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226A -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226A
KR20230045226A KR1020210127820A KR20210127820A KR20230045226A KR 20230045226 A KR20230045226 A KR 20230045226A KR 1020210127820 A KR1020210127820 A KR 1020210127820A KR 20210127820 A KR20210127820 A KR 20210127820A KR 20230045226 A KR20230045226 A KR 20230045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ail
plate
coup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114B1 (ko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21012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114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72Floor protection, e.g. from corrosion or scra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는: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레일부를 구비하는 언더커버부와, 레일부와 이웃하도록 크로스멤버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판부와, 레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결합되고, 체결판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연결부와, 연결부를 관통하여 체결판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UNDER COVER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용화가 가능하여 다양한 사양의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언더커버는 차량의 하부에 장착되어 엔진의 하부는 물론 차체의 하부에 구비된 각종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언더커버는 차량의 주행 중 기타 이물질이나 지상의 돌출물로부터 엔진 및 새시 부품을 보호한다.
그러나, 다양한 사양의 차량에 따라 언더커버가 장착되는 결합지점이 다르므로, 제작에 필요한 금형제작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부품을 공용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파생사양의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5069호(발명의 명칭: 차량용 언더커버, 공개일: 2021.04.26.)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공용화가 가능하여 다양한 사양의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는: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레일부를 구비하는 언더커버부; 상기 레일부와 이웃하도록 크로스멤버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판부; 상기 레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판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판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차량의 하부를 덮는 언더커버본체; 및 상기 언더커버본체의 외측둘레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언더커버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언더커버본체의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레일홀부를 구비하는 레일판; 및 상기 레일판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홀부를 따라 한 쌍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레일홀부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중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이웃한 상기 걸림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이웃한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는 제1연결판; 상기 제1연결판과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는 연결통부; 및 상기 연결통부와 결합되고, 상기 체결판부와 마주보며,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는 제2연결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연결판부와 결합되어 상기 체결판부와 접촉되고,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판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는 제2연결판본체; 상기 제2연결판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통부가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이웃한 걸림턱부 사이에 배치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판부는 상기 체결부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에서는 연결부 및 언더커버부의 레일부를 통해 차종의 변화에 따라 크로스멤버에 결합된 체결판부의 길이변경만으로 언더커버부를 차량의 하부에 장착할 수 있어, 차종의 변화에 언더커버부의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제품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의 언더커버부로부터 연결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에서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에서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에서 체결판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의 언더커버부로부터 연결부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에서 연결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에서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에서 체결판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1)는 언더커버부(100), 복수개의 체결판부(200), 연결부(300) 및 체결부(400)를 포함한다. 언더커버부(100)는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레일부(120)를 구비한다. 언더커버부(100)는 언더커버본체(110)와 레일부(120)를 포함한다. 언더커버본체(110)는 차량의 하부를 덮으며, 엔진의 하부는 물론 차체의 하부에 구비된 각종 부품들을 보호한다. 레일부(120)는 언더커버본체(110)의 외측둘레에 연장형성되고, 연결부(300)가 결합된다.
레일부(120)는 레일판(121), 복수개의 장착부(122) 및 복수개의 걸림턱부(123)를 포함한다. 레일판(121)은 언더커버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언더커버본체(110)의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레일홀부(121a)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장착부(122)는 레일판(121)에 구비되고, 레일홀부(121a)를 따라 한 쌍씩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장착부(122)는 홀부 형상으로 한 쌍이 레일판(121) 상에 형성되되, 레일홀부(121a)의 양측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때, 복수개의 장착부(122)는 한 쌍이 레일홀부(121a)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걸림턱부(123)는 레일홀부(121a)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중에 이격되게 형성된다. 일 예로, 레일홀부(121a)의 양측부 중 어느 하나의 측부에 레일홀부(121a)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연결부(300)는 이웃한 걸림턱부(123)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연결부(300)의 걸림돌기(333)가 이웃한 걸림턱부(123) 사이에 삽입되어 연결부(3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복수개의 체결판부(200)는 레일부(120)와 이웃하도록 크로스멤버(10)에 결합된다. 체결판부(200)는 크로스멤버(10)에 일체로 결합되어 레일부(120)의 상측에 (도 4 기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체결판부(200)는 체결판(210)과 체결부재(220)를 포함한다. 체결판(210)은 크로스멤버(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연결부(3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체결판(210)은 차종의 변화에 따라 길이가 변경되어 크로스멤버(1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차종의 변화에 따라 체결판(210)의 길이가 L1에서 L2로 변경하여 크로스멤버(10)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도 10 참조). 이로 인해, 연결부(300)를 이용하여 단일한 사양의 언더커버부(100)를 다양한 사양의 차량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체결부재(220)는 너트 형상으로 체결판(210)과 결합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부(400)가 나사결합된다. 체결부재(220)의 체결홀부(미도시)는 연결부(300)의 제1결합홀부(311a)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체결부(400)는 연결부(300)를 통과하여 체결부재(220)를 쉽게 체결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레일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결합되고, 체결판부(2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연결부(300)는 제1연결판(310), 연결통부(320), 제2연결판부(330) 및 탄성부재(340)를 포함한다. 제1연결판(310)은 이웃한 장착부(122)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312)를 구비하며, 체결부(400)가 관통된다.
제1연결판(310)은 제1연결판본체(311)와 한 쌍의 결합돌기(312)를 포함한다. 제1연결판본체(311)는 판 형상으로 레일부(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연결판본체(311)는 중앙부에 연결통부(320)가 결합되는 제1결합홀부(311a)가 형성된다(도 9 참조).
한 쌍의 결합돌기(312)는 제1연결판본체(311)에 이격되어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레일판(121)에 형성된 이웃한 장착부(122)에 각각 장착된다.
연결통부(320)는 제1연결판(310)과 결합되고, 체결부(400)가 관통된다. 연결통부(320)는 원통형상으로 제1연결판(310)의 제1결합홀부(311a)에 끼움결합된다. 연결통부(320)의 내부에 체결부(400)가 관통되게 결합된다.
제2연결판부(330)는 연결통부(320)와 결합되고, 체결판부(200)와 마주보며, 체결부(400)가 관통된다. 제2연결판부(330)는 제2연결판본체(331), 제2연결부재(332) 및 걸림돌기(333)를 포함한다. 제2연결판본체(331)는 후술된 탄성부재(340)가 결합되고, 체결부(400)가 관통된다. 제2연결판본체(331)는 일측에 탄성부재(340)가 접합결합된다.
제2연결부재(332)는 제2연결판본체(331)와 연결되고, 연결통부(320)가 결합된다. 제2연결부재(332)는 제2연결판본체(331)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연결통부(320)가 결합된다. 제2연결판본체(331)와 제2연결부재(332)에는 연결통부(320)가 결합되는 제2결합홀부(334)가 구비된다.
걸림돌기(333)는 제2연결부재(332)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이웃한 걸림턱부(123) 사이에 배치된다. 걸림돌기(333)는 외측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턱부(123)는 외측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걸림돌기(333)와 걸림턱부(123)의 접촉시 걸림돌기(333)와 걸림턱부(123)가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탄성부재(340)는 제2연결판부(330)와 결합되어 체결판부(200)와 접촉되고, 체결부(400)가 관통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충격을 흡수한다.
체결부(400)는 연결부(300)를 관통하여 체결판부(200)에 체결된다. 체결부(400)는 체결볼트(410)와 와셔(420)를 포함한다. 체결볼트(410)는 연결부(300)를 관통하여 체결판부(200)에 체결된다. 와셔(420)는 체결볼트(410)와 결합되며, 연결부(300)와 접촉되어 체결볼트(410)가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1)에서는 연결부 (300)및 언더커버부(100)의 레일부(120)를 통해 차종의 변화에 따라 크로스멤버(10)에 결합된 체결판부(200)의 길이변경만으로 언더커버부(100)를 차량의 하부에 장착할 수 있어, 차종의 변화에 언더커버부(100)의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제품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10 : 크로스멤버
100 : 언더커버부 110 : 언더커버본체
120 : 레일부 121 : 레일판
121a : 레일홀부 122 : 장착부
123 : 걸림턱부 200 : 체결판부
210 : 체결판 220 : 체결부재
300 : 연결부 310 : 제1연결판부
311 : 제1연결판 311a : 제1결합홀부
312 : 결합돌기 320 : 연결통
330 : 제2연결판부 331 : 제2연결판본체
332 : 제2연결부재 333 : 걸림돌기
334 : 제2결합홀부 340 : 탄성부재
341 : 제3결합홀부 400 : 체결부재
410 : 체결볼트 420 : 와셔

Claims (8)

  1.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레일부를 구비하는 언더커버부;
    상기 레일부와 이웃하도록 크로스멤버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판부;
    상기 레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판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판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차량의 하부를 덮는 언더커버본체; 및
    상기 언더커버본체의 외측둘레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언더커버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언더커버본체의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레일홀부를 구비하는 레일판; 및
    상기 레일판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홀부를 따라 한 쌍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레일홀부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중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이웃한 상기 걸림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이웃한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는 제1연결판;
    상기 제1연결판과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는 연결통부; 및
    상기 연결통부와 결합되고, 상기 체결판부와 마주보며,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는 제2연결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연결판부와 결합되어 상기 체결판부와 접촉되고,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판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는 제2연결판본체;
    상기 제2연결판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통부가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이웃한 걸림턱부 사이에 배치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부는 상기 체결부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KR1020210127820A 2021-09-28 2021-09-28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KR102559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820A KR102559114B1 (ko) 2021-09-28 2021-09-28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820A KR102559114B1 (ko) 2021-09-28 2021-09-28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226A true KR20230045226A (ko) 2023-04-04
KR102559114B1 KR102559114B1 (ko) 2023-07-25

Family

ID=8592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820A KR102559114B1 (ko) 2021-09-28 2021-09-28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1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56A (ja) * 1983-06-29 1985-01-17 Fuji Xerox Co Ltd 複写機
KR20040006091A (ko) * 2002-07-09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룸 언더 커버 체결구조
KR20150091743A (ko) * 2014-02-04 2015-08-12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언더커버 마운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56A (ja) * 1983-06-29 1985-01-17 Fuji Xerox Co Ltd 複写機
KR20040006091A (ko) * 2002-07-09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룸 언더 커버 체결구조
KR20150091743A (ko) * 2014-02-04 2015-08-12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언더커버 마운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114B1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1483A (en) Service line clamp with cable tie mount
US4627594A (en) Mudflap mounting assembly
US4941769A (en) Structure for fastening a resin member with a threaded bolt
KR102559114B1 (ko) 차량용 언더커버 장치
DE10114274B4 (de) Motor mit Schallschutzabdeckung für eine Einspritzvorichtung
JP3843205B2 (ja) 舵取り装置の取付構造
KR102430535B1 (ko) 소음방지 구조를 갖춘 차량용 트레일러 견인구 연결장치
EP1934073A1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SENSORS FÜR EIN FUßGÄNGERSCHUTZSYSTEM
JP7376042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9283208A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DE102007060625A1 (de) Einbauordnung für einen Sensor
KR102481873B1 (ko)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KR102394736B1 (ko) 차량용 부시장치
JP2003237382A (ja) 車両の防振装置
KR100369295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어박스용 체결구조
JPS6312271Y2 (ko)
KR0126166Y1 (ko) 차량의 엔진언더커버
US4326816A (en) Transmission support assembly in vehicle
JP3748156B2 (ja) 鉄シュー用ゴムパット装置およびゴムパット装置を備えた建設機械
KR102302282B1 (ko) 케이블의 접지유닛
KR200310914Y1 (ko) 트랙식주행차량의트랙완충장치
KR100245213B1 (ko) 차량의 러버부시 장치
KR200158024Y1 (ko) 자동차의 토우각 고정용 보울트
KR20090007160A (ko) 가조립 체결장치
KR100246575B1 (ko) 구조물의 연결 방법 및 그에 의한 연결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