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807A - 양념 종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양념 종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807A
KR20230044807A KR1020210127375A KR20210127375A KR20230044807A KR 20230044807 A KR20230044807 A KR 20230044807A KR 1020210127375 A KR1020210127375 A KR 1020210127375A KR 20210127375 A KR20210127375 A KR 20210127375A KR 20230044807 A KR20230044807 A KR 20230044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scraper
spoon
paper
circumferenti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142B1 (ko
Inventor
장신혁
Original Assignee
장신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신혁 filed Critical 장신혁
Priority to KR102021012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142B1/ko
Publication of KR2023004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8Containers for delivering jam, mustard, or the like
    • A47G19/186Containers for delivering jam, mustard, or the like combined with a spreading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둘레벽으로 구성되는 양념 종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둘레벽의 상면은 일측을 향해 점차 상승하며, 상기 둘레벽의 가장 높은 부분은 상기 양념 종지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수저에 대한 긁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수저가 양념 종지의 다른 부분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저의 머리부 바닥에 남은 양념을 빠르게 남김없이 긁어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양념 종지{SMALL BOWL FOR THICK SAUCE}
본 발명은 양념 종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쌈장이나 고추장 등을 담을 때 수저에 거의 남지 않도록 하여 재료 낭비가 없고 설겆이 등 후속처리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식탁 위에 차지하는 면적도 최소화할 수 있는 양념 종지에 관한 것이다.
고기를 먹을 때 보통 쌈장이나 고추장, 된장 등의 장을 곁들이게 되며 수저로 양념 종지에 적당량 담은 상태로 식탁에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장을 담은 수저를 긁어낼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기 때문에, 보통 장을 떠낸 수저를 양념 종지의 바닥에 대고 톡톡 침으로써 양념 종지에 따로 담고 수저는 양념 종지에 그대로 두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장을 떠내고 난 후 수저에 비교적 많은 장이 남아 있기 때문에 수저에 남은 장까지 긁어서 먹기 위해서다.
그러나, 양념 종지의 장이 부족할 경우에는 다시 수저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장을 떠야 하는데 이미 양념 종지에 남아 있던 수저는 오염이 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새로운 수저를 사용할 수밖에 없게 되며, 이로 인해 설겆이 거리가 많아지고 식탁 위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수저로 장을 떠서 양념 종지에 담은 후 수저를 별도의 접시 등에 올려둘 수도 있겠으나, 별도의 접시 역시 설겆이 거리일 뿐만 아니라 식탁 위의 공간을 추가로 차지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수저로 떠낸 장을 양념 종지에 남김 없이 담아내는 것이 곤란하므로 재료 낭비가 될 수 있고 사용한 수저의 오염으로 새로운 수저를 사용하는 것에 따라 설겆이 등 후속 처리가 불편하며 식탁 위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지고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5585호 (2005.11.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을 뜬 수저를 양념 종지에 담으면서 수저에 남는 장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막고, 설겆이 등 후속처리가 간단해지며, 식탁 위에서 차지하는 면적도 작게 할 수 있는 양념 종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종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둘레벽으로 구성되는 양념 종지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상면은 일측을 향해 점차 상승하며, 상기 둘레벽의 가장 높은 부분은 상기 양념 종지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수저에 대한 긁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긁개의 안쪽 면은 양념 종지의 안쪽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긁개는 상기 둘레벽의 가장 높은 부분이 안쪽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긁개의 외면에는 오목한 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긁개는 곡선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긁개의 최대 폭은 수저 머리부의 최대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둘레벽으로 구성되는 양념 종지로서, 상기 둘레벽의 상면은 일측을 향해 점차 상승하며 상기 둘레벽의 가장 높은 부분은 상기 양념 종지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수저에 대한 긁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수저가 양념 종지의 다른 부분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저의 머리부 바닥에 남은 양념을 빠르게 남김없이 긁어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긁개의 안쪽 면은 양념 종지의 안쪽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날카롭게 형성된 그 외측 테두리를 이용하여 수저의 머리부 안쪽에 묻어 있는 양념을 완벽하게 긁어낼 수 있을 뿐 아니라 긁어진 양념이 아래쪽 바닥부로 쉽게 떨어지거나 흘러내릴 수 있게 되어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긁개는 상기 둘레벽의 가장 높은 부분이 안쪽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긁개의 외면에는 오목한 거치홈이 형성되어 있어 수저의 손잡이를 기대어 놓을 수 있으므로, 수저가 오염되거나 식탁 위의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양념통으로부터 바로 양념을 퍼서 양념 종지에 담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긁개는 곡선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기 수저의 머리부 바닥 표면과 긁개의 동시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수저에 남은 양념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긁개의 최대 폭은 수저 머리부의 최대 폭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수저 머리부의 바닥까지 남김없이 긁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종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종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종지의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종지의 사용 상태도로서, 수저를 거치홈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종지(1000)는, 양념이 얹어지는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10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양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둘레벽(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둘레벽(200)의 상면(210)은 일측을 향해 점차 상승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둘레벽(200)의 가장 높은 부분은 상기 양념 종지(1000)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수저에 대한 긁개(300)를 구성한다.
상기 긁개(300)는 상기 둘레벽(200)의 가장 높은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수저(500)가 양념 종지(1000)의 다른 부분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양념 종지(1000)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수저(500)의 머리부(510) 바닥에 남은 양념을 빠르게 남김없이 긁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긁개(300)의 안쪽 면(310)은 양념 종지(1000)의 안쪽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날카롭게 형성된 그 외측 테두리를 이용하여 수저(500)의 머리부(510) 안쪽에 묻어 있는 양념을 완벽하게 긁어낼 수 있을 뿐 아니라 긁어진 양념이 아래쪽 바닥부(100)로 쉽게 떨어지거나 흘러내릴 수 있게 되어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긁개(300)는 상기 둘레벽(200)의 가장 높은 부분이 양념 종지(1000)의 안쪽으로 함몰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긁개(300)의 외면에는 오목한 거치홈(400)이 형성되어 수저(500)의 손잡이(520)를 기대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한 수저(500)를 양념 종지(1000)의 바닥에 올려 놓거나 별도의 접시에 올려 놓지 않아도 되므로 수저(500)가 오염되거나 식탁 위의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양념통으로부터 바로 양념을 퍼서 양념 종지(1000)에 담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긁개(300)는 곡선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기 수저(500)를 긁개(300)에 대고 이동하면서 긁어낼 때 수저(500)의 머리부(510) 표면에 묻은 양념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저(500)의 머리부(510) 바닥 표면과 긁개(300)의 동시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신속하게 수저(500)에 남은 양념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경우, 상기 긁개(300)의 최대 폭은 수저 머리부(510)의 최대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수저 머리부(510)의 바닥까지 남김없이 긁어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둘레벽(200)의 가장 높은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곡선형을 이루고 있으나 그 형상을 굳이 제한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바닥부
200... 둘레벽
300... 긁개
400... 거치홈
500... 수저
510... 수저 머리부
520... 수저 손잡이
1000... 양념 종지

Claims (5)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둘레벽으로 구성되는 양념 종지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상면은 일측을 향해 점차 상승하며, 상기 둘레벽의 가장 높은 부분은 상기 양념 종지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수저에 대한 긁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종지.
  2. 제1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긁개의 안쪽 면은 양념 종지의 안쪽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종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긁개는 상기 둘레벽의 가장 높은 부분이 안쪽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긁개의 외면에는 오목한 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종지.
  4. 제3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긁개는 곡선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종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긁개의 최대 폭은 수저 머리부의 최대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종지.
KR1020210127375A 2021-09-27 2021-09-27 양념 종지 조립체 KR10257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375A KR102578142B1 (ko) 2021-09-27 2021-09-27 양념 종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375A KR102578142B1 (ko) 2021-09-27 2021-09-27 양념 종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807A true KR20230044807A (ko) 2023-04-04
KR102578142B1 KR102578142B1 (ko) 2023-09-13

Family

ID=8592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375A KR102578142B1 (ko) 2021-09-27 2021-09-27 양념 종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93A1 (ko) 2022-04-07 2023-10-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형상 제어방법 및 전극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4050U (ja) * 1981-11-30 1983-06-07 伊藤 幸三 灰皿兼用スプン容器
JPH0739647U (ja) * 1993-12-29 1995-07-18 早苗 根本 食 器
KR20050105585A (ko) 2004-04-30 2005-11-04 최우현 식품 절약형의 용기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4050U (ja) * 1981-11-30 1983-06-07 伊藤 幸三 灰皿兼用スプン容器
JPH0739647U (ja) * 1993-12-29 1995-07-18 早苗 根本 食 器
KR20050105585A (ko) 2004-04-30 2005-11-04 최우현 식품 절약형의 용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793A1 (ko) 2022-04-07 2023-10-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형상 제어방법 및 전극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142B1 (ko)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1616A (en) Roaster tray
US20170209002A1 (en) Colander shafted kitchen utensil
KR20230044807A (ko) 양념 종지 조립체
JP2008237678A (ja) 液状食品のすくい用具
US20170020341A1 (en) Multi-function kitchen utensil
JP2015016882A (ja) 食品容器
KR101483671B1 (ko) 기능성 도마
US2294657A (en) Serving dish
JP3361015B2 (ja) ホルダー付きまな板およびまな板ホルダー
KR20100011337U (ko) 위생수저통
KR101908860B1 (ko)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JP2509792B2 (ja) 流し台装置
KR200249790Y1 (ko) 생선튀김을 위한 일회용 덮개
KR200479854Y1 (ko) 커버 분리형 밥상
RU2793189C1 (ru) Бульонница
KR20190002477U (ko) 냄비 뚜껑 받침대
CN211632802U (zh) 一种无渣火锅盆
KR20130041564A (ko) 접시
KR100594488B1 (ko) 주방용 도마
CN214484191U (zh) 烹饪器具
CN214284547U (zh) 锅盖与锅具
JP2016202374A (ja) キッチン用シンク及びキッチン用シンクを備えたシステムキッチン
EP0222418A1 (en) Eating plate with curved inner wall having drainage section
CN108713970B (zh) 一种用于自动炒菜机锅体的限位组件和自动炒菜机
JP3100608U (ja) 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