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253A -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253A
KR20230041253A KR1020210124644A KR20210124644A KR20230041253A KR 20230041253 A KR20230041253 A KR 20230041253A KR 1020210124644 A KR1020210124644 A KR 1020210124644A KR 20210124644 A KR20210124644 A KR 20210124644A KR 20230041253 A KR20230041253 A KR 20230041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obstacle
obstacle detection
detection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439B1 (ko
Inventor
박덕근
임수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210124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4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은, 지게차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1 장애물 감지신호 및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한 제1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장애물 감지정보를 출력하는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 지게차 전방을 촬영하여 지게차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 알림을 발생시키는 알림 모듈,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1 장애물 감지정보 및 지게차 전방 영상을 수신하고, 장애물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알림 모듈을 제어하여 알림을 발생시키고, 지게차 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SAFETY SYSTEM FOR FRONT DRIVING OF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게차가 전방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전방 상황을 알려 운전자가 안전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기 위한 산업용 차량으로, 각종 작업장이나 건설 현장 등에서 중량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차량에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하차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지게차는 차체의 안정 방식 및 동력원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차체 안정방식에 의한 분류에 따르면 포크 및 마스트를 차체 전방에 장착하고, 후방에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한 카운터 밸런스형 지게차와, 차체 전방으로 튀어나 온 아우트리거에 의해 차체의 안정을 유지하며, 아우트리거 안을 포크가 전후방으로 움직이면서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리치형 지게차가 있다.
동력원에 의한 분류에 따르면 디젤엔진 방식, LPG/가솔린엔진 방식 및 전동식 지게차가 있다. 이중 카운터 밸런스 형태의 디젤엔진이 장착된 지게차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게차는 저속으로 주행하여 안전하게 보이지만 지게차로 인한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센서, 후방경고음 등 후방 주행 시 안전 확보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으나,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지게차를 운전하기 때문에 사고에 대한 고려가 적어 전방 주행 시의 안전을 위한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전방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전방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해 발생하는 사고도 빈번하며, 특히 중량물을 적재하고 있거나, 포크를 미스트 상측으로 이동시킨 경우, 포크, 마스트, 리프트 체인, 캐리지, 중량물 등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운행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증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지게차가 전방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전방 상황을 알려 운전자가 안전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의도하는 기타의 과제들 또한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은, 지게차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1 장애물 감지신호 및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한 제1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장애물 감지정보를 출력하는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 지게차 전방을 촬영하여 지게차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 알림을 발생시키는 알림 모듈,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1 장애물 감지정보 및 지게차 전방 영상을 수신하고, 장애물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알림 모듈을 제어하여 알림을 발생시키고, 지게차 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지게차 포크의 전단 상면에 설치되고, 제어 모듈과 무선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은 지게차 좌측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2 장애물 감지신호 및 제2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장애물 감지정보를 출력하는 좌측 장애물 감지센서, 지게차 우측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3 장애물 감지신호 및 제3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장애물 감지정보를 출력하는 우측 장애물 감지센서, 및 지게차 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4 장애물 감지신호 및 제4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장애물 감지정보를 출력하는 후방 장애물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은,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 좌측 장애물 감지센서, 우측 장애물 감지센서, 및 후방 장애물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장애물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감지센서들 중 어느 감지센서가 장애물 감지정보를 출력하였는지를 그리고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의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지게차가 전방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전방 상황을 알려 운전자가 안전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지게차 운전자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전방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의 내용은 청구범위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범위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이 적용된 지게차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오차 범위에 대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후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는 연관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두 개 이상의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이 적용된 지게차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1)은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11), 촬영 모듈(12), 제어 모듈(13), 알림 모듈(14), 및 디스플레이 모듈(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1)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1)은 좌측 장애물 감지센서(16), 우측 장애물 감지센서(17), 후방 장애물 감지센서(18)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11)는 지게차(2)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제1 장애물 감지신호(또는 전방 장애물 감지신호)를 제어 모듈(13)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11)는 제어 모듈(13)로부터 제1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방 장애물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11)는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1 거리정보(또는 전방 장애물 거리정보)를 제어 모듈(13)로 출력할 수 있다.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11)는 운전자에게 전방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알려주기 위해 지게차(2)에 설치되는 것으로, 너무 높은 위치에 설치되면 자신보다 낮은 높이의 전방 장애물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포크 조립체(22)나 마스트(23)에 적절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11)가 포크 조립체(22)에 설치되는 경우, 전방 장애물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전방 장애물과의 거리 측정이 용이하도록, 전방 장애물과 가장 근접할 수 있는 포크(22a)의 전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포크(22a)의 하면에 설치되는 경우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포크(22a)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크(22a)는 화물이 적재되는 부분으로서,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11)가 고정된 형태이면 화물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11)는 포크(22a)에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11)는 제어 모듈(13)과 무선 통신방식 또는 유선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11)의 설치 위치 상 유선 통신방식을 위한 케이블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무선 통신방식으로 제어 모듈(13)과 통신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좌측 장애물 감지센서(16)는 지게차(2) 좌측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제2 장애물 감지신호(또는 좌측 장애물 감지신호)를 제어 모듈(13)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장애물 감지센서(16)는 제어 모듈(13)로부터 제2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좌측 장애물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측 장애물 감지센서(16)는 좌측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2 거리정보(또는 좌측 장애물 거리정보)를 제어 모듈(13)로 출력할 수 있다.
좌측 장애물 감지센서(16)는 운전자에게 좌측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알려주기 위해 지게차(2)에 설치되는 것으로, 너무 높은 위치에 설치되면 자신보다 낮은 높이의 좌측 장애물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차체(21) 좌측 부분의 하단부(21a) 및 상단부(21b)에 적절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우측 장애물 감지센서(17)는 지게차(2) 우측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제3 장애물 감지신호(또는 우측 장애물 감지신호)를 제어 모듈(13)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장애물 감지센서(17)는 제어 모듈(13)로부터 제3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우측 장애물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우측 장애물 감지센서(17)는 우측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3 거리정보(또는 우측 장애물 거리정보)를 제어 모듈(13)로 출력할 수 있다.
우측 장애물 감지센서(17)는 운전자에게 우측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알려주기 위해 지게차(2)에 설치되는 것으로, 너무 높은 위치에 설치되면 자신보다 낮은 높이의 우측 장애물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차체(21) 우측 부분의 하단부(21a) 및 상단부(21b)에 적절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후방 장애물 감지센서(18)는 지게차(2) 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제4 장애물 감지신호(또는 후방 장애물 감지신호)를 제어 모듈(13)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장애물 감지센서(18)는 제어 모듈(13)로부터 제4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후방 장애물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후방 장애물 감지센서(18)는 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4 거리정보(또는 후방 장애물 거리정보)를 제어 모듈(13)로 출력할 수 있다.
후방 장애물 감지센서(18)는 운전자에게 후방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알려주기 위해 지게차(2)에 설치되는 것으로, 너무 높은 위치에 설치되면 자신보다 낮은 높이의 우측 장애물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카운터 웨이트(24)에 적절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장애물 감지신호와 거리정보는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져 제어 모듈(13)로 출력되며, 장애물 감지신호와 거리정보를 포함하여 '장애물 감지정보'라 할 수 있다.
좌측 장애물 감지센서(16), 우측 장애물 감지센서(17), 및 후방 장애물 감지센서(18)는 고정된 형태 또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13)과 무선 통신방식 또는 유선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11), 좌측 장애물 감지센서(16), 우측 장애물 감지센서(17), 및 후방 장애물 감지센서(18)는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감지센서(11, 16, 17, 18)는 초음파를 송신 기능 및 수신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들(11, 16, 17, 18)은 초음파를 발산하고, 장애물에 부딪혀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함으로써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촬영 모듈(12)은 지게차(2) 전방을 촬영하여 지게차 전방 영상을 회득하고, 획득한 지게차 전방 영상을 제어 모듈(13)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모듈(12)은 지게차(2)의 전방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마스트(23)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촬영 모듈(12)은 제어 모듈(13)과 무선 통신방식 또는 유선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제어 모듈(13)로부터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촬영을 시작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은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1)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감지센서들(11, 16, 17, 18)로 동작 신호를 출력하여 감지센서들(11, 16, 17, 18)이 감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들(11, 16, 17, 18)로부터 장애물 감지신호 및 거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은 촬영 모듈(12)로 촬영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촬영 모듈(12)의 촬영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촬영 모듈(12)로부터 지게차 전방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은 조작 모듈(19)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감지센서들(11, 16, 17, 18) 및 촬영 모듈(12)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조작 모듈(19)을 조작하여 감지센서들(11, 16, 17, 18) 및 촬영 모듈(12)을 제어할 수 있으며, 조작 모듈(19)을 통해 감지센서들(11, 16, 17, 18) 및 촬영 모듈(12)의 동작 시작 및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은 감지센서들(11, 16, 17, 18)로부터 장애물 감지정보(장애물 감지신호 및 거리 정보를 포함)를 수신하고, 감지센서들(11, 16, 17, 18) 중 어느 감지센서가 장애물 감지정보를 출력하였는지를, 그리고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15)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은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경보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알림 모듈(14) 및 디스플레이 모듈(15)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3)은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장애물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알림 모듈(14) 및 디스플레이 모듈(15)을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어 모듈(13)은 알림 모듈(14)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5)에 경보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모듈(13)은 촬영 모듈(12)로부터 지게차 전방 영상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5)을 통해 지게차 전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3)과 조작 모듈(19)은 운전석 근처의 지게차 조작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림 모듈(14)은 제어 모듈(13)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며, 예를 들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알림 모듈(14)이 지게차(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지게차의 전방, 좌측, 우측,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13)은 장애물 감지신호를 출력한 감지센서에 상응하는 알림 모듈(14)을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은 제어 모듈(13)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감지센서들(11, 16, 17, 18) 중 어느 감지센서가 장애물 감지신호를 출력하였는지를 표시할 수 있고,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경보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지게차 전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은 운전자가 확인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운전석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11: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 12: 촬영 모듈
13: 제어 모듈 14: 알림 모듈
15: 디스플레이 모듈
2: 지게차 21: 차체
22: 포크 조립체 23: 마스트
24: 카운터 웨이트

Claims (4)

  1. 지게차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1 장애물 감지신호 및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한 제1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장애물 감지정보를 출력하는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
    지게차 전방을 촬영하여 지게차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모듈;
    알림을 발생시키는 알림 모듈;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1 장애물 감지정보 및 상기 지게차 전방 영상을 수신하고, 장애물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알림 모듈을 제어하여 알림을 발생시키고, 상기 지게차 전방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지게차 포크의 전단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무선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지게차 좌측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2 장애물 감지신호 및 제2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장애물 감지정보를 출력하는 좌측 장애물 감지센서;
    지게차 우측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3 장애물 감지신호 및 제3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장애물 감지정보를 출력하는 우측 장애물 감지센서; 및
    지게차 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4 장애물 감지신호 및 제4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장애물 감지정보를 출력하는 후방 장애물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전방 장애물 감지센서, 상기 좌측 장애물 감지센서, 상기 우측 장애물 감지센서, 및 상기 후방 장애물 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장애물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센서들 중 어느 감지센서가 장애물 감지정보를 출력하였는지를 그리고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KR1020210124644A 2021-09-17 2021-09-17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KR10264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644A KR102647439B1 (ko) 2021-09-17 2021-09-17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644A KR102647439B1 (ko) 2021-09-17 2021-09-17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253A true KR20230041253A (ko) 2023-03-24
KR102647439B1 KR102647439B1 (ko) 2024-03-14

Family

ID=8587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644A KR102647439B1 (ko) 2021-09-17 2021-09-17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421B1 (ko) * 2023-08-18 2024-01-10 주식회사 파워중공업 물체감지센서를 통한 지게차 주행 제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82A (ko) * 1998-10-09 1999-01-25 이인애 교통감시용 차량
WO2010045391A2 (en) * 2008-10-14 2010-04-22 Freightscan, Llc Forklift for managing freight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50050783A (ko) * 2013-10-31 2015-05-11 (주)다온씨앤티 통학 차량 안전 경보 시스템
KR102012705B1 (ko) * 2018-10-24 2019-08-21 주식회사 영신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전방 모니터링 장치
KR20200013544A (ko) * 2018-07-30 2020-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82A (ko) * 1998-10-09 1999-01-25 이인애 교통감시용 차량
WO2010045391A2 (en) * 2008-10-14 2010-04-22 Freightscan, Llc Forklift for managing freight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50050783A (ko) * 2013-10-31 2015-05-11 (주)다온씨앤티 통학 차량 안전 경보 시스템
KR20200013544A (ko) * 2018-07-30 2020-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KR102012705B1 (ko) * 2018-10-24 2019-08-21 주식회사 영신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전방 모니터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421B1 (ko) * 2023-08-18 2024-01-10 주식회사 파워중공업 물체감지센서를 통한 지게차 주행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439B1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88035B (zh) 起重机
US10228454B2 (en) Obstacle detection device for work machine
KR20150000317U (ko) 지게차
KR101941915B1 (ko) 안전 시스템이 설치된 지게차
KR20200013544A (ko) 지게차
KR20120084868A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지게차
KR20150049649A (ko)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게차 제어 시스템
KR20230041253A (ko)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KR20220086689A (ko) 산업 차량
JP2020090381A (ja) フォークリフトの注意喚起システム、及びフォークリフト
JP5477879B1 (ja) ピッキングフォークリフトの安全装置
KR20170078276A (ko) 지면 조사 기능을 가지는 차량
KR20150014802A (ko) 지게차의 주변 경고장치
JP6891787B2 (ja) 有人運転無人運転兼用型の産業車両
EP4049964A1 (en) Industrial vehicle
KR102565359B1 (ko) 지게차 포크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장애물 감지 시스템
KR20160124444A (ko) 모니터링 기능이 부가된 지게차
JP7095653B2 (ja) 自動運転フォークリフト用荷置き位置検出装置
KR20160005604A (ko) 지게차
EP3556720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rradiated light on forklift
KR102643530B1 (ko) 건설현장 중장비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CN111170216A (zh) 一种起重铲车
JP2022125568A (ja) 障害物検知システム
CN211110885U (zh) 一种激光导航叉车
CN219136287U (zh) 一种叉车行人安全警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