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078A -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078A
KR20070000078A KR1020050055522A KR20050055522A KR20070000078A KR 20070000078 A KR20070000078 A KR 20070000078A KR 1020050055522 A KR1020050055522 A KR 1020050055522A KR 20050055522 A KR20050055522 A KR 20050055522A KR 20070000078 A KR20070000078 A KR 20070000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rhythm
vibration
vibration generator
mas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6048A (ko
Inventor
최규환
Original Assignee
최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환 filed Critical 최규환
Priority to KR1020050055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6048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5005552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60136048A/ko
Publication of KR2007000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078A/ko
Publication of KR2006013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04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86Timers, rhythm indicators or pac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골퍼가 자신의 골프 스윙 리듬을 잃지 않고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신체에 착용하여 자신의 골프 스윙 리듬에 대한 데이터에 맞는 진동을 일정하게 반복하여 발생시킴으로써 이 진동에 맞게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정상적인 스윙 리듬을 잃지 않게 함으로써 실전에서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인 바,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및 다운스윙동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각 동작 사이의 지연시간 및 상기 준비동작의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횟수설정스위치(11)와, 이들 각 설정모드를 변환시키기 위한 모드전환스위치(12)를 구비한 설정부(10)와; 이 설정부(10)에서 설정된 시간 및 횟수에 따라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및 다운스윙동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횟수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마이컴(20)과; 이 마이컴(20)에서 생성된 구동신호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30); 및 시간/횟수설정 및 모드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표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A Vibrating generator for master golf swing rhythm}
본 발명은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골퍼가 자신의 골프 스윙 리듬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허리나 다리 등에 착용하여 자신의 특유한 골프 스윙 리듬에 대한 데이터에 맞는 진동을 일정하게 반복하여 발생시킴으로써 이 진동에 맞게 스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정상적인 스윙 리듬을 잃지 않게 함으로써 실전에서 어이없는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실수의 게임이라고 할 정도로 워낙 변수가 많고 우열이 기량만으로 가려지는 것이 아니어서 흔히 '신의 영역'의 게임이라고도 한다. 그 이유는 골퍼들이 언제나 자신의 기술을 원하는 대로 구사할 수 없기 때문이며, 골퍼들은 심리적·정신적인 방해로 인해 매번 만족할 만한 샷을 날리지 못한다는 경험을 늘 하게 된다. 골퍼들은 한두번 샷 미스가 나면 그날 라운드를 모두 망쳐버린 듯 즉각 화를 내버리고 만다. 이것이 부담이 되어 다음 샷과 다음 홀의 실수에 대해 두려움을 갖게 된다. 골프는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의식하지 않을 때 자신도 깜짝 놀랄 정도로 좋은 스윙이 나오게 돼있다.
골프를 하기 위해서는 어드레스를 하는 순간 자신에 대해 레슨을 하지 않는 게 최선의 방법이다. 즉, 목표를 한 번 쳐다보는 것으로 바로 스윙에 들어가서 무심의 상태로 동작을 마무리하면 최상의 샷이 나올 것이다. 이처럼 골퍼들은 자신이 평소에 연습하던 대로 스윙 리듬을 그대로 유지하면 가장 좋은 샷이 나오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실전에서는 여러가지 심리적·정신적인 요인에 의해 이러한 리듬이 깨져버리게 되어 기대 이하의 저조한 성적을 거두게 된다.
골프 클럽의 스윙을 행하는 기술을 숙달시키기 위해서 샤프트를 파지한 후 헤드를 정지상태에서 골프 볼에 근접시키는 어드레스에 이르는 준비동작(waggling)과, 백스윙에서 스윙 탑에 이르기까지의 백스윙동작(back swing motion)과, 스윙탑에서 다운스윙과 임팩트 및 피니시 동작까지의 다운스윙동작(down swing motion)을 개인의 특성과 습관에 맞는 타이밍으로 해주면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스윙동작의 리듬감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스윙 동작에서 좋은 템포는 일련의 스윙 동작을 적절하게 구사하면서 정확하게 볼을 맞힐 수 있는 리듬을 제공하며 게임의 흐름을 통일감 있게 만들어 준다. 비거리가 점점 줄어들 때에는 좋은 타격만이 만회할 방법이다. 문제는 머릿속으로 생각만 한다고 해서 좋은 템포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는 없다는 것이며, 자신에게 맞는 템포는 몸으로 찾아내야만 하는 것이다. 실제로 자신의 템포를 파악하고자 할 경우, 연습장에 나가 티를 꽂고 볼을 올려 평상시의 그립대로 드라이버를 쥐고 역시 평상의 보폭으로 열 걸음 정도 걸은 다음 뒤로 돌아 다시 똑같은 보폭으로 볼을 향해 걸어간다. 그 다음 머뭇거리지 말고 어드레스 자세를 취한 다음 가볍게 웨글을 한두번 정도 하고 곧장 스윙을 한다. 걸음걸이는 자연스러운 템포를 찾을 때 가장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지표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몇 걸음을 걸어 본 다음에 그 연장선상에서 스윙을 구사하는 것은 아주 논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스윙의 템포(속도)를 자신의 자연스러운 신체리듬의 지표인 걸음걸이의 템포에 맞추어 점검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체의 자체적인 시스템을 사용하여 스윙속도를 정확하게 점검하고 자신의 신체리듬에 맞는 스윙 감각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초심자들은 물론 프로 골퍼들에게 조차 쉽지만은 않은 것이다.
골프시합에서 선수들이 습관적으로 일정하게 하는 동작을 루틴(routine)이라고 한다. 유명 선수들은 대개 자신들의 독특한 습관을 가지고 있으며 경기도중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습관적으로 이 행동을 한다. 이 습관된 행동절차는 스윙 준비과정에서 정확하게 반복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불안의 조절과 수행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습관화된 행동을 갖는 선수가 그렇지 않은 선수에 비해 훨씬 효과적이라고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말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공개 제2001-0104617호의 '골프 숙달용 동작음 발생장치 및 방법'과, 동공개 제2000-0054936호의 '골프용 리듬벨' 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공개 제2001-0104617호의 '골프 숙달용 동작음 발생장치 및 방법'은 음성의 발생에 의해 골프 클럽의 파지로부터 시작하는 골 프 클럽의 스윙에 관한 기술을 숙달시킬 수 잇는 장치의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이를 위해 골프 클럽을 다루는 동작 시기를 순차 전달하는 동작음 발생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샤프트를 손바닥으로 파지한 후 헤드를 정지상태의 골프 볼에 접촉 혹은 근접시키는 어드레스에 이르기까지의 시작예고시간으로서, 2.0~3.0초의 범위 내에 있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고, 상기 시간을 2등분 또는 3등분 함으로써 시작시, 중간 단계, 종료 단계에 각각 동작음을 발생하고, 어드레스 종료 후, 헤드를 최상 위치까지 들어 올리는 톱 스윙의 최종 단계까지의 시간을 0.2~1.2초의 범위 내에 있는 시간 간격으로 설정하고, 톱 스윙의 종료시에 동작음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특허공개 제2000-0054936호의 '골프용 리듬벨'은 골프 클럽의 그립에 리듬벨을 부착함으로써 골퍼로 하여금 톱 오브 스윙 동작과 피니쉬 동작에서 벨 소리를 내주어 전체적인 스윙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하고 필요 이상으로 빠르거나 느린 스윙 스피드를 단기간내에 일정한 리듬의 스윙 스피드로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먼저, 전자의 경우 스윙동작을 숙달시키기 위하여 동작음이 발생하도록 하고 골퍼가 이 동작음을 들으면서 연습하기 위해서는 리시버를 귀에 꼽은 상태로 연습하여야 했었으므로 귀에 이물감이 느껴져 거북스러운 것은 물론, 골프도중 귀에서 떨어져 나오거나 골프시에 요구로 하는 여러가지 감각 중 귀를 통해 얻어지는 평행감각이나 바람의 방향 등 중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골프 클럽 자체에 기계적인 리듬벨을 설치하기 위한 복잡한 가공이 필요하게 되어 이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이렇게 제작된 골프클럽은 단지 숙달용으로밖에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의 골프 스윙 리듬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골퍼가 신체에 착용하여 자신의 골프 스윙 리듬에 대한 데이터에 맞는 진동을 일정하게 반복하여 발생시킴으로써 이 진동에 맞게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정상적인 스윙 리듬을 잃지 않게 함으로써 실전에서 어이없는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프 스윙을 샤프트를 파지한 후 헤드를 정지상태에서 골프 볼에 근접시키는 어드레스에 이르는 준비동작, 백스윙에서 스윙 탑에 이르기까지의 백스윙동작 및 스윙탑에서 다운스윙과 임팩트 및 팔로스우에서 피니시 동작까지의 다운스윙동작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진동수단을 구동시키도록 한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준비동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횟수 및 백스윙동작과 다운스윙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은 일정 범위에서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개인별로 자신의 스윙 습관(리듬 또는 템포)에 가장 알맞게 세팅시킬 수 있도록 하며,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및 다운스윙동작 사이의 지연시간도 일정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기에는, 상기 진동발생기에는 골퍼의 스윙 리듬을 체크하기 위한 스톱워치 기능을 더 구비하여 골퍼의 스윙 리듬에 맞는 조건으로 진동발생기를 진동주기와 지연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의 구성은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및 다운스윙동작과 각 동작 사이의 지연시간 및 준비동작의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횟수설정스위치와, 이들 각 설정모드를 변환시키기 위한 모드변경스위치를 구비한 설정부와; 이 설정부에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및 다운스윙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에 일치되게 순차적으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마이컴과; 이 마이컴에서 생성된 구동신호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준비동작에서의 구동신호와 백스윙동작에서의 구동신호 및 다운스윙동작에서의 구동신호는 그 세기가 점차적으로 강해지도록 프로그램하며,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는 골퍼의 허리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하기 위한 클립이나 밴드 등의 착용수단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샤프트를 파지한 후 헤드를 정지상태에서 골프 볼에 근접시키는 어드레스에 이르는 준비동작(루틴동작)과 백스윙에서 스윙 탑에 이르기까지의 백스윙동작 및 스윙탑에서 다운스윙과 임팩트 및 팔로스우에서 피니시 동작까지의 다운스윙동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각 동작 사이의 지연시간 및 상기 준비동작의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횟수설정스위치(11)와, 이들 각 설정모드를 변환시키기 위한 모드변경스위치(12)를 구비한 설정부(10)와; 이 설정부(10)에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및 다운스윙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마이컴(20)과; 이 마이컴(20)에서 생성된 구동신호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30); 및 표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설정부(10)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메인스위치(13)와, 스톱워치를 사용하기 위한 스타트/스톱(start/stop)스위치(14) 및 진동수단(30)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진동강도 조절스위치(15)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마이컴(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스윙을 준비동작(S1), 백스윙동작(S2) 및 다운스윙동작(S3)으로 구분하고, 상기 설정부(10)에서 입력된 각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진동수단(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준비동작(루틴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4.0초의 범위에서 조절가능하고, 이 준비동작은 1~7회의 범위로 분할되어 있다.
또, 상기 백스윙동작과 다운스윙동작에 각각 소요되는 시간은 0.5~2.0초의 범위에서 일정 간격으로 조절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및 다운스윙동작 사이에도 0.1~1.0초의 범위에서 지연시간이 일정간격으로 조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에서 진동주기(Vt)를 설정하기 위한 세팅표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 진동주기는 도 2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준비동작(S1)과 백스윙동작(S2) 및 다운스윙동작(S3)에서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3에서 진동주기(Vt)는 총 7단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의 조절방법은 메인스위치(13)를 온(ON) 시킨 상태에서 모드변경스위치(12)를 진동주기설정모드(표시부에서 '진동주기' 또는 'V'로 표시됨)로 선택한 후 시간/횟수 설정스위치(11)를 1에서 7까지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면 되는 것이며, 1로 선택한 경우에는 도 3의 세팅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진동주기(Vt)가 가장 짧은 500mSec로 세팅되며 숫자의 증가에 의해 점차적으로 진동주기가 길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에서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및 백스윙동작과 다운스윙동작 사이의 이격시간(Gt)을 설정하기 위한 세팅표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 이격시간(Gt)은 각 구간 즉,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사이의 이격시간과 백스윙동작과 다운스윙동작 사이의 이격시간 및 다운스윙동작과 다음의 준비동작 사이의 이격시간이 모두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기 이격시간(Gt)을 세팅하기 위한 방법은 메인스위치(13)를 온(ON) 시킨 상태에서 모드변경스위치(12)를 이격시간 설정모드(예를 들면, 표시부에서 '이격시간' 또는 'G'로 표시됨)로 선택한 후 시간/횟수 설정스위치(11)를 1에서 7까지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면 되는 것이며, 1로 선택한 경우에는 도 4의 세팅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격시간(Gt)이 150mSec로 가장 짧게 설정되고 숫자의 증가에 의해 점차적으로 이격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에서 준비동작의 진동횟수(Vn) 세팅표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골퍼의 웨글링 습관에 맞추어 준비동작에서의 진동횟수를 1회에서 7회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의 세팅방법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방법과 유사하게 모드변경스위치(12)를 진동횟수 설정모드(예를 들면, 표시부에서 '진동횟수' 또는 'N'으로 표시됨)로 선택한 후 시간/횟수 설정스위치(11)를 1에서 7까지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면 되는 것이며, 1로 선택한 경우에는 도 5의 세팅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준비동작에서의 진동횟수가 1회이고, 숫자의 증가에 따라서 진동횟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진동수단(30)은 통상적으로 휴대폰 등에 사용되고 있는 실린더형 진동모터 또는 코인형 진동모터를 비롯하여 적은 소모전력으로 인체가 느낄 수 있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를 실제 골퍼의 스윙 템포 및 스윙 습관에 맞게 설정한 예를 도 6에 도시하고 있는데, 도 6에서는 진동주기를 "3"으로 설정하고,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사이의 이격시간(Gt)을 "1"로 설정하며, 준비동작에서의 진동횟수를 "4"로 설정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골퍼는 준비동작을 3번의 웨글링(Vn=3회)을 한 후 백스윙동작으로 진입하여 다운스윙을 실행하도록 세팅되어 있는데, 진동주기(Vt)는 950mSec이고 이격시간(Gt)은 150mSec로서 준비동작에서의 총 소요시간은 3.15초이다. 또한, 이 골퍼는 준비동작에서 스윙종료까지(S1~S3) 소요된 시간이 총 5.15초이며, 백스윙과 다운스윙동작에 소요된 시간도 각각 950mSec이다.
위에서와 같이 진동발생기를 세팅한 골퍼는 이 진동발생기를 허리 벨트 또는 다리(바람직하게는 왼쪽 다리) 등에 통상의 클립이나 밴드 등을 사용하여 착용한 상태에서 진동발생기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진동신호에 따라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및 다운스윙동작을 연습하면 되는 것이며, 이러한 연습을 꾸준히 반복하는 것에 의해 자신의 스윙리듬을 몸에 완전히 숙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발생기에서 일정하게 반복되는 진동은 골퍼가 필드에서 정신적·심리적으로 흔들리때 안정감을 부여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진동발생기의 진동주기 및 특성을 그대로 신체에 베이게 함으로써 즉, 노래를 많이 들을 경우 그 음정과 박자를 쉽게 따라할 수 있게 되는 것처럼 자신의 스윙 리듬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는 도 2 및 도 6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준비동작(S1)에서의 진동강도는 낮고, 백스윙동작(S2)에서의 진동강도는 이보다 높으며, 다운스윙동작(S3)에서는 가장 높은 강도로 진동하도록 구분되어 있어, 골퍼가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및 다운스윙동작을 분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들 S1,S2,S3동작이 하나의 리듬으로 이어져 쉽게 몸에 베이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진동강도는 골퍼의 진동감지특성이나 진동발생기의 착용위치 또는 장소에 따라서 진동강도 조절스위치(15)를 사용하여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골퍼가 자신의 루틴동작 및 골프 스윙의 전체적인 리듬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골퍼가 신체에 착용하여 자신의 루틴동작 및 골프 스윙 리듬에 대한 데이터에 맞는 진동을 일정하게 반복하여 발생시킴으로써 이 진동에 맞게 준비동작 및 스윙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전에서도 정신적인 불안감을 해소하여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정상적인 스윙 리듬을 잃지 않게 해줄 수 있게 됨으로써 타수를 줄여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스윙 숙달용 진동발생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스윙 숙달용 진동발생기의 진동 주기와 진동 폭을 스윙 동작에 따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에서 진동주기(Vt) 세팅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에서 준비단계와 실행단계 사이의 이격시간(Gt) 세팅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에서 준비단계의 진동횟수(Vn) 세팅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를 사용하여 진동주기를 도 3의 세팅표에서 "3"으로 설정하고, 준비동작과 백스윙동작 사이의 이격시간(Gt)을 도 4의 세팅표에서 "1"로 설정하며, 준비동작의 진동횟수를 도 5의 세팅표에서 "3"으로 설정한 상태에서의 진동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설정부 11 : 시간/횟수설정스위치
12 : 모드전환스위치 13 : 메인스위치
14 : 스타트/스톱스위치 15 : 진동강도 조절스위치
20 : 마이컴 30 : 진동수단
40 : 표시부 S1 : 준비동작
S2 : 백스윙동작 S3 : 다운스윙동작
Vt : 진동주기 Vn : 진동횟수(준비동작에서)
Gt : 이격시간

Claims (10)

  1. 골프 스윙을 샤프트를 파지한 후 헤드를 정지상태에서 골프 볼에 근접시키는 어드레스에 이르는 준비동작(S1), 백스윙에서 스윙 탑에 이르기까지의 백스윙동작(S2) 및 스윙탑에서 다운스윙과 임팩트 및 팔로스우에서 피니시 동작까지의 다운스윙동작(S3)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에 일치되게 진동수단을 구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준비동작(S1)에 소요되는 시간은 1.0~4.0초의 범위에서 조절가능하고, 이 준비동작(S1)은 1~7회의 범위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스윙동작(S2)과 다운스윙동작(S2)에 각각 소요되는 시간은 0.5~2.0초의 범위에서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준비동작(S1)과 백스윙동작(S2) 및 다운스윙동작(S3) 사이에는 0.1~1.0초의 범위에서 조절가능한 지연시간(Gt)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기에는 골퍼의 스윙 리듬을 체크하기 위한 스톱워치 기능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6. 골프 스윙 리듬을 연습하기 위한 장치로;
    준비동작(S1)과 백스윙동작(S2) 및 다운스윙동작(S3)에 소요되는 시간과 각 동작 사이의 이격시간 및 준비동작의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시간/횟수설정스위치(11)와, 이들 각 설정모드를 변환시키기 위한 모드변경스위치(12)를 구비한 설정부(10)와;
    상기 설정부(10)에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준비동작(S1)과 백스윙동작(S2) 및 다운스윙동작(S3)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에서 생성된 구동신호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30)은 진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20)에서 설정된 구동신호 데이터는 설정부의 모드변경스위치(12)에서 설정된 모드와 함께 표시부(40)에 의해 외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20)은 준비동작(S1)과 백스윙동작(S2) 및 다운스윙동작(S3)에서의 구동신호는 그 세기가 점차적으로 강해지도록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기는 골퍼의 허리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하기 위한 클립이나 밴드를 포함하는 착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KR1020050055522A 2005-06-27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KR20060136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522A KR20060136048A (ko) 2005-06-27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522A KR20060136048A (ko) 2005-06-27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078A true KR20070000078A (ko) 2007-01-02
KR20060136048A KR20060136048A (ko) 2007-01-02

Family

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4879A (zh) * 2020-04-20 2020-08-18 北京驭胜晏然体育文化有限公司 一种室内滑雪触觉仿真系统
KR20230044080A (ko) 2021-09-24 2023-04-03 이철우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4879A (zh) * 2020-04-20 2020-08-18 北京驭胜晏然体育文化有限公司 一种室内滑雪触觉仿真系统
KR20230044080A (ko) 2021-09-24 2023-04-03 이철우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0048B2 (ja) スポーツトレーニング装置並びにスポーツ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Sigrist et al. Augmented visual, auditory, haptic, and multimodal feedback in motor learning: a review
US5511789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JP6122106B2 (ja) スイングテンポを示す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300959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or analyzing swing information
US5082281A (en) Sports timing aid
WO2007069014A1 (en) Sport movement analyzer and training device
US5634856A (en) Sports swing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AU2017230456B2 (en) Signaling device and apparatus
CN106422211B (zh) 球类训练技术统计方法及装置
US20070082325A1 (en) Tour tempo player
KR100218640B1 (ko) 스포츠 훈련장치
US5558519A (en) Method for instruction of golf and the like
CN106581974A (zh) 基于球拍运动轨迹的击球姿势训练装置及方法
US5080362A (en) Adjustable point of impact indicating device
RU2543404C2 (ru) Мяч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игре и/или обучении
WO2016172463A1 (en) Wearable interactive learning devices
KR20070000078A (ko)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KR20060136048A (ko) 골프 스윙 리듬 숙달용 진동발생기
JP2009247529A (ja) 運動評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H07178210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
GB2414195A (en) Electronic physical exercise system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US20070265114A1 (en) Golf Training Mechanism And Method
JP2005080912A (ja) 素振り用練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