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582A - 교통감시용 차량 - Google Patents

교통감시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582A
KR19990007582A KR1019980042283A KR19980042283A KR19990007582A KR 19990007582 A KR19990007582 A KR 19990007582A KR 1019980042283 A KR1019980042283 A KR 1019980042283A KR 19980042283 A KR19980042283 A KR 19980042283A KR 19990007582 A KR19990007582 A KR 19990007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ertical
angle
traff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애
Original Assignee
이인애
주식회사 정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애, 주식회사 정신산업 filed Critical 이인애
Priority to KR101998004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582A/ko
Publication of KR1999000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582A/ko

Links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의 주요 도로상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교통상황을 확인하거나 또는 교통단속을 위한 영상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게 하는 교통감시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감시용 차량은, 영상을 포착하는 카메라와, 특정의 장소로 이동이 가능한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를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카메라승강장치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승강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의 상하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를 상하방향으로 기울이는 상하각조절장치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승강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의 좌우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좌우각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특정의 지역으로 신속히 이동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카메라의 높이, 상하 및 좌우회전각을 조절하여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실제 교통상황 등 현장감 있는 방송이 가능하고, 교통단속시 위반차량의 적발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교통감시용 차량
본 발명은 교통감시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의 주요 도로상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교통상황을 확인하거나 또는 교통단속을 위한 영상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게 하는 교통감시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요 도로나 교차로 등 특정 지역의 교통상황을 확인하거나 교통단속을 위한 감시 등이 필요할 때 해당 지역을 관찰할 수 있는 장소에 원형의 철재기둥을 설치하여 카메라를 고정시키거나, 빌딩 또는 교통신호기가 설치된 구조물 등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고정시키는 등 특정의 장소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카메라를 이용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통감시 카메라는 항상 고정된 위치에서 주변의 교통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서, 카메라가 설치된 해당지역 이외의 장소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긴급하고 돌발적인 교통장애에 대한 대응이 불가능하고, 교통단속시 촬영범위가 국부적이고, 고정적인 카메라의 설치위치가 노출됨에 따라서 지속적이며, 광범위한 단속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에 탑재하고 특정의 지역으로 이동한 후 교통상황등을 촬영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항공기를 이용한 카메라촬영방법은 항공기의 진동, 소음 및 카메라맨의 촬영기술 등에 따라 영상의 질이 떨어지고, 고가의 항공기를 구입하여야 하며, 항공기의 내부에 영상장비 및 영상전송을 위한 통신장비를 설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실제 교통상황 등 현장감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해당 지역으로 신속히 이동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카메라의 높이, 상하 및 좌우회전각을 조절하여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실제 교통상황 등 현장감 있는 방송이 가능하고, 교통단속시 위반차량의 적발을 용이하게 하는 교통감시용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감시용 차량을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2는 도1의 내관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카메라 좌우각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도1의 카메라 상하각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도1의 마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도1의 콘트롤박스의 프론트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량 10: 차체
10a: 바닥 10b: 지붕
10c: 도어 11: 레벨잭(Level Jack)
12: 작업대 13: 사다리
14: 후방카메라 15: 후방모니터
16: 운전석 17: 조수석
18: 의자 19: 테이블
20: 운영요원의자 21: 통신장비
22: 영상편집장비 23: 발전기
30: 카메라 40: 좌우각조절장치
41: 수평기어부 42: 회전축
43: 회전판 44, 54: 모터
45: 평기어 46: 고정판
47, 56: 센서 50: 상하각조절장치
51: 수직기어부 52: 경사회전축
53: 경사판 55: 워엄기어
60: 마스트(Mast) 70: 콘트롤박스
71: 전원스윗치 72: 전원램프
73: 좌우각표시부 74: 좌우각조절스윗치
75: 상하각표시부 76: 상하각조절스윗치
77: 마스트조절스윗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감시용 차량은, 영상을 포착하는 카메라;와, 특정의 장소로 이동이 가능한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를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카메라승강장치;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승강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의 상하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를 상하방향으로 기울이는 상하각조절장치;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승강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의 좌우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좌우각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상하각조절장치는, 상면에 상기 카메라가 고정되고, 하면에 수직기어부가 형성되며, 중심부에 경사회전축이 형성되는 경사판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경사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상기 수직기어부에 맞물림되어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함으로써 상기 경사판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는 워엄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좌우각조절장치는, 상기 경사회전축을 회전지지하고, 상면에 상기 모터 및 워엄기어를 고정하며, 일측에 수평기어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카메라가 소정의 각도로 수평회전하도록 상기 수평기어부에 맞물림되어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판을 소정의 각도로 수평회전시키는 평기어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지지하고, 상기 좌우각조절장치의 모터를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감시용 차량은, 영상을 포착하는 카메라(30)와, 특정의 장소로 이동이 가능한 차량(1)의 차체(10)에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30)를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카메라승강장치인 마스트(Mast)(60)와, 상기 카메라(30)와 상기 마스트(6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30)의 상하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30)를 상하방향으로 기울이는 상하각조절장치(50) 및 상기 카메라(30)와 상기 마스트(6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30)의 좌우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3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좌우각조절장치(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사람의 오르내림이나 바람 등에 의해 상기 카메라(30)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체(10)의 하부에 높이가 조절되는 레벨잭(Level Jack)(11)이 다수개 설치된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카메라(30)를 설치 또는 관리하는 등 각종의 작업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10)의 지붕에 작업자를 위한 작업대(12)를 설치하고, 상기 작업대(12)에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차체(10)의 후면에 사다리(13)가 설치된다.
또한, 차량(1)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장비로 인해 가려지는 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1)의 후방에 후방카메라(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이러한 교통감시용 차량 내부의 일 실시예로서 각종 장비의 내부 배치상태를 나타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의 전방 즉 운전석(16) 및 조수석(17) 전방에 상기 후방카메라(30)의 영상을 화면으로 나타내는 후방모니터(15)가 설치되고, 중앙에 탑승자용 의자(18) 및 작업용 테이블(19)이 설치되며, 후방에 상기 카메라(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편집하는 영상편집장비(22)와, 편집된 영상을 방송국이나 중앙교통센타 등으로 송출하는 통신장비(21) 및 상기 장비(21)(22)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23) 등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장비(21)(22)의 전방에 상기 장비(21)(22)들을 조정하는 운영요원의자(20)가 마련되고, 상기 운영요원의자(20)의 측방으로 상기 마스트(60), 좌우각조절장치(40), 상하각조절장치(50)를 콘트롤하는 콘트롤박스(7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교통감시용 차량의 내부 배치는 그 일례를 제시한 것으로서, 차량(1) 내부의 형태 및 면적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경 및 수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상하각조절장치(50)는, 상면에 상기 카메라(30)가 고정되고, 하면에 수직기어부(51)가 형성되며, 중심부에 경사회전축(52)이 형성되는 경사판(53) 및 상기 카메라(30)가 상기 경사회전축(5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상기 수직기어부(51)에 맞물림되어 모터(54)에 의해 정·역회전함으로써 상기 경사판(53)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는 워엄기어(5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워엄기어(55)에는 상기 워엄기어(55)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센서(56)를 설치하여 도2의 상기 콘트롤박스(70)에 회전각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카메라(30)의 상하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좌우각조절장치(40)는, 상기 경사회전축(52)을 회전지지하고, 상면에 상기 상하각조절장치(50)의 모터(54) 및 워엄기어(55)를 고정하며, 일측에 수평기어부(41)가 형성되고, 하면에 회전축(42)이 형성되는 회전판(43)과, 상기 카메라(30)가 소정의 각도로 수평회전하도록 상기 수평기어부(41)에 맞물림되어 모터(44)에 의해 정·역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판(43)을 소정의 각도로 수평회전시키는 평기어(45) 및 상면에 상기 회전축(42)을 회전지지하고, 측면에 상기 좌우각조절장치(40)의 모터(44)를 고정시키는 고정판(4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평기어(45)에는 상기 평기어(45)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센서(47)를 설치하여 상기 콘트롤박스(70)에 회전각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카메라(30)의 좌우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센서(47)(56)들은 감지된 회전각을 전기적인 펄스파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상기 콘트롤박스(70)에 송신하는 엔코더(Encoder)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트(60)는, 상기 카메라(30)를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카메라승강장치로서, 내부 공기압에 따라 신장 및 수축하는 다단의 실린더로 구성된 에어마스트(Air Mast)가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마스트(60)는, 일측단부는 차체의 바닥(10a)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차체의 천정(10b)에 고정되며, 상기 타측단부에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신장막대에 상기 카메라(30)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신장막대에 설치된 카메라(30)는 차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마스트(60)에 에어(Air)가 공급되면 차체 지붕(10b)의 개방된 도어(10c)를 통해 상방으로 대략 5 미터 내지 15 미터의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30)는 차체 외부에 돌출되어 차체 내장이 불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서, 이는 마스트(60)의 신장 및 수축성능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스트(60)에 대한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상용화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트(60)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승강장치가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카메라승강장치에 대한 기술은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및 수정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박스(70)의 프론트패널(Front Panel)의 일례를 설명하면, 상기 콘트롤박스(70)의 프론트패널에는, 상기 콘트롤박스(70)의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스윗치(71)와, 전원의 단속상태를 나타내는 전원램프(72)와, 에어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마스트(60)의 신장 및 수축을 동작을 제어하도록 에어압을 조절하는 마스트조절스윗치(77)와, 상기 카메라(30)의 좌우각(방위각; Angle of Azimuth)을 조절하는 좌우각조절스윗치(74)와, 도3의 상기 센서(47)로부터 인가받은 회전각신호를 변조하여 조절된 상기 카메라(30)의 좌우각을 디지털형태로 표시하는 좌우각표시부(73)와, 상기 카메라(30)의 상하각(앙각; Angle of Elevation)을 조절하는 상하각조절스윗치(76) 및 도4의 상기 센서(56)로부터 인가받은 회전각신호를 변조하여 조절된 상기 카메라(30)의 상하각을 디지털형태로 표시하는 상하각표시부(75)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47)(56)가 상기 모터(44)(54)의 회전축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을 디지탈신호를 변조하는 엔코더인 경우, 상기 콘트롤박스(70)는, 상기 모터(44)(54)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상기 좌우각조절스윗치(74) 및 상기 상하각조절스윗치(76)를 조작하면 상기 모터(44)(54)가 정·역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모터(44)(54)에 의해 회전된 카메라(30)의 좌우각 및 상하각을 상기 엔코더와 연결된 상기 좌우각표시부(73)와 상기 상하각표시부(75)를 통해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의 교통감시용 차량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감시용 차량이 교통감시가 필요한 특정의 장소로 이동한 후, 상기 카메라(3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레벨잭(11)을 이용하여 상기 차체(10)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어서, 운영요원이 각종의 장비(21)(22) 및 콘트롤박스(70)에 전원을 인가하고, 도6의 상기 콘트롤박스(70)의 마스트조절스윗치(77)를 조작하여 상기 마스트(60)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마스트(60)를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킨다.
이어서, 상기 운영요원이 상기 좌우각표시부(73) 및 상하각표시부(75)를 확인하면서 상기 좌우각조절스윗치(74) 및 상하각조절스윗치(76)를 조작하여 피사체가 상기 카메라(30)에 포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좌우각조절스윗치(73)를 조작하면 상기 콘트롤박스(70)는 도3의 상기 모터(44)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평기어(45)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신호는 전압, 전류, 펄스파 등의 형태로 상기 모터(44)에 인가될 수 있고, 상기 평기어(45)의 회전으로 상기 카메라(30)가 설치된 상기 회전판(43)은 상기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각조절스윗치(76)를 조작하면 상기 콘트롤박스(70)는 도4의 상기 모터(54)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워엄기어(55)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신호는 전압, 전류, 펄스파 등의 형태로 상기 모터(54)에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워엄기어(55)의 회전으로 상기 카메라(30)가 설치된 상기 경사판(53)은 상기 경사회전축(5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카메라(30)에 포착된 화상을 도2의 상기 영상편집장비(22)로 편집하여 단속의 근거로 활용되도록 녹화하거나 편집된 영상을 상기 통신장비(21)로 방송국이나 중앙교통센타 등에 송출하게 된다.
그러므로, 특정의 장소로 이동하여 현지의 교통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긴급하고 돌발적인 교통장애에 대한 빠른 대응이 가능하며, 카메라의 위치 및 촬영각도를 수시로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교통단속시 촬영범위가 넓어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단속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항공기를 이용한 카메라촬영방법에 비하여 지면에 견고히 설치됨으로써 영상의 질이 우수하고, 비교적 저렴한 차량을 사용함으로써 이에 대한 운용이 용이하며, 영상장비 및 영상전송을 위한 통신장비가 설치되어 실제 교통상황을 나타내는 현장감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감시용 차량에 의하면, 특정의 지역으로 신속히 이동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카메라의 높이, 상하 및 좌우회전각을 조절하여 다양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실제 교통상황 등 현장감 있는 방송이 가능하고, 교통단속시 위반차량의 적발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영상을 포착하는 카메라;
    특정의 장소로 이동이 가능한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를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카메라승강장치;
    상기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승강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의 상하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를 상하방향으로 기울이는 상하각조절장치;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승강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의 좌우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좌우각조절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감시용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승강장치는 내부 작동유체의 압력에 따라 신장 및 수축하는 다단으로 형성된 마스트(Ma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교통감시용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각조절장치는, 상면에 상기 카메라가 고정되고, 하면에 수직기어부가 형성되며, 중심부에 경사회전축이 형성되는 경사판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경사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상기 수직기어부에 맞물림되어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함으로써 상기 경사판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는 워엄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각조절장치는, 상기 경사회전축을 회전지지하고, 상면에 상기 모터 및 워엄기어를 고정하며, 일측에 수평기어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카메라가 소정의 각도로 수평회전하도록 상기 수평기어부에 맞물림되어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판을 소정의 각도로 수평회전시키는 평기어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지지하고, 상기 좌우각조절장치의 모터를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교통감시용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체의 하부에 레벨잭(Level Jack)을 다수개 설치하고,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차체의 지붕에 작업대를 설치하며, 상기 차체의 후면에 사다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교통감시용 차량.
KR1019980042283A 1998-10-09 1998-10-09 교통감시용 차량 KR19990007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283A KR19990007582A (ko) 1998-10-09 1998-10-09 교통감시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283A KR19990007582A (ko) 1998-10-09 1998-10-09 교통감시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582A true KR19990007582A (ko) 1999-01-25

Family

ID=6589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283A KR19990007582A (ko) 1998-10-09 1998-10-09 교통감시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582A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957B1 (ko) * 2000-12-18 2003-03-29 김천복 씨씨티비를 장착한 감시차량
KR100577026B1 (ko) * 2004-09-08 2006-05-11 이규주 카메라(cctv)가 설치된 자동차
KR100776661B1 (ko) * 2006-10-12 2007-11-1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리어 뷰 카메라 시스템
KR100854922B1 (ko) * 2007-07-18 2008-08-27 박병선 차량주변화상 표시장치
KR100939997B1 (ko) * 2008-02-20 2010-02-03 국방과학연구소 수직 신장장치
WO2012008651A1 (ko) * 2010-07-16 2012-01-19 주식회사 니씨콤 차량용 감시카메라
KR101293626B1 (ko) * 2011-08-30 2013-08-07 대한민국 현장 지휘 차량
KR101448233B1 (ko) * 2013-01-31 2014-10-08 대한민국 방송 조명 차량
WO2016208786A1 (ko) * 2015-06-24 2016-12-29 최영민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CN109131137A (zh) * 2018-10-11 2019-01-04 合肥中科自动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无人驾驶观光车的安全预警装置
KR101995937B1 (ko) 2019-01-17 2019-07-03 (주)씨유미디어그룹 차량 장착용 촬영 장치
KR102012705B1 (ko) * 2018-10-24 2019-08-21 주식회사 영신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전방 모니터링 장치
KR20200052390A (ko) * 2018-10-22 2020-05-15 주식회사 스프링클라우드 자율 주행 차량의 거리 측정 장치
KR20200052391A (ko) * 2018-10-22 2020-05-15 주식회사 스프링클라우드 자율 주행 차량의 거리 측정 장치
KR20200062820A (ko) * 2018-11-27 2020-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브젝트 센싱장치
CN113479146A (zh) * 2021-07-01 2021-10-08 上海市市政公路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建筑近景摄影测量装置及方法
KR20220122375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토르드라이브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KR20230041253A (ko) * 2021-09-17 2023-03-2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957B1 (ko) * 2000-12-18 2003-03-29 김천복 씨씨티비를 장착한 감시차량
KR100577026B1 (ko) * 2004-09-08 2006-05-11 이규주 카메라(cctv)가 설치된 자동차
KR100776661B1 (ko) * 2006-10-12 2007-11-1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리어 뷰 카메라 시스템
KR100854922B1 (ko) * 2007-07-18 2008-08-27 박병선 차량주변화상 표시장치
KR100939997B1 (ko) * 2008-02-20 2010-02-03 국방과학연구소 수직 신장장치
WO2012008651A1 (ko) * 2010-07-16 2012-01-19 주식회사 니씨콤 차량용 감시카메라
KR101293626B1 (ko) * 2011-08-30 2013-08-07 대한민국 현장 지휘 차량
KR101448233B1 (ko) * 2013-01-31 2014-10-08 대한민국 방송 조명 차량
WO2016208786A1 (ko) * 2015-06-24 2016-12-29 최영민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CN109131137A (zh) * 2018-10-11 2019-01-04 合肥中科自动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无人驾驶观光车的安全预警装置
KR20200052390A (ko) * 2018-10-22 2020-05-15 주식회사 스프링클라우드 자율 주행 차량의 거리 측정 장치
KR20200052391A (ko) * 2018-10-22 2020-05-15 주식회사 스프링클라우드 자율 주행 차량의 거리 측정 장치
KR102012705B1 (ko) * 2018-10-24 2019-08-21 주식회사 영신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전방 모니터링 장치
KR20200062820A (ko) * 2018-11-27 2020-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브젝트 센싱장치
KR101995937B1 (ko) 2019-01-17 2019-07-03 (주)씨유미디어그룹 차량 장착용 촬영 장치
KR20220122375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토르드라이브 차량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CN113479146A (zh) * 2021-07-01 2021-10-08 上海市市政公路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建筑近景摄影测量装置及方法
CN113479146B (zh) * 2021-07-01 2023-09-15 上海市市政公路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建筑近景摄影测量装置及方法
KR20230041253A (ko) * 2021-09-17 2023-03-2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지게차 전방주행 안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7582A (ko) 교통감시용 차량
US5434614A (en) Aerial photography system
US7561066B2 (en) Railroad wayside signal system
US20180266136A1 (en) Multi-axial mast positioning system
JP6486596B2 (ja) 指定範囲監視システム
CN214090044U (zh) 一种挖掘机和挖掘机远程显示系统
KR20150000454A (ko) 감시 카메라 조정 장치
JP2018039075A (ja) 建築物点検ロボット
KR2006010157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제어 무인 이동감시 카메라
JP3717003B2 (ja) 通信用アンテナの向き調整装置
CN112361981A (zh) 一种多功能一体化隧道三维激光扫描平台
US11369817B1 (en) Watchtower vehicle
CN209756985U (zh) 车顶可伸缩式车载无线微型摄像头
JP5242970B2 (ja) 探査装置
JP3056157B2 (ja) 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沈下掘削方法
KR100855859B1 (ko) 틸트센서를 이용한 지브형 크레인의 영상감시시스템의 자동 후크 추적장치
CN110985844B (zh) 一种工程监理建管信息化装置
RU2545406C1 (ru) Мобильный комплекс фотовидеофиксации событий
JP2732582B2 (ja) タワークレーン装置
CN213745888U (zh) 一种通信设备监控装置
JPH07125997A (ja) 高所作業ロボット車
JP2000032325A (ja) 撮影装置
CN217634903U (zh) 公路施工用远程监控装置
CN220709527U (zh) 一种立体感投影纱幕设备
CN218954446U (zh) 一种安防工程用的安防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