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264A - 유체 기계 및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유체 기계 및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264A
KR20230040264A KR1020220097101A KR20220097101A KR20230040264A KR 20230040264 A KR20230040264 A KR 20230040264A KR 1020220097101 A KR1020220097101 A KR 1020220097101A KR 20220097101 A KR20220097101 A KR 20220097101A KR 20230040264 A KR20230040264 A KR 2023004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late
cylinder chamber
suction
discharge
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야 아카미
고지 다카나시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01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2021Details or compon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ntact area between cylinder barrel and valve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122Details or component parts, e.g. valves, sealings or lubrication means
    • F04B1/124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01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2035Cylinder barr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01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2042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12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1/2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 axe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1/201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2064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실시 형태의 메인 펌프는,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피스톤과, 실린더 블록이 수납된 케이싱과, 실린더 블록과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밸브판(19)을 구비한다. 밸브판(19)은, 흡입구와, 제1면(41a)에 형성된 한 쌍의 전환 랜드를 사이에 두고 흡입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된 토출구와, 압박 피스톤을 수납하는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와,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와 전환 랜드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51)을 갖는다.

Description

유체 기계 및 건설 기계 {FLUID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유체 기계 및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유체 기계로서, 예를 들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탑재되는 소위 경사판식의 유압 피스톤 펌프(이하, 단순히 유압 펌프라고 함)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유압 펌프는, 예를 들어 펌프 케이싱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샤프트와, 샤프트의 외주면에 고정된 실린더 블록과, 복수의 피스톤을 구비한다. 실린더 블록에는, 복수의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실린더실에, 각각 피스톤이 샤프트의 축 방향(이하, 단순히 축 방향이라고 함)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유압 펌프는, 실린더 블록의 축 방향의 제1 단부측에 배치되는 경사판, 및 제1 단부와는 반대측의 제2 단부측에 배치되는 밸브판을 구비한다. 경사판은, 경사판의 표면 위를 이동 가능한 각 피스톤의 단부를 통해, 실린더실 내에서의 피스톤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한다. 경사판은, 펌프 케이싱에 대한 기울기 각도에 따라서 실린더실과 피스톤으로 형성되는 공간 용적을 변화시킨다. 밸브판에는, 실린더 블록의 복수의 실린더실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작동유가 흐르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는 펌프 케이싱의 흡입로로 통해 있다. 토출구는 펌프 케이싱의 토출로로 통해 있다. 밸브판에 있어서의 실린더 블록측의 단부면에는, 흡입구와 토출구 사이에, 실린더 블록의 제2 단부에 면하는 전환 랜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 하에, 샤프트의 축 주위로 실린더 블록이 회전하면, 샤프트를 중심으로 각 실린더실이 주회되고, 밸브판의 전환 랜드를 통해 흡입구 및 토출구로 교호로 통한다. 흡입구로 실린더실이 통하는 타이밍에는, 실린더실 내의 공간 용적을 증대시키도록 실린더실 내를 피스톤이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흡입로 및 흡입구를 통해 펌프 케이싱 밖으로부터 실린더실에 작동유가 흡입된다(흡입 공정). 실린더실이 토출구로 통하는 타이밍에는, 실린더실 내의 공간 용적을 축소시키도록 실린더실 내를 피스톤이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토출구 및 토출로를 통해 실린더실로부터 펌프 케이싱 밖으로 작동유가 토출된다(토출 공정).
여기서, 실린더실이 토출구로 통하는 타이밍에는 실린더실이 토출구를 통해 급격하게 개방되기 때문에, 압력차로 실린더실에 작동유가 역분사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실린더실의 내벽면에 고속의 유체(작동유)가 충돌함으로써, 캐비테이션 에로젼(이하, 부식이라고 함)이 발생해 버린다. 이 때문에, 밸브판의 토출구와 밸브판의 전환 랜드를 통하게 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밸브판의 전환 랜드 중 흡입 공정으로부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있는 전환 랜드에 노치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어느 기술도 토출구측의 유체의 압력을 실린더실 내에 도입함으로써, 실린더실 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억제하려고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57-17108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74690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서는, 용이하게 구멍을 가공하는 것이 곤란하여 밸브판의 가공 비용이 증대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상술한 특허문헌 2에서는, 토출구의 바로 근처에서 이 토출구의 압력을 실린더실에 바이패스시키게 되므로, 부식 방지의 효과를 얻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밸브판의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실린더실의 충분한 부식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체 기계 및 건설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유체 기계는,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실린더실의 내외를 통하게 하는 블록 연통 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실린더실을 압축시키는 토출 공정, 및 상기 실린더실을 팽창시키는 흡입 공정을 행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블록을 수납하고, 흡입로 및 토출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상기 실린더 블록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판은,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로를 통하게 하는 흡입구와, 상기 실린더 블록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1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환 랜드를 사이에 둔 상기 흡입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토출로를 통하게 하는 토출구와,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2면에 있어서의 상기 흡입로 및 상기 토출로를 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압박 부재를 수납하는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전환 랜드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을 갖는다.
이와 같이,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를 이용하여 밸브판 연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이 밸브판 연통 구멍을 통해 토출구의 압력을 전환 랜드측으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실린더실 내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판의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실린더실의 충분한 부식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밸브판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전환 랜드 중, 상기 피스톤이 상기 흡입 공정으로부터 상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있는 랜드를, 하사점 전환 랜드라고 정의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하사점 전환 랜드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밸브판 연통 구멍은, 상기 노치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흡입구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노치의 선단은, 상기 토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라고 정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밸브판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전환 랜드 중, 상기 피스톤이 상기 흡입 공정으로부터 상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있는 랜드를, 하사점 전환 랜드라고 정의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하사점 전환 랜드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밸브판 연통 구멍은, 상기 노치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노치의 선단은, 상기 토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라고 정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압박 부재는 원판상의 소 피스톤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유체 기계는,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실린더실의 내외를 통하게 하는 블록 연통 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실린더실을 압축시키는 토출 공정과 상기 실린더실을 팽창시키는 흡입 공정을 행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블록을 수납하고, 흡입로 및 토출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상기 실린더 블록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판은,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로를 통하게 하는 흡입구와, 상기 실린더 블록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1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환 랜드를 사이에 둔 상기 흡입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토출로를 통하게 하는 토출구와,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2면에 있어서의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압박 부재를 수납하는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하사점 전환 랜드를 향하여 연장되는 노치와, 상기 노치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흡입구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전환 랜드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을 갖고, 상기 하사점 전환 랜드는, 상기 한 쌍의 전환 랜드 중, 상기 피스톤이 상기 흡입 공정으로부터 상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배치되는 랜드로서 정의되고, 상기 노치의 선단은, 상기 토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라고 정의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를 이용하여 밸브판 연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이 밸브판 연통 구멍을 통해 토출구의 압력을 하사점 전환 랜드측으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토출 공정 시에 실린더실에 유체가 역분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판의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실린더실의 충분한 부식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유체 기계는,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실린더실의 내외를 통하게 하는 블록 연통 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실린더실을 압축시키는 토출 공정과 상기 실린더실을 팽창시키는 흡입 공정을 행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블록을 수납하고, 흡입로 및 토출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상기 실린더 블록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판은,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로를 통하게 하는 흡입구와, 상기 실린더 블록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1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환 랜드를 사이에 둔 상기 흡입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토출로를 통하게 하는 토출구와,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2면에 있어서의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압박 부재를 수납하는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하사점 전환 랜드를 향하여 연장되는 노치와, 상기 노치의 선단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전환 랜드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을 갖고, 상기 하사점 전환 랜드는, 상기 한 쌍의 전환 랜드 중, 상기 피스톤이 상기 흡입 공정으로부터 상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배치되는 랜드로서 정의되고, 상기 노치의 선단은, 상기 토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라고 정의된다.
전환 랜드는 밸브판의 마무리 가공 시에 밸브판을 연마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노치의 선단에 밸브판 연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연마 마진에 의해 노치와 밸브판 연통 구멍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연마 마진에 의해 노치의 선단 위치가 변화되어 버리지만, 노치의 선단에 밸브판 연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노치와 밸브판 연통 구멍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마 마진에 관계없이 밸브판 연통 구멍에 의한 효과를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건설 기계는, 차체와, 상기 차체의 구동원이 되는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유체 기계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기계는,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실린더실의 내외를 통하게 하는 블록 연통 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실린더실을 압축시키는 토출 공정과 상기 실린더실을 팽창시키는 흡입 공정을 행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블록을 수납하고, 흡입로 및 토출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상기 실린더 블록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판은,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로를 통하게 하는 흡입구와, 상기 실린더 블록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1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환 랜드를 사이에 둔 상기 흡입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토출로를 통하게 하는 토출구와,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2면에 있어서의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압박 부재를 수납하는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하사점 전환 랜드를 향하여 연장되는 노치와, 상기 노치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흡입구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전환 랜드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을 갖고, 상기 하사점 전환 랜드는, 상기 한 쌍의 전환 랜드 중, 상기 피스톤이 상기 흡입 공정으로부터 상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배치되는 랜드로서 정의되고, 상기 노치의 선단은, 상기 토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라고 정의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밸브판의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실린더실의 충분한 부식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건설 기계는, 차체와, 상기 차체의 구동원이 되는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유체 기계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기계는,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실린더실의 내외를 통하게 하는 블록 연통 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실린더실을 압축시키는 토출 공정과 상기 실린더실을 팽창시키는 흡입 공정을 행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블록을 수납하고, 흡입로 및 토출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상기 실린더 블록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판은,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로를 통하게 하는 흡입구와, 상기 실린더 블록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1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환 랜드를 사이에 둔 상기 흡입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토출로를 통하게 하는 토출구와,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2면에 있어서의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압박 부재를 수납하는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하사점 전환 랜드를 향하여 연장되는 노치와, 상기 노치의 선단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전환 랜드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을 갖고, 상기 하사점 전환 랜드는, 상기 한 쌍의 전환 랜드 중, 상기 피스톤이 상기 흡입 공정으로부터 상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배치되는 랜드로서 정의되고, 상기 노치의 선단은, 상기 토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라고 정의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연마 마진에 관계없이 밸브판 연통 구멍에 의한 효과를 안정시킬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유체 기계 및 건설 기계는, 밸브판의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실린더실의 충분한 부식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건설 기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펌프 유닛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밸브판의 제1면측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밸브판의 제2면측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밸브판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건설 기계>
도 1은, 건설 기계(1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설 기계(100)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 등이다. 건설 기계(100)는, 선회체(청구항에 있어서의 차체의 일례)(101)와, 선회체(101)의 하부에 마련된 주행체(청구항에 있어서의 차체의 일례)(102)를 구비한다. 선회체(101)는 주행체(102)의 상부에서 선회한다. 선회체(101)는 펌프 유닛(청구항에 있어서의 유체 기계의 일례)(110)을 구비한다.
선회체(101)는, 이 선회체(101)에 탑승하는 조작자를 지지하는 캡(103)과, 캡(103)에 일단부가 연결된 붐(104)과, 붐(104)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암(105)과, 암(105)의 타단부에 연결된 버킷(106)을 구비한다. 붐(104)은 캡(103)에 대하여 요동한다. 암(105)은 붐(104)에 대하여 요동한다. 버킷(106)은 암(105)에 대하여 요동한다.
펌프 유닛(110)은 캡(103) 내에 마련되어 있다. 펌프 유닛(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는, 캡(103), 붐(104), 암(105) 및 버킷(106)의 구동원이 된다.
<펌프 유닛>
도 2는, 펌프 유닛(110)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펌프 유닛(110)은 소위 유압 펌프이다. 펌프 유닛(110)은 작동유를 흡입 및 토출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유닛(110)은 유체 기계로서의 메인 펌프(청구항에 있어서의 유체 기계의 일례)(1)와, 메인 펌프(1)의 일측에 마련된 기어 펌프(111)를 구비한다. 도 2는, 메인 펌프(1)만을 축 방향을 따른 단면으로 나타낸다. 도 2에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각 부재의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고 있다.
<메인 펌프>
메인 펌프(1)는 소위 경사판식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이다. 메인 펌프(1)는 메인 케이싱(청구항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일례)(2)과, 메인 케이싱(2)에 대하여 중심축선 C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샤프트(3)와, 메인 케이싱(2) 내에 수납됨과 함께, 샤프트(3)에 고정된 실린더 블록(4)과, 메인 케이싱(2) 내에 수납됨과 함께, 메인 케이싱(2)에 대하여 기욺 가능하게 마련된 경사판(5)과, 실린더 블록(4)에 마련된 피스톤(21)과, 메인 케이싱(2)과 실린더 블록(4) 사이에 배치된 밸브판(19)과, 밸브판(19)에 마련된 압박 피스톤(청구항에 있어서의 압박 부재의 일례)(46)을 주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각 부재의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샤프트(3)의 중심축선 C와 평행한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칭하고, 샤프트(3)의 회전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칭하고, 샤프트(3)의 직경 방향을 단순히 직경 방향이라고 칭한다.
메인 케이싱(2)은, 개구부(9a)를 갖는 상자형의 케이싱 본체(청구항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일례)(9)와, 케이싱 본체(9)의 개구부(9a)를 폐색하는 프론트 플랜지(10)를 구비한다.
케이싱 본체(9)는 개구부(9a)와는 반대측에 마련된 저벽(119)을 구비한다. 저벽(119)은 샤프트(3)의 중심축선 C 상에 위치하는 케이싱 본체(9)의 벽부이다. 저벽(119)의 내면(119a)측에, 실린더 블록(4)이 배치된다. 저벽(119)의 외면(119b)에, 기어 펌프(111)가 설치된다.
저벽(119)에는, 샤프트(3)를 통과시키는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이 저벽(119)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에는, 저벽(119)의 내면(119a) 근처에, 샤프트(3)의 일단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1)이 마련되어 있다.
저벽(119)에는,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을 사이에 두고 직경 방향의 양측에, 제1 흡입로(청구항에 있어서의 흡입로의 일례)(122)와 토출로(12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흡입로(122)는, 저벽(119)의 제1 측면(119c)에 개구부(122a)를 형성하고 있다. 제1 흡입로(122)의 개구부(122a)는 도시하지 않은 탱크로 통해 있다. 제1 흡입로(122)는 제1 측면(119c)으로부터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개구 면적이 작아지도록 저벽(119) 내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흡입로(122)에 있어서의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측의 단부에는, 제1 흡입로(122)와 저벽(119)의 내면(119a)을 통하게 하는 제1 연통로(1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로(124)는 제1 흡입로(122)와 밸브판(19)의 후술하는 흡입구(19a)를 통하게 한다.
제1 흡입로(122)의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측의 단부는, 이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으로 통해 있지 않다. 제1 흡입로(122)의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측의 단부에는, 제1 흡입로(122)와 저벽(119)의 외면(119b)을 통하게 하는 제2 연통로(125)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연통로(125)는 제1 흡입로(122)와 기어 펌프(111)의 후술하는 제2 흡입로(144)를 통하게 한다.
저벽(119)의 외면(119b)에는,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 및 제2 연통로(12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O링 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O링 홈(118)에, O링(117)이 장착되어 있다. O링(117)은 메인 케이싱(2)과 기어 펌프(111)의 후술하는 기어 케이싱(141)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한다.
이와 같은 구성 하에, 작동유는 도시하지 않은 탱크로부터 제1 흡입로(122) 내로 흡입된다. 제1 흡입로(122) 내로 흡입된 작동유는, 제1 연통로(124) 및 제2 연통로(125)로 흐른다.
토출로(123)는, 저벽(119)의 제1 측면(119c)과는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119d)에 개구부(123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23a)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밸브 등을 통해 캡(103), 붐(104), 암(105) 및 버킷(106)에 접속되어 있다. 토출로(123)는 제2 측면(119d)으로부터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을 향해 저벽(119) 내로 연장되어 있다.
토출로(123)의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측의 단부는, 이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으로 통해 있지 않다. 토출로(123)의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측의 단부에는, 토출로(123)와 저벽(119)의 내면(119a)을 통하게 하는 제3 연통로(128)가 형성되어 있다. 제3 연통로(128)는 토출로(123)와 밸브판(19)의 후술하는 토출구(19b)를 통하게 한다.
프론트 플랜지(10)에는, 샤프트(3)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3)에는, 샤프트(3)의 타단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4)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13)에는, 베어링(14)보다도 케이싱 본체(9)와는 반대측(프론트 플랜지(10)의 외측)에, 오일 시일(15)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시일(15)은 내부로부터의 작동유의 유출을 방지함과 함께, 샤프트(3)와 프론트 플랜지(10) 사이로부터의 이물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프론트 플랜지(10)에는, 2개의 설치 플레이트(1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설치 플레이트(137)는 샤프트(3)를 사이에 두고 직경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설치 플레이트(137)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2개의 설치 플레이트(137)는, 선회체(101)에 구비한 엔진 등의 구동원에 메인 펌프(1)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샤프트(3)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3)는 동축 상에 배치된 샤프트 본체(131)와, 샤프트 본체(131)로부터 샤프트(3)의 일단부측(메인 케이싱(2)의 저벽(119)측)으로 연장되는 제1 베어링부(132)와, 제1 베어링부(132)로부터 샤프트 본체(131)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전달축(133)과, 샤프트 본체(131)로부터 샤프트(3)의 타단부측(프론트 플랜지(10)측)으로 연장되는 제2 베어링부(134)와, 제2 베어링부(134)로부터 샤프트 본체(131)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연결축(135)이, 일체 성형된 것이다.
샤프트 본체(131)는 메인 케이싱(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 본체(131)에는, 제1 스플라인(1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스플라인(131a)에, 실린더 블록(4)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샤프트 본체(131)의 외주면에는, 제2 베어링부(134) 근처에, 압박 부재(27)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압박 부재(27)는 후술하는 슈 보유 지지 부재(29)를 누르는 것이다.
제1 베어링부(132)의 축 직경은 샤프트 본체(131)의 축 직경보다도 작다. 제1 베어링부(132)가, 저벽(119)의 베어링(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달축(133)은 샤프트(3)의 회전력을 기어 펌프(111)에 전달한다. 전달축(133)의 축 직경은 제1 베어링부(132)의 축 직경보다도 작다. 전달축(133)은 베어링(11)을 통해 기어 펌프(111)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달축(133)은 저벽(119)의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전달축(133)의 외주면에는, 원통상의 커플링(136)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커플링(136)은 전달축(133)과 일체로 회전한다. 커플링(136)의 제1 베어링부(132)와는 반대측 단부는,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을 통해 저벽(119)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된 부위가, 기어 펌프(111)에 연결된다.
제2 베어링부(134)의 축 직경은 제1 베어링부(132)의 축 직경보다도 크다. 제2 베어링부(134)가 프론트 플랜지(10)의 베어링(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축(135)은 도시하지 않은 엔진 등의 동력원에 연결된다. 연결축(135)의 축 직경은 제2 베어링부(134)의 축 직경보다도 작다. 연결축(135)의 제2 베어링부(134)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는, 베어링(14)을 통해 프론트 플랜지(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축(135)의 선단부에는, 제2 스플라인(13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스플라인(135a)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엔진 등의 동력원과 샤프트(3)가 연결된다.
샤프트(3)에 고정된 실린더 블록(4)은,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4)의 직경 방향 중앙에는, 샤프트(3)를 삽입 또는 압입하는 관통 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6)의 내벽면에는, 스플라인(1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플라인(16a)과 샤프트 본체(131)의 제1 스플라인(131a)이 결합된다. 샤프트(3)와 실린더 블록(4)은, 각 스플라인(16a, 131a)을 통해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관통 구멍(16)의 축 방향 중앙으로부터 저벽(119)측의 단부(4a)에 이르는 사이에는, 샤프트(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6)의 축 방향 중앙으로부터 프론트 플랜지(10)측에 이르는 사이에는, 내벽면의 일부에, 실린더 블록(4)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0)에는, 후술하는 스프링(23) 및 리테이너(24a, 24b)가 수납된다. 관통 구멍(25)에는, 후술하는 연결 부재(26)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다.
실린더 블록(4)에는, 샤프트(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실린더실(17)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실린더실(17)은, 중심축선 C와 동심의 소정 피치 원 상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실(17)은 프론트 플랜지(10)측이 개구되고, 또한 저벽(119)측은 폐쇄된 오목부이다. 실린더 블록(4)의 단부(4a)에는, 각 실린더실(17)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 실린더실(17)과 실린더 블록(4)의 외부를 통하게 하는 연통 구멍(청구항에 있어서의 블록 연통 구멍의 일례)(18)이 형성되어 있다.
각 실린더실(17)에, 피스톤(21)이 축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21)은 샤프트(3) 및 실린더 블록(4)의 회전에 수반하여 중심축선 C를 중심으로 주회하도록 회전한다.
피스톤(21)의 내부에는, 실린더실(17) 내의 작동유를 저류하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21)의 슬라이드 이동은, 실린더실(17)에의 작동유의 흡입 및 토출과 연관되어 있다.
즉, 실린더실(17)로부터 피스톤(21)이 인출될 때에는, 실린더실(17) 내의 공간 용적이 증대되어, 연통 구멍(18)을 통해 실린더실(17) 내에 작동유가 흡입된다(흡입 공정). 실린더실(17)로부터 가장 피스톤(21)이 인출된 하사점으로부터, 피스톤(21)은, 실린더실(17) 내로 진입되는 동작으로 바뀐다. 실린더실(17) 내에 피스톤(21)이 진입될 때에는, 실린더실(17) 내의 공간 용적이 축소되어, 연통 구멍(18)을 통해 실린더실(17)로부터 작동유가 토출된다(토출 공정). 실린더실(17)에 가장 피스톤(21)이 진입된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으로 다시 피스톤(21)의 동작이 변이된다.
피스톤(21)의 프론트 플랜지(10)측의 단부에는, 구상의 볼록부(28)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볼록부(28)에는, 복수의 슈(22)가 설치되어 있다. 슈(22)는 피스톤(21)의 슬라이드 이동량과 경사판(5)의 기울기를 연관시키기 위한 것이다. 슈(22)의 볼록부(28)를 수용하는 측의 면에는, 볼록부(28)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상의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21)의 볼록부(28)는 오목부(22a)의 내벽면에 감입된다. 슈(22)는 피스톤(21)의 볼록부(2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실린더 블록(4)의 오목부(20)에 수납된 스프링(23)은,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다. 스프링(23)은 오목부(20)에 수납된 2개의 리테이너(24a, 24b)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다. 스프링(23)은 탄성력에 의해 신장되는 방향으로 압박력을 발생시킨다. 스프링(23)의 압박력은, 2개의 리테이너(24a, 24b) 중 한쪽의 리테이너(24b)를 통해 연결 부재(26)에 전달된다. 스프링(23)의 압박력은, 연결 부재(26)를 통해 샤프트 본체(131)의 외주면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압박 부재(27)에 전달된다.
경사판(5)은 프론트 플랜지(10)의 케이싱 본체(9)측의 내면(10a)에 마련되어 있다. 경사판(5)은 프론트 플랜지(10)에 대하여 기욺으로써, 각 피스톤(21)의 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한다. 경사판(5)의 직경 방향 중앙에는, 샤프트(3)를 통과시키는 삽입 관통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판(5)은 실린더 블록(4)측에 형성된 평탄한 미끄럼 이동면(5a)을 구비한다. 이 미끄럼 이동면(5a) 위를 복수의 슈(22)가 이동한다.
각 슈(22)는, 슈 보유 지지 부재(29)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압박 부재(27)는 슈 보유 지지 부재(29)에 접촉하여, 슈 보유 지지 부재(29)를 경사판(5)측을 향해 누른다. 슈(22)는 경사판(5)의 미끄럼 이동면(5a)에 추종하도록 이동한다. 이에 의해, 중심축선 C를 중심으로 주회하는 피스톤(21)이 실린더실(17)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된다. 즉, 피스톤(21)의 슬라이드 이동량은, 경사판(5)에 의해 제어된다. 바꾸어 말하면, 피스톤(21)의 슬라이드 이동량은, 경사판(5)의 기울기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다시 바꾸어 말하면, 경사판(5)은 메인 펌프(1)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경사판(5)의 기울기 각도는,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어된다. 이들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실시 형태]
<밸브판>
밸브판(19)은, 실린더 블록(4)의 단부(4a)의 단부면(4b)과, 케이싱 본체(9)의 저벽(119)의 내면(119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판(19)은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판(19)은 케이싱 본체(9)의 저벽(119)에 회전 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즉, 밸브판(19)은 케이싱 본체(9)의 저벽(119)에 대하여 회전하지는 않지만, 저벽(119)의 내면(119a)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가 있다.
밸브판(19)은, 실린더 블록(4) 및 샤프트(3)가 중심축선 C 주위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메인 케이싱(2)(케이싱 본체(9))에 대하여 정지한다. 밸브판(19)과 실린더 블록(4)의 단부면(4b) 사이에 형성되는 작동유의 유막의 정압에 의해, 실린더 블록(4)이 지지되어 있다.
도 3은, 밸브판(19)에 있어서의 실린더 블록(4)측의 제1면(41a)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밸브판(19)에 있어서의 저벽(119)측의 제2면(41b)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판(19)의 직경 방향 중앙에는, 샤프트(3)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42)이 밸브판(19)의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밸브판(19)의 제1면(41a)에는, 관통 구멍(4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또한 관통 구멍(42)으로 통하도록, 축 방향에서 보아 원환상의 내측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판(19)의 제1면(41a)에는, 외주부를 따른 환상의 외측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판(19)에는, 실린더 블록(4)의 각 연통 구멍(18)으로 통하는 흡입구(19a)가 밸브판(19)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9a)의 외형은, 예를 들어 중심축선 C 주위의 소정 각도 범위에서의 원호상이며, 또한 장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실린더실(17)과 케이싱 본체(9)에 형성된 제1 연통로(124)는, 밸브판(19)의 흡입구(19a)와 실린더 블록(4)의 연통 구멍(18)을 통해 통한다.
밸브판(19)의 제2면(41b)으로부터 밸브판(19)의 두께 방향 중앙에 이르는 사이에, 토출구(19b)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19b)는 축 방향에서 보아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19b)는, 흡입구(19a)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 중앙에 대하여, 관통 구멍(42)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판(19)의 제1면(41a)으로부터 밸브판(19)의 두께 방향 중앙에 이르는 사이에는, 관통 구멍(42)을 사이에 두고 흡입구(19a)와는 반대측에, 토출구(19b)와 통하는 긴 오목부(45)가 형성되어 있다.
긴 오목부(45)는 토출구(19b)와 통해 있으므로, 이 토출구(19b)의 일부이다. 긴 오목부(45)는 예를 들어 중심축선 C 주위의 소정 각도 범위에서의 원호상이며, 또한 장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긴 오목부(45)와 흡입구(19a)는, 동일 피치 원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각 실린더실(17)과 케이싱 본체(9)에 형성된 제3 연통로(128)는, 밸브판(19)의 토출구(19b), 긴 오목부(45) 및 실린더 블록(4)의 연통 구멍(18)을 통해 통한다.
밸브판(19)의 제1면(41a)에는, 흡입구(19a)의 길이 방향 양단과 긴 오목부(45)의 길이 방향 양단 사이에, 한 쌍의 전환 랜드(47a, 47b)(하사점 전환 랜드(47a), 상사점 전환 랜드(47b))가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흡입구(19a)와 긴 오목부(45)는, 한 쌍의 전환 랜드(47a, 47b)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환 랜드(47a, 47b)는 제1면(41a)과 동일 평면이다. 실린더 블록(4)의 연통 구멍(18)은, 실린더 블록(4)이 회전될 때, 한 쌍의 전환 랜드(47a, 47b)를 통해 흡입구(19a)로 통하거나 긴 오목부(45)로 통하거나 하여 전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 쌍의 전환 랜드(47a, 47b) 중, 피스톤(21)의 동작이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으로 변이되는 개소에 대응하는 전환 랜드(47a)를 하사점 전환 랜드(47a)라고 한다. 한 쌍의 전환 랜드(47a, 47b) 중, 피스톤(21)의 동작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으로 변이되는 개소에 대응하는 전환 랜드(47b)를 상사점 전환 랜드(47b)라고 한다.
밸브판(19)의 제2면(41b)으로부터 밸브판(19)의 두께 방향 중앙에 이르는 사이에는, 긴 오목부(45)의 길이 방향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스톤 수납 오목부(청구항에 있어서의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의 일례)(49)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피스톤 수납 오목부(49)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는, 케이싱 본체(9)에 형성된 제1 흡입로(122) 및 토출로(123)를 피한 위치이기도 하다. 이 피한 위치란, 제1 흡입로(122) 및 토출로(123)로 통하지 않는 위치를 말한다. 즉, 피스톤 수납 오목부(49)는 제1 흡입로(122) 및 토출로(123)로 통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수납 오목부(49)는 축 방향에서 보아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의 직경은 토출구(19b)의 직경보다도 크다. 피스톤 수납 오목부(49)는 긴 오목부(45)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 통해 있다.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에는, 원판상의 압박 피스톤(46)이 수납되어 있다. 압박 피스톤(46)의 중심축선 Co는 축 방향을 따르고 있다. 압박 피스톤(46)의 직경은,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정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도 4,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판(19)의 제1면(41a)에는, 긴 오목부(45)의 길이 방향 양단 중, 하사점 전환 랜드(47a)측의 단부로부터 하사점 전환 랜드(47a)(흡입구(19a)의 길이 방향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노치(50)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50)는, 축 방향에서 보아 긴 오목부(45)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흡입구(19a)의 길이 방향 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노치(50)는, 긴 오목부(45)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흡입구(19a)의 길이 방향 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노치 깊이가 점차 얕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밸브판(19)에는, 하사점 전환 랜드(47a)측에 배치되어 있는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의 저면(49a)에, 이 저면(49a)과 하사점 전환 랜드(47a)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판 연통 구멍(51)은 미소한 세공이다. 밸브판 연통 구멍(51)은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밸브판 연통 구멍(51)은, 노치(50)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흡입구(19a)의 길이 방향 단부 근처로 약간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밸브판 연통 구멍(51)은 실린더 블록(4)의 각 연통 구멍(18)으로 통한다.
<기어 펌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펌프(1)의 일측에 마련된 기어 펌프(111)는, 부가 펌프로서 기능한다. 기어 펌프(111)는, 기어 케이싱(141)과,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어 및 종동 기어를 구비한다.
직육면체상의 기어 케이싱(141)은, 메인 케이싱(2)의 저벽(119)의 외면(119b)에 배치된다. 기어 케이싱(141)의 메인 케이싱(2)과 중첩되는 제1 벽면(141a)에는, 메인 케이싱(2)의 제2 연통로(125)로 통하는 제2 흡입로(14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흡입로(144)는 기어 케이싱(141)의 제1 벽면(141a)의 내외를 통하게 한다.
기어 케이싱(141)의 제1 벽면(141a)에는, 메인 케이싱(2)의 회전축 삽입 관통 구멍(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커플링 삽입 관통 구멍(149)이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136)의 기어 펌프(111)측의 단부는, 커플링 삽입 관통 구멍(149)을 통해 기어 케이싱(141) 내로 돌출되어 있다.
기어 케이싱(141)에 있어서의 제1 벽면(141a)과 직교하고, 또한 메인 케이싱(2)의 제2 측면(119d)과 동일한 방향을 향한 제2 벽면(141b)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3 토출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토출로의 개구부는 제2 벽면(141b)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어 및 종동 기어는, 기어 케이싱(14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서로 맞물려 있다. 구동 기어는, 메인 케이싱(2)으로부터 커플링 삽입 관통 구멍(149)을 통해 돌출된 커플링(136)에 연결되어 있다. 메인 펌프(1)에 있어서의 샤프트(3)의 회전력은, 커플링(136)을 통해 구동 기어에 전달된다. 종동 기어는 구동 기어에 맞물려 있으므로, 구동 기어와 동기하여 회전한다.
<펌프 유닛의 동작>
이어서, 펌프 유닛(1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메인 펌프(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 펌프(1)는, 실린더실(17)로부터의 작동유의 토출 및 실린더실(17)에의 작동유의 흡입에 기초하는 구동력을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엔진 등의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한 샤프트(3)의 회전에 수반하여, 실린더 블록(4)은 샤프트(3)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실린더 블록(4)의 회전에 수반하여, 피스톤(21)은 샤프트(3)의 중심축선 C를 중심으로 주회하도록 회전한다.
각 피스톤(21)의 볼록부(28)에 설치된 각 슈(22)는, 스프링(23)의 압박력에 의해, 경사판(5)의 기울기각에 관계없이 경사판(5)의 미끄럼 이동면(5a)에 대하여 적절하게 추종하여 압박 접촉된다. 피스톤(21)의 볼록부(28)는 구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볼록부(28)가 감입되는 슈(22)의 오목부(22a)도 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박 부재(27)는, 슈 보유 지지 부재(29)를 통해 각 슈(22)를 경사판(5)측으로 누르는 압을 가한다. 경사판(5)의 기울기각이 변화되어도, 각 슈(22)는 경사판(5)의 기울기에 추종하여 미끄럼 이동면(5a)에 적절하게 추종하여 압박 접촉된다.
실린더 블록(4)의 회전에 수반하여, 샤프트(3)의 중심축선 C를 중심으로 피스톤(21)이 주회하도록 회전하면, 각 슈(22)도 경사판(5)의 미끄럼 이동면(5a) 위를 샤프트(3)의 중심축선 C 주위로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각 피스톤(21)은 각 실린더실(17) 내에서 축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왕복 동작한다.
피스톤(21)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으로 변이될 때, 이 피스톤(21)이 수납된 실린더실(17)(연통 구멍(18))은, 밸브판(19)의 긴 오목부(45)로부터 상사점 전환 랜드(47b)를 통해 흡입구(19a) 위를 통과한다. 이때, 작동유는, 메인 케이싱(2)의 제1 흡입로(122)로부터 제1 연통로(124), 흡입구(19a) 및 연통 구멍(18)을 통해 실린더실(17) 내로 흡입된다(흡입 공정).
피스톤(21)이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으로 변이될 때, 이 피스톤(21)이 수납된 실린더실(17)(연통 구멍(18))은, 밸브판(19)의 흡입구(19a)로부터 하사점 전환 랜드(47a)를 통해 긴 오목부(45) 위를 통과한다. 이때, 작동유는, 실린더실(17) 내로부터 연통 구멍(18), 긴 오목부(45), 토출구(19b), 제3 연통로(128) 및 토출로(123)를 통해 토출된다(토출 공정).
경사판(5)(미끄럼 이동면(5a))의 기울기 각도가 변화되면, 피스톤(21)의 왕복동의 스트로크(이동 거리)는 변화된다. 경사판(5)의 기울기 각도가 클수록, 각 피스톤(21)의 왕복동에 수반되는 실린더실(17)에 대한 작동유의 흡입량 및 토출량은 커진다. 경사판(5)의 기울기 각도가 작을수록, 각 피스톤(21)의 왕복동에 수반되는 실린더실(17)에 대한 작동유의 흡입량 및 토출량은 작아진다. 경사판(5)의 기울기 각도가 제로인 경우에는, 샤프트(3)의 중심축선 C를 중심으로 피스톤(21)이 주회하도록 회전해도 각 피스톤(21)은 왕복동되지 않는다. 경사판(5)의 기울기 각도가 제로인 경우에는, 각 실린더실(17)로부터의 작동유의 토출량도 제로가 된다.
토출 공정에서는, 실린더실(17)로부터 긴 오목부(45)에 토출된 작동유는, 토출구(19b) 외에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에도 토출된다.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에는 압박 피스톤(46)이 수납되어 있으므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압박 피스톤(46)이 메인 케이싱(2)에 있어서의 저벽(119)의 내면(119a)을 향하여 눌린다. 압박 피스톤(46)이 저벽(119)의 내면(119a)으로 눌리는 것에 의한 반력에 의해, 실린더 블록(4)의 단부면(4b)에 밸브판(19)을 압박하는 압박력이 발생한다.
실린더실(17)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밸브판(19)의 제2면(41b)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42), 흡입구(19a), 토출구(19b) 및 피스톤 수납 오목부(49)를 제외한 개소와 저벽(119)의 내면(119a) 사이에 유막을 형성한다.
압박력은, 실린더 블록(4)의 각 실린더실(17)에 수납되는 피스톤(21)에 의해 실린더 블록(4)을 밸브판(19)에 압박하는 힘으로서 발생한다. 압박력은, 실린더 블록(4)에 밸브판(19)이 향하는 힘으로서, 실린더실(17)에 작용하는 작동유에 의해 압박 피스톤(46)을 누르는 힘의 반력 등이 있다.
실린더실(17)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밸브판(19)의 제1면(41a)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42), 흡입구(19a), 긴 오목부(45), 내측 오목부(43) 및 외측 오목부(44)를 제외한 개소와 실린더 블록(4)의 단부면(4b) 사이에 유막을 형성한다. 이 유막의 반력은, 실린더 블록(4)의 단부면(4b)으로부터 밸브판(19)을 분리하는 괴리력이 된다. 이 밖에 괴리력은, 밸브판(19)의 흡입구(19a) 및 토출구(19b)로부터 실린더 블록(4)의 단부면(4b)에 작용하는 유압력이 있다. 이들 압박력과 괴리력이 균형을 이룸으로써, 실린더 블록(4)과 밸브판(19)의 위치 관계가 적정하게 유지된다.
그런데, 실린더실(17)(연통 구멍(18))이 하사점 전환 랜드(47a)를 통과하여 긴 오목부(45)(토출구(19b))로 통하는 타이밍에는, 실린더실(17)이 긴 오목부(45)(토출구(19b))를 통해 급격하게 개방되기 때문에, 압력차로 실린더실(17)에 작동유가 역분사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밸브판(19)의 제1면(41a)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50)는, 실린더실(17)의 급격한 압력 변동을 완화시키기 위해 기능하고 있다.
이것에 더하여, 본 제1 실시 형태의 밸브판(19)에는,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의 저면(49a)에, 이 저면(49a)과 하사점 전환 랜드(47a)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린더실(17)(연통 구멍(18))과 긴 오목부(45)(토출구(19b))가 통하기 직전에, 실린더실(17)(연통 구멍(18))과 밸브판 연통 구멍(51)이 통한다. 이 결과, 실린더실(17)에 피스톤 수납 오목부(49)(토출구(19b))의 작동유의 압력(이하, 작동유의 토출압이라고 함)이 도입되어, 실린더실(17) 내의 압력이 약간 높아진다. 따라서, 실린더실(17)(연통 구멍(18))과 긴 오목부(45)(토출구(19b))가 통하는 타이밍에 실린더실(17)에 작동유가 역분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기어 펌프(11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어 펌프(111)의 구동 기어는, 메인 펌프(1)의 샤프트(3)에 커플링(136)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샤프트(3)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구동 기어에 맞물려 있는 종동 기어도 구동 기어와 동기하여 회전한다. 메인 케이싱(2)의 제2 연통로(125)를 통해 제1 흡입로(122)를 흐르는 작동유는, 제2 흡입로(144)에 흡입된다. 작동유는, 각 기어와 기어 케이싱(141)의 내측면 사이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제3 토출로측으로 흐른다. 작동유는 제3 토출로의 개구부를 통해 토출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밸브판(19)은,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의 저면(49a)에 형성되고, 이 저면(49a)과 하사점 전환 랜드(47a)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51)을 갖는다. 이 때문에, 하사점 전환 랜드(47a)를 통과하여 실린더실(17)(연통 구멍(18))과 긴 오목부(45)(토출구(19b))가 통하기 직전에, 밸브판 연통 구멍(51)을 통해 실린더실(17)에 작동유의 토출압을 도입할 수 있다. 이 결과, 실린더실(17)(연통 구멍(18))과 긴 오목부(45)(토출구(19b))가 통하는 타이밍에 실린더실(17)에 작동유가 역분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실(17)에의 작동유의 역분사에 의한 실린더실(17)의 부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밸브판(19)에 실린더 블록(4)에의 압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피스톤 수납 오목부(49)를 이용하여 밸브판 연통 구멍(51)을 형성함으로써, 이 밸브판 연통 구멍(51)에 토출구(19b)의 작동유의 압력을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밸브판(19)의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밸브판 연통 구멍(51)은, 노치(50)의 선단으로부터 흡입구(19a)의 길이 방향 단부 근처로 약간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사점 전환 랜드(47a)를 통과하여 실린더실(17)(연통 구멍(18))과 긴 오목부(45)(토출구(19b))가 통하기 직전에, 실린더실(17)에 작동유의 토출압을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다.
밸브판(19)에 형성된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에는, 원판상의 압박 피스톤(46)이 수납되어 있다. 이 압박 피스톤(46)에 작동유의 토출압을 부여함으로써, 밸브판(19)에 실린더 블록(4)을 향하는 압박력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7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밸브판(219)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전술한 도 6에 대응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양태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의 상위점은, 제1 실시 형태의 밸브판(19)에서는, 밸브판 연통 구멍(51)이 노치(50)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비해, 제2 실시 형태의 밸브판(219)에서는, 밸브판 연통 구멍(52)이 노치(50)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판 연통 구멍(52)은 밸브판(219)의 제1면(41a)측에서 노치(50)와 통해 있다.
밸브판(219)의 전환 랜드(47a, 47b)는, 밸브판(219)의 마무리 가공 시에 밸브판(219)을 연마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노치(50)의 선단에 밸브판 연통 구멍(52)을 형성함으로써, 연마 마진에 의해 노치(50)와 밸브판 연통 구멍(52)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연마 마진에 의해 노치(50)의 선단 위치가 변화되어 버리지만, 노치(50)의 선단에 밸브판 연통 구멍(52)을 형성함으로써 노치(50)와 밸브판 연통 구멍(52)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연마 마진에 관계없이, 밸브판 연통 구멍(52)은 밸브판(219)의 제1면(41a)측에서 노치(50)와 항상 통해 있다. 이 때문에, 연마 마진에 관계없이 밸브판 연통 구멍(52)에 의한 효과를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각종 변경을 가한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100)는 유압 셔블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건설 기계를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유체 기계로서 작동유를 유체로 하는 메인 펌프(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동유 이외의 다양한 유체를 사용한 다양한 유체 기계에 상술한 밸브판(19, 219)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판(19)에는, 하사점 전환 랜드(47a)측에 배치된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의 저면(49a)에, 이 저면(49a)과 하사점 전환 랜드(47a)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사점 전환 랜드(47b)측에 배치된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의 저면(49a)에, 이 저면(49a)과 상사점 전환 랜드(47b)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51)을 형성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판(19)에 형성된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에, 원판상의 압박 피스톤(46)을 수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에 토출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밸브판(19)에 실린더 블록(4)을 향하는 압박력이 발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에 압박 피스톤(46)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에 압박 피스톤(46) 대신에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을 수납해도 된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판(19)에 실린더 블록(4)을 향하는 압박력을 부여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판(19)에는, 긴 오목부(45)의 길이 방향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스톤 수납 오목부(49)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스톤 수납 오목부(49)는, 제1 흡입로(122) 및 토출로(123)를 피한 위치(제1 흡입로(122) 및 토출로(123)로 통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밸브판 연통 구멍(51)을 통해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에 토출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밸브판(19)에 실린더 블록(4)을 향하는 압박력이 발생하면 된다.
피스톤 수납 오목부(49)가 제1 흡입로(122)나 토출로(123)로 통해 버리면, 이들 제1 흡입로(122)나 토출로(123)에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에 토출된 작동유가 누출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이렇게 구성해 버리면,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에 토출된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밸브판(19)에 실린더 블록(4)을 향하는 압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판(19)에 형성된 밸브판 연통 구멍(51)은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밸브판 연통 구멍(51)은, 밸브판(19)의 피스톤 수납 오목부(49)와 전환 랜드(47a, 47b)를 통하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실시 형태 중, 복수의 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당해 복수의 물체를 일체화해도 되고, 반대로 하나의 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복수의 물체로 나눌 수 있다. 일체화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1: 메인 펌프(유체 기계)
2: 메인 케이싱(케이싱)
4: 실린더 블록
17: 실린더실
18: 연통 구멍(블록 연통 구멍)
19, 219: 밸브판
19a: 흡입구
19b: 토출구
21: 피스톤
41a: 제1면
41b: 제2면
46: 압박 피스톤(압박 부재)
47a: 하사점 전환 랜드
47b: 상사점 전환 랜드
49: 피스톤 수납 오목부(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
50: 노치
51: 밸브판 연통 구멍
101: 선회체(차체)
102: 주행체(차체)
122: 제1 흡입로(흡입로)
123: 토출로

Claims (8)

  1.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실린더실의 내외를 통하게 하는 블록 연통 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실린더실을 압축시키는 토출 공정, 및 상기 실린더실을 팽창시키는 흡입 공정을 행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블록을 수납하고, 흡입로 및 토출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상기 실린더 블록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판은,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로를 통하게 하는 흡입구와,
    상기 실린더 블록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1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환 랜드를 사이에 둔 상기 흡입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토출로를 통하게 하는 토출구와,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2면에 있어서의 상기 흡입로 및 상기 토출로를 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압박 부재를 수납하는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전환 랜드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
    을 갖는,
    유체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전환 랜드 중, 상기 피스톤이 상기 흡입 공정으로부터 상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있는 랜드를, 하사점 전환 랜드라고 정의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하사점 전환 랜드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밸브판 연통 구멍은, 상기 노치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흡입구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노치의 선단은, 상기 토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라고 정의되는,
    유체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전환 랜드 중, 상기 피스톤이 상기 흡입 공정으로부터 상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있는 랜드를, 하사점 전환 랜드라고 정의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하사점 전환 랜드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밸브판 연통 구멍은, 상기 노치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노치의 선단은, 상기 토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라고 정의되는,
    유체 기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원판상의 소 피스톤인,
    유체 기계.
  5.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실린더실의 내외를 통하게 하는 블록 연통 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실린더실을 압축시키는 토출 공정과 상기 실린더실을 팽창시키는 흡입 공정을 행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블록을 수납하고, 흡입로 및 토출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상기 실린더 블록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판은,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로를 통하게 하는 흡입구와,
    상기 실린더 블록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1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환 랜드를 사이에 둔 상기 흡입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토출로를 통하게 하는 토출구와,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2면에 있어서의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압박 부재를 수납하는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하사점 전환 랜드를 향하여 연장되는 노치와,
    상기 노치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흡입구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전환 랜드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
    을 갖고,
    상기 하사점 전환 랜드는, 상기 한 쌍의 전환 랜드 중, 상기 피스톤이 상기 흡입 공정으로부터 상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배치되는 랜드로서 정의되고,
    상기 노치의 선단은, 상기 토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라고 정의되는,
    유체 기계.
  6.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실린더실의 내외를 통하게 하는 블록 연통 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실린더실을 압축시키는 토출 공정과 상기 실린더실을 팽창시키는 흡입 공정을 행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블록을 수납하고, 흡입로 및 토출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상기 실린더 블록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판은,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로를 통하게 하는 흡입구와,
    상기 실린더 블록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1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환 랜드를 사이에 둔 상기 흡입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토출로를 통하게 하는 토출구와,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2면에 있어서의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압박 부재를 수납하는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하사점 전환 랜드를 향하여 연장되는 노치와,
    상기 노치의 선단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전환 랜드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
    을 갖고,
    상기 하사점 전환 랜드는, 상기 한 쌍의 전환 랜드 중, 상기 피스톤이 상기 흡입 공정으로부터 상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배치되는 랜드로서 정의되고,
    상기 노치의 선단은, 상기 토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라고 정의되는,
    유체 기계.
  7. 차체와,
    상기 차체의 구동원이 되는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유체 기계
    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기계는,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실린더실의 내외를 통하게 하는 블록 연통 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실린더실을 압축시키는 토출 공정과 상기 실린더실을 팽창시키는 흡입 공정을 행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블록을 수납하고, 흡입로 및 토출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상기 실린더 블록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판은,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로를 통하게 하는 흡입구와,
    상기 실린더 블록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1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환 랜드를 사이에 둔 상기 흡입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토출로를 통하게 하는 토출구와,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2면에 있어서의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압박 부재를 수납하는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하사점 전환 랜드를 향하여 연장되는 노치와,
    상기 노치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흡입구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전환 랜드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
    을 갖고,
    상기 하사점 전환 랜드는, 상기 한 쌍의 전환 랜드 중, 상기 피스톤이 상기 흡입 공정으로부터 상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배치되는 랜드로서 정의되고,
    상기 노치의 선단은, 상기 토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라고 정의되는,
    건설 기계.
  8. 차체와,
    상기 차체의 구동원이 되는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유체 기계
    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기계는,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실린더실의 내외를 통하게 하는 블록 연통 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실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실린더실을 압축시키는 토출 공정과 상기 실린더실을 팽창시키는 흡입 공정을 행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블록을 수납하고, 흡입로 및 토출로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상기 실린더 블록측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판은,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흡입로를 통하게 하는 흡입구와,
    상기 실린더 블록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1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환 랜드를 사이에 둔 상기 흡입구와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연통 구멍과 상기 토출로를 통하게 하는 토출구와,
    상기 제1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밸브판의 제2면에 있어서의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압박 부재를 수납하는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토출구로부터 하사점 전환 랜드를 향하여 연장되는 노치와,
    상기 노치의 선단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 수납 오목부와 상기 전환 랜드를 통하게 하는 밸브판 연통 구멍
    을 갖고,
    상기 하사점 전환 랜드는, 상기 한 쌍의 전환 랜드 중, 상기 피스톤이 상기 흡입 공정으로부터 상기 토출 공정으로 전환되는 하사점 위치에 배치되는 랜드로서 정의되고,
    상기 노치의 선단은, 상기 토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라고 정의되는,
    건설 기계.
KR1020220097101A 2021-09-15 2022-08-04 유체 기계 및 건설 기계 KR202300402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50018 2021-09-15
JP2021150018A JP2023042733A (ja) 2021-09-15 2021-09-15 流体機械及び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264A true KR20230040264A (ko) 2023-03-22

Family

ID=8548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101A KR20230040264A (ko) 2021-09-15 2022-08-04 유체 기계 및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42733A (ko)
KR (1) KR20230040264A (ko)
CN (1) CN1158077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1971B1 (ja) 2023-04-25 2023-10-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圧回転機械、液圧回転機械の弁板、及び液圧回転機械のシリンダブロッ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1086A (en) 1981-04-13 1982-10-21 Kawasaki Heavy Ind Ltd Piston pump
JP2010174690A (ja) 2009-01-28 2010-08-12 Kawasaki Precision Machinery Ltd バルブプレート、及びそれを備えるピストンポンプ又はモ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1086A (en) 1981-04-13 1982-10-21 Kawasaki Heavy Ind Ltd Piston pump
JP2010174690A (ja) 2009-01-28 2010-08-12 Kawasaki Precision Machinery Ltd バルブプレート、及びそれを備えるピストンポンプ又は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42733A (ja) 2023-03-28
CN115807749A (zh)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42634B (zh) 液压泵
US9752573B2 (en) Pendulum slide pump with at least one communication channel
KR20230040264A (ko) 유체 기계 및 건설 기계
KR101596560B1 (ko) 서보 레귤레이터
KR101896742B1 (ko) 액압 회전기
KR101548432B1 (ko) 가변 베인 펌프
CN218816804U (zh) 流体机械
KR20230040263A (ko) 유체 기계 및 건설 기계
KR20210010385A (ko) 유체 기계 및 건설 기계
JP2012255375A (ja) 可変容量型斜板式液圧ポンプ
CN111794937B (zh) 泵单元和施工机械
JP4832178B2 (ja) 可変容量型斜板式液圧回転機
CN112443468A (zh) 液压泵和施工机械
CN112555117B (zh) 流体机械和施工机械
CN112240272A (zh) 流体机械和施工机械
WO2023189944A1 (ja) 回転斜板式液圧ポンプ
KR100959462B1 (ko) 축류피스톤식 유체기계
CN117905666A (zh) 流体机械
JP2023079525A (ja) 流体機械及び建設機械
CN111561433A (zh) 流体压旋转装置和建筑机械
CN112240273A (zh) 密封装置、旋转机械、流体机械、以及施工机械
JPH11351131A (ja) 斜板式ピストンポンプ
JP6043138B2 (ja) 可変容量型ベーンポンプ
CN111911380A (zh) 液压泵和建筑机械
JPH11303723A (ja) 差動型流体圧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