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530A -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530A
KR20230045530A KR1020220067863A KR20220067863A KR20230045530A KR 20230045530 A KR20230045530 A KR 20230045530A KR 1020220067863 A KR1020220067863 A KR 1020220067863A KR 20220067863 A KR20220067863 A KR 20220067863A KR 20230045530 A KR20230045530 A KR 20230045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iameter
spool
shaft
intermediat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니이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3004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01K89/01142Reciprocating mechanisms for reciprocating the guid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종래의 스피닝 릴이 가지는 문제를 호적(好適)하게 해결할 수 있는 스피닝 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1)은, 스풀축(15)과 스풀(7)과 피니언 기어(17)와 오실레이팅 기구(21)와 중간 기어(31, 33)를 가진다. 피니언 기어(17)는,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오실레이팅 기구(21)는,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중간 기어(31, 33)는, 피니언 기어(17) 및 오실레이팅 기구(21)의 사이에 배치된다. 중간 기어(31, 33)는, 피니언 기어(17)의 회전을 감속하여 오실레이팅 기구(21)에 전달한다. 스풀축(15)의 스트로크양 S를, 낚싯줄의 감기 피치 P 및 중간 기어(31, 33)의 모듈 M에 의하여 나눗셈한 값은, 60 이상이다.

Description

스피닝 릴{SPINNING REEL}
본 발명은,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에서는, 스풀이 전후로 왕복 이동할 때의 사점(死點), 즉 스풀이 가장 전방(前方)에 배치된 위치 및 스풀이 가장 후방(後方)에 배치된 위치에 있어서, 다향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낚싯줄의 방출 시에는, 사점에 있어서, 낚싯줄끼리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노이즈의 발생과 함께 낚싯줄의 방출 저항이 커진다. 이것에 의하여, 비거리가 저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 사점에 있어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풀을 대구경화(大口徑化)하는 기술, 스풀의 왕복 이동의 스트로크를 늘리는 기술(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을 참조), 낚싯줄의 감기 피치를 세세하게 하는 기술(예를 들어 특허문헌 2를 참조)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9-106898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86호
종래 기술에서는, 스풀이 대구경화되면, 스풀에 낚싯줄을 감기 위한 로터도 대구경화한다. 여기서, 이 로터의 회전을 허용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낚싯대 장착 다리부로부터 케이스부까지의 거리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즉, 스풀의 대구경화에 의하여, 스피닝 릴이 대형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스풀의 왕복 이동의 스트로크를 늘리면, 왕복 이동 기구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커진다. 이 때문에, 이 왕복 이동 기구를 수납하기 위하여, 케이스부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즉, 스풀의 왕복 이동의 스트로크양의 증가에 의하여, 케이스부 즉 스피닝 릴이 대형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한편으로, 전술의 기술과 비교하여, 낚싯줄의 감기 피치를 세세하게 하였을 경우, 스피닝 릴의 대형화의 억제에는 유효하다. 그러나, 낚싯줄의 감기 피치를 세세하게 하려고 하면 할수록, 감속비가 큰 감속 기구와 같은 복잡한 구조나, 홈 사이의 두께가 얇은 웜 샤프트와 같은 제조 곤란한 부품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즉, 스피닝 릴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거나, 스피닝 릴의 제조 코스트가 비싸지거나 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어, 상기의 감속비가 큰 감속 기구를 단순한 기어열로 구성하는 형태로서는, 기어를 소모듈로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기어를 소모듈로 구성하는 경우, 기어의 강도를 고려하면서 기어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낚싯줄의 굵기나 스풀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기어를 설계하기 위하여는, 많은 시작(試作)을 행하고, 복잡한 강도 계산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사점에 있어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왕복 이동 기구 및 스풀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기본 구조가 제안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왕복 이동 기구 및 스풀을 설계할 때의 기준치를 설정하고, 이 기준치를 이용하여 왕복 이동 기구 및 스풀이 설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스피닝 릴이 가지는 문제를 호적(好適)하게 해결할 수 있는 기본 구조를 가지는 스피닝 릴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스풀축과 스풀과 피니언 기어와 왕복 이동 기구와 중간 기어를 가진다. 스풀축은,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은, 스풀축에 연결된다. 스풀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피니언 기어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왕복 이동 기구는,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중간 기어는, 피니언 기어 및 왕복 이동 기구의 사이에 배치된다. 중간 기어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감속하여 왕복 이동 기구에 전달한다. 스풀축의 스트로크양을, 낚싯줄의 감기 피치 및 중간 기어의 모듈에 의하여 나눗셈한 값은, 60 이상이다.
본 스피닝 릴은, 스풀축의 스트로크양을 낚싯줄의 감기 피치 및 중간 기어의 모듈에 의하여 나눗셈한 값을 60 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을 이용하여 왕복 이동 기구 및 스풀을 설계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의 스피닝 릴이 가지는 문제를 호적하게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에서는, 스풀축의 스트로크양을, 낚싯줄의 감기 피치 및 중간 기어의 모듈에 의하여 나눗셈한 값은,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에서는, 감기 피치가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에서는, 스풀은, 외주(外周)에 낚싯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와, 줄 감기 몸통부의 전단(前端)으로부터 경(徑)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前) 플랜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 플랜지의 외경(外徑)은 60mm 미만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에서는, 중간 기어가, 제1 중간 기어와 제2 중간 기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중간 기어의 모듈 및 제2 중간 기어의 모듈 중의 작은 쪽의 모듈이, 중간 기어의 모듈로서 선택된다.
제1 중간 기어는, 스풀축과 평행한 제1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중간 기어는,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제1 대경(大徑) 기어와, 제1 대경 기어보다도 소경(小徑)이고 제1 대경 기어와 일체(一體) 회전하는 제1 소경 기어를 가진다.
제2 중간 기어는, 제1축과 평행한 제2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중간 기어는, 제1 소경 기어에 맞물리는 제2 대경 기어와, 제2 대경 기어보다도 소경이고 제2 대경 기어와 일체 회전하는 제2 소경 기어를 가진다. 왕복 이동 기구는, 제2 소경 기어에 맞물리는 종동(從動) 기어와, 종동 기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웜 샤프트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여, 스풀축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감속시키면서 낚싯줄을 스풀에 감을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종래의 스피닝 릴이 가지는 문제를 호적하게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피닝 릴은, 종래의 스피닝 릴이 가지는 문제를 호적하게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스피닝 릴의 측 커버 및 본체 가이드를 떼어낸 측면도.
도 3은 스풀의 측면도.
도 4는 오실레이팅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감속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낚싯줄의 감기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피닝 릴 및 종래의 스피닝 릴에 있어서의 기본 구조의 각 수치 및 캐스팅(casting)·릴링(reeling)의 종합 평가를 표로 하여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채용된 스피닝 릴(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3)와 핸들(5)과 스풀(7)과 로터(9)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피닝 릴(1)은, 핸들축(11)과 구동 기어(13)와 스풀축(15)과 피니언 기어(17)와 감속 기구(19)와 오실레이팅 기구(21)(왕복 이동 기구의 일례)를 더 구비한다. 덧붙여,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스피닝 릴(1)의 측 커버(1a) 및 본체 가드(1b)가 떼어내진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은,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5)이 릴 본체(3)의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의 예가 나타내진다. 핸들(5)은 릴 본체(3)의 우측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핸들(5)은, 핸들축(11)에 장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11)은,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 기어(13)는, 핸들축(11)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핸들축(11)에 장착된다. 구동 기어(13)는, 피니언 기어(17)에 맞물린다.
스풀(7)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7)은, 스풀축(15)과 함께 릴 본체(3)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풀(7)은, 스풀축(15)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스풀(7)은, 도시하지 않는 드래그 기구를 통하여, 스풀축(15)의 선단부(先端部)에 연결된다.
스풀(7)은, 중심축심(X2)을 가진다. 스풀(7)이 스풀축(15)에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스풀(7)의 중심축심(X2)은, 후술하는 스풀축심(X1)과 동축(同軸)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7)은, 줄 감기 몸통부(7a)와 전 플랜지(7b)와 스커트부(7c)를 가진다. 줄 감기 몸통부(7a)의 외주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줄 감기 몸통부(7a)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된다. 전 플랜지(7b)는, 줄 감기 몸통부(7a)의 전단으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전 플랜지(7b)는 줄 감기 몸통부(7a)와 일체로 형성된다. 전 플랜지(7b)는 원판상(圓板狀)으로 형성된다. 전 플랜지(7b)는, 외경 R를 가진다. 전 플랜지(7b)의 외경 R는, 전 플랜지(7b)의 외주면(外周面)(7b1)에 의하여 정의된다. 전 플랜지(7b)의 경방향 외측에는, 스풀 칼라(collar)(10)가 배치된다(도 2를 참조). 스풀 칼라(10)는, 전 플랜지(7b)의 외주면(7b1)을 덮는다.
스커트부(7c)는, 줄 감기 몸통부(7a)의 후단(後端)에 일체로 형성된다. 스커트부(7c)는, 후(後) 플랜지(7c1)와 통상부(7c2)를 가진다. 후 플랜지(7c1)는, 줄 감기 몸통부(7a)의 후단으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후 플랜지(7c1)는 줄 감기 몸통부(7a)와 일체로 형성된다. 후 플랜지(7c1)는 원판상으로 형성된다. 통상부(7c2)는, 후 플랜지(7c1)의 외주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통상부(7c2)는 후 플랜지(7c1)와 일체로 형성된다. 통상부(7c2)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5)은, 릴 본체(3)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15)은, 통상의 피니언 기어(17)의 내주부(內周部)에 삽통(揷通)된다. 스풀축(15)은, 오실레이팅 기구(21)의 작동에 의하여, 릴 본체(3)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스풀축(15)은, 스풀축심(X1)을 가진다. 전후 방향 및 축 방향은, 스풀축심(X1)이 연장되는 방향이다. 경방향은, 스풀축심(X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둘레 방향 및 회전 방향은, 스풀축심(X1) 둘레의 방향이다.
오실레이팅 기구(21)는,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오실레이팅 기구(21)는, 예를 들어, 오실레이팅 기구(21)는, 핸들축(11)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오실레이팅 기구(21)는, 릴 본체(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실레이팅 기구(21)는, 웜 샤프트(23)와 슬라이더(25)와 웜 샤프트 기어(27)(종동 기어의 일례)를 가진다. 웜 샤프트(23)는, 스풀축(15) 및 슬라이더(25)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한다. 웜 샤프트(23)는, 스풀축(15)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웜 샤프트(23)는,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웜 샤프트(23)는, 회전축심(W1)을 가진다.
웜 샤프트(23)는, 축 본체(23a)와 홈부(23b)를 가진다. 축 본체(23a)는, 일 방향으로 긴 축 부재이다. 축 본체(23a)는, 회전축심(W1)이 연장되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홈부(23b)는, 축 본체(23a)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홈부(23b)에는, 후술하는 멈춤쇠 부재(26)가 계합한다.
슬라이더(25)는, 스풀축(15)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25)는, 스풀축(15)의 후단에 고정된다. 슬라이더(25)는, 웜 샤프트(23)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5)에는 멈춤쇠 부재(26)가 장착된다. 멈춤쇠 부재(26)는, 스풀축(15) 및 슬라이더(25)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된다. 멈춤쇠 부재(26)는, 웜 샤프트(23)의 홈부(23b)에 계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웜 샤프트(23)가 회전하면, 멈춤쇠 부재(26)가 웜 샤프트(23)의 홈부(23b)를 따라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슬라이더(25)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웜 샤프트 기어(27)는, 웜 샤프트(23)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웜 샤프트 기어(27)는, 회전축심(W2)을 가진다. 웜 샤프트 기어(27)의 회전축심(W2)이 웜 샤프트(23)의 회전축심(W1)과 동심(同心)이 되도록, 웜 샤프트 기어(27)는 웜 샤프트(23)에 장착된다. 웜 샤프트 기어(27)는, 웜 샤프트(23)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웜 샤프트 기어(27)는, 기어 본체(27a)와 삽통 구멍(27b)을 가진다. 기어 본체(27a)는, 원판상으로 형성된다. 기어 본체(27a)는, 감속 기구(19)의 제2 소경 기어(33b)(후술한다)에 맞물린다.
삽통 구멍(27b)은, 기어 본체(27a)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삽통 구멍(27b)은, 웜 샤프트 기어(27)의 회전축심(W2)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있어서, 기어 본체(27a)를 관통한다. 삽통 구멍(27b)에는, 웜 샤프트(23)가 삽통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웜 샤프트(23)는, 웜 샤프트 기어(27)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7)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피니언 기어(17)는,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니언 기어(17)는, 스풀축(15)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피니언 기어(17)는,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7)는, 스풀축심(X1) 둘레로 회전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속 기구(19)는, 피니언 기어(17)의 회전을 감속하여 오실레이팅 기구(21)에 전달한다. 도 5에서는, 각 기어의 기어 톱니는 생략되어 있다. 각 기어가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는, 해칭(hatching)이 실시되어 있다.
감속 기구(19)는, 피니언 기어(17) 및 오실레이팅 기구(21)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감속 기구(19)는, 피니언 기어(17) 및 웜 샤프트 기어(27)의 사이에 배치된다. 감속 기구(19)는, 제1 중간 기어(31)와 제2 중간 기어(33)를 가진다.
제1 중간 기어(31)는, 스풀축심(X1)과 평행한 제1축(A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중간 기어(31)는,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중간 기어(31)는, 제1 모듈 M1을 가진다. 제1 모듈 M1은, 제1 중간 기어(31)의 피치원의 직경 d1을, 제1 중간 기어(31)의 톱니 수 z1로 나눗셈하는 것에 의하여 산출된다. 이 산출식은, 「M1=d1/z1」에 의하여 표현된다. 도 5에서는, 제1 중간 기어(31)의 톱니 수 z1을 나타내는 인출선은, 이점파선으로 나타내져 있다.
제1 중간 기어(31)는, 제1 대경 기어(31a)와 제1 소경 기어(31b)를 가진다. 제1 대경 기어(31a)는, 피니언 기어(17)에 맞물린다. 제1 대경 기어(31a)의 회전축심은, 제1축(A1)이다. 제1 소경 기어(31b)는, 제1 대경 기어(31a)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된다. 제1 소경 기어(31b)는, 제1 대경 기어(31a)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대경 기어(31a)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제1 소경 기어(31b)의 회전축심은, 제1축(A1)이다.
제2 중간 기어(33)는, 제1축(A1)과 평행한 제2축(A2)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중간 기어(33)는,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중간 기어(33)는, 제2 모듈 M2를 가진다. 제2 모듈 M2는, 제2 중간 기어(33)의 피치원의 직경 d2를, 제2 중간 기어(33)의 톱니 수 z2로 나눗셈하는 것에 의하여 산출된다. 이 산출식은, 「M2=d2/z2」에 의하여 표현된다. 도 5에서는, 제2 중간 기어(33)의 톱니 수 z2를 나타내는 인출선은, 이점파선으로 나타내져 있다.
제2 중간 기어(33)는, 제2 대경 기어(33a)와 제2 소경 기어(33b)를 가진다. 제2 대경 기어(33a)는, 제1 소경 기어(31b)에 맞물린다. 제2 대경 기어(33a)의 회전축심은, 제2축(A2)이다. 제2 소경 기어(33b)는, 제2 대경 기어(33a)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된다. 제2 소경 기어(33b)는, 제2 대경 기어(33a)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대경 기어(33a)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제2 소경 기어(33b)의 회전축심은, 제2축(A2)이다. 제2 소경 기어(33b)는, 웜 샤프트 기어(27)에 맞물린다.
핸들(5)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핸들축(11)이 회전하면, 구동 기어(13)가 회전한다. 구동 기어(13)의 회전은, 피니언 기어(17)에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7)의 회전은, 상술한 감속 기구(19)를 통하여 웜 샤프트 기어(27)에 전달된다. 웜 샤프트 기어(27)의 회전은, 웜 샤프트(23)에 전달된다. 웜 샤프트(23)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더(25) 및 스풀축(15)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9)는, 스풀(7)에 낚싯줄을 감기 위하여 이용된다. 로터(9)는, 릴 본체(3)의 전부(前部)에 배치된다. 로터(9)는, 릴 본체(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로터(9)는, 피니언 기어(17)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로터(9)는, 피니언 기어(17)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5)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핸들축(11)이 회전하면, 구동 기어(13)가 회전한다. 구동 기어(13)의 회전은, 피니언 기어(17)에 전달된다. 로터(9)는, 피니언 기어(17)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스피닝 릴(1)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전 플랜지(7b)의 외경 R는, 60mm 미만이다. 예를 들어, 전 플랜지(7b)의 외경 R는, 35mm 이상 또한 60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 플랜지(7b)의 외경 R는, 40mm 이상 56mm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 플랜지(7b)의 외경 R는, 전 플랜지(7b)의 외주면(7b1)에 의하여 정의된다.
낚싯줄의 감기 피치 P는, 1.0mm 이하이다. 예를 들어, 낚싯줄의 감기 피치 P는, 0.4mm 이상 또한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낚싯줄의 감기 피치 P는, 0.55mm 이상 0.9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낚싯줄의 감기 피치 P는, 줄 감기 몸통부(7a) 상(上)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낚싯줄의 축 방향 간격이다.
덧붙여, 줄 감기 피치 P는, 오실레이팅 기구(21)의 구조에 의하여는 일정하지 않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평균 줄 감기 피치가, 줄 감기 피치 P로서 이용된다. 평균 줄 감기 피치는, 왕복의 스트로크 거리(2S)를, 스풀(7)이 전후로 1 왕복하는 사이에 로터(9)가 회전하는 회수(N)에 의하여 나눗셈한 값(2S/N)이다.
스풀축(15)의 스트로크양 S를, 낚싯줄의 감기 피치 P와, 제1 중간 기어(31)의 제1 모듈 M1 및 제2 중간 기어(33)의 제2 모듈 M2 중의 작은 쪽의 모듈 M에 의하여, 나눗셈한 값(S/(P·M))은, 60 이상이다. 스풀축(15)의 스트로크양 S를, 낚싯줄의 감기 피치 P와, 제1 중간 기어(31)의 제1 모듈 M1 및 제2 중간 기어(33)의 제2 모듈 M2 중의 작은 쪽의 모듈 M에 의하여, 나눗셈한 값(S/(P·M))은, 150 이하이다. 이것들의 관계는, 관계식 「60≤(S/(P·M))≤150」에 의하여 표현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5)의 스트로크양 S는, 오실레이팅 기구(21)에 의하여 스풀축(15)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이다. 스풀축(15)의 스트로크양 S는, 12mm 이상 또한 2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풀축(15)의 스트로크양 S는, 13mm 이상 23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을 채용한 스피닝 릴(1)(채용 기종 1 및 2), 채용 기종 1 및 2의 제원(諸元)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을 채용 가능한 스피닝 릴(1)(비교 기종 3), 및, 중간 기어 또는 중간 기어에 상당하는 기어를 가지는 종래의 스피닝 릴(종래 기종 1 ~ 3)에 있어서, 상기의 각 수치 및 캐스팅·릴링의 종합 평가를 표로 한 것이다.
도 7의 「캐스팅·릴링의 종합 평가」는, 복수의 시험자가 각 스피닝 릴의 「사이즈 카테고리 A, B, C」마다 캐스팅과 릴링(낚싯줄 감기)을 행하였을 때의 정숙성·신장감, 감기의 안정성 등을 한 쌍 비교 시험법으로 관능 평가하고, 순위 매김한 것이다. 덧붙여, 「캐스팅·릴링의 종합 평가」의 부호는, 알파벳이 사이즈 카테고리를 나타내고, 수치는 평가순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사이즈 카테고리 A 중에서는, 채용 기종 1의 종합 평가 A1은, 종래 기종 1의 종합 평가 A2와 비교하여, 평가가 높다. 사이즈 카테고리 B 중에서는, 채용 기종 2의 종합 평가 B1은, 종래 기종 2의 종합 평가 B2와 비교하여, 평가가 높다. 사이즈 카테고리 C 중에서는, 비교 기종 3의 종합 평가 C1은, 종래 기종 3의 종합 평가 C2와 비교하여, 평가가 높다. 이와 같이, 채용 기종 1, 채용 기종 2, 및 비교 기종 3의 종합 평가 A1, B1, C1은, 각 사이즈 카테고리 A, B, C 중에서 종래 기종의 종합 평가 A2, B2, C2와 비교하여 고평가를 얻고 있다.
상술한 스피닝 릴(1)은,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스풀축(15)의 스트로크양 S를 낚싯줄의 감기 피치 P 및 중간 기어(31, 33)의 모듈 M에 의하여 나눗셈한 값(S/(P·M))이 60 이상이 되도록, 스피닝 릴(1)은 구성된다. 이 구성을 이용하여 오실레이팅 기구(21) 및 스풀(7)을 설계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의 스피닝 릴이 가지는 문제를 호적하게 해결할 수 있다.
스피닝 릴(1)에서는, 스풀축(15)의 스트로크양 S를 낚싯줄의 감기 피치 P 및 중간 기어(31, 33)의 모듈 M에 의하여 나눗셈한 값(S/(P·M))은 150 이하이다. 스피닝 릴(1)에서는, 감기 피치 P가 1.0mm 이하이다. 스피닝 릴(1)에서는 전 플랜지(7b)의 외경 R는 60mm 미만이다. 스피닝 릴(1)은 제1 중간 기어(31) 및 제2 중간 기어(33)를 가지기 때문에,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감속하면서 낚싯줄을 줄 감기 몸통부(7a)에 감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종래의 스피닝 릴이 가지는 문제를 호적하게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피닝 릴에 이용할 수 있다.
1: 스피닝 릴
3: 릴 본체
5: 핸들
7: 스풀
7a: 줄 감기 몸통부
7b: 전 플랜지
15: 스풀축
17: 피니언 기어
21: 오실레이팅 기구
23: 웜 샤프트
25: 슬라이더
27: 웜 샤프트 기어
31: 제1 중간 기어
31a: 제1 대경 기어
31b: 제1 소경 기어
33: 제2 중간 기어
33a: 제2 대경 기어
33b: 제2 소경 기어
d1: 제1 중간 기어의 피치원의 직경
d2: 제2 중간 기어의 피치원의 직경
M: 모듈
M1: 제1 중간 기어의 모듈
M2: 제2 중간 기어의 모듈
P: 감기 피치
R: 전 플랜지의 외경
S: 스풀축의 스트로크양
z1: 제1 중간 기어의 톱니 수
z2: 제2 중간 기어의 톱니 수

Claims (5)

  1.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축과,
    상기 스풀 축에 연결되고,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스풀축을 상기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 이동 기구와,
    상기 피니언 기어 및 왕복 이동 기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감속하여 상기 왕복 이동 기구에 전달하는 중간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스풀축의 스트로크양을 상기 낚싯줄의 감기 피치 및 상기 중간 기어의 모듈(피치원의 직경/톱니 수)에 의하여 나눗셈한 값이, 60 이상인,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값은, 150 이하인,
    스피닝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 피치는, 1.0mm 이하인,
    스피닝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외주(外周)에 상기 낚싯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와, 상기 줄 감기 몸통부의 전단(前端)으로부터 경(徑)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前)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전 플랜지의 외경(外徑)은, 60mm 미만인,
    스피닝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기어는, 제1 중간 기어와 제2 중간 기어를 가지고,
    상기 제1 중간 기어의 모듈 및 상기 제2 중간 기어의 모듈 중의 작은 쪽의 모듈이, 상기 중간 기어의 상기 모듈로서 선택되고,
    상기 제1 중간 기어는, 상기 스풀축과 평행한 제1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제1 대경(大徑) 기어와, 상기 제1 대경 기어보다도 소경(小徑)이고 상기 제1 대경 기어와 일체(一體) 회전하는 제1 소경 기어를 가지고,
    상기 제2 중간 기어는, 상기 제1축과 평행한 제2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소경 기어에 맞물리는 제2 대경 기어와, 상기 제2 대경 기어보다도 소경이고 상기 제2 대경 기어와 일체 회전하는 제2 소경 기어를 가지고,
    상기 왕복 이동 기구는, 상기 제2 소경 기어에 맞물리는 종동(從動)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웜 샤프트를 가지는,
    스피닝 릴.
KR1020220067863A 2021-09-28 2022-06-02 스피닝 릴 KR202300455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58235 2021-09-28
JP2021158235A JP2023048748A (ja) 2021-09-28 2021-09-28 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530A true KR20230045530A (ko) 2023-04-04

Family

ID=8547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863A KR20230045530A (ko) 2021-09-28 2022-06-02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37439B2 (ko)
JP (1) JP2023048748A (ko)
KR (1) KR20230045530A (ko)
CN (1) CN115868463A (ko)
DE (1) DE102022209578A1 (ko)
TW (1) TW2023128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6898A (ja) 2017-12-15 2019-07-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6072B2 (ja) 1997-06-12 2004-08-1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6979844B2 (ja) * 2017-10-06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回転伝達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6898A (ja) 2017-12-15 2019-07-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86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01660A1 (en) 2023-03-30
US11737439B2 (en) 2023-08-29
DE102022209578A1 (de) 2023-03-30
CN115868463A (zh) 2023-03-31
JP2023048748A (ja) 2023-04-07
TW202312868A (zh) 202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535B1 (ko) 스피닝릴의 왕복이동장치
US7500631B2 (en) Gear mounting structure for fishing reel
KR20100087249A (ko) 낚시용 릴의 트래버스 캠축 및 그것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US20190327948A1 (en) Torque limiting device for fishing reel and spinning reel
TWI750400B (zh) 回轉傳遞機構及具備此之釣具用捲線器
KR20230045530A (ko) 스피닝 릴
KR20230045529A (ko) 스피닝 릴
US6702214B2 (en) Fishing-reel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050056129A (ko) 스피닝 릴의 오실레이팅 기구
CN108112553B (zh) 纺车卷线器的往复移动机构及具备该机构的纺车卷线器
JP2003225040A5 (ko)
US6682007B2 (en) Spinning reel having improved spool oscillating mechanism
JP431410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オシレーティング機構
US10327431B2 (en) Reciprocat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JP738552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20220192169A1 (en) Spinning reel
US20230345925A1 (en) Oscillating mechanism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with oscillating mechanism
KR20230042618A (ko) 스피닝 릴
JPH0624567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33582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