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121A -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및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및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121A
KR20200080121A KR1020190123715A KR20190123715A KR20200080121A KR 20200080121 A KR20200080121 A KR 20200080121A KR 1020190123715 A KR1020190123715 A KR 1020190123715A KR 20190123715 A KR20190123715 A KR 20190123715A KR 20200080121 A KR20200080121 A KR 20200080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ive shaft
handle assembly
spinning ree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샤머딘 빈 캄니 무하마드
샤히드 빈 소와르니 무하마드
익 후이 찬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20008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축 부재에서 통형 부재가 빠지는 것을 바람직하게 규제할 수 있는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1)의 핸들 조립체(15)는, 스피닝 릴(1)의 구동축(7)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핸들 조립체(15)는, 축 부재(33), 핸들 암(35), 통형 부재(37), 환형의 탄성 부재(39)를 구비한다. 축 부재(33)는, 구동축(7)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핸들 암(35)은, 축 부재(33)에 연결된다. 통형 부재(37)는, 핸들 암(35)을 구동축(7)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해, 축 부재(33)의 외주이며 구동축(7) 및 핸들 암(35) 사이에 배치된다. 환형의 탄성 부재(39)는, 축 부재(33)에서 통형 부재(37)가 빠지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축 부재(33) 및 통형 부재(37)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및 스피닝 릴 {A HANDLE ASSEMBLY OF A SPINNING REEL AND A SPINNING REEL}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특히 스피닝 릴의 구동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피닝 릴에는, 핸들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핸들 조립체는, 구동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핸들 조립체는 핸들 암, 축 부재(핸들 샤프트), 통형 부재(축 커버)를 포함한다. 이 핸들 조립체에서는, 통형 부재는, 핸들 암을 구동축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다. 통형 부재는, 축 부재에 돌려넣는 것에 의해, 축 부재에서 빠지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일본 특개 2014-23432호 공보
종래의 핸들 조립체에서는, 통형 부재는, 축 부재에서 빠지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축 부재에 돌려넣어진다. 이 경우, 통형 부재의 암나사부를 축 부재의 수나사부에 돌려넣을 때, 암나사부의 단부 및 수나사부의 단부가 충돌하고, 암나사부 및/또는 수나사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축 부재에서 통형 부재가 빠지는 것을 바람직하게 규제할 수 있는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된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는, 스피닝 릴의 구동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핸들 조립체는, 축 부재, 핸들 암, 통형 부재, 환형(環狀)의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축 부재는, 구동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핸들 암은, 축 부재에 연결된다. 통형 부재는, 핸들 암을 구동축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해, 축 부재의 외주이며 구동축 및 핸들 암 사이에 배치된다. 환형의 탄성 부재는, 축 부재에서 통형 부재가 빠지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축 부재 및 통형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본 핸들 조립체에서는, 환형의 탄성 부재를 축 부재 및 통형 부재 사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종래 기술과 같이 축 부재 및 통형 부재 각각에 나사부를 설치하지 않고, 축 부재에서 통형 부재가 빠지는 것을 바람직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된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에서는, 축 부재는, 환형의 탄성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통형 부재는, 환형의 탄성 부재에 당접(當接)하는 당접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환형의 탄성 부재가 축 부재의 배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통형 부재의 당접부를 환형의 탄성 부재에 당접시키는 것에 의해, 축 부재에서 통형 부재가 빠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축 부재에서 통형 부재가 빠지는 것을 환형의 탄성 부재에 의해 더 바람직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된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에서는, 배치부는 축 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 요부(凹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당접부는, 통형 부재의 내주면(內周面)보다 대경(大徑)인 저면(底面)을 가지는 단차부(段差部)이다. 이 구성에 의해, 환형의 탄성 부재를 배치부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통형 부재의 당접부를 환형의 탄성 부재에 용이하게 당접시킬 수 있다. 축 부재에서 통형 부재가 빠지는 것을, 환형의 탄성 부재에 의해 더 바람직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된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에서는, 환형의 탄성 부재가 환형 요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환형의 탄성 부재의 일부는, 단차부의 벽부(壁部)에 당접하도록, 축 부재의 외주면(外周面)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축 부재에서 통형 부재가 빠지는 것을, 환형의 탄성 부재에 의해 더 바람직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된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에서는, 통형 부재는, 구동축 측에 설치되는 제1 단부(端部)와, 핸들 암 측에 설치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단부의 내주면에는, 핸들 암 측을 향하여 확경(擴徑)된 테이퍼부가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해, 환형의 탄성 부재를 통형 부재의 테이퍼부로부터 축 부재 및 통형 부재 사이로 안내하고, 축 부재 및 통형 부재 사이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된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는, 통형 부재를 덮는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커버 부재는, 축 방향에서 핸들 암 및 통형 부재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된다. 통형 부재는, 축 방향에서 구동축 및 커버 부재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핸들 암을 구동축에 대하여 확실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된 스피닝 릴은는, 구동축, 구동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기의 핸들 조립체를 구비한다. 이로써, 본 스피닝 릴에서는, 상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된 스피닝 릴에서는, 축 부재가 구동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통형 부재는, 구동축 및 커버 부재에 의해 협지(挾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커버 부재는 핸들 암 및 통형 부재에 의해 협지된다. 이 구성에 의해, 핸들 암을 구동축에 대하여 확실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에서, 축 부재에서 통형 부재가 빠지는 것을, 환형의 탄성 부재에 의해 바람직하게 규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그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단선 III-III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핸들 조립체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핸들 조립체의 통형 부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피닝 릴(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7)과 핸들 조립체(15)를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스피닝 릴(1)은, 릴 본체(3), 로터(5), 구동축(7)을 포함한 로터 구동 기구(9), 스풀(11), 진동(oscillating) 기구(13), 핸들 조립체(15)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축 방향"은, 스풀 축(17)의 축심(X1)(스풀 축(17)심)이 연장하는 방향에 의해 정의된다. "제1 지름 방향"은, 스풀 축심(X1)에서 멀어지는 지름 방향에 의해 정의된다. "제1 원주 방향"은, 스풀 축심(X1) 둘레의 원주 방향으로 의해 정의된다.
또, "제2 축 방향"은, 구동축(7)의 축심(X2)(구동 축심(X2))이 연장하는 방향에 의해 정의된다. "제2 지름 방향"은, 구동 축심(X2)에서 멀어지는 지름 방향에 의해 정의된다. "제2 원주 방향"은, 구동 축심(X2) 둘레의 원주 방향에 의해 정의된다.
<릴 본체>
릴 본체(3)는, 핸들 조립체(1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3)는, 릴 보디(21), 덮개 부재(23), 장대 장착부(25), 가드 부재(27)를 가진다. 릴 보디(21)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릴 보디(21)의 내부 공간에는, 로터 구동 기구(9)와 진동 기구(13)가 배치된다(도 2를 참조).
덮개 부재(23)는, 릴 보디(21)를 덮는다. 덮개 부재(23)는, 릴 보디(2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장대 장착부(25)는, 낚싯대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장대 장착부(25)는, 릴 보디(2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다. 장대 장착부(25)는, 실질적으로 T자형으로 형성된다. 가드 부재(27)는, 릴 보디(21) 및 덮개 부재(23)의 후부를 덮는다.
<로터>
로터(5)는, 스풀(11)에 낚싯줄을 감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5)는, 릴 본체(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로터(5)는, 로터 구동 기구(9)를 개재하여, 릴 본체(3)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 구동 기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 구동 기구(9)는, 핸들 조립체(15)의 회전에 연동하여 로터(5)를 회전시킨다. 로터 구동 기구(9)는 구동축(7), 구동 기어(29), 피니언 기어(31)를 가진다.
구동축(7)은,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축(7)은, 통형으로 형성된다. 구동축(7)에는, 핸들 조립체(15)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면, 구동축(7)에는, 핸들 조립체(15)의 축 부재(33)(후술)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핸들 조립체(15)의 축 부재(33)가 구동축(7)의 양단부의 어느 일방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기어(29)는, 피니언 기어(31)에 맞물리는 페이스 기어(face gear)이다. 구동 기어(29)는, 구동축(7)과 일체 회전하도록 구동축(7)에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 기어(29)는, 구동축(7)과 일체 형성되어도 되고, 구동축(7)과 별체(別體)로 형성되어도 된다. 피니언 기어(31)는, 구동 기어(29)에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31)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피니언 기어(31)는,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니언 기어(31)는, 로터(5)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
스풀(11)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11)은, 릴 본체(3)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1)은, 스풀 축(17)에 장착된다. 스풀 축(17)은, 피니언 기어(31)의 지름 방향 내측에 삽통(揷通)된다. 진동 기구(13)는, 스풀 축(17)을 릴 본체(3)에 대하여 제1 축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진동 기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 기구(13)는, 스풀 축(17)을 개재하여, 스풀(11)을 제1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진동 기구(13)는, 트래버스 캠(traverse cam) 축(13a)과 슬라이더(13b)를 가진다.
트래버스 캠 축(13a)은, 스풀 축(17)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트래버스 캠 축(13a)은, 슬라이더(13b)를 제1 축 방향(전후 방향)으로 안내한다. 슬라이더(13b)는, 스풀 축(17)의 일단부(후단)에 고정된다. 슬라이더(13b)는, 트래버스 캠 축(13a)을 따라, 스풀 축(17)과 함께 제1 축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중간 기어(14)는, 트래버스 캠 축(13a)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중간 기어(14)는, 감속 기구(미도시)를 개재하여, 피니언 기어(31)에 맞물린다.
<핸들 조립체>
핸들 조립체(15)는, 릴 본체(3)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다. 핸들 조립체(15)가 장착되지 않은 측에는, 캡 부재(16)이 장착된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는, 핸들 조립체(15)가 릴 본체(3)의 우측에 장착된 경우의 예이다. 도 3 및 도 4는, 핸들 조립체(15)가 릴 본체(3)의 좌측에 장착된 경우의 예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5)는, 구동축(7)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핸들 조립체(15)는, 축 부재(33), 핸들 암(35), 통형 부재(37), 탄성 부재(39)를 구비한다. 핸들 조립체(15)는 커버 부재(41)를 더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핸들 조립체(15)는 축 부재(33), 핸들 암(35), 핸들 손잡이(36)(도 2를 참조), 통형 부재(37), 커버 부재(41)를 구비한다.
(축 부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부재(33)는 구동축(7)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축 부재(33)는, 구동축(7)과 일체 회전하도록, 구동축(7)의 내주부(內周部)에 장착된다. 여기에서는, 축 부재(33)의 단부가 구동축(7)과 일체 회전하도록, 구동축(7)의 내주부에 돌려넣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부재(33)는, 탄성 부재(39)를 배치하기 위한 환형 요부(43)(배치부의 일례)과 위치 결정부(45)를 가진다.
환형 요부(43)는, 축 부재(33)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설치된다. 환형 요부(43)는, 축 부재(33)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며 제2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면, 축 부재(33)의 외주면은, 제1 외주면(33a)과 제2 외주면(33b)을 포함한다. 제1 외주면(33a) 및 제2 외주면(33b)은, 제2 축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제1 외주면(33a) 및 제2 외주면(33b) 사이에는, 환형 요부(43)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 외주면(33a, 33b)은, 환형 요부(43)의 저부보다 대경으로 형성된다.
위치 결정부(45)는, 커버 부재(41)를 제2 지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핸들 암(35) 측에서의 축 부재(33)의 외주면이, 위치 결정부(45)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축 부재(33)의 외주면은, 제3 외주면(33c)을 더 포함한다. 제3 외주면(33c)은, 제1 및 제2 외주면(33a, 33b)보다 대경으로 형성된다. 제3 외주면(33c)에 의해, 커버 부재(41)가 축 부재(33)에 대하여 제2 지름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핸들 암 및 핸들 손잡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암(35)은, 축 부재(33)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핸들 암(35)은, 연결축(38)을 개재하여 축 부재(33)에 연결된다. 그리고, 핸들 암(35)은, 축 부재(33)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축 부재(33)에 요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도 된다.
그리고, 핸들 암(35)이 축 부재(33)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유저가 낚시를 행할 때에는, 핸들 암(35)은, 도시하지 않은 락(lock) 기구에 의해, 축 부재(33)에 소정 각도로 보지(保持)된다. 유저가 락 기구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 핸들 암(35)은 접힌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손잡이(36)는, 핸들 암(35)에 장착된다. 핸들 손잡이(36)는, 축 부재(33)와 대략 평행한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도록, 핸들 암(35)의 선단에 장착된다.
(통형 부재)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 부재(37)는, 핸들 암(35)을 구동축(7)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해, 축 부재(33)의 외주 측에서, 구동축(7) 및 핸들 암(35)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통형 부재(37)는, 제2 지름 방향에서 축 부재(33)보다 외측이며, 또한 제2 축 방향에서 구동축(7) 및 핸들 암(35)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형 부재(37)는, 제2 지름 방향에서 축 부재(33)보다 외측이며, 또한 제2 축 방향에서 구동축(7) 및 커버 부재(41) 사이에 배치된다. 통형 부재(37)는, 제2 축 방향에서 구동축(7) 및 커버 부재(41)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된다. 축 부재(33)가 구동축(7)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통형 부재(37)는, 구동축(7) 및 커버 부재(41)에 의해 협지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 부재(37)는, 제1 단차부(47)(당접부의 일례)와 제2 단차부(49)를 가진다. 통형 부재(37)는, 제1 단부(51)와 제2 단부(53)를 더 가진다. 통형 부재(37)는, 테이퍼부(55)를 더 가진다. 즉, 통형 부재(37)는, 제1 단차부(47), 제2 단차부(49), 제1 단부(51), 제2 단부(53), 테이퍼부(55)를 가진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차부(47)는, 통형 부재(37)가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설치된다. 제1 단차부(47)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제1 단차부(47)는, 통형 부재(37)의 내주면을 구성한다. 제1 단차부(47)는 제1 내주면(47a), 제1 저면(47b), 제1 벽면(47c)(벽부의 일례)를 가진다.
제1 내주면(47a)은, 제2 단부(53)의 내주면을 형성한다. 축 부재(33)가 구동축(7)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내주면(47a)은, 축 부재(33)의 제1 외주면(33a)에 대향한다. 제1 저면(47b)은, 제1 내주면(47a)보다 대경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1 저면(47b)은, 제1 내주면(47a) 및 제1 벽면(47c)의 우각부(隅角部)보다 대경으로 형성된다. 제1 벽면(47c)은, 탄성 부재(39)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통형 부재(37)가 빠지지 않게 한다. 제1 벽면(47c)은, 제1 저면(47b)으로부터 구동 축심(X2)을 향하여 연장하며, 제1 내주면(47a)에 접속된다.
제2 단차부(49)는, 통형 부재(37)의 내주면을 구성한다. 제2 단차부(49)는, 제2 축 방향에서 제1 단차부(47)와 간격을 두어 설치된다. 제2 단차부(49)는, 제2 내주면(49a), 상술한 제1 저면(47b), 제2 벽면(49b)을 가진다.
축 부재(33)가 구동축(7)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내주면(49a)은, 축 부재(33)의 제2 외주면(33b)에 대향한다. 제1 저면(47b)은, 제2 내주면(49a)보다 대경으로 형성된다. 제2 벽면(49b)은, 제2 축 방향에서 제1 벽면(47c)과 대향한다. 제2 벽면(49b)은, 제1 저면(47b)으로부터 구동 축심(X2)을 향하여 연장하며, 제2 내주면(49a)에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51)는, 구동축(7) 측에 설치된다. 제1 단부(51)는, 구동축(7)에 당접한다. 제1 단부(51)는, 제3 단차부(52)를 가진다. 제3 단차부(52)는, 제1 단부(51)의 내주부에 설치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단차부(52)는, 상술한 제2 내주면(49a), 제2 저면(52a), 제3 벽면(52b)을 가진다. 제2 저면(52a)은, 대경으로 형성된다. 제3 벽면(52b)은, 구동축(7)의 단부에 당접한다. 제3 벽면(52b)은, 제2 저면(52a)으로부터 구동 축심(X2)을 향하여 연장하며, 제2 내주면(49a)에 접속된다.
제2 단부(53)는, 핸들 암(35) 측에 설치된다. 제2 단부(53)는, 커버 부재(41)에 당접한다. 예를 들면, 제1 단부(51)의 제3 벽면(52b) 및 제2 단부(53)의 단면(端面)(53a)이, 구동축(7)의 단부 및 커버 부재(41)의 제1 당접부(41b)(후술)에 각각 별도로 당접한 상태에서, 통형 부재(37)는, 구동축(7) 및 커버 부재(41)에 의해 협지된다.
테이퍼부(55)는, 제2 단부(53)의 내주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테이퍼부(55)는, 상술한 제1 내주면(47a)으로부터 제2 단부(53)의 단면(53a)를 향하여 연장한다. 테이퍼부(55)는, 핸들 암(35) 측을 향하여 확경된다. 예를 들면, 테이퍼부(55)는, 제1 내주면(47a)으로부터 제2 단부(53)의 단면(53a)를 향하여 확경된다.
(탄성 부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39)는, 축 부재(33)에서 통형 부재(37)가 빠지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축 부재(33) 및 통형 부재(37)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39)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환형의 탄성 부재(39)는, 예를 들면 O 링이다.
환형의 탄성 부재(39)는, 축 부재(33)의 환형 요부(43)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환형의 탄성 부재(39)의 일부는, 축 부재(33)의 제1 외주면(33a)으로부터 돌출된다. 또, 환형의 탄성 부재(39)의 일부는, 축 부재(33)의 제2 외주면(33b)으로부터 돌출된다.
환형의 탄성 부재(39)의 일부, 예를 들면 제1 외주면(33a)으로부터 돌출된 외주부는, 제1 단차부(47)(도 5의 제1 벽면(47c)) 및 제2 단차부(49)(도 5의 제2 벽면(49b))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환형의 탄성 부재(39)가 환형 요부(43)에 배치된 상태에서, 환형의 탄성 부재(39)의 외주부는, 축 부재(33)의 제1 외주면(33a)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핸들 조립체(15)(축 부재(33))가 구동축(7)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통형 부재(37)가 축 부재(33)에 대하여 제2 축 방향(핸들 암(35)에서 멀어지는 제2 축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환형의 탄성 부재(39)의 외주부가 제1 단차부(47)의 제1 벽면(47c)에 당접한다. 이로써, 축 부재(33)에서 통형 부재(37)가 빠지는 것이 규제된다.
(커버 부재)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1)는, 통형 부재(37)를 덮는 부재이다. 커버 부재(41)는, 핸들 암(35) 및 릴 본체(3) 사이에 배치된다. 커버 부재(41)는, 축 부재(33) 및 통형 부재(37)의 외주에 배치된다. 커버 부재(41)는, 축 부재(33)에 의해 제2 지름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커버 부재(41)는, 핸들 암(35) 및 통형 부재(37)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축 부재(33)가 구동축(7)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41)는, 핸들 암(35) 및 통형 부재(37)에 의해 협지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 부재(41) 및 릴 본체(3)(예를 들면 도 3의 덮개 부재(23)) 사이에는 간극이 두어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1)는 커버 본체(41a), 제1 당접부(41b), 제2 당접부(41c)를 가진다. 커버 본체(41a)는, 실질적으로 통형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커버 본체(41a)는, 제2 지름 방향에서, 통형 부재(37)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제1 당접부(41b)는, 커버 본체(41a)의 내주부에 설치된다. 제1 당접부(41b)는, 제2 축 방향에서 통형 부재(37)의 제2 단부(53)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축 부재(33)가 구동축(7)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제1 당접부(41b)는, 통형 부재(37)의 제2 단부(53)에 당접한다.
또, 제1 당접부(41b)의 내주면은, 축 부재(33)의 위치 결정부(45)(제3 외주면(33c))에 배치된다. 이로써, 커버 부재(41)는, 축 부재(33)에 대하여 제2 지름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제2 당접부(41c)는, 커버 본체(41a)의 단부에 설치된다. 제2 당접부(41c)는, 핸들 암(35)의 기단부(基端部)(35a)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축 부재(33)가 구동축(7)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제2 당접부(41c)는, 핸들 암(35)의 기단부(35a)에 당접한다. 상세하게는, 핸들 암(35)이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당접부(41c)는, 핸들 암(35)의 기단부(35a)에 당접한다.
<핸들 조립체의 조립 및 핸들 조립체의 설치>
여기에서는, 핸들 조립체(15)의 조립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환형의 탄성 부재(39)는, 축 부재(33)의 환형 요부(43)에 배치된다. 다음에, 축 부재(33)에서의 구동축(7) 측의 단부가, 통형 부재(37)의 제2 단부(53)로부터 통형 부재(37)의 내주부에 삽입된다.
이어서, 환형의 탄성 부재(39)가 통형 부재(37)의 제2 단부(53)에 도달되면, 환형의 탄성 부재(39)는, 테이퍼부(55)(제1 내주면(47a))에 의해 서서히 압축되면서, 테이퍼부(55)(제1 내주면(47a))을 통과한다. 이로써, 환형의 탄성 부재(39)는, 제1 단차부(47) 및 제2 단차부(49) 사이에 배치된다.
이어서, 커버 부재(41)가, 축 부재(33)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41)의 제1 당접부(41b)가, 축 부재(33)의 위치 결정부(45)(제3 외주면(33c)) 상에 배치된다. 이어서, 핸들 손잡이(36)가 장착된 핸들 암(35)이, 연결축(38)을 개재하여, 축 부재(33)의 단부에 장착된다. 이 상태가 핸들 조립체(15)가 조립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통형 부재(37)가 축 부재(33)의 단부 측(핸들 암(35)과는 반대의 단부 측)으로 이동한 경우, 통형 부재(37)의 제1 단차부(47)의 제1 벽면(47c)이, 환형의 탄성 부재(39)의 외주부에 당접한다. 이로써, 축 부재(33)에서 통형 부재(37)가 빠지는 것이, 환형의 탄성 부재(39)에 의해 규제된다.
이 핸들 조립체(15)는, 구동축(7)과 일체 회전하도록, 구동축(7)에 장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축 부재(33)의 단부가, 구동축(7)의 내주부에 돌려넣어진다. 이와 같이 축 부재(33)의 단부가 구동축(7)의 내주부에 돌려넣어지면, 구동축(7)의 단부 및 통형 부재(37)의 제1 단부(51)(제3 벽면(52b))이 서로 당접한다. 또, 통형 부재(37)의 제2 단부(53)(단면(53a)) 및 커버 부재(41)의 제1 당접부(41b)가 서로 당접한다. 또한, 커버 부재(41)의 제2 당접부(41c) 및 핸들 암(35)의 기단부(35a)가 당접한다.
이로써, 통형 부재(37)는, 구동축(7) 및 커버 부재(41)에 의해 협지된다. 커버 부재(41)는, 통형 부재(37) 및 핸들 암(35)에 의해 협지된다. 즉, 통형 부재(37) 및 커버 부재(41)는, 구동축(7) 및 핸들 암(35)에 의해 협지된다. 이 상태가, 핸들 조립체(15)가 구동축(7)을 개재하여 릴 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도 3 및 도 4의 상태)이다.
한편, 상술한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핸들 조립체(15)는, 구동축(7)에서 분리된다. 이 때, 통형 부재(37)가 축 부재(33)의 단부 측(구동축(7) 측의 단부 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통형 부재(37)의 제1 단차부(47)의 제1 벽면(47c)은, 환형의 탄성 부재(39)의 외주부에 당접한다. 즉, 이 경우여도, 축 부재(33)에서 통형 부재(37)가 빠지는 것이, 환형의 탄성 부재(39)에 의해 규제된다.
<정리>
(1) 본 핸들 조립체(15)에서는, 환형의 탄성 부재(39)를 축 부재(33) 및 통형 부재(37) 사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축 부재(33)에서 통형 부재(37)가 빠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즉, 본 핸들 조립체(15)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이 축 부재(33) 및 통형 부재(37) 각각에 나사부를 설치하지 않고, 축 부재(33)에서 통형 부재(37)가 빠지는 것을, 환형의 탄성 부재(39)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2) 본 핸들 조립체(15)에서는, 환형의 탄성 부재(39)가 축 부재(33)의 환형 요부(43)에 배치된 상태에서, 통형 부재(37)의 제1 단차부(47)를 환형의 탄성 부재(39)에 당접시키는 것에 의해, 축 부재(33)에서 통형 부재(37)가 빠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축 부재(33)에서 통형 부재(37)가 빠지는 것을, 환형의 탄성 부재(39)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3) 본 핸들 조립체(15)에서는, 환형 요부(43)는, 축 부재(33)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며 제2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 제1 단차부(47)는, 통형 부재(37)의 제1 내주면(47a)보다 대경의 제1 저면(47b)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해, 환형의 탄성 부재(39)를 환형 요부(43)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통형 부재(37)의 제1 단차부(47)를 환형의 탄성 부재(39)에 용이하게 당접시킬 수 있다.
(4) 본 핸들 조립체(15)에서는, 환형의 탄성 부재(39)가 환형 요부(43)에 배치된 상태에서, 환형의 탄성 부재(39)의 외주부는, 제1 단차부(47)의 제1 벽면(47c)에 당접하도록, 축 부재(33)의 제1 외주면(33a)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해, 축 부재(33)에서 통형 부재(37)가 빠지는 것을, 환형의 탄성 부재(39)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5) 본 핸들 조립체(15)에서는, 통형 부재(37)의 제2 단부(53)의 내주면에는, 핸들 암(35) 측을 향하여 확경된 테이퍼부(55)가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해, 환형의 탄성 부재(39)를 통형 부재(37)의 테이퍼부(55)로부터 축 부재(33) 및 통형 부재(37) 사이로 안내하고, 축 부재(33) 및 통형 부재(37) 사이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6) 본 핸들 조립체(15)는, 커버 부재(41)는, 제2 축 방향에서 핸들 암(35) 및 통형 부재(37)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된다. 통형 부재(37)는, 제2 축 방향에서 구동축(7) 및 커버 부재(41)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핸들 암(35)을 구동축(7)에 대하여 확실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수의 실시형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싱글 핸들의 핸들 조립체(15)를 예로 하였지만, 더블 핸들의 핸들 조립체(15)에도 적용 가능하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환형의 탄성 부재(39)가, 제2 지름 방향에서 축 부재(33) 및 통형 부재(37)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다. 이 경우, 환형의 탄성 부재(39)의 외주부가, 제1 단차부(47)의 제1 벽면(47c)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환형의 탄성 부재(39)는, 통형 부재(37)의 내주면(제1 저면(47b))에 접촉해도 되고, 통형 부재(37)의 내주면(제1 저면(47b))에 비접촉이어도 된다.
1 스피닝 릴
7 구동축
15 핸들 조립체
33 축 부재
33a 제1 외주면
35 핸들 암
37 통형 부재
39 환형의 탄성 부재
41 커버 부재
43 환형 요부
47 제1 단차부
47a 제1 내주면
47b 제1 저면
47c 제1 벽면
53 제2 단부
55 테이퍼부

Claims (8)

  1. 스피닝 릴의 구동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로서,
    상기 구동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축 부재,
    상기 축 부재에 연결되는 핸들 암,
    상기 핸들 암을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해, 상기 축 부재의 외주이며 상기 구동축 및 상기 핸들 암 사이에 배치되는 통형 부재,
    상기 축 부재에서 상기 통형 부재가 빠지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축 부재 및 상기 통형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環狀)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형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에 당접(當接)하는 당접부를 포함하는,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축 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環狀) 요부(凹部)이며,
    상기 당접부는, 상기 통형 부재의 내주면(內周面)보다 대경(大徑)인 저면(底面)을 가지는 단차부(段差部)인,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환형 요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부는, 상기 단차부의 벽부(壁部)에 당접하도록, 상기 축 부재의 외주면(外周面)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재는, 상기 구동축 측에 설치되는 제1 단부(端部)와, 상기 핸들 암 측에 설치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핸들 암 측을 향하여 확경(擴徑)된 테이퍼부가 설치되는,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재를 덮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축 방향에서 상기 핸들 암 및 상기 통형 부재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통형 부재는,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구동축 및 상기 커버 부재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7. 구동축,
    상기 구동축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피닝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가 상기 구동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통형 부재는, 상기 구동축 및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협지(挾持)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핸들 암 및 상기 통형 부재에 의해 협지되는, 스피닝 릴.
KR1020190123715A 2018-12-25 2019-10-07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및 스피닝 릴 KR20200080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1177A JP7216543B2 (ja) 2018-12-25 2018-12-25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JP-P-2018-241177 2018-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121A true KR20200080121A (ko) 2020-07-06

Family

ID=6917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715A KR20200080121A (ko) 2018-12-25 2019-10-07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및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02965B2 (ko)
JP (1) JP7216543B2 (ko)
KR (1) KR20200080121A (ko)
CN (1) CN111374103B (ko)
DE (1) DE102019218999A1 (ko)
GB (1) GB2581558B (ko)
TW (1) TWI808270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3432A (ja) 2012-07-24 2014-02-0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4923A (en) * 1981-05-25 1985-06-25 Ryobi Limited Fishing spinning reels
JP3504463B2 (ja) * 1997-07-10 2004-03-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
JP4843541B2 (ja) * 2007-03-27 2011-12-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5495669B2 (ja) * 2009-08-20 2014-05-2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CN202153952U (zh) * 2011-06-14 2012-03-07 宁波中源欧佳渔具股份有限公司 一种渔线轮
US10010061B2 (en) * 2015-03-18 2018-07-03 Shimano Inc. Spinning reel
JP6684115B2 (ja) * 2016-03-10 2020-04-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785610B2 (ja) * 2016-10-11 2020-11-18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ギア機構
JP6949661B2 (ja) * 2017-10-25 2021-10-1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用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3432A (ja) 2012-07-24 2014-02-0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81558A (en) 2020-08-26
TW202027601A (zh) 2020-08-01
CN111374103A (zh) 2020-07-07
JP7216543B2 (ja) 2023-02-01
DE102019218999A1 (de) 2020-06-25
GB201917959D0 (en) 2020-01-22
GB2581558B (en) 2021-03-10
JP2020099290A (ja) 2020-07-02
TWI808270B (zh) 2023-07-11
CN111374103B (zh) 2023-02-17
US11102965B2 (en) 2021-08-31
US20200196584A1 (en)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095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7205065A5 (ko)
JP2017158508A5 (ko)
JP2022123280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4057544A5 (ko)
JP694966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用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00080121A (ko)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및 스피닝 릴
US9642347B2 (en) Line roller
US10588303B2 (en) Dual-bearing reel
US10575509B2 (en) Drag knob
US10375942B2 (en) Dual-bearing reel
KR20040031656A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JP697681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10561130B2 (en) Roller clutch for fishing reel
JP7100979B2 (ja) 両軸受リール
JP6636236B2 (ja) ハンドルキャップ
US11083178B2 (en) Spinning reel
JP639260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9118335A5 (ko)
KR20220167742A (ko) 스피닝 릴
JP202009935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902216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1909243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412127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