환용 벡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는 콩 식물체에서 발현 가능한 pJY_GmU6_RpCas9_PPTR 벡터의 모식도이고, B는 GmIPK1 유전자에서 표적 서열 및 가이드 RNA의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C는 각 가이드 RNA의 서열 및 Indel 효율을 분석한 결과이다. B에서 주황색 박스는 엑손(exon)을 의미하며, 빨간색 화살표는 가이드 RNA의 위치 및 방향을 의미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재조합 벡터를 콩 원형질체에 주입한 후, 표적 서열 부위의 시퀀싱 분석 결과로, 가이드 RNA1, 4 및 5에 의한 GmIPK1 유전자 내 표적 부위의 Indel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콩 종자를 이용한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콩 형질전환체 제조에 관한 것으로, A는 CRISPR/Cas9 시스템을 가진 pBAtC:GmIPK1 sgRNA-1 재조합 벡터의 모식도이고, B는 콩 형질전환체(T0, #1~#13)의 유전자 교정을 확인한 PCR 결과이다. NT: 야생형.
도 4는 콩 종자를 이용한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콩 형질전환체 제조에 관한 것으로, A는 CRISPR/Cas9 시스템을 가진 pBAtC:GmIPK1 sgRNA-4 재조합 벡터의 모식도이고, B는 콩 형질전환체(T0, #1~#22)의 유전자 교정을 확인한 PCR 결과이다. NT: 야생형.
도 5는 도 3A의 벡터로 형질전환된 콩 종자의 재분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콩 형질전환체(T1, #21-2, #21-3)의 T2 세대의 종자 내 피트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WT: 야생형.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콩 유래 GmIPK1(Glycine max inositol pentakisphosphate 2-kinase 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와 엔도뉴클레아제(endonuclease) 단백질의 복합체(ribonucleoprotein); 또는 콩 유래 GmIPK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guide RNA)를 암호화하는 DNA 및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콩 식물체의 피트산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전체 교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IPK1 유전자는 피트산 합성 유전자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전체/유전자 교정(genome/gene editing)"은, 인간 세포를 비롯한 동·식물 세포의 유전체 염기서열에 표적지향형 변이를 도입할 수 있는 기술로서, DNA 절단에 의한 하나 이상의 핵산 분자의 결실(deletion), 삽입(insertion), 치환(substitutions) 등에 의하여 특정 유전자를 녹-아웃(knock-out) 또는 녹-인(knock-in)하거나, 단백질을 생성하지 않는 비-코딩(non-coding) DNA 서열에도 변이를 도입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유전체 교정은 특히 엔도뉴클레아제(endonuclease) 예컨대, Cas9 (CRISPR associated protein 9) 단백질 및 가이드 RNA를 이용하여 식물체에 변이를 도입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유전자 교정'은 '유전자 편집'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표적 유전자"는 본 발명을 통해 교정하고자 하는 식물체의 유전체 내에 있는 일부 DNA를 의미하며, 그 유전자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코딩 영역 및 비-코딩 영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그 목적에 따라, 제조하고자 하는 유전체 교정 식물체에 대하여 원하는 변이에 따라 상기 표적 유전자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용어 "가이드 RNA(guide RNA)"는 짧은 단일 가닥의 RNA로, 표적 유전자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중 표적 DNA에 특이적인 RNA를 의미하며, 표적 DNA 염기서열과 전부 또는 일부가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해당 표적 DNA 염기서열로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을 이끄는 역할을 하는 리보핵산을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 RNA는 두 개의 RNA, 즉, crRNA (CRISPR RNA) 및 tracrRNA (trans-activating crRNA)를 구성 요소로 포함하는 이중 RNA (dual RNA); 또는 표적 유전자 내 염기서열과 전부 또는 일부 상보적인 서열을 포함하는 제1 부위 및 엔도뉴클레아제(특히, RNA-가이드 뉴클레아제)와 상호작용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제2 부위를 포함하는 단일 사슬 가이드 RNA(single guide RNA, sgRNA) 형태를 말하나, 엔도뉴클레아제가 표적 염기서열에서 활성을 가질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없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며, 함께 사용된 엔도뉴클레아제의 종류 또는 엔도뉴클레아제의 유래 미생물 등을 고려하여 당업계의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RNA는 플라스미드 주형으로부터 전사된 것, 생체 외(in vitro)에서 전사된(transcribed) 것(예컨대,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이중가닥) 또는 합성한 가이드 RNA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교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RNA는 GmIPK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으로 고안된 것으로서, 상기 표적 염기서열은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GmIPK1의 게노믹 서열에서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엑손 부위를 표적으로 하는 가이드 RNA 서열이다(표 1 및 도 1 참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적 염기서열'은 프로토스페이서(protospacer) 서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교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은 Cas9, Cpf1 (also known as Cas12a), TALEN (Transcription activator-like effector nuclease), ZFN (Zinc Finger Nuclease) 또는 이의 기능적 유사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as9 또는 Cpf1 등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as9 단백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Cas9 단백질은 스트렙토코커스 피요제네스(Streptococcus pyogenes) 유래의 Cas9 단백질, 캠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유래의 Cas9 단백질,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 thermophilus) 또는 스트렙토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유래의 Cas9 단백질, 네이쎄리아 메닝기티디스(Neisseria meningitidis) 유래의 Cas9 단백질, 파스투렐라 물토시다(Pasteurella multocida) 유래의 Cas9 단백질, 프란시셀라 노비시다(Francisella novicida) 유래의 Cas9 단백질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as9 단백질 또는 이의 유전자 정보는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의 GenBank와 같은 공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얻을 수 있다. 상기 Cas9 유전자 정보는 공지된 서열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형질도입되는 대상(유기체)의 코돈에 최적화된 서열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as9 단백질은 RNA-guided DNA 엔도뉴클레아제 효소로, 이중 가닥 DNA 절단(double stranded DNA break)을 유도한다. Cas9 단백질이 정확하게 표적 염기서열에 결합하여 DNA 가닥을 잘라내기 위해서는 PAM (Protospacer Adjacent Motif)이라 알려진 3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짧은 염기서열이 표적 염기서열 옆에 존재해야 하며, Cas9 단백질은 PAM 서열(NGG)로부터 3번째와 4번째 염기쌍 사이를 추정하여 절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교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RNA와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은 리보핵산-단백질(ribonucleoprotein) 복합체를 형성하여 RNA 유전자 가위(RNA-Guided Engineered Nuclease, RGEN)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유전체 교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콩 유래 GmIPK1 유전자(Glyma. 14G07880)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a) 콩 유래 GmIPK1(Glycine max inositol pentakisphosphate 2-kinase 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guide RNA) 및 엔도뉴클레아제(endonuclease) 단백질을 콩 식물세포에 도입하여 유전체를 교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유전체가 교정된 콩 식물세포로부터 콩 식물체를 재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GmIPK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 및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은 전술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CRISPR/Cas9 시스템은 교정하고자 하는 특정 유전자의 특정위치에 이중나선 절단을 도입하여 DNA 수선 과정에서 유도되는 불완전 수선에 의한 삽입-결실(insertion-deletion, InDel) 돌연변이를 유도시키는 NHEJ(non-homologous end joining) 기작에 의한 유전자 교정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가이드 RNA 및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을 콩 식물세포에 도입하는 것은, GmIPK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와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의 복합체(ribonucleoprotein); 또는 콩 유래 GmIPK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를 암호화하는 DNA 및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RNA 와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의 복합체를 식물세포에 형질도입하는 방법은 원형질체에 대한 칼슘/폴리에틸렌 글리콜 방법(Krens et al., 1982, Nature 296:72-74; Negrutiu et al., 1987, Plant Mol. Biol. 8:363-373), 원형질체의 전기천공법(Shillito et al., 1985, Bio/Technol. 3:1099-1102), 식물 요소로의 현미주사법(Crossway et al., 1986, Mol. Gen. Genet. 202:179-185), 각종 식물 요소의(DNA 또는 RNA-코팅된) 입자 충격법(Klein et al., 1987, Nature 327:70), 아그로박테리움 튜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매개된 유전자 전이에서(비완전성)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 등으로부터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를 암호화하는 DNA 및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식물세포에 도입하는 것은 형질전환 방법을 의미한다. 식물 종의 형질전환은 이제는 쌍자엽 식물뿐만 아니라 단자엽 식물 양자를 포함한 식물 종에 대해 일반적이다. 원칙적으로, 임의의 형질전환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벡터를 적당한 선조 세포로 도입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가 식물 세포에 형질전환되면, DNA 결합 및 절단 활성이 있는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과 상기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에 결합되며 표적 서열로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을 이끄는 sgRNA가 함께 발현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재조합"은 세포가 이종의 핵산을 복제하거나, 상기 핵산을 발현하거나 또는 펩티드, 이종의 펩티드 또는 이종의 핵산에 의해 코딩된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를 지칭하는 것이다. 재조합 세포는 상기 세포의 천연 형태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절편을, 센스 또는 안티센스 형태 중 하나로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재조합 세포는 천연 상태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유전자를 발현할 수 있으며, 그러나 상기 유전자는 변형된 것으로서 인위적인 수단에 의해 세포 내 재도입된 것이다.
또한, 용어 "벡터"는 세포 내로 전달하는 DNA 단편(들), 핵산 분자를 지칭할 때 사용된다. 벡터는 DNA를 복제시키고, 숙주세포에서 독립적으로 재생산될 수 있다. 용어 "전달체"는 흔히 "벡터"와 호환하여 사용된다. 용어 "발현 벡터"는 목적한 코딩 서열과, 특정 숙주 생물에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코딩 서열을 발현하는데 필수적인 적정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 분자를 의미한다. 진핵세포에서 이용 가능한 프로모터, 인핸서, 종결신호 및 폴리아데닐레이션 신호는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 및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이 도입되는 "식물세포"는 어떤 식물세포도 된다. 식물세포는 배양 세포, 배양 조직, 배양 기관 또는 전체 식물이다. "식물 조직"은 분화된 또는 미분화된 식물의 조직,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진 않으나, 뿌리, 줄기, 잎, 꽃가루, 소포자, 난세포, 종자 및 배양에 이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세포들, 즉 단일 세포, 원형질체(protoplast), 싹 및 캘러스 조직을 포함한다. 식물 조직은 인 플란타(in planta)이거나 기관 배양, 조직 배양 또는 세포 배양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식물세포는 원형질체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전체가 교정된 식물세포로부터 유전체가 교정된 식물을 재분화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유전체가 교정된 식물세포는 전식물로 재분화되어야 한다. 캘러스 또는 원형질체 배양으로부터 성숙한 식물의 재분화를 위한 기술은 수많은 여러 가지 종에 대해서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다(Handbook of Plant Cell Culture, 1-5권, 1983-1989 Momillan, N.Y.).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 및 이의 유전체가 교정된 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는 콩 유래 GmIPK1(Glycine max inositol pentakisphosphate 2-kinase 1) 유전자를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정한 것으로, GmIPK1 유전자가 녹-아웃되어 유전체를 교정하지 않은 콩 식물체에 비해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형질을 가지는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재조합 벡터 제작
콩(Glycine max)으로부터 피트산을 암호화하는 GmIPK1 유전자(Glyma. 14G07880)를 분리하여 전체 염기서열을 확보하였다. 상기 GmIPK1 유전자의 2번 exon에서 sgRNA1 및 sgRNA2, 3번 exon에서 sgRNA4 및 sgRNA5, 5번 exon에서 sgRNA3을 각각 디자인하였다(도 1B, 표 1). 콩에서 발현 가능한 pJY_GmU6_RpCas9_PPTR 벡터에 상기 sgRNA 서열을 도입시켜 재조합 벡터를 제작한 뒤, 콩의 자엽으로부터 분리한 원형질체에 Cas9 단백질과 PEG(polyethylene glycol) 용액을 이용하여 콩의 유전자 교정을 유도하였다. 원형질체로부터 게노믹 DNA를 분리한 뒤 sgRNA의 표적 유전자 서열 부위의 PCR 분석을 통해 Indel 효율을 확인하였다.
GmIPK1 유전자 교정을 위한 후보 sgRNA 서열
sgRNA 서열 (방향) 서열번호
GmIPK1 sgRNA1 TCTTCAGACAAGGAAATAGTTGG (5'-3') 2
GmIPK1 sgRNA2 TCCGCATCAGTAAGGCTCCAAGG (5'-3') 3
GmIPK1 sgRNA3 AGTTTGGTGCATTTCAAATCGGG (3'-5') 4
GmIPK1 sgRNA4 GACCAGGGAATTCCTTGAGTTGG (5'-3') 5
GmIPK1 sgRNA5 CGTGGCGAGTTGAAGCTGCCAGG (5'-3') 6
*밑줄: PAM 서열
2. 콩 원형질체 분리 및 재조합 벡터 삽입
콩 원형질체를 분리하기 위해, 광안콩 종자를 70%(v/v) 에탄올, 0.4%(v/v) 하이포클로라이트(hypochlorite) 용액에서 15분 동안 멸균한 뒤, 증류수로 3회 세척하고 흙에 심어 배양하였다. 배양은 식물성장실에서 16시간 명, 8시간 암 조건으로 25℃에서 수행하였다. 배양 15일째 콩의 단엽(unifoliate)을 어두운 상태로 25℃에서 12시간 동안 효소 용액(1.0% 셀룰라아제 R10, 0.5% macerozyme R10, 0.45 M 마니톨, 20 mM MES(pH 5.7); CPW 용액)과 함께 40 rpm으로 교반하면서 인큐베이션하여 분해한 다음, 동량의 W5 용액으로 희석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원형바닥 튜브에서 100 g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원형질체를 회수하였다. 재현탁된 원형질체를 CPW 21S 용액(2% 수크로스 함유 CPW 용액, pH 5.8)에 띄워 정제하고, 80 g로 7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정제된 원형질체를 W5 용액으로 세척한 뒤 70 g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원형질체를 W5 용액에 재현탁하고, 헤마사이토미터(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현미경으로 수를 세었다. 콩에서 sgRNA와 Ca9 단백질 서열이 포함된 재조합 벡터를 이용한 DSB(double strand break)를 유도하기 위해, 5×105 개의 원형질체 세포를 재조합 벡터(30 ㎍)로 형질전환시켰다. 상기 5×105 개의 원형질체 혼합물을 200 ㎕ MMG 용액에 재현탁시키고 20 ㎕ 재조합 벡터 및 220 ㎕의 새로 제조한 PEG 용액(40 % PEG 4000; Sigma No. 95904, 0.2 M 마니톨 및 0.1 M CaCl2)과 조심스럽게 혼합한 뒤, 어두운 조건에서 25℃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950 ㎕의 W5 용액(2 mM MES(pH 5.7), 154 mM NaCl, 125 mM CaCl2 및 5 mM KC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그 다음 튜브를 뒤집으면서 상기 용액을 잘 혼합하고, 100 g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원형질체의 펠렛을 만들고, 1 ㎖ WI 용액(0.5 M 마니톨, 20 mM KCl 및 4 mM MES, pH 5.7)에 조심스럽게 재현탁시켰다. 마지막으로, 상기 원형질체를 멀티-웰 플레이트로 옮기고 어두운 조건으로 25℃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유전체 교정 분석을 수행하였다.
3. 콩 형질전환체 개발 및 T 1 종자 생산
3-1. 종자 소독 및 침지
국내콩 품종 광안콩 종자 100개 정도를 멸균한 여과지(아드반텍, 한국)가 놓여진 페트리디쉬(SPL Life Science, 한국)에 담은 후, 데시케이터(desiccator)에서 강염산(12N HCl 5 ㎖)에 12%(v/v)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95 ㎖을 혼합하여 발생시킨 염산가스로 16시간 동안 1차 소독하였다. 소독이 끝난 광안콩 종자는 50 ㎖ 코니컬 튜브에 대략 50개씩 종자를 나눠 담은 후 1%(v/v) 차아염소산나트륨 45 ㎖과 Tween 20(삼전화학, 한국) 3 방울을 넣어준 후 10분 동안 2차 소독하였고, 10분 간격으로 멸균수로 3회 수세하였다. 소독한 종자에 멸균수를 부어 20시간 동안 상온에서 침지시켰다.
3-2. 형질전환을 위한 아그로박테리움 준비
콩의 원형질체를 이용하여 Indel 효율을 확인한 sgRNA1 및 4를 Golden Gate system을 이용하여 벡터(pBAtC:GmIPK1 sgRNA-1 및 pBAtC:GmIPK1 sgRNA-4)를 제작한 뒤, 아그로박테리움 튜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EHA105에 삽입하였다. 이후, 콩의 종자에 상기 아그로박테리움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GmIPK1 유전자가 녹아웃(knock-out)된 형질전환 콩 식물체를 생산하였다.
벡터가 도입된 아그로박테리움은 고체 YEP 배지(스펙티노마이신 75 ㎎/L, 리팜피신 25 ㎎/L, 펩톤 10 g/L, NaCl 5 g/L, 효모 추출물 5 g/L, 1.5%(w/v) 아가, pH 7.0)에 28℃에서 배양한 후 생성된 단일 콜로니를 같은 항생제가 들어있는 액체 YEP 배지 10 ㎖에 넣고 OD600이 0.6~0.8이 될 때까지 28℃에서 220 rpm으로 교반하며 배양하였다. 다 자란 아그로박테리움은 30% 글리세롤 10 ㎖을 넣고 섞은 뒤, 1.5 ㎖ 튜브에 1 ㎖씩 분주하여 액체 질소에서 급속 냉각시킨 후에 -70℃에서 보관하여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접종 하루 전에 상기와 같은 항생제가 들어있는 액체 YEP 배지 200 ㎖에 -70℃에서 보관해 놓은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파시엔스 스톡을 1 ㎖ 넣고 OD600이 0.6~0.8이 될 때까지 28℃에서 220 rpm으로 배양기에서 교반하였다.
접종 당일에 액체 YEP 배지 200 ㎖를 50 ㎖씩 2개의 센트 튜브에 나눠서 20℃, 3,270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각각의 튜브에 있는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파시엔스 펠렛을 액체 CCM(co-cultivation medium; B5 염 0.32 g/L, BA 1.67 ㎎/L, MES 20 mM, GA3 0.25 ㎎/L, 아세토시린콘 0.2 mM, L-Cysteine 3.3 mM, 소듐 티오설페이트 1.0 mM, DTT 1.0 mM, 수크로스 3%, pH 5.4) 용액 15 ㎖을 넣어 재현탁시켰다.
3-3. 아그로박테리움 접종과 공배양
침지해 놓은 콩 종자의 양 떡잎 사이로 외과용 메스를 넣어 하배축까지 수직으로 자르고 종피를 제거하였다. 배축(embryonic axis)을 떡잎 밑 약 1 cm되는 곳에서 자른 후 배축이 붙어있는 한쪽만을 사용한다. 배축의 1/3만 남기고 제거한 후 외과용 메스(#11 blade)에 15 ㎖ CCM/아그로박테리움 튜머파시엔스 농축액을 묻힌 다음 7-8회 정도 상처를 내었다. 대략 50개의 콩 절편체를 15 ㎖ CCM/아그로박테리움 튜머파시엔스 농축액에 넣고, 20초 동안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하였고, 클린벤치 안에서 데시케이터와 다이어프램 펌프(GAST사)를 이용해 진공 30초(500 mmHg) 처리를 한 뒤 30분 동안 접종시켰다. 접종이 끝난 절편체는 멸균한 여과지 위에 올려 놓고 물기를 제거하였고, 페트리디쉬에 굳힌 고체 CCM 35 ㎖(액체 CCM과 동일, 아가 0.7%)에 멸균된 여과지를 한 장 깔고 7개의 절편체를 올려두었으며, 이때 향축(adaxial)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였다. 페트리디쉬는 마이크로포어로 봉한 뒤 25℃, 18시간 광주기 조건으로 5일 동안 공배양하였다.
3-4. 접종 균 세척 및 신초 유도
상기 5일 동안 공배양한 절편체의 배축을 1-2 cm 남기고 제거하였다. 절편체에서 아그로박테리움 튜머파시엔스를 제균하기 위해서 대략 50개씩 50 ㎖ 튜브에 담아 액체 SIM(shoot induction medium, 신초 유도 배지; B5 염 3.2 g/L, MES 3 mM, 수크로스 3%) 배지에서 10분 동안 2회 세척하였다. 세척된 절편체는 멸균한 여과지 위에 올려 놓고 물기를 제거한 후, 선발항생제가 없는 고체 SIM-①(B5 염 3.2 g/L, BA 1.67 ㎎/L, MES 3 mM, 아가 0.8%, 수크로스 3%, 세포탁심 250 ㎎/L, 밴코마이신 50 ㎎/L, 티카르실린 100 ㎎/L, pH 5.6)배지 50 ㎖에 한 플레이트 당 절편체 6개체씩 치상하였으며, 배축이 배지에 잠길 정도로 고착시켜 향축이 위로 향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플레이트를 마이크로포어로 봉한 뒤 25℃, 18시간 광주기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주 후, 신초가 자란 절편체를 선발항생제 PPT가 들어있는 SIM-②(SIM-①과 동일, DL-포스피노트리신 10 ㎎/L 첨가, pH 5.6) 배지 50 ㎖ 에 5개체씩 치상하였고 신초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거한 후, 각각의 플레이트를 마이크로포어로 봉한 뒤 25℃, 18시간 광주기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5. 신초 신장
선발항생제 PPT가 들어있는 SIM-② 배지에서 2주간 배양 후 갈변한 신초는 외과용 메스(#15 blade)로 제거하고, 신초 패드는 신초가 떨어지지 않을 정도만 얇게 남기고 깎아주었다. 각 절편체는 페트리디쉬에 굳힌 선발항생제 PPT가 들어있는 SEM(shoot elongation medium, 신초 신장 배지; MS salt 4.4 g/L, MES 3 mM, GA3 0.5 ㎎/L, 아스파라진 50 ㎎/L, 피로글루탐산 100 ㎎/L, IAA 0.1 ㎎/L, 지아틴 1 ㎎/L, 수크로스 3%, 아가 0.8%, 세포탁심 250 ㎎/L, 밴코마이신 50 ㎎/L, 티카르실린 100 ㎎/L, DL-포스피노트리신 5 ㎎/L, pH 5.6) 배지 55 ㎖에 5개씩 치상하였다. 갈변한 신초 및 신초 패드는 2주마다 새로운 SEM 배지로 계대배양하면서 제거함으로써 배지가 잘 흡수되도록 하였고, 신초가 페트리디쉬 뚜껑까지 자라면 두 개의 페트리디쉬를 겹쳐 세워 8 cm 가량 자라도록 하였다. 각각의 플레이트를 마이크로포어로 봉한 뒤 25℃, 18시간 광주기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6. 뿌리 형성, 순환 과정 및 PPT 잎 페인팅(leaf painting)
선발항생제 PPT가 들어있는 SEM 배지에서 신장된 신초가 8 cm 이상일 때, 외과용 메스(#11 blade)로 신초를 패드로부터 잘라내고 잘린 신초 끝을 비스듬하고 매끄럽게 자른 후 신초의 잘린 부위를 1 ㎎/㎖ IBA(indole butyric acid)에 3분간 담가뒀다가 빼내어 유리시험관에 굳힌 고체 RM(rooting medium, 뿌리 유도 배지; MS 염 4.4 g/L, MES 3 mM, 수크로스 3%, 아가 0.8%, 세포탁심 50 ㎎/L, 밴코마이신 50 ㎎/L, 티카르실린 50 ㎎/L, 아스파라진 25 ㎎/L, 피로글루탐산 25 ㎎/L, pH 5.6)배지 30 ㎖에 옮겨 넣었다. 뿌리가 충분히 자라게 되면 3차 증류수로 RM 배지를 씻어내고 상토(바이오 프러그 2호, 흥농종묘)와 버미큘라이트를 2:1로 섞어 넣은 작은 포트에 심어서 물을 50 ㎖ 넣은 후, 뿌리가 자란 식물체를 심어서 마젠타 박스(magenta box) 안에 넣어 순화시켰다. 7일 정도 경과 후 잎 표면에 100 ㎎/L DL-포스피노트리신(phosphinothricin)으로 잎 페인팅(leaf painting)을 하였다. 각 식물체는 일주일에 한번 30 ㎖씩 물을 주었고 25℃, 18시간 광주기 조건에서 성장시켰다.
3-7. T 1 종자 생산
형질전환 식물체가 작은 포트 위로 15 cm 이상 자라고 잎이 9장 이상 되면 더 큰 포트에 옮겨 심고 플라스틱 덮개에 약 10개 정도의 구멍을 만들어 씌워서 온실에서 성장시켰으며, 형질전환 식물체가 플라스틱 덮개 윗면까지 자랐을 때 플라스틱 덮개를 제거하였다. 각 형질전환 식물체는 일주일 중 3회에 걸쳐 500 ㎖씩 물을 주었고 25℃, 18시간 광주기 조건에서 성장시켰으며, 그 결과 최종적으로 각 형질전환 식물체들로부터 T1 종자를 수확하였다.
4. 유전자 도입 분석
형질전환 식물체에 벡터 pBAtC:GmIPK1 sgRNA-1과 pBAtC:GmIPK1 sgRNA-4가 정확히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정적인 형질전환체들의 잎을 1 g 정도 정량한 후 액체 질소로 냉각시켰으며, 냉각한 잎을 막자사발로 곱게 갈아준 후 CTAB 방법을 이용하여 게노믹 DNA를 추출하였다. PCR은 Prime Taq Premix(2X)(GeNet Bio, 한국)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형질전환체 확인을 위한 PCR 프라이머 정보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형질전환체 확인을 위한 PCR 분석에 사용된 프라이머 정보
프라이머 명칭 염기서열 (5'→3') 서열번호
GmIPK1_F TCCGTTGCTTGTTGTAGCTG 7
GmIPK1_R GAATGATCTGACATGAGAAG 8
Bar_F ATGAGCCCAGAACGACGCCCGGCC 9
Bar_R GGGTCATCAGATTTCGGTGACGGG 10
Cas9-①_F ATGGACAAGAAGTACAGCATCGGC 11
Cas9-①_R AACTTGTAGAACTCCTCCTGGCTG 12
Cas9-②_F CAGATCGGCGACCAGTACGCC 13
Cas9-②_R AGAACTGGAAGTCCTTGCGGAAGT 14
Cas9-③_F CTGAGCGAGCTGGACAAGGCCGG 15
Cas9-③_R TTAGGCGTAGTCGGGCACGTCGTA 16
5. Next-generation sequencing(NGS) 분석
GmIPK1 내에 sgRNA의 결합 부위가 포함된 약 500 bp 정도를 첫 번째 PCR을 통해 증폭하였다. 첫 번째 PCR 생산물을 약 1:10으로 희석시킨 뒤 두 번째 PCR의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두 번째 PCR을 통해 생산된 GmIPK1 fragment 서열에는 Illumina adaptor와 Bar-code 서열이 포함되어 있다. 최종 PCR 생산물은 Nano-drop (Thermo Scientific, USA)를 통해 정량한 뒤 ExpinTM PCR SV kit(Gene All)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High-throughput sequencing은 Illumina MiSeq을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Indel 효율 및 패턴은 Cas-Analyz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적서열 증폭을 위한 PCR 분석에 사용된 프라이머 정보
프라이머 명칭 염기서열 (5'→3') 서열번호
GmIPK1 sgRNA-1,4 first PCR F TCCGTTGCTTGTTGTAGCTG 17
GmIPK1 sgRNA-1,4 first PCR R GAATGATCTGACATGAGAAG 18
GmIPK1-1-sec-F1 GTGTGAGTGTGAGGAATAGC 19
GmIPK1-1-sec-R1 ATACCCCAGCATCAACAGAG 20
GmIPK1-4-sec-F1 GATCATTGACCTATGCCTCC 21
6. 피트산 함량 측정
유전자 교정 식물체들의 T2 세대의 종자를 액체 질소로 냉각시켜 막자사발로 곱게 갈아준 후 0.5 g 정량하여 10 ㎖의 0.66 M HCl을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혼합하였다. 종자 추출물을 10분 동안 13,000 rpm에서 원심분리를 한 다음 상기 추출물 중 0.5 ㎖을 취하여 0.5 ㎖의 0.75 M NaOH를 넣어줌으로써 중성화시켰다. Phytic acid(phytate)/Total phosphorus 키트(Megazyme)를 이용하여 Free Phosphorus와 Total Phosphorus를 분리하여 65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각의 값을 측정하였다. 야생형과 유전자 교정 식물체의 피트산 함량은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시예 1. sgRNA의 위치에 따른 CRISPR/Cas9 시스템 효율 비교
콩 식물체 유래 GmIPK1 유전자의 2번, 3번 또는 5번 exon을 표적 염기서열로 하는 5개의 후보 sgRNA(도 1B, 표 1)를 암호화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콩의 잎으로부터 분리한 원형질체에 주입하여 유전자 교정을 유도한 후, Indel 효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GmIPK1 유전자에 대한 각 sgRNA의 Indel 효율은 sgRNA1이 0.8%, sgRNA4 및 sgRNA5가 0.5%, sgRNA2가 0.3%, sgRNA3이 0%인 것을 확인하였다(도 1C). 또한, NGS를 통해 Indel 패턴을 분석한 결과, 10bp 이하의 염기서열의 삽입 및 결실을 확인하였으며, Indel 패턴에 따라 out of frame 또는 in frame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5개의 sgRNA 중 Indel 효율이 높은 sgRNA1(서열번호 2) 및 sgRNA4(서열번호 5)를 최종 선발하였다.
실시예 2. GmIPK1 유전자를 이용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형질전환체 생산
CRISPR/Cas9 시스템을 가진 pBAtC:GmIPK1 sgRNA-1과 pBAtC:GmIPK1 sgRNA-4 재조합 벡터(도 3A, 도 4A)가 도입된 아그로박테리움 EHA105 균주를 이용하여 콩 종자에 형질전환을 수행한 후, 식물체로 재분화 유도하여(도 5) 콩 형질전환체를 생산하였다.
그 결과, 콩 형질전환체는 pBAtC:GmIPK1 sgRNA-1 재조합 벡터에 의해서는 총 12개체, pBAtC:GmIPK1 sgRNA-4 재조합 벡터에 의해서는 총 17개체가 생산되었다.
실시예 3. 콩 형질전환체의 유전자 도입 확인을 위한 PCR 분석
상기 형질전환체(T0)에서 DNA를 분리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pBAtC:GmIPK1 sgRNA-1 재조합 벡터를 이용하여 형질전환된 콩 식물체(#1~#13)에서 선별 유전자 Bar 및 Cas9 유전자가 모두 도입된 것을 확인하였고(도 3B), pBAtC:GmIPK1 sgRNA-4 재조합 벡터를 이용하여 형질전환된 콩 식물체에서는 #10번 개체를 제외한 식물체(#1~#22)에서 선별 유전자 Bar 및 Cas9 유전자가 모두 도입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4B).
실시예 4. T 2 세대 유전자교정 콩 식물체의 종자 내 피트산 함량 분석
pBAtC:GmIPK1 sgRNA-4 재조합 벡터를 이용하여 형질전환된 식물체 중 T1 세대에서 100% 단일 유전자 패턴으로 검증된 #21번 개체의 T1 세대(#21-2, #21-3)의 T2 세대의 종자 내 피트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야생형 콩 식물체에 비해 #21-2 및 #21-3의 T2 세대 종자 내 피트산의 함량이 약 20~25%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110> Dong-A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120> Method for producing soybean plant having decreased phytic acid content using GmIPK1 gene editing and genome-edited soybean plant having decreased phytic acid content produced by the same method <130> PN21332 <160> 2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158 <212> DNA <213> Glycine max <400> 1 tactagcgaa taatttctgg tattgtgata aaaataaata aataaataaa ttctggcatc 60 gacacgtaaa ggagactcca ctcacagaaa gacagcacac aattcctttc ccaccatgtt 120 cattattccc attgtctacg tttactgttt ataactgaat ctaagacaac ataaatttaa 180 catcgtgttt ctcgttttga tcttgttcct gtggttagag tttagaattt gaagtagtag 240 ctgcattcca tttttctccc cttggaagca cgaggtaccc tttattgttt gaactgtctt 300 cttagtgttt gatgaaatgc tgaaccagat ttttcaggtg aaacagatgg cattgacttt 360 gaaagaggaa gacgcagctg actgggttta cagaggggaa ggagcagtta atcttgtgct 420 cgcttacgct ggatcctcac cttcttttgt gtgttttttg gtttctttcc gttgcttgtt 480 gtagctgaat tgtgtgctta tatgattttt tttttccaag cttaatgtgt attgtgtgtg 540 tagattggga aagtggtccg catacgtaag gctccaagga atggatcgca gtcaaagagt 600 gtgagtgtga ggaatagcat agctttgact ccacatgaac gtgttctctg gaaagatgtg 660 catcaactta tctcctcttc agacaaggaa atagttggtc aactatatgt gcagcatgtt 720 atgaagcctt tgcttggttc caactctgtt gatgctgggg tatgtatgta tgtatgtatg 780 tatgcatgca tgcatgtatg tatgtcagtg actgttgcat tgtccctctt ctagaatttt 840 tcgtcagaaa cccataaacg gaagttgttt tattgactga aagtggttgt ttttattatc 900 atgtgttgaa gatcagtttt gttattgata aaaatgggtt tagtgaattg ctgtgatttt 960 tggaatgaag tggttaagat gttgcgtgag aaagtaagtg attgtgattg tgattgtgat 1020 cattgaccta tgcctccttg gtatttgtta gatgcacgtc ctggtgacca gggaattcct 1080 tgagttggtt gagaagaatg tttctggtca acgtcctgcg tggcgagttg aagctgccag 1140 ggttgatgca cattgtgatt ttggccttct catgtcagat cattctctct ttgcttatgg 1200 taatgtgatg tgtaacactg aacttgcttc tactgtttaa catttttctg tttttccttt 1260 taaattaaat atatctaagt tttagcactg tgtcataaat agctgagata tcatcatttg 1320 ccagtatgag gagttagtac ataaacttgt caaatgtttg aaggttctgt attaagcttt 1380 atgtttcatt tcaggcagtc aaggatctag cctctgctta tctgttgaga taaaggtatt 1440 gcctgcatta tgtcacacac tgttattttt tggtttattt tctctcctta aagaatactt 1500 cagtttaaat tgaatatctt tatctcagct tcaccccttt cctctcagtc tttctctttc 1560 gcttggttgt aacaataact tttattttac cttgaaaagt agcccaaatg cggatttctt 1620 cctctttcaa gattcatatc tgaagtaaat gctatcaaaa ggagaataac ccgatttgaa 1680 atgcaccaaa ctctgaaatt gcttcaagga gaggtacatc ctacaaaatt taacctttta 1740 tggtgatcta gtggctgcat agtgcatact tcctgttgtc atatgttcta ggctcagcat 1800 ttaattctct gtcttatgat tgatgttgta atagtcaatg tccattattt atttggcatt 1860 aaatctgagt tagaaattct ttgaatatgt ttgtagatat cgcaactaag tgagtacaat 1920 ccacttgatc tgttctctgg atccaaggaa agaattctga aagctattaa aggtctcctt 1980 acaactcctc aaaacaattt tcgtgtattt ttgaatggct ctctcatact tggaggactg 2040 ggaggtgttg caaaaaatac agatgtttgt attgctaaag catttgaaga tgaacttaag 2100 tcaatcattc gagctgatga tgatctatgt acaaataact tatctactct tgttactgag 2160 gctttgcaaa aatcaggagt ccttgataag ctcctgaagg tgcagaagct tgataatatt 2220 gacatagaag gggtcatcca tgcatattat aacattactt ctcaacagtg catggtgtgt 2280 aaggaattga gtgaagaaca ggcaaaaata tatacccctt tgcattcagc ttcactggat 2340 gaaagtttga gaattgtaaa ggactacctg atagcaacaa ctgcaaaaga ctgcagtttg 2400 atgttgtgtt ttagaccaag gaatgaggag gattctggat ctgtgtacga taatgtatat 2460 ctggactcaa cggagcaatc ctttgattat aaggtaggca gaacatcact gttattatta 2520 ttggttgaaa tttttggttt atagtgtttg catgaatctg ttcagttcat tttaatgttg 2580 atttaaggcc ttgcttgggg atgctgcagc tttttcaaaa actgttgtcc tgtaggtgct 2640 ataaacagct acttctaact gtcactcaga atttgtttgg tgaaagatat aatatgatgt 2700 gaattcacct taatcaataa tgggtttggt agaagttatt gtaccactgc tccaagtatt 2760 taaagttact aaaaacaggt gttataaaat ttaatgggtg caaggtcaaa ttaggaaaag 2820 ataaaatgtt tctaggtatt tcatactttt tcagtcacag cagctttgaa gagcatcccc 2880 attgtagtac ttctcaaaaa agacaaggga cttttaaaag aaacaatcaa acaatattta 2940 tcagacataa tttatgattt atgccgtagg ttgcaattct taaagatgct attcttttta 3000 tctttatcca gaaaaatgag tttcagctgt aatggttatg cactgaatat cttagtttgt 3060 ttgcaatttg atctatatta ggtgtatttt atcgaccttg atttaaagcg cttaagtaaa 3120 gtggaagact actatgaatt agataagaag atagtgaact gctacagaca aatcatcaaa 3180 atggatcaag gaagaaatga agagacaggc ttgaaggcat ctaatgctgc atattgagat 3240 ttaataggtt cgatagtgtt cttttcttac ttcatgagta tgttggggct gtcagattcc 3300 cctgtttacg tgtttgtgct tgtattttta ttatttttcc tggttcatct agtatttgtt 3360 gcctcctgaa atatgatatc ttatgaaaat aacttttttt tgcaaaacat atttagtgtt 3420 agtattctgc atggggtgcg ttggtttgag aagcttgttt gttattatga taaattctct 3480 catcactgtt tataatgtag tctgtagata tgtggcccac gacaagtctc aaggacagat 3540 gtcaatttca cagttttttg tcggctaacg cttttggttc aatcagccgg gaaaggataa 3600 catcgattgg atttaaaaaa ttttgagact aaattacgat gttcatgtta actataatca 3660 tatttaactg attttataat aactagacca gtgaacatgc tctgcacggg caacactgtt 3720 tgttacagaa aatttaacca taaatatact tcgacctaga gtatatttag tttcacctag 3780 gtcggagcat cttctcctca gcctcgatta ggatattttt ggtttgacca cggccaaggc 3840 ctaaaacatc ttcatcttca actttggtct tggattaaaa atcaaaacca gttatataat 3900 cagttttgga tatgtaactg attatatagc cagtttttta aaattcaaaa caagctttac 3960 acagatacca aactcggtta tgaaaaataa gttatgatta tggttatgaa atccaacttt 4020 catatgatta cagttaggtt attcaaataa cctgacccat gaacacccat accactcaag 4080 gcgcatgtgg tctttgtatt gaacaccttt tcaaaattcc ataattagac taattctaga 4140 cagttctctc actcaaac 4158 <210> 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NA <400> 2 tcttcagaca aggaaatagt tgg 23 <210> 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NA <400> 3 tccgcatcag taaggctcca agg 23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NA <400> 4 agtttggtgc atttcaaatc ggg 23 <210> 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NA <400> 5 gaccagggaa ttccttgagt tgg 23 <210> 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NA <400> 6 cgtggcgagt tgaagctgcc agg 23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tccgttgctt gttgtagct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gaatgatctg acatgagaag 20 <210> 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atgagcccag aacgacgccc ggcc 24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gggtcatcag atttcggtga cggg 24 <210> 1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1 atggacaaga agtacagcat cggc 24 <210> 1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2 aacttgtaga actcctcctg gctg 24 <210> 1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3 cagatcggcg accagtacgc c 21 <210> 1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4 agaactggaa gtccttgcgg aagt 24 <210> 1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5 ctgagcgagc tggacaaggc cgg 23 <210> 1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6 ttaggcgtag tcgggcacgt cgta 24 <210> 1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7 tccgttgctt gttgtagctg 20 <210> 1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8 gaatgatctg acatgagaag 20 <210> 1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9 gtgtgagtgt gaggaatagc 20 <210> 2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0 ataccccagc atcaacagag 20 <210> 2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1 gatcattgac ctatgcctcc 20

Claims (8)

  1. 콩 유래 GmIPK1(Glycine max inositol pentakisphosphate 2-kinase 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와 엔도뉴클레아제(endonuclease) 단백질의 복합체(ribonucleoprotein); 또는 콩 유래 GmIPK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guide RNA)를 암호화하는 DNA 및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콩 식물체의 피트산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전체 교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mIPK1(Glycine max inositol pentakisphosphate 2-kinase 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a) 콩 유래 GmIPK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guide RNA) 및 엔도뉴클레아제(endonuclease) 단백질을 콩 식물세포에 도입하여 유전체를 교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유전체가 교정된 콩 식물세포로부터 콩 식물체를 재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가이드 RNA 및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을 콩 식물세포에 도입하는 것은, GmIPK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와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의 복합체(ribonucleoprotein); 또는 콩 유래 GmIPK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에 특이적인 가이드 RNA를 암호화하는 DNA 및 엔도뉴클레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GmIPK1 유전자의 표적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세포는 원형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
  8. 제7항에 따른 콩 식물체의 유전체가 교정된 종자.
KR1020210130538A 2021-10-01 2021-10-01 GmIPK1 유전자 교정에 의해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 KR20230047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38A KR20230047550A (ko) 2021-10-01 2021-10-01 GmIPK1 유전자 교정에 의해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38A KR20230047550A (ko) 2021-10-01 2021-10-01 GmIPK1 유전자 교정에 의해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550A true KR20230047550A (ko) 2023-04-10

Family

ID=8598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538A KR20230047550A (ko) 2021-10-01 2021-10-01 GmIPK1 유전자 교정에 의해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75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0653B2 (ja) 迅速な植物形質転換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AU738153B2 (en)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stably-transformed, fertile wheat employing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and compositions derived therefrom
CN102812034A (zh) 靶向基因组改造
AU2001279510A1 (en) Method for genetic transformation of woody trees
CN110066824B (zh) 一套用于水稻的碱基编辑人工系统
CN110358772B (zh) 提高水稻非生物胁迫抗性的OsEBP89基因及制备方法与应用
KR102547766B1 (ko) PhACO1 유전자 교정에 의해 개화수명이 연장된 유전체 교정 페튜니아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화수명이 연장된 유전체 교정 페튜니아 식물체
CN112280786A (zh) 一种养分高效利用耐除草剂玉米连hh2823转化事件及其特异性鉴定方法和应用
NO885091L (no) Spleisede gener samt fremstilling derav.
CN114350673B (zh) 一种调控种子活力的水稻kob1基因及其调控方法
KR102264215B1 (ko) 유전자 교정을 이용한 아스코르브산 함량이 증가된 토마토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토마토 식물체
KR20230047550A (ko) GmIPK1 유전자 교정에 의해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트산 함량이 감소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
KR102038481B1 (ko) 레스퀘렐라 유래 PfFAD3-1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수확량이 증가된 콩 식물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11394A (ko)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하여 플라보노이드 생합성 유전체를 편집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20240029599A (ko) 아세토락테이트 합성효소 유전자의 염기교정에 의해 설포닐우레아 계통 제초제 저항성을 획득한 콩 식물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설포닐우레아 계통 제초제 저항성을 획득한 유전체 교정 콩 식물체
WO1999066785A1 (en) Water stress or salt stress tolerant transgenic cereal plants
KR101677483B1 (ko) 벼 유래의 종자무기성분함량을 증진시키는 OsNAS3 유전자가 과발현된 항생제 마커프리 형질전환 벼
CN113968899B (zh) 一种长果番茄材料的制备方法
CN114958866B (zh) 调控大豆分枝数的基因及其用途
KR100496028B1 (ko) 제초제 저항성 고추 식물체의 제조방법
CN117683781A (zh) OsCSLE6基因在调控水稻抗旱性中的应用
KR20230048237A (ko) 유전자 교정을 이용한 꼬투리 열개가 지연된 배추과 작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추과 작물
KR20070016577A (ko) 목표유전자의 식물세포 내로의 도입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0363122B1 (ko) 유전자 조작을 통한 마늘 식물체의 형질전환 방법 및 형질전환 마늘
CN116751759A (zh) 红果酸合成酶及其相关生物材料和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