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080A -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080A
KR20230044080A KR1020210126584A KR20210126584A KR20230044080A KR 20230044080 A KR20230044080 A KR 20230044080A KR 1020210126584 A KR1020210126584 A KR 1020210126584A KR 20210126584 A KR20210126584 A KR 20210126584A KR 20230044080 A KR20230044080 A KR 20230044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information
user
angle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364B1 (ko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이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우 filed Critical 이철우
Priority to KR102021012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3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44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23Analysis of motion using block-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6Angular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은,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여 스윙하는 사용자를 촬상함과 아울러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다수의 표준 스윙참조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스윙평가정보로서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는 하나 이상의 특정 프로선수가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여 스윙할 때에 촬상하여 획득한 촬상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olf Swing Clinic}
본 발명은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드나 골프연습장이 아닌 일상공간속에서도 자신의 스윙자세를 손쉽게 확인하면서 스윙연습을 이행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스윙자세에 대한 교정까지 이행할 수 있게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주5일 근무제가 정착되는 등의 사회여건의 변화로 국민들이 여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한때 한정된 소수의 사람들만이 즐기던 골프가 이제는 많이 대중화되어 골프를 즐기고자 하는 일반 국민들의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골프는 다른 어느 운동보다도 자세가 중요한 운동이라고 할 수 있어, 골프에 처음 입문하는 초급자의 경우 레슨프로로부터 정확한 스윙자세를 배울 필요가 있으며, 어느 정도 실력이 붙은 중급자들이라고 하더라도 이미 익힌 스윙자세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계속 자세를 체크받을 필요가 있다.
스윙의 자세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들로는 스윙의 각도 및 궤적, 스윙의 시간 및 리듬, 스윙시의 체중 이동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를 반복하여 자신에 맞는 이상적인 자세를 익히고 이 자세를 실제 경기에 임해서 항상 동일하게 재현해내는 것이 골프 연습의 목표이다. 골프 스윙의 연습에 있어서는 각 동작들(어드레스(address), 백스윙(back swing), 다운스윙(down swing), 임팩트(impact) 및 피니쉬(finish))마다 정확한 레슨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골프연습장에서 레슨전문 프로로부터 말로 잘못된 점을 지적받아 자세를 교정받거나 골퍼가 자기 모습을 비춰보면서 연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골퍼가 거울에 자기모습을 비춰 보는 경우에는 완전한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며, 레슨프로로부터 말로 자세를 교정받는 경우에는 골퍼 스스로 자기의 스윙동작에 그런 문제점이 있는지를 순순히 수긍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서 그만큼 레슨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종래에 캠코더로 골퍼의 스윙동작을 촬영하고 이를 캠코더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으로 재생해 보여주면서 스윙동작상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이 방법은 캠코더를 일일이 조작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노트북으로 영상을 캡쳐하는 작업이 불편하여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
최근에는 캠코더와 노트북의 기능을 결합한 전용 스윙분석 장비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장비들은 고가일 뿐만 아니라 덩치가 크고 무거워서 골프연습장에서 널리 활용하기에는 문제가 많았다. 특히 골프연습장 손님의 프라이버시 보호상 스윙동작 촬영을 원하는 손님들에 대해서만 스윙동작을 촬영해야 하는데 촬영을 원하는 손님의 타석으로 전용 스윙분석 장비들을 일일이 이동하기가 번거로워 고가의 전용스윙분석 장비를 사놓기만 하고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인터넷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스윙동작을 캠코더나 디지털 카메라로 찍어서 인터넷에 올리고 인터넷 상에서 전문가의 레슨을 받는 시스템들도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시스템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앞에 앉아 인터넷에 접속해야만 하므로 연습 중에 즉시로 레슨을 받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 시도된 비디오 기술을 활용한 골프 연습 및 레슨 방법들은 모두 장비의 휴대성, 이동성 및 즉시 활용가능성이 떨어져서 골퍼에게 자기의 스윙동작이 어떤가 하는 것을 즉시 알려주고 전문가의 효과적인 레슨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된 제1008195640000호가 있으며, 이는 개인휴대단말기의 각 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상, 그림 및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터치스크린 입력부; 개별적인 기능이 부여된 입력버튼들; 및 동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00)로 전달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00)에는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표시부(4)의 화면으로 동영상을 출력하는 동영상 분석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동영상 분석 프로그램은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는 표시부(4)의 화면상에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부(15)를 이용하여 임의로 표지들을 그려 넣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그리기 도구를 포함하는 골프스윙 동작의 동영상 분석이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개인휴대단말기의 카메라로 골퍼의 스윙동작을 촬영하고 이를 직접 개인휴대단말기 상에서 재생하면서 동영상 분석 도구들을 이용하여 스윙동작상의 문제점을 쉽게 파악하고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골퍼를 촬영하여 획득한 동영상을 토대로 골프스윙 동작을 분석하므로, 필드나 골프연습장이 아닌 곳에서 혼자서도 간단하게 스윙 연습을 이행하고 스윙 자세와 스윙 리듬을 확인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필드나 골프연습장이 아닌 일상공간속에서도 스윙을 연습하면서 스윙자세나 스윙리듬 등을 교정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19564000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0007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47965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드나 골프연습장이 아닌 일상공간속에서도 자신의 스윙자세를 손쉽게 확인하면서 스윙연습을 이행할 수 있게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드나 골프연습장이 아닌 일상공간속에서도 자신의 스윙자세를 손쉽게 확인하면서 스윙연습을 이행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스윙자세에 대한 교정까지 이행할 수 있게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촬상 영역의 한계를 극복하고 휴대 단말기를 들고 스윙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은,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여 스윙하는 사용자를 촬상함과 아울러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다수의 표준 스윙참조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스윙평가정보로서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는 하나 이상의 특정 프로선수가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여 스윙할 때에 촬상하여 획득한 촬상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드나 골프연습장이 아닌 일상공간속에서도 자신의 스윙자세를 손쉽게 확인하면서 스윙연습을 이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드나 골프연습장이 아닌 일상공간속에서도 자신의 스윙자세를 손쉽게 확인하면서 스윙연습을 이행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스윙자세에 대한 교정까지 이행할 수 있게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촬상 영역의 한계를 극복하고 휴대 단말기를 들고 스윙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메모리부내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직접 그립하여 스윙 연습을 이행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골프채의 그립형 휴대 단말기 홀더를 이용하여 그립하여 스윙 연습을 이행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의 절차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시에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드나 골프연습장이 아닌 일상공간속에서도 자신의 스윙자세를 손쉽게 확인하면서 스윙연습을 이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드나 골프연습장이 아닌 일상공간속에서도 자신의 스윙자세를 손쉽게 확인하면서 스윙연습을 이행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스윙자세 및 스윙리듬에 대한 교정까지 이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촬상 영역의 한계를 극복하고 휴대 단말기를 들고 스윙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는 휴대 단말기(100)와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로 구성된다. 상기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는 일측은 골프채의 그립형태를 가지고 타측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 하우징과 결속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고정부재는 스윙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100) 외부 하우징 전체를 감싸는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는 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는 휴대 단말기(100)에 포함된 촬상장치의 촬상각도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는 사용자가 골프채의 그립방식부터 연습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며, 스윙연습하는 사용자와 좀더 이격된 거리에서 사용자를 촬상할 수 있게 하여 더 넓은 촬상영역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단독으로 또는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에 휴대 단말기(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의 구성>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장치(102)와, 메모리부(104)와, 자이로(Gyro)센서(106)와, 가속도(Accelerometer)센서(108)와, 촬상장치(110)와, 디스플레이 모듈(112)과, 오디오 출력모듈(114)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6)와, 통신모듈(118)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102)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부를 제어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에 휴대 단말기(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104)는 상기 제어장치(102)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부(10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메모리부(104)에는 표준 스윙참조정보, 표준 스윙영상정보, 사용자 스윙영상정보 추정을 위한 추정참조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는 신체 식별정보 또는 프로선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어드레스, 테이크백, 백스윙, 백스윙탑, 다운스윙, 임팩트, 릴리즈, 팔로우스루로 구성되는 스윙단계 각각에 대한 이미지정보, 각도정보, 움직임정보, 속도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신체 식별정보는 신장, 몸무게, 성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정보는 신체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선수 또는 유명 프로선수 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에 휴대 단말기(100)가 결합된 상태로 골프 스윙을 이행하면서 촬영한 촬영정보로부터, 상기 스윙단계 각각에서의 이미지정보를 추출한 것으로, 이 이미지정보에는 신체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선수 또는 유명 프로선수의 신체 각부의 위치 및 각도, 영역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신체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선수 또는 유명 프로선수의 신체 각부의 위치 및 각도, 영역 정보는 사용자의 스윙 평가 또는 스윙영상정보 추정시에 사용되는 표준정보가 된다.
또한 상기 각도정보 및 움직임정보, 속도정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신체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선수, 또는 유명 프로선수 등이 단독으로 또는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에 휴대 단말기(100)가 결합된 상태로 골프 스윙을 이행할 때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자이로센서(106)와 가속도센서(108)를 통해 획득된 것으로, 이러한 상기 각도정보 및 움직임정보, 속도정보는 사용자의 스윙 평가 또는 스윙영상정보 추정시에 사용되는 표준정보가 된다.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는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의 구성을 위해 신체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선수, 또는 유명 프로선수 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에 휴대 단말기(100)가 결합된 상태로 골프 스윙을 이행할 때에 전신촬영을 위해 별도로 설치한 촬상장치를 통해 촬상된 것으로, 프로선수의 전면 또는 측면에서 다수의 스윙 단계로 이루어지는 스윙 자세에 대한 영상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는 프로선수를 촬상한 영상정보를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손쉬운 이해를 위해 상기 프로선수에 대응되는 아바타로 구현된 영상정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표준 스윙영상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12)을 통해 출력되거나, 사용자의 스윙을 추정한 사용자 스윙영상정보와 중첩되어 스윙자세 교정을 위한 교정영상정보로 재구성된 후에 디스플레이 모듈(112)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교정영상정보에는 교정정보가 부가될 수 있으며, 이 교정정보에는 스윙시의 궤적, 스윙자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인체 각부와 표준스윙자세의 인체 각부의 위치 및 각도, 영역에 대한 차이, 무게중심의 변화량의 차이, 스윙 속도나 각도, 움직임 방향, 리듬 등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궤적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 또는 그립형 홀더(200)를 그립한 위치를 중심으로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하는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획득될 수 있으며, 상기 체중이동상황 등은 영상정보의 인체 각부의 움직임으로부터 판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스윙영상정보는 스윙자세의 각 단계에 대해, 사용자 촬상정보내의 신체 각부와 선택된 표준스윙 참조정보의 이미지 정보에서의 신체 각부의 위치 차이, 휴대 단말기의 각도 정보의 차이, 움직임 정보의 차이, 속도 정보의 차이를 조합한 후에, 사용자에게 의해 선택된 표준 스윙영상정보를 상기 차이정보에 따라 변형하여 추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메모리부(104)에는 사용자 스윙영상정보 추정을 위한 추정참조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추정참조정보는 스윙자세의 각 단계에 대해, 사용자 촬상정보내의 신체 각부와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의 이미지 정보에서의 신체 각부의 위치 차이, 휴대 단말기의 각도 정보의 차이, 움직임 정보의 차이, 속도 정보의 차이에 대응되는 영상변형정보로 구성된다. 상기의 영상변형정보는 다수회에 걸친 학습과 실험을 토대로 획득된 값으로 미리 메모리부(104)에 저장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와 근접되게 위치한 휴대 단말기로 촬상한 촬상정보, 즉 사용자의 신체 일부만 촬상한 촬상정보만으로도 스윙시의 사용자 전신에 대한 스윙자세가 추정될 수 있도록, 프로 선수가 본 발명에 따라 스윙을 이행할 때에 촬상되는 찰상정보내의 인체 각부의 위치와 사용자의 인체 각부의 차이뿐만 아니라, 프로 선수가 본 발명에 따라 스윙을 이행할 때에 획득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와 움직임, 속도와 사용자가 스윙을 이행할 때에 획득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와 움직임, 속도에 대한 차이를 토대로 상기 프로 선수의 스윙영상정보인 표준 스윙영상정보내 신체 각부의 위치 및 영역을 변형하여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 스윙영상정보의 인물은 사용자를 촬상한 이미지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나, 손쉬운 이해를 위해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바타로 구현된 영상정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04)는 스윙 준비자세 설정을 위한 그립형태 설정정보에 따르는 스윙 준비자세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러한 스윙 준비자세의 설정과정은 사용자와 프로선수간의 휴대 단말기의 그립방법, 그립각도, 그립거리 등으로부터 유발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자이로센서(106)는 축방향 각가속도인식센서이고, 상기 가속도센서(108)는 직선방향 가속도인식센서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각도와 움직임, 속도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제어장치(102)에 제공한다. 참고로 자이로센서(106)와 가속도센서(108)는 각각 각가속도와 직선가속도를 센싱하여 출력하며, 이를 타임 도메인에서 한번 적분하면 각속도 및 직선속도가 되고 한번 더 적분하면 각변위 및 직선거리가 산출된다.
상기 촬상장치(110)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스윙 연습하는 사용자를 촬상하고, 그에따른 촬상정보를 상기 제어장치(102)에 제공한다. 상기 촬상장치(1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되어 자연스러운 그립자세에서도 사용자를 촬상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2)은 상기 제어장치(102)의 제어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상기 오디오 출력모듈(114)은 상기 제어장치(102)의 제어에 따른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6)는 사용자로부터의 각종정보 및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장치(102)에 제공한다.
상기 통신모듈(118)은 상기 제어장치(102)와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스윙단계 및 그립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를 직접 그립하여 스윙연습을 하는 경우의 스윙 단계 및 그립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휴대 단말기(100)를 직접 그립하여 스윙연습하는 경우의 스윙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윙단계는 어드레스, 테이크백, 백스윙, 백스윙탑, 다운스윙, 임팩트, 릴리즈, 팔로우스루로 구성된다. 이 경우 그립위치의 기준은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가 되며, 이 기준위치를 토대로 골프 스윙에 대한 괘도를 검출한다.
도 4의 (b)는 휴대 단말기를 직접 그립한 것을 예시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양손으로 그립하며 세로로 그립하는 경우로, 세로로 그립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측면에 촬상장치(A)가 구비되어 스윙연습하는 사용자가 촬상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촬상장치가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과 사용자가 대향되게 가로로 그립한 후에 스윙연습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를 사용하여 그립하여 스윙연습을 하는 경우의 스윙 단계 및 그립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휴대 단말기(100)에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를 장착한 경우의 스윙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윙단계는 어드레스, 테이크백, 백스윙, 백스윙탑, 다운스윙, 임팩트, 릴리즈, 팔로우스루로 구성된다. 이 경우 그립위치의 기준은 홀더(200)의 위치가 되며, 이 기준 위치를 토대로 골프 스윙에 대한 괘도를 인식한다. 또한 이를 위해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그립위치 기준정보는 미리 저장되어 골프 스윙에 대한 괘도 인식시의 오차를 최소화한다.
도 5의 (b)는 휴대 단말기(100)에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를 장착한 후에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를 그립한 것을 예시한 것으로, 사용자는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를 양손으로 그립할 수 있다. 상기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모습을 용이하게 촬상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이 사용자를 향해 대향하도록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는 휴대 단말기(100)가 사용자측으로 꺽여 거치되게 하는 힌지(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제 상기한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에 따르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의 절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의 절차>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의 절차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장치(102)는 사용자에 의해 골프스윙 연습이 요청되면(200단계),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입력하거나 특정 프로선수를 선택하여 연습할 표준스윙을 선택하도록 안내한다(202단계). 여기서 신체정보는 키, 체중, 성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신체정보를 입력하거나 특정 프로선수를 선택하는 것으로 어느 한 표준스윙을 선택하면(204단계), 상기 제어장치(102)는 선택된 표준스윙에 대한 표준 스윙영상정보를 재생하기를 원하는지를 질의하고, 상기 질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된 표준스윙에 대한 표준 스윙영상정보의 재생을 요청하면(206단계), 선택된 표준스윙에 대한 표준 스윙영상정보를 재생한다(208단계). 여기서,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는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의 구성을 위해 신체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프로선수, 또는 유명 프로선수 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에 휴대 단말기(100)가 결합된 상태로 골프 스윙을 이행할 때에 프로선수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별도로 설치된 촬상장치를 통해 촬상된 것으로, 프로선수의 전면 또는 측면에서 촬상된 영상정보이다. 또한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는 프로선수를 촬상한 영상정보를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손쉬운 이해를 위해 상기 프로선수에 대응되는 아바타로 구현된 영상정보일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는 스윙전에 상기한 표준 스윙영상정보를 통해 표준스윙을 복기한 후에 스윙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2)는 스윙 궤적을 검출시 기준이 되는 그립위치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휴대 단말기(100)를 직접 그립할 것인지,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를 이용하여 그립할 것인지 질의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그립형태를 선택하면, 해당 그립형태정보를 그립형태 설정정보로서 저장한다(210,212,214단계). 이러한 그립형태 설정정보는 스윙궤적 검출시에 기준이 되는 그립위치로서, 휴대 단말기(100)를 직접 그립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0)가 기준위치가 되고, 골프채의 그립형 홀더(200)를 이용하여 그립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그립형 홀더(200)만큼 이격된 위치가 기준위치가 된다.
상기의 그립형태 설정정보의 저장후에, 상기 제어장치(102)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6)를 통해 스윙 준비자세 설정을 요청하는지를 체크한다(216단계). 상기 사용자가 스윙 준비자세 설정을 요청하면, 상기 제어장치(102)는 촬상장치(110)를 구동하여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를 촬상한 이미지 정보와 그립형태 설정정보에 따르는 스윙 준비자세 이미지를 중첩하여 출력한다(218단계). 이러한 스윙 준비자세의 설정과정은 사용자와 프로선수간의 휴대 단말기의 그립방법, 그립각도, 그립거리 등으로부터 유발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촬상장치를 구동하여 사용자를 촬상한 이미지 정보(C)와 그립형태 설정정보에 따르는 스윙 준비자세 이미지(D)를 중첩하여 출력한 것을 예시한 것으로, 상단에는 촬상한 이미지 정보의 신체각부와 미리 저장된 준비자세 이미지내의 신체각부가 일치하는 비율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촬상한 이미지 정보의 신체각부와 미리 저장된 준비자세 이미지내의 신체각부 인식영역이 미리 정해둔 비율이상 일치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준비자세를 정상적으로 취했다고 판단되는 경우(220단계), 상기 제어장치(102)는 스윙을 개시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음성이나 안내음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스윙 개시를 안내한다(222단계).
이후 상기 제어장치(102)는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스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종료되는 스윙 종료시까지 사용자를 촬상함과 아울러 휴대 단말기(100)의 각도, 움직임, 속도를 감지한다(224~228단계).
상기 스윙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장치(102)는 촬상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각부를 인식함과 아울러, 휴대 단말기(100)의 각도, 움직임, 속도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단계별 스윙자세정보를 검출한다(230단계).
이후 상기 제어장치(102)는 상기 사용자의 단계별 스윙자세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와의 차이, 즉 이미지 정보내의 신체 각부의 위치, 휴대 단말기(100)의 각도, 움직임, 속도 등의 차이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단계별 스윙자세와 선택된 표준스윙자세 사이의 일치정도를 검출하고, 이를 스윙평가정보인 퍼센티지로 출력하여 안내한다(232단계). 이러한 퍼센티지는 자신의 스윙과 프로선수의 스윙의 차이를 직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2)는 사용자의 스윙영상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표준 스윙영상정보 사이의 움직임과 포지션의 차이를 더 포함하여 스윙평가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2)는 스윙 단계별로 가중치를 상이하게 설정하여 스윙평가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2)는 스윙 단계별로 총 8개에서 가중치를 두어 총 100%로 하고 각 단계에서의 부족분을 모두 취합하여 전체 비교하는 방식으로 스윙평가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2)는 전체 스윙 각도의 총합 또는 스윙영상정보를 취합하여 유사도를 비교하여 스윙평가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2)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스윙영상정보의 재생이 요청되면(234단계), 스윙자세의 단계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 촬상정보내의 신체 각부와 선택된 표준스윙에 대한 표준 스윙참조정보내의 신체 각부의 위치 차이, 휴대 단말기의 각도 정보의 차이, 움직임 정보의 차이, 속도 정보의 차이를 조합한 후에, 상기 선택된 표준스윙에 대응되는 표준 스윙영상정보를 상기 차이정보에 따라 변형하여 추정한 사용자 스윙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재생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와 근접되게 위치한 휴대 단말기로 촬상한 촬상정보, 즉 사용자의 신체 일부만 촬상한 촬상정보만으로도 스윙시의 사용자 전신에 대한 스윙자세가 추정될 수 있도록, 프로 선수가 본 발명에 따라 스윙을 이행할 때에 촬상되는 찰상정보내의 인체 각부의 위치와 사용자의 인체 각부의 차이뿐만 아니라, 프로 선수가 본 발명에 따라 스윙을 이행할 때에 획득된 휴대 단말기(100)의 각도와 움직임, 속도와 사용자가 스윙을 이행할 때에 획득된 휴대 단말기(100)의 각도와 움직임, 속도에 대한 차이를 토대로 상기 프로 선수의 스윙영상정보인 표준 스윙영상정보내 신체 각부의 위치 및 영역을 변형하여 사용자의 스윙영상정보를 추정한다. 이러한 사용자 스윙영상정보의 인물은 사용자를 촬상한 이미지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나, 손쉬운 이해를 위해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바타로 구현된 영상정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2)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표준스윙자세와 자신의 스윙자세를 토대로 한 교정영상정보의 재생이 요청되면(238단계), 표준스윙영상정보와 추정된 사용자의 스윙영상정보를 중첩하고, 교정정보를 부가하여 교정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정영상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240,242단계). 상기의 교정정보에는 스윙시의 궤적, 스윙자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인체 각부와 표준스윙자세의 인체 각부의 위치 및 각도, 영역에 대한 차이, 인체 무게중심의 변화량의 차이, 스윙 속도나 각도, 움직임 방향, 리듬 등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윙시의 궤적, 스윙자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신체 각부와 표준스윙자세의 인체 각부의 위치 및 각도, 영역에 대한 차이, 신체 무게중심의 변화량의 차이, 스윙 속도나 각도, 움직임 방향 및 리듬은, 상기 사용자 스윙영상정보와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와 휴대 단말기(100)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의 센싱값으로부터 획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드나 골프연습장이 아닌 일상공간속에서도 자신의 스윙자세와 스윙리듬을 손쉽게 확인하면서 스윙연습을 이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드나 골프연습장이 아닌 일상공간속에서도 자신의 스윙자세와 스윙리듬을 손쉽게 확인하면서 스윙연습을 이행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스윙자세 및 스윙리듬에 대한 교정까지 이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촬상 영역의 한계를 극복하고 휴대 단말기를 들고 스윙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기중 자신의 자세를 점검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자신의 자세를 점검한 후에 경기에 임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02 : 제어장치
104 : 메모리부
106 : 자이로 센서
108 : 가속도 센서
110 : 촬상장치
112 : 디스플레이 모듈
114 : 오디오 출력모듈
116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8 : 통신모듈

Claims (25)

  1.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여 스윙하는 사용자를 촬상한 촬상하는 단계;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다수의 표준 스윙참조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스윙평가정보로서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는 하나 이상의 특정 프로선수가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여 스윙할 때에 촬상하여 획득한 촬상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2.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여 스윙하는 사용자에 대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다수의 표준 스윙참조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스윙평가정보로서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3.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여 스윙하는 사용자를 촬상한 촬상함과 아울러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다수의 표준 스윙참조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스윙평가정보로서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는 하나 이상의 특정 프로선수가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여 스윙할 때에 촬상하여 획득한 촬상정보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직접 그립되거나 골프채 그립형 홀더에 장착된 후에 골프채 그립형 홀더를 통해 그립되며,
    상기 골프채 그립형 홀더의 일측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외부하우징과 결속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고, 타측에는 골프채의 그립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를 촬상함과 아울러 촬상정보의 사용자의 신체 각부와 미리 정해둔 스윙 준비 이미지의 신체 각부가 미리 정해둔 비율이상 일치하면, 스윙 준비를 위한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표준스윙 참조정보의 생성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프로선수의 전신을 촬상한 표준 스윙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다수의 표준 스윙참조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대응되는 표준 스윙영상정보를 변형하여 사용자 스윙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스윙 영상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와 상기 사용자 스윙 영상정보를 중첩하여 교정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영상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영상정보에는 스윙시의 궤적, 스윙자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신체 각부와 표준스윙자세의 인체 각부의 위치 및 각도, 영역에 대한 차이, 신체 무게중심의 변화량의 차이, 스윙 속도나 각도, 움직임 방향 및 리듬 중 하나 이상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하나로 구성되는 교정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스윙시의 궤적, 스윙자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신체 각부와 표준스윙자세의 인체 각부의 위치 및 각도, 영역에 대한 차이, 신체 무게중심의 변화량의 차이, 스윙 속도나 각도, 움직임 방향 및 리듬은, 상기 사용자 스윙영상정보와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와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의 센싱값으로부터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평가정보는, 어드레스 , 테이크백, 백스윙, 백스위탑, 다운스위, 임팩트, 릴리즈 및 팔로우스로로 구성되는 스윙 단계들 각각에서의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평가정보는, 어드레스 , 테이크백, 백스윙, 백스위탑, 다운스위, 임팩트, 릴리즈 및 팔로우스로로 구성되는 스윙 단계들 각각에서의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구성되며,
    각 스윙단계마다 상이한 가중치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스윙평가정보에는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와 상기 사용자 스윙 영상정보를 비교한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13.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를 촬상하는 촬상장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이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다수의 표준 스윙참조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스윙평가정보로서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는 하나 이상의 특정 프로선수가 휴대 단말기를 그립하여 스윙할 때에 촬상하여 획득한 촬상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14.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이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센싱하는 센서들;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스윙평가정보로서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15.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를 촬상하는 촬상장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이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센싱하는 센서들;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외부 하우징을 그립하여 스윙하는 사용자를 촬상함과 아울러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다수의 표준 스윙참조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스윙평가정보로서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는 하나 이상의 특정 프로선수가 상기 외부 하우징을 그립하여 스윙할 때에 촬상하여 획득한 촬상정보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과 결속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고,
    타측에는 골프채의 그립형태를 가지는 골프채 그립형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골프채 그립형 홀더를 그립하여 스윙하는 사용자를 촬상함과 아울러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다수의 표준 스윙참조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스윙평가정보로서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는 하나 이상의 특정 프로선수가 골프채 그립형 홀더를 그립하여 스윙할 때에 촬상하여 획득한 촬상정보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그립형 홀더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힌지가 위치하며, 상기 힌지는 골프채 그립형 홀더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를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18.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촬상장치를 통해 사용자를 촬상함과 아울러 촬상정보의 사용자의 신체 각부와 미리 정해둔 스윙 준비 이미지의 신체 각부가 미리 정해둔 비율이상 일치하는지 체크하고, 미리 정해둔 비율이상 일치하면, 스윙 준비를 위한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19.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표준 스윙참조정보의 생성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프로선수의 전신을 촬상한 표준 스윙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다수의 표준 스윙참조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대응되는 표준 스윙영상정보를 변형하여 사용자 스윙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스윙 영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와 상기 사용자 스윙 영상정보를 중첩하여 교정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정영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영상정보에는 스윙시의 궤적, 스윙자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신체 각부와 표준스윙자세의 인체 각부의 위치 및 각도, 영역에 대한 차이, 신체 무게중심의 변화량의 차이, 스윙 속도나 각도, 움직임 방향 및 리듬 중 하나 이상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문자, 숫자 및 기호 중 하나로 구성되는 교정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스윙시의 궤적, 스윙자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신체 각부와 표준스윙자세의 인체 각부의 위치 및 각도, 영역에 대한 차이, 신체 무게중심의 변화량의 차이, 스윙 속도나 각도, 움직임 방향 및 리듬은, 상기 사용자 스윙영상정보와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와 외부 하우징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의 센싱값으로부터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23.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평가정보는, 어드레스 , 테이크백, 백스윙, 백스위탑, 다운스위, 임팩트, 릴리즈 및 팔로우스로로 구성되는 스윙 단계들 각각에서의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24.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평가정보는, 어드레스 , 테이크백, 백스윙, 백스위탑, 다운스위, 임팩트, 릴리즈 및 팔로우스로로 구성되는 스윙 단계들 각각에서의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와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신체 각부의 위치 사이의 차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선택된 표준 스윙참조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기의 각도, 기울기,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구성되며,
    각 스윙단계마다 상이한 가중치가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스윙평가정보에는
    상기 표준 스윙영상정보와 상기 사용자 스윙 영상정보를 비교한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장치.
KR1020210126584A 2021-09-24 2021-09-24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619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584A KR102619364B1 (ko) 2021-09-24 2021-09-24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584A KR102619364B1 (ko) 2021-09-24 2021-09-24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080A true KR20230044080A (ko) 2023-04-03
KR102619364B1 KR102619364B1 (ko) 2023-12-29

Family

ID=8593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584A KR102619364B1 (ko) 2021-09-24 2021-09-24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3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078A (ko) 2005-06-27 2007-01-02 최규환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KR100819564B1 (ko) 2007-06-26 2008-04-08 구정민 골프스윙 동작의 동영상 분석이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골프스윙 동작의 동영상 분석방법과 골프레슨 시스템
KR20130047965A (ko) 2011-11-01 2013-05-09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97186A (ko) * 2011-10-25 2014-08-06 아퀴모, 엘엘씨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션에 대응하여 다이나믹 커스터마이즈된 스포츠 인스트럭션을 제공하는 방법
KR20150025833A (ko) * 2013-08-30 2015-03-11 (주) 골프존 골프레슨 정보제공을 위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골프레슨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078A (ko) 2005-06-27 2007-01-02 최규환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KR100819564B1 (ko) 2007-06-26 2008-04-08 구정민 골프스윙 동작의 동영상 분석이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골프스윙 동작의 동영상 분석방법과 골프레슨 시스템
KR20140097186A (ko) * 2011-10-25 2014-08-06 아퀴모, 엘엘씨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션에 대응하여 다이나믹 커스터마이즈된 스포츠 인스트럭션을 제공하는 방법
KR20130047965A (ko) 2011-11-01 2013-05-09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5833A (ko) * 2013-08-30 2015-03-11 (주) 골프존 골프레슨 정보제공을 위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골프레슨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364B1 (ko)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2833B2 (en) Presentation method, swing analysis apparatus, swing analysis system, swing analysi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587447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32253B1 (ko) 두 개의 골프영상과 결과 데이터를 하나로 겹쳐서 확인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세비교 및 교정 방법
US20200094122A1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7694046A (zh) 一种健身运动训练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565472B1 (ko) 골프 스윙에 대한 정보제공을 위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스윙에 대한 정보 처리방법
KR20210128943A (ko)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스포츠 자세를 비교 및 교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25933A (ko) 골프연습장치
KR101952147B1 (ko) 골프레슨 시스템
KR102268954B1 (ko) 골프 공 타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스윙 모션 분석 장치
JP2006181014A (ja) 画像解析装置および動作修正システム
KR20160106455A (ko) 영상기기를 활용한 골프 자세 분석 방법
JP633791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30044080A (ko)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982679B1 (ko) 골프클럽의 기울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관절 각도 추정 방법
KR20150113800A (ko) 단말 장치, 프로그램 및 표시 방법
KR101875425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골프 학습 시스템
EP4097709A1 (en) Exercise instruction and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KR20160073790A (ko)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골프 자세 분석 방법
KR20090084576A (ko) 골프스윙의 자세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세분석 방법
KR20150065269A (ko) 골프 스윙 연습 및 교정 시스템
TWI775243B (zh) 高爾夫運動揮桿動作分析方法
KR102671307B1 (ko) 골프 스윙 분석 장치, 골프 스윙 분석 방법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US20230069916A1 (en) Golfer-orien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golfer, and golfer-orient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KR20040084173A (ko) 실시간 동작비교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